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799B1 -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 Google Patents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799B1
KR101955799B1 KR1020170081208A KR20170081208A KR101955799B1 KR 101955799 B1 KR101955799 B1 KR 101955799B1 KR 1020170081208 A KR1020170081208 A KR 1020170081208A KR 20170081208 A KR20170081208 A KR 20170081208A KR 101955799 B1 KR101955799 B1 KR 101955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elevator
wind deflector
capsule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648A (ko
Inventor
홍인택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1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7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윈드 디플렉터로서, 승강기 카 상부의 전면에 소정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를 제공하며, 이에 의하면, 승강기 카의 상승 동작에 따라 승강기 카와 승강로 내벽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승강기 카와 승강로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압을 낮춤으로써, 승강기 카 하단에서의 재순환 유동 및 박리 영역을 해소함으로써, 승강기 동작시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여 승강기의 주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a wind deflector and elevator ca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가 운행 동작시, 승강기 카는 승강로 내의 공기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이러한 저항에 의해 승강기 카 주위로는 공기압력의 지속적인 변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승강기 카(10')의 도어(11') 측과 승강로(1) 내벽의 간격은 승강기 카(10')의 측면 및 후면과 승강로(1) 내벽과의 간격보다 매우 좁게 설계된다.
이는, 승강기 카(10') 후면 및 측면에는 카운터 웨이트, 또는 승강기 운행에 필요한 이외의 설비들이 설치된 공간이 마련되나, 도어(11') 측의 경우, 승강로(1) 내벽 탑승구(미도시) 및 도어(11')로의 탑승을 위하여 간격을 최대한 가까이 두고 설계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승강기의 운행시에, 승강기 카(10') 상부 캡슐(20') 측으로부터, 도어(11') 측과 승강로(1) 내벽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유속이 상승하고 압력이 낮아졌다가, 승강기 카(10')의 하부로 빠져나가며 갑자기 확대된 공간을 만나게 되어 커다란 압력변동이 일어나며, 이로써, 재순환 유동 및 박리 영역을 광범위하게 발생시킨다.
상기한 승강기 운행에 의한 압력 변동, 재순환 유동 및 박리 영역의 발생은, 승강키 카(10') 주위로 진동 및 소음을 발생시키며, 이는 주행성능의 악화, 승차감의 저하를 야기한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승강기 카 캡슐의 상부에, 정풍 부재를 설치하여 공기 유동을 개선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정풍 부재는 캡슐 상단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이를 통하여는 승강기 카와 승강로 내벽의 공기 유동을 개선하지는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JP 4,023,871 B2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강로 내벽과 승강기 카 사이의 공기 흐름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기 카에 설치되는 윈드 디플렉터로서, 승강기 카 상부의 전면에 소정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설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윈드 디플렉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상부면은, 상기 승강기 카의 전면에서 보아 상기 승강기 카의 상측 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을 이루는 곡선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전면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하부면은 상기 전면부를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선부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전면과 40~6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면의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전면과 40~6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윈드 디플렉터가 설치된 캡슐을 포함하는 승강기 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에 의하면, 승강기 카의 상승 동작에 따라 승강기 카와 승강로 내벽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승강기 카와 승강로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압을 낮춤으로써, 승강기 카 하단에서의 재순환 유동 및 박리 영역을 해소함으로써, 승강기 동작시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여 승강기의 주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의 운행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가 승강기 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가 설치된 부분을 전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가 설치된 승강기 카의 승강로 내에서의 동작을 전면 및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는, 승강기 카(10)에 설치되는 윈드 디플렉터로서, 승강기 카(10) 상부에 설치되는 캡슐(20)의 전면에 위치한다. 즉, 승강기 카(10)가 승강로(1) 내부에서 승강로(1)의 일측 벽면과 근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캡슐(20)과 승강로(1) 사이에 위치한다(도 5 참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는, 승강기 카(10)가 승강로(1)와 근접하여 마주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면을 후방, 상기 전방 및 후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측방으로 칭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각 방향 측의 부분을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 등의 기재를 통하여 나타내나, 이는 절대적인 방향을 의미하지 않으며,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임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는 승강기 카(10)의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100)를 포함하며, 이로써, 승강기 카(10)의 동작시 승강기 카(10) 전면과 승강로(1) 내벽과의 간격을 좁혀 공기 유동의 흐름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강기 전면의 마찰저항 및 압력변화를 줄여 주행성능을 향상시키며, 승강로(1)와 승강기 카(10) 사이의 공기 유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본체(100)는 캡슐(20)의 전면에 소정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캡슐(20)의 전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전부면(110), 전부면(110)의 상측, 하측 및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면(120)과 하부면(130) 및 양측의 측부면(140)을 포함한다.
상부면(120)은 본체(100) 상부에 위치하는 면으로서, 승강기 카(10)의 전면에서 보아 상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선을 이루는 곡선부로 이루어진다(도 2 및 도 4 참조).
이로써, 승강기 카(10)의 상승 동작시, 상부면(120)에서 발생하는 공기 유동압을 최소화시키고, 승강로(1)와 캡슐(20) 사이로 유입되어 승강기 카(10)의 도어(11) 측 전면으로 진입하려는 공기 유동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를 승강기 카(10)의 측면을 통하여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면(120)을 이루는 곡선부는 경사면을 이룬다. 곡선부는 캡슐(20)의 전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 형태를 이루며, 구체적으로, 곡선부 일측 즉, 본체(100)의 전부면(110) 측으로부터 캡슐(20)의 전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도 4 참조).
이로써, 승강기 카(10)의 상승 동작시, 캡슐(20)과 승강로(1) 사이를 통해 하측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캡슐(20) 측으로 유동하여 곡선부를 통해 승강기 카(10)의 측면을 통하여 원활히 하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상부면(120)에서의 공기 유동압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하부면(130)도 캡슐(20)의 전면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이룰 수 있고, 이로써, 캡슐(20)과 승강로(1) 사이를 통해 하측으로 유입되어 승강기 카(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압을 줄일 수 있다.
곡선부를 이루는 상부면(120)의 경사면과 캡슐(20)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a), 및 하부면(130)의 경사면이 캡슐(20)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b)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각 경사면이 캡슐(20)의 전면과 이루는 각도(a, b)는 40~60°로 형성된 경사면에서 공기 유동압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을 확인하였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가 캡슐(20)에 설치된 승강기 카(10)의 동작에 있어서, 윈드 디플렉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승강기 카(10)의 상승 동작이 이루어지면, 승강로(1) 내 공기의 하측으로의 유동이 이루어진다(물론, 실제로는 공기가 유동하는 것이 아니고, 승강기가 상승 동작하는 것이나,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공기가 하측으로 유동하는 것과 같은 공기 흐름이 발생하고, 이하에서는 공기가 하측으로 유동하는 형태로 설명됨).
승강기 카(10)의 상승 동작에 의해 승강로(1) 내의 공기가 승강기 카(10)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승강기 카(10) 전면의 공기는 캡슐(20) 상부로부터, 캡슐(20)과 승강로(1)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승강기 카(10) 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캡슐(20)과 승강로(1) 내벽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곡선부 측으로 유동하여 곡선부 및 곡선부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기 카(10)의 측면으로 유동하게 되어, 승강기 카(10) 전면의 도어(11) 측과 승강로(1)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 유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승강기 카(10) 전면과 승강로(1) 내벽 사이의 공기 유동압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부면(120)의 곡선부를 통하여 유동하지 않고, 전부면(110)과 승강로(1) 내벽 사이를 통과하여 승강기 카(10)의 도어(11) 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하부면(130)의 경사면에 의하여 정류되어 유동압이 최소화된 상태로 승강기 카(10) 하단으로 빠져나가게 되며, 따라서, 승강기 카(10) 하부에서의 박리영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드 디플렉터에 의하면, 승강기 카의 상승 동작에 따라 승강기 카와 승강로 내벽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측면으로 유도하여 승강기 카와 승강로 사이에서의 공기 유동압을 낮춤으로써, 승강기 카 하단에서의 재순환 유동 및 박리 영역을 해소함으로써, 승강기 동작시에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방지하여 승강기의 주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승강로
10: 승강기 카
11: 도어
20: 캡슐
100: 본체
110: 전부면
120: 상부면
130; 하부면
140: 측부면

Claims (7)

  1. 승강기 카 상부의 캡슐 전면에 설치되는 윈드 디플렉터로서,
    상기 캡슐의 전면에 소정두께를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캡슐의 전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전부면(110)과, 상기 전부면(110)의 상측단에 형성되는 상부면(120)과, 상기 전부면(110)의 하측단에 형성되는 하부면(130)과, 상기 전부면(110)의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는 측부면(14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면(120)은 승강기 카의 전면에서 보아 상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면(120)은 상기 전부면(110)으로부터 상기 캡슐의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130)은 상기 전부면(110)으로부터 상기 캡슐의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디플렉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81208A 2017-06-27 2017-06-27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KR101955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08A KR101955799B1 (ko) 2017-06-27 2017-06-27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208A KR101955799B1 (ko) 2017-06-27 2017-06-27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48A KR20190001648A (ko) 2019-01-07
KR101955799B1 true KR101955799B1 (ko) 2019-03-11

Family

ID=6501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208A KR101955799B1 (ko) 2017-06-27 2017-06-27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7549A (zh) * 2019-10-22 2020-01-17 费吕平 一种设有倾斜面的电梯轿厢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635A (ja) 2003-08-04 2005-03-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14148416A (ja) * 2013-02-04 2014-08-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5781102B2 (ja) 2013-02-08 2015-09-1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3871B2 (ja) 1997-06-20 2007-12-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かご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635A (ja) 2003-08-04 2005-03-0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2014148416A (ja) * 2013-02-04 2014-08-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5781102B2 (ja) 2013-02-08 2015-09-16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97549A (zh) * 2019-10-22 2020-01-17 费吕平 一种设有倾斜面的电梯轿厢
CN110697549B (zh) * 2019-10-22 2020-11-20 周思宇 一种设有倾斜面的电梯轿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648A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32210B (zh) 电梯系统消声组件和方法
KR101955799B1 (ko)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KR101944158B1 (ko) 엘리베이터
US20160280289A1 (en) Vehicle aerodynamic structure
CN100396587C (zh) 电梯的调整气流装置
CN112794184B (zh) 用于电梯的吸音面板
CN107337055B (zh) 电梯装置
JP6491082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9725283B2 (en) Elevator
JP5781102B2 (ja) エレベータ
TWI254022B (en) Air deflector device for elevator
KR10215603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61937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744241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8016072A1 (ja) カバーおよびエレベーター
CN111824903B (zh) 电梯及其轿厢装置
JP63977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7439992B2 (ja) エレベーター
EP1714934A1 (en) Elevator
JPS5837235B2 (ja) エレベ−タ
KR20000052033A (ko) 엘리베이터의 소음 저감 구조
JPS6114070B2 (ko)
KR20190002625U (ko) 덕트용 보호 커버 어셈블리
JP2008007222A (ja) エレベータの案内装置及びその案内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
JP201502080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のシル間隙間の閉塞具、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