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3250A -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3250A
KR20170033250A KR1020160117944A KR20160117944A KR20170033250A KR 20170033250 A KR20170033250 A KR 20170033250A KR 1020160117944 A KR1020160117944 A KR 1020160117944A KR 20160117944 A KR20160117944 A KR 20160117944A KR 20170033250 A KR20170033250 A KR 20170033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rtridge
positioning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2205B1 (ko
Inventor
히데키 나가에
마사아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3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2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2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 용기는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 일 단부에 화상 형성 장치에 걸림 결합되어 그것에 의해 가이드되는 위치결정부 및 회전 멈춤부와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를 갖는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에 부착되는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에서, 회전 멈춤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 일단부를 그리고 위치결정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 다른 단부를 갖는 폭과, 회전 멈춤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 또는 위치결정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의 가이드의 폭인 높이를 사용하여 단면 위치결정 범위를 정할 때,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길이 방향에서 단면 위치결정 범위와 중첩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CARTRIDGE AND MEMBER USED FOR CARTRIDGE}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는, 상 담지 부재인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이하, 감광 드럼) 또는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유닛(예를 들어, 현상제 담지 부재(이하, 현상 롤러))을 카트리지 형태로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부착 및 분리 가능하다. 카트리지는,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일체적으로 포함하는 카트리지 형태의 구성, 또는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따로따로 포함하는 멀티-카트리지 형태의 구성일 수 있다.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를 갖는 전자의 구성을 프로세스 카트리지라 칭한다. 감광 드럼을 갖는 후자의 구성을 드럼 카트리지라 칭한다. 현상 롤러를 갖는 후자의 구성을 현상 카트리지라 칭한다.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유닛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고, 이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부착 및 분리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서비스 맨에게 의하지 않고 유저 자신이 행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 프로세스 카트리지 시스템에서는,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서, 길이 방향의 단부에서 본체에 끼워 맞추는 부분을 제공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8,050,593 호 및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3-330335호).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현상제 담지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용기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현상 용기는,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가이드와 걸림 결합되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부 및 회전 멈춤부를 포함하고, 또한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선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여 현상 용기를 길이 방향에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장치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에 있어서, 회전 멈춤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 일단부를 갖고 위치결정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 타단부를 갖는 폭과, 회전 멈춤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 혹은 위치결정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의 가이드의 폭인 높이를 사용하여 단면 위치결정 범위를 정하는 경우,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단면 위치결정 범위와 길이 방향에서 중첩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를 제공한다. 카트리지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현상제 담지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용기를 구비한다. 부재는,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선 방향에서 현상 용기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가이드와 걸림 결합되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부 및 회전 멈춤부를 갖고, 또한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와 접촉하여 부재를 길이 방향에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를 갖는다. 화상 형성 장치에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에 있어서, 회전 멈춤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 일단부를 갖고 위치결정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 타단부를 갖는 폭과, 회전 멈춤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 혹은 위치결정부가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의 가이드의 폭인 높이를 사용하여 단면 위치결정 범위를 정하는 경우,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단면 위치결정 범위와 길이 방향에서 중첩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결정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측단면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를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드럼 카트리지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실시예에 따른 드럼 카트리지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레버와 커플링 레버 스프링을 구동측 사이드 커버에 조립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e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스윙 가이드 및 구동측 가압 부재를 나타낸 사시 설명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장치 본체 내에서 현상 카트리지가 이격 상태에 있을 때의 현상 카트리지의 설명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사이드 커버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과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장치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각각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및 장치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실시예에 따른 구동측 사이드 커버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를 구동 측에서 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현상 카트리지, 구동측 스윙 가이드,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를 정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해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상술한 현상 카트리지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는 카트리지를 제외한 화상 형성 장치의 나머지 부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은 회전가능한 감광 드럼(상 담지 부재)의 회전 축선(L1) 및 회전가능한 현상 롤러(현상제 담지 부재)의 회전 축선(L9)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 즉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의 각각의 축 방향이다. 또한, 횡 방향은,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L9)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 카트리지 및 현상 카트리지를 레이저 빔 프린터 본체에 대해 분리 및 부착하는 방향은 각 카트리지의 횡 방향이다. 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은, 감광 드럼의 회전 축선(L1) 및 현상 롤러의 회전 축선(L9)과 교차하는 방향, 즉 횡 방향이다. 이 경우에, 이하의 설명의 참조 부호는 도면을 참조하기 위해 제공되고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설명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측단면 설명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출력된 화상 정보에 따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의해 기록 매체(2)에 현상제(t)로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와 드럼 카트리지(C)가 사용자에 의해 장치 본체(A1)에 대하여 부착 및 분리 가능하게 제공된다. 기록 매체(2)의 예는 기록지, 라벨지, OHP 시트, 천 조각 등을 들 수 있다. 장치 본체(A1)는, 광학 유닛(1), 전사 유닛, 정착 유닛(5), 및 기록 매체(2)의 급송 유닛을 갖는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 롤러(13) 등의 현상 유닛을 갖고, 드럼 카트리지(C)는 감광 드럼(10) 및 대전 롤러(11)를 갖는다.
감광 드럼(10)은, 장치 본체(A1)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대전 롤러(11)의 사용으로 감광 드럼(10)의 표면을 균일하게 전기적으로 대전한다. 그리고, 광학 유닛(1)은, 대전된 감광 드럼(10)에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레이저광(L)을 조사하고, 감광 드럼(10)에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이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후술함)에 의해 토너(t)로 현상되어, 감광 드럼(10) 표면에 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급지 트레이(4)에 수용된 기록 매체(2)는, 현상제 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급지 롤러(3a)와 급지 롤러(3a)에 압접하는 분리 패드(3b)에 의해 규제되어, 1매씩 분리 급송된다. 그리고, 분리된 기록 매체(2)는 반송 가이드(3d)에 의해 전사 유닛으로서의 전사 롤러(6)에 반송된다. 전사 롤러(6)는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감광 드럼(10)과 전사 롤러(6)가 전사 닙부(6a)를 형성한다. 기록 매체(2)가 전사 닙부(6a)를 통과한다. 이때, 전사 롤러(6)에 현상제 상과 역극성의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10) 표면 상에 형성된 현상제 상이 기록 매체(2)에 전사된다.
현상제 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2)는 반송 가이드(3f)에 의해 규제되어 정착 유닛(5)에 반송된다. 정착 유닛(5)은 구동 롤러(5a) 및 히터(5b)가 내부에 배치된 정착 롤러(5c)를 구비하고 있다. 기록 매체(2)가 구동 롤러(5a)와 정착 롤러(5c)로 형성되는 닙부(5d)를 통과할 때에, 열 및 압력이 기록 매체(2)에 가해지고, 기록 매체(2)에 전사된 현상제 상이 기록 매체(2)에 정착된다. 이에 의해, 기록 매체(2)에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기록 매체(2)는 배출 롤러 쌍(3g)에 의해 반송되어서, 배출부(3h)에 배출된다.
장치 본체(A1)의 구동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구동측 측판(90)에 구동측 가이드 부재(92)가 제공되고, 또한 장치 본체(A1) 내에서 현상 카트리지(B1)와 함께 이동하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제공된다.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는 제1 가이드부(92a), 제2 가이드부(92b), 및 제3 가이드부(92c)를 구비한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제1 가이드부(80a) 및 제2 가이드부(80b)를 구비한다.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는, 홈 형상의 제1 가이드부(92a)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분리 경로(X1a)와, 홈 형상인 제2 가이드부(92b)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분리 경로(X1b)를 구비한다.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는 홈 형상의 제3 가이드부(92c)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분리 경로(X3)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드럼 카트리지(C)가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의 부착/분리 경로(X1a)에 연결되는 홈 형상을 갖고,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분리 경로(X2a)를 구성하고 있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가이드부(80b)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2 가이드부(92b)의 부착/분리 경로(X1b)에 연결되는 홈 형상을 갖고,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분리 경로(X2b)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가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비구동측 측판(91)에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가 제공되고, 또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과 마찬가지로 이동 가능한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가 제공된다.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는 제1 가이드부(93a)와 제2 가이드부(93b)를 갖는다.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는 가이드부(81a)를 갖는다.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는 홈 형상의 제1 가이드부(93a)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분리 경로(XH1a)를 갖는다. 또한,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는 홈 형상의 제2 가이드부(93b)에 의해 구성되는 부착/분리 경로(XH3)를 갖는다. 이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C)가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가이드부(81a)는,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의 부착/분리 경로(XH1a)에 연결되는 홈 형상을 갖고,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분리 경로(XH2a)를 구성하고 있다.
(2)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설명
도 5를 참조하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현상 카트리지(B1) 및 드럼 카트리지(C)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 용기(16)에, 현상 유닛으로서의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를 구비하고 있다. 드럼 카트리지(C)는, 클리닝 프레임 부재(21)에,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용기(16)의 현상제 저장부(16a)에 저장된 현상제(t)는, 현상 용기(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현상제 반송 부재(17)가 화살표 X17 방향으로 회전할 때, 현상 용기(16)의 개구부(16b)를 통해 현상실(16c) 내에 송출된다. 현상 용기(16)는 마그네트 롤러(12)가 내부에 배치된 현상 롤러(13)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롤러(13)는 축부(13e)와 고무부(13d)를 구비한다. 축부(13e)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작은 직경을 갖는 긴 도전성 원통 형상이다. 길이 방향의 축부(13e)의 중앙부는 고무부(13d)로 덮여 있다(도 6 참조). 고무부(13d)는, 고무부(13d)의 외형 형상이 축부(13e)와 동축이 되도록 축부(13e)를 덮는다. 현상 롤러(13)는, 마그네트 롤러(12)의 자력에 의해, 현상 실(16c)의 현상제(t)를 현상 롤러(13)의 표면에 끌어 당긴다. 현상 블레이드(15)는, 판금으로부터 구성되는 지지 부재(15a)와 우레탄 고무나 SUS 시트로 이루어지는 탄성 부재(15b)를 구비한다. 현상 블레이드(15)는 탄성 부재(15b)가 현상 롤러(13)에 대하여 일정한 접촉 압력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현상 롤러(13)가 회전 방향(X5)으로 회전할 때, 현상 블레이드(15)는 현상 롤러(13)의 표면에 부착되는 현상제(t)의 양을 규제하고, 현상제(t)에 마찰전기 전하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13) 표면에 현상제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A1)로부터 전압이 인가된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 방향(X5)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0)의 현상 영역에 현상제(t)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와 같은 접촉 현상 방식의 경우에, 항상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상 롤러(13)가 감광 드럼(10)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가 연속적으로 유지되면, 현상 롤러(13)의 고무부(13d)가 변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현상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 현상 롤러(13)를 감광 드럼(10)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감광 드럼(10)의 외주면에는, 클리닝 프레임 부재(2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감광 드럼(10)을 향해 가압되는 대전 롤러(11)가 접촉식으로 제공된다. 대전 롤러(11)는, 장치 본체(A1)로부터의 전압 인가에 의해, 감광 드럼(10)의 표면을 균일하게 전기적으로 대전한다. 대전 롤러(11)에 인가하는 전압은, 감광 드럼(10)의 표면과 대전 롤러(11) 사이의 전위차가 방전 개시 전압 이상으로 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전 바이어스로서 -1300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있다. 이때, 감광 드럼(10)의 표면을 대전 전위(암부 전위) -700V로 균일하게 전기적으로 접촉 대전시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 롤러(11)는 감광 드럼(10)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한다. 그리고, 광학 유닛(1)의 레이저광(L)에 의해,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감광 드럼(10)의 정전 잠상에 따라서 현상제(t)를 전이시켜서 정전 잠상을 가시화하고, 따라서 감광 드럼(10)에 현상제 상을 형성한다.
(3) 클리너리스 시스템의 구성 설명
이어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클리너리스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0) 상에 잔류한 전사 잔여 현상제를 감광 드럼(10)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를 제공하지 않는다. 즉, 클리너리스 시스템을 사용한다.
감광 드럼(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C5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전사 단계 후, 감광 드럼(10)의 표면에 전사 잔여 현상제(도시하지 않음)가 남을 수 있다. 전사 잔여 현상제는, 감광 드럼(10)의 회전 방향(C5)으로부터 보아서, 대전 롤러(11)와 감광 드럼(10) 사이의 접촉 영역인 대전 닙부(11a)의 상류 측에 위치되는 공극부인 상류 공극부(11b)에서의 방전에 의해 감광 드럼과 마찬가지로 부극성을 갖도록 전기적으로 대전된다. 이때, 감광 드럼(10)의 표면은 -700V로 대전된다. 부극성을 갖도록 대전된 전사 잔여 현상제는, 대전 닙부(11a)에서 전위차의 관계(감광 드럼(10) 표면 전위=-700V, 대전 롤러(11) 전위=-1300V)로 인해 대전 롤러(11)에는 부착되지 않고 통과하게 된다.
대전 닙부(11a)를 통과한 전사 잔여 현상제는 레이저 조사 위치(d)에 도달한다. 전사 잔여 현상제의 양은 광학 유닛의 레이저광(L)을 차폐할 만큼 많지 않기 때문에 감광 드럼(10) 상의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단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레이저 조사 위치(d)를 통과하고, 비노광 영역(레이저 조사를 받지 않고 있는 감광 드럼(10)의 표면의 일부)에 위치하는 전사 잔여 현상제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 사이의 접촉 영역인 현상 닙부(13k)에서의 정전기의 힘을 사용하여 현상 롤러(13)에 의해 회수된다. 대조적으로, 노광 영역(레이저 조사를 받은 감광 드럼(10)의 표면의 일부)의 전사 잔여 현상제는, 정전기의 힘에 의해 회수되지 않고 감광 드럼(10) 상에 계속해서 존재한다. 그러나, 일부의 전사 잔여 현상제는, 현상 롤러(13)와 감광 드럼(10) 사이의 주속차에 의한 물리적인 힘에 의해 회수된다.
시트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10) 상에 남은 전사 잔여 현상제의 대부분은 현상 롤러(13)를 통해 현상 용기(16)에 회수된다. 현상 용기(16)에 회수된 전사 잔여 현상제는 현상 용기(16) 내에 남아있는 현상제(t)와 혼합되어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사 잔여 현상제를 대전 롤러(11)에 부착시키지 않고 대전 닙부(11a)를 통과시켜, 전사 잔여 현상제를 현상 용기(16)에 보다 더 회수시키기 위해서, 이하의 2개의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우선, 전사 롤러(6)와 대전 롤러(11) 사이에 광 제전 부재(8)를 제공한다. 광 제전 부재(8)는 감광 드럼(10)의 회전 방향(화살표 C5)으로 대전 닙부(11a)의 상류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류 공극부(11b)에서의 안정된 방전을 위해서, 전사 닙부(6a)를 통과한 후의 감광 드럼(10)의 표면 전위에 대해 정전기가 감소된다. 광 제전 부재(8)에 의해, 대전 전의 감광 드럼(10)의 전위를 전체 길이 영역에서 약 -150V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대전 동안 균일한 방전을 실시할 수 있고, 전사 잔여 현상제는 균일하게 부극성을 가질 수 있다.
두번째로, 대전 롤러(11)는 대전 롤러(11)와 감광 드럼(10) 사이에 미리결정된 주속차를 제공한 상태에서 회전 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에 의해 대부분의 토너가 부극성을 갖는다. 그러나, 부극성을 갖지 않은 전사 잔여 현상제는 여전히 소량 남아 있고, 이 전자 잔여 현상제는 대전 닙부(11a)에서 대전 롤러(11)에 부착될 수 있다. 대전 롤러(11)와 감광 드럼(10)은 미리결정된 주속차로 회전 구동되기 때문에,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 사이의 미끄러짐에 의해 전술한 전사 잔여 현상제는 부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전 롤러(11)에의 전사 잔여 현상제의 부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대전 롤러(1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대전 롤러 기어(69)(도 8b)가 제공된다. 대전 롤러 기어(69)는 감광 드럼(1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공된 구동측 플랜지(24)(도 8b)와 걸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감광 드럼(10)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대전 롤러(11)도 회전 구동한다. 대전 롤러(11)의 표면의 주속은 감광 드럼(10)의 표면의 주속의 약 105% 내지 약 120%로 설정된다.
(4)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의 설명
<현상 카트리지(B1) 전체 구성>
이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현상 카트리지(B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길이 방향에 관해서 장치 본체(A1)로부터 현상 카트리지(B1)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측을 "구동측"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구동측의 반대측을 "비구동측"이라 칭한다. 도 6은 현상 카트리지(B1)를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현상 카트리지(B1)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현상 카트리지(B1)는 현상 롤러(13)와 현상 블레이드(15)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 블레이드(15)에서, 지지 부재(15a)의 길이 방향의 구동측 단부(15a1)와 비구동측 단부(15a2)가 나사(51) 및 나사(52)에 의해 현상 용기(16)에 고정되어 있다. 현상 용기(16)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부재)과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이 각각 제공된다.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단부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끼워맞춰지고, 현상 롤러(13)의 비구동측 단부가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현상 롤러(13)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현상 롤러(13)의 구동측 단부에서는,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에 대해 길이 방향의 외측에 현상 롤러 기어(29)가 현상 롤러(13)와 동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현상 롤러(13)와 현상 롤러 기어(29)가 걸림 결합되고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은 구동측 현상 베어링(36)의 길이방향 외측에서 구동 입력 기어(2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구동 입력 기어(27)는 현상 롤러 기어(29)와 맞물려 있다. 또한, 구동 입력 기어(27)와 동축으로 커플링 부재(180)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는 장치 본체(A1)에 제공된 본체측 구동 부재(100)(도 3 및 도 4)와 걸림 결합한다. 커플링 부재(180)에 입력된 회전력은 구동 입력 기어(27)와 현상 롤러 기어(29)를 통해 회전 부재인 현상 롤러(13)에 전달된다.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 단부에는, 구동 입력 기어(27) 및 다른 부재를 길이방향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구동측 사이드 커버(34)가 제공된다. 커플링 부재(180)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를 관통해서 길이방향 외측에 돌출된다.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은 위치결정부(46b)와 회전 멈춤부(46c)를 갖는 피가이드부(46d)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는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를 갖는 피가이드부(34d)를 구비하고 있다. 부착 및 분리 시에는, 피가이드부(46d, 34d)가 부착/분리 경로(X1b 및 XH1b, 및 X2a 및 XH2b)에 의해 가이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피가이드부(34d)는 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연결부에서 일체화되고 연결부가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피가이드부(46d)는 길이 방향으로부터 볼 때 위치결정부(46b)와 회전 멈춤부(46c)가 연결부에서 일체화되고 연결부가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5) 드럼 카트리지(C)의 개략 설명
이어서,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드럼 카트리지(C)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는 비구동측에서 본 드럼 카트리지(C)의 사시 설명도이다. 도 8b는,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의 주변부를 설명하는, 클리닝 프레임 부재(21), 드럼 베어링(30), 또는 드럼 축(54)이 도시되지 않은 사시 설명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C)는 감광 드럼(10)과 대전 롤러(11)를 구비하고 있다. 대전 롤러(11)는, 대전 롤러 베어링(67a, 67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대전 롤러 가압 부재(68a, 68b)에 의해 감광 드럼(10)에 대하여 가압된다.
감광 드럼(10)의 구동측 단부(10a)에는 구동측 플랜지(24)가 일체로 고정된다. 감광 드럼(10)의 비구동측 단부(10b)에는 비구동측 플랜지(28)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구동측 플랜지(24)나 비구동측 플랜지(28)는 크림핑, 접착,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감광 드럼(10)과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클리닝 프레임 부재(21)의 양 길이방향 단부의 구동측 단부와 비구동측 단부에는 나사결합, 접착, 압입, 또는 다른 방법에 의해 드럼 베어링(30)과 드럼 축(54)이 각각 고정된다. 감광 드럼(10)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구동측 플랜지(24)는 드럼 베어링(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비구동측 플랜지(28)는 드럼 축(5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전 롤러(1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대전 롤러 기어(69)가 제공된다. 대전 롤러 기어(69)는 구동측 플랜지(24)의 기어부(24g)와 맞물려 있다. 구동측 플랜지(24)의 구동측 단부(24a)는 장치 본체(A1)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받도록 구성된다(도시하지 않음).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10)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대전 롤러(11)도 회전 구동된다.
(6) 장치 본체(A1)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분리 구성의 설명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장치 본체(A1)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장치 본체(A1)를 비구동측으로부터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4는 장치 본체(A1)를 구동측에서 본 사시 설명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을 구동측에서 본 설명도이다.
<장치 본체(A1)에 대한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분리>
이하 장치 본체(A1)에의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의 상부에 배치되고 개방 및 폐쇄 가능한 본체 커버(94)를 개방 방향(D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본체(A1)의 내측을 노출시킨다.
그 후, 현상 카트리지(B1)의 피가이드부(46d)(도 7)가 장치 본체(A1)의 제1 가이드부(93a)(도 4)와 걸림 결합되고, 현상 카트리지(B1)의 피가이드부(34d)(도 6)가 장치 본체(A1)의 제1 가이드부(92a)(도 3)와 걸림 결합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의 제1 가이드부(92a) 및 비구동측 가이드 부재(93)의 제1 가이드부(93a)에 의해 형성된 부착/분리 경로(X1a 및 XH1a)를 따라 장치 본체(A1) 내에 삽입되게 된다.
현상 카트리지(B1)는, 부착/분리 경로(X1a, XH1a)를 따라 장치 본체(A1) 내에 삽입되고, 그 후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가이드부(81a)에 의해 형성된 부착/분리 경로(X2a, XH2a)를 따라 또한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본체(A1)의 제1 가이드부(92a)에 의해 가이드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 제공된 피가이드부(34d)는 부착 과정에 의해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굴곡 형상을 갖는 제1 가이드부(80a)에 의해 수취된다. 마찬가지로, 비구동측에서는, 장치 본체(A1)의 제1 가이드부(93a)에 의해 가이드된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에 제공된 피가이드부(46d)는, 부착 과정에 의해 장치 본체(A1)의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의 굴곡 형상을 갖는 가이드부(81a)에 의해 수취된다. 이에 의해, 장치 본체(A1)에 현상 카트리지(B1)가 부착된다.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로부터 분리하는 동작은 부착 동작의 역 동작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에 커플링 레버(55)와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을 제공한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볼록부(34m)가 커플링 레버(55)의 오목부(55c)에 걸림 결합되고, 회전가능하게 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을 위해 사용된다.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일단부가 커플링 레버(55)에 걸림 결합되고, 그 타단부가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 걸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코일 형상 감김부(56d)가 이동 규제부(55a)에 걸림 결합된다.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작용 아암(56a)이 커플링 레버(55)의 스프링 걸이부(55b)에 걸림 결합된다.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고정 아암(56c)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스프링 걸이부(34s)에 걸림 결합된다(도 9c 참조). 결과적으로, 커플링 레버(55)는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에 가압되고, 커플링 레버(55)의 접촉부(55d)가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 제공된 각도 규제부(34n)에 접촉하고, 회전 이동이 규제된다.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커플링 부재(180)는, 커플링 스프링(185)에 의해 가압되고, 구동측 현상 베어링(36), 구동측 사이드 커버(34), 및 커플링 레버(55)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부재(180)는,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를 향해 지향되는 제2 경사 자세(D2)로 될 수 있다. 커플링 부재(180)는 제2 경사 자세(D2)를 유지하면서 장치 본체(A1)에 부착된다. 이 제2 경사 자세(D2)는 감광 드럼(10)이 현상 롤러(13)에 접촉하는 접촉 상태이다.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되고, 감광 드럼(10)이 접촉 상태로부터 현상 롤러(13)에서 이격되는 이격 상태가 있다. 이 경우, 접촉 상태가 이격 상태로 될 때,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접촉부(80y)(도 3)가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규제부(55y)(도 6, 도 9a 및 도 9c)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커플링 레버(55)가 회전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이동에 의해, 회전 축선(L11)을 중심으로 하여 커플링 레버(55)는 화살표 X11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이동에 의해, 회전 축선(L11)을 중심으로 해서 커플링 레버(55)는 화살표 X11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이동에 의해, 접촉부(80y)가 회전 규제부(55y)에 접촉하고, 커플링 레버 스프링(56)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커플링 레버(55)가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부재(180)는 퇴피된 커플링 레버(55)에 커플링 스프링(185)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커플링 부재(180)의 회전력 수용부가 장치 본체(A1)의 본체측 구동 부재(100)로 지향되는 제1 경사 자세(D1)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레버(55)의 회전 동작을 현상 카트리지(B1)의 현상 이격 동작에 따라서 이동하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연관시키고, 커플링 부재(180)가 제1 경사 자세(D1) 또는 제2 경사 자세(D2)에 있을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분리 구성>
이어서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의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의해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을 설명한다. 구동측의 구성과 비구동측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서로 유사하므로,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구동측 가압 부재(82)에 대해서 먼저 도 10a 내지 도 10e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0a는 길이 방향의 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b는 길이 방향의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c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구동측 가압 부재(82), 및 구동측 가압 스프링(8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d 및 도 10e는 구동측 가압 부재(82) 주변을 나타내는 확대 상세도이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가압 부재(82)는 위치결정부(82a), 구멍(82b), 베어링면(82c), 및 규제부(82d)를 갖고 있다.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보스부(80c)를 갖는다.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구멍(82b)이 보스부(80c)와 걸림 결합되고, 구동측 가압 부재(82)가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면(82c)에는 압축 스프링인 구동측 가압 스프링(83)의 일단부(83c)가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가압 스프링(83)의 다른 단부(83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베어링면(80d)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가압 부재(82)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화살표 Ra1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가압력(F82)을 받는다.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규제부(82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제공된 회전 규제부(80e)에 접촉한다. 따라서, 화살표 Ra1 방향의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회전이 규제되고 그 위치가 결정된다.
한편, 도 10e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가압 부재(82)는 구동측 가압 스프링(83)의 가압력(F82)에 저항해서 화살표 Ra2 방향으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구동측 가압 부재(82)는, 규제부(82d)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회전 규제부(80e)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상단부(82e)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면(80w)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화살표 Ra2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11a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a, 도 11b,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현상 카트리지(B1)는 장치 본체(A1)에 삽입된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 제공된 피가이드부(34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도 3)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부(34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가이드부(80a)에 의해 가이드되고, 현상 카트리지(B1)는 부착/분리 경로(X2a) 상에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a의 상태로부터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피가이드부(34d)의 위치결정부(34b)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제공된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위치결정부(82a)에 점 P1에서 접촉한다.
계속해서,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b의 상태로부터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를 삽입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일체화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는,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근접측 경사면(82w)에 접촉하고, 구동측 가압 부재(82)를 화살표(Ra2) 방향으로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가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근접측 경사면(82w)에 접촉하고 구동측 가압 부재(82)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가압 부재(82)는, 구동측 가압 스프링(83)의 가압력(F82)에 저항해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화살표 Ra2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1c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가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상단부(82e)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규제부(82d)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회전 규제부(80e)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 11d는, 도 11c의 상태로부터 또한 현상 카트리지(B1)를 삽입하고,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위치결정부(80f)에 접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측 가압 부재(82)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보스부(80c)를 중심으로 화살표 Ra1 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의 가압력(F82)을 받고 있다. 그로 인해,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안측 경사면(82s)이 가압력(F4)으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를 가압한다. 그 결과, 위치결정부(34b)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위치결정부(80f)와 점 P3에서 간극 없이 접촉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의 구동측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고정된다.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위치결정부(46b)와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대한 위치결정은 구동측과 마찬가지이다(설명은 생략한다). 이들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대해 위치결정되고 고정된다.
<스윙 가이드에 의한 현상 카트리지의 가이드>
다음에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가이드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이하에서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의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에 대한 가이드, 및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의한 비구동측 사이드 현상 베어링(46)의 피가이드부(46d)에 대한 가이드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우선,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의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의 가이드에 대해서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측면도이다. 도 12a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제1 가이드부(80a)의 가이드 하면(80aa)을 따라 부착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장착될 때에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자중에 의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가이드 하면(80a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가이드 하면(80aa)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구체적으로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의 점 P5와 회전 멈춤부(34c)의 점 P7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 하면(80aa)에 접촉하여 그것에 의해 가이드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착/분리 경로(X2a) 중, 도 11b에 나타내는 피가이드(34d)는 피가이드부(34d)가 구동측 가압 부재(82)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가이드된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가이드 하면(80aa)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을 때에는, 위치결정부(34b)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 상면(80ac) 사이에는 간극(H1)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가이드 하면(80aa)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는 때에는, 회전 멈춤부(34c)와 가이드 상면(80ab) 사이에는 간극(H2)이 제공된다.
피가이드부(34d)가 구동측 가압 부재(82)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이드부(34d)가 제1 가이드부(80a)의 가이드 상면(80ab)에 접촉하고, 현상 카트리지(B1)는 가이드 상면(80ab)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이때,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의 점 P8과 회전 멈춤부(34c)의 점 P9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 상면(80ab)에 접촉하여 그것에 의해 가이드된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가이드 상면(80ab)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는 때에는, 위치결정부(34b)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 하면(80aa) 사이에는 간극(H3)이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가이드 상면(80ab)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는 때에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회전 멈춤부(34c)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의 가이드 상면(80ab) 사이에는 간극(H4)이 제공된다.
다음에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에 의한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피가이드부(46d)에 대한 가이드에 대해서 도 13을 참고해서 설명을 행한다. 도 13은,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과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를 비구동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부착/분리 경로(X2a)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자중에 의해 비구동측 현상 베어링(46)의 위치결정부(46b)와 회전 멈춤부(46c)가 제1 가이드부(81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현상 카트리지(B1)는 제1 가이드부(81a)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결정 구성>
계속해서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되고, 부착이 완료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1은 도 14에서의 선 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는, 길이 방향의 일측(중앙측)의 제1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t)과 다른측(외측)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에 대향하게 구성된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를 갖는다. 본 구성에서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는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 형상(홈)을 갖는다. 또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를 갖는다. 일측(중앙측)의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과 다른측(외측)의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이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의 양측에 제공된다. 본 구성에서는,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는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 형상을 갖는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가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는 구동측 가압 부재(82)의 피위치결정부(82f)에 점 P2에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부(34b)는 구동측 가압 부재(82)로부터 가압력(F4)을 받는다. 이 결과, 위치결정부(34b)는 점 P3에서 위치결정부(34b)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위치결정면(80q)에 접촉하고 점 P4에서 부착 방향 하류 측에 위치하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위치 결정면(80r)에 접촉한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회전 멈춤부(34c)는, 점 P6에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회전 멈춤면(80s)에 접촉하고, 점 P7에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회전 멈춤면(80i)에 접촉한다. 이상과 같이, 피가이드부(34d)의 위치결정부(34b)는 점 P2, P3, 및 P4의 3점에서 위치결정되고, 피가이드부(34d)의 회전 멈춤부(34c)는 점 P6와 P7 중 하나에서 위치결정된다. 따라서, 피가이드부(34d)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위치결정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1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t)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길이 방향의 일측(중앙측)에의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이동이 규제된다. 마찬가지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 접촉한다. 그러므로, 길이 방향의 다른측(외측)에의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는 길이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위치결정된다.
구동측에서의 위치결정 구성의 배치를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5는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회전 멈춤부(34c)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접촉하는 점 P6 또는 P7에서의 제1 가이드부(80a)의 폭 방향(수선 또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을 선 L2인 것으로 한다. 또한,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의 점 P3에서의 제1 가이드부(80a)의 폭 방향(수선 또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을 선 L3로 한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회전 멈춤부(34c)의 점 P7과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의 점 P5를 연결하는 선을 선 L4로 한다. 선 L4는 부착/분리 방향(X2a)에 평행하다. 또한, 회전 멈춤부(34c)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점 P7에서 접촉하는 경우에는, 점 P7과 점 P3 중 제1 가이드부(80a)의 폭이 보다 큰 점을 통과하는 선(L3)에 평행한 선을 선 L5로 한다. 대조적으로, 회전 멈춤부(34c)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점 P6에서 접촉할 경우에는, 점 P6와 점 P3 중 제1 가이드부(80a)의 폭이 보다 큰 점을 통과하는 선(L3)에 평행한 선을 선 L5로 한다. 그리고, 선 L2, L3, L4, 및 L5의 4개의 선으로 둘러싸인 단면 위치결정에 사용된 범위를 단면 위치결정 범위(Sc)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단면 위치결정 범위(Sc)는,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에서 회전 멈춤부(34c)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접촉하는 점 P6 또는 P7에 일단부를 그리고 점 P3에서 다른 단부를 갖는 폭을 갖는다. 또한, 단면 위치결정 범위(Sc)는 가이드 하면(80aa) 상의 점 P3 또는 P5에서의 제1 가이드부(80a)의 폭인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폭과 높이에 의해 정해진 직사각형 영역을 단면 위치결정 범위(Sc)로 한다.
또한,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이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의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접촉하여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영역을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는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와 단면 위치결정 범위(Sc)가 길이 방향에서 중첩 방식으로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15에서는,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는 단면 위치결정 범위(Sc)의 전체 영역과 중첩한다. 그러나,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는 길이 방향으로 단면 위치결정 범위(Sc)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즉, 본 구성에서는, 단면 위치결정 범위(Sc)는 단면 방향에서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와 중첩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위치결정>
이하에서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길이 방향의 위치결정 방향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1 길이 위치결정면(34t)을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에 접촉시키고, 따라서 길이 방향의 일측에의 이동을 규제한다. 그 후,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을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피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 접촉시키고, 따라서 길이 방향의 다른측에의 이동을 규제한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의 제1 길이방향 위치결정면의 규제>
다음에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1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t)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에서 길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현상 카트리지(B1)가 구동측 가이드 부재(92)로부터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의해 수취되기 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6a는,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일부 단면도)와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일부 단면도)를 구동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6c는 도 16a에서의 선 XVIC-XVI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b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위치결정부(34b), 회전 멈춤부(34c), 및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만을 도시)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구동측 가이드 부재(92)(일부 단면도)를 비구동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1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t)의 부착 방향(X2)의 하류측에는 제1 유도 형상(34w)이 제공된다. 대조적으로,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에는, 현상 카트리지(B1)의 부착 방향(X2)을 따라 위치결정 완료부(80ka)와 위치결정 완료부(80ka)에 연결되는 통과부(80kb)가 제공된다. 또한,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의 부착 방향(X2) 상류측에는 제1 피유도 형상(80m)이 제공된다. 장치 본체(A1)에 대하여 부착 방향(X2)으로 현상 카트리지(B1)가 부착됨에 따라,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1 유도 형상(34w)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피유도 형상(80m)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걸리지 않고 길이 방향의 일 방향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에서, 간섭 없이 원활하게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됨에 따라,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1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t)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1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k)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이동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Y2 측(도 1의 외측)으로 규제된다. 즉, 길이 방향의 Y2 측으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위치가 규제된다. 이때, 길이 방향의 Y1 측(도 1의 중앙측)에의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이동은 아직 규제되지 않는다.
<구동측 사이드 커버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의 규제>
다음에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서 길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7a 내지 도17c는, 도 16a 내지 도 16c에 나타낸 현상 카트리지(B1)의 장치 본체(A1)에의 부착 상태로부터 또한 하류 측에 현상 카트리지(B1)를 삽입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 걸림 결합되기 직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7a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를 구동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서의 선 XVIIC-XVII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b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위치결정부(34b), 회전 멈춤부(34c), 및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만을 도시함)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를 비구동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의 부착 방향(X2)의 하류 측에 제2 유도 형상(34x)이 제공된다. 부착 방향(X2)으로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착됨에 따라, 제2 유도 형상(34x)은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가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에 걸리지 않고 길이 방향의 일 방향에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는 상태에서, 간섭 없이 원활하게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될 수 있다.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됨에 따라,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제2 길이방향 위치결정면(34u)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제2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면(80p)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이동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Y1 측(도 1에서 외측)으로 규제된다. 즉, 길이 방향의 Y1 측으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위치가 규제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A1)에 현상 카트리지(B1)가 부착될 때,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와 걸림 결합된다.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와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 사이의 걸림 결합 위치는,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 사이의 걸림 결합이 개시되는 위치에 대해 부착/분리 방향(X2a)의 상류 측에 위치한다. 즉,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커플링 부재(180) 사이의 걸림 결합이 개시될 때, 길이 방향의 Y1 측으로의 현상 카트리지(B1)의 위치가 규제된다. 바꾸어 말하면, 본체측 구동 부재(100)와 커플링 부재(180) 사이의 걸림 결합이 개시될 때,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의 길이방향 위치가 미리결정된 위치에 규제된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180)와 본체측 구동 부재(100)는 서로에 대해 안정적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다.
(7) 바람직한 효과
도 18은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의 현상 카트리지(B1)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와, 비구동측 스윙 가이드(81)를 정면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카트리지는,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길이방향 위치결정부(34v)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길이방향 피위치결정부(80j)에 걸림 결합하기 전에, 장치 본체(A1)의 부착 위치에 위치하는 카트리지 길이 방향(N)에 대하여,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이 경사진 상태로 해서 삽입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 위치의 카트리지 길이 방향(N)에 대하여, 현상 카트리지는 평행하게 삽입되지 않고, 각도 θ3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가 단면 위치결정 범위(Sc)에 중첩하기 때문에, 현상 카트리지(B1)는 장치 본체(A1)에 더 신뢰할 수 있게 부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부착될 때에, 현상 카트리지(B1)는 장치 본체(A1) 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고,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카트리지(B1)를 장치 본체(A1)에 부착할 때에는, 현상 카트리지(B1)의 자중에 의해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와 회전 멈춤부(34c)가 가이드 하면(80aa)에 접촉한다. 이 결과,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위치결정부(34b)의 점 P5과 회전 멈춤부(34c)의 점 P7이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의 가이드 하면(80aa)에 접촉하고, 따라서 Z 방향의 회전 중심이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의 적어도 일부가 단면 위치결정 범위(Sc)와 길이 방향에서 중첩하고 점 P5와 P7에 가깝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가 회전 중심 가까운 위치에 위치 하게 되고, 구동측 사이드 커버(34)가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걸리지 않는 상태에서 현상 카트리지(B1)가 장치 본체(A1)에 원활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피가이드부(34d)에 제1 유도 형상(34w)을 제공하고,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제1 피유도 형상(80m)을 제공함으로써, 구동측 사이드 커버(34)는 구동측 스윙 가이드(80)에 걸리는 것이 신뢰할 수 있게 더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위치결정 범위(Sb)의 적어도 일부가 단면 위치결정 범위(Sc)와 길이 방향에서 중첩하기 때문에, 구동측 사이드 커버(34)의 피가이드부(34d)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B1)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 현상 카트리지(B1)가 부착되는 장치 본체(A1)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과 현상 롤러가 개별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현상 카트리지에 적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과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유닛을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술한 카트리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이며,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용기는,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가이드와 걸림 결합되어 그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부 및 회전 멈춤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여 상기 현상 용기를 길이 방향으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 일단부를 갖고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 다른 단부를 갖는 폭과, 상기 회전 멈춤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 또는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의 상기 가이드의 폭인 높이를 사용하여 단면 위치결정 범위를 정할 때, 상기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단면 위치결정 범위와 중첩하는,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의 하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회전 멈춤부가 배치되는,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회전 멈춤부는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제공되는, 카트리지.
  4.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 부착 및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이며,
    상기 카트리지는,
    회전가능한 현상제 담지 부재와,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현상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는,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에서 상기 현상 용기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가이드와 걸림 결합되어 그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성되는 위치결정부 및 회전 멈춤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현상제 담지 부재의 축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여 상기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위치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 멈춤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 일단부를 갖고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 다른 단부를 갖는 폭과, 상기 회전 멈춤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 또는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가이드에 접촉하는 점에서의 상기 가이드의 폭인 높이를 사용하여 단면 위치결정 범위를 정할 때, 상기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상기 길이 방향에서 상기 단면 위치결정 범위와 중첩하는,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부착 방향의 하류 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회전 멈춤부가 배치되는, 부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와 상기 회전 멈춤부는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길이방향 위치결정부는 상기 연결부에 제공되는, 부재.
KR1020160117944A 2015-09-16 2016-09-13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 KR101972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3148A JP6602126B2 (ja) 2015-09-16 2015-09-16 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部材
JPJP-P-2015-183148 2015-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250A true KR20170033250A (ko) 2017-03-24
KR101972205B1 KR101972205B1 (ko) 2019-04-24

Family

ID=5693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944A KR101972205B1 (ko) 2015-09-16 2016-09-13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10401B2 (ko)
EP (1) EP3144740B1 (ko)
JP (1) JP6602126B2 (ko)
KR (1) KR101972205B1 (ko)
CN (1) CN106547184B (ko)
BR (1) BR102016021274B1 (ko)
PH (1) PH12016000317B1 (ko)
RU (1) RU2667315C2 (ko)
SG (1) SG10201607756X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36448A (ja) * 2017-02-22 2018-08-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175643B1 (en) * 2017-06-15 2019-01-08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for use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JP6958032B2 (ja) * 2017-07-04 2021-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015800A (ja) 2017-07-04 2019-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9015856A (ja) 2017-07-06 2019-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ドラムカートリッジ
JP6996146B2 (ja) 2017-07-20 2022-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05985B2 (ja) 2017-07-24 2022-0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77418B2 (ja) 2017-09-11 2021-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8388100A (zh) * 2018-05-14 2018-08-10 珠海大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US10809661B1 (en) * 2019-06-03 2020-10-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including guides extending outward from sides of the toner cartridge and an engagement member on a rear of the toner cartridge
JP7298540B2 (ja) * 2020-05-19 2023-06-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容器と取付部品との組み合わせ、および容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242A (ja) * 1991-06-28 1993-11-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3295581B2 (ja) * 1995-07-31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30335A (ja) * 2002-05-17 2003-11-19 Canon Inc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080159772A1 (en) * 2006-12-28 2008-07-0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90080135A (ko) * 2006-12-08 2009-07-2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9868B2 (ja) * 1994-04-27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877728B2 (ja) 1994-04-28 1999-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359194B2 (ja) * 1995-07-31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ホルダ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7697B2 (ja) * 1995-07-31 2003-03-17 キヤノン株式会社 結合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070029A (en) 1995-07-31 2000-05-30 Canon Kabushiki Kaisha Coupling member, process cartridg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ssembling method
JP3477964B2 (ja) * 1995-12-22 2003-1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787487B2 (ja) 1999-10-08 2006-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機構、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885062B2 (ja) *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0793960B1 (ko) 2005-09-26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세스 카트리지, 그것을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및프로세스 카트리지 착탈방법
JP5393001B2 (ja) * 2006-06-26 2014-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み立て方法、及び分解方法
US8060003B2 (en) * 2006-10-20 2011-11-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herein a setting unit sets an interval of image formation according to a size of a recording medium
US7856192B2 (en)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5000380B2 (ja) * 2007-05-24 2012-08-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5312638B2 (ja) * 2011-06-17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
US8867970B2 (en) * 2011-12-30 2014-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s having positional control features
CN103969990B (zh) 2013-01-24 2017-09-22 爱思打印解决方案有限公司 电子照相图像形成设备及显影盒
US9213303B2 (en) * 2013-12-17 2015-12-15 Lexmark International, Inc. Replaceable uni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drive coupler that includes a locking memb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3242A (ja) * 1991-06-28 1993-11-16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3295581B2 (ja) * 1995-07-31 200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330335A (ja) * 2002-05-17 2003-11-19 Canon Inc 情報記憶媒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90080135A (ko) * 2006-12-08 2009-07-2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20080159772A1 (en) * 2006-12-28 2008-07-03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6021274B1 (pt) 2023-02-07
RU2667315C2 (ru) 2018-09-18
CN106547184A (zh) 2017-03-29
JP2017058517A (ja) 2017-03-23
RU2016136824A3 (ko) 2018-03-19
BR102016021274A2 (pt) 2017-03-21
KR101972205B1 (ko) 2019-04-24
EP3144740B1 (en) 2021-11-24
CN106547184B (zh) 2020-07-07
US20170075292A1 (en) 2017-03-16
RU2016136824A (ru) 2018-03-19
PH12016000317A1 (en) 2018-04-11
EP3144740A1 (en) 2017-03-22
SG10201607756XA (en) 2017-04-27
US9910401B2 (en) 2018-03-06
JP6602126B2 (ja) 2019-11-06
PH12016000317B1 (en) 2018-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205B1 (ko)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사용되는 부재
JP326816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81762B2 (ja) カートリッジ
JP476550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7093753A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2145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641519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635701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17184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411959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98728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719286B2 (ja) プロセス装置
JP2000356870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483805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43439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装置
JP434863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WO2023249028A1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87789B2 (ja) 画像形成装置
JP384812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5878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3402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4361719A (ja) 感光体ドラム支持構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8435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0830524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232197A (ja) 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