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4248A - 적층박리용기,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박리용기,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4248A
KR20170084248A KR1020177016156A KR20177016156A KR20170084248A KR 20170084248 A KR20170084248 A KR 20170084248A KR 1020177016156 A KR1020177016156 A KR 1020177016156A KR 20177016156 A KR20177016156 A KR 20177016156A KR 20170084248 A KR20170084248 A KR 20170084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ap
layer
container
inle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407B1 (ko
Inventor
신스케 타루노
테츠아키 에구치
켄타로 우치하시
코우이치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810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400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8105A external-priority patent/JP65400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8100A external-priority patent/JP654001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31081A external-priority patent/JP65867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368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23245B2/ja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5/08455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6098668A1/ja
Publication of KR20170084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905Using combined techniques for making the preform
    • B29C49/0691Using combined techniques for making the preform using sheet like material, e.g. sheet blow-moulding from joined sheets
    • B29C49/06916Means for avoiding parts of the sheets to stick together, e.g. to provide blow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2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94Containers having an external wall formed as, or with, a diaphragm or the like which is deformed to expel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BAPPLYING CLOSURE MEMBERS TO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OPENING CLOSED CONTAINERS
    • B67B3/00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 B67B3/22Clos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by applying caps by applying snap-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서포트 링을 설치하지 않고 캡 장착 시의 용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이 계합되는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보다 상기 수용부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잘록부의 상벽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상벽에 대하여 45~135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입설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벽에서의 상기 내층과 상기 입설벽에서의 상기 내층의 사이에 틈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박리용기,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DELAMINATION CONTAINER, METHOD FOR ATTACHING CAP TO DELAMINATION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LAMINATION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이 외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및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음료용 보틀(bottle)에 장착되는 캡의 구성을 공개하고 있다. 이러한 캡은 통상 공장에서는, 보틀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보틀의 입구부에 설치한 서포트 링(support ring)을 지지도구로 지지한 상태에서 보틀의 입구부에 장착된다.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이 외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수축함으로써 용기의 내부에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적층박리용기도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2~3). 이러한 적층박리용기는,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와, 외층에 의해 구성되는 외각을 갖춘다. 적층박리용기는 통상, 체크밸브를 갖추는 캡을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용기본체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이용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용기본체의 바닥부에는, 적층 파리손의 일단을 용착했을 때의 밀봉부가 설치되지만, 이 밀봉부는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강도를 높이기 위해 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이 밀봉부의 강도를 더욱 높이기 위해 밀봉부에서의 용착층이 복수의 잠식부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융착 시키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11-292112호 공보 일본등록특허 3650175호 공보 일본등록특허 3401519호 공보
(제1관점)
본 발명자들은, 적층박리용기에서도 캡을 장착할 때의 용기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해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성의 서포트 링을 용기의 입구부에 설치하는 것을 검토했다. 그러나, 적층박리용기에서는, 입구부에서도 내층과 외층의 2층 구성으로 되어 있어, 입구부에 서포트 링을 설치하면, 서포트 링의 부위에서, 내층이 외층에 의해 협지(陜持)되어 내층이 외층으로부터 박리하기 어려워지는 현상이 생길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 것이며, 서포트 링을 설치하지 않고 캡 장착 시의 용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관점)
그런데, 용기 내의 내용물은 외각을 압축함으로써, 용기의 입구부에 설치한 캡으로부터 토출된다. 캡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에 따라 내측주머니 내의 내용물의 용량이 감소해도 내측주머니 내에는 외기가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내측주머니가 수축한다. 한편, 외각에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외각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도록,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공간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도입공이 설치된다. 그러나, 용기 사이즈가 작을 경우 등에는, 내측주머니가 스무드하게 수축하지 않을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 것이며, 내측주머니가 스무드하게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3관점)
특허문헌 3의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 금형에는 파리손 융착층을 억압하는 핀을 배치 하는 것이 필요하여 금형구조가 복잡해져 생산 코스트가 증가된다. 때문에,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밀봉부를 강화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것이며, 생산성이 뛰어난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4관점)
그런데, 용기 내의 내용물은 외각을 압축함으로써, 용기의 입구부에 설치한 캡으로부터 토출된다. 캡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토출에 따라 내측주머니 내의 내용물의 용량이 감소해도 내측주머니 내에는 외기가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내측주머니가 수축한다. 한편, 외각에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외각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도록, 외각과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공간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도입공이 설치된다. 그러나, 용기형상이나 외기도입공의 위치에 따라서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기 어렵거나 외각 형상이 복원되기 어려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 것이며, 내측주머니가 신속하게 수축하는 동시에 외각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5관점)
그런데, 본 발명자가 적층박리용기 용기본체에 타전식(打栓式)캡을 장착하여 시험을 한 바, 용기본체와 캡의 사이의 틈을 통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외기가 들어갈 경우가 있는 것을 알았다. 용기본체 내부에 외기가 들어가 버리면, 내용물의 열화가 촉진되기 때문에, 용기본체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관점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진행된 것이며, 용기본체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제1~ 제5관점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을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제1~ 제5관점의 해결 수단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의하면,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이 계합(係合) 되는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보다 상기 수용부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잘록부의 상벽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상벽에 대하여 45~135도의 각도로 연장하는 입설벽(立設壁)을 구비하고, 상기 상벽에서의 상기 내층과, 상기 입설벽에서의 상기 내층의 사이에 틈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서포트 링을 설치하지 않고 용기본체의 입구부를 지지도구로 지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예의 검토를 실시한 바, 플랜지(flange) 형상의 서포트 링을 설치하는 대신에,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이 계합되는 계합부보다 하측에,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를 설치하여, 이 잘록부의 상벽을 지지도구로 지지함으로써 캡 장착 시의 용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또한, 잘록부의 상벽의 외측단으로부터, 상벽에 대하여 45도 ~135도의 각도로 연장하는 입설벽을 설치하고, 상벽에서의 내층과 입설벽에서의 내층의 사이에 틈을 설치함으로써, 내층이 외층에 의해 협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제1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벽은, 상기 입구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설벽은, 상기 상벽에 대한 각도가 60~120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설벽의 상단측으로부터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대향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벽에서의 상기 내층과, 상기 대향벽에서의 상기 내층의 사이에 틈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향벽은, 상기 상벽에 대한 각도가 -10~80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는, 상기 캡의 이너링(inner ring)이 당접하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당접부는, 상기 계합부보다 상기 입구부의 토출구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잘록부가 설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잘록부가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제1영역에서의 잘록부보다 잘록한 양이 작은 소잘록부가 설치되는 제2영역을 갖추고,
상기 입구부의 제2영역에는,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의 사이의 중간공간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도입공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상벽보다 상기 입구부의 토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관점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상기 기재의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캡을 상기 입구부에 장착할 때에 상기 입구부를 지지하는 지지도구를 상기 상벽의 하면(下面)에 당접시켜 상기 입구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캡을 상기 입구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상기 내용물에 접촉하는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에 대하여 접동(摺動) 가능한 피복층을 갖추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적층박리용기는, 내층이 내용물에 접촉하는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에 대하여 접동 가능한 피복층을 구비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종래는, 산소 차단성이 높은 EVOH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이 최내층에 접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구성이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EVOH수지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그 만큼, 피복층과 최내층이 일체로 된 내층이 변형하기 어려워 내측주머니가 스무드하게 수축되지 않을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관점에서는, 최내층이 피복층에 접착되어 있지 않고, 최내층이 피복층에 대하여 접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피복층의 강성이 높을 경우라도, 최내층은 비교적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내측주머니가 스무드하게 수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복층은 EVOH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를 갖추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오목영역과, 그 주위에 설치되는 주변영역을 갖추고, 상기 중앙오목영역이 주변영역보다 상기 입구부를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각을 구성하는 외층과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을 갖추는 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형성할 때의 상기 적층 파리손의 밀봉부를, 상기 중앙오목영역에, 상기 주변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면을 넘어 돌출하도록, 박막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하는 밀봉부 형성 공정과, 상기 밀봉부가 상기 중앙오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밀봉부를 절곡 가공 또는 용융 가공하는 밀봉부 가공 공정을 갖추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서는, 용기본체의 수용부의 바닥면에 설치한 중앙오목영역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적층 파리손이 압축되어 형성된 박막 형상의 밀봉부를 형성하고, 이 밀봉부에 대하여 절곡 가공 또는 용융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밀봉부를 강화할 수 있는 동시에, 밀봉부를 중앙오목영역 내에 수용하고 있다. 적층박리용기가 눈약용기와 같은 소형의 용기일 경우에는, 중앙오목영역의 오목한 량도 작아지고, 밀봉부를 중앙오목영역 내에 수용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제3관점에서는, 밀봉부가 박막 형상이기 때문에, 밀봉부를 절곡 또는 용융하여 중앙오목영역 내에 수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3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는, 그 최대두께가 상기 적층 파리손의 두께의 1/3이하로 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는, 그 전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의하면,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각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상기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고강성부와, 상기 고강성부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저강성부 측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의 적층박리용기의 압축 시에는 저강성부가 우선적으로 억눌러져 크게 변형하기 때문에, 저강성부 측에서의 내층박리가 현저하게 된다. 또한, 외기도입공이 저강성부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강성부 측에서의 내층박리 시에 외기가 신속하게 도입됨으로써, 내층박리가 더 신속하게 진행하는 동시에, 외각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는, 통 형상의 통 형상부와, 상기 통 형상부의 일부가 움푹 패여 형성된 패널부를 갖추고, 상기 패널부가 상기 고강성부이며, 상기 통 형상부가 저강성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통 형상부에서 상기 패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5관점에 의하면,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를 갖추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동시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따라 설치된 입구부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주면에 따라 설치된 캡측 계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와 상기 캡측 계합부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입구부의 적어도 한 쪽에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측 계합부보다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캡의 사이의 틈을 좁게 하여 상기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기울기를 억제하는 기울기 억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이 외기침입의 원인에 대해 조사한 바, 용기본체의 입구부의 형상과 타전식 캡의 형상에 따라서, 입구부에 대하여 캡이 기울기 쉬워질 경우가 있으며, 캡이 기울면 캡과 입구부의 사이에 틈이 생기기 쉬워지는 것이 원인인 것을 알았다. 그리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기울기를 억제하는 기울기 억제부를 설치함으로써, 용기본체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제5관점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제5관점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울기 억제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입구부측 돌출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보다 상기 수용부측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가 설치되며, 상기 입구부측 돌출부는, 상기 잘록부 상벽과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울기 억제부는, 상기 캡의 내주면에 설치된 캡측 돌출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이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1~ 제4관점의 실시 형태의 도면)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용기본체(3)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용기본체(3)에 밸브부재(4)를 장착하고, 또한 밀봉부(27a)에 대하여 절곡 가공을 실시하여 바닥 밀봉부(27)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3의 (a) ~ (c)는, 도1~도2의 용기본체(3)의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2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4의 (a) ~ (c)는, 제1실시 형태의 변형예1의 입구부(9) 및 캡(23)을 나타내는 도3(a)~ (c)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5의 (a) ~ (c)는, 제1실시 형태의 변형예2의 입구부(9) 및 캡(23)을 나타내는 도3(a)~ (c)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6의 (a)는 통체(5)의 정면도, (b)는 통체(5)의 바닥면도, (c)는 A-A단면도, (d)는 B-B단면도, (e)는 밸브부재(4)의 단면도, (f)는 밸브부재(4)를 외각(12)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g)는 이동체(6)의 스톱퍼부(5h)에 당접하여 공동부(5g)를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의 (a) ~ (b)는, 피복부재로서 밀봉부재(8)를 사용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내층(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용기본체(3)의 입구부(9)를 나타내고, (a)는 도2중 A-A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b)~ (c)는 (a)중 B-B단면도 및 C-C단면도이다.
도10의 (a) ~ (b)은, 도9의 (b)~ (c)의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1은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1의 용기본체(3)의 입구부(9)를 나타내고, (a)은 도2 중 A-A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b)~ (c)는 (a)중 B-B단면도 및 C-C단면도이다.
도12는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2의 용기본체(3)의 입구부(9)를 나타내고, (a)는 도2중 A-A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b)~ (c)는 (a)중 B-B단면도 및 C-C단면도이다.
도13은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3의 용기본체(3)의 입구부(9)을 나타내고, (a)는 도2중 A-A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b)~ (c)는 (a)중 B-B단면도 및 C-C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관점의 실시 형태의 도면)
도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를 나타내고, (a)는 용기본체(3)에 캡(23) 및 밸브부재(4)를 장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b)는 용기본체(3)만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5의 (a)는 도14 (a)중 A-A단면도이며, (b)는 도15 (a)의 캡(23)의 캡 커버(23m)를 연 상태의 단면도이며, (c)는 도15 (a)로부터 입구부(9)를 뽑아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16의 (a) ~ (b)는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15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17의 (a)는 밸브부재(4)의 사시도이며, (b)~ (c)는 밸브부재(4)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8는 내층(13)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참고예에서의 입구부(9) 및 캡(23)을 나타내는 도15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서의 입구부(9) 및 캡(23)을 나타내는 도15 (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 중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명이 성립한다. 최초에 본 발명의 제1~ 제4관점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고, 그 후에, 본 발명의 제5관점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 제4관점의 실시 형태 중에서 설명한 특징과 제5관점의 실시 형태중에서 설명한 특징을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제4관점의 실시 형태)
1. 제1실시 형태
도1~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용기본체(3)와 밸브부재(4)를 갖춘다. 용기본체(3)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9)를 구비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수용부(7) 및 입구부(9)에 외층(11)과 내층(13)을 갖추고 있으며, 외층(11)에 의해 외각(12)이 구성되며, 내층(13)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으로부터 떨어져 수축한다. 한편, 수용부(7)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전에 내층(13)을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하는 예비박리공정을 실시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비박리 후에 수용부(7) 내에 에어를 취입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수용함으로써 내층(13)을 외층(11)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1)로부터 떨어진다. 한편, 예비박리공정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에는, 내용물의 토출 시에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되어 외층(11)으로부터 떨어진다.
입구부(9)에는, 계합부(9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전식의 캡(23)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상정되고 있고, 계합부(9d)는 캡(23)의 계합부(23c)에 계합되는 링 형상의 돌기(突起)이다. 다만,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암나사를 갖추는 캡이나 펌프 등을 장착해도 되고, 그 경우, 계합부(9d)는 나사부로 구성된다.
또한, 입구부(9)에는, 계합부(9d)보다 수용부(7) 측에, 입구부(9)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9c)가 설치되어 있다. 잘록부(9c)의 상벽(9e)은, 입구부(9)의 중심축C에 대하여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벽(9e)의 외측단으로부터 상벽(9e)에 대하여 45도 ~135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입설벽(9f)가 설치되어 있다. 상벽(9e)에 대한 입설벽 (9f)의 각도는 60도 ~120도가 바람직하고, 75~105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설벽(9f)은 상벽(9e)에 대하여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벽(9e)에서의 내층(13e)과 입설벽(9f)에서의 내층(13f)의 사이에는 틈이 설치되어 있어 내층(13e)과 내층(13f)이 일체화되지 않는다. 다른 표현으로는, 상벽(9e)에서의 외층(11e)과 입설벽(9f)에서의 외층(11f)에 의해 내층(13)이 협지되지 않고 있다.
또한, 입설벽(9f)의 상측단으로부터 입구부(9)의 내측을 향해 (중심축C의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대향벽(9g)이 설치되어 있다. 상벽(9e)에 대한 대향벽(9g)의 각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80도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약 30도이다. 상벽(9e)에서의 내층(13e)과 대향벽(9g)에서의 내층(13)g의 사이에는 틈이 설치되어 있어, 내층(13e)과 내층(13g)이 일체화되지 않는다. 다른 표현으로는, 상벽(9e)에서의 외층(11e)과 대향벽(9g)에서의 외층(11g)에 의해 내층(13)이 협지되지 않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서 내층(13)이 외층(11)에 의해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스무드하게 박리된다.
다음, 도3을 이용하여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하는 캡(23)은, 캡 본체(본체부)(23a)와, 캡 본체(23a)에 설치된 토출구(23b)와, 캡 본체(23a)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부 (외주부) (23f)의 거의 선단에 설치된 계합부(23c)와, 통부(23f)의 내측에서 캡 본체(23a)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이너링(23d)과, 이너링(23d)의 내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토출구(23b)에 연통하는 유통로(23g)와, 유통로(23g)에 설치된 체크밸브(23e)를 갖춘다. 캡(23)이 입구부(9)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부(7) 내의 내용물은, 유통로(23g)를 통해 토출구(23b)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체크밸브(23e)가 토출구(23b)로부터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때문에, 용기본체(3)의 내측주머니(14) 내에는 외기는 침입하지 않아 내용물의 열화가 억제된다. 한편, 여기에서 나타낸 캡(23)의 구조는 일예로서, 예를 들면 다른 구성의 체크밸브를 갖추는 캡(23)을 채용해도 된다.
캡(23)을 장착할 때는, 먼저, 캡(23)을 장착할 때의 충격에 의해, 수용부(7)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도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잘록부(9c)의 상벽(9e)의 하면에 지지도구(10)를 당접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3(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3)의 계합부(23c)를 입구부(9)의 계합부(9d)에 계합시킨다. 도3(b)의 상태로부터 계합부(23c)가 계합부(9d)를 극복할 때는, 캡(23)의 통부(23f)가 확경(擴徑)하도록 휘는 동시에 입구부(9)가 축경(縮徑)하기 때문에, 입구부(9)가 휘기 쉬운 쪽이 캡(23)의 장착이 용이한 바, 본 실시 형태의 입구부(9)에는, 일본공개특허 특개평 11-292112호 공보에 공개된 것과 같은 서포트 링(support ring)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잘록부(9c)의 상벽(9e)의 하면에 지지도구(10)를 당접시켜 입구부(9)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입구부(9)가 휘기 쉬워 캡(23)의 장착이 용이하다. 또한, 입구부(9)가 휘기 쉽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용기출구의 근처까지 휘기 쉽고 내용물을 최후까지 다 쓰기 쉽다.
또한, 입구부(9)에는 이너링(23d)의 외면이 당접하는 당접부(9a)가 설치되어 있어, 이너링(23d)의 외면이 입구부(9)의 당접부(9a)에 당접함으로써 내용물의 누설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의 선단에는 확경부(9b)가 설치되어 있고, 확경부(9b)에서의 내경은 당접부(9a)에서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너링(23d)의 외면은 확경부(9b)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없는 경우에는, 입구부(9)의 내경이 제조 시의 불균일에 의해 조금이라도 작아졌을 경우에는 이너링(23d)이 외층(11)과 내층(13)의 중간에 들어가 버리는 불량이 생길 경우가 있었지만,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있는 경우에는, 입구부(9)의 내경이 조금 불균일해도 그러한 불량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입구부(9)에 확경부(9b)를 설치했을 경우여도, 이너링(23d)과 당접부(9a)와의 마찰에 의해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해 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접부(9a)보다 수용부(7)에 가까운 위치에 잘록부(9c)가 설치되어 있어, 잘록부(9c)가 내층(13)이 엇갈리면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외각(12) 내로 탈락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렇게 잘록부(9c)는 내층(13)이 엇갈리면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추는 동시에 캡(23)의 장착 시에 지지도구(10)에 의한 입구부(9)의 지지 부위로서의 기능을 갖춘다.
여기에서, 도4~도5을 이용하여 제1실시 형태의 변형예1~2의 입구부(9) 및 캡(23)을 나타낸다.
도4에서 나타내는 변형예1은, 당접부(9a)의 위치가 다른 점이 도3의 구성과의 주요한 차이점이다. 도3의 구성에서는, 당접부(9a)가 계합부(9d)보다 용기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에 비해, 도4의 구성에서는, 당접부(9a)는 계합부(9d)보다 용기출구로부터 떨어져 있어, 계합부(9d)와 잘록부(9c)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어떠한 구성이라도 실시 가능하지만, 도3의 구성의 경우가 용기본체(3) 내의 용적을 효과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점에 더하여 내층 (13)이 용기출구에 가까운 위치에까지 박리가능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최후까지 토출하기 쉬운 점에서 유리하다.
도5에서 나타내는 변형예2는, 대향벽(9g)이 상벽(9e)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되어 있고, 상벽(9e), 입설벽(9f) 및 대향벽(9g)에 의해 거의 「ㄷ」자 형상(가로방향의 U자형상)으로 형성되는 점이 도3의 구성과의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내층(13e), (13f), (13g)의 사이에 틈이 설치되어 있어 이들이 일체화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도3의 구성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5의 구성의 경우, 상벽(9e)과 대향벽(9g)의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내층(13e)과 내층(13g)이 접촉하여 일체화되기 쉽기 때문에 상벽(9e)의 하면과 대향벽(9g)의 표면 사이의 거리는 상벽(9e)의 두께(외층(11e)과 내층(13e)의 총 두께)의 2.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층(13e)과 내층(13g)의 사이에 상벽(9e)의 두께의 약 절반의 두께의 틈이 형성된다.
수용부(7)는 도1~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원통 형상이며, 통 형상의 통 형상부(7b)와, 통 형상부(7b)의 일부가 움푹 패어 형성된 패널부(7c)를 갖춘다. 용기본체(3)는 통 형상(예: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본체(3)의 각 부의 두께는, 블로우 비가 큰 부위일수록 (중심축C로부터의 거리가 큰 부위일수록) 작아진다. 패널부(7c)는, 통 형상부(7b)보다 중심축C에 가깝기 때문에, 통 형상부(7b)보다 두께가 커진다. 이것 때문에, 패널부(7c)의 강성이 통 형상부(7b)보다도 높아 패널부(7c)가 고강성부로 되고 통 형상부(7b)가 저강성부로 된다.
수용부(7) 내의 내용물은, 수용부(7)를 압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토출시키지만, 통 형상부(7b)와 패널부(7c)를 잡고 수용부(7)를 압축하면, 강성이 낮은 통 형상부(7b)가 우선적으로 변형하기 때문에 통 형상부(7b)의 변형량이 패널부(7c)보다 커진다. 그리고, 내층(13)은 변형량이 큰 부위에서 외층(11)으로부터 박리되기 쉽기 때문에, 통 형상부(7b)에서 내층(13)의 박리가 우선적으로 진행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각(12)에는, 수용부(7)에서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사이의 중간공간(21)과, 용기본체(3)의 외부공간S를 연통하는 외기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고, 외기도입공(15)이 통 형상부 (저강성부)(7b)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층(13)이 박리할 때에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사이의 중간공간(21)에 외기가 스무드하게 도입되어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스무드하게 박리한다. 때문에, 수용부(7)를 압축했을 때에 내측주머니(14)가 스무드하게 수축하는 동시에 압축력이 제거되면 외각(12)이 스무드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외기도입공(15)은 통 형상부 (저강성부)(7b)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지만, 패널부(7c)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 형상부(7b)와 패널부(7c)를 잡고 수용부(7)를 압축했을 때에, 패널부(7c)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통 형상부(7b)가 가장 크게 변형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에는, 중간공간(21)과 외부공간S의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부재(4)는 수용부(7)에 설치된 밸브부재 설치요부(7a)에 장착된다. 밸브부재(4)는 수용부(7)를 압축했을 때에는 닫혀 중간공간(21)으로부터 외부공간S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을 높여 외각(12)에 가해진 압력이 내측주머니(14)에 전해지기 쉽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때문에, 내측주머니(14) 내의 수용물이 적어졌을 때에도, 내용물을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한편, 밸브부재(4)는 수용부(7)에 가한 압축력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열려 외부공간S로부터 중간공간(21)으로 향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때문에,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되어 외각(12)이 스무드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밸브부재(4)가 없어도 외각(12)을 크게 변형시킴으로써, 외각(12)을 통해 내측주머니(14)를 직접 압축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밸브부재(4)는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밸브부재(4)는 외기도입공(15)을 개폐 가능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되며, 그 구성 예로서는, 밸브부재(4) 자체에 관통공과 개폐가능한 밸브를 설치하여 이 밸브의 활동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나,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와 밸브부재(4)의 사이의 틈을 밸브부재(4)의 이동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밸브부재(4)가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전자(前者)의 밸브부재(4)는 외기도입공(15)의 사이즈에 다소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도 밸브부재(4)가 문제 없이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특히 눈약용기 등의 소형의 용기에 호적하게 적용된다.
여기에서, 도2 및 도7을 이용하여 밸브부재(4)의 일예에 대해 설명한다. 밸브부재(4)는 외부공간S와 중간공간(21)을 연통시키도록 설치된 공동부(5g)를 가지는 통체(5)와, 공동부(5g) 내에 이동가능하도록 수용된 이동체(6)를 갖춘다. 통체(5) 및 이동체(6)는 사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톱퍼부(5h)를 극복하도록 이동체(6)를 공동부(5g) 내에 밀어넣음으로써 이동체(6)를 공동부(5g) 내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공동부(5g)는 거의 원주형상이며, 이동체(6)는 거의 구형이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이여도 된다. 공동부(5g)의 횡단면(도6(d)의 단면)에서의 직경은 이동체(6)가 대응하는 단면에서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되어 있어 이동체(6)가 도6(c)의 화살표B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공동부(5g)의 횡단면의 직경/이동체(6)가 대응하는 단면에서의 직경으로 규정되는 비의 값은, 1.01~1.2이 바람직하고, 1.05~1.15이 더 바람직하다. 이 값이 지나치게 작으면 이동체(6)가 스무드한 이동이 방해되고, 이 값이 지나치게 크면 공동부(5g)를 둘러싸는 면(5j)과 이동체(6)와의 사이의 틈이 지나치게 커져, 용기본체(3)를 압축했을 때 이동체(6)에 가해지는 힘이 불충분해지기 쉽기 때문이다.
통체(5)는 외기도입공(15) 내에 배치되는 축부(5a)와, 축부(5a)의 외부공간S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통체(5)가 중간공간(21)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5b)와, 축부(5a)의 중간공간(21)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통체(5)가 용기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뽑히는 것을 방지하는 팽경부(5c)를 갖춘다. 축부(5a)는 중간공간(21) 측을 향해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축부(5a)의 외주면이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5a)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에 밀착함으로써 통체(5)가 용기본체(3)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와 통체(5)의 사이의 틈을 저감할 수 있고, 그 결과, 용기본체(3)를 압축했을 때에 중간공간(21) 내의 공기가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와 통체(5)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유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통체(5)는 축부(5a)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에 밀착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되기 때문에 팽경부(5c)는 꼭 필수적인것은 아니다.
공동부(5g)를 둘러싸는 면(5j)에는, 이동체(6)가 중간공간(21) 측으로부터 외부공간S측을 향해 이동할 때에 이동체(6)를 계지하는 스톱퍼부(5h)가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부(5h)는 환상(環狀)의 돌기로 구성되어 있고, 이동체(6)가 스톱퍼부(5h)에 당접하면 공동부(5g)를 통한 공기의 유통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체(5)의 선단은, 평탄면(5d)으로 되어 있고 평탄면(5d)에는 공동부(5g)에 연통하는 개구부(5e)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5e)는, 평탄면(5d)의 중앙에 설치된 거의 원형의 중앙개구부(5e1)와, 중앙개구부(5e1)로부터 방사상으로 퍼지는 복수의 슬릿(slit)부(5e2)를 갖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체(6)가 공동부(5g)의 바닥부에 당접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공기의 흐름이 방해되지 않는다.
밸브부재(4)는 도6(f)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팽경부(5c) 측으로부터 외기도입공(15) 내에 삽입되고, 계지부(5b)가 외각(12)의 외면에 당접하는 위치까지 들어가면, 축부(5a)의 외주면이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에 밀착한 상태에서 외각(12)에 유지된다. 중간공간(21)에 공기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 외각(12)을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공기가 개구부(5e)를 통해 공동부(5g) 내로 들어가고, 이동체(6)를 밀어올려 스톱퍼부(5h)에 당접시킨다. 이동체(6)가 스톱퍼부(5h)에 당접하면 공동부(5g)를 통한 공기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 상태에서 외각(12)을 더욱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면서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2)으로의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고자 한다. 외각(12)의 복원에 따라 중간공간(21) 내부가 감압됨으로써 도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6)에 대하여 용기내측 방향의 힘FI가 가해진다. 이로 인해, 이동체(6)가 공동부(5g)의 밑으로 향해 이동하여 도6(f)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이동체(6)와 면(5j)의 틈 및 개구부(5e)를 통하여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밸브부재(4)는 팽경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확대시키면서 팽경부(5c)를 중간공간(21) 내에 삽입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팽경부(5c)의 선단은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부재(4)는 용기본체(3)의 외측에서 팽경부(5c)를 중간공간(21) 내에 밀어넣는 것만으로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다. 한편, 통체(5)의 선단에 평탄면(5d)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부재(4)를 중간공간(21) 내에 밀어넣었을 때에 밸브부재(4)의 선단이 내측주머니(14)에 충돌해도 내측주머니(14)가 상처받기 어렵게 되어 있다.
밸브부재(4)가 장착된 상태에서 밸브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의 주위를 덮어 중간공간(21) 내로의 외기의 도입을 방지하는 피복부재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조 공정에서 공장 내의 유취(有臭) 가스가 중간공간(21)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내용물을 내측주머니(14) 내에 충전한 후에, 청정한 분위기하에서 피복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밸브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이 피복부재로 덮어진 상태에서는 중간공간(21)에 외기가 도입되지 않고, 외각(12)을 압축한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피복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밸브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이 피복부재로 덮어진 상태에서는 중간공간(21)에 외기가 도입되지 않고, 외각(12)을 압축한 후에 원래의 형상에 복원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피복부재를 떼어낸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구체적인 구성예로서는, 도7(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부재(4) 및 외기도입공(15)의 주위에 점착되는 밀봉부재(8)를 설치하는 예를 들 수 있다. 도7 (a)의 예에서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환상 철부(環狀凸部)(7d) 위에 밀봉부재(8)를 붙였다. 도7(b)의 예에서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 내에 밸브부재(4) 및 외기도입공(15)를 둘러싸도록 설치한 환상 철부(7d) 위에 밀봉부재(8)를 붙였다. 도7(b)의 예에서는, 밀봉부재(8)가 외각(1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7)의 바닥면(29)에는 중앙오목영역(29a)과, 그 주위에 설치되는 주변영역(29b)이 설치되고, 중앙오목영역(29a)에는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29)으로부터 돌출하는 바닥 밀봉부(27)가 설치된다. 바닥 밀봉부(27)의 형성 방법은 아래와 같다.
먼저,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층(11)과 내층(13)을 갖추는 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형성할 때 상기 적층 파리손의 밀봉부(27a)가 중앙오목영역(29a)에서 주변영역(29b)에 의해 규정되는 면P(도2에 도시)를 넘어 돌출하여 박막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한다 (밀봉부 형성 공정). 밀봉부(27a)는, 블로우 성형 시에 적층 파리손을 분할 금형으로 끼워 압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밀봉부(27a)는 그 최대 두께가 상기 적층 파리손의 두께의 1/3이하 (바람직하게는 1/4 또는 1/5이하)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부(27a)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0.4mm, 바람직하게는 0.2~0.3mm이다. 일예에서는, 두께가 1.5mm인 원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이 밀봉부(27a)에서 0.25mm까지 압축된다. 밀봉부(27a)는 그 전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27a)가 중앙오목영역(29a) 내에 수용되도록 밀봉부(27a)를 절곡 가공하여 바닥 밀봉부(27)를 형성한다. 밀봉부(27a)는 극박(極薄)의 박막 형상이기 때문에, 절곡하여 중앙오목영역(29a) 내에 수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밀봉부(27a)에 대하여 절곡 가공하는 대신에 용융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밀봉부(27a)는 극박(極薄)의 박막 형상이기 때문에, 용이하게 용융되어 중앙오목영역(29a) 내에 수용된다.
밀봉부(27a)에 대하여 절곡 가공 또는 용융 가공을 실시하여 바닥 밀봉부(27)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3)의 바닥면(29)에서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밀봉부(27)가 면P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적층박리용기(1)를 세웠을 때에, 바닥 밀봉부(27)가 면P로부터 밀려나오면서 적층박리용기(1)의 자립성이 저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29)의 오목영역은, 밀봉부(27a)의 길이 방향에서 바닥면(29) 전체를 가로 지르도록 설치된다. 즉, 중앙오목영역(29a)과 주변오목영역(29c)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밀봉부(27a)를 절곡하기 쉽게 되어 있다.
다음, 용기본체(3)의 층구성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본체(3)는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한다. 외층(11)은 복원성이 높게 되도록 내층(13)보다 두텁게 형성된다.
외층(11)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용기의 직경이 30mm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외층(11)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용액을 토출시키기 위한 스퀴즈(squeeze)가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외층(11)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단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외층(11)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형성 시의 버(burr)를 사용한 재활용 재료의 다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층(13)은 내용물에 접촉하는 최내층(13a)과, 최내층(13a)에 대하여 접동 가능한 피복층(13b)을 갖춘다. 산소 차단성이 높은 EVOH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층(13b)이 최내층(13a)에 접착되어 일체로 되어 있는 구성이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EVOH수지는 강성이 높기 때문에, 그만큼, 피복층(13b)과 최내층(13a)이 일체로 된 내층(13)이 변형하기 어려워 내측주머니(14)가 스무드하게 수축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내층(13a)이 피복층(13b)에 접착되어 있지 않고 최내층(13a)이 피복층(13b)에 대하여 접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피복층(13b)의 강성이 높은 경우에도, 최내층(13a)은 비교적 자유롭게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내측주머니(14)가 스무드하게 수축된다. 또한, 최내층(13a)과 피복층(13b)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할 때, 피복층(13b)에 실수로 상처를 입힌 경우에도, 최내층(13a)에 상처가 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최내층(13a)과 피복층(13b)이 접착되지 않은 경우, 외기도입공(15)은 외층(11) 및 피복층(13b)을 관통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최내층(13a)과 피복층(13b)의 사이의 공간으로까지 외기가 도입된다.
최내층(13a)은 적층박리용기(1)의 내용물에 접촉하는 층이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 EVOH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최내층(13a)을 구성하는 수지의 인장탄성율은 50~300MPa가 바람직하고, 70~200MPa가 더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 최내층(13a)이 특히 유연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0, 100, 150, 200, 250, 3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한편, 내용물이 약액인 경우, 약액 성분이 최내층(13a)에 흡착되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최내층(13a)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EVOH수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내층을 보다 유연하게 함으로써, 내층의 수축이 스무드하게 진행하고 또한, 핀홀(pinhole) 등의 발생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에, 최내층(13a)으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유연성의 관점으로부터, 최내층(13a)으로서,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다른 모노머와의 사이의 랜덤 공중합체이며,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의 함유량이, 50mol%보다 작은 것이며, 5~35mol%가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모노머로서는,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 에틸렌의 함유량은 5~30mol%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피복층(13b)은 산소 차단성 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층이며, EVOH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층(13b)이 EVOH수지로 이루어질 경우, 외층(11)과 내층(13)의 사이의 박리성이 양호하게 된다.
EVOH수지는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수지이며, 에틸렌과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EVOH수지의 에틸렌 함유량은, 예를 들면 25~50mol%이며, 산소 차단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의 하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함유량이 적을수록 EVOH수지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수지는, 산소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흡수제를 EVOH수지에 함유시킴으로써, EVOH수지의 산소 차단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EVOH수지의 융점은 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식의 천공 장치를 사용하여 외층(11)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할 경우에, EVOH수지의 융점을 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 높게 함으로써, 외층(11)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할 때에, 구멍이 내층(13)에까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관점으로부터, (EVOH의 융점)-(외층11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의 차이가 큰 편이 좋으며,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융점의 차이는 예를 들면, 5~50이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 35, 40, 45, 50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내층의 구성을 한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층(13)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고, 그 경우에는, 최내층(13a)과 피복층(13b)의 사이에 접착층을 설치해도 된다. 접착층은, 피복층(13b)과 최내층(13a)을 접착하는 기능을 갖추는 층이며,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무수 말레산변성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의 일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2. 제2실시 형태
도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 형태는, 제1실시 형태의 변형예2에 유사하고, 외기도입공(15)이 입구부(9)에 설치되어 있는 점, 잘록부(9c)의 구성이 다른 점 및 밸브부재(4)의 대신에 캡(23)에 체크밸브 (23i)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주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입구부(9)의 전체 둘레에 걸쳐 잘록량이 균일하게 되도록 잘록부(9c)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둘레 방향으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이 설치되고, 제1영역(R1)에는 잘록부(9c)가 설치되며, 제2영역(R2)에는 잘록부(9c)가 설치되지 않은 구성이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잘록부(9c)는 입구부(9)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다. 외기도입공(15)은 제2영역(R2)에 설치된다.
캡(23)은 외기도입공(15)과 외부공간S를 연통하도록 설치된 유통로(23h)와, 유통로(23h) 내에 설치된 체크밸브(23i)를 갖춘다. 체크밸브(23i)는 수용부(7)를 압축했을 때에는 유통로(23h)를 닫아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수용부(7)에 가한 압축력이 제거되었을 때에는 유통로(23h)를 열어 외부공간S로부터 중간공간(21)으로 향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춘다. 외기도입공(15)은 캡(23)에 설치되는 유통로(23h)에 연통시키기 쉽도록, 상벽(9e)보다 입구부(9)의 토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향벽(9g)보다 입구부(9)의 토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잘록부(9c)가 설치되지 않는 제2영역(R2)에 외기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입구부(9)에 설치된 외기도입공(15)과 수용부(7)의 사이에 잘록부(9c)가 존재하지 않는다. 때문에, 외기도입공(15)과 수용부(7)에서의 외층(11)과 내층(13)의 사이의 중간공간(21)의 사이에 외기의 유통로가 형성되기 쉬워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되기 쉽다.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1>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의 둘레 방향으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이 교대로 2개소씩 설치되어 있어, 제1영역(R1)과 제2영역(R2)이 설치되는 각도범위는 각각 약90도이지만, 변형예1에서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부(9)의 둘레 방향으로 제1영역(R1)과 제2영역(R2)이 각각 1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라도, 제2영역(R2)에 외기도입공(15)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제2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2>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는, 제2영역(R2)에는 잘록부(9c)가 설치되지 않았지만,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예2에서는, 제2영역(R2)에는 잘록부(9c)보다 잘록량이 작은 소잘록부(9c1)가 설치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외기도입공(15)과 수용부(7)의 사이에 소잘록부(9c1)가 존재하지만, 소잘록부(9c1)는 잘록량이 작기 때문에, 외기도입공(15)과 중간공간(21)의 사이에 외기의 유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해하기 어렵다.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도, 상기 제2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 형태의 변형예 3>
상기 제2실시 형태에서는, 도9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원통 형상의 입구부(9)의 제1영역(R1)에서, 입구부(9)의 잘록부(9c)보다 위쪽의 측벽이 지름 방향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제1영역(R1)에 잘록부(9c)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잘록부(9c)에서의 입구부(9)의 외주형상은 거의 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변형예 3에서는,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원통 형상의 입구부(9)의 제1영역(R1)에서, 입구부(9)의 잘록부(9c)에서의 측벽이 지름 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됨으로써, 제1영역(R1)에 잘록부(9c)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잘록부(9c)에서의 입구부(9)의 외주 형상은 비원형(非円形)으로 되고, 입설벽(9f)에서의 입구부(9)의 외주 형상이 거의 원형으로 된다.
본 변형예에서도, 외기도입공(15)과 수용부(7)의 사이에 잘록부(9c)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제2영역(R2)에서의 입구부(9)의 중심축C로부터 내층(13)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2실시 형태보다 커지기 때문에, 그만큼, 내층(13)이 희미해져 강성이 저하된다. 이 때문에,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제2실시 형태보다 내층(13)이 외층(11)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운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5관점의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관점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중에서, 본 발명의 제1~ 제4관점의 실시 형태와의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3. 제3실시 형태
도14~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용기본체(3)와, 밸브부재(4)와, 용기본체(3)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23)을 갖춘다. 용기본체(3)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9i)를 갖추는 입구부(9)를 구비한다.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본체(3)는 수용부(7) 및 입구부(9)에서,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하고 있고, 외층(11)에 의해 외각(12)이 구성되며, 내층(13)에 의해 내측주머니(14)가 구성된다.
입구부(9)에는, 입구부(9)의 외주면에 따라 계합부(9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타전식 캡(23)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상정되고 있고 계합부(9d)는 캡(23)의 계합부(23c)에 결합 가능한 환상의 돌기이다.
또한, 입구부(9)에는 계합부(9d)보다 수용부(7) 측에, 입구부(9)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9c)가 설치되어 있다. 잘록부(9c)의 상벽(9e)은 입구부(9)의 중심축C에 대하여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 도15~도16을 이용하여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하는 캡(23)은 도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 본체(23a)와 캡 커버(23m)를 구비한다. 캡 본체(23a)와 캡 커버(23m)는 연결부(23j)에서 연결되어 있어 캡 커버(23m)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캡 본체(23a)는, 상부(23t)와, 상부(23t)에 설치된 토출구(23b)와, 상부(23t)의 외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부(23f)와, 통부(23f)의 내주면에 따라 설치된 계합부(23c)와, 통부(23f)의 내측에서 상부(23t)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이너링(23d)과, 이너링(23d)의 내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토출구(23b)에 연통하는 유통로(23g)와, 유통로(23g)에 설치된 체크밸브(23e)를 구비한다. 계합부(23c)는, 입구부(9)의 계합부(9d)에 계합 가능한 환상의 돌기이다. 캡(23)이 입구부(9)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부(7) 내의 내용물은 유통로(23g)를 통해 토출구(23b)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체크밸브(23e)가 토출구(23b)로부터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때문에, 용기본체(3)의 내측주머니(14) 내에는 외기가 침입하지 않아 내용물의 열화(劣化)가 억제된다. 한편, 여기에서 나타낸 캡(23)의 구조는 일예로서, 예를 들면 별도의 구성의 체크밸브를 갖추는 캡(23)을 채용해도 된다.
캡(23)을 장착할 때는, 먼저, 캡(23)을 장착할 때의 충격에 의해, 수용부(7)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도1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잘록부(9c)의 상벽(9e)의 하면(下面)에 지지도구(10)를 당접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3)의 계합부(23c)를 입구부(9)의 계합부(9d)에 당접시키고, 이 상태로부터, 캡(23)을 더 밀어넣음으로써, 도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부(23c)가 계합부(9d)를 극복하여 계합부(23c)와 계합부(9d)가 계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합부(9d)보다 개구부(9i)로부터 떨어진 위치(수용부(7)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부(9h)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9h)는 잘록부(9c)의 상벽(9e)과 계합부(9d)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표현으로는, 돌출부(9h)는 도15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3)이 입구부(9)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23)의 계합부(23c)보다 개구부(9i)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9h)는 잘록부(9c)의 상벽(9e)과 계합부(9d)의 사이의 부위가 확경(擴徑)되어 형성된다.
도19의 참고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잘록부(9c)의 상벽(9e)과 계합부(9d)의 사이에 돌출부(9h)가 없는 경우에는, 통부(23f)의 선단부(23l)와 입구부(9)의 사이에 큰 틈G가 생기고, 틈G가 존재함으로써 캡(23)이 기울기 쉬워지며, 캡(23)이 기움으로써 이너링(23d)이 당접부(9a)로부터 떨어져 용기본체(3)의 내부에 외기가 침입해버릴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잘록부(9c)의 상벽(9e)과 계합부(9d)의 사이에 돌출부(9h)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부(23f)의 선단부(23l)와 입구부(9)의 사이의 틈이 작아지거나 또는 틈이 없어지고, 입구부(9)에 대한 캡(23)의 기울기가 억제되어, 용기본체(3)의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이 억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9h)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울기 억제부」로서 기능한다. 돌출부(9h)는 선단부(23l)와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돌출부(9h)와 선단부(23l)가 접촉하고 있으면, 캡(23)의 기울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메리트가 있다. 한편, 돌출부(9h)와 선단부(23l)가 접촉하지 않으면 캡(23)을 입구부(9)에 장착할 때에 선단부(23l)와 돌출부(9h)의 간섭이 저감되는 메리트가 있다.
수용부(7)에는, 경사진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밸브부재 설치요부(7a)가 설치되어 있고, 요부(7a)에 외기도입공(15)이 설치되어 있다. 외기도입공(15)은, 외각(12)에만 설치된 관통공이며, 외각(12)과 내측주머니(14)의 사이의 중간공간(21)과, 용기본체(3)의 외부공간S를 연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에는, 중간공간(21)과 외부공간S의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부재(4)가 장착되어 있다. 요부(7a)는, 수용부(7)를 수축 필름으로 덮을 때에 밸브부재(4)와 수축 필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요부(7a)가 수축 필름에 의해 밀폐되지 않도록 요부(7a)로부터 입구부(9)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유통홈(7b)이 설치된다.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부재(4)는 외기도입공(15) 내에 배치되는 축부(4a)와, 축부(4a)의 중간공간(21) 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축부(4a)보다 단면적이 큰 뚜껑부(4c)와, 축부(4a)의 외부공간S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밸브부재(4)가 중간공간(21)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4b)를 구비한다. 밸브부재(4)는 뚜껑부(4c)가 외기도입공(15)을 확대시키면서, 뚜껑부(4c)를 중간공간(21) 내에 삽입함으로써 용기본체(3)에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뚜껑부(4c)의 선단은 앞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부재(4)는 용기본체(3)의 외측으로부터 뚜껑부(4c)를 중간공간(21) 내로 밀어넣는것만으로 장착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다.
뚜껑부(4c)는 외각(12)을 압축했을 때에 외기도입공(15)을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축부(4a)에 근접함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4b)는, 외각(12)이 압축된 후에 복원할 때에 중간공간(21)에 공기가 도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외각(12)을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외압보다 높아져 중간공간(21) 내의 공기가 외기도입공(15)로부터 외부로 누출된다. 이 압력차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뚜껑부(4c)가 외기도입공(15)을 향해 이동하고, 도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4c)가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한다. 뚜껑부(4c)가 축부(4a)에 근접함에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뚜껑부(4c)가 용이하게 외기도입공(15)에 끼워져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외각(12)을 더 압축하면, 중간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측주머니(14) 내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2)의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2)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고자 한다. 이 경우, 도1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뚜껑부(4c)가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떨어져 외기도입공(15)의 폐쇄가 해제되어 중간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또한, 계지부(4b)가 외기도입공(15)을 막지 않도록, 계지부(4b)에는 유통로(4d)가 설치되어 있어, 계지부(4b)가 외각(12)에 당접한 상태에서도, 유통로(4d) 및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외기가 중간공간(21) 내에 도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와 밸브부재(4)의 사이의 틈을 밸브부재(4)의 이동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밸브부재(4)가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밸브부재 자체에 관통공과 개폐가능한 밸브를 설치하여 이 밸브의 작용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다음, 용기본체(3)의 층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본체(3)는 외층(11)과 내층(13)을 구비한다.
외층(11)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외층(11)은 복수층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프로층의 양측을 폴리프로필렌층으로 끼운 구성이어도 된다. 여기에서, 리프로층이란, 용기의 형성 시에 나온 버를 재활용하여 사용한 층을 말한다. 또한, 외층(11)은 복원성이 높아지도록 내층(13)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층(11)은 프로필렌과 다른 모노머와의 사이의 랜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랜덤 공중합체층을 구비한다. 외층(11)은 랜덤 공중합체층의 단층이어도 되고, 복수층 구성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리프로층의 양측을 랜덤 공중합체층으로 끼운 구성이어도 된다. 외층(11)을 특정 구성의 랜덤 공중합체로 구성함으로써, 외각(12)의 형상 복원성·투명성·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이외의 모노머의 함유량이 50mol%보다 작은 것이며, 5~35mol%이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프로필렌과 공중합되는 모노머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의 호모 폴리머에 비교했을 경우의 랜덤 공중합체의 고강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면 되고, 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의 경우, 에틸렌의 함유량은, 5~30mol%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5, 10, 15, 20, 25, 30mol%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랜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50만이 바람직하고, 10~30만이 더 바람직하다. 이 중량평균 분자량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 15, 20, 25, 30, 35, 40, 45, 50만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또한, 랜덤 공중합체의 인장탄성율은 400~1600MPa가 바람직하고, 1000~1600MPa가 더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에, 형상 복원성이 특히 양호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1100, 1200, 1300, 1400, 1500, 16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한편, 용기가 지나치게 단단하면, 용기의 사용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랜덤 공중합체에 예를 들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유연재료를 혼합하여 외층(11)을 구성해도 된다. 다만, 랜덤 공중합체에 대하여 혼합하는 재료는 랜덤 공중합체가 유효한 특성을 크게 저해하지 않도록,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미만이 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랜덤 공중합체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85: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재료에 의해 외층(11)을 구성할 수 있다.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층(13)은 용기 외면측에 설치된 EVOH층(13c)과, EVOH층(13c)의 용기 내면측에 설치된 내면층(13d)과, EVOH층(13c)과 내면층(13d)의 사이에 설치된 접착층(13e)을 구비한다. EVOH층(13c)을 설치함으로써 가스 차단성 및 외층(11)으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13e)은 생략해도 된다.
EVOH층(13c)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EVOH)수지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에틸렌과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물의 가수분해에 의해 얻을 수 있다. EVOH수지의 에틸렌 함유량은 예를 들면 25~50mol%이며, 산소 차단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유량의 하한은 특히 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함유량이 적을수록 EVOH층(13c)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EVOH층(13c)는 산소흡수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흡수제를 EVOH층(13c)에 함유시킴으로써, EVOH층(13c)의 산소 차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내면층(13d)은, 적층박리용기(1)의 내용물에 접촉하는 층이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고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면층(13d)을 구성하는 수지의 인장탄성율은 50~300MPa이 바람직하고, 70~200MPa이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이러한 범위인 경우에, 내면층(13d)이 특히 유연하기 때문이다. 인장탄성율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50, 100, 150, 200, 250, 300Mpa이며, 여기에서 예시한 수치의 임의의 2개 사이의 범위내이어도 된다.
접착층(13e)은, EVOH층(13c)과 내면층(13d)을 접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이며,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무수 말레산변성 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13e)의 일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4. 제4실시 형태
도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제3실시 형태에 유사하며 기울기 억제부가 캡(23)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주된 차이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19의 참고예와 마찬가지로 입구부(9)에는 돌출부(9h)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캡(23)의 구성은 도19의 참고예와는 다르며, 선단부(23l)에 돌출부 (23k)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23l)에서의 캡(23)과 입구부(9)의 사이의 틈G가 좁아져 입구부(9)에 대한 캡(23)의 기울기가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3k)가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울기 억제부」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형태에서도 실시가능하다.
제4실시 형태에서는, 캡(23)을 입구부(9)에 장착한 상태에서 돌출부(23k)가 입구부(9)에 접촉하지 않지만, 돌출부(23k)가 입구부(9)에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4실시 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돌출부(9h)가 존재하지 않지만, 입구부(9)에 돌출부(9h)를 설치하는 동시에 캡(23)에 돌출부(23k)를 설치해도 된다.
밸브부재(4)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외기도입공(15)을 손가락 등으로 폐쇄한 상태에서 외각(12)을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외기도입공(15)은 입구부(9)에 설치해도 된다.
1:적층박리용기, 3:용기본체, 4:밸브부재, 5:통체, 6:이동체, 7:수용부, 9:입구부, 11:외층, 12:외각, 13:내층, 14:내측주머니, 15:외기도입공, 21:중간공간, 23:캡, 27:바닥 밀봉부

Claims (22)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갖추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에 장착되는 캡이 계합되는 계합부와, 상기 계합부보다 상기 수용부측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잘록부의 상벽의 외측단으로부터 상기 상벽에 대하여 45~135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입설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벽에서의 상기 내층과, 상기 입설벽에서의 상기 내층의 사이에 틈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은 상기 입구부의 중심축에 대하여 거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층박리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설벽은 상기 상벽에 대한 각도가 60~120도인 적층박리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설벽의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대향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벽에서의 상기 내층과, 상기 대향벽에서의 상기 내층의 사이에 틈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벽은, 상기 상벽에 대한 각도가 -10~80도인 적층박리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상기 캡의 이너링이 당접하는 당접부를 구비하고, 상기 당접부는 상기 계합부보다 상기 입구부의 토출구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는, 둘레 방향으로 상기 잘록부가 설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잘록부가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제1영역에서의 잘록부보다 잘록한 양이 작은 소잘록부가 설치되는 제2영역을 갖추고,
    상기 입구부의 제2영역에는,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의 사이의 중간공간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도입공이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상벽보다 상기 입구부의 토출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으로서,
    상기 캡을 상기 입구부에 장착할 때에 상기 입구부를 지지하는 지지도구를 상기 상벽의 하면에 당접시켜 상기 입구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캡을 상기 입구부에 장착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10.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은 상기 내용물에 접촉하는 최내층과 상기 최내층에 대하여 접동 가능한 피복층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EVOH수지로 이루어지는 적층박리용기.
  12.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용기본체가,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를 갖추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오목영역과, 그 주위에 설치되는 주변영역을 갖추고, 상기 중앙오목영역이 주변영역보다 상기 입구부를 향해 오목하게 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외각을 구성하는 외층과 상기 내측주머니를 구성하는 내층을 구비하는 통 형상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형성할 때 상기 적층 파리손의 밀봉부가, 상기 중앙오목영역에서 상기 주변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면을 넘어 돌출하여 박막 형상이 되도록 형성하는 밀봉부 형성 공정과,
    상기 밀봉부가 상기 중앙오목영역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밀봉부를 절곡 가공 또는 용융 가공하는 밀봉부 가공 공정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그 최대두께가 상기 적층 파리손의 두께의 1/3이하로 되도록 형성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그 전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15. 외각과 내측주머니를 갖추는 동시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각은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외각과 상기 내측주머니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상기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고강성부와, 상기 고강성부보다 강성이 낮은 저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저강성부 측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통 형상의 통 형상부와, 상기 통 형상부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패널부를 갖추고,
    상기 패널부가 상기 고강성부이며, 상기 통 형상부가 저강성부인 적층박리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통 형상부에서, 상기 패널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18.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를 갖추는 입구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따라 설치된 입구부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주면에 따라 설치된 캡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와 상기 캡측 계합부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계합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입구부의 적어도 한 쪽에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측 계합부보다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캡의 사이의 틈을 좁게 하여 상기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기울기를 억제하는 기울기 억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억제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입구부측 돌출부인 적층박리용기.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보다 상기 수용부측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을 향해 잘록해진 잘록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측 돌출부는 상기 잘록부의 상벽과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
  21. 제 18 항 내지 제 20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억제부는 상기 캡의 내주면에 설치된 캡측 돌출부인 적층박리용기.
  22. 제 18 항 내지 제 21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의 사이의 중간공간과 외부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이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KR1020177016156A 2014-12-19 2015-12-09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KR1019954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8101A JP6540016B2 (ja) 2014-12-19 2014-12-19 積層剥離容器
JPJP-P-2014-258105 2014-12-19
JPJP-P-2014-258100 2014-12-19
JPJP-P-2014-258101 2014-12-19
JP2014258095 2014-12-19
JPJP-P-2014-258095 2014-12-19
JP2014258105A JP6540017B2 (ja) 2014-12-19 2014-12-19 積層剥離容器
JP2014258100A JP6540015B2 (ja) 2014-12-19 2014-12-19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2015031081A JP6586734B2 (ja) 2014-12-19 2015-02-19 積層剥離容器、積層剥離容器へのキャップの装着方法
JPJP-P-2015-031081 2015-02-19
JP2015236867A JP6823245B2 (ja) 2015-12-03 2015-12-03 積層剥離容器
JPJP-P-2015-236867 2015-12-03
PCT/JP2015/084554 WO2016098668A1 (ja) 2014-12-19 2015-12-09 積層剥離容器、積層剥離容器へのキャップの装着方法、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88A Division KR102093254B1 (ko) 2014-12-19 2015-12-09 적층박리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248A true KR20170084248A (ko) 2017-07-19
KR101995407B1 KR101995407B1 (ko) 2019-07-02

Family

ID=578475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156A KR101995407B1 (ko) 2014-12-19 2015-12-09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KR1020197017688A KR102093254B1 (ko) 2014-12-19 2015-12-09 적층박리용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688A KR102093254B1 (ko) 2014-12-19 2015-12-09 적층박리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3500B2 (ko)
EP (1) EP3235747B1 (ko)
KR (2) KR101995407B1 (ko)
CN (1) CN107108066B (ko)
ES (1) ES2742226T3 (ko)
TW (1) TWI5656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224A4 (en) * 2017-08-21 2020-09-23 Kyoraku Co., Ltd. MULTI-LAYER CONTAINER AND METHOD OF INSPECTING AIR LEAKS IN A MULTILAYER CONTAI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7562B1 (en) * 2017-03-15 2021-10-1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US10273061B1 (en) * 2017-12-08 2019-04-30 Tsai-Hui Lin Container for viscous liquid
CN112041234B (zh) * 2018-05-28 2023-06-02 京洛株式会社 容器
WO2020111024A1 (ja) * 2018-11-30 2020-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付き容器、二重容器のリーク検査方法、積層剥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7385102B2 (ja) * 2019-01-28 2023-11-2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収容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S1228596Y (es) * 2019-03-29 2019-07-25 Partner Local Grup S L Botella o recipiente con boca cortada
JP2021113088A (ja) * 2020-01-21 2021-08-05 藤森工業株式会社 ノズルを構成する中栓及び点眼剤容器
CN114834771A (zh) * 2021-02-02 2022-08-02 塞舌尔商日勤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积层剥离容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2112A (ja) 1998-04-07 1999-10-26 Ueno Hiroshi 易開封性打栓式樹脂キャップ
JP3401519B2 (ja) 1995-02-16 2003-04-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JP3650175B2 (ja) 1995-09-13 2005-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5212392A (ja) * 2004-01-30 2005-08-11 Hoyu Co Ltd デラミボトル
JP2012076758A (ja) * 2010-09-30 2012-04-19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3071782A (ja) * 2011-09-29 2013-04-22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JP2013529580A (ja) * 2010-06-24 2013-07-22 ガプラス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内側バッグを有する容器
JP2014088004A (ja) * 2012-10-31 2014-05-15 Yoshino Kogyosho Co Ltd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246Y2 (ja) 1991-03-29 1997-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JP3563158B2 (ja) 1995-06-22 2004-09-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
DE69632354T2 (de) 1995-03-10 2005-05-04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aus laminiertem, leicht schälbarem Material
DE19626968A1 (de) 1996-07-04 1998-01-15 Gaplast Gmbh Behälter mit Druckausgleichsöffnung
JP4800117B2 (ja) * 2006-06-05 2011-10-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ボトル
JP2007320644A (ja) 2006-06-05 2007-12-13 Kao Corp 合成樹脂製ボトル
JP4975778B2 (ja) * 2009-05-18 2012-07-11 大成化工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299687B2 (ja) * 2009-05-28 2013-09-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ポンプ付き薄肉ボトル
JP5380255B2 (ja) 2009-11-24 2014-01-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キャップ
JP5638915B2 (ja) 2010-10-29 2014-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5652766B2 (ja) 2011-03-29 2015-01-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
JP5771496B2 (ja) * 2011-09-29 2015-09-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H707062A1 (de) * 2012-10-04 2014-04-15 Alpla Werke Supportringloser Kunststoffbehälter, insbesondere Kunststoffflasche.
JP6125887B2 (ja) 2013-04-26 2017-05-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WO2015080015A1 (ja) 2013-11-27 2015-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そのピンホールチェック方法、及びその加工方法
TR201808956T4 (tr) 2013-11-27 2018-07-23 Kyoraku Co Ltd Tabakalara ayrılma kabı.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1519B2 (ja) 1995-02-16 2003-04-2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およびその成形用金型
JP3650175B2 (ja) 1995-09-13 2005-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H11292112A (ja) 1998-04-07 1999-10-26 Ueno Hiroshi 易開封性打栓式樹脂キャップ
JP2005212392A (ja) * 2004-01-30 2005-08-11 Hoyu Co Ltd デラミボトル
JP2013529580A (ja) * 2010-06-24 2013-07-22 ガプラス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内側バッグを有する容器
JP2012076758A (ja) * 2010-09-30 2012-04-19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付き容器
JP2013071782A (ja) * 2011-09-29 2013-04-22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容器
JP2014088004A (ja) * 2012-10-31 2014-05-15 Yoshino Kogyosho Co Ltd 2軸延伸ブロー成形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224A4 (en) * 2017-08-21 2020-09-23 Kyoraku Co., Ltd. MULTI-LAYER CONTAINER AND METHOD OF INSPECTING AIR LEAKS IN A MULTILAYER CONTAINER
US11643262B2 (en) 2017-08-21 2023-05-09 Kyoraku Co., Ltd. Multilayer container and method for inspecting air leaks in multilaye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5747B1 (en) 2019-05-15
TW201636273A (zh) 2016-10-16
EP3235747A4 (en) 2018-03-28
TWI565633B (zh) 2017-01-11
ES2742226T3 (es) 2020-02-13
US20180265241A1 (en) 2018-09-20
CN107108066A (zh) 2017-08-29
KR20190073616A (ko) 2019-06-26
KR102093254B1 (ko) 2020-03-25
CN107108066B (zh) 2019-09-27
EP3235747A1 (en) 2017-10-25
US10723500B2 (en) 2020-07-28
KR101995407B1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407B1 (ko)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CN108367830B (zh) 层叠剥离容器
KR102357828B1 (ko) 적층박리용기
US20180016050A1 (en) Delaminatable container
JP5476283B2 (ja) 積層剥離容器
JP6864245B2 (ja) 積層剥離容器、積層剥離容器へのキャップの装着方法
JP6836049B2 (ja) 積層剥離容器
JP6663554B2 (ja) 積層剥離容器
JP6540016B2 (ja) 積層剥離容器
JP6823245B2 (ja) 積層剥離容器
JP6540017B2 (ja) 積層剥離容器
JP6540015B2 (ja)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7473776B2 (ja) 二重容器
WO2016098668A1 (ja) 積層剥離容器、積層剥離容器へのキャップの装着方法、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
JP7285432B2 (ja) 二重容器
JP2019026350A (ja) 二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