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320A -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320A
KR20170032320A KR1020177001820A KR20177001820A KR20170032320A KR 20170032320 A KR20170032320 A KR 20170032320A KR 1020177001820 A KR1020177001820 A KR 1020177001820A KR 20177001820 A KR20177001820 A KR 20177001820A KR 20170032320 A KR20170032320 A KR 20170032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vapor
passage
buil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펭레이 씽
위황 쯔
더시앙 리
청 완
위에홍 취
나 린
Original Assignee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포샨 순더 메이디 일렉트리컬 히팅 어플라이언시스 메뉴팩쳐링 코.,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32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구를 개시한다. 상기 조리 기구는 내장 용기(1), 상부 커버(2) 및 증기 발생기(4)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2)는 상기 내장 용기(1) 위에 커버링되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2)와 상기 내장 용기(1) 사이에 수용 챔버(3)가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2)에는 상기 수용 챔버(3)와 연통된 증기 토출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할 음식물이 상기 수용 챔버(3) 내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 챔버(3) 내의 음식물은 상기 증기 발생기(4) 내에서 생성된 증기를 통해 가열된다.

Description

조리 기구{COOKWARE}
본 발명은 가전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특히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장 중의 조리 기구는 통상적으로 전기 발열 트레이 또는 IH 코일 트레이를 이용하여 내장 용기를 가열하는데, 가열 상태에서 내장 용기 바닥벽의 온도 상승이 비교적 빠르기에, 내장 용기 내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가 커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다시 말하자면, 내장 용기 중의 온도는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면서 신속하게 하강하는 바, 내장 용기 바닥부의 온도가 내장 용기 헤드부의 온도보다 훨씬 높다. 이로 인해 조리가 진행된 쌀밥이 익은 상태가 불일치한 결과를 쉽게 초래하는 바, 바꾸어 말하면 내장 용기의 바닥부와 가까운 쌀일수록 빠르게 익고, 쌀밥의 경연성 불일치 등 문제를 쉽게 야기시킬 수 있어 쌀밥의 입맛에 대해 엄중한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정한 정도에서 종래기술에서의 상기 기술적 과제 중의 하나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조리 기구를 제공하는 바, 상기 조리 기구에 의해 조리되는 쌀밥은 열을 균일하게 받으며, 입맛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는, 내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용기 위에 커버링되어 장착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내장 용기 사이에 수용 챔버가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된 증기 토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조리할 음식물이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며; 및 증기 발생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챔버 내의 음식물이 상기 증기 발생기 내에서 생성된 증기를 통해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는, 증기 가열 방식을 적용하여 음식물을 쿠킹(cooking)하는 바, 전기 발열 트레이 또는 IH 코일 트레이를 적용한 가열 방식과 비교할 경우, 내장 용기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차를 효과적으로 감소하여 조리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열을 받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최종적으로 동시에 쿠킹되어 익을 뿐만아니라, 쿠킹되어 익은 후의 음식물의 경연도가 대체적으로 일치하게 되어 쌀밥의 식용 입맛을 효과적으로 제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는 하기와 같은 첨부된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제1 증기 통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증기 통로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입구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증기 출구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와 서로 연결되고,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와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발생기 내의 증기는 상기 제1 증기 통로를 따라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로 안내되며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를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을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에 씌워져 장착되고,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을 가열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측벽에는 관통된 증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증기 배출 구멍은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근접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내장 용기의 바닥벽에는 상향 돌출된 제2 증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증기 통로는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증기 통로 하단의 개구는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가 둘러싼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내장 용기의 하부 및 상기 제2 증기 통로의 내측벽을 가열하며, 상기 제2 증기 통로 상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진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 및 상기 제2 증기 통로의 내측벽을 가열하고, 상기 제2 증기 통로 상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진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에 씌워져 장착되고,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 및 상기 제2 증기 통로의 내측벽을 가열하며, 상기 제2 증기 통로 상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진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제1 증기 통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증기 통로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입구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증기 출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상부 커버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증기 발생기 내의 증기는 상기 제1 증기 통로를 따라 상기 수용 챔버 내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따르면, 상기 상부 커버에는 증기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증기 포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연장된다.
본 발명의 부가 측면 및 장점은 하기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개시될 것인 바, 일부분은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뚜렷하게 표현되거나 본 발명의 실천을 통해 이해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로서, 도면 중의 곡선은 "증기"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로서, 도면 중의 곡선은 "증기"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로서, 도면 중의 곡선은 "증기"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로서, 도면 중의 곡선은 "증기"를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조리 기구의 단면 구조 모식도로서, 도면 중의 곡선은 "증기"를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었는 바, 시종일관하게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 소자를 가리킨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대한 한정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후술할 개시내용은 많은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를 제공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조를 실현하는데 쓰인다. 본 발명의 개시를 간소화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특정 예시의 부품 및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이들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예시 중에서 숫자 및/또는 알파벳 문자를 중복 참조할 수 있다. 이러한 중복은 간결성 및 명확성의 목적에 기인한 것으로, 그 자체는 토론된 다양한 실시예 및/또는 설치 사이의 관계를 지시하지 않는다. 이 외에, 본 발명은 다양한 특정적인 공정 및 소재의 예를 제공하였으나, 해당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수준에서는 기타 공정의 적용 가능성 및/또는 기타 재질의 응용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는 내장 용기(1), 상부 커버(2) 및 증기 발생기(4)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부 커버(2)는 내장 용기(1) 위에 커버링되어 장착되고 상기 상부 커버와 내장 용기(1)의 사이에 수용 챔버(3)가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부 커버(2)에는 수용 챔버(3)와 연통된 증기 토출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리할 음식물이 수용 챔버(3) 내에 위치하고,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은 증기 발생기(4) 내에서 생성된 증기를 통해 가열된다. 여기서,음식물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쌀과 물"의 혼합물(7)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조리 기구는 전기 밥솥, 스튜(stew) 냄비 또는 스튜 그릇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내장 용기(1)는 상단에 개구가 구비된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내장 용기(1) 내에는 헤드부가 개방된 빈 챔버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 커버(2)는 상기 내장 용기(1) 헤드부의 개구 위치에 개폐 가능하게 커버링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상부 커버(2)가 내장 용기(1)의 헤드부에 커버될 경우, 상부 커버(2)와 내장 용기(1) 사이에는 수용 챔버(3)가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부 커버(2)에는 관통된 증기 토출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증기 토출 구멍(21)은 수용 챔버(3)에 연통된다. 조리할 음식물은 내장 용기(1) 내에 위치하되, 예를 들면 수용 챔버(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은 증기 발생기(4) 내에서 생성된 증기를 통해 가열된다. 여기에서,설명이 필요한 바로는, "수용 챔버(3)의 하부"는 응당 광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즉 수용 챔버(3)의 하부는 응당 수용 챔버(3)의 헤드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는 증기를 이용하여 내장 용기(1)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쌀밥을 쿠킹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전기 발열 트레이 또는 IH 코일 트레이를 이용하여 내장 용기(1)를 가열하는 방식과 비교할 경우, 가열 온도가 뚜렷하게 낮아져 내장 용기(1)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 차가 감소됨으로써 내장 용기(1) 내에서 쿠킹되는 쌀밥이 열을 균일하게 받도록 하여, 쌀밥이 최종적으로 동시에 쿠킹되어 익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쿠킹되어 익은 후의 쌀밥의 경연도도 대체적으로 일치하여, 쌀밥 식용 입맛을 향상하는 목적에 도달하게 되고,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켜 사용자 만족도를 제고하는 목적에 도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 기구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을 참조하면, 증기 발생기(4)는 내장 용기(1)의 외측에 설치되며, 조리 기구는 제1 증기 통로(500)를 더 포함하되, 제1 증기 통로(500)도 내장 용기(1)의 외측에 설치된다. 제1 증기 통로(500)의 입구와 증기 발생기(4)의 증기 출구(41)는 서로 연결되고,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와 내장 용기(1)의 하부는 서로 연결되며, 증기 저장 챔버(6)가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와 내장 용기(1)의 하부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증기 발생기(4) 내의 증기는 제1 증기 통로(500)를 따라 증기 저장 챔버(6) 내로 안내되고, 내장 용기(1)의 하부에 대하여 가열을 행한다. 여기에서, 설명이 필요한 바로는, "내장 용기(1)의 하부"도 광의적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즉 내장 용기(1)의 하부는 내장 용기(1)의 헤드부를 제외한 부분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증기 발생기(4)의 증기 출구(41)는 내장 용기(1)의 하부와 직접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도 있는 바, 이렇게라도 본 발명의 목적에 도달할 수 있으며, 그 취지가 본 발명의 구성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마땅히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예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기 통로(500)의 입구와 증기 발생기(4)의 증기 출구(41)가 서로 연결되고, 제1 증기 통로(500)의 입구와 증기 발생기(4)의 증기 출구(41)가 연통되며,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와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은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수용 챔버(3)와 연통되지 않았으며, 증기 저장 챔버(6)가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과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고, 증기 저장 챔버(6) 내의 증기는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을 가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증기 발생기(4) 내에서 생성된 증기가 증기 발생기(4)의 증기 출구(41)를 통해 제1 증기 통로(500) 내로 유입될 수 있으며, 제1 증기 통로(500)를 통해 내장 용기(1)의 하부로 안내된다. 증기의 온도가 비교적 높기 때문에 고온의 증기가 내장 용기(1)의 하부(예를 들어 내장 용기(1)의 바닥벽)와 접촉한 후, 내장 용기(1)의 하부와 열교환을 행한다. 즉, 증기는 열량을 내장 용기의 하부에 전달하고, 내장 용기(1)의 하부를 통해 내장 용기(1) 중의 음식물을 가열하며, 최종적으로 증기를 이용하여 내장 용기(1) 중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선택적으로, 제1 증기 통로(500)의 측벽에는 증기 배출 구멍(51)을 설치하되, 증기 배출 구멍(51)은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에 근접 설치할 수 있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음). 물론, 증기 배출 구멍(51)은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에 근접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도 2의 도시된 바를 참조). 이에 의해, 증기 배출 구멍(51)은 넘쳐나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으며, 조리 기구의 동작 안전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구조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바, 그중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였고,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단지 제1 증기 통로(500) 출구의 구조; 및 제1 증기 통로(500)와 내장 용기(1)의 연결 형태에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내장 용기(1)의 하부에 씌워져 장착되고, 내장 용기(1) 하부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수용 챔버(3)와 연통되지 않으며, 증기 저장 챔버(6)가 내장 용기(1)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과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고, 증기 저장 챔버(6) 내의 증기는 내장 용기(1)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증기와 바닥벽 및 측벽의 열교환을 통해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어, 내장 용기(1) 내 음식물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 차를 더 잘 감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이 동시에 쿠킹되어 익을 수 있고, 쿠킹되어 익은 후의 음식물의 경연도도 대체적으로 일치해져 음시물의 식용 입맛을 향상하는 목적에 도달하며,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킨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바, 그중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였으며, 실시예 1과 다른 점은 단지 내장 용기(1)의 바닥부 구조에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용기(1)의 바닥벽에는 상향 돌출된 제2 증기 통로(510)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증기 통로(510)는 수용 챔버(3) 내에 위치하며, 제2 증기 통로(510) 하단의 개구는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가 둘러싼 영역 내에 위치하고, 증기 저장 챔버(6)와 서로 연통되며, 제2 증기 통로(510) 하단의 개구는 수용 챔버(3) 내에 위치하고 수용 챔버(3)와 서로 연통됨으로써 증기 저장 챔버(6) 내의 증기가 제2 증기 통로(510) 내에 진입할 수 있으며 제2 증기 통로(510) 상단의 개구로부터 수용 챔버(3) 내로 진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증기는 내장 용기(1)의 하부 및 제2 증기 통로(510)의 내측벽을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발생기(4) 내에서 생성된 증기는 제1 증기 통로(500) 및 제2 증기 통로(510)를 통해 내장 용기(1)에 안내될 수 있고, 내장 용기(1)의 하부 및 제2 증기 통로(510)의 측벽을 가열하는 것을 통해 내장 용기(1) 중의 음식물을 가열하는 목적을 실현하며, 아울러 증기 발생기(4) 내에서 생성된 증기가 제2 증기 통로(510)를 따라 수용 챔버(3) 내에 진입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증기 통로(510)의 상단은 수용 챔버(3) 내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함으로써 증기가 음식물의 상방에 유입될 수 있어 음식물의 상방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나아가 내장 용기(1) 내 음식물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 차를 더 잘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이 동시에 쿠킹되어 익으며, 쿠킹되어 익은 후의 음식물의 경연도도 대체적으로 일치하도록 확보하여 음식물의 식용 입맛을 향상하는 목적에 도달하여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예시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와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은 서로 연결되고, 증기 저장 챔버(6)가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과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증기 저장 챔버(6)와 제2 증기 통로(510) 하단의 개구는 서로 연통됨으로써 증기 저장 챔버(6) 내의 증기가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 및 제2 증기 통로(510)의 내측벽을 가열하며, 제2 증기 통로(510) 상단의 개구로부터 수용 챔버(3) 내에 진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증기 발생기(4)가 발생한 증기가 제1 증기 통로(500)를 따라 증기 저장 챔버(6) 중에 진입하고, 증기 저장 챔버(6) 중의 증기를 이용하여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 및 제2 증기 통로(510)의 내측벽을 가열하며, 동시에 증기와의 배합을 통해 수용 챔버(3) 내의 음식물의 상방에서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내장 용기(1) 내 음식물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 차를 더 잘 감소하여,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이 동시에 쿠킹되어 익도록 하고, 쿠킹되어 익은 후의 음식물의 경연도도 대체적으로 일치하도록 확보하여 음식물의 식용 입맛을 향상하는 목적에 도달하며,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의 구조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바, 그중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였으며, 실시예 3과 다른 점은 단지 제1 증기 통로(500) 출구의 구조; 및 제1 증기 통로(500)와 내장 용기(1)의 연결형태에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내장 용기(1)의 하부에 씌워져 장착되고, 내장 용기(1)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증기 저장 챔버(6)가 내장 용기(1)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과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증기 저장 챔버(6) 내의 증기는 내장 용기(1) 하부의 외측벽,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 및 제2 증기 통로(510)의 내측벽을 가열하고, 제2 증기 통로(510) 상단의 개구로부터 수용 챔버(3) 내에 진입한다.
이에 따라,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내장 용기(1)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되고, 증기 저장 챔버(6)가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 내장 용기(1)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에 포위되어 형성되는데, 증기 저장 챔버(6)가 단지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 내장 용기(1)의 외부 바닥벽에 포위되어 형성되는 것과 비교할 경우, 증기 저장 챔버(6) 내의 증기와 내장 용기(1)의 접촉 면적이 더욱 크고, 동시에 증기와의 배합을 통해 수용 챔버(3) 내의 음식물 상방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의 아래로부터 위로의 온도 변화도 차가 더 잘 감소될 수 있게 하고,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이 받는 열이 더 대체적으로 일치하도록 하여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이 동시에 쿠킹되어 익도록 하고, 쿠킹되어 익은 후의 음식물의 경연도도 대체적으로 동일하도록 확보하여 음식물의 식용 입맛을 향상하는 목적에 도달하고, 사용자의 사용 수요를 더 잘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5:
본 실시예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구조는 다른 바, 본 실시예에서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상부 커버(2)에 연결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기 통로(500)는 내장 용기(1)의 외측에 위치하고, 제1 증기 통로(500)의 입구와 증기 발생기(4)의 증기 출구(41)는 서로 연결되면서 연통되고,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와 상부 커버(2)는 서로 연결되면서 연통됨으로써 증기 발생기(4) 내의 증기가 제1 증기 통로(500)를 따라 수용 챔버(3)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내장 용기(1) 내의 음식물은 중력의 작용하에 내장 용기(1)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수용 챔버(3) 내에 진입한 증기는 내장 용기(1) 중의 음식물의 상방에 위치하며 저장될 수 있고, 내장 용기(1) 내의 하부의 음식물은 내장 용기(1) 중의 고온의 증기를 통해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 목적을 실현한다. 내장 용기(1) 중에 증기가 가득 차도록 저장된 후, 다시 내장 용기(1) 중에 진입되는 여분의 증기는 증기 토출 구멍(21)을 통해 외계로 토출될 수 있는 바, 다시 말하자면 신규로 진입된 증기는 원래 수용 챔버(3) 내에서 증기 토출 구멍(21) 위치에 근접되어 있던 증기를 증기 토출 구멍(21)으로부터 밀어 냄으로써 내장 용기(1) 중의 기압 평형이 확보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증기 토출 구멍(21) 및 증기 포트(22)는 상부 커버(2)의 축선의 양측에 위치하며,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증기 토출 구멍(21)과 멀리 이격되게 설치함으로써 수용 챔버(3) 내에 증기가 가득 찬 후, 다시 내장 용기(1) 중에 진입된 부유된 증기를 증기 토출 구멍(21)으로부터 외계로 토출하여 내장 용기(1) 중의 기압 평형이 확보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예시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커버(2)에는 증기 포트(2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는 증기 포트(22)를 관통하여 수용 챔버(3) 내에 연장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가 직접 증기 포트(22)와 연결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제1 증기 통로(500)의 출구가 수용 챔버(3) 내에 연장되지 않아도, 본 출원의 목적은 여전히 실현될 수 있는데, 취지가 본 발명의 구성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마땅히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취급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용어 '중심', '위', '아래', '수직', '수평', '꼭대기', '바닥', '내', '외', '축방향', '반경방향', '원주방향' 등으로 지시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는 도면을 기반으로 하여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관계이며,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일 뿐, 지시 또는 암시되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방위를 가지거나 또는 특정방위로 구성되고 동작함을 가리키거나 또는 암시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그리고, 용어 '제1', '제2'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만 이용되며, 상대적인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또는 지시되는 기술적 특징의 수량을 암묵적으로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된 특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당해 특징을 명시 또는 암묵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다수'의 의미는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별도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서로 연결', '연결', '고정'은 넓은 의미에서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분리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직접적인 연결일 수 있고, 중간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으며, 두 소자 내부의 연통 또는 두 소자의 상호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가 본 발명에서 가지는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별도로 명확히 규정하고 한정하지 않은 한,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위' 또는 '아래'에 있다고 함은 제1 및 제2 구성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구성이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고 이들 사이의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위', '상부', 및 '상면'에 있다고 함은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바로 상측과 경사 상측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구성의 수평 높이가 제2 구성보다 높은 경우만을 표시한다.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하부', '하측' 및 '하면'에 있다고 함은 제1 구성이 제2 구성의 바로 하측과 경사 하측에 있는 경우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구성의 수평 높이가 제2 구성보다 낮은 경우만을 표시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참고용어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설명은 당해 실시예 또는 예시와 함께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은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반드시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성,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호 모순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 그 자체, 그리고 다른 실시예 또는 예시의 구성요소를 결합 및 조합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기재하였으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리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이들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수정, 대체 및 변형을 진행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들에 의해 한정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부호 설명
1: 내장 용기
2: 상부 커버
21: 증기 토출 구멍
22: 증기 포트
3: 수용 챔버
4: 증기 발생기
41: 증기 출구
500: 제1 증기 통로
510: 제2 증기 통로
51: 증기 배출 구멍
6: 증기 저장 챔버
7: "쌀과 물"의 혼합물

Claims (11)

  1. 조리 기구에 있어서,
    내장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내장 용기 위에 커버링되어 장착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내장 용기 사이에 수용 챔버가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커버에는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된 증기 토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조리할 음식물이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며; 및
    증기 발생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챔버 내의 음식물이 상기 증기 발생기 내에서 생성된 증기를 통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제1 증기 통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증기 통로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입구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증기 출구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와 서로 연결되고,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와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발생기 내의 증기는 상기 제1 증기 통로를 따라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로 안내되며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에 씌워져 장착되고,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측벽에는 관통된 증기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구멍은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근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 용기의 바닥벽에는 상향 돌출된 제2 증기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증기 통로는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증기 통로 하단의 개구는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가 둘러싼 영역 내에 위치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와 서로 연통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내장 용기의 하부 및 상기 제2 증기 통로의 내측벽을 가열하며, 상기 제2 증기 통로 상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 및 상기 제2 증기 통로의 내측벽을 가열하고, 상기 제2 증기 통로 상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내장 용기의 하부에 씌워져 장착되고,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벽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가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및 외부 바닥벽과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에 포위되어 형성되며, 상기 증기 저장 챔버 내의 증기는 상기 내장 용기 하부의 외측벽, 상기 내장 용기의 외부 바닥벽 및 상기 제2 증기 통로의 내측벽을 가열하며, 상기 제2 증기 통로 상단의 개구로부터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기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 기구는 제1 증기 통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증기 통로는 상기 내장 용기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입구는 상기 증기 발생기의 증기 출구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상부 커버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증기 발생기 내의 증기는 상기 제1 증기 통로를 따라 상기 수용 챔버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증기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증기 통로의 출구는 상기 증기 포트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구.
KR1020177001820A 2014-06-21 2015-06-15 조리 기구 KR201700323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333286.0U CN203943482U (zh) 2014-06-21 2014-06-21 烹饪器具
CN201420333286.0 2014-06-21
PCT/CN2015/081481 WO2015192756A1 (zh) 2014-06-21 2015-06-15 烹饪器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320A true KR20170032320A (ko) 2017-03-22

Family

ID=5188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20A KR20170032320A (ko) 2014-06-21 2015-06-15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522947A (ko)
KR (1) KR20170032320A (ko)
CN (1) CN203943482U (ko)
WO (1) WO20151927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43482U (zh) * 2014-06-21 2014-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7997569B (zh) * 2017-07-19 2023-05-2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具有蒸汽发生器的蒸箱
CN109709997B (zh) * 2017-10-25 2023-02-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设备的控制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CN109259588A (zh) * 2018-11-08 2019-01-25 厦门鸥乐科技有限公司 烹饪装置
CN114617424A (zh) * 2021-01-07 2022-06-1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蒸汽烹饪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6201356U (zh) * 1986-03-06 1987-01-21 喻良辉 液体电热式自动蒸饪与保温设备
JPH0965972A (ja) * 1995-09-01 1997-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装置
US5794525A (en) * 1997-11-12 1998-08-18 Fan; Chi-Po Cooking device
JP3858671B2 (ja) * 2001-11-09 2006-1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JP2003204876A (ja) * 2002-01-16 2003-07-22 Honda Motor Co Ltd 炊飯装置および炊飯方法
CN101632547B (zh) * 2008-07-24 2012-05-02 蓝治成 可变式多功能蒸饭锅
CN203943482U (zh) * 2014-06-21 2014-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203943490U (zh) * 2014-06-21 2014-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CN203943483U (zh) * 2014-06-21 2014-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CN203943501U (zh) * 2014-06-21 2014-11-1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2947A (ja) 2017-08-17
WO2015192756A1 (zh) 2015-12-23
CN203943482U (zh)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3283B (zh) 电饭煲的蒸笼、电饭煲及其控制方法
KR20170032320A (ko) 조리 기구
JP5831520B2 (ja) 炊飯器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CN205568658U (zh) 一种蒸煮装置及设备
CN206381077U (zh) 沥米电饭煲
CN203943537U (zh) 电饭煲的蒸笼和电饭煲
KR102034756B1 (ko) 이중가열식 다용도 찜기
CN203662532U (zh) 电饭甑
CN106691167A (zh) 一种蒸锅
CN105640305A (zh) 一种双层外锅的电饭锅
JP7225429B2 (ja) 調理器具
CN104334058A (zh) 用于蒸煮食物的装置
KR101286836B1 (ko) 업소용 대형국솥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CN210446646U (zh) 烹饪器具
CN109984570B (zh) 一种上给水式先煮后蒸的煮饭锅及煮饭方法
CN205548301U (zh) 一种带分离罩的蒸汽发生器
KR101227248B1 (ko) 다용도 압력 조리장치
KR200455209Y1 (ko) 찌기와 끓이기용 조리 포트
KR101072987B1 (ko) 고온증기 순환 찜용기
US3372694A (en) Food cooking and heating utensil
CN217510311U (zh) 一种电炖锅的炖盅支架
RU22773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арки кофе "хот сэн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