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813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813A
KR20180103813A KR1020187002121A KR20187002121A KR20180103813A KR 20180103813 A KR20180103813 A KR 20180103813A KR 1020187002121 A KR1020187002121 A KR 1020187002121A KR 20187002121 A KR20187002121 A KR 20187002121A KR 20180103813 A KR20180103813 A KR 20180103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container
container body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타루 요시다
토시히로 타시로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3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을 회전시킨 때에도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의 속 마개(中栓)의 둘레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한다. 개구부(3)를 가지며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 본체(2)와, 개구부에 동축으로 감합하는 속 마개(6)와, 용기 본체에 나사부착한 때에 감합 상태의 속 마개의 표면부와 용기 본체의 표면부의 적어도 일방에 접하여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4)과, 속 마개와 용기 본체를 축 주위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기
본 발명은, 용기(容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1월 1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6-006922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액체 세제, 액체 표백제, 액체 유연제, 용제 등의 액상물이나 입상(粒狀) 세제, 입상 표백제, 입상 조미료 등의 분립물(粉粒物)을 수납하는 용기에서는, 노즐을 가지며 보틀에 장착되는 속 마개와, 노즐로부터 주출(注出)되는 내용액을 계량하는 계량통부(計量筒部)를 가지며, 속 마개에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캡을 갖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속 마개는 보틀의 개구부에 나사결합하고 캡은 속 마개에 나사결합하고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노즐을 가지며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속 마개와, 용기 본체의 입구부에 장착된 속 마개를 덮고서 용기 본체의 입구부벽의 외측면에 나사결합하는 캡을 구비한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속 마개의 통형상부의 상연(上緣)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플랜지가 형성되고, 플랜지가 용기 본체의 입구부벽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볼록부에 괘지(掛止)되어 있다. 캡은 용기 본체의 입구부벽에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속 마개의 통형상부에 당접하는 제1의 이너 링과, 용기 본체의 입구부벽에 당접하는 제2의 이너 링과, 입구부벽의 상단면을 가압하는 당접부에 의해 밀폐성을 유지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3-13311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2-206744호 공보
용기 본체에서의 입구부 둘레방향의 노즐 위치는, 용기 본체를 파지(把持)한 때에 내용물을 추출하기 쉬운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기에서 캡을 닫을 때, 또는 열 때에 캡을 회전시키면, 속 마개에 토오크가 전하여져서 회전하여 노즐의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용기에 대해서도,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해 캡의 제1의 이너 링이 속 마개의 통형상부에 당접하고 있기 때문에 캡을 회전시킨 때에 속 마개도 회전하여 노즐의 위치가 어긋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캡을 회전시킨 때에도 용기 본체의 개구부에서의 속 마개의 둘레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양태에 따르면, 개구부를 가지며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동축으로 감합하는 속 마개와,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부착한 때에, 감합 상태의 상기 속 마개의 표면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부의 적어도 일방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과, 상기 속 마개와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축 주위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마련된 감합 볼록부와, 상기 속 마개에 마련되고 상기 축 주위방향으로 상기 감합 볼록부와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 또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축 주위방향에서의 상기 내용물의 주출 위치에 대해 상기 축을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속 마개에 마련된 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 마개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감합하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하단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측으로 축경하여 늘어나는 축경부를 가지며, 상기 노치부는, 상기 통부로부터 상기 축경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속 마개는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통형상의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노즐의 개구 영역과 상기 축을 끼우고 대향하는 영역에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에서는, 캡을 회전시킨 때에도 용기 본체에서의 개구부의 둘레방향의 속 마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정립 상태의 정상부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으로 본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감합 볼록부(21)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개구부(3)의 단면도.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정립(正立) 상태의 정상부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의 감합 볼록부(21) 주변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상하를 역방향으로 한 도면.
도 9는 계량캡 부착 용기(1)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용기의 실시의 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한 양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각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실제의 구조와 각 구조에서의 축척이나 수 등을 다르게 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계량캡 부착 용기(용기)(1)의 정립 상태의 정상부의 종단면도이다. 계량캡 부착 용기(1)는 내용물을 수납하는 용기 본체(2)와, 용기 본체(2)에서의 정상부에 위치하는 개구부(3)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계량캡(캡)(4)과, 개구부(3)의 내측에 감합하는 속 마개(노즐 캡)(6)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는 내용물로서 예를 들면, 액체 세제, 액체 표백제, 액체 유연제, 용제 등의 액상물이나, 입상 세제, 입상 표백제, 입상 조미료 등의 분립물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2a)을 갖고 있다. 용기 본체(2)의 개구부(3)는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납 공간(2a)을 상방으로 개방하고 있다. 개구부(3)의 외주에는 축선(C) 주위로 수나사부(3a)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선(C)에 따른 방향을 축선방향, 축선(C)에 직교하는 방향을 지름방향, 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축 주위방향을 둘레방향이라고 적절히 칭한다. 또한, 축선방향에서의 개구부(3)의 개방측을 상방, 개구부(3)의 보틀 안쪽 측을 하방이라고 적절히 칭한다. 또한, 축선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도 1 중 좌우 방향을 X방향으로 하고, Z방향 및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 1 중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Y방향으로 하여 적절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계량캡(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3)에서의 축선(C)의 +X측에는, 내측(내주측)으로 돌출하는 감합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볼록부(21)의 외주면측은, 감합 볼록부(21)의 형상에 대응한 홈부(21a)(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를 블로우 성형할 때의 금형에, 홈부에 응한 볼록부를 마련함에 의해 감합 볼록부(21)가 성형된다. 또한, 개구부(3)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나사부(3a)가 형성되고, 당해 수나사부(3a)에 계량캡(4)의 암나사부(42a)가 나사결합하지만, 개구부(3)의 외주면에 홈부가 형성되어도 상기한 나사결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도 3은, 도 1에서의 감합 볼록부(21) 주변의 부분 확대도이다. 감합 볼록부(21)는 수나사부(3a)보다도 +Z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로 되돌아와 속 마개(6)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속 마개(6)는 축선(C)을 중심으로 하는 통부(31), 통부(31)의 상방측의 단부로부터 지름방향 외측으로 늘어나는 환형상의 플랜지부(32), 통부(31)의 하단부터 하방으로 늘어나고, 수납 공간(2a)에 들어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상의 삽입부(축경부)(33)와, 삽입부(33)에서의 보틀 하방으로 볼록한 V자형상의 저벽부(33a)의 일방의 경사면으로부터 보틀 상방으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측으로 개구하는 단면 U자형상을 이루고 늘어나는 통형상의 노즐(34)을 갖는다.
통부(31)는 개구부(3)의 내주면에 예를 들면 압입이나 언더 커트부의 계합 등에 의해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삽입되어 감합하여 있다. 플랜지부(32)는 통부(31)가 개구부(3)의 내측에 삽입된 때에 개구부(3)의 상단에 상방부터 계합한다.
통부(3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감합 볼록부(21)와 대향하는 위치에 둘레방향으로 감합 볼록부(21)와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35)를 갖는다. 감합 볼록부(21)와 감합 오목부(35)가 감합함에 의해 감합 볼록부(21)와 감합 오목부(35)는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즉, 감합 볼록부(21)와 감합 오목부(35)는 속 마개(6)와 용기 본체(2)를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60)를 구성한다.
삽입부(33)는 통부(31)의 하단부터 축경하여 개구부(3)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경사하여 저벽부(33a)와 접속되는 주벽부(33b)를 갖고 있다. 저벽부(33a)에는 단면 U자형상을 한 노즐(34)의 내부와 용기 본체(2)의 수납 공간(2a)을 연통시키는 연통부(36)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캡(4)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합성수지를 사용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계량캡(4)은 상방부터 노즐(34)을 수용하도록 삽입부(33) 내에 들어가는 덮개가 있는 원통형상의 계량부(41)와, 계량부(41)의 축선방향 중간부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이간하여 마련된 원통형상의 외통부(42)와, 외통부(42)의 상방측의 단부로부터 지름방향 내측으로 늘어나 계량부(41)의 외주면에 접속되는 플랜지부(43)를 갖고 있다.
계량캡(4)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계량부(41)의 개구부를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주입한 세제 등의 내용물과, 계량부(4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각인 또는 인쇄 등에 의해 기재된 계량 눈금(도시 생략)과의 상대 위치를 바깥쪽에서 시인 가능하다. 계량부(41)의 상면은, XY 평면과 평행하고, 계량부(41)의 개구부를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안정하게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통부(42)의 내주면에는 개구부(3)의 수나사부(3a)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계량캡(4)에서의 플랜지부(43)의 하면에는, 밀봉 돌기부(43a) 및 밀봉 돌기부(43b)가 각각 둘레방향의 전둘레에 걸쳐서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름방향의 내측에 배치된 밀봉 돌기부(43a)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 지름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하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밀봉 돌기부(43a)는, 개구부(3)의 수나사부(3a)와 외통부(42)의 암나사부(42a)가 나사부착한 때에, 경사면이 속 마개(6)에서의 통부(31)의 내주면과 플랜지부(32)의 상면과의 교차부에 당접함에 의해 속 마개(6)의 내부 공간(6a)이 밀봉된다. 밀봉 돌기부(43b)는 밀봉 돌기부(43a)보다도 지름방향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밀봉 돌기부(43b)는, 개구부(3)의 수나사부(3a)와 외통부(42)의 암나사부(42a)가 나사부착한 때에, 개구부(3)의 상단에 계합하고 있는 플랜지부(32)에 상방부터 당접하여 속 마개(6)의 내부 공간(6a)을 밀봉한다.
상기 구성의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조립은 우선, 개구부(3)의 내측에 속 마개(6)를 장착한다. 개구부(3)의 내측에의 속 마개(6)의 장착은 삽입부(33)를 개구부(3)로부터 수납 공간(2a)에 삽입시키면서 통부(31)를 개구부(3)의 내주면에 감합시킴과 함께, 플랜지부(32)를 개구부(3)의 상단에 계합시킨다. 이때, 속 마개(6)의 감합 오목부(35)를 용기 본체(2)(개구부(3)의 감합 볼록부(21)에 감합시키면서 속 마개(6)를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속 마개(6)는 용기 본체(2)(개구부(3)에 대해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어서, 개구부(3)의 수나사부(3a)에 계량캡(4)의 암나사부(42a)를 나사결합(나입)시키면서 체결함에 의해 용기 본체(2)에 계량캡(4)이 장착된다. 용기 본체(2)에 계량캡(4)이 장착된 때에는 계량캡(4)의 밀봉 돌기부(43a)가 속 마개(6)에 당접함에 의해 속 마개(6)의 내부 공간(6a)이 밀봉된다. 또한, 용기 본체(2)에 계량캡(4)이 장착된 때에는, 계량캡(4)의 밀봉 돌기부(43b)가 속 마개(6)의 플랜지부(32)에 상방부터 당접하여 하방으로의 하중을 부가하기 때문에 플랜지부(32)와 개구부(3)의 상단과의 사이를 밀봉함과 함께, 플랜지부(32)와 플랜지부(43)와의 간극을 밀봉하고, 밀봉 돌기부(43a)와 속 마개(6)와의 밀봉부로부터 내용물이 누설된 경우에도 내용물의 외부로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조립이 완료된다.
계량캡 부착 용기(1)를 사용할 때에는 우선, 계량캡(4)을 체결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개구부(3)의 수나사부(3a)와 계량캡(4)의 암나사부(42a)의 나사결합을 해제하여 계량캡(4)을 분리한다. 체결시 및 체결 해제시에 있어서 계량캡(4)을 회전시킨 때에는 밀봉 돌기부(43a) 및 밀봉 돌기부(43b)가 속 마개(6)에 당접하여 회전 방향(둘레방향)으로 하중을 부여하지만, 감합 볼록부(21)와 감합 오목부(35)가 감합하는 위치 결정부(60)에 의해 둘레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2)에 대한 속 마개(6)(노즐(34))의 위치는 유지된다.
계량캡(4)을 벗겨내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를 파지하여 노즐(34)의 개구부를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개구부(3)가 하방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기울임에 의해 용기 본체(2)에 수납된 내용물을 노즐(34)로부터 계량캡(4)에 주출하여 계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는 위치 결정부(60)가 속 마개(6)와 용기 본체(2)를 둘레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용기 본체(2)에 대한 계량캡(4)의 부착, 또는 벗겨낸 때에 계량캡(4)을 회전시켜도 둘레방향의 노즐(34)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는, 미리 설정된 최적의 노즐(34)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내용물을 안정하게 주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계량캡 부착 용기(1)를 도 2에 도시한 단면도와 같은 위치에서 단면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와 상기한 제1 실시 형태가 다른 점은 위치 결정부(60)의 구성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60)는 용기 본체(2)의 개구부(3)의 내주면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형성된 2개의 감합 오목부(21A)와 속 마개(6)에 감합 오목부(21A)와 지름방향에 대향하여 형성된 감합 볼록부(35A)를 갖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도 감합 오목부(21A)와 감합 볼록부(35A)가 둘레방향으로 감합함에 의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와 마찬가지로 계량캡(4)을 회전시켜도 둘레방향의 노즐(34)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을 안정하게 주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계량캡 부착 용기(1)를 도 2에 도시한 단면도와 같은 위치에서 단면한 도면이다. 도 7은, 감합 볼록부(21) 주변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속 마개(6)는 지름방향으로 감합 볼록부(21)와 대향하는 위치에 통부(31)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는 노치부(35B)를 갖고 있다. 노치부(35B)에는 감합 볼록부(21)가 둘레방향으로 감합하여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치부(35B)는 감합 볼록부(21)보다도 상방의 위치로부터 주벽부(33b)에 걸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와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도, 감합 오목부(21)와 감합 볼록부(35B)가 둘레방향으로 감합함에 의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와 마찬가지로 계량캡(4)을 회전시켜도 둘레방향의 노즐(34)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내용물을 안정하게 주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용기 본체(2) 내의 내용물이 적어져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량캡 부착 용기(1)의 상하를 역방향으로 한 때에 연통부(36)보다도 내용물(S)의 액위(液位)가 낮아지면 내용물(S)을 주출할 수 없게 되지만,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는, 개구부(3)의 단부 부근까지 노치부(35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부(35B)로부터 내용물(S)을 주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는 위치 결정부(60)를 구성하는 노치부(35B)를 둘레방향에서의 내용물(S)의 주출 위치(즉, 노즐(34)의 위치)에 대해 축선(C)을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34)이 주출 위치의 상태에서 용기 본체(2)를 비스듬하게 기울인 때에 도 8 중,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용물(S)이 노치부(35B)를 통하여 노즐(34)의 개구부에 도입되고 계량캡(4)에 주출할 수 있다. 그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는 다 사용할 수가 없어서 용기 본체(2)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S)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예에서 나타낸 각 구성 부재의 여러 형상이나 조합 등은 한 예이고 본 발명의 주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계 요구 등에 의거하여 여러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는 위치 결정부(60)를 구성한 노치부(35B)가 내용물(S)의 배액구를 겸용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계량캡 부착 용기(1)에서 설명한 감합 볼록부(21) 및 감합 오목부(35)를 갖는 위치 결정부(60)와는 분리하여 속 마개(6)에 배액구(35C)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에도 배액구(35C)는 노즐(34)에 대해 축선(C)을 끼우고 대향하는 영역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노치부(35B)는 복수 마련되어 있어도 좋고, 이 경우에 대해서도 노즐(34)에 대해 축선(C)을 끼우고 대향하는 영역에 노치부(35B)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을 채택함에 의해 노치부(35B) 또는 배액구(35C)로부터 배액된 내용물(S)이 노즐(34)과는 다른 위치(옆 위치)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계량캡 부착 용기(용기) 2 : 용기 본체
3 : 개구부 4 : 계량캡(캡)
6 : 속 마개(노즐 캡) 21 : 감합 볼록부
33 : 삽입부(축경부) 34 : 노즐
35 : 감합 오목부 35A : 노치부
60 : 위치 결정부

Claims (6)

  1. 개구부를 가지며 내용물이 충전된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에 동축으로 감합하는 속 마개와,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부착한 때에, 감합 상태의 상기 속 마개의 표면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부의 적어도 일방에 접하여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캡과,
    상기 속 마개와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축 주위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마련된 감합 볼록부와, 상기 속 마개에 마련되고 상기 축 주위방향으로 상기 감합 볼록부와 감합하는 감합 오목부 또는 노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축 주위방향에서의 상기 내용물의 주출(注出) 위치에 대해 상기 축을 끼우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속 마개에 마련된 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속 마개는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감합하는 통부와, 상기 통부의 하단부터 상기 용기 본체의 저부측으로 축경하여 늘어나는 축경부를 가지며,
    상기 노치부는 상기 통부로부터 상기 축경부에 이르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속 마개는 상기 내용물을 주출하는 통형상의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노즐의 개구 영역과 상기 축을 끼워 대향하는 영역에 하나 이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187002121A 2016-01-18 2017-01-13 용기 KR20180103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6922A JP6688614B2 (ja) 2016-01-18 2016-01-18 容器
JPJP-P-2016-006922 2016-01-18
PCT/JP2017/001005 WO2017126427A1 (ja) 2016-01-18 2017-01-13 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813A true KR20180103813A (ko) 2018-09-19

Family

ID=59362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21A KR20180103813A (ko) 2016-01-18 2017-01-13 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88614B2 (ko)
KR (1) KR20180103813A (ko)
MY (1) MY188865A (ko)
WO (1) WO2017126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79897B2 (ja) * 2018-02-08 2021-12-15 ライオン株式会社 容器
JP6994986B2 (ja) * 2018-03-02 2022-01-14 ライオン株式会社 容器
CN113056426B (zh) * 2019-02-08 2023-03-28 万通集团公司 用于容器的分配封闭件
JP7296774B2 (ja) * 2019-04-26 2023-06-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ヒンジキャッ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6154A1 (de) * 1986-08-01 1988-02-04 Henkel Kgaa Messbecherverschluss und verfahren zum montieren des verschlusses
JPH0621893Y2 (ja) * 1986-10-22 1994-06-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計量キヤツプ付き容器
FR2655621B1 (fr) * 1989-12-07 1992-02-28 Moulage Automatique Sa Ensemble formant bouchon verseur et doseur pour toutes sortes de recipients et recipient adapte.
US5462202A (en) * 1994-08-25 1995-10-31 Owens-Illinois Closure Inc. Liquid containing and dispensing package
JP2010260605A (ja) * 2009-05-01 2010-11-18 Lion Corp キャップ付き容器
JP5350310B2 (ja) * 2010-03-31 2013-11-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詰替え容器
CA2755261A1 (fr) * 2011-10-06 2013-04-06 Pont Emballage Dispositif de do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26427A1 (ja) 2017-07-27
JP6688614B2 (ja) 2020-04-28
JP2017128339A (ja) 2017-07-27
MY188865A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813A (ko) 용기
RU2397932C2 (ru) Укупорочный узел для емкости
US5540326A (en) Two-component packages
JPWO2010122981A1 (ja) 用時混合容器
TW201433515A (zh) 再塡充容器用栓體
JP4954695B2 (ja) 詰め替え用容器
KR20170092450A (ko) 계량용기
JP6198392B2 (ja) キャップのシール構造
KR102227708B1 (ko) 계측 뚜껑
JP2008162656A (ja) キャップ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JP4884940B2 (ja) 詰め替え用容器
RU2371366C1 (ru) Тара для двух несмешиваемых компонентов
JP6175509B2 (ja) 計量容器
JP6979897B2 (ja) 容器
ES1215591U (es) Tapon roscado
JP6994986B2 (ja) 容器
US11655079B1 (en) Anti-theft plastic bottle cap
JP7479770B2 (ja) 容器用キャップ
JP5373554B2 (ja) 注出栓
KR102672025B1 (ko)
JP698838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トランジッションキャップ、および、ボトル
JP6722612B2 (ja) 容器
KR101122273B1 (ko)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염색약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JP6373118B2 (ja) 計量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