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2306B1 - 계량 용기 - Google Patents

계량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2306B1
KR102202306B1 KR1020167003530A KR20167003530A KR102202306B1 KR 102202306 B1 KR102202306 B1 KR 102202306B1 KR 1020167003530 A KR1020167003530 A KR 1020167003530A KR 20167003530 A KR20167003530 A KR 20167003530A KR 102202306 B1 KR102202306 B1 KR 10220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asuring
nozzle
containe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070A (ko
Inventor
켄이치로 마에다
마사히코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4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9/00Calibrated capacity measures for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e.g. measuring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사죄임 감합 타입의 계량 캡보다 착탈이 용이한 계량 캡을 구비한 구조의 계량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용기 본체(1)와 노즐 중전(203)과 계량 캡(205)을 구비하고, 계량 캡(205)은 하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져 있는 연출편(25)을 가지며, 노즐 중전(203)에 장착한 상태에서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방으로 회동할 수 있고,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의 외면에는, 계량 캡(205)을 장착하여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킨 때에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당접하는 단차벽부(11C)가 형성되고, 단차벽부(11C)가 통벽부(10)의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고, 또한 둘레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계량 용기(C)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량 용기{MEASURING CONTAINER}
본 발명은, 계량 캡을 구비한 계량(計量)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10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3-207607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유연제, 액체 세제 등의 용기 본체에 채용되고 있는 계량 캡은, 일반적으로 계량 기능을 구비하고, 계량한 내용물을 외측에서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캡 주벽(周壁)을 투명성이 높은 부재로 구성하고, 소망하는 계량 기능을 얻기 위해 캡 주벽에 계량 눈금을 인쇄나 성형에 의한 릴리프로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이런 종류의 용기 본체에는, 내용물의 주출량(注出量)을 조정하거나, 리필 파우치로부터의 내용물을 보충하기 위한 노즐 중전(中栓)을 감합(嵌合)한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내용물이 액체인 경우, 노즐 중전과 계량 캡의 착탈 구조는, 수송이나 핸들링에 있어서 액누설이 생기기 어렵도록 나사 감합 구조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체를 수용물로 하는 용기의 계량 캡에 있어서, 구경부(口頸部)에 계량 캡을 착탈 자유롭게 감합한 구조를 구비하고, 감합 구조 내측의 계량통의 일부에, 계량선을 인자(印字)한 구조를 채용한 계량 캡이 이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액체를 수용물로 하는 중공 용기의 구경부에 주출통을 갖는 주출 중전을 장착함과 함께, 이 주출 중전에 나사결합되는 바닥이 깊은 계량 캡 겸용의 덮개체를 구비한 계량기 부착 용기가 이하의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141949호 공보 일본 특개2002-12242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계량 캡의 기본 구조로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심형(底深型)의 계량 통부(筒部)(100)와 이 계량 통부(100)의 일방의 개구부를 닫는 덮개부(101)와 이 덮개부(101)로부터 계량 통부(100)의 외측에 계량 통부(10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연출 형성된 플랜지 통부(102)로 이루어지는 계량 캡(103)이 알려져 있다. 노즐 중전을 구비한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상기 계량 캡(103)을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여 둠에 의해, 계량 캡(103)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계량하고, 필요량만큼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계량 캡(103)에서는, 계량 통부(100)의 주벽에 계량 눈금(105)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계량 통부(100)에 수용한 내용물의 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플랜지 통부(102)의 내주측에는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106)가 형성되어 있는 관계도 있어서, 투명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여도,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바라본 경우, 나사부(106)가 방해가 되어 계량 눈금(105)의 일부가 숨겨져서 보이기 어렵게 되고,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사부(106)을 이용하여 계량 캡(103)을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나사죄임에 의해 감합하는 구조에서는, 세제를 취급할 때에 손가락이 수분으로 오염되어 있거나, 세제가 부착하여 있으면, 손가락이 미끄러지기 쉬워져서, 나사죄임 고정한 계량 캡(103)을 용기 본체의 구경부로부터 벗겨내기 어려운 케이스가 있음과 함께,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사부를 통한 나사결합 구조보다도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장착하기 쉽고, 또한, 벗겨냄이 용이한 구조의 계량 캡을 구비한 계량 용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실시 양태는, 구경부(口頸部)를 가지며, 액상 또는 분상(粉狀)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구경부에 장착된 노즐 중전(中栓)과, 이 노즐 중전에 착탈 자유롭게 마련된 계량 캡을 구비한 계량 용기로서, 상기 노즐 중전은,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는 통벽부(筒壁部)를 가지며, 이 통벽부의 내측에 주출구(注出口)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량 캡은, 상기 노즐 중전의 통벽부에 일부 삽입되는 계량 통부와, 이 계량 통부의 일측(一側) 개구단(開口端)을 닫는 덮개부와, 상기 계량 통부의 주면(周面)부터 바깥쪽으로 내밀어지고, 상기 노즐 중전의 통벽부 상단의 개구부에 씌워지는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의 연부(緣部)로부터 늘어뜨려(垂下)지고, 상기 계량 캡의 장착시에 상기 통벽부의 외면에 따르게 되는 연출편(延出片)을 구비하고, 상기 연출편은, 하단(下端)을 향하여 폭이 좁아져 있고, 상기 계량 캡은 상기 노즐 중전에 장착한 상태에서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방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통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계량 캡을 장착하여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킨 때에 상기 연출편의 하단부가 당접하는 단차벽부(段差壁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벽부가 상기 통벽부의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고, 또한 둘레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계량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양태에서는, 상기 통벽부의 외면과 상기 연출편의 내면에, 상기 노즐 중전에 대한 상기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1의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벽부의 외면과 상기 연출편의 내면에, 상기 계량 캡의 둘레방향으로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2의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벽부의 외면 및 상기 연출편의 내면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는 상기 제2의 계합부의 단연부로부터 상기 단차벽부에 따른 연장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출편에 탄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출편이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방향 대칭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량 용기에서는, 나사부를 통한 나사결합 구조보다도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장착된 노즐 중전에 계량 캡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계량 캡의 벗겨냄도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계량 용기의 상부측 전체 구조와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계량 용기의 계량 캡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측면도, 도 4(c)는 도립도(倒立圖).
도 5는 도 1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으로부터 계량 캡을 벗겨내는 양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에 계량 캡을 장착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의 상부측 전체 구조와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측면도.
도 9는 도 7의 계량 용기의 계량 캡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9(a)는 정면도, 도 9(b)는 측면도, 도 9(c)는 도립도.
도 10은 도 7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으로부터 계량 캡을 벗겨내는 양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7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에 계량 캡을 장착하는 양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계량 용기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계량 캡의 종래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2(a)는 도립(倒立) 상태의 계량 캡의 종단면도, 도 12(b)는 도립 상태의 계량 캡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의 상부측 전체 구조와 단면 구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3(a)는 사시도, 도 13(b)는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계량 용기의 노즐 중전을 도시하는 것으로, 도 14(a)는 정면도, 도 14(b)는 측면도.
도 15는 노즐 중전과 계량 캡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6은 노즐 중전과 계량 캡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노즐 중전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18은 노즐 중전과 계량 캡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계량 용기(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경부(2)를 갖는 수지제의 중공의 용기 본체(1)와,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 장착된 노즐 중전(203)과, 노즐 중전(203)에 착탈 자유롭게 마련된 계량 캡(205)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와 노즐 중전(203)은 모두 개략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노즐 중전(203)을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그러한 중심축선(도 2(b)의 중심축선(C1))은 일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용기 본체(1)는, 유연제, 액체 세제 등의 액체 또는 분말상 세제나 분말상 유연제 등의 분체를 수용 가능한 보틀형의 중공 용기이고, 개략 사각형상의 저벽(6)과 측벽(7)과 견부(肩部)(8)와 구경부(2)로 구성되어 있다.
구경부(2)는,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나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중전(203)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원통형상의 구경부(2)에 나사결합되는 통벽부(10)를 갖고 있다. 통벽부(10)는, 내주면에서의 하부에 나사부(11a)를 마련한 외통벽(11)과, 외통벽(11)의 내주측에 접속벽(12)을 통하여 하방으로 연설된 내통벽(13)을 구비하고 있다.
내통벽(13)은 외통벽(11)의 하단보다 약간 하방까지 달하도록 외통벽(11)과 평행하게 연출되어 있다. 내통벽(13)의 하단에는 경사면(16a)을 갖는 저벽부(16)가 마련되어 있고, 저벽부(16)에는 주출구(16b)가 편재(遍在)하여 형성되어 있다. 저벽부(16)에서의 주출구(16b)의 주연부에는 주출통(17)이 입설되어 있다.
저벽부(6)에서 주출구(16b)가 편재하고 있기 때문에, 주출구(16b)의 주위에 마련된 주출통(17)도 내통벽(13) 내에서 편재되어 있다. 주출통(17)에는, 그 측벽면의 중심축선(C1)측에 종방향으로 슬릿형상의 개구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출통(17)은, 상단부가 중심축선(C1)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경사한 면(17a)이 형성되도록 경사 방향으로 절제(切除)되어 있다.
노즐 중전(203)은, 내통벽(13)을 구경부(2)의 내측에 삽입하고, 외통벽(11)의 나사부(11a)가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의 나사부(2a)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노즐 중전(203)에는, 외통벽(11)과 내통벽(13)과의 사이의 접속벽(12)의 하면부터 늘어뜨려진 통형상의 실 립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노즐 중전(203)을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 나사결합에 의해 장착한 상태에서, 실 립부(15)가 구경부(2)의 개구부에 빽빽(密)하게 삽입됨으로써, 구경부(2)의 개구부가 액밀(液密)로 폐색된다.
도 2,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통벽(11)의 외면에는, 외통벽(11)의 원주방향으로 180°간격으로, 즉 외통벽(11)의 둘레방향 대칭 위치에, 정면시(正面視) 설형(舌型)으로 내주면을 향하여 패여진 패임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외통벽(11)의 외면에서의 패임부(窪部)(11A)의 연(緣)부분에는 단차벽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벽부(11C)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시한 경우에 사인 커브의 일부를 절취(切取)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저부의 양측에 있어서 통벽부(10)의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고, 또한 둘레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다.
이 예의 패임부(11A)에서는, 단차벽부(11C)의 저부가 외통벽(11)의 하단 부근에 위치하고, 패임부(11A)의 상단부의 둘레방향의 폭이 외통벽(11)의 전둘레의 1/6 정도로 되어 있다.
단차벽부(11C)의 둘레방향, 즉 중심축전(C1)에 대해 직교한 방향에 대한 경사각도(θ)(도 3)는, 40∼70°가 바람직하고, 45∼6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도가 하한치 이상이면, 계량 캡(205)을 보다 안정하게 노즐 중전(203)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가 상한치 이하면, 계량 캡(205)의 벗겨냄이 보다 용이해진다.
계량 캡(205)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통부(22)와, 계량 통부(22)의 일측 개구단을 닫는 덮개부(21)와, 계량 통부(22)의 주면(周面)부터 바깥쪽으로 내밀어진 플랜지부(23)와, 플랜지부(23)의 연부로부터 늘어뜨려진 2개의 연출편(延出片)(25)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계량 캡(205)은, 유개(有蓋) 원통형상이며, 높이 방향의 중앙에 바깥쪽으로 내밀어진 플랜지부를 갖고 있다. 플랜지부(23)의 연출편(25)보다 외측에는, 플랜지부의 연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플랜지부(23)의 내주 연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링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 통부(22)는, 주출통(17)을 둘러싸도록, 그 하단측의 일부가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에 삽입된다.
계량 통부(22)의 주벽에서의 2개의 연출편(25)의 사이의 부분에는,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용의 눈금선과 용량 표시용의 숫자를 구비한 눈금부(32)가 인쇄, 각인(刻印) 등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량 캡(205)을 도립(倒立)시킨 상태에서, 계량 통부(22)의 개구부(22a)로부터 주입된 액체 등의 내용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플랜지부(23)는, 계량 캡(205)이 노즐 중전(203)에 장착될 때에,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 상단의 개구부에 씌워진다.
연출편(25)은, 하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져 있는 정면시 설형의 박형편이고, 그 하단부(25a)는 정면시 곡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출편(25)은, 플랜지부(23)의 둘레에 180° 간격으로, 즉 플랜지부(23)의 둘레방향 대칭 위치에 2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연출편(25)은, 계량 캡(205)의 장착시에,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의 외면에서의 2개의 패임부(11A)에 각각 따르게 되다.
이 예에서는,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205)을 장착하여 연출편(25)의 하단부(25a)를 단차벽부(11C)의 저부에 위치맞춤한 때에,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로부터 약간의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량 캡(205)을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때, 초기의 회동이 보다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연출편(25)의 하단부(25a)는, 계량 캡(205)을 장착하여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킨 때에 단차벽부(11C)에 당접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경 양태로서, 연출편의 하단부를 단차벽부의 저부에 위치맞춤한 때에 그 연출편의 하단부가 단차벽부에 당접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 예에서는, 연출편(25)의 폭은, 노즐 중전(203)의 외통벽(11)의 외면에 형성된 패임부(11A)의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량 캡(205)의 장착시에, 연출편(25)에서의 하단부(25a)보다도 상방의 측연부는, 양측의 단차벽부(11C)로부터 이간하고 있다.
(제조 방법)
용기 본체(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블로우 성형 등에 의해 일체로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노즐 중전(203)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계량 캡(205)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 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용기 본체(1), 노즐 중전(203), 계량 캡(205)의 제조 방법은, 상기한 방법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작용 기구(機序))
이하, 계량 용기(C)에서의 노즐 중전(203)과 계량 캡(205)이 부착 조작, 벗겨냄조작, 및 계량(計量)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계량 용기(C)에서는, 용기 본체(1) 내에 내용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출통(17)을 위를 향하게 하여 노즐 중전(203)의 내통벽(13)이 구경부(2)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통벽(11)의 나사부(11a)가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의 나사부(2a)에 나사결합되어, 노즐 중전(203)이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 장착되어 있다.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의 개구부는, 노즐 중전(203)의 실 립부(15)에 의해 액밀로 폐색되기 때문에, 구경부(2)의 나사부(2a)와 노즐 중전(203)의 나사부(11a)의 나사결합 부분을 통하는 액누설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중전(203)에 계량 캡(205)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계량 캡(205)의 2개의 연출편(25)이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의 2개의 패임부(11A)에 각각 위치하고, 2개의 연출편(25)에 의해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가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계량 캡(205)을 벗겨낼 때에는, 우선 계량 캡(205)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쥐고, 계량 캡(205)을 둘레방향으로 좌회전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205)의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노즐 중전(203)의 단차벽부(11C)에 당접하고, 다시 단차벽부(11C)를 활주함으로써, 연출편(25)을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도 5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출편(25)이 단차벽부(11C)에 따라 밀려올라가, 그 결과로서 계량 캡(205)이 회동하면서 경사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계량 캡(205)을 벗겨낼 수 있다.
계량 용기(C)에서는, 계량 캡(205)을 둘레방향으로 우회전으로 회동시켜도, 마찬가지로 계량 캡(205)을 벗겨낼 수 있다.
그 후,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205)을 도립시키고, 노즐 중전(203)의 주출통(17)의 선단을 하향으로 하도록 용기 본체(1)를 기울여서, 용기 본체(1) 내의 내용물을 주출구(16b)로부터 주출통(17)을 통하여 계량 통부(22)에 주입한다. 계량 캡(205)의 계량 통부(22)로의 내용물의 주입량은, 눈금부(32)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계량 캡(205)에서는, 눈금부(32)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은, 플랜지부(23)의 둘레방향 대칭 위치에 마련된 2개의 연출편(25, 25)뿐이다. 그 때문에, 연출편(25, 25)의 사이에서 눈금부(32)가 시인하기 쉽고, 계량 통부(22)에 수용한 내용물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계량을 마쳐서 내용물을 사용한 후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205)의 연출편(25)의 위치를 노즐 중전(203)에서의 외통벽(11)의 패임부(11A)의 위치에 맞추면서, 계량 통부(22)를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에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상 설명한 계량 용기(C)에서는, 연출편(25)의 위치를 노즐 중전(203)에서의 외통벽(11)의 패임부(11A)의 위치에 맞추어서, 계량 통부(22)를 노즐 중전(203)의 통벽부(10)에 삽입한 것만으로 계량 캡(205)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나사부를 통하는 계량 캡에 비하여 장착이 훨씬 용이하다. 또한, 장착한 계량 캡(205)을 회동시킴으로써,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노즐 중전(203)의 단차벽부(11C)를 활주하여 밀려올라가기 때문에, 계량 캡(205)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나사부를 통한 계량 캡은 벗겨낼 때에 몇바퀴나 회동시킬 필요가 있었음에 대해, 계량 용기(C)에서는 계량 캡(205)을 둘레방향으로 몇분의 일바퀴 회동시킬 뿐으로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계량 용기(C)에서는, 종래의 나사죄임식의 계량 캡에 비하여 계량 캡(205)의 부착 조작 및 벗겨냄 조작이 훨씬 간편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에, 손가락이 세제 등으로 오염되어서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라도 지장없이 부착 및 벗겨냄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에서는, 노즐 중전의 통벽부의 외면과 계량 캡의 연출편의 내면에, 노즐 중전에 대한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1의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벽부의 외면과 연출편의 내면에, 계량 캡의 둘레방향으로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2의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벽부의 외면 및 상기 연출편의 내면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는 상기 제2의 계합부의 단연부로부터 단차벽부에 따른 연장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들의 구성을 채용한 실시 형태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A)는, 도 7∼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 노즐 중전(3)과 계량 캡(5)을 부착하여 구성되어 있는 이외는, 계량 용기(C)와 같다. 도 7∼9에서 도 2∼4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노즐 중전(3)은, 외통벽(11)의 외면의 패임부(11A)에 제1의 안내 볼록부(18), 제2의 안내 볼록부(19) 및 연장 볼록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계량 용기(C)의 노즐 중전(203)과 같다.
제1의 안내 볼록부(18)는, 패임부(11A)에서의 폭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으로서 외통벽(11)의 상단부 부근에 형성된, 둘레방향으로 늘어나는 철조(凸條)로 이루어진다. 제1의 안내 볼록부(18)는, 외통벽(11)의 둘레방향에서, 평면시에서의 중심축선(C1)을 중심으로 하는 15∼20°의 범위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예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는, 정면시로 둘레방향에서의 단차벽부(11C)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단(左端)까지의 길이가, 당해 위치에서 우단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장착한 계량 캡(5)을 좌회전으로 회동시킨 때에는, 후술하는 제3의 안내 볼록부(27)의 계합이 벗어나기 쉽고, 계량 캡(5)을 우회전으로 회동시킨 때에는 제3의 안내 볼록부(27)의 계합이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의해, 계량 캡(5)을 벗겨낼 때의 계량 캡(5)의 회동 방향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안내 볼록부(18)는, 정면시로 둘레방향에서의 단차벽부(11C)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단까지의 길이와, 당해 위치로부터 우단까지의 길이를 동등하게 하고, 둘레방향의 양방향으로의 회동하기 쉬움이 같아지도록 하여도 좋다.
제2의 안내 볼록부(19)는, 패임부(11A)에서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보다도 하방에 형성된, 둘레방향으로 늘어나는 철조로 이루어진다.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둘레방향의 길이는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수평 방향 길이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연장 볼록부(20)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안내 볼록부(19)를 정면시한 경우의 우단 연부로부터 제2의 안내 볼록부(19)를 연장하도록 단차벽부(11C)에 따라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여 늘어나 있다. 연장 볼록부(20)의 제2의 안내 볼록부(19)측의 시단부(始端部)(20a)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의 안내 볼록부(19)와 매끈하게 접속되어 있다. 연장 볼록부(20)의 주체부(主體部)(20b)는 직선형상으로 또한 둘레방향에 대한 소정의 경사각(예를 들면 40∼70°)으로 경사 상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안내 볼록부(19)와 연장 볼록부(20)는 단차벽부(11C)로부터 이간하고, 제2의 안내 볼록부(19)와 연장 볼록부(20)의 정면시 형상이 단차벽부(11C)의 정면시 형상과 상사(相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a)에 도시하는 패임부(11A)는 외통벽(11)의 둘레방향으로 18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패임부(11A)에 형성되어 있는 제1의 안내 볼록부(18)와 제2의 안내 볼록부(19) 및 연장 볼록부(20)를 도 8(b)에 도시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에 이들은 외통벽(11)의 좌우 양측의 대칭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계량 캡(5)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출편(25)의 내면에, 계량 캡(5)의 장착시에 외통벽(11)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에 계합하는 제3의 안내 볼록부(27)와, 외통벽(11)의 제2의 안내 볼록부(19)에 계합하는 제4의 안내 볼록부(28)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계량 용기(C)의 계량 캡(205)과 같다.
제3의 안내 볼록부(27)는,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출편(25)의 내면에서, 계량 캡(5)을 노즐 중전(3)에 장착한 때에, 외통벽(11)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하측에 계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1의 안내 볼록부(18) 및 제3의 안내 볼록부(27)에 의해 제1의 계합부(29)가 형성된다. 계량 캡(5)의 장착시에 제1의 계합부(29)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와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계합함으로써, 노즐 중전(3)에 대한 계량 캡(5)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착한 계량 캡(5)이 예기하지 않게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4의 안내 볼록부(28)는, 연출편(25)의 내면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의 하방에서, 계량 캡(5)의 노즐 중전(3)에의 장착시에, 외통벽(11)의 제2의 안내 볼록부(19)상에 인접 계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의 안내 볼록부(19) 및 제4의 안내 볼록부(28)에 의해 제2의 계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장 볼록부(20) 및 제4의 안내 볼록부(28)에 의해 연장 계합부(31)가 형성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5)을 장착하여 연출편(25)의 하단부(25a)를 단차벽부(11C)의 저부에 위치맞춤한 때에, 연출편(25)의 하단부(25a)는 단차벽부(11C)로부터 약간의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계량 캡(5)의 연출편(25)의 하단부(25a)는 패임부(11A)의 저부로 둘레방향으로 약간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패임부(11A)의 저부에서 연출편(25)의 하단부(25a)의 둘레방향으로의 이동 가능한 폭(거리)은,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둘레방향의 길이와 동등하거나, 그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 예의 계량 용기(A)에서는, 연출편(25)에 탄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계량 캡(5)의 장착시에, 제1의 계합부(29)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와 제3의 안내 볼록부(27)를 용이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제조 방법)
노즐 중전(3) 및 계량 캡(5)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노즐 중전(203) 및 계량 캡(205)에서 든 방법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작용 기구)
이하, 계량 용기(A)에서의 노즐 중전(3)과 계량 캡(5)의 부착 조작, 벗겨냄 조작, 계량 조작에 관해 설명한다.
노즐 중전(3)의 용기 본체(1)의 구경부(2)에의 장착은, 계량 용기(C)에서의 노즐 중전(203)의 장착과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즐 중전(3)에 계량 캡(5)을 감합한 상태에서는, 노즐 중전(3)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하측에 연출편(25)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계합하고, 노즐 중전(3)의 제2의 안내 볼록부(19)상에 연출편(25)의 제4의 안내 볼록부(28)가 인접 계합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1의 안내 볼록부(18)와 제3의 안내 볼록부(27)의 계합에 의해, 노즐 중전(3)에 대한 계량 캡(5)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계량 캡(5)이 빠짐 방지되어 있다.
노즐 중전(3)에 장착되어 있는 계량 캡(5)을 벗겨내려면, 우선, 계량 캡(5)의 상부를 손가락으로 쥐고, 계량 캡(5)을 약간 좌회전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제1의 계합부(29)에서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하면을 활주함과 함께, 제2의 계합부(30)에서 제4의 안내 볼록부(28)가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상면을 활주한다. 이에 의해, 노즐 중전(3)에 대해 계량 캡(5)이 상대적으로 상방 이동하는 것이 억제되면서, 계량 캡(5)이 안정하게 둘레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에 당접한다.
상술한 상태에서 계량 캡(5)을 원주방향으로 더욱 회동시키면,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를 활주함으로써, 연출편(25)을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또한 동시에, 제2의 계합부(30)에서, 제4의 안내 볼록부(28)가 연장 볼록부(20)의 상면을 활주하기 때문에, 계량 캡(5)을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더욱 작용한다. 이들의 결과로서, 도 10의 화살표(a)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5)은 회동하면서 경사 상방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계량 캡(5)의 상승과 함께 제1의 계합부(29)에서 제1의 안내 볼록부(18)로부터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벗어나는 결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5)을 반분 정도 노즐 중전(3)으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연출편(25)이 수지제의 설형으로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제1의 안내 볼록부(18)로부터 벗어나기 쉬워진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쥐고 있던 계량 캡(5)을 더욱 회동시키면,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를 더욱 활주하고, 또한 제4의 안내 볼록부(28)가 연장 볼록부(20)를 더욱 활주한 것으로, 계량 캡(5)이 더욱 밀려올라가, 노즐 중전(3)으로부터 벗겨질 수 있다. 계량 캡(5)의 연출편(25)은 수지제로 적당의 탄성을 가지며,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면, 도 5의 상태로부터 계량 캡(5)을 약간 상방으로 끌어올리든지, 계량 캡(5)을 약간 경사 방향에 비트는 등의 조작을 가하면, 계량 캡(5)을 노즐 중전(3)으로부터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계량 조작은, 계량 용기(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계량이 종료되고 계량 캡(5)을 재차 노즐 중전(3)에 장착할 때는, 도 11의 화살표(b)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5)의 계량 통부(22)를 노즐 중전(3)의 내통벽(13)의 내측으로 삽입함과 함께, 연출편(25)을 노즐 중전(3)의 패임부(11A)의 위치에 맞추어서 계량 캡(5)을 노즐 중전(3)에 밀어넣음으로써 장착할 수 있다.
계량 캡(5)의 연출편(25)이 적당한 탄성을 가지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 캡(5)의 좌우 양측의 연출편(25, 25)으로 노즐 중전(3)의 외통벽(11)을 끼우면서 하강시킴으로써, 제1의 계합부(29)에서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제1의 안내 볼록부(18)를 용이하게 차고넘는다. 이에 의해, 용이하게 제3의 안내 볼록부(27)를 제1의 안내 볼록부(18)로 빠짐방지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계량 용기(A)는, 계량 용기(C)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나사죄임식의 계량 캡에 비하여 훨씬 간편하게 계량 캡(205)이 부착 조작 및 벗겨냄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손가락이 세제 등으로 오염되어 미끄러지기 쉬운 상태라도 지장없이 부착 및 벗김을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계량 용기(A)는 제1의 계합부(29)를 갖기 때문에, 계량 용기(C)에 비하여 계량 캡(5)을 장착한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계합부(29), 제2의 계합부(30) 및 연장 계합부(31)를 가짐으로써, 장착한 계량 캡(5)을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킨 때에 그들 계합부의 안내에 의해 계량 캡(5)이 보다 밀려올라가기 쉽기 때문에, 계량 캡(5)의 벗겨냄이 더욱 용이하다.
「제3 실시 형태」
계량 용기(A)에서는, 노즐 중전(3)의 외통벽(11)에 제1의 안내 볼록부(18)와 제2의 안내 볼록부(19)와 연장 볼록부(20)를 마련하고, 계량 캡(5)의 연출편(25)에 제3의 안내 볼록부(27)와 제4의 안내 볼록부(28)를 마련하였지만, 이들을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감합 구조로 하여도 좋다.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한 감합 구조의 한 예로서, 도 13과 도 14를 기초로 이하에 설명하는 감합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B)는, 계량 용기(A)의 노즐 중전(3)과 일부를 제외하고 동일 구조의 노즐 중전(3A)과, 계량 용기(A)의 계량 캡(5)과 일부를 제외하고 동일 구조의 계량 캡(5A)을 구비하고 있는 이외는, 계량 용기(A)와 같다.
노즐 중전(3A)에서, 계량 용기(A)의 노즐 중전(3)과 다른 것은, 패임부(11A)에 형성되어 있던 제1의 안내 볼록부(18) 대신에 제1의 안내 오목부(18A)가 형성되고, 제2의 안내 볼록부(19) 대신에 제2의 안내 오목부(19A)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또한, 계량 용기(A)에서 형성되어 있던 연장 볼록부(20) 대신에 연장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제1의 안내 오목부(18A)의 폭이나 길이를 포함한 정면시 형상은 계량 용기(A)의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정면시 형상과 동일하다. 제2의 안내 오목부(19A) 및 연장 오목부(20A)의 폭이나 길이를 포함한 정면시 형상은, 계량 용기(A)의 제2의 안내 볼록부(19) 및 연장 볼록부(20)와 동일하다.
또한, 계량 캡(5)에서 연출편(25)의 내면에는, 계량 용기(A)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와 동일 형상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A)가 형성되고, 제4의 안내 볼록부(28)와 동일 형상의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 용기(B)에서는, 제3의 안내 볼록부(27A)는 계량 캡(5A)을 노즐 중전(3A)에 장착하여 감합한 상태에서 제1의 안내 오목부(18A)에 감합하고, 제4의 안내 볼록부(28A)는 동(同) 상태에서 제2의 안내 오목부(19A)에 가합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 중전(3A)의 제1의 안내 오목부(18A)와 계량 캡(5A)의 제3의 안내 볼록부(27A)에 의해 제1의 계합부(39)가 형성된다. 계량 캡(5A)을 노즐 중전(3A)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노즐 중전(3A)의 외통벽(11)에 형성된 제1의 안내 오목부(18A)에, 계량 캡(5A)의 연출편(25)에 형성된 제3의 안내 볼록부(27A)가 감합한다.
또한, 노즐 중전(3A)의 제2의 안내 오목부(19A)와 계량 캡(5A)의 제4의 안내 볼록부(28A)에 의해 제2의 계합부(40)가 형성된다. 계량 캡(5A)을 노즐 중전(3A)에 장착한 상태에서, 노즐 중전(3A)의 외통벽(11)에 형성된 제2의 안내 오목부(19A)에, 계량 캡(5A)의 연출편(25)에 형성된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감합한다. 또한, 노즐 중전(3A)의 연장 오목부(20A)와 계량 캡(5A)의 제4의 안내 볼록부(28A)에 의해 연장 계합부(41)가 형성된다. 계량 캡(5A)을 둘레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벗겨낼 때, 노즐 중전(3A)의 외통벽(11)에 형성된 연장 오목부(20A) 내를, 계량 캡(5A)의 연출편(25)에 형성된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이동한다.
계량 용기(B)에서의 계량 캡(5A)이 부착 접합 조작, 벗겨냄 조작 및 계량 조작은, 계량 용기(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량 캡(5A)을 좌회전으로 회동시키면, 제3의 안내 볼록부(27A)가 제1의 안내 오목부(18A) 내를 활주함과 함께,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제2의 안내 오목부(19A) 내를 활주하고,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에 당접한다. 계량 캡(5)을 더욱 회동시키면, 제3의 안내 볼록부(27A)가 제1의 안내 오목부(18A)로부터 벗어나고,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를 활주하고,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연장 오목부(20A) 내를 활주함으로써, 연출편(25)을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의해, 계량 캡(5A)은 회동하면서 경사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계량 캡(5A)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계량 용기(B)는, 계량 용기(A, C)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나사죄임식의 계량 캡에 비하여 훨씬 간편하게 계량 캡(205)의 부착 조작 및 벗겨냄 조작이 행할 수 있다.
또한, 계량 용기(B)는, 계량 용기(A)와 마찬가지로, 제1의 계합부(39)를 갖기 때문에 계량 캡(5A)을 장착한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계합부(39), 제2의 계합부(40) 및 연장 계합부(41)를 가짐으로써, 계량 캡(5A)의 벗겨냄이 용이하다.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변경 양태로서, 계량 용기는, 상기한 계량 용기(A∼C)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계량 캡의 연출편의 일방의 측연부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와, 그 계량 캡의 장착시에 상기 일방의 측연부에 대향한 노즐 중전의 단차벽부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80°이상으로 되고, 그 계량 캡을 장착한 상태에서 연출편의 상기 일방의 측연부와 그것에 대향하는 노즐 중전의 단차벽부가 접하여 있는 계량 용기라도 좋다. 그 계량 용기에서는, 계량 캡을 둘레방향의 상기 일방의 측연부측으로는 회동할 수가 없고, 계량 캡의 둘레방향의 회동 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된다.
구체례로서는, 도 15에 예시한 계량 캡(5B)과 노즐 중전(3B)을 갖는 계량 용기를 들 수 있다. 계량 캡(5B)은, 연출편(25A)의 정면시 좌측의 측연부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φ)가 90°로 되어 있는 이외는 계량 캡(205)과 같다. 노즐 중전(3B)은, 단차벽부(11C)에서의 저부의 정면시 좌측 부분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90°로 되어 있는 단차벽부(11D)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노즐 중전(203)과 같다. 계량 캡(5B)을 노즐 중전(3B)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출편(25)의 정면시 좌측의 측연부는, 단차벽부(11D)에서의 저부의 정면시 좌측 부분과 접하고 있다. 장착한 계량 캡(5B)은, 둘레방향으로 우회전으로는 회동할 수가 없고, 둘레방향의 회동 방향이 좌회전으로 제한되어 있다. 장착한 계량 캡(5B)을 벗겨낼 때에는, 계량 캡(5B)을 둘레방향으로 좌회전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계량 용기(C)와 마찬가지로 벗겨낼 수 있다.
또한, 계량 용기(A∼C)에서는, 계량 캡 장착시에 계량 캡의 연출편의 하단부보다도 상방의 양측의 측연부가 노즐 중전의 단차벽부로부터 이간하고 있지만, 단차벽부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충분히 작으면, 연출편의 하단부보다도 상방의 양측의 측연부가 노즐 중전의 단차벽부에 접하여 있어도 좋다.
구체례로서는, 도 16에 예시한 계량 캡(5C)과 노즐 중전(3C)을 갖는 계량 용기를 들 수 있다. 노즐 중전(3C)은, 단차벽부(11C)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ψ)가 예를 들면 5∼15°로 작게 설정되어 있는 이외는, 노즐 중전(203)과 같다. 계량 캡(5C)은, 노즐 중전(3C)에 장착한 때에 연출편(25B)의 하단부(25a)보다도 상방의 양쪽의 측연부가 단차벽부(11C)와 접하고 있는 이외는 계량 캡(205)과 동일하다.
도 16에 예시한 계량 용기에서는, 노즐 중전(3C)의 단차벽부(11C)의 둘레방향에 대한 경사각도가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된 계량 캡(5C)을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계량 용기(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출편(25B)이 단차벽부(11C)를 활주하여 상방으로 밀려올라간다. 그 때문에, 계량 캡(5C)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또한, 계량 용기(A)에서는, 연장 볼록부(20)가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우단 연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뿐이었지만,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양쪽의 단연부로부터 연장 볼록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계량 용기(B)의 연장 오목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구체례로서는, 도 17에 예시한 노즐 중전(3D)을 들 수 있다. 노즐 중전(3D)은,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좌단연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볼록부(20B)가 형성되고, 또한 정면시로 둘레방향에서의 단차벽부(11C)의 저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좌단까지의 길이와, 당해 위치로부터 우단까지의 길이가 동등한 제1의 안내 볼록부(18B)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노즐 중전(3)과 같다.
연장 볼록부(20B)는, 연장 볼록부(20)와 마찬가지로, 정면시 좌측의 단차벽부(11C)에 따라 경사 상방으로 경사하여 늘어나 있다. 이 노즐 중전(3D)을 이용하는 경우, 장착한 계량 캡을 좌회전으로 회동시켜도, 우회전으로 회동시켜도 마찬가지로 용이하게 계량 캡을 벗겨낼 수 있다.
또한, 계량 용기(A∼C)에서는, 계량 캡의 둘레방향으로 180° 간격으로 2개의 연출편을 마련한 구조에 관해 도시하고 나서 설명하였지만, 계량 캡에 마련하는 연출편의 수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연출편을 3개 마련하는 경우는, 플랜지부의 둘레방향으로 120° 간격으로 3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출편을 4개 마련하는 경우는, 플랜지부의 둘레방향으로 90° 간격으로 4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출편을 플랜지부의 원주방향으로 복수 균등하게 배치함으로써, 계량 캡의 회동 조작과 경사 상방으로의 이동 조작시에 각 연출편을 통하여 균형있게 계량 캡에 힘을 부여하여 계량 캡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계량 캡에 3개 이상의 연출편을 마련한 경우, 노즐 중전의 외통부에 마련한 패임부도 대응하는 수만큼 마련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계량 용기(B)에서의 볼록부와 오목부의 관계를 역으로 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즉, 노즐 중전(3A)의 외통벽(11)에 2개의 안내 볼록부를 마련하고, 계량 캡(5)의 연출편(25)에 안내 오목부와 연장 오목부을 마련한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변형례로서, 노즐 중전(3)의 외통벽(11)에 안내 볼록부와 안내 오목부와 연장 오목부을 마련하고, 계량 캡(5)의 연출편(25)에 안내 오목부와 안내 볼록부를 마련하고 이들을 감합하여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안내 볼록부와 안내 오목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중전의 외통벽과 계량 캡의 연출편의 어느 쪽에 마련하여도 좋고, 또한, 안내 볼록부와 안내 오목부를 2조(組) 이상 마련하는 등,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요컨대, 노즐 중전의 외통벽과 계량 캡의 연출편에 형성한 안내 오목부 또는 안내 볼록부로서, 계량 캡의 연출편의 회동 조작을 상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는 안내 오목부와 안내 볼록부의 조합이라면, 어느 조합이라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계량 용기는, 도 18에 예시한 노즐 중전(3)과 계량 캡(5D)을 구비한 계량 용기(D)라도 좋다. 도 18에서의 도 7(a)와 같은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계량 캡(5D)은, 연출편(25)의 내면에, 제4의 안내 볼록부(28) 대신에, 계량 캡(5D)의 장착시에 외통벽(11)의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하측에 계합하는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계량 용기(A)의 계량 캡(5)과 같다.
계량 용기(D)에서는, 계량 캡(5D)을 노즐 중전(3)에 장착한 상태에서, 제1의 안내 볼록부(18) 및 제3의 안내 볼록부(27)의 계합과, 제2의 안내 볼록부(19) 및 제4의 안내 볼록부(28A)의 계합에 의해, 노즐 중전(3)에 대한 계량 캡(5D)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이 규제됨으로써, 계량 캡(5D)이 빠짐방지된다. 이와 같이, 계량 캡(5D)에서는, 계량 용기에 비하여, 계량 캡(5D)을 장착한 상태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계량 캡(5D)을 벗겨낼 때, 계량 캡(5D)을 약간 좌회전으로 회동시키면, 제3의 안내 볼록부(27)가 제1의 안내 볼록부(18)의 하면을 활주함과 함께,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제2의 안내 볼록부(19)의 하면을 활주한다. 이에 의해, 노즐 중전(3)에 대해 계량 캡(5D)이 상대적으로 상방 이동한 것이 억제되면서, 계량 캡(5D)이 안정하게 둘레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안내된다. 그리고,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에 당접한다.
또한 계량 캡(5D)을 원주방향으로 더욱 회동시키면,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를 활주함으로써 연출편(25)을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제4의 안내 볼록부(28A)가 연장 볼록부(20)의 하면을 활주한다. 이에 의해, 연출편(25)의 하단부(25a)가 단차벽부(11C)를 안정하게 활주하도록 안내된다.
이와 같이, 계량 캡(5D)에서는, 제2의 안내 볼록부(19)와 제4의 안내 볼록부(28A)와의 계합에 의한 안내에 의해, 계량 용기(A)에 비하여 계량 캡(5D)이 보다 안정하게 밀려올라가기 쉽기 때문에, 계량 캡(5D)의 벗겨냄이 더욱 용이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계량 용기에서는, 나사부를 통한 나사결합 구조보다도 용기 본체의 구경부에 장착된 노즐 중전에 계량 캡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계량 캡의 벗겨냄도 용이하다.
A∼C : 계량 용기
1 : 용기 본체
2 : 구경부
3, 3A∼3D : 노즐 중전
5, 5A∼5C : 계량 캡
6 : 저벽
7 : 측벽
8 : 견부
10 : 통벽부
11 : 외통벽
11A : 패임부
11a : 나사부
12 : 접속벽
13 : 내통벽
17 : 주출통
18, 18B : 제1의 안내 볼록부
18A : 제1의 안내 오목부
19 : 제2의 안내 볼록부
19A : 제2의 안내 오목부
20, 20B : 연장 볼록부
20A : 연장 오목부
21 : 덮개부
22 : 계량 통
23 : 플랜지부
24 : 링부
25, 25A, 25B : 연출편
27 : 제3의 안내 볼록부
28, 28A : 제4의 안내 볼록부
29 : 제1의 계합부
30 : 제2의 계합부
31 : 연장 계합부
32 : 눈금부
39 : 제1의 계합부
40 : 제2의 계합부
41 : 연장 계합부

Claims (5)

  1. 구경부를 가지며, 액상 또는 분상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와, 상기 구경부에 장착된 노즐 중전과, 이 노즐 중전에 착탈 자유롭게 마련된 계량 캡을 구비한 계량 용기로서,
    상기 노즐 중전은, 상기 구경부에 장착되는 통벽부를 가지며, 이 통벽부의 내측에 주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계량 캡은, 상기 노즐 중전의 통벽부에 일부 삽입되는 계량 통부와, 이 계량 통부의 일측 개구단을 닫는 덮개부와, 상기 계량 통부의 주면부터 바깥쪽으로 내밀어지고, 상기 노즐 중전의 통벽부 상단의 개구부에 씌워지는 플랜지부와, 이 플랜지부의 연부로부터 늘어뜨려지고, 상기 계량 캡의 장착시에 상기 통벽부의 외면에 따르게 되는 연출편을 구비하고,
    상기 연출편은, 하단을 향하여 폭이 좁아져 있고,
    상기 계량 캡은 상기 노즐 중전에 장착한 상태에서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방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통벽부의 외면에는, 상기 계량 캡을 장착하여 둘레방향으로 회동시킨 때에 상기 연출편의 하단부가 당접하는 단차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벽부가 상기 통벽부의 상방을 향하여 늘어나고, 또한 둘레방향으로 경사하고 있고,
    상기 통벽부의 외면과 상기 연출편의 내면에, 상기 계량 캡의 둘레방향으로의 회동을 안내하는 제2의 계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벽부의 외면 및 상기 연출편의 내면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에는 상기 제2의 계합부의 단연부로부터 상기 단차벽부에 따른 연장 계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벽부의 외면과 상기 연출편의 내면에, 상기 노즐 중전에 대한 상기 계량 캡의 상대적인 상방 이동을 규제하는 제1의 계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편에 탄성이 부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편이 상기 플랜지부의 둘레방향 대칭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 용기.
  5. 삭제
KR1020167003530A 2013-10-02 2014-06-30 계량 용기 KR102202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7607 2013-10-02
JPJP-P-2013-207607 2013-10-02
PCT/JP2014/067359 WO2015049906A1 (ja) 2013-10-02 2014-06-30 計量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070A KR20160064070A (ko) 2016-06-07
KR102202306B1 true KR102202306B1 (ko) 2021-01-13

Family

ID=52778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530A KR102202306B1 (ko) 2013-10-02 2014-06-30 계량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75509B2 (ko)
KR (1) KR102202306B1 (ko)
WO (1) WO2015049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7801B2 (ja) * 2014-11-28 2019-04-10 ライオン株式会社 計量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949B2 (ja) 1992-02-20 2001-03-07 アーサー・ディ・リト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クロール流体装置のための軸受/潤滑システム
JP2002012242A (ja) * 2000-06-30 2002-01-15 Yoshino Kogyosho Co Ltd 計量器付き容器
KR200398963Y1 (ko) * 2005-06-23 2005-10-18 여동수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4444A (en) * 1959-11-28 1962-04-18 Karl Ruetz Container with closing device
FR1520693A (fr) * 1967-03-01 1968-04-12 Oreal Nouveau dispositif de bouchage pour flacons ou récipients analogues
JPS5040666U (ko) * 1973-07-31 1975-04-25
JPS62134803U (ko) * 1986-02-19 1987-08-25
JP3141949U (ja) 2008-03-13 2008-05-29 ライオン株式会社 計量キャップ具
JP2010260605A (ja) * 2009-05-01 2010-11-18 Lion Corp キャップ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1949B2 (ja) 1992-02-20 2001-03-07 アーサー・ディ・リト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クロール流体装置のための軸受/潤滑システム
JP2002012242A (ja) * 2000-06-30 2002-01-15 Yoshino Kogyosho Co Ltd 計量器付き容器
KR200398963Y1 (ko) * 2005-06-23 2005-10-18 여동수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070A (ko) 2016-06-07
JP6175509B2 (ja) 2017-08-02
WO2015049906A1 (ja) 2015-04-09
JPWO2015049906A1 (ja)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9686B1 (ko) 계량용기
US20220242621A1 (en) Closure
US8870027B2 (en) Multi-bottle containers for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liquids
US7520410B2 (en) Container sealing system
KR102492789B1 (ko) 리필 용기의 주출용 스파우트 및 포장 용기의 주출 유닛과의 연결 구조
KR102202306B1 (ko) 계량 용기
JP6243354B2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WO2017126427A1 (ja) 容器
US20110284589A1 (en) Container cap
JP6249898B2 (ja) 計量容器
EP3287386B1 (en) Screw cap having a self-adapting female thread
JP5515259B2 (ja) コック式注出口栓
JP2010126214A (ja) 計量キャップ
JP2008162656A (ja) キャップ
JP2016101945A (ja) 容器
JP2017154749A (ja) 液体計量容器
JP6994986B2 (ja) 容器
JP6465483B2 (ja) 容器
JP6979897B2 (ja) 容器
US20230278852A1 (en) Adapter
JP6611332B2 (ja) 計量容器
KR102672025B1 (ko)
JP6897365B2 (ja) ボトル中栓
WO2020004195A1 (ja) 包装用容器
JP2017149478A (ja) 計量キャップ付き注出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