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033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033B1
KR102156033B1 KR1020197016265A KR20197016265A KR102156033B1 KR 102156033 B1 KR102156033 B1 KR 102156033B1 KR 1020197016265 A KR1020197016265 A KR 1020197016265A KR 20197016265 A KR20197016265 A KR 20197016265A KR 102156033 B1 KR102156033 B1 KR 102156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c air
air body
cabin
elevator devic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568A (ko
Inventor
히로키 후쿠오카
마코토 다니시마
다카히데 다도코로
마사지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73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실(1)과, 카실과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카운터 웨이트(9)와, 카실의 승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측에, 카실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며, 카운터 웨이트의 승강 공간에 대해 측방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을 표면에 갖는 정풍체(6)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카실의 승강시에, 정풍체 표면에 충돌한 공기를 카운터 웨이트의 승강 공간에 대해 측방의 공간을 향하여 흘리는 것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 인접하는 카실과 같은 엇갈리는 주위의 물체와 카실의 간극의 공간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카실이 주위의 물체와 엇갈릴 때에 생기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
본 발명은 정풍체(整風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 속도의 증가와 함께 기류의 교란에 의한 소음(이하, 풍절음이라 함)이 증가하여, 그 소음에 의해 카실내의 쾌적성이 저해될 수 있다. 승강 속도가 빠른 엘리베이터는 카실의 상하에 정풍체를 장착하여, 풍절음 발생을 억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 소60-5516 호
특허문헌 1에서는, 설치시의 저비용화 및 보수 점검의 용이화를 위해, 단순 구조의 평판 형상의 정풍체를 카실의 상하면으로부터 격리시켜 장착하여, 카실 승강시에 카실 상하면에 기류가 충돌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풍절음 억제를 저비용으로 실현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카실 배면에서는 카운터 웨이트와 엇갈림시에 소음이 발생하고, 카실 측면에서는, 복수의 카실이 연절(連節)된 엘리베이터의 경우, 카실끼리의 엇갈림시에 소음이 발생하여, 카실내의 쾌적성이 저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카실과, 카운터 웨이트, 인접하는 카실과 같은 주위의 물체와의 엇갈림시의 소음을 저감하여, 카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킨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실과, 상기 카실과 반대 방향으로 승강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실의 승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측에, 상기 카실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승강 공간에 대해 측방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을 표면에 갖는 정풍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실의 승강시에, 정풍체 표면에 충돌한 공기를 카운터 웨이트의 승강 공간에 대해 측방의 공간을 향하여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 인접하는 카실과 같은 엇갈리는 주위의 물체와 카실의 간극의 공간을 향하여 흐르는 공기를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카실과 주위의 물체의 엇갈림시에 생기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카운터 웨이트가 카실 측면에 있는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풍체를 상부 비임으로부터 이격시킨 경우의 장착예를 도시한 카실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효과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홈부에 의한 종와류 발생의 형태를 도시한 정풍체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풍 커버 절첩시의 헝태를 도시한 카실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정풍체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a) 및 절단선 A-A에 있어서의 카실의 단면도(b)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정풍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X-X' 단면에 있어서의 정풍체 단면도와 정풍체 근방의 흐름장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Y-Y' 단면에 있어서의 정풍체 단면도와 유모 근방의 흐름장의 모식도이다.
도 19는 유모가 없는 경우의 도 15에 도시하는 X-X' 단면에 있어서의 정풍체 단면도와 정풍체 근방의 흐름장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에 따른 정풍체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개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일 예이며, 이들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의 (a) 및 (b)는 그 상면도이다.
승강로 내를 승강시키는 직방체 형상의 카실(1)의 주위에는, 카실(1)을 지지하는 상부 비임(2), 하부 비임(3), 가로 비임(4)이 있다. 상부 비임(2)에는 카실(1)을 매달기 위한 로프(5)가 고정되며, 로프(5)를 권상기(미도시)에 의해 권취하는 것에 의해 카실(1)을 승강 방향으로 승강시킨다. 또한, 카실(1) 배면에는 로프(5) 타단에 매달린 카운터 웨이트(9)가 배치되며, 카운터 웨이트(9)는 카실(1)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승강한다. 또한, 카실(1)의 승강장측에는 직방체 형상의 도어(7)가 장착되며, 카실(1)의 승강장측 하단부에는 낙하 방지를 목적으로 한 에이프런(apron)(10)이 장착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카실내 소음의 저감을 목적으로 하여, 카실(1)의 상측에 정풍체(6)를 배치한다. 정풍체(6)는 카실(1)의 승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측에 배치하면 좋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풍체(6)는 카실(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정풍체(6)와 카실(1) 상면 사이에는 간극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풍체(6)의 중앙 부분에는, 카실(1)을 매다는 로프(5)가 통과하는 개구부(8)를 구비한다.
도 1에서는, 정풍체(6)를 상부 비임(2)에 고정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정풍체(6)는 카실(1)의 상면보다 상방(또는 정풍체(6)를 하면에 장착하는 경우는, 정풍체(6)를 카실(1)의 하면보다 하방)이면, 상부 비임(2)(또는 하부 비임(3))으로부터 격리시켜 장착하여도 좋다. 정풍체(6)를 상부 비임(2)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는 볼트 고정, 상부 비임(2)으로부터 이격시켜 장착하는 경우는 도 4와 같이 상부 비임(2)에 지주(21)를 거쳐서 장착하면 좋다.
상기 정풍체(6)의 기류가 충돌하는 면의 일부 혹은 전체면에는, 카운터 웨이트(9)가 승강하는 공간에 대해 측방의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부를 구비한다. 도 2의 (a)에 홈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홈은, 카실(1)로부터 카운터 웨이트(9) 승강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정풍체(6)를 이분(二分)하는 경계선을 경계로, 카운터 웨이트(9) 승강 공간의 양 측방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해당 홈부의 방향은 정풍체(6)의 도어면측 단부에 대해 경사각(α)의 방향이다.
정풍체(6)에 충돌한 공기는 홈을 따라서 흐른다. 정풍체(6) 표면의 홈은 중앙선을 경계로 마주치기 때문에, 정풍체(6)에 충돌한 공기는 중앙선측으로 진행하기 어려워져, 홈을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도 2의 (a) 화살표의 방향). 카운터 웨이트(9)의 폭은 카실(1)의 폭에 비해 작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9) 측면 방향의 간극 공간은 카실(1) 주위의 다른 간극 공간에 비해 넓다. 따라서,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것에 의해, 카실(1) 주위의 다른 간극 공간으로 흐르는 공기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카실(1)과 카운터 웨이트(9)의 엇갈림 음, 카실(1)과 인접하는 카실(14)(도 5)의 엇갈림 음을 억제할 수 있어, 카실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카실 도어면과 승강로 벽면(20)의 간극 공간으로 흐르는 공기도 상대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카실 도어면측의 풍절음에 대해서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홈을 따라서 흐르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 표면에 홈부를 따르는 방향과 동일 방향의 와류도 벡터를 갖는 한쌍의 종와류(縱渦流)(11)가 생성된다. 이 종와류(11)의 효과에 의해, 정풍체(6)에 충돌한 공기는 정풍체(6) 표면으로부터 박리되는 일 없이 흐를 수 있어, 박리 와류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으며, 카실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와류(11)는 음원(音源)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원 발명의 정풍체(6)는 카실(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원이 비교적 용이하게 승강장으로부터 카실의 상하 외부에 액세스할 수 있어, 정풍체(6) 장착에 의한 보수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공지의, 카실(1) 상면을 덮는 형상의 곡면을 갖는 정풍체에 비해 보수성이 양호하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풍체(6)를 3분할하고, 유지보수시에는, 정풍체(6)를 카실(1) 상방을 향하여 절첩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정풍체(6)에 의한 보수성 악화를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부가하여, 카실(1) 상면을 덮는 형상의 곡면을 갖는 정풍체에 비해 부품 점수가 적고 간단한 구성이기 때문에, 가공성 및 설치성이 우수하고, 저비용으로 소음 대책이 실시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정풍체(6)는 단면이 삼각 형상인 홈부를 갖고 있지만, 카운터 웨이트(9)의 측면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는 홈 형상이면, 사다리꼴 형상이나 장방형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공기를 효과적으로 홈부를 따라서 흘리기 위해, 홈부의 깊이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풍체(6)의 카실(1) 천정부에 투영한 면적은 카실(1)의 천정부의 면적과 동일한 정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실(1)의 천정이 직사각형인 경우, 정풍체(6)의 외형도 직사각형이다.
정풍체(6)의 소재는 알루미늄판, 강판 등이며, 판금 부품을 프레스 가공이나 압출 가공하여 주기적으로 절곡해서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판재에 비해 굴곡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홈의 패턴은 도 2의 (a)에 한정되지 않으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의 측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이면 좋고, 예를 들어 도 2의 (b)와 같은 홈이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운터 웨이트가 카실의 배면측에 배치된 경우를 도시했지만, 카운터 웨이트는 카실의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의 (a) 및 (b)는 카운터 웨이트가 카실 측면측에 배치된 경우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이 경우에도 정풍체 표면에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의 측방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카실내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8은 실시형태 2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정풍체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정풍체(6)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13)의 카실(1) 승강 방향 상류측 표면에 실시형태 1에 나타내는 홈부를 갖는 다공질재(12)를 장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공질재(12)를 판금(13) 표면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한 접착이나 볼트 등에 의한 체결 등으로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재(12)는, 연속 기포가 있는 소재가 적합하며, 예를 들어 글래스 울(glass wool)이나 록 울(rock wool) 등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기재된 홈부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정풍체(6) 표면에 충돌한 공기의 일부가 정풍체(6)의 홈부를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9)의 양측면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효과와 종와류(11)의 생성에 의한 효과가 얻어져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카실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정풍체(6) 표면에 충돌하는 공기의 급격한 속도 변화를 다공질재(12)에 의해 억제할 수 있어, 정풍체(6) 표면에 있어서의 승강 방향의 압력 변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가 정풍체(6) 표면을 두드리는 것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재(12)는 소리 에너지의 일부를 열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기 때문에, 정풍체(6) 표면에서 생긴 소음을 저감할 수 있어, 카실내 소음을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9의 (a)는 실시형태 3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9의 (b)는 도 9의 (a)의 절단선 A-A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카실(1)의 측면에 압력 변동 흡수체(23)를 장착한 것이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력 변동 흡수체(23)는 카실(1)의 측면 중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측의 코너부에 장착된다. 압력 변동 흡수체(23)는, 공기가 충돌할 때의 급격한 압력 변동을 흡수하여 완만하게 하는 것이며, 다공질재 등의 소재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글래스 울이나 록 울 등의 연속 기포의 다공질 소재나 유모(柔毛) 등이 적합하다. 압력 변동 흡수체(23)는,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한 접착이나 볼트 등에 의한 체결 등에 의해 장착할 수 있다. 압력 변동 흡수체(23)는, 정풍체(6)로부터 카운터 웨이트(9)의 양측면 방향으로 배출된 공기가 충돌하는 개소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카실(1)의 천정면 혹은 마루면보다 500㎜ 떨어진 위치에, 카실 승강 방향의 길이가 50㎜ 이상이 되는 범위를 덮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변동 흡수체(23)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정도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풍체(6)로부터 카운터 웨이트(9)의 양측면 방향으로 배출된 공기가 카실(1)의 측면에 충돌할 때에 생기는 압력 변동을 완만하게 할 수 있어, 공기가 카실 측면에 충돌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압력 변동 흡수체(23)의 표면과, 그 주위의 카실 벽면을 동일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실의 벽면 부재의 일부를 ㄷ자 형상으로 돌출시킨 돌출부를 형성하여 그 내측에 압력 변동 흡수체(23)를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압력 변동 흡수체의 두께를 정렬시키는 것에 의해, 압력 변동 흡수체(23)의 표면과 그 주위의 카실 벽면을 동일면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동일이란 완전 동일일 필요는 없으며, 실질적으로 동일로 간주되는 범위를 포함한다.
압력 변동 흡수체(23)의 표면과 그 주위의 카실 벽면을 동일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압력 변동 흡수체(23)의 표면과 카실 벽면 사이에 단차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카실 측면에 있어서의 공기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여, 소음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0은 실시형태 4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정풍체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10에 도시하는 상기 정풍체(6)의 측면도와 같이, 홈 부분(6a)과 판금 부분(6b)으로 분할하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금 부분(6b)의 카운터 웨이트(9)측 코너부를 카실(1)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절곡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정풍체(6)의 굽힘면과 상기 정풍체(6) 표면의 각도(β)(도 11 참조)는, 굽힘부를 따라서 흐른 공기가 하류측의 카실(1) 상면과 충돌하여 새로운 소음이 생기지 않도록, 4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풍체(6)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9)의 양측면 방향으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굽힘부를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카실(1) 승강로 방향을 따라서 흐르는 공기와 합류시에 생기는 와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와류에 의한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홈 부분(6a)은, 실시형태 2에 나타내는 다공질재(12)라도, 판금 부재를 가공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형태 5)
도 12는 실시형태 5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5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풍체(6)의 카실(1) 도어(7)측 일단부에 카실(1) 승강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되는 저항판(15)을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저항판(15)은 정풍체(6)의 표면보다 30㎜ 이상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풍체(6)에 충돌한 공기 중, 정풍체(6) 표면의 홈을 따라서 카실(1) 도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저항판(15)이 막아낼 수 있다. 저항판(15)의 차단 효과에 의해, 정풍체(6) 표면에 충돌한 공기를 카실(1)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흘리는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카실(1) 주위 물체와의 엇갈림 음 및 카실(1) 도어(7)측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도 13은 실시형태 6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정풍체를 구비한 카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6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항판(15s)을 상기 정풍체(6)의 카실(1) 측면측 양단부에 카실(1) 승강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돌출시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카실(1) 측면측 단부에 장착하는 저항판(15s)은 카실(1) 도어(7)측 단부에 장착하는 저항판(15)과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풍체(6)에 충돌하여 카실(1) 측면 방향으로 유출되고 있던 공기를 저항판(15s)이 차단할 수 있다. 저항판(15s)의 차단 효과에 의해, 정풍체(6) 표면에 충돌한 공기를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흘리는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인접하는 카실과의 엇갈림 음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도 14는 실시형태 7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정풍체(6)의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7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풍체(6)의 로프(5)가 통과하는 개구부(8)에 카실(1) 승강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되는 저항판(22)을 구비한 것이다. 저항판(22)은 저항판(15)과 동일한 정도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풍체(6)에 충돌하여 홈을 따라서 흘러서 개구부로부터 카실(1)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저항판(22)이 차단할 수 있다. 저항판(22)의 차단 효과에 의해, 정풍체(6) 표면에 충돌한 공기를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흘리는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인접하는 카실과의 엇갈림 음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도 15 및 도 17은 실시형태 8의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하는 X-X' 단면에서 정풍체(6)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하는 Y-Y' 단면에서 정풍체(6)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8은, 실시형태 4에 있어서, 정풍체(6)의 굽힘 부분의 카실(1) 승강 방향 상류측 표면에 유모(16)를 장착한 것이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16)의 길이는 정풍체(6)의 상기 굽힘 부분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증감하고 있으며, 유모(16)의 선단을 포락(包絡)하는 면이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의 측방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유모(16)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가지고 있으면 좋으며, 예를 들어 금속 섬유나 펠트 생지, 깃털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정풍체(6) 표면에 유모(16)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이외에, 핀으로 고정하는 방법이나 볼트로 조이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풍체(6)에 충돌하여 굽힘부로 유입된 공기가, 유모(16)의 변형에 의해 생성되는 미소한 와류(17)의 효과에 의해, 굽힘부 표면으로 끌어당겨진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16)의 선단을 포락하는 면이 홈의 형상을 이루며, 해당 홈을 따라서 공기가 흐르는 것에 의해, 굽힘부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속도 분포가 생겨서, 종와류(11)가 생성된다. 유모(16)의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미소한 와류(17)와 종와류(11)의 효과에 의해, 정풍체(6)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정풍체(6)로부터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비교예로서, 도 19에, 유모(16)가 없는 경우의 정풍체(6) 근방의 흐름을 도시한다. 유모(16)가 없는 경우,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풍체로부터 박리된 흐름이 승강로를 따라서 흐르는 기류와 합류되는 부분에서 큰 교란이 생겨서 풍절음의 발생 원인이 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6과 같이 유모(16)를 정풍체(6) 표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정풍체(6) 단부의 굽힘부를 따라서 공기가 흐르는 효과를 높여서, 승강로 방향을 따라서 흐르는 공기와 정풍체(6) 굽힘부를 따라서 흐르는 공기가 합류될 때에 생기는 와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와류에 의한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효과에 의해, 카실내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9)
도 20은 실시형태 9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정풍체(6)의 측면도이다.
실시형태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정풍체(6)의 표면에 있어서의 도어(7)측 단부에 기류 발생 장치(18)를 장착한 것이다. 기류 발생 장치(18)는 사면체의 일면을 곡면으로 한 것을 2개 인접하여 맞선 형상을 갖는다. 또한, 기류 발생 장치(18)는 정풍체(6)가 절곡부 방향으로 기류 발생 장치(18)의 곡면부가 향하도록 고정된다. 기류 발생 장치(18)의 고정 방법은 접착제에 의한 고정이나, 볼트로의 고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풍체(6)의 표면에 형성된 홈에 있어서의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기류 발생 장치(18)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기류 발생 장치(18)에 충돌한 흐름이 도 20의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서, 정풍체(6)의 굽힘부를 향하는 기류가 생긴다. 이 기류에 의해, 정풍체(6)에 충돌한 공기는 정풍체(6) 굽힘부를 향하도록 흐르게 되기 때문에, 카실(1)의 주위 물체와의 엇갈림 음 및 카실(1)의 도어(7) 전방부의 풍절음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여서, 카실내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카실(1) 하면에 정풍체(6)를 장착하는 경우, 카실(1) 상측에 설치한 정풍체(6)와 상하 반대로 설치하면 좋다. 즉, 하측에 설치하는 정풍체(6)에서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기류 발생 장치(18)를 마련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실시형태 10)
도 21 및 도 22는 실시형태 10의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10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정풍체(6)를 카실(1) 배면측, 즉 카운터 웨이트(9) 승강 공간측으로 경사지게 한 것이다.
도 21 및 도 22에서는, 정풍체(6)를 상부 비임(2)에 고정한 일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정풍체(6)는 카실(1)의 상면보다 상방(또는 정풍체를 하면에 장착하는 경우는, 정풍체를 카실(1)의 하면보다 하방)이면, 상부 비임(2)(또는 하부 비임(3))으로부터 격리시켜 장착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카실 주위 물체와의 엇갈림 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풍체(6)는 카실(1) 배면 방향을 향하여 경사져 있으므로, 정풍체(6)에 충돌한 공기의 카실 배면 방향으로 흐르는 힘이 커지기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공기를 흘리는 효과를 높여서, 카실(1) 주위 물체와의 엇갈림 음 및 도어(7) 전방부의 풍절음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정풍체(6)와 상부 비임(2) 사이에 각도 조정 부재(19)를 구비하여도 좋다. 각도 조정 부재(19)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정풍체(6)의 경사각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카실(1)의 승강 속도의 증가에 수반하여 경사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9) 양측면 방향으로 기류를 흘리는 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승강 속도에 의하지 않고 카실내 소음의 억제가 가능해진다.
(실시형태 11)
도 23 및 도 24는 실시형태 11의 엘리베이터의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11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정풍체(6)를 카실의 양측면 방향, 즉 카운터 웨이트(9) 승강 공간의 양측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이다. 정풍체(6)는, 카실(1) 양측면측에 경사면부를 가지며, 카실(1) 승강 방향 상류측을 향하여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정풍체(6)의 경사면부와 상부 비임(2) 사이의 각도(γ)는 30° 내지 6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풍체(6)의 형상은 도 24에 도시하는 삼각 형상 이외에,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좋다. 정풍체(6)의 카실(1) 천정부에 투영된 면적은 카실(1)의 천정부의 면적과 동일한 정도이다.
상기 정풍체(6)는, 실시형태 2 또는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 부분과 판금 부분으로 분할하고, 판금 부분을 볼록 형상으로 절곡한 후, 판금 표면에 홈 부품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풍체(6) 표면에 충돌한 기류가 홈을 따라서 흐르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카실(1) 주위 물체와의 엇갈림 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풍체(6)는 카실(1) 측면 방향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정풍체(6)를 따라서 흐르는 공기와 카실(1) 승강로 방향을 따라서 흐르는 공기가 합류할 때에 생기는 와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와류에 의한 소음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0과 마찬가지로 각도 조정 부재(19)를 구비하고, 승강 속도에 따라서 정풍체(6)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10 및 11에서는, 정풍체(6)를 각각 카실의 배면측, 측면측으로 경사지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경사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배면측과 측면측의 중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배면측과 측면측으로 동시에 경사지게 한 형상이 되어, 배면측으로 경사지게 한 경우의 효과와 측면측으로 경사지게 한 경우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9) 승강 공간의 측방의 공간을 향하여 정풍체(6)를 경사지게 하는 것에 의해, 해당 방향을 향하여 공기를 흘리는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정풍체를 카실로부터 이격시켜 장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격시키지 않는 경우라도 홈에 의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설명하고 또한 기술한 특정 상세 내용 및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추가의 변형예 및 효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첨부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 정의되는 총괄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1 : 카실 2 : 상부 비임
3 : 하부 비임 4 : 가로 비임
5 : 로프 6 : 정풍체
6a : 홈 부분 6b : 판금 부분
7 : 도어 8 : 개구부
9 : 카운터 웨이트 10 : 에이프런
11 : 종와류 12 : 다공질재
13 : 판금 14 : 인접하는 카실
15 : 저항판 15s : 저항판
16 : 유모 17 : 와류
18 : 기류 발생 장치 20 : 승강로 벽면
21 : 지주 22 : 저항판
23 : 압력 변동 흡수체

Claims (13)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카실과,
    상기 카실과 반대의 방향으로 승강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기 카실의 승강 방향 중 적어도 일방향측에, 상기 카실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며,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승강 공간에 대해 측방의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을 표면에 갖는 정풍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카실로부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정풍체를 이분하는 경계선을 경계로,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의 양측방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측으로 경사져서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을 향하여 측방으로 경사져서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카실의 승강 속도의 변화에 수반하여 상기 정풍체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에 있어서의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측의 코너부에, 상기 카실측을 향하여 경사진 굽힘부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굽힘부의 표면에 유모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유모의 길이는, 상기 유모의 선단을 포락하는 면이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의 측방 공간을 향하여 연장되는 홈의 형상을 이루도록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의 도어면측 단부, 측면측 단부 및 로프 개구부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상기 카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저항판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는 상기 홈에 있어서의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기류 발생 장치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는 상기 표면이 다공질재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정풍체가 절첩 가능한
    엘리베이터 장치.
  1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실의 측면 중 상기 카운터 웨이트 승강 공간측의 코너부에, 공기의 충돌에 의한 압력 변동을 흡수하는 압력 변동 흡수체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97016265A 2016-12-12 2017-12-06 엘리베이터 장치 KR102156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0171 2016-12-12
JP2016240171 2016-12-12
PCT/JP2017/043761 WO2018110380A1 (ja) 2016-12-12 2017-12-06 エレベーター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568A KR20190073568A (ko) 2019-06-26
KR102156033B1 true KR102156033B1 (ko) 2020-09-15

Family

ID=6255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265A KR102156033B1 (ko) 2016-12-12 2017-12-06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56416B2 (ko)
KR (1) KR102156033B1 (ko)
CN (1) CN110049939B (ko)
WO (1) WO20181103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115A (ko) 2020-12-03 2022-06-10 김경한 승강기 로프 진동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263A (ja) 1999-11-16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JP2005162496A (ja) 2005-03-10 2005-06-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及びかご
JP2013129496A (ja) 2011-12-21 2013-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42532A (en) * 1939-07-25 1942-01-14 Westinghouse Electric Int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vator safety governors
JPS605516A (ja) 1984-05-11 1985-01-12 Hitachi Ltd 半導体ウエ−ハ処理装置
CN1012677B (zh) * 1987-03-14 1991-05-29 尤生奇 建筑节能扶梯
JP4855604B2 (ja) * 2001-08-06 2012-01-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CN2545176Y (zh) * 2002-04-27 2003-04-16 哈尔滨泰富实业有限公司 圆筒型直线电机驱动并由轮组带动的电梯
JP2005247468A (ja) * 2004-03-02 2005-09-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4784950B2 (ja) * 2008-11-07 2011-10-0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EP2516316B1 (de) * 2009-12-21 2014-05-21 Inventio AG Aufzugsanlage mit einem kabinenseitigen löschwasser-ableitsystem
JP2016056004A (ja) * 2014-09-11 2016-04-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9263A (ja) 1999-11-16 2001-05-22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
JP2005162496A (ja) 2005-03-10 2005-06-23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及びかご
JP2013129496A (ja) 2011-12-21 2013-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115A (ko) 2020-12-03 2022-06-10 김경한 승강기 로프 진동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049939B (zh) 2020-10-27
KR20190073568A (ko) 2019-06-26
JPWO2018110380A1 (ja) 2019-04-11
CN110049939A (zh) 2019-07-23
WO2018110380A1 (ja) 2018-06-21
JP6656416B2 (ja) 202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85663B (zh) 电梯设备和高速电梯用电梯设备的使用
KR102156033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44158B1 (ko) 엘리베이터
EP3112307B1 (en) Elevator virtual aerodynamic shroud
CN106853940B (zh) 电梯装置
CN100396587C (zh) 电梯的调整气流装置
JP665288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606913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619378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6056004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TWI254022B (en) Air deflector device for elevator
KR101955799B1 (ko) 윈드 디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기 카
JP7176624B2 (ja) エレベーターの巾木装置
JP2014152011A (ja) エレベータ
KR102615058B1 (ko) 차량의 내부 공간에 균일한 공기 흐름을 제공하기 위한 에어 노즐
KR20120008392U (ko) 소음저감형 공조기 덕트
CN104843563B (zh) 电梯设备
JP3074067B2 (ja) エレベータの整風装置
JP6397732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1106460A (ja) エレベータのかご
KR101374004B1 (ko) 고속철도차량의 공력소음 저감장치
CN117651685A (zh) 电梯
JP201312949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装置
JP2013112253A (ja) 車両のフロント下部構造
KR20000052033A (ko) 엘리베이터의 소음 저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