KR20170092450A - 계량용기 - Google Patents

계량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2450A
KR20170092450A KR1020167036305A KR20167036305A KR20170092450A KR 20170092450 A KR20170092450 A KR 20170092450A KR 1020167036305 A KR1020167036305 A KR 1020167036305A KR 20167036305 A KR20167036305 A KR 20167036305A KR 20170092450 A KR20170092450 A KR 20170092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e
cap
metering
engaging
mete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9686B1 (ko
Inventor
와타루 요시다
켄이치로 마에다
유스케 미야시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2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9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9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7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push-on and twist-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설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계량통부의 시인성이 뛰어나며, 또한 계량 캡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계량용기를 제공한다. 구경부(9)를 갖는 용기 본체(2)와 계량 캡(3)을 구비하고, 계량 캡(3)은 플랜지부 (20)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연장편(21)과 맞물림벽부(22)를 구비하고, 맞물림벽부(22)의 하단은 연장편(21)의 하단보다 플랜지부(20) 근처에 위치하고, 구경부(9)의 외주면과 맞물림벽부(22)의 내면에는 구경부(9)에 대한 계량 캡(3)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맞물림부(27)가 형성되고, 구경부(9)의 외주면에는 계량 캡(3)을 회동시켰을 때에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접촉하는 단차벽부(11B)가 형성되고, 단차벽부(11B)가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계량 캡(3)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계량용기(1).

Description

계량용기{MEASURING CONTAINER}
본 발명은 계량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4년 11월 2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14-241177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면, 유연제, 액체 세제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에 장착되는 캡으로서는, 일반적으로 계량 기능을 구비하고, 계량한 내용물을 외측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게 맞물림벽부가 투명하게 되어 있는 계량 캡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계량 캡에서는 맞물림벽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계량통부에 계량선 등이 인쇄나 성형에 의한 릴리프로서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의 구경부(口頸部)에 계량 캡을 장착하는 형태로서는, 액상의 내용물이 수송시나 취급시에 누설되기 어렵도록 하기 위해서, 계량 캡을 구경부에 나사결합 장착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계량 캡을 나사결합 장착하는 타입의 용기에서는, 취급시에 손가락이 물로 젖셔져 있거나, 손가락에 세정제 등의 내용물이 부착되어 있거나 하면,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워 계량 캡의 개폐 조작이 곤란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캡을 장착하는 형태로서는 캡을 구경부에 끼워맞춤 장착하는 형태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단을 향해서 축경되는 테이퍼상의 구경부의 외벽면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캡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와 끼워맞추어지는 맞물림 볼록부가 형성된 용기를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상기 용기에 있어서는 구경부에 끼워맞춤 장착된 캡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측벽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를 안쪽으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맞물림 오목부와 상기 맞물림 볼록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고, 그 상태에서 캡을 상방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구경부로부터 캡을 분리한다.
그러나, 상기 용기에서는 캡의 분리에 2단계의 조작이 필요하고, 또한 물이나 세정제 등의 부착에 의해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울 때에는 캡을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하단부의 평면 형상이 팔각형인 구경부와, 하단부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캡을 구비하고, 상기 구경부의 외벽면에 있어서의 상기 하단부보다 상측의 부분에 제 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캡의 내벽면에 캡이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리브의 하면에 록킹되는 제 2 리브가 형성된 용기를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상기 용기에서는 구경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8개의 외면 중, 축선 둘레로 하나 걸러의 외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리브 및 제 2 리브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캡을 분리할 때에는 구경부에 장착된 캡을 1/8회전만 회동시켜 제 1 리브와 제 2 리브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고, 그 상태에서 캡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서 분리한다.
그러나, 상기 용기에서는 하단부의 평면 형상이 팔각형인 구경부에 대하여 하단부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인 캡을 회동시키는데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물이나 세정제 등의 부착에 의해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울 때에는 캡을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상단을 향해서 축경하는 테이퍼상이고, 또한 평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인 구경부의 외벽면에 맞물림 오목부가 형성되고, 평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인 캡의 내벽면에 상기 맞물림 오목부와 끼워맞추는 맞물림 볼록부가 형성된 용기를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상기 용기에서는 캡을 분리할 때, 구경부에 장착된 캡을 회동시켜서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림 볼록부의 끼워맞춤을 해제하고, 그 상태에서 캡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서 분리한다.
그러나, 상기 용기에서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인 구경부에 대하여 평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인 캡을 회전시키는데에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물이나 세정제 등의 부착에 의해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울 때에는 캡을 분리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상기한 캡을 끼워맞춤 장착하는 타입의 용기에서는, 캡으로서 계량통부를 구비하는 계량 캡을 채용했을 때에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의 계량선의 시인성이 나빠 내용물의 계량이 곤란해지는 문제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49-12065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10-305854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공개 소 55-74661호 공보
본 발명은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설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계량통부의 시인성이 뛰어나며, 또한 계량 캡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계량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구경부를 갖고, 액상 또는 분말상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계량 캡을 구비하는 계량용기로서, 상기 계량 캡은 상기 구경부 내에 일부 삽입되는 계량통부와, 상기 계량통부의 일측 개구단을 닫는 뚜껑부와, 상기 계량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구경부의 상단의 개구부에 씌워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로 늘어지고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을 따르게 되는 연장편과,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편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고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을 따르게 되는 맞물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편은 하단을 향해서 폭이 좁아지고 있고, 상기 맞물림벽부의 하단은 상기연장편의 하단보다 상기 플랜지부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계량 캡은 상기 구경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경부의 축선 둘레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단 근처의 부분과 상기 맞물림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구경부에 대한 상기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량 캡을 상기 구경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연장편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단차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벽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계량 캡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서는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장편의 내면에, 상기 구경부에 대한 상기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벽부보다 상측 부분에, 상기 단차벽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안내 볼록조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장편의 내면에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고,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 또는 하면을 슬라이딩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편은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경부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되도록 서로 이간해서 2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맞물림벽부는 상기 계량 캡의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연장편의 사이의 중앙에 상기 구경부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서로 이간해서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편을 따르게 되는 부분에 내주면을 향해서 오목하고, 또한 정면에서 볼 때에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오므라진 형상의 패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임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단차벽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편의 하단부는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어서, 상기 연장편의 하단부가 정면에서 볼 때의 상기 단차벽부의 저부에 위치 맞춤되었을 때에, 상기 단차벽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설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고, 계량통부의 시인성이 뛰어나고, 또한 캡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량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계량용기의 상부측 전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계량용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부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노즐 속마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노즐 속마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노즐 속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계량 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b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계량 캡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c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계량 캡을 나타낸 도립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 계량 캡을 분리하는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계량용기에 있어서 계량 캡을 장착하는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상부측 전체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량용기의 용기 본체에 있어서의 상부측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노즐 속마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a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계량 캡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a의 계량용기에 있어서 계량 캡을 분리하는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노즐 속마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의 계량용기에 있어서의 계량 캡과 노즐 속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계량용기의 일례를 나타내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계량용기(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상 또는 분말상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 장착되는 계량 캡(3)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2)는 유연제, 액체 세제 등의 액체 혹은 분말상 세제나 분말상 유연제 등의 분체를 수용 가능한 보틀형의 중공 용기이다. 용기 본체(2)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의 저벽(4)과, 저벽(4)의 가장자리부로부터 기립되는 측벽(5)과, 측벽(5)의 선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서서히 축경되도록 연장되는 어깨부(6)와, 어깨부(6)의 중앙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원통상의 돌출통부(7)와, 돌출통부(7)에 나사결합 장착되는 노즐 속마개(8)로 구성되어 있다.
돌출통부(7)의 외주면에는 나사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상부에는 돌출통부(7)에 노즐 속마개(8)가 나사결합 장착됨으로써 원통상의 구경부(9)가 형성된다.
노즐 속마개(8)는 돌출통부(7)에 나사결합되는 원통상의 통벽부(10)를 갖고 있다.
통벽부(10)는 내주면에 있어서의 하부에 나사부(11a)를 설치한 외통벽(11)과, 외통벽(11)의 내주측에 접속벽(12)을 통해서 하방으로 연장된 내통벽(13)을 갖고 있다.
내통벽(13)은 외통벽(11)의 하단보다 약간 하방까지 도달하도록 외통벽(11)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내통벽(13)의 하단에는 경사면(16a)을 갖는 저벽부(16)가 설치되어 있고, 저벽부(16)에는 주출구(16b)가 편재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구경부(9)의 내측에 주출구(16b)가 편재해서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16)에 있어서의 주출구(16b)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주출통(17)이 세워서 설치되어 있다.
저벽부(16)에 있어서 주출구(16b)가 편재하고 있기 때문에 주출구(16b)의 주위에 세워서 설치된 주출통(17)도 내통벽(13) 내에 편재하고 있다. 주출통(17)에는 그 측벽에 있어서의 구경부(9)의 중심축선(C1)측에 세로 방향으로 슬릿 형상의 개구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출통(17)은 상단부가 중심축선(C1)을 향해서 낮아지도록 경사진 면(17a)이 형성되도록 경사 방향으로 절제되어 있다.
노즐 속마개(8)는 내통벽(13)이 돌출통부(7)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통벽(11)의 나사부(11a)가 용기 본체(2)의 돌출통부(7)의 나사부(7a)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2)의 돌출통부(7)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노즐 속마개(8)에는 외통벽(11)과 내통벽(13) 사이의 접속벽(12)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통 형상의 시일 립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노즐 속마개(8)를 용기 본체(2)의 돌출통부(7)에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시일 립부(15)가 돌출통부(7)의 개구부에 빈틈없이 삽입됨으로써 돌출통부(7)의 개구부가 액밀하게 폐색된다.
도 2a, 도 2b 및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통벽(11)의 외주면에는 외통벽(11)의 축선 둘레로 180° 간격으로, 즉 외통벽(11)의 축선 둘레의 대칭 위치(둘레 방향 대칭 위치)에, 정면에서 볼 때 혀 형태로 내주면을 향해서 오목한 패임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패임부(11A)는 계량 캡(3)이 노즐 속마개(8)에 장착될 때에 계량 캡(3)의 연장편(21)이 따르게 되는 부분이다.
외통벽(1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A)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단차벽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벽부(11B)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사인곡선의 일부를 잘라낸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저부의 양측에 있어서 통벽부(1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계량 캡(3)의 회동 방향(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예의 패임부(11A)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의 단차벽부(11B)의 저부가 외통벽(11)의 하단 가까이에 위치한다. 정면에서 볼 때의 단차벽부의 저부와 구경부의 외주면의 하단의 거리는, 예를 들면 5∼20㎜로 할 수 있다. 또한, 패임부(11A)에 있어서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은 외통벽(11)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 즉 구경부(9)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1/6 정도로 되어 있다.
연장편을 따르게 되는 패임부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둘레 방향의 길이)은, 구경부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에 대하여 1/6∼1/3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편을 따르게 되는 패임부와 맞물림벽부가 따르게 되는 패임부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연장편을 따르게 되는 패임부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이란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연장편을 따르게 되는 패임부의 가장자리 부분과 맞물림벽부가 따르게 되는 패임부의 가장자리 부분의 경계점끼리의 축선 둘레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구경부(9)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A)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서의, 패임부(11A)의 상단측의 곡선상의 가장자리 부분과 패임부(11C)의 직선상의 가장자리 부분의 경계점끼리의 축선 둘레의 거리를, 패임부(11A)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으로 한다.
계량 캡(3)의 회동 방향(둘레 방향), 즉 중심축 마개(C1)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단차벽부(11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회동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의 경사각도(θ)(도 3a)는 40∼70°가 바람직하고, 45∼6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도(θ)가 하한값 이상이면 계량 캡(3)을 보다 안정되게 노즐 속마개(8)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θ)가 상한값 이하이면 계량 캡(3)의 분리가 보다 용이해진다.
외통벽(1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A) 이외의 부분의 상단 근처에는, 한쪽의 패임부(11A)로부터 다른쪽의 패임부(11A)까지 오목한 패임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패임부(11C)는 계량 캡(3)이 노즐 속마개(8)에 장착될 때에 계량 캡(3)의 맞물림벽부(22)가 따르게 되는 부분이다. 패임부(11C)는 2개의 패임부(11A)와 패임부(11A)의 한쪽의 측(도 3a에 있어서의 좌측) 사이의 부분과, 그 반대측(도 3a에 있어서의 우측)의 사이의 부분에 2개 형성되어 있다. 패임부(11C)의 정면에서 보는 형상은 축선 둘레의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패임부(11C)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3∼10㎜가 바람직하고, 5∼7㎜가 보다 바람직하다.
외통벽(1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C)의 부분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계량 캡(3)의 회동 방향(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로 이루어지는 제 1 맞물림 볼록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맞물림 볼록부(25)는 그 축선 둘레의 길이(둘레 방향의 길이)가 외통벽(11)의 축선 둘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중심축선(C1)을 중심으로 하는 15°∼20°의 범위 내에 수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계량 캡(3)은, 도 4a∼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통상의 계량통부(18)와, 계량통부(18)의 일측 개구단을 닫는 뚜껑부(19)와, 계량통부(18)의 둘레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평면으로 볼 때 원환상의 플랜지부(20)와, 플랜지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2개의 연장편(21)과, 플랜지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연장편(21)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맞물림벽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계량 캡(3)은 뚜껑이 있는 원통형상이고, 높이 방향의 중앙에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20)의 연장편(21) 및 맞물림벽부(22)보다 외측에는, 플랜지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플랜지부(20)의 내주 가장자리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링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통부(18)는 주출통(17)을 둘러싸도록, 그 하단측의 일부가 노즐 속마개(8)의 통벽부(10)에 삽입된다.
계량통부(18)의 둘레벽에 있어서의 2개의 연장편(21) 사이의 부분에는,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량용의 눈금선과 용량 표시용의 숫자를 구비한 눈금부(24)가 인쇄, 각인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을 도립시킨 상태에서 계량통부(18)의 개구부(18a)로부터 주입된 액체 등의 내용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플랜지부(20)는 계량 캡(3)이 노즐 속마개(8)에 장착될 때에 구경부(9)에 있어서의 노즐 속마개(8)의 통벽부(10) 상단의 개구부에 씌워진다.
연장편(21)은 하단을 향해서 폭이 좁아져 있는 정면에서 볼 때 혀 형태의 박형편이며, 그 하단부(21a)는 정면에서 볼 때 곡선상으로 되어 있다.
연장편(21)은 플랜지부(20)의 축선 둘레에 180° 간격으로, 즉 계량 캡(3)이 구경부(9)에 장착되었을 때에 중심축선(C1)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연장편(21)은 계량 캡(3)의 장착시에, 노즐 속마개(8)의 통벽부(10) 외주면에 있어서의 2개의 패임부(11A)를 각각 따르게 된다.
연장편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둘레 방향의 길이)은 플랜지부의 축선 둘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에 중심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40∼70°의 범위 내에 수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량 캡이 노즐 속마개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플랜지부의 중심축선과 구경부의 중심축선은 일치한다.
또한, 연장편과 맞물림벽부가 이간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연장편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이란 연장편의 외면에 있어서의 연장편의 가장자리 부분과 맞물림벽부의 가장자리 부분의 경계점끼리의 축선 둘레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 예에서는 연장편(21)의 외면에 있어서의 연장편(21)의 둘레 방향의 양측에서의, 연장편(21)의 상단부의 곡선상의 가장자리 부분과 맞물림벽부(22)의 직선상의 가장자리 부분의 경계점끼리의 축선 둘레의 거리를, 연장편(21)의 상단부의 축선 둘레의 폭으로 한다.
연장편이 상하 방향의 길이는 10∼2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편의 상하 방향의 길이란, 플랜지부의 하면으로부터 연장편의 하단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 예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량 캡(3)을 장착해서 연장편(21)의 하단부(21a)를 정면에서 볼 때의 단차벽부(11B)의 저부에 위치 맞춤했을 때에,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단차벽부(11B)로부터 약간 이간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을 회동시킬 때 초기의 회동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연장편(21)의 하단부(21a)는 계량 캡(3)을 장착해서 회동시켰을 때에 단차벽부(11B)에 접촉한다.
연장편의 하단부의 둘레 방향의 위치가 정면에서 볼 때의 단차벽부의 저부의 위치에 위치 맞춤되었을 때에, 연장편의 하단부와 단차벽부가 이간되어 있을 경우 연장편의 하단과 정면에서 볼 때의 단차벽부의 저부의 거리는 0.3∼1.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장편의 하단부를 정면에서 볼 때의 단차벽부의 저부에 위치 맞춤했을 때에 상기 연장편의 하단부가 단차벽부에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예에서는 연장편(21)의 폭은 노즐 속마개(8)의 외통벽(11)의 외주면에 형성된 패임부(11A)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의 장착시에 연장편(21)에 있어서의 하단부(21a)보다 상방의 측가장자리부는 양측의 단차벽부(11B)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맞물림벽부(22)는 정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상하 방향의 길이에 비교해서 축선 둘레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박형편이다.
맞물림벽부(22)는 플랜지부(20)의 축선 둘레에 180° 간격으로, 즉 계량 캡(3)이 구경부(9)에 장착되었을 때에 중심축선(C1)에 대하여 대칭 위치로 되도록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연장편(21)은 어느 것이나, 한쪽의 연장편(21)으로부터 다른쪽의 연장편(21)까지 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연장편(21)과 2개의 맞물림벽부(22)는 일체로 되어 있다.
계량 캡(3)의 장착시에는, 맞물림벽부(22)는 노즐 속마개(8)의 통벽부(10)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2개의 패임부(11C)를 각각 따르게 된다.
맞물림벽부(22)의 하단은 연장편(21)의 하단보다 플랜지부(20)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즉, 맞물림벽부(22)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연장편(21)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을 도립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의 계량을 행할 때에 눈금부(24)가 시인하기 쉬워진다.
맞물림벽부(22)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3∼10㎜가 바람직하고, 5∼7㎜가 보다 바람직하다. 맞물림벽부(22)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하한값 이상이면, 후술의 제 2 맞물림 볼록부(26)의 형성이 용이하다. 맞물림벽부(22)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한값 이하이면, 내용물의 계량시에 있어서의 눈금부(24)의 시인성이 보다 양호해진다.
맞물림벽부(22)의 내면에는 계량 캡(3)의 장착시에 외통벽(11)의 제 1 맞물림 볼록부(25)에 맞물리는 제 2 맞물림 볼록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맞물림 볼록부(26)는 맞물림벽부(22)의 내면에 있어서 계량 캡(3)을 구경부(9)에 장착했을 때에 외통벽(11)의 제 1 맞물림 볼록부(25)의 하측에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맞물림 볼록부(25) 및 제 2 맞물림 볼록부(26)에 의해 제 1 맞물림부(27)가 형성된다. 계량 캡(3)의 장착시에 제 1 맞물림부(27)의 제 1 맞물림 볼록부(25)와 제 2 맞물림 볼록부(26)가 맞물림으로써 구경부(9)에 대한 계량 캡(3)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착한 계량 캡(3)이 예기하지 않게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계량용기(1)에서는 맞물림벽부(22)에 탄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의 장착시에 제 1 맞물림부(27)의 제 1 맞물림 볼록부(25)와 제 2 맞물림 볼록부(26)를 용이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제조 방법)
용기 본체(2)의 저벽(4), 측벽(5), 어깨부(6) 및 돌출통부(7)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기 본체(2)의 노즐 속마개(8)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계량 캡(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 및 계량 캡(3)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방법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작용 효과)
이하, 계량용기(1)에 있어서의 계량 캡(3)의 분리 조작, 계량 조작 및 부착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 전의 계량용기(1)에 있어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 내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주출통(17)을 상향으로 해서 노즐 속마개(8)가 돌출통부(7)에 장착된다. 돌출통부(7)의 개구부는 노즐 속마개(8)의 시일 립부(15)에 의해 액밀하게 폐색되기 때문에, 돌출통부(7)의 나사부(7a)와 노즐 속마개(8)의 나사부(11a)의 나사결합 부분을 통하는 액누설이 방지된다.
구경부(9)의 노즐 속마개(8)에 계량 캡(3)이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량 캡(3)의 2개의 연장편(21)이 통벽부(10)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A)의 부분을 따르게 되어 있다. 또한, 계량 캡(3)의 2개의 맞물림벽부(22)가 통벽부(10)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C)의 부분을 따르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연장편(21) 및 맞물림벽부(22)의 각각에 의해 노즐 속마개(8)의 통벽부(10)가 끼워지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구경부(9)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맞물림 볼록부(25)의 하면에 계량 캡(3)에 형성된 제 2 맞물림 볼록부(26)가 맞물리고 있다. 이것에 의해, 구경부(9)에 대한 계량 캡(3)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계량 캡(3)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우선 계량 캡(3)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계량 캡(3)을 평면으로 볼 때에 축선 둘레로 반시계 회전(좌회전)으로 약간 회동시킨다. 이 때, 제 1 맞물림부(27)에 있어서 제 2 맞물림 볼록부(26)가 제 1 맞물림 볼록부(25)의 하면을 슬라이딩하고, 계량 캡(3)의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노즐 속마개(8)의 단차벽부(11B)에 접촉한다. 또한 계량 캡(3)을 회동시키면 제 1 맞물림 볼록부(25)와 제 2 맞물림 볼록부(26)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고, 또한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단차벽부(11B)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연장편(21)을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도 5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편(21)이 단차벽부(11B)를 따라 밀려 올라가고, 그 결과로서 계량 캡(3)이 회동하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계량 캡(3)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계량용기(1)에서는 계량 캡(3)을 평면으로 볼 때에 축선 둘레로 시계회전(우회전)으로 회동시켜도, 마찬가지로 계량 캡(3)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 캡(3)을 도립시켜 노즐 속마개(8)의 주출통(17)의 선단을 하향으로 하도록 용기 본체(2)를 기울여서 용기 본체(2) 내의 내용물을 주출구(16b)로부터 주출통(17)을 통해서 계량통부(18)에 주입한다. 계량 캡(3)의 계량통부(18)에 대한 내용물의 주입량은 눈금부(24)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계량 조작을 행할 때의 계량 캡(3)에서는 맞물림벽부(22)의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연장편(21, 21)의 사이로부터 눈금부(24)가 시인하기 쉽고, 계량통부(18)에 수용한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계량을 끝내서 내용물을 사용한 후는, 통벽부(10)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패임부(11A)의 부분에 연장편(21)의 위치를 맞추면서, 도 6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량통부(18)를 노즐 속마개(8)의 통벽부(10)에 삽입해서 장착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 있어서는, 연장편(21)의 위치를 노즐 속마개(8)에 있어서의 패임부(11A)의 위치에 맞추도록 계량 캡(3)을 구경부(9)의 상방으로부터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나사부를 개재하는 계량 캡에 비교해서 장착이 휠씬 용이하다. 또한, 장착한 계량 캡(3)을 회동시킴으로써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구경부(9)의 단차벽부(11B)를 슬라이딩해서 밀려 올라가기 때문에 계량 캡(3)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나사부를 개재하는 계량 캡은 분리할 때에 몇회전이나 회동시킬 필요가 있는 것에 대해서, 계량용기(1)에서는 계량 캡(3)을 축선 둘레로 수분의 1회전 회동시키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서는 계량 캡의 맞물림벽부의 내면과 구경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맞물림부의 작용에 의해서, 구경부에 대한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에 수용된 내용물의 누설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서는 연장편의 사이에 형성되는 맞물림벽부 상하 방향의 길이가 연장편의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계량통부의 시인성에도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상기한 계량용기(1)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경부의 외주면과 연장편의 내면에 구경부에 대한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구경부에 장착한 계량 캡이 예기하지 않게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단차벽부보다 상측 부분에, 단차벽부를 따라 연장되는 안내 볼록조부가 형성되고, 또한 연장편의 내면에 계량 캡이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고, 계량 캡이 구경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 또는 하면을 슬라이딩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계량용기라도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도 7a, 도 7b 및 도 8∼9에 예시한 계량용기(1A)라도 된다. 도 7a, 도 7b 및 도 8∼9에 있어서의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4a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계량용기(1A)는 노즐 속마개(8) 대신에 노즐 속마개(8A)를 갖는 구경부(9A)를 구비하고, 계량 캡(3) 대신에 계량 캡(3A)을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계량용기(1)와 같다. 노즐 속마개(8A)는 외통벽(11)의 외주면의 패임부(11A)에 제 3 맞물림 볼록부(28)와 안내 볼록조부(29)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노즐 속마개(8)와 같다.
제 3 맞물림 볼록부(28)는 패임부(11A)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이며 외통벽(11)의 상단 근처에 형성된 계량 캡(3A)의 회동 방향(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로 이루어진다. 제 3 맞물림 볼록부(28)는 외통벽(11)의 축선 둘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중심축선(C1)을 중심으로 하는 15∼2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는 정면에서 볼 때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차벽부(11B)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단까지의 길이가, 해당 위치로부터 우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장착한 계량 캡(3A)을 평면으로 볼 때에 축선 둘레로 반시계 회전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제 3 맞물림 볼록부(28)와 후술의 제 4 맞물림 볼록부(30)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쉽고, 시계 회전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제 3 맞물림 볼록부(28)와 후술의 제 4 맞물림 볼록부(30)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어렵게 된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A)을 분리할 때의 계량 캡(3A)의 회동 방향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 3 맞물림 볼록부(28)는 정면에서 볼 때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차벽부(11B)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단까지의 길이와, 해당 위치로부터 우단까지의 길이를 같게 해서, 축선 둘레의 양 방향에 대한 회동하기 쉬움이 같아지도록 하여도 좋다.
안내 볼록조부(29)는 패임부(11A)에 있어서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보다 하측이고, 또한 단차벽부(11B)보다 상측 부분에, 단차벽부(11B)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안내 볼록조부(2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계량 캡(3A)의 회동 방향(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 볼록조부(29)는 거의 계량 캡(3A)의 회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조로 이루어지는 제 1 안내부(29a)와, 제 1 안내부(29a)의 우측 단부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제 2 안내부(29b)를 구비하고, 전체로서 하방으로 볼록한 대략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안내 볼록조부(29)는 단차벽부(11B)로부터 이간하고, 정면에서 볼 때 형상이 단차벽부(11B)의 정면에서 볼 때 형상과 서로 닮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안내 볼록조부(29)와 단차벽부(11B)의 거리는, 예를 들면 2∼5㎜로 할 수 있다.
안내 볼록조부(29)는 그 축선 둘레의 길이(둘레 방향의 길이)가 외통벽(11)의 축선 둘레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중심축선(C1)을 중심으로 하는 15°∼20°의 범위 내에 수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안내 볼록조부(29)에 있어서의 제 1 안내부(29a)의 축선 둘레의 길이(둘레 방향의 길이)는 제 3 맞물림 볼록부(28)의 축선 둘레의 길이(둘레 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계량 캡(3A)의 회동 방향(둘레 방향)에 대한, 안내 볼록조부(29)의 제 2 안내부(29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회동 방향으로 경사진 부분의 경사각은, 예를 들면 40∼70°로 된다.
계량 캡(3A)은 연장편(21)의 내면에, 계량 캡(3A)의 장착시에 외통벽(11)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에 맞물리는 제 4 맞물림 볼록부(30)와, 외통벽(11)의 안내 볼록조부(29)의 하면에 접하는 안내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계량 캡(3)과 같다.
제 4 맞물림 볼록부(30)는 연장편(21)의 내면에 있어서 계량 캡(3A)을 구경부(9A)에 장착했을 때에, 외통벽(11)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의 하측에 맞물리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3 맞물림 볼록부(28) 및 제 4 맞물림 볼록부(30)에 의해 제 2 맞물림부(32)가 형성된다. 계량 캡(3A)의 장착시에 제 2 맞물림부(32)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와 제 4 맞물림 볼록부(30)가 맞물림으로써 구경부(9A)에 대한 계량 캡(3A)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이 보다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장착한 계량 캡(3A)이 예기하지 않게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안내 돌기(31)는 연장편(21)의 내면의 제 4 맞물림 볼록부(30)의 하방에 있어서, 계량 캡(3A)의 구경부(9A)에 대한 장착시에 안내 볼록조부(29)의 하면에 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계량용기(1A)에서는 연장편(21)에 탄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3A)의 장착시에 제 2 맞물림부(32)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와 제 4 맞물림 볼록부(30)를 용이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계량용기(1A)에 있어서 구경부(9A)에 계량 캡(3A)을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맞물림부(27)의 제 1 맞물림 볼록부(25)와 제 2 맞물림 볼록부(26)의 맞물림에 추가해서, 제 2 맞물림부(32)의 제 3 맞물림 볼록부(28)와 제 4 맞물림 볼록부(30)가 맞물려 있다. 또한, 안내 돌기(31)가 안내 볼록조부(29)의 하면에서 록킹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계량용기(1A)에서는 계량용기(1)에 비하여 구경부(9A)에 대한 계량 캡(3A)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이 더욱 규제되기 때문에, 계량 캡(3A)이 보다 강하게 빠짐방지된다.
구경부(9A)에 장착되어 있는 계량 캡(3A)을 평면으로 볼 때에 축선 둘레로 반시계 회전으로 회동시켰을 때에는, 제 2 맞물림 볼록부(26)가 제 1 맞물림 볼록부(25)의 하면을 슬라이딩함과 아울러 제 4 맞물림 볼록부(30)가 제 3 맞물림 볼록부(28)의 하면을 슬라이딩하고, 또한 안내 돌기(31)가 안내 볼록조부(29)의 하면을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의해, 구경부(9A)에 대하여 계량 캡(3A)이 상대적으로 상방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면서 계량 캡(3A)이 안정되게 축선 둘레로 회동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단차벽부(11B)에 접촉한다. 또한 계량 캡(3A)을 회동시키면 제 1 맞물림 볼록부(25) 및 제 2 맞물림 볼록부(26)의 맞물림과, 제 3 맞물림 볼록부(28) 및 제 4 맞물림 볼록부(30)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단차벽부(11B)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연장편(21)을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동시에 안내 돌기(31)가 안내 볼록조부(29)의 하면을 슬라이딩하므로 연장편(21)의 하단부(21a)가 안정되게 단차벽부(11B)를 슬라이딩하고, 계량 캡(3A)을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안정되게 작용한다. 이것들의 결과로서, 계량 캡(3A)은 회동하면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계량 캡(3A)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계량용기(1A)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계량은 계량용기(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후의 계량 캡(3A)의 구경부(9A)에 대한 장착도 계량용기(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도 11에 예시한 노즐 속마개(8B)를 갖는 구경부를 구비하는 계량용기라도 된다. 노즐 속마개(8B)는 안내 볼록조부(29) 대신에 안내 볼록조부(29A)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노즐 속마개(8A)와 같다.
안내 볼록조부(29A)는 안내 볼록조부(29)에 있어서의 제 1 안내부(29a)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계량 캡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진 제 3 안내부(29c)를 더 갖는 것 이외에는 안내 볼록조부(29)와 같다.
노즐 속마개(8B)에 있어서는 제 3 맞물림 볼록부(28)에 있어서의 정면에서 볼 때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단차벽부(11B)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단까지의 길이와, 해당 위치로부터 우단까지의 길이를 같게 해서, 축선 둘레의 양 방향에 대한 회동하기 쉬움이 같아지도록 하여도 좋다.
제 2 맞물림부와, 안내 볼록조부 및 안내 돌기의 양쪽을 형성할 경우,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는 제 2 맞물림부의 제 3 맞물림 볼록부와 안내 볼록조부는 어느 것이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연장편의 내면에 있어서는 제 2 맞물림부의 제 4 맞물림 볼록부와 안내 돌기는 어느 것이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 2 맞물림부와 안내 볼록조부 및 안내 돌기는 어느 한쪽만을 형성해도 좋다.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서는 제 1 맞물림부를, 제 1 맞물림 볼록부와 제 2 맞물림 볼록부 대신에,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림 볼록부에 의한 끼워맞춤 구조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맞물림부를 형성할 경우 제 3 맞물림 볼록부와 제 4 맞물림 볼록부 대신에, 맞물림 오목부와 맞물림 볼록부에 의한 끼워맞춤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 있어서는 계량 캡을 구경부에 장착했을 때에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에 안내 돌기가 접하고, 계량 캡을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안내 돌기가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을 슬라이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계량 캡을 회동시켰을 때에 계량 캡이 보다 밀려 올라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계량 캡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 있어서는 연장편과 맞물림벽부를 각각 이간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계량용기는 도 12에 예시한 노즐 속마개(8C)를 갖는 구경부와 계량 캡(3B)을 구비하는 계량용기이어도 좋다.
노즐 속마개(8C)는 패임부(11C) 대신에, 외통벽(11)의 축선 둘레에 있어서의 2개의 패임부(11A)의 사이의 중앙 부분에, 정면에서 볼 때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패임부(11D)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노즐 속마개(8)와 같다. 패임부(11D)에는 제 1 맞물림 볼록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 캡(3B)은 맞물림벽부(22) 대신에, 플랜지부(2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연장편(21)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연장편(21)과 축선 둘레로 이간하도록 아래로 늘어진, 정면에서 볼 때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맞물림벽부(22A)를 구비하는 것 이외에는 계량 캡(3)과 같다. 맞물림벽부(22A)에 있어서의 내면에는 제 1 맞물림 볼록부(25)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 볼록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계량용기에서는 패임부(11D)에 있어서의 축선 둘레의 양측의 단차 부분(11b)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패임부(11D)의 축선 둘레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축선 둘레에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맞물림벽부(22A)에 있어서의 축선 둘레의 양측의 가장자리부는 패임부(11D)의 단차 부분(11b)과 마찬가지로,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축선 둘레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축선 둘레에 외측으로 경사져 있다. 패임부(11D)와 맞물림벽부(22A)가 이러한 형상임으로써 계량 캡(3B)을 축선 둘레로 회동시키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 있어서는 연장편의 수는 2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맞물림벽부의 수는 2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계량용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예와 같이, 연장편이 계량 캡이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구경부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서로 이간해서 2개 형성되고, 또한 맞물림벽부가 계량 캡의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연장편의 사이의 중앙에, 구경부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서로 이간해서 2개 형성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1, 1A : 계량용기 2 : 용기 본체
3, 3A, 3B : 계량 캡 7 : 돌출통부
8, 8A∼8C : 노즐 속마개 9, 9A : 구경부
10 : 통벽부 11A, 11C, 11D : 패임부
11B : 단차벽부 18 : 계량통부
20 : 플랜지부 21 : 연장편
21a : 하단부 22 : 맞물림벽부
23 : 링부 25 : 제 1 맞물림 볼록부
26 : 제 2 맞물림 볼록부 27 : 제 1 맞물림부
28 : 제 3 맞물림 볼록부 29 : 안내 볼록조부
30 : 제 4 맞물림 볼록부 31 : 안내 돌기
32 : 제 2 맞물림부

Claims (4)

  1. 구경부를 갖고, 액상 또는 분말상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구경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계량 캡을 구비하는 계량용기로서,
    상기 계량 캡은 상기 구경부 내에 일부 삽입되는 계량통부와, 상기 계량통부의 일측 개구단을 닫는 뚜껑부와, 상기 계량통부의 둘레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구경부의 상단의 개구부에 씌워지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아래로 늘어지고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을 따르게 되는 연장편과,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상기 연장편이 형성된 부분 이외의 부분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지고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을 따르게 되는 맞물림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편은 하단을 향해서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상기 맞물림벽부의 하단은 상기 연장편의 하단보다 상기 플랜지부 근처에 위치하고,
    상기 계량 캡은 상기 구경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구경부의 축선 둘레의 적어도 일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단 근처의 부분과 상기 맞물림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구경부에 대한 상기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 1 맞물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계량 캡을 상기 구경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회동시켰을 때에 상기 연장편의 하단부가 접촉하는 단차벽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차벽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계량 캡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계량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과 상기 연장편의 내면에, 상기 구경부에 대한 상기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 2 맞물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계량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상기 단차벽부보다 상측 부분에, 상기 단차벽부를 따라서 연장되는 안내 볼록조부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장편의 내면에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고,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동되었을 때에 상기 안내 볼록조부의 상면 또는 하면을 슬라이딩하는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계량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은 상기 계량 캡이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구경부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서로 이간해서 2개 형성되고, 또한 상기 맞물림벽부는 상기 계량 캡의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상기 연장편 사이의 중앙에 상기 구경부의 축선에 대하여 대칭 위치가 되도록 서로 이간해서 2개 형성되어 있는 계량용기.
KR1020167036305A 2014-11-28 2015-11-20 계량용기 KR102569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41177 2014-11-28
JP2014241177A JP6497801B2 (ja) 2014-11-28 2014-11-28 計量容器
PCT/JP2015/082733 WO2016084743A1 (ja) 2014-11-28 2015-11-20 計量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450A true KR20170092450A (ko) 2017-08-11
KR102569686B1 KR102569686B1 (ko) 2023-08-23

Family

ID=5607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305A KR102569686B1 (ko) 2014-11-28 2015-11-20 계량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97801B2 (ko)
KR (1) KR102569686B1 (ko)
CN (1) CN107000902B (ko)
WO (1) WO2016084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4986B2 (ja) * 2018-03-02 2022-01-14 ライオン株式会社 容器
MX2021006098A (es) * 2018-12-03 2021-07-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Envase, boquilla para envase y conjunto de envase-boquilla.
JP7222831B2 (ja) * 2019-06-28 2023-02-1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レフィル容器
JP7471753B2 (ja) 2020-08-27 2024-04-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566426B1 (ko) * 2023-02-21 2023-08-17 주식회사 엘코스 리필용기 교체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0651A (ko) 1973-03-19 1974-11-18
JPS5574661A (en) 1978-12-01 1980-06-05 Toshiba Corp Unbalanced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for hall element
JPH07285565A (ja) * 1985-12-12 1995-10-31 Tri Tech Syst Internatl Inc 捩り切り証拠型キャップ
JPH10305854A (ja) 1997-05-02 1998-11-17 Kao Corp 容 器
JP2002012242A (ja) * 2000-06-30 2002-01-15 Yoshino Kogyosho Co Ltd 計量器付き容器
KR200398963Y1 (ko) * 2005-06-23 2005-10-18 여동수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용기
JP2009512490A (ja) * 2005-10-26 2009-03-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液体用散布器
JP2010023909A (ja) * 2008-07-23 2010-02-04 Shibata Gosei:Kk 収納容器
KR20120082358A (ko) * 2011-01-13 2012-07-2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계량 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60128A (en) * 1968-12-16 1972-01-12 United Glass Ltd Containers and closures
DE2130098A1 (de) * 1971-06-18 1972-12-28 Robert Fincke Fa Flasche mit Steckkappenverschluss
JPS5040666U (ko) * 1973-07-31 1975-04-25
JPH0430112Y2 (ko) * 1987-10-01 1992-07-21
FR2760724B1 (fr) * 1997-03-14 1999-04-30 Oreal Recipient de type a capsule montee par claquage
JP5683235B2 (ja) * 2009-12-04 2015-03-11 花王株式会社 注出容器
CN202080532U (zh) * 2011-05-12 2011-12-21 浙江正点实业有限公司 洗衣液灌装瓶
JP5755129B2 (ja) * 2011-12-13 2015-07-29 ライオン株式会社 計量キャップ
KR102202306B1 (ko) * 2013-10-02 2021-01-1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계량 용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120651A (ko) 1973-03-19 1974-11-18
JPS5574661A (en) 1978-12-01 1980-06-05 Toshiba Corp Unbalanced voltage compensation circuit for hall element
JPH07285565A (ja) * 1985-12-12 1995-10-31 Tri Tech Syst Internatl Inc 捩り切り証拠型キャップ
JPH10305854A (ja) 1997-05-02 1998-11-17 Kao Corp 容 器
JP2002012242A (ja) * 2000-06-30 2002-01-15 Yoshino Kogyosho Co Ltd 計量器付き容器
KR200398963Y1 (ko) * 2005-06-23 2005-10-18 여동수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용기
JP2009512490A (ja) * 2005-10-26 2009-03-2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液体用散布器
JP2010023909A (ja) * 2008-07-23 2010-02-04 Shibata Gosei:Kk 収納容器
KR20120082358A (ko) * 2011-01-13 2012-07-23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계량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97801B2 (ja) 2019-04-10
KR102569686B1 (ko) 2023-08-23
CN107000902A (zh) 2017-08-01
WO2016084743A1 (ja) 2016-06-02
JP2016101946A (ja) 2016-06-02
CN107000902B (zh)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92450A (ko) 계량용기
US11794956B2 (en) Closure
US9919848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packaging device
TW201433515A (zh) 再塡充容器用栓體
JP6934339B2 (ja) 計量キャップ
KR20180103813A (ko) 용기
US4019646A (en) Cap with inside stopper for receptacle
JP6249898B2 (ja) 計量容器
JP6175509B2 (ja) 計量容器
JP2008162656A (ja) キャップ
JP2016101945A (ja) 容器
JP2011235956A (ja) パウチ用注出口栓およびこれを用いたパウチ
JP6465483B2 (ja) 容器
JP2017154749A (ja) 液体計量容器
JP6611332B2 (ja) 計量容器
JP5193763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US20230278852A1 (en) Adapter
JP6994986B2 (ja) 容器
JP6979897B2 (ja) 容器
JP6722612B2 (ja) 容器
JP2018095260A (ja) キャップ
JP6373118B2 (ja) 計量容器
JP2023151504A (ja) 計量容器
JP6501656B2 (ja) 計量キャップ
JP2022026397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