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200A -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200A
KR20170066200A KR1020160105934A KR20160105934A KR20170066200A KR 20170066200 A KR20170066200 A KR 20170066200A KR 1020160105934 A KR1020160105934 A KR 1020160105934A KR 20160105934 A KR20160105934 A KR 20160105934A KR 20170066200 A KR20170066200 A KR 2017006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main body
drag
spinning re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5017B1 (ko
Inventor
코지 오치아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7006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46Manual pressure control
    • A01K89/047Radially appli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3Spool locking devices on spool shaf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28Continuously applied
    • A01K89/03Continuously applied between spool and spool shaf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한 스피닝 릴의 스풀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의 스풀(4)은, 스풀축(15)에 장착된다. 본 스풀(4)은, 스풀 본체(42)와, 드래그 기구(43)와, 히트 싱크(44)를 구비한다. 스풀 본체(42)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 및 스풀축(15)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의 회전을 제동한다. 히트 싱크(44)는, 스풀 본체(42)의 내부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43)에 접촉한다. 히트 싱크(44)는,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히트 싱크(44)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피닝 릴{SPOOL FOR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USING THE SPOOL}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스풀, 특히 스풀축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피닝 릴, 특히 상기 스풀을 가지는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피닝 릴은, 스풀축에 장착된 스풀 본체와,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드래그 수용 공간에 배치된 드래그 기구를 가지는 것이 있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낚싯줄에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가 작동하면, 드래그 기구는 발열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 본체 및 드래그 수용 공간의 사이에 방열용의 공간(통로)이 설치되어 있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경우, 드래그 수용 공간 내의 드래그 기구가 발열하면, 방열용의 공간의 공기를 스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42771호
종래의 스피닝 릴에서는, 방열용의 공간의 공기를 스풀 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있었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방열용의 공간의 공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방열하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의 온도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또한, 드래그 기구는 드래그 수용 공간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그 수용 공간의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드래그 기구의 그리스(grease) 및 라이닝(lining) 등이, 소망한 성능을 발휘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한 스피닝 릴의 스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 가능한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스풀축에 장착된다. 본 스풀은, 스풀 본체와, 드래그 기구와, 방열부를 구비한다. 스풀 본체는,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기구는, 스풀 본체 및 스풀축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기구는, 스풀 본체의 회전을 제동한다. 방열부는,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에 접촉한다. 방열부는, 스풀 본체 및 스풀축 중 어느 일방(一方)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방열부는, 스풀 본체 및 스풀축 중 어느 타방(他方)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스풀에서는, 스풀 본체가 스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드래그 기구가 작동한다. 그러면, 드래그 기구에 접촉하는 방열부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발생한 열이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스풀에서는,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방열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방열부가, 스풀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 또한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풀 본체가, 스풀축 및 방열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열부를 드래그 기구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방열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통상(筒狀)의 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본체는, 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기구는, 스풀 본체 및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된다. 방열부는, 지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가 스풀 본체 및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풀 본체가, 스풀축 및 지지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방열부를 드래그 기구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방열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스풀 본체가, 줄 감기 몸통부와, 한 쌍의 플랜지부와, 통상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 감기 몸통부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한 쌍의 플랜지부는, 줄 감기 몸통부의 양 단부(端部)에 설치된다. 통상부는, 한 쌍의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다. 방열부는, 통상부의 내측(內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방열부를 통상부의 내측에 배치하였다고 하여도, 방열부를 드래그 기구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방열부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방열부가, 접촉부와 확장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는, 드래그 기구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확장부는, 접촉부로부터 경(徑)방향 외측(外側)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확장부는,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배열(排熱)하기 위한 제1 배열 구멍을 가진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의 열이 접촉부에 전달되고, 접촉부의 열은 확장부에 의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전달되고, 방열된다. 또한, 드래그 기구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제1 배열 구멍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드래그 기구가, 제1 드래그판과, 제2 드래그판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드래그판은,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드래그판은, 제1 드래그판에 접촉하고 또한 스풀 본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방열부는, 제1 드래그판 및 제2 드래그판 중 어느 일방에 접촉한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의 작동 시에는, 제1 드래그판 및 제2 드래그판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가 발열하였다고 하여도, 방열부가, 제1 드래그판 및 제2 드래그판 중 어느 일방에,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은, 배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열부는,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방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배열부에 의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8)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배열부가, 스풀 본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풀 본체가 스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배열부도 스풀축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 배열부의 회전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스풀 본체는, 줄 감기 몸통부와, 한 쌍의 플랜지부와, 통상부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한 쌍의 플랜지부는, 줄 감기 몸통부의 양 단부에 설치된다. 통상부는, 한 쌍의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다. 배열부는, 어느 일방의 플랜지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통상부는,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스풀 본체의 외부에 배열하기 위한 제2 배열 구멍을 가진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제2 배열 구멍을 통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로부터 스풀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10) 본 발명의 한층 더 다른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서는, 배열부가, 복수의 날개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날개부는,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배열부가 회전하면, 복수의 날개부에 의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11)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스풀축과, 스풀축에 장착되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본 스피닝 릴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닝 릴의 스풀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피닝 릴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 전부(前部)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에 있어서의 스커트부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의 스풀을 후방(後方)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피닝 릴 전부의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1)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스피닝 릴(1)은,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스풀축(15)이 연장되는 방향을 「축 방향」으로 기재한다.「축 방향」에는, 스풀축(15)을 따른 방향도 포함된다. 덧붙여, 「축 방향」에 있어서,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前方)(전(前))」으로 기재하고, 「전방(전)」과는 반대의 방향을 「후방(후(後))」로 기재하는 일이 있다.
또한, 스풀축(1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경방향」으로 기재한다. 여기에서, 릴 본체(2)가 낚싯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방향」에 있어서 스풀축(15)으로부터 낚싯대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上方)(상(上))」으로 기재하고, 경방향에 있어서 낚싯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하방(下方)(하(下))」로 기재하는 일이 있다.
덧붙여, 도 1에서는, 「전방(전)」은 지면(紙面)의 좌측에 대응하고, 「후방(후)」는 지면의 우측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상방(상)」은 지면의 상방에 대응하고, 「하방(하)」는 지면의 하방에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스풀축(15)의 축심(X)은, 로터(3)의 회전 중심 및 피니언 기어(12)의 회전 중심과 동심(同芯)이고, 각 부재에 있어서 축심(X)의 주변부를 「중심부」로 기재하는 일이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2)에는, 핸들(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핸들은, 릴 본체(2)의 좌우 어느 쪽에도 장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릴 보디(2a)와, 덮개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본체 가드(2d)를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의 상부에는, 장대 취부(取付) 다리(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릴 보디(2a)의 전부는, 로터(3)의 후부(後部) 내측에 배치된다. 릴 보디(2a)에는, 스풀축(15)이 회전 불가능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15)의 전단부(前端部)에는, 드래그 기구(43)의 드래그 조정 손잡이(70)(후술한다)가 장착된다. 스풀축(15)의 후단부(後端部)에는, 슬라이더(22)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스풀축(15)의 중앙부에는,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로터(3)가 장착되어 있다.
릴 보디(2a)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다. 릴 보디(2a)의 내부 공간에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부재는, 릴 보디(2a)의 내부 공간을 막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장착되어 있다. 본체 가드(2d)는, 릴 보디(2a) 및 덮개 부재(2b)의 후부를 덮기 위하여, 릴 보디(2a)에 장착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페이스 기어(11)와,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페이스 기어(11)는, 핸들이 고정된 마스터 기어축(10)과 함께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에는, 스풀축(15)이 삽통(揷通)된다. 피니언 기어(12)는, 페이스 기어(11)에 맞물린다. 피니언 기어(12)는, 페이스 기어(1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12)는,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너트(13)에 의하여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제1 베어링(53) 및 제2 베어링(54)을 통하여, 릴 보디(2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 및 스풀축(15)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나축(螺軸)(21)과, 슬라이더(22)와,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나축(21)은, 릴 보디(2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나축(21)은, 스풀축(15)의 하방에 있어서, 스풀축(15)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스풀축(15)의 후단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더(22)는, 나축(21)에 계합(係合)하고 있다. 중간 기어(23)는, 나축(21)의 전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려 있다.
여기에서, 페이스 기어(11)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2)가 회전한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12)에 맞물리는 중간 기어(23)를 통하여, 나축(21)이 회전한다. 그러면, 나축(21)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더(22)가, 나축(2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15)이, 축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한다.
<로터의 구성>
로터(3)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터(3)는, 스풀축(15) 둘레에 회전 가능하다.
로터(3)는, 로터 본체(7)와, 한 쌍의 로터 암(30)과, 베일 암(31)을 가지고 있다. 로터 본체(7)는,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로터 본체(7)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터 본체(7)는, 피니언 기어(1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와 함께 회전 가능하다. 한 쌍의 로터 암(30)은, 로터 본체(7)에 일체로 형성된다. 베일 암(31)은, 줄 안내 자세(도 1의 자세)와, 줄 안내 자세로부터 반전(反轉)한 줄 개방 자세와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스풀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은, 로터(3)의 전방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로터(3)의 한 쌍의 로터 암(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15)에 장착된다. 스풀(4)은, 상술한 오실레이팅 기구(6)에 의하여, 스풀축(15)과 함께, 축 방향에 있어서 왕복 이동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4)은, 지지부(41)와, 스풀 본체(42)와, 드래그 기구(43)와, 히트 싱크(44)(방열부의 일례)와, 배열 커버(45)(배열부의 일례)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
지지부(41)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41)는, 스풀축(15)과 함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풀축(15)에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41)는, 지지부 본체(51)와, 규제부(52)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 본체(51)는, 통상의 베어링 장착부(51a)와, 복수의 돌출부(51b)를 가지고 있다. 베어링 장착부(51a)는, 제1 베어링(53)을 통하여, 스풀 본체(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복수(예를 들어 4개)의 돌출부(51b)는, 베어링 장착부(51a)의 단부(후단)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51b) 각각은, 베어링 장착부(51a)로부터 경방향으로 돌출하고,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51b)는, 축 방향으로 보아, 예를 들어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51b)는,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후술하는 제1 드래그 좌금(座金)(73a, 73b))를 계지(係止)한다.
복수의 돌출부(51b)에는, 규제부(52)가 고정된다. 규제부(52)는, 스풀축(15)에 대한 지지부 본체(51)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52)는, 지지부 본체(51)의 단부(후단)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52)는, 고정 볼트(81)에 의하여, 지지부 본체(51)의 돌출부(51b)에 고정된다.
또한, 규제부(52)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52)에는, 구멍부(5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멍부(52a)에 스풀축(15)을 비원형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규제부(52)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부 본체(51)가, 규제부(52)를 통하여,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또한, 규제부(52)는,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를 축 방향으로 보지(保持)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구체적으로는, 규제부(52)는, 히트 싱크(44)(후술하는 접촉부(61))를 통하여, 상기와 같이 지지부 본체(51)의 돌출부(51b)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마찰부(72)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하여, 마찰부(72)가, 히트 싱크(44)(후술하는 접촉부(61))를 통하여, 규제부(52) 및 플랜지부(42c)(후술한다)의 사이에서 협지(挾持)된다.
(스풀 본체)
스풀 본체(42)는, 지지부(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본체(42)는, 통상의 줄 감기 몸통부(42a)와,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와, 통상의 스커트부(42d)(통상부의 일례)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42a)의 외주면(外周面)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줄 감기 몸통부(42a)의 전측(前側) 내부에는, 제2 베어링(54)이 배치되어 있다. 제2 베어링(54)은, 줄 감기 몸통부(42a)와 드래그 전달 기구(71)의 압압(押壓) 부재(76)(후술한다)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제2 베어링(54)을 통하여, 줄 감기 몸통부(42a)는, 드래그 전달 기구(71)의 압압 부재(7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 압압 부재(76)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42a)는, 제2 베어링(54)을 통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줄 감기 몸통부(42a)는, 벽부(42h)를 가지고 있다. 벽부(42h)는, 줄 감기 몸통부(42a)의 내주면(內周面)으로부터 내방(內方)으로 돌출하도록, 줄 감기 몸통부(42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줄 감기 몸통부(42a)의 후측(後側) 내부에는, 제1 베어링(5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베어링(53)은, 줄 감기 몸통부(42a)와 지지부(41)의 지지부 본체(5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하여, 줄 감기 몸통부(42a)는, 제1 베어링(53)을 통하여, 지지부(41)의 지지부 본체(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 지지부 본체(51)는, 규제부(52)를 통하여,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줄 감기 몸통부(42a)는, 제1 베어링(53)을 통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는, 줄 감기 몸통부(42a)의 양 단부에 각각 별도로 설치된다.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환상(圓環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일방의 플랜지부(42b)를 전 플랜지부(42b)로 기재하고, 타방의 플랜지부(42c)를 후 플랜지부(42c)로 기재한다.
전 플랜지부(42b)는, 줄 감기 몸통부(42a)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후 플랜지부(42c)는, 줄 감기 몸통부(42a)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에는, 통상의 후 드래그 장착부(42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후 드래그 장착부(42e)는, 스커트부(42d)의 내방에 있어서, 스커트부(42d)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후 드래그 장착부(42e)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42f)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 드래그 장착부(42e) 및 후 플랜지부(42c)에 의하여, 수납 오목부(47)가 구성되어 있다. 수납 오목부(47)는, 후방으로 개구(開口)하고,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를 수납한다. 수납 오목부(47)의 저부(底部)에는, 줄 감기 몸통부(42a)의 내주면에 연통(連通)하는 구멍부(47a)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 오목부(47)는, 복수(예를 들어 4개)의 계지 홈(69)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계지 홈(69)은, 수납 오목부(47)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계지 홈(69) 각각은, 수납 오목부(47)에 있어서의 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계지 홈(69) 각각은, 수납 오목부(47)에 있어서의 벽부의 내주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계지 홈(69)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후술하는 제2 드래그 좌금(74a, 74b))가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스커트부(42d)는, 후 플랜지부(42c)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스커트부(42d)는, 후 플랜지부(42c)에 설치되어 있다. 스커트부(42d)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42d)는, 복수의 제2 배열 구멍(42g)을 가지고 있다. 복수의 제2 배열 구멍(42g)은,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열을, 스풀 본체(42)의 외부에 배열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제2 배열 구멍(42g)은, 경방향으로 스커트부(42d)를 관통하고, 또한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의 내주부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와 스풀축(15)과의 사이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와 지지부(41)(지지부 본체(5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기구(43)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70)와, 드래그 전달 기구(71)와, 마찰부(72)와, 음출(音出) 기구(75)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조정 손잡이(70)는, 스풀축(15)의 선단부(先端部)에 장착된다.
드래그 전달 기구(71)는, 줄 감기 몸통부(42a)의 전측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드래그 전달 기구(71)는, 압압 부재(76)와, 접동부(摺動部)(77)를 가지고 있다.
압압 부재(76)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70)에 의하여 압압된다. 압압 부재(76)는, 축 방향에 있어서, 드래그 조정 손잡이(70)와 접동부(77)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압압 부재(76)는, 통상부(76a)와, 테두리부(76b)를 가진다. 통상부(76a)는, 실질적으로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상부(76a)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70)에 의하여 압압된다. 통상부(76a)의 외주부에는, 제2 베어링(54)이 배치된다. 통상부(76a)의 전측 내부에는, 스풀축(15)이 삽통된다. 통상부(76a)의 내주면을 스풀축(15)에 비원형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통상부(76a)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통상부(76a)의 후측 내부에는, 지지부 본체(51)의 베어링 장착부(51a)를 통하여, 스풀축(15)이 배치된다.
테두리부(76b)는, 통상부(76a)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두리부(76b)는, 통상부(76a)의 후단부에 있어서, 통상부(76a)로부터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테두리부(76b)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접동부(77)에 접촉하여 있다. 예를 들어, 통상부(76a)가 드래그 조정 손잡이(70)에 의하여 압압되면, 테두리부(76b) 및 줄 감기 몸통부(42a)의 벽부(42h)에 의하여, 접동부(77)가 협지된다.
접동부(77)는, 압압 부재(76)와 줄 감기 몸통부(42a)의 플랜지부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접동부(77)는, 압압 부재(76)(테두리부(76b)) 및 줄 감기 몸통부(42a)의 벽부(42h)에 의하여 협지된 상태에서, 압압 부재(76)와 줄 감기 몸통부(42a)의 플랜지부와의 상대 회전을 허가한다. 접동부(77)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된 부재, 예를 들어 와셔(washer)이다.
마찰부(72)는, 스풀 본체(42)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찰부(72)는, 스풀 본체(42)의 스커트부(42d)의 내주부에 배치된다. 또한, 마찰부(72)는, 스풀 본체(42) 및 규제부(52)의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마찰부(72)는, 1 또는 복수(예를 들어 2매)의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제1 드래그판의 일례)과, 1 또는 복수(예를 들어 2매)의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제2 드래그판의 일례)을 가지고 있다.
제1 드래그 좌금(73a, 73b) 및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은, 수납 오목부(47)에 수납된다. 제1 드래그 좌금(73a, 73b) 및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은, 축 방향에 있어서 번갈아 배치된다. 복수의 제1 및 제2 드래그 좌금(73a, 73b, 74a, 74b)은, 스풀 본체(42) 및 규제부(52)에 의하여 협지된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1 및 제2 드래그 좌금(73a, 73b, 74a, 74b)은, 스풀 본체(42)의 후 플랜지부(42c) 및 규제부(52)에 의하여 협지된다.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은, 지지부 본체(51)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은, 지지부 본체(51)에 있어서의 복수의 돌출부(51b)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계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은, 복수의 돌출부(51b)의 외경(外徑)을 따르는 구멍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멍부는, 십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구멍부를 복수의 돌출부(51b)에 감합(嵌合)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은,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드래그 좌금(73b)은, 히트 싱크(44)(후술하는 접촉부(61))에 접촉하여 있다. 또한, 제1 드래그 좌금(73b)은, 히트 싱크(44)(접촉부(61))를 통하여, 규제부(52)에 의하여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드래그 좌금(73b)은, 히트 싱크(44)(접촉부(61))를 통하여, 규제부(52)에 의하여 압압된다.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은, 제1 드래그 좌금(73a, 73b)과 상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력을 발생한다.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은, 수납 오목부(47)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드래그 좌금(74a, 74b) 각각은, 복수의 멈춤쇠부(74c, 74d)(도 2를 참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들 멈춤쇠부(74c, 74d)를 후 드래그 장착부(42e)의 계지 홈(69)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은,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 또한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드래그 좌금(74a)은, 스풀 본체(42)의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에 접촉하고, 스풀 본체(42)의 후 플랜지부(42c)에 의하여 압압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출 기구(75)는, 마찰부(72)의 작동 시에 발음(發音)하는 기구이다. 음출 기구(75)는, 용수철 장착부(75a)와, 음출부(75b)와, 용수철 부재(75c)와, 음출 핀(75d)을 가지고 있다.
용수철 장착부(75a)는, 제1 드래그 좌금(73b)의 후면에 장착된다. 음출부(75b)는, 스풀 본체(42) 예를 들어 후 드래그 장착부(42e)에 장착된다. 음출부(75b)는, 실질적으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음출부(75b)의 내주부에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는, 음출부(75b)의 내주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75c)는, 예를 들어 코일 용수철이다. 용수철 부재(75c)의 일단부(一端部)는, 용수철 장착부(75a)에 장착된다. 용수철 부재(75c)의 타단부(他端部)는, 음출 핀(75d)의 머리부를 압압한다. 음출 핀(75d)의 축부는, 용수철 부재(75c)의 내주부에 배치된다. 음출 핀(75d)의 머리부는, 음출부(75b)의 오목부에 계합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42)(후 드래그 장착부(42e))가, 마찰부(72)의 제1 드래그 좌금(73b)에 대하여 회전하면, 음출 핀(75d)의 머리부가, 음출부(75b)에 있어서의 복수의 오목부에, 연속적으로 당접(當接)하고 발음한다.
(히트 싱크)
히트 싱크(44)는, 드래그 기구(43)에 있어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4)는, 스풀 본체(42)의 내부, 예를 들어 스커트부(42d)의 내측에 있어서, 마찰부(72)에 접촉하여 있다. 히트 싱크(44)는, 열전도율이 마찰부(72) 예를 들어 제1 드래그 좌금(73b)과 실질적으로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히트 싱크(44)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 또한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트 싱크(44)는, 접촉부(61)와, 확장부(62)를 가진다. 접촉부(61)는, 마찰부(72)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접촉부(61)는, 실질적으로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61)는, 마찰부(72)의 제1 드래그 좌금(73b)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접촉부(61)는, 축 방향에 있어서 규제부(52)와 지지부 본체(51)의 돌출부(51b)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접촉부(61)는, 고정 볼트(81)에 의하여, 규제부(52)와 함께, 지지부 본체(51)의 돌출부(51b)에 고정된다.
확장부(62)는, 접촉부(61)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확장부(62)는, 제1 외측 통부(63)와, 제1 내측 통부(64)와, 제1 연결부(65)를 가지고 있다.
제1 외측 통부(63)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외측 통부(63)는, 제1 연결부(65)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후 플랜지부(42c)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내측 통부(64)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되고, 제1 외측 통부(6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내측 통부(64)는, 제1 연결부(65)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측 통부(64)는, 접촉부(61)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연결부(65)는, 제1 내측 통부(64) 및 제1 외측 통부(63)를 경방향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연결부(65)는, 실질적으로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65)는, 원환부(65c)와, 원환상의 경사부(65b)와,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을 가지고 있다.
원환부(65c)는, 실질적으로 원환판상(圓環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환부(65c)의 외주부는, 제1 외측 통부(63)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65b)는, 원환부(65c)의 내주부 및 제1 내측 통부(6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65b)는, 원환부(65c)의 내주부로부터 접촉부(61) 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있다.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은, 마찰부(72)에 있어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 각각은, 제1 연결부(65)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 각각은, 원환부(65c)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 각각은, 실질적으로 원형상(圓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 각각은, 원환부(65c)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히트 싱크(44)에서는, 접촉부(61)가,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한 규제부(52)와 함께, 지지부 본체(51)의 돌출부(51b)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접촉부(61)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다. 즉, 히트 싱크(44)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스풀 본체(42)가, 히트 싱크(44) 및 스풀축(1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드래그 기구(43)가 작동한다. 그러면,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에 있어서 발생한 열이, 접촉부(61)(히트 싱크(44))에 전달되고, 접촉부(61)로부터 확장부(62)(히트 싱크(44))로 한층 더 전달된다. 이와 같이, 마찰부(72)의 열을 히트 싱크(44)에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이 열은 히트 싱크(44)에 있어서 방열된다. 또한, 마찰부(72)에 열이 발생하면, 이 열에 의하여 마찰부(72)의 둘레의 공기가 따뜻해진다. 이 마찰부(72)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히트 싱크(44)의 제1 배열 구멍(65a)으로부터 배열된다.
(배열 커버)
배열 커버(45)는, 마찰부(72)에 있어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를, 스풀 본체(42)의 내부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한다. 또한, 배열 커버(45)는, 마찰부(72)를 덮고 있고, 마찰부(72)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열 커버(45)는, 스풀 본체(4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배열 커버(45)는, 스풀 본체(42)의 내부, 예를 들어 스커트부(42d)의 내측에 있어서, 후 플랜지부(42c)와 히트 싱크(44)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열 커버(45)는, 마찰부(72)와 히트 싱크(44)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열 커버(45)는, 제2 외측 통부(66)와, 제2 내측 통부(67)와, 제2 연결부(68)를 가지고 있다. 제2 외측 통부(66)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외측 통부(66)는, 제2 연결부(68)의 외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외측 통부(66)는, 제2 연결부(68)의 외주부로부터 후 플랜지부(42c)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외측 통부(66)는, 후 플랜지부(42c)의 후 드래그 장착부(42e)의 외주부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외측 통부(66)의 내주부와 후 드래그 장착부(42e)의 외주부와의 사이에는, 제1 실(seal) 부재(82)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외측 통부(66)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66c)가 형성되어 있다. 암나사부(66c)는, 후 드래그 장착부(42e)의 수나사부(42f)에 나합(螺合)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외측 통부(66)는, 후 플랜지부(42c)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2 외측 통부(66)는, 복수의 날개부(66a)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날개부(66a)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열이,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날개부(66a)는, 제2 외측 통부(66)의 외주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날개부(66a) 각각은, 제2 외측 통부(66)의 외주부로부터 외방(外方)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복수의 날개부(66a) 각각은, 선단부가 기단부(基端部)에 대하여 스풀 본체(42)의 회전 방향으로 오프셋(offset)하도록, 제2 외측 통부(66)의 외주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여 있다. 또한, 복수의 날개부(66a) 각각은, 제2 외측 통부(66)의 외주부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나아가, 복수의 날개부(66a) 각각은, 제2 외측 통부(66)의 외주부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내측 통부(67)는, 실질적으로 통상으로 형성되고, 제2 외측 통부(66)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내측 통부(67)는, 제2 연결부(68)의 내주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측 통부(67)는, 제2 연결부(68)의 내주부로부터 접촉부(61)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연결부(68)는, 제2 내측 통부(67) 및 제2 외측 통부(66)를 경방향으로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2 연결부(68)는, 실질적으로 원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부(68)는, 마찰부(72)와 히트 싱크(44)의 제1 연결부(65)와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마찰부(72)와 제2 연결부(68)와의 축 방향 사이에는, 상술한 음출 기구(75)(도 2를 참조)가 배치된다. 또한, 제2 연결부(68)에는, 돌기(68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68a)는, 제2 연결부(68)로부터 히트 싱크(44)의 제1 연결부(65)를 향하여 돌출하여 있다.
제2 외측 통부(66)와 제2 내측 통부(67)와의 경방향 사이에는, 상술한 음출 기구(75)(도 2를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내측 통부(67)의 내주면과 히트 싱크(44)의 제1 내측 통부(6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제2 실 부재(84)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실 부재(82, 84)와, 배열 커버(45)와, 히트 싱크(44)에 의하여, 마찰부(72)로의 이물의 침입이 방지되고 있다.
상술한 배열 커버(45)에서는, 제2 외측 통부(66)가, 스풀 본체(42)의 후 플랜지부(42c)(후 드래그 장착부(42e))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배열 커버(45)는, 스풀 본체(42)와 일체 회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스풀 본체(42)가 회전하면, 드래그 기구(43)가 작동한다. 이 때에는, 배열 커버(45)는, 스풀 본체(42)와 함께 회전한다. 그러면, 스풀 본체(42) 및 배열 커버(45)는, 히트 싱크(44) 및 스풀축(1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그러면, 배열 커버(45)의 복수의 날개부(66a)가,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를, 스커트부(42d)의 복수의 제2 배열 구멍(42g)으로 안내한다. 그러면, 이 공기는, 복수의 제2 배열 구멍(42g)으로부터 스커트부(42d)의 외부로 배출된다.
〔정리〕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1) 스피닝 릴(1)의 스풀(4)은, 스풀축(15)에 장착된다. 본 스풀(4)은, 스풀 본체(42)와, 드래그 기구(43)와, 히트 싱크(44)를 구비한다. 스풀 본체(42)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 및 스풀축(15)의 사이에 배치된다.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의 회전을 제동한다. 히트 싱크(44)는, 스풀 본체(42)의 내부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43)에 접촉한다. 히트 싱크(44)는,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히트 싱크(44)는,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스풀(4)에서는, 스풀 본체(42)가 스풀축(1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드래그 기구(43)가 작동한다. 그러면, 드래그 기구(43)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44)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에 있어서 발생한 열이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스풀(4)에서는, 드래그 기구(43)의 열을, 히트 싱크(44)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2)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히트 싱크(44)가,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가능 또한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풀 본체(42)가, 스풀축(15) 및 히트 싱크(44)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히트 싱크(44)를 드래그 기구(43)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43)의 열을, 히트 싱크(44)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3) 스피닝 릴(1)의 스풀(4)은, 통상의 지지부(41)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부(41)는,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스풀 본체(42)는, 지지부(4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드래그 기구(43)는, 스풀 본체(42) 및 지지부(41)의 사이에 배치된다. 히트 싱크(44)는, 지지부(41)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43)가 스풀 본체(42) 및 지지부(41)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풀 본체(42)가, 스풀축(15) 및 지지부(41)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히트 싱크(44)를 드래그 기구(43)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43)의 열을, 히트 싱크(44)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4)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스풀 본체(42)가, 줄 감기 몸통부(42a)와,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와, 스커트부(42d)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줄 감기 몸통부(42a)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는, 줄 감기 몸통부(42a)의 양 단부에 설치된다. 스커트부(42d)는,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다. 히트 싱크(44)는, 스커트부(42d)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히트 싱크(44)를 스커트부(42d)의 내측에 배치하였다고 하여도, 히트 싱크(44)를 드래그 기구(43)에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43)의 열을, 히트 싱크(44)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5)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히트 싱크(44)가, 접촉부(61)와, 확장부(62)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61)는, 드래그 기구(43)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확장부(62)는, 접촉부(61)로부터 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확장부(62)는, 드래그 기구(43)의 열을 배열하기 위한 제1 배열 구멍(65a)을 가진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43)의 열이 접촉부(61)에 전달되고, 접촉부(61)의 열은 확장부(62)에 의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전달되고 방열된다. 또한, 드래그 기구(43)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제1 배열 구멍(65a)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6)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드래그 기구(43)가, 제1 드래그 좌금(73a, 73b)과,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은,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은, 제1 드래그 좌금(73a, 73b)에 접촉하고 또한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히트 싱크(44)는, 제1 드래그 좌금(73b)에 접촉한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43)의 작동 시에는, 제1 드래그 좌금(73a, 73b) 및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상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가 발열하였다고 하여도, 히트 싱크(44)가, 제1 드래그 좌금(73b)에 접촉하여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7) 스피닝 릴(1)의 스풀(4)은, 배열 커버(4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열 커버(45)는,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열을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에 있어서 히트 싱크(4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43)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배열 커버(45)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8)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배열 커버(45)가, 스풀 본체(4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풀 본체(42)가 스풀축(1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배열 커버(45)도 스풀축(15)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 배열 커버(45)의 회전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스풀 본체(42)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9)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스풀 본체(42)는, 줄 감기 몸통부(42a)와,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와, 스커트부(42d)를 가지고 있다. 줄 감기 몸통부(42a)에는, 낚싯줄이 감긴다.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는, 줄 감기 몸통부(42a)의 양 단부에 설치된다. 스커트부(42d)는, 한 쌍의 플랜지부(42b, 42c)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된다. 배열 커버(45)는, 어느 일방의 플랜지부(42b, 42c)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커트부(42d)는,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열을 스풀 본체(42)의 외부에 배열하기 위한 제2 배열 구멍(42g)을 가진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43)의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제2 배열 구멍(42g)을 통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로부터 스풀 본체(4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10) 스피닝 릴(1)의 스풀(4)에서는, 배열 커버(45)가, 복수의 날개부(66a)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날개부(66a)는,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열을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배열 커버(45)가 회전하면, 복수의 날개부(66a)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열을 스풀 본체(42)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의 온도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드래그 기구(43)의 온도 상승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11) 스피닝 릴(1)은, 스풀축(15)과, 스풀축(15)에 장착되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스피닝 릴(1)은, 상기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스풀(4)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44)가 제1 드래그 좌금(73b)에 접촉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제1 드래그 좌금(73a, 73b) 및 제2 드래그 좌금(74a, 74b)을 축 방향으로 나란히 놓는 순번을 변경하는 것에 의하여, 히트 싱크(44)를 제2 드래그 좌금(74b)에 접촉시키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44)가,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가능, 또한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히트 싱크(44)가,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 가능, 또한 스풀 본체(4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열 커버(45)의 제2 외측 통부(66)에 복수의 날개부(66a)가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더하여,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부(66b)가, 배열 커버(45)의 제2 연결부(68)에, 더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덧붙여, 이하에서는, 제2 외측 통부(66)의 날개부(66a)를, 제1 날개부(66a)로 기재하고, 제2 연결부(68)의 날개부(66b)를, 제2 날개부(66b)로 기재한다.
이 경우, 복수의 제2 날개부(66b)는, 제2 연결부(68)에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날개부(66b) 각각은, 축 방향으로 돌출하고, 또한 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날개부(66b) 각각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2 날개부(66b) 각각은,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히트 싱크(44)는, 접촉부(61)(도 3을 참조)와, 확장부(62)를 가진다. 접촉부(61)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확장부(62)는, 제1 내측 통부(64)를 가지고 있다. 즉, 확장부(62)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외측 통부(63) 및 제1 연결부(65)를 가지고 있지 않다. 제1 내측 통부(64)는, 접촉부(61)에 일체로 형성되고, 접촉부(6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내측 통부(64)는, 제2 연결부(68)의 내방 또한 제2 내측 통부(67)의 내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43)의 작동 시에 배열 커버(45)가 스풀 본체(42)와 함께 스풀축(15)에 대하여 회전하면, 히트 싱크(44)(제1 내측 통부(64))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가, 복수의 제2 날개부(66b)에 의하여,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이 공기가, 복수의 제1 날개부(66a)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의 스커트부(42d)를 향하여 안내된다. 그러면, 이 공기는, 스커트부(42d)의 복수의 제2 배열 구멍(42g)을 통하여, 스풀 본체(42)의 내부로부터 스풀 본체(42)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마찰부(72)에 있어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를, 보다 부드럽게 배출할 수 있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히트 싱크(44)에 복수의 제1 배열 구멍(65a)이 설치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릿(65d)(제1 배열 구멍의 일례)이, 히트 싱크(44)에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복수의 슬릿(65d)이, 히트 싱크(44)의 확장부(62)에 있어서의, 제1 연결부(65)(원환부(65c) 및 경사부(65b)) 및 제1 외측 통부(63)에 설치된다. 복수의 슬릿(65d) 각각은, 제1 연결부(65)에서는 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제1 외측 통부(63)에서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히트 싱크(44)에 복수의 슬릿(65d)을 설치하였다고 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찰부(72)에 있어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따뜻해진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e)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상(平面狀)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다. 이것에 대신하여,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홈부(142c)가,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복수의 홈부(142c)는,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제2 드래그 좌금(74a))에 대향하도록, 후 플랜지부(42c)에 형성된다. 복수의 홈부(142c) 각각은,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홈부(142c) 각각은,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에 있어서 경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복수의 홈부(142c) 각각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 플랜지부(42c)의 후면에 복수의 홈부(142c)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 본체(42)에 대한, 드래그 기구(43)의 마찰부(72)의 열전달을 저감할 수 있다.
(f) 상기 실시예에서는, 접동부(77)가 와셔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접동부(77)를, 드래그 기구(43)로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드래그 기구(43)는, 제1 마찰부(상기 실시예의 마찰부(72)에 대응)와, 제2 마찰부(상기 실시예의 접동부(77)에 대응)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2 마찰부는, 상기 실시예의 마찰부(7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드래그 좌금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술한 효과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스피닝 릴
4: 스풀
15: 스풀축
41: 지지부
42: 스풀 본체
42a: 줄 감기 몸통부
42b: 전 플랜지부
42c: 후 플랜지부
42d: 스커트부
42g: 제2 배열 구멍
43: 드래그 기구
44: 히트 싱크
45: 배열 커버
61: 접촉부
62: 확장부
65a: 제1 배열 구멍
66a: 복수의 날개부
73a, 73b: 제1 드래그 좌금
74a, 74b: 제2 드래그 좌금

Claims (11)

  1. 스풀축에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이고,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풀 본체와,
    상기 스풀 본체 및 상기 스풀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 본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와,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구에 접촉하고, 상기 스풀 본체 및 상기 스풀축 중 어느 일방(一方)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또한 상기 스풀 본체 및 상기 스풀축 중 어느 타방(他方)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방열부
    를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 또한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통상(筒狀)의 지지부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풀 본체는,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드래그 기구는, 상기 스풀 본체 및 상기 지지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지지부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는,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양 단부(端部)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통상부를 가지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통상부의 내측(內側)에 배치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상기 드래그 기구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로부터 경(徑)방향 외측(外側)으로 연장되는 확장부를 가지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드래그 기구의 열을 배열(排熱)하기 위한 제1 배열 구멍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기구는, 상기 스풀축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 드래그판과, 상기 제1 드래그판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스풀 본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 드래그판을 가지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제1 드래그판 및 상기 제2 드래그판 중 어느 일방에 접촉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열부
    를 더 구비하는 스피닝 릴의 스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부는, 상기 스풀 본체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피닝 릴의 스풀.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본체는, 낚싯줄이 감기는 줄 감기 몸통부와, 상기 줄 감기 몸통부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와, 한 쌍의 상기 플랜지부 중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통상부를 가지고,
    상기 배열부는, 상기 어느 일방의 플랜지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통상부는,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상기 스풀 본체의 외부에 배열하기 위한 제2 배열 구멍을 가지는,
    스피닝 릴의 스풀.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열부는,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의 열을 상기 스풀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 경방향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날개부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스풀.
  11.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에 장착되고,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스풀
    을 구비하는 스피닝 릴.
KR1020160105934A 2015-12-04 2016-08-22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피닝 릴 KR1026250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7260A JP6682253B2 (ja) 2015-12-04 2015-12-04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JP-P-2015-237260 2015-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200A true KR20170066200A (ko) 2017-06-14
KR102625017B1 KR102625017B1 (ko) 2024-01-16

Family

ID=5728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934A KR102625017B1 (ko) 2015-12-04 2016-08-22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43190B2 (ko)
EP (1) EP3175708B1 (ko)
JP (1) JP6682253B2 (ko)
KR (1) KR102625017B1 (ko)
CN (1) CN106982802B (ko)
TW (1) TWI717389B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8857A (en) * 1981-01-09 1983-01-18 Cool Spool, Inc. Fishing reel drag
JPS627867U (ko) * 1985-06-28 1987-01-17
JP2006042771A (ja) 2004-08-01 2006-02-16 Hideoku Yamada 釣用リール
JP2008283931A (ja) * 2007-05-21 2008-11-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3192726U (ja) * 2014-06-18 2014-08-28 大塚 隆 スピニングリール
CN204499185U (zh) * 2015-02-15 2015-07-29 傅培元 一种散热型鱼线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872Y2 (ko) * 1985-06-19 1991-03-18
JP3192726B2 (ja) * 1992-01-14 2001-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伝熱管の耐摩耗構造
JP3310528B2 (ja) 1996-01-24 2002-08-0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2001286245A (ja) * 2000-04-05 2001-10-16 Mamiya Op Co Ltd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7004140A (ja) * 2005-05-25 2007-01-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乾燥システム
JP2011125264A (ja) 2009-12-17 2011-06-30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203851667U (zh) * 2014-03-24 2014-10-01 广州市钛德金属制品有限公司 散热式刹车片
CN204499181U (zh) * 2015-02-15 2015-07-29 傅培元 鱼轮散热机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8857A (en) * 1981-01-09 1983-01-18 Cool Spool, Inc. Fishing reel drag
JPS627867U (ko) * 1985-06-28 1987-01-17
US4732344A (en) * 1985-06-28 1988-03-22 Ryobi Ltd. Device for preventing the dropping-off of the drag washer of a fishing reel
JP2006042771A (ja) 2004-08-01 2006-02-16 Hideoku Yamada 釣用リール
JP2008283931A (ja) * 2007-05-21 2008-11-27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101377480B1 (ko) * 2007-05-21 2014-03-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스피닝 릴의 스풀
JP3192726U (ja) * 2014-06-18 2014-08-28 大塚 隆 スピニングリール
CN204499185U (zh) * 2015-02-15 2015-07-29 傅培元 一种散热型鱼线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5708A1 (en) 2017-06-07
TWI717389B (zh) 2021-02-01
JP6682253B2 (ja) 2020-04-15
US10143190B2 (en) 2018-12-04
KR102625017B1 (ko) 2024-01-16
JP2017099359A (ja) 2017-06-08
TW201720297A (zh) 2017-06-16
EP3175708B1 (en) 2020-06-24
CN106982802A (zh) 2017-07-28
CN106982802B (zh) 2021-07-27
US20170156300A1 (en)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279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EP2260700B1 (en) Spinning reel drag switch device
KR101913237B1 (ko) 듀얼 베어링 릴
US20160270381A1 (en) Spinning reel
KR102125975B1 (ko) 스피닝 릴
JP6376740B2 (ja) 両軸受リール
JP2015065961A5 (ko)
JP6227353B2 (ja) 釣り用リールのローラクラッチ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US20100123035A1 (en) Drag Adjust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201405754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EP1425966B1 (en) Fishing reel component
KR20170066200A (ko) 스피닝 릴의 스풀, 및 스피닝 릴
KR102502468B1 (ko) 양 베어링 릴
BR112017009874B1 (pt) Espelho de porta de veículo
US10321670B2 (en) Dual-bearing reel
JP716609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6267874B2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H1032772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ッグ機構
US10070636B2 (en) Spoo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2008295329A (ja) 両軸受リール
WO2023074406A1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JP710520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5000105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ール本体及びそのカバー部材
JP2001112387A (ja)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CN118076225A (en) Reel of spinning reel for fish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