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1206A - 엘리베이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1206A
KR20170051206A KR1020160117073A KR20160117073A KR20170051206A KR 20170051206 A KR20170051206 A KR 20170051206A KR 1020160117073 A KR1020160117073 A KR 1020160117073A KR 20160117073 A KR20160117073 A KR 20160117073A KR 20170051206 A KR20170051206 A KR 20170051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resistance member
car
elevator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4158B1 (ko
Inventor
마코토 다니시마
도시야 스즈키
마사지 이이다
게이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종래 기술에 있는 천정이나 마루를 덮는 정풍 커버는 정풍체의 형상이 복잡하기 때문에, 가공비나 설치비 등의 비용이 비싸고, 일부의 고급 기종밖에 적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천정 또는 마루를 덮는 형태로 정풍체를 장착하기 때문에, 보수성이 나빠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용 대비 효과를 높인 엘리베이터로서, 엘리베이터 승강 중의 카 내 소음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승강로를 승강하는 카의 상하부의 적어도 일방에 통풍구를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그 통기 저항 부재의 근방에 통기성 부재를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ELEVATOR}
사람 및 짐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사람 및 짐 중 적어도 하나를 운반하는 카(car)가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카의 승강 속도가 증가한 경우, 기류의 혼란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고, 그 소음에 의해 카 내의 쾌적성이 저해될 수 있다. 카 내의 쾌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카의 상하에 정풍체를 배치해 기류의 혼란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카 내 소음을 저감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18954 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원호 형상을 갖는 정풍체를 직방체 형상의 카의 상하면에 연접하여, 직방체 형상 카의 단부에 의해 기류가 말려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연접되는 종래의 정풍체는 형상이 복잡해서, 가공비 및 설치비를 포함한 비용이 비싸진다. 그 때문에, 엘리베이터 자체의 비용이 증대할 우려가 있다. 또한, 카의 상하면에 연접하여 정풍체가 배치된 경우, 천정면 및 마루면이 정풍체로 덮이게 된다. 그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원이 엘리베이터를 메인터넌스 할 때에, 카의 내부로부터 카의 상하 외부로 나오는 것이 곤란해져, 보수성이 악화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소음에 의한 카 내의 쾌적성 저해를 억제하면서, 비용 증대의 억제와 보수성 악화의 억제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는, 승강하는 카와 통기 저항 부재를 구비한다. 통기 저항 부재는, 카의 승강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을 틈새 공간을 거쳐서 덮고, 승강 방향으로 개구된 통풍구를 구비하여, 일방측으로부터 흐르는 바람의 일부를 틈새 공간으로 통과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의 승강 방향으로 통기 저항 부재를 배치하기 때문에, 카의 천정이나 마루로부터 음원을 멀리 떼어 놓아서, 소음에 의한 카 내의 쾌적성 저해를 억제할 수 있다. 그 통기 저항 부재가 승강 방향으로 개구된 통풍구를 구비하기 때문에, 공기 저항이 저하되어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형상이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통기 저항 부재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용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통기 저항 부재와 카 사이에는 틈새 공간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메인터넌스 작업원은 비교적 용이하게 카의 내부로부터 카의 상하 외부로 나올 수 있어서, 보수성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X-X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일부를 Y-Y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통기 저항 부재가 없는 경우의 카 주위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8은 통풍구가 없는 통기 저항 부재를 배치한 경우의 카 주위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9는 통풍구를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배치한 경우의 카 주위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Z-Z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14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Z-Z 단면에서 절단한 단면도,
도 16은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와 통기성 부재의 단면도,
도 17은 통기성 부재가 없는 경우의 통기 저항 부재의 후류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후류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
도 19는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1은 실시형태 7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2는 실시형태 7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일 예이며,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1)의 주위에는, 카(1)를 지지하는 프레임 형상의 카 프레임(2)이 있다. 카 프레임(2)에는 카(1)를 매달기 위한 로프(3)가 고정되며, 권상기로 카(1)를 승강 방향인 상하로 승강시킨다. 실시형태 1에서는, 카 내 소음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카(1)의 승강 방향에 있는 상하의 적어도 일방에 유선 형상의 통기 저항 부재(4)를 배치한다. 통기 저항 부재(4)는, 엘리베이터가 승강할 때에 있어서의 해당 부재를 통한 통기에 대해 저항을 나타내는 부재이다.
도 2에 통기 저항 부재(4)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는 도 1에 기재된 X-X 단면에서 엘리베이터를 절단한 단면도, 도 4에는 도 1에 기재된 Y-Y 단면에서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통기 저항 부재(4)는 4a~4d의 4면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기 저항 부재(4)의 안은 중공이다. 상류측의 면(4a)은, 정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승강 방향의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호 형상의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그 외의 면은 평판이다. 개폐 가능한 도어(6) 측에 있는 통기 저항 부재(4)의 단부에는, 승강 방향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차양부(7)가 마련되어 있다.
통기 저항 부재(4)가 엘리베이터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엘리베이터의 하측에 설치해도 괜찮다. 하측에 설치하는 통기 저항 부재(4)는 상측에 설치한 통기 저항 부재(4)와 상하 반대가 되도록 구성하면 된다. 즉, 하측에 설치하는 통기 저항 부재(4)에서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차양부(7)를 마련하도록 구성하면 된다.
차양부(7)는, 차음 성능이 낮은 도어(6) 측으로의 유입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며, 차양부(7)의 길이는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차양부(7)는 도어의 문턱(14)의 단면과 동일면 상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어(6) 측에 있는 승강로의 벽으로부터의 거리가 차양부(7)와 문턱(14)의 단면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기 저항 부재(4)는 카(1)의 상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통기 저항 부재(4)와 카(1)의 상방 표면과의 사이에는 틈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 저항 부재(4)에는, 로프(3)를 카 프레임(2)에 고정할 때에 간섭하지 않게 마련한 로프 구멍(8)과, 통기 저항 부재(4)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공기를 흘리기 위한 통풍구(9)가 마련되어 있다. 통풍구(9)는 승강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통풍구(9)를 통과하는 유량은 상류측에 대해 50% 미만인 통기 저항을 갖는다. 통풍구(9)는 사이즈가 작은 구멍이며, 상류로부터의 바람의 일부를 몰아 넣어, 카(1) 측의 틈새 공간에 흘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통기 저항 부재(4)를 거쳐서 카(1)로 흐르는 통기에 대해 저항이 발생한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외형은 카(1)의 천정을 승강 방향으로 투영한 형상과 거의 동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정이 직사각형인 경우, 통기 저항 부재(4)도 직사각형이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외형은 천정과 같은 사이즈가 바람직하지만, 조금 (예컨대 1변의 길이가 1할 정도) 작은 거의 동형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천정이 직사각형인 경우, 코너가 둥근 직사각형, 외형의 일부에 오목부 등을 갖는 경우도 동형으로 생각한다.
카(1)의 천정이 평탄한 경우, 통기 저항 부재(4)의 하류측의 면은 천정과 거의 평행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통풍구(9)의 형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 형상이어도 좋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 형상이어도 좋으며, 면적이 작은 통풍구(9)가 복수 배치되어 있다. 통풍구(9)는 가느다란 슬릿으로서, 상류로부터의 바람의 일부를 몰아 넣어, 카(1) 측의 틈새 공간에 흘리는 것이다. 이 때문에, 통기 저항 부재(4)를 거쳐서 카(1)로 흐르는 통기에 대해 저항이 발생한다.
도 1에서는, 통기 저항 부재(4)를 카 프레임(2)에 배치한 일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카(1)의 상면보다 상방 또는 하면보다 하방이면, 카 프레임(2)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수평 방향의 면적은 카(1)의 상면인 천정 및 하면인 마루와 거의 동등한 치수이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소재는 알루미늄판, 강판, 또는 2매의 강판을 점탄성 수지로 접착시킨 제진 강판 등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기재된 X-X 단면과 마찬가지의 단면에서 통기 저항 부재를 절단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통기 저항 부재(4)의 상류측의 면(4a)에 통풍구(9)를 마련하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풍구(9)를 하류측의 면(4b)에만 마련하고, 로프 구멍으로부터 통기 저항 부재(4)의 내부로 유입한 공기를 통풍구(9)로부터 하류측으로 흘리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저항 부재(4)를 반원 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삼각형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이라도 좋으며, 도 1에 나타내는 외형 형상에 한정한 것은 아니다. 나아가, 통기 저항 부재(4)의 상류측의 면(4a)에 통풍구(9)가 있는 경우는 상류측의 면(4a)만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카(1) 주위의 흐름과 카(1) 내 소음에의 영향과의 관계를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다.
도 7은, 통기 저항 부재(4)가 없는 경우의 카(1) 주위의 흐름을 나타낸다. 상승시에는, 카(1)의 상류의 공기가 천정에서 압출되도록 천정의 전체 둘레 방향으로 흐르고, 천정의 에지(10)를 통과하여, 카(1)의 측면으로 흐른다. 그때, 천정에는 큰 풍압이 걸리기 때문에, 바람의 압력 변동으로 천정이 가진(可振)되어, 진동 소음으로서 카(1) 내에 전파된다. 또한, 천정의 에지(10)에서 박리되기 때문에, 소음원이 되는 소용돌이(12)가 카(1)의 측면 근방에서 발생하여, 소음이 카(1)의 벽이나 문을 거쳐서 카(1) 내로 전파된다.
도 8에서는, 통풍구(9)가 없는 통기 저항 부재(4)를 배치한 경우의 카(1) 주위의 흐름을 나타낸다. 통기 저항 부재(4)가 있는 경우는, 카(1)의 상류측의 공기를 천정이 아니라, 통기 저항 부재(4)에서 압출한다. 그 후,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11)를 통과하여, 카(1)의 측면으로 흐른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을 U1으로 한다. 통기 저항 부재(4)가 없는 경우에 생기고 있던 천정의 가진이나 에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천정 근방으로부터 통기 저항 부재(4) 근방으로 이동한다. 천정이나 벽 등의 차음벽과 음원과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차음 성능이 큰 폭으로 저하하는 점에서, 통기 저항 부재(4)로 음원을 카(1)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차음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서, 카(1) 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기 저항 부재(4)의 상류측의 면(4a)이 유선형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속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어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통풍구(9)가 있는 통기 저항 부재(4)를 배치한 경우의 카(1) 주위의 흐름을 나타낸다. 통풍구(9)가 있음으로써, 카(1)의 상류측의 공기의 일부가 통풍구(9)를 통과한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11)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을 U2로 하고, 통풍구(9)를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를 U3로 한다.
통풍구(9)를 통과한 공기는 통기 저항에 의해 유속이 느려져서, 천정 근방으로 흐른다. 천정에 도달한 흐름은 유속이 느리기 때문에, 천정 근방의 압력 변동이 작아지며, 그 결과, 천정의 진동이 작아진다. 즉, 이 경우, U1>U2>U3의 관계가 성립된다.
통풍구(9)를 통해 천정 측으로 공기를 흘리는 것에 의해, 에지(11) 근방의 풍속 분포의 편차가 작아져, 에지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카(1) 내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소재를 제진 강판으로 한 경우, 알루미늄판으로 한 경우 및 강판으로 한 경우에 비해 진동을 경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통기 저항 부재(4)로부터 발생하는 방사음을 저감할 수 있어서, 더욱 저소음화할 수 있다.
카(1) 주위의 흐름과 소음에의 영향과의 관계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상승시를 예로 들어 위에서 설명했다. 하강시는, 천정이 마루로 바뀔 뿐 동일한 현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
도 10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1), 카(1)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2), 카(1)와 카 프레임(2)을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3) 및 권상기에 더하여, 카(1)의 상하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한 통풍구(9)를 갖는 L자형 형상의 통기 저항 부재(4)가 추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통풍구(9)가 마련되어 있는 평판 형상 부분과 그 평판 형상 부분에 수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차양부(7)를 포함하는 통기 저항 부재(4)가 추가되어 있다.
도 11에 통기 저항 부재(4)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2에는, 도 10에 기재된 Z-Z 단면에서 엘리베이터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통기 저항 부재(4)는 L자형 형상이며, 개폐 가능한 도어(6) 측에 있는 통기 저항 부재(4)의 단부에는, 승강 방향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차양부(7)가 마련되어 있다. 통기 저항 부재(4)의 배치나 재료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이다.
카(1)의 상하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한 통풍구(9)를 갖는 L자형 형상의 통기 저항 부재(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카 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기 저항 부재(4)가 단순한 형상이기 때문에 염가로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3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2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1), 카(1)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2), 카(1)와 카 프레임(2)을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3) 및 권상기, 카(1)의 상하의 일방에 배치한 통풍구(9)를 갖는 통기 저항 부재(4)에 더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1)의 상하의 타방에 배치한 통기 저항 부재(4)가 추가되어 있다.
카(1)의 상하 각각에 통기 저항 부재(4)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카(1)의 상승시뿐만 아니라 하강시에도 카 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4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4에서는, 실시형태 2의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1), 카(1)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2), 카(1)와 카 프레임(2)을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3) 및 권상기, 카(1)의 상하의 일방에 배치한 통풍구(9)를 갖는 통기 저항 부재(4)에 더하여,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1)와 반대측에 있는 통기 저항 부재(4)의 면에, 즉 통기 저항 부재(4)의 상면에, 통기성이 있는 통기성 부재(5)를 배치하고 있다. 통기성을 갖추기 위해서, 통기성 부재(5)는 미세한 통기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기 저항 부재(4)에 의해 지지된다. 통기성 부재(5)를 수반한 통기 저항 부재(4)가 카(1)에 대해 간격을 두고 보지되는 것은 상술한 실시형태 1~3과 마찬가지이다. 실시형태 4에 따른 통기 저항 부재(4)는, 실시형태 1~3의 통기 저항 부재(4)와 비교하여, 큰 사이즈의 통풍구(9)를 가지고 있어서, 통기 저항이 낮아져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 1~4의 차이를 명확하게 하는 설명의 편의상, 실시형태 4에 따른 구성요소(4)도 통기 저항 부재라 칭하여 이하에 기술한다.
통기 저항 부재(4)의 통풍구(9) 형상은, 실시형태 2에 기재한 형상과는 다르며, 큰 면적의 통풍구(9)로 하고 있다. 실시형태 2에서는 통기성 부재(5)가 없기 때문에, 통풍구(9)의 면적을 작게 했지만, 실시형태 4에서는 통풍구(9)를 통과하는 풍량을 컨트롤할 수 있는 통기성 부재(5)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풍구(9)의 형상의 자유도가 커진다. 실시형태 4에서는, 큰 통풍구(9)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가공 비용을 삭감할 수 있으며,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통기성 부재(5)의 설치 면적은 통기 저항 부재(4)와 동일하며, 통기성 부재(5)의 두께는 1mm 이상이 바람직하다.
통기성 부재(5)는 통기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지만, 풍압에 의한 압력 변동을 완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풍압으로 통기성 부재(5)의 두께가 변화하는 연질인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부직포, 암면(rock wool), 우레탄 등의 재료를 채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는 내부에 미세한 통풍로를 가지고 있어서, 바람이 통과할 때에 저항을 일으킨다. 따라서, 통기성 부재(5)를 수반한 통기 저항 부재(4)는 통기 저항을 갖게 된다.
통기성 부재(5)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에 의한 방법, 통기성 부재(5)에 핀을 찌르는 방법, 밴드 등으로 통기성 부재(5)를 덮어서 고정하는 방법, 리벳이나 볼트 등의 체결 부재로 고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통기 저항 부재(4)에 고정할 수 있다.
통풍구(9)가 있는 통기 저항 부재(4)와 통기성 재료로 구성된 통기성 부재(5)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카(1)의 상류측의 공기가 통기 저항 부재(4) 및 통기성 부재(5)에 닿은 후, 일부의 공기는 통기 저항 부재(4) 및 통기성 부재(5)를 통과한다. 그때, 통기성 부재(5) 내의 뒤얽힌 유로를 통과하기 때문에, 유속이 떨어지는 동시에 정류되어 천정 근방으로 흐른다. 실시형태 2의 효과에 정류 효과가 더해지기 때문에, 실시형태 2보다 더욱 저소음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 근방에도 통기성 부재(5)를 마련함으로써, 통기성 부재(5) 내를 통과할 때에 감속 및 정류되기 때문에, 에지 근방에서 생기는 소음을 경감할 수 있어서, 카 내 소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통기 저항 부재의 상류측은 기류의 정체점이 되어, 가장 압력 변동이 큰 곳이 될 수 있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카(1)와 반대측의 면에 통기성 부재(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력 변동 흡수 효과도 비교적 커지며, 풍압으로 통기성 부재(5)가 벗겨질 우려도 저하된다. 상기에서는, 같은 형상의 통기 저항 부재(4)를 이용하는 실시형태 2와 비교하여 설명했지만, 실시형태 1에 통기성 부재(5)를 이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 5
도 16은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와 통기성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통기성 부재가 없는 경우의 통기 저항 부재의 후류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후류의 흐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실시형태 5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구성부품은 실시형태 4와 마찬가지이지만, 통기성 부재(5)의 배치가 다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 저항 부재(4)의 전체 둘레를 통기성 부재(5)로 둘러싸도록 배치한다. 통기 저항 부재(4)와 통기성 부재(5)의 조합을 정류 장치로 한 경우,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정류 장치의 에지 반경이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11) 반경이 아니라, 통기성 부재(5)의 굽힘 반경이 된다. 즉, 정류 장치의 에지 반경이 커진다.
에지 반경 확대의 효과를 도 17과 도 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7에는, 통기 저항 부재(4)만을 갖는 경우의 후류의 흐름을 나타낸다.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11)에서 박리되는 것에 의해, 후류에 소음원인 소용돌이(12)가 생긴다. 통기 저항 부재(4)의 바로 하류는 부압이기 때문에, 후류가 됨에 따라, 소용돌이(12)가 내측으로 이동하여, 통기 저항 부재(4)의 후류에 있는 카(1)에 소용돌이(12)가 간섭한다. 간섭이 생긴 경우, 카(1)의 천정, 벽, 도어(6)의 근방에서 큰 압력 변동이 생겨, 카(1) 내 소음이 커진다.
도 18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성 부재(5)를 배치한 경우의 후류의 흐름을 나타낸다. 통기성 부재(5)로 통기 저항 부재(4)의 에지(11) 반경을 크게 함으로써, 통기 저항 부재(4)의 하류의 부압 영역이 작아져, 통기 저항 부재(4)의 후류에서 소용돌이(12)가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통기 저항 부재(4)의 후류에 있는 카(1)와 간섭하지 않게 되어, 실시형태 2보다 더욱 저소음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5에서는, 통기성 부재(5)의 두께 분량만큼 통기 저항 부재(4)의 수평 방향의 면적이 커져 버려, 카(1)의 천정이나 마루의 면적보다 커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는 통기성 부재(5)의 두께 분량만큼 통기 저항 부재(4)의 면적을 작게 한다. 통기성 부재(5)의 두께는 10mm 이상(R1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1) 주위의 흐름과 소음에의 영향과의 관계에 대해서, 엘리베이터 상승시를 예로 들어 위에서 설명했다. 하강시는, 천정이 마루로 바뀔 뿐 동일한 현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6
도 19는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통상시에 있어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의 작업시에 있어서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6에서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1), 카(1)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2), 카(1)와 카 프레임(2)을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3) 및 권상기, 카(1)의 상하의 적어도 한쪽에 배치한 통기 저항 부재(4)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실시형태 2와는 통기 저항 부재(4)의 구조가 다르다.
천정과 통기 저항 부재(4)와의 거리가 작업자의 신장보다 높은 경우는 문제 없지만, 작업자의 신장보다 낮은 경우에는, 작업자는 천정 상에서 보수 작업을 하기가 어렵다. 실시형태 6은 이러한 경우에 효과적이다.
도 19 및 도 20에는, 실시형태 6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4)의 통상시 및 작업시에 있어서의 형상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통기 저항 부재(4)는 복수의 통기 저항 부재(4e, 4f, 4g)가 힌지(13)로 접속되어 있다. 그 결과, 통기 저항 부재(4)의 절곡이 가능해져, 천정 상에서의 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9 및 도 20에서는 통기성 부재(5)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복수의 통기 저항 부재(4e, 4f, 4g)를 힌지(13)로 절곡했을 때에 통기성 부재끼리가 간섭하지 않게 배치한 경우에는, 통기성 부재(5)와의 조합도 가능하다. 또한, 도 20에서는 통기 저항 부재(4e)와 통기 저항 부재(4g)를 상향으로 절곡하고 있지만, 하향에 절곡하는 것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기 저항 부재(4)를 3분할하고 있지만 4f와 4g를 일체로 하여, 2분할 구조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도 21은 실시형태 7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7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7에서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1), 카(1)를 지지하는 카 프레임(2), 카(1)와 카 프레임(2)을 승강시키기 위한 로프(3) 및 권상기를 마련한 구성이다. 카(1)의 상하의 적어도 한쪽에는, 통풍구를 갖는 판 부재(4h, 4i)를 2매 배치한 통기 저항 부재(4j)가 마련되어 있다. 그 2매의 판 부재(4h, 4i)의 사이에는, 통기성 부재(5)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류측의 판 부재(4h)의 단부에 차양부(7)를 마련하고 있다.
도 21은 실시형태 7에 따른 엘리베이터가 갖는 통기 저항 부재(4j)의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A-A'에서 정류판(4j)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2매의 판 부재(4h, 4i)가 승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류측에 있는 판 부재(4h)의 통풍구(9)와 하류측에 있는 판 부재(4i)의 통풍구(9)가 승강 방향으로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매의 판 부재(4h, 4i)와 통기성 부재(5)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통기 저항 부재(4j)에서는 진동이 경감되며, 통기 저항 부재 차음 성능도 향상되어, 카 내 소음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설명하고 또한 기술한 특정의 상세 내용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추가 변형예 및 효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카, 2: 카 프레임, 3: 로프, 4: 통기 저항 부재, 5: 통기성 부재, 6: 도어, 7: 차양부, 8: 로프 구멍, 9: 통풍구, 10: 천정의 에지, 11: 통기 저항 부재의 에지, 12: 소용돌이, 13: 힌지, 14: 도어의 문턱

Claims (10)

  1.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승강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을 틈새 공간을 거쳐서 덮고, 상기 승강 방향으로 개구된 통풍구를 구비하여 상기 일방측으로부터 흐르는 바람의 일부를 상기 틈새 공간으로 통과시키는 통기 저항 부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는 복수의 개구 부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를 덮고 통기성을 갖는 제 1 통기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를 덮고 통기성을 갖는 제 1 통기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저항 부재는 상기 승강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판 부재 사이에, 통기성을 갖는 제 2 통기성 부재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기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통기 저항 부재의 단부를 덮는 제 3 통기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저항 부재는 힌지와 복수의 판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판 부재는 상기 힌지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는 개폐 가능한 도어를 상기 승강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통기 저항 부재는, 상기 승강 방향으로 돌출하는 차양부를 상기 일 측면 측에 있는 상기 통기 저항 부재의 단부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저항 부재는 제진 강판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저항 부재는, 상기 일방측을 향해 돌출하는 호 형상의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KR1020160117073A 2015-10-30 2016-09-12 엘리베이터 KR101944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13706 2015-10-30
JPJP-P-2015-213706 2015-10-30
JPJP-P-2016-078033 2016-04-08
JP2016078033A JP6627623B2 (ja) 2015-10-30 2016-04-08 エレベー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06A true KR20170051206A (ko) 2017-05-11
KR101944158B1 KR101944158B1 (ko) 2019-01-30

Family

ID=5871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073A KR101944158B1 (ko) 2015-10-30 2016-09-12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627623B2 (ko)
KR (1) KR101944158B1 (ko)
CN (1) CN1068653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2266A (zh) * 2018-01-30 2019-08-0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换气装置及装有该换气装置的电梯轿厢
JP2021046306A (ja) * 2019-09-20 2021-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及び乗りかご
CN112777456B (zh) * 2020-12-15 2022-08-02 中国计量大学 一种低噪声的电梯轿厢及电梯轿厢结构
CN115367592A (zh) * 2022-08-16 2022-11-22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电梯轿厢扰流降噪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25Y1 (ko) * 1994-11-18 1997-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열로의 열손실 방지를 위한 보열장치
JP2003118954A (ja) 2001-10-15 2003-04-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整風装置
KR20050106450A (ko) * 2005-08-24 2005-11-09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정풍 장치
JP4256533B2 (ja) * 1999-06-18 2009-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2014005090A (ja) * 2012-06-21 2014-01-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871B2 (ja) * 1997-06-20 2007-12-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JP4339451B2 (ja) * 1999-07-07 2009-10-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4558133B2 (ja) * 2000-03-29 2010-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2008505038A (ja) * 2004-06-30 2008-02-21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消散性換気通路を有するエレベーターかご室天井
CN101948058B (zh) * 2010-08-25 2012-08-22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电梯轿厢用上整流罩
CN104395222B (zh) * 2012-06-18 2016-08-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25Y1 (ko) * 1994-11-18 1997-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가열로의 열손실 방지를 위한 보열장치
JP4256533B2 (ja) * 1999-06-18 2009-04-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2003118954A (ja) 2001-10-15 2003-04-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整風装置
KR20050106450A (ko) * 2005-08-24 2005-11-09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정풍 장치
JP2014005090A (ja) * 2012-06-21 2014-01-16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65391A (zh) 2017-06-20
CN106865391B (zh) 2019-06-07
KR101944158B1 (ko) 2019-01-30
JP6627623B2 (ja) 2020-01-08
JP2017081752A (ja) 201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158B1 (ko) 엘리베이터
KR100257681B1 (ko) 엘리베이터의 커버장치
JPH03111392A (ja) 高速運行エレベータかごの換気装置
JP5502786B2 (ja) エレベーター乗りかご
JP273494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49108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81102B2 (ja) エレベータ
JP201605600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20148855A1 (ja) エレベーターかご
CN107337055B (zh) 电梯装置
WO2018110380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TWI254022B (en) Air deflector device for elevator
JP201606913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3977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1937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48491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4148416A (ja) エレベータ
JP6243245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955799B1 (ko)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KR20140116469A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21046306A (ja) エレベーター及び乗りかご
JP4060055B2 (ja) エレベータの整風装置
WO201315363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544546B2 (ja) エレベ―タ昇降路用整風装置
CN117651685A (zh) 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