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2025B1 - 캡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2025B1
KR102672025B1 KR1020197023726A KR20197023726A KR102672025B1 KR 102672025 B1 KR102672025 B1 KR 102672025B1 KR 1020197023726 A KR1020197023726 A KR 1020197023726A KR 20197023726 A KR20197023726 A KR 20197023726A KR 102672025 B1 KR102672025 B1 KR 102672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nozzle
container body
opening hole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577A (ko
Inventor
노부히토 나카가와
요시오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8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2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2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의 주출성을 개선해서 잔액을 저감하여 내용액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캡은 점성을 갖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내용물을 경도 주출하는 캡으로서, 구부에 감합하는 감합부와, 감합부의 내측에 동축을 이루어 설치되고 구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노즐 기부와, 노즐 기부의 저면부에 동축을 이루어 세워 설치되고 용기 본체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노즐부와, 노즐 기부는 축선방향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노즐부의 내방의 저면부에 형성된 주출용 개구 구멍과, 주출용 개구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중 경도시에 하측이 되는 부분에 접속된 유도부를 갖고, 유도부는 저면부의 용기 본체측의 일면에 형성되고, 일면으로부터 노즐부측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캡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7년 2월 16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7-026854호에 기초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예를 들면 유연제, 액체 세제 등의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장착되는 노즐캡(캡)은 경도시킨 용기 본체로부터 내용물을 주출(注出)함으로써 주출한 내용물을 계량하는 계량캡과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에서는 수용한 내용물이 소비되거나 잔량이 적어지거나 했을 때에, 예를 들면 리필용 파우치로부터 내용액이 적당히 다시 채워짐으로써 장기적으로 사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 11-32191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잔량이 줄어들어 오면, 용기 본체를 경도시켜도 노즐캡으로부터 내용물이 주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내에 내용물이 잔류해서 완전히 다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용기 본체 내의 내용물이 줄어들어 오면, 경도시에 용기 본체와 노즐캡 사이에 내용물이 들어가버려서, 노즐부로부터 여간해서 주 출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주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 내에 잔존해 버리는 잔액을 저감시키는 것이 소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내용물의 주출성을 개선해서 잔액을 저감하여, 내용액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캡은 점성을 갖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내용물을 기울여서 주출하는 캡으로서, 상기 구부에 감합하는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의 내측에 동축을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구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노즐 기부와, 상기 노즐 기부의 저면부에 동축을 이루어 세워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 기부는 축선방향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노즐부의 내방의 상기 저면부에 형성된 주출용 개구 구멍과,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중 경도시에 하측이 되는 부분에 접속된 오목형상의 유도부를 갖고, 상기 유도부를 통해서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이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캡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측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캡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측이 가장 함몰 상태가 크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형태의 캡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축선에 대해서 교차하는 유도면을 갖고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의 주출성을 개선해서 잔액을 저감하여, 내용액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노즐캡(캡)이 장착된 용기의 정립 상태의 구부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노즐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노즐캡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노즐캡을 저부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노즐캡을 노즐부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노즐캡의 노즐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노즐캡을 축선방향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8은 노즐캡이 용기 본체의 구부에 장착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노즐캡을 구비한 용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노즐캡에 있어서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요소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구성요소에 따라 치수의 축척을 다르게 해서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노즐캡(캡)(10)이 장착된 용기(100)의 정립 상태의 구부(101) 부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노즐캡(1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노즐캡(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노즐캡(10)을 저부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노즐캡(10)을 노즐부(13)측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노즐캡(10)의 노즐부(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노즐캡(10)을 축선방향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8은 노즐캡(10)이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3)에 장착된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즐캡(10)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100A)의 상단에 형성된 구부(101)에 감합하는 중간 마개이며, 그 외측에 내용물을 계량하는 계량캡(102)이 장착되는 것이다.
용기 본체(100A)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100A)는 내용물로서, 예를 들면 액체 세제, 액체 표백제, 액체 유연제, 용제 등의 액상물이나, 입상 세제, 입상표백제, 입상 조미료 등의 분입자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용 공간(100a)을 갖고 있다.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용 공간(100a)을 상방으로 개방하고 있다. 구부(101)의 외주에는 축선(C) 둘레에 수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노즐캡(10)이 나사 결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나사결합 타입의 노즐캡(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입이나 언더컷부 등의 계합에 의해 감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선(C)을 따른 방향을 축선방향, 축선(C)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방향, 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축 둘레 방향을 둘레방향이라고 적당하게 칭한다. 또한, 노즐캡(10)에 있어서,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계량캡(102)측을 상방(상측), 용기 본체(100A)측을 하방(하측)이라고 적당하게 칭한다. 또한, 축선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도 1 중 지름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Z방향 및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 중,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으로 해서 적당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캡(10)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노즐캡(10)은 감합부(11), 노즐 기부(12) 및 노즐부(13)를 주로 갖고, 서로 축선(C)을 중심으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11)는 통형상을 이루고, 도 1에 나타낸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의 외측에 감합한다. 감합부(11)는 노즐캡(10)의 하단측에 캡 최대 직경이 되는 환형상 볼록부(14)와, 축선(C)을 따라 환형상 볼록부(14)의 상단에 연속하고 환형상 볼록부(14)보다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중간부(15)와, 중간부(15)의 환형상 볼록부(14)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연속함과 아울러 중간부(15)보다 지름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16)를 갖고 있다. 상부(16)의 축선 둘레에는 수나사부(1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노즐캡(10)은 축선(C)을 따라 상부(16)로부터 중간부(15), 환형상 볼록부(14)를 향함에 따라서 지름방향 외측으로 단계적으로 지름이 확대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노즐캡(10)에는 상술한 계량캡(102)이 장착된다. 계량캡(102)은 상부(16)의 외측에 장착되고, 중간부(15)와 상부(16) 사이의 단차(19)에 수용되도록 위치한다. 노즐캡(10)에 계량캡(102)이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된 계량캡(102)의 외주면(102a)과 노즐캡(10)의 중간부(15)의 지름방향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가 대략 일치한다. 즉, 중간부(15)와 상부(16)의 단차(19)는 계량캡(102)의 두께 치수에 상당하고, 계량캡(102)이 노즐캡(10)에 장착된 상태에서, 계량캡(102)으로부터 노즐캡(10)에 걸쳐서 연속한 외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감합부(11)에는 내주면(11b)을 따라 축선(C) 주위에 암나사부(20)가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나타낸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의 외측에 형성된 수나사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노즐 기부(12)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부(11)의 내측에 동축을 이루어 설치되고, 캡 장착시에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로부터 수용 공간(100a) 내에 삽입된다. 노즐 기부(12)는 내측 통부(21)와, 내측 통부(21)의 일단측에 설치된 저면부(22)를 갖는 저부를 갖는 원통 형상을 이루고, 저면부(22)에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주출용 개구 구멍(23) 및 유도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21)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합부(11)의 상부(16)보다 지름방향 내측(축선(C)측)에 위치하고, 축선(C)을 따른 하단측이 환형상 볼록부(14)보다 외측(용기 본체(100A)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저면부(2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A)측에 볼록한 V자 형상을 이루고, 서로 경사각도가 다른 제 1 경사면(경사면)(22A)과 제 2 경사면(경사면)(22B)과, 이들 제 1 경사면(22A) 및 제 2 경사면(22B)의 접속 정상부(22C, 22C)의 연장선 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제 3 경사면(22D) 및 제 4 경사면(22E)을 갖고, 최하단의 접속 정상부(22C, 22C)를 향해서 가늘어지고 있다. 이러한 저면부(22)의 제 1 경사면(22A)으로부터 제 2 경사면(22B)에 걸쳐서 주출용 개구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주출용 개구 구멍(23) 중, 제 2 경사면(22B)에 형성된 부분이 공기 치환 구멍(25)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저면부(22)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시에 용기 본체(100A) 내의 내용물을 주출용 개구 구멍(23)으로 유도하는 홈 형상의 유도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28)는 저면부(22)를 구성하는 제 1 경사면(22A)에 형성되고, 주출용 개구 구멍(23)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출용 개구 구멍(23)의 둘레 가장자리 중, 축선(C)을 통해서 공기 치환 구멍(25)과 대향하는 측이며, 사용시(경도시)에 최하위가 되는 위치에 유도부(28)가 접속되어 있다. 유도부(28)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출용 개구 구멍(23)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유도부(28)의 주출용 개구 구멍(23)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을 도 8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3)에 가깝게함으로써 구부(103)측에 괴인 잔액을 회수하기 쉬워진다.
유도부(28)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저면부(22)의 용기 본체(100A)측으로부터 노즐부(13)측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고, 주출용 개구 구멍(23)의 둘레 가장자리에 가까울수록 일면(22B)측으로부터 떨어진 깊은 함몰 상태로 되어 있다. 유도부(28)에서는 내면(28a)이 홈통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그 정상부(Q)측이 축선(C)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저면부(22)의 제 1 경사면(22A)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유도부(28)는 주출용 개구 구멍(23)에 가까울수록 홈폭이 넓어지고 있고, 이들에 의해 유도부(28)를 통해서 효율 좋게 주출용 개구 구멍(23)으로 내용물이 유도되게 된다.
노즐부(13)는,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 기부(12)의 저면부(22)에 세워 설치되고, 축선(C)을 따라 용기 본체(100A)와는 반대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노즐부(13)는 저면부(22)의 제 1 경사면(22A)에 세워 설치된 홈통형상부(24)와 한 쌍의 수용부(26, 26)를 갖고 있다.
홈통형상부(24)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출용 개구 구멍(23)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Z방향)으로 기립하도록 해서 연장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노즐 유로(18)의 유로 지름이 연장방향(Z방향)에서 대략 일정하게 되어 있다.
홈통형상부(24)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주출용 개구 구멍(23)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해서 형성되어 있다. 홈통형상부(24)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X측으로 개구하는 단면 U자 형상을 이루고, +X측의 개구단(24a, 24a)은 주출용 개구 구멍(23)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고 있지 않고, X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주출용 개구 구멍(23)은 일례로서 물방울형상을 이루고 있다. 홈통형상부(24)는 주출용 개구 구멍(23) 중 제 1 경사면(22A)에 형성된 제 1 개구(23A)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고, 원호 형상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출용 개구 구멍(23) 중 제 2 경사면(22B)에 형성된 제 2 개구(23B)는 홈통형상부(24)의 +X측의 개구단(24a)보다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고, 홈통형상부(24)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고 개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출용 개구 구멍(23)은 저면부(22)의 제 1 경사면(22A)으로부터 제 2 경사면(22B)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경도시에 상위측이 되는 제 2 경사면(22B)은 노즐부(13)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제 1 경사면(22A)에 대해서 되접어지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에, 주출시에 내용물이 제 2 경사면(22B)측에 얹히기 어렵다. 그 때문에 주출용 개구 구멍(23) 중 제 2 경사면(22B)에 형성된 부분의 개구 상태를 유지하기 쉽고, 일부를 공기 치환 구멍(25)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홈통형상부(24)의 양 외측에는 홈통형상부(24)를 따라 축선방향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홈통형상부(24)의 외형을 따라서 만곡하는 한 쌍의 수용부(26, 26)가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수용부(26, 26)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축선방향에서 감합부(11)의 내측에 가려진 제 1 부분(26A)에 대해서 감합부(11)보다 외측에 노출되는 제 2 부분(26B)이 홈통형상부(24)의 선단을 향해서 극단적으로 가늘어진 테이퍼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수용부(26, 26)는 축선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노즐부(13)의 -X측의 정상부(q)로부터 지름방향 양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만곡되고, 노즐부(13)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노즐부(13)로부터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수용부(26, 26)의 축선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제 1 부분(26A)에 있어서의 +X측의 개구단(26a, 26a)은 홈통형상부(24)의 개구단(24a, 24a)보다 -X측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의 노즐캡(10)은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로부터 노즐 기부(12)의 저부측을 수용 공간(100a) 내에 삽입시키면서, 감합부(11)의 암나사부(20)를 용기 본체(100A) 측의 수나사부(도시하지 않음)에 나사 결합시키면서 체결함으로써, 용기 본체(100A)에 장착된다. 용기 본체(100A)에 장착된 노즐캡(10)에는 감합부(11)의 수나사부(17)에 계량캡(102)의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됨으로써, 계량캡(102)이 장착된다.
용기 본체(100A) 내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할 때에는, 계량캡(102)을 체결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계량캡(102)의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와 노즐캡(10)의 수나사부(17)의 나사 결합을 해제해서 계량캡(102)을 노즐캡(10)으로부터 분리한다.
계량캡(102)을 분리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100A)를 파지하고 노즐캡(10)의 노즐부(13)의 개구측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부터,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노즐부(13)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기울임으로써, 용기 본체(100A)에 수납된 내용물을 노즐부(13)로부터 계량캡(102)으로 주출해서 계량할 수 있다.
지나치게 많이 나와 버린 경우에는 다시 용기 본체(100A) 내로 되돌리고자 하지만, 그때에 주출용 개구 구멍(23) 내로 들어가지 않고 홈통형상부(24)의 외측으로 누출된 내용액은 그 양측에 존재하는 한 쌍의 수용부(26, 26)에 의해 받아낼 수 있다. 각 수용부(26)에 의해 수용된 내용액은 경도시에 제 2 부분(26B)을 따라 선단측으로 안내되고, 그 후의 계량시에 주출된다.
내용물을 리필할 때에는, 계량캡(102)을 체결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계량캡(102)의 암나사부(도시하지 않음)와 노즐캡(10)의 수나사부(17)의 나사결합을 해제해서 계량캡(102)을 노즐캡(10)으로부터 분리한다. 계량캡(102)을 분리한 상태에서, 리필 용기로부터 노즐캡(10)의 노즐부(13)를 통해서 용기 본체(100A)에 내용물을 리필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용기 본체(100A) 내의 내용물의 잔량이 줄어져 오면,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3)와 노즐캡(10)의 노즐 기부(12) 사이에 내용물이 들어가버린다. 그 때문에, 용기 본체(100A)를 경도시켜도 노즐캡(10)으로부터 내용물이 여간해서 주출되지 않고, 용기 본체(100A) 내에 내용물이 잔류해버려서 완전하게 다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저면부(22)를 구성하는 제 1 경사면(22A)의 일부에 주출용 개구 구멍(23)을 통하는 오목형상의 유도부(2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도부(28)에 의해 사용시에 용기 본체(100A)를 경도시켰을 때에,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와 구부(101) 내에 삽입된 노즐 기부(12) 사이에 들어간 내용물이 유도부(28)에 의해 주출용 개구 구멍(23)으로 유도되고, 홈통형상부(24)를 통해서 주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도부(28)는 주출용 개구 구멍(23)으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고, 주출용 개구 구멍(23)에 가까울수록 일면(22B)측으로부터 떨어진 깊은 함몰부로 되어 있다. 또한, 유도부(28)의 내면(28a)의 정상부(Q)측이 축선(C)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음과 아울러, 저면부(22)의 제 1 경사면(22A)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100A)를 경도시켰을 때에, 제 1 경사면(22A)을 따라 주출용 개구 구멍(23)보다 하측에 괴인 내용물이 노즐부(13)측으로 오목한 유도부(28) 내로 들어가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용기 본체(100A) 내의 내용물의 잔량이 적을 경우에도, 용기 본체(100A)의 경도 각도를 극단적으로 크게 하지 않고, 내용물을 주출용 개구 구멍(23)에 효율적으로 유도하여 주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노즐캡(10)에 의하면, 경도시에 하측이 되는 개소에 유도부(28)를 형성함으로써, 용기 본체(100A)와의 사이에 괴인 내용물의 유출성을 개선할 수 있어서, 용기 본체(100A) 내에 있어서의 잔액을 줄여서 내용물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도부(28)의 내면(28a)의 정상부(Q)측이 축선(C)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내면(28a)의 주출용 개구 구멍(23)측의 단부가 내측 통부(21)측의 단부보다 +Z방향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어도 좋다. 즉, 제 1 경사면(22A)과는 반대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용기 본체(100A)측의 내용물을 퍼내도록 유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수용부(26)에 있어서 제 1 부분(26A)에 있어서의 잔액 회수 기능을 확보하면서, 감합부(11)보다 외측에 노출되는 제 2 부분(26B)을 가늘게 함으로써, 주출 조작시에 홈통형상부(24)의 선단측이 보이기 쉬워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계량캡(102)에 내용물을 붓기 쉽다. 또한, 제 2 부분(26B)에 수용된 잔액은 제 2 부분(26B)을 따라 선단측으로 안내되고, 홈통형상부(24)로부터 주출되는 내용물과 함께 계량캡(102)에 주출된다. 또한, 제 1 부분(26A)에 대해서 제 2 부분(26B)을 가늘게 함으로써, 사용하는 수지량을 저감할 수 있어서, 경량화 및 코스트 삭감이 도모된다. 또한, 노즐캡(10)의 전체로서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노즐캡(10)은 나사결합 타입이지만, 예를 들면 압입이나 언더컷부 등의 계합 등에 의해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용기 본체(100A)의 구부(101)에 삽입되어서 감합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 있어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생각이 미칠 수 있는 것은 명백하고,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양해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유도부(28)의 크기 및 형상은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내용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캡에 적용할 수 있다.
10…노즐캡(캡), 11…감합부, 12…노즐 기부, 13…노즐부, 22…저면부, 22A…제 1 경사면(경사면), 22B…제 2 경사면(경사면), 23…주출용 개구 구멍, 24…홈통형상부, 28…유도부, 100…용기, 100A…용기 본체, 101, 103…구부, C…축선, Q…정상부

Claims (6)

  1. 점성을 갖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내용물을 경도 주출하는 캡으로서,
    상기 구부에 감합하는 감합부와,
    상기 감합부의 내측에 동축을 이루어 설치되고 상기 구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노즐 기부와,
    상기 노즐 기부의 저면부에 동축을 이루어 세워 설치되고 상기 용기 본체와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 기부는 축선방향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노즐부의 내방의 상기 저면부에 형성된 주출용 개구 구멍과,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 중 경도시에 하측이 되는 부분에 접속된 오목형상의 유도부를 갖고,
    상기 유도부를 통해서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에 상기 내용물이 유도되도록,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이 상기 용기 본체의 수용 공간에 연통되어 있는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부터 상기 노즐부측을 향해서 오목한 오목형상으로 되어 있는 캡.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출용 개구 구멍측이 가장 함몰 상태가 큰 캡.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정상부가 홈통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축선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캡.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의 정상부 측의 폭은, 상기 유도부가 접한 주출용 개구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의 폭보다 작은 캡.
  6. 삭제
KR1020197023726A 2017-02-16 2018-02-02 KR1026720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6854A JP6895765B2 (ja) 2017-02-16 2017-02-16 キャップ
JPJP-P-2017-026854 2017-02-16
PCT/JP2018/003621 WO2018150909A1 (ja) 2017-02-16 2018-02-02 キャ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577A KR20190118577A (ko) 2019-10-18
KR102672025B1 true KR102672025B1 (ko) 2024-06-04

Family

ID=63169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726A KR102672025B1 (ko) 2017-02-16 2018-02-02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95765B2 (ko)
KR (1) KR102672025B1 (ko)
CN (1) CN110267884B (ko)
WO (1) WO201815090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432A (ja) 1999-09-28 2001-04-10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キャップ
JP2010070203A (ja) * 2008-09-17 2010-04-02 Lion Corp 液体注出容器
JP2010274975A (ja) 2009-05-29 2010-12-09 Yoshino Kogyosho Co Ltd 液だまり防止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3809Y2 (ja) * 1993-08-24 1999-04-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H11321910A (ja) 1998-05-11 1999-11-24 Kao Corp 容器及びキャップ
JP2012188128A (ja) * 2011-03-09 2012-10-04 Rohto Pharmaceutical Co Ltd 液体容器用キャップおよび液体用容器
JP5934589B2 (ja) * 2012-07-02 2016-06-15 ライオン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部構造
US9567140B2 (en) * 2014-06-12 2017-02-14 Dart Industries Inc. Container with drip-proof c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432A (ja) 1999-09-28 2001-04-10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キャップ
JP2010070203A (ja) * 2008-09-17 2010-04-02 Lion Corp 液体注出容器
JP2010274975A (ja) 2009-05-29 2010-12-09 Yoshino Kogyosho Co Ltd 液だまり防止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67884B (zh) 2021-01-08
KR20190118577A (ko) 2019-10-18
JP2018131242A (ja) 2018-08-23
WO2018150909A1 (ja) 2018-08-23
CN110267884A (zh) 2019-09-20
JP6895765B2 (ja)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8272B (zh) Re-fill the container with the plug and refill method
JP5305801B2 (ja) 液体注出容器
TWI625282B (zh) Refilling container plug member, refilling method, and refilling container
JP5683235B2 (ja) 注出容器
JP5483165B2 (ja) 詰め替え容器
JP7158883B2 (ja) パウチパック用ホルダ及びパウチパック
JP5790114B2 (ja) 繰り返し使用容器
KR102672025B1 (ko)
JP5483164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JP6903480B2 (ja) 注出具
JP5600429B2 (ja) 注出容器
JP2017154749A (ja) 液体計量容器
JP5321896B2 (ja) 詰め替え容器
KR102626529B1 (ko)
JP6175509B2 (ja) 計量容器
JP2018188171A (ja) 容器
JP6276977B2 (ja) 注出キャップ
JP2011136763A (ja) 注出容器
WO2017175565A1 (ja) キャップ
JP2001253450A (ja) キャップ付容器
JP59530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6842945B2 (ja) キャップ
JP2013173548A (ja) 中空容器
JP6979897B2 (ja) 容器
JP5424148B2 (ja) 継続使用容器と詰め替え容器の組合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