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3219A -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 및 그러한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 Google Patents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 및 그러한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3219A
KR20170013219A KR1020167031269A KR20167031269A KR20170013219A KR 20170013219 A KR20170013219 A KR 20170013219A KR 1020167031269 A KR1020167031269 A KR 1020167031269A KR 20167031269 A KR20167031269 A KR 20167031269A KR 20170013219 A KR20170013219 A KR 2017001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d
crane
brace
plug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798B1 (ko
Inventor
파스만 크리스토프
크라이즈너 리차드
슐리어바흐-크노블록 토마스
놀 스테판
슐트 프란츠
Original Assignee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렉스 엠하페에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1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1)을 위한 크레인 거더(2),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상부 코드(3), 하부 코드(4), 및 코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레이스(5)들을 가지는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된다. 브레이스(5)들의 적어도 하나는 평탄하게 설계되고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주 표면(5a)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크레인 거더(2)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브레이스(5)가 상부 코드(3) 및/또는 하부 코드(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대응하는 크레인 거더(2)를 포함하는 크레인(1)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 및 그러한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CRAIN GIRDER FOR A CRANE, IN PARTICULAR FOR AN OVERHEAD OR GANTRY CRANE, AND A CRANE COMPRISING SUCH A GIRDER}
본 발명은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에 대한 것으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상부 코드, 하부 코드, 및 상기 코드들을 서로 연결시킨 브레이스들을 구비한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되며, 브레이스들의 적어도 하나가 박판으로 설계되고 크레인 거더의 길이방향을 가로 질러 연장하는 주 표면을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크레인, 특히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대한 것이다.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된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은 독일 특허공개공보 DE 10 2012 102 808A1에 공지된다. 크레인 거더는 박판으로(in a laminar manner) 설계된 브레이스(brace)들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를 포함한다. 브레이스들은 각각 크레인 거더의 길이방향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주 표면을 가지고 상호 대향하는 단부들에 의하여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에 용접된다.
독일실용신안 공보DE 1 919 256 U는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되고 그의 브레이스들이 로드 형상으로 설계되고 하부 코드에 나사 결합된 크레인 거더를 개시한다. 그러한 크레인 거더는 또한 US 2011/0180507 A1에 개시된다.
박판으로 설계되고 하부 코드와 상부 코드에 스크류 결합된 브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트러스 거더는 독일 공개특허 공보 DE 1 907 455 A로부터 공지된다. 트러스 거더는 크레인 거더가 아니다. 더욱이,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되는 나사 결합된 로드-형상의 브레이스들을 포함하는 브리지의 지지 구조물은 독일 특허 DE 843 424B로부터 공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을 위한, 특히 제조가 쉬운 향상된 크레인 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크레인 거더를 포함한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1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을 위한 크레인 거더, 및 청구범위 15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크레인에 의하여 달성된다. 종속 청구범위 2 내지 14는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들을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라,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을 위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상부 코드, 하부 코드 및 상기 코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레이스들을 가진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되고, 브레이스들의 적어도 하나는 박판으로 설계되고 크레인 거더의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주 표면을 가지며, 브레이스가 상부 코드 및/또는 하부 코드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사실에 의하여 유익한 방식으로 향상된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의 개별 모듈들 및 조립체는 공간-절감 방식으로 그리고 따라서 간단하고 비용-절감식으로 사전 제작되어 설치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비분리식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크레인 거더들과 대조적으로, 크레인 거더는 설치 장소에서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비교적 고가의 제조 및 복잡한 운반이 피해질 수 있다. 또한 제조가 복잡한 용접 연결부를 피할 수 있다.
이 경우, 브레이스들은 경사되거나 또는 대각선 영역을 가지는 트러스 구조의 요소들로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트러스 구조의 브레이스들은 전속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고 기둥들로서 규정된 요소들과 다르다.
대응하는 박판식 구조에 의하여, 브레이스들 또는 표면 브레이스들은 바람직하게 길이방향 축의 방향으로 따라서 평탄한 주 표면의 연장면에서 힘을 흡수한다. 그러한 표면 요소들 또는 표면 지지 구조물은 엔지니어링 메카닉에서 디스크들로 정의되지만, 연장면 또는 주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하중이 걸린 표면 요소들은 판들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들 또는 표면 브레이스들은 예컨대 로드들 또는 로드-형상의 기둥들 및 브레이스들과 그들의 두께 크기가 디스크의 2-차원 영역을 결정하는 길이 및 폭 크기들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점에서 다르다. 따라서, 박판식 브레이스들은 또한 표면 브레이스들 또는 디스크 브레이스들로서 규정될 수 있다.
더욱이, 박판식 브레이스들에 의하여 트러스 거더들로서 제조된 크레인 거더들은 구조적으로 불필요한 금속 시트 영역의 생략 및 그와 연관된 재료 절감에 의하여 상당히 감소된 중량 및 최적화된 내-하중 성능을 가진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브레이스는 주 표면을 통해 상부 코드 및/또는 하부 코드에 고정된다. 주 표면을 브레이스에 합체함으로써, 브레이스의 버클링(buckling) 강도 및 힘 흐름은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의 웨브들의 외측에 형성된 멤브레인 조인트들에 대해 최적화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브레이스는 상부 코드 및 하부 코드의 웨브에 고정되고 웨브는 바람직하게 크레인 거더의 길이방향에 관련해서 수직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브레이스는 형태-맞춤식으로 및/또는 가압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해체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브레이스는 스크류-연결부에 의하여 고정된다.
크레인 거더의 간단한 실시예에서, 스크류 연결부는 주 표면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주 표면에 평행으로 스크류-인 방향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스크류 연결부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 주 표면에 고정된 슬리브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의 스크류 통로를 통하여 스크류가 안내되고, 슬리브 위에 지지되는 상기 너트는 바람직하게 프레스 너트로서 설계되고, 브레이스는 상부 코드 및 하부 코드에 고정된다. 브레이스의 용이하게 제조되고, 회전되어 고정되고, 상부 코드 또는 하부 코드로의 분리가능한 고정은 이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 연결부는 부가적으로 클램핑 핀을 포함하며, 그를 관통해 스크류가 안내되고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가 그 위에 지지된다. 발생하는 횡방향 힘 및 전단력의 측면에서, 클램핑 핀이 스크류 연결부, 특히 스크류 자체를 해제한다.
특히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주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가지며, 그의 에지에 대해 슬리브의 둘레면이 접하여 고정되며, 바람직하게 용접되고, 납땜되거나 또는 접합된다. 슬리브와 브레이스가 바람직하게 용접되거나, 납땜되거나 또는 접합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고정되기 전에 구멍에 의하여 슬리브는 브레이스 위에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시트 강으로부터 브레이스들이 제조되는 경우 구멍들은 레이저 절단에 의하여 특히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복잡성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브레이스는 또한 플러그-인 연결부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는 실질적으로 조립을 촉진하는 데, 브레이스들은 하부 코드 또는 상부 코드에 대해 소정의 고정된 위치에 형태-고정식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배치 보조구로서 작용하는 플러그-인 연결부가 일단 형성되면, 고정 위치는 간단한 방식으로, 예컨대, 상기 설명된 스크류 연결부에 의하여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플러그-인 연결부는 주 표면에 평행인 플러그-인 방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으로, 주 표면과 상부 코드 또는 하부 코드 사이에 직접 플러그-인 연결부가 형성되는 데, 특히 상부 코드의 플러그-인 리시버 내로 또는 하부 코드의 플러그-인 리시버 내로 삽입된 주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단턱부(shoulder)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브레이스들은 하부 코드 또는 상부 코드의 대응하는 플러그-인 리시버들 내로 브레이스들의 플러그-인 단턱부들을 삽입하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특히 단순한 방식으로 하부 코드 또는 상부 코드에 대해 배향되어, 결합되고 서로 인접된다. 따라서, 브레이스들에 대한 하부 코드 또는 상부 코드의 상대 위치는 간단한 방식으로 회전 및 병진 측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효과적으로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는 부가적으로 크레인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둥들에 의하여 서로 추가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부 코드 또는 하부 코드의 버클링 위험을 특히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이는 또한 크레인 거더의 내-하중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상부 코드와 하부 코드가 분리된 방식으로 전속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방향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이 바람직하게 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하나에 따라 크레인 거더가 설계될 수 있는 사실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첨부 도면들을 참고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단일 거더-크레인으로 설계되고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오버헤드 크레인을 도시하며,
도 2는 도 1 도시 크레인 거더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2 도시 크레인 거더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3a는 도 3의 세부(A)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2 도시 크레인 거더의 부분들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단일-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설계된 크레인(1)을 도시한다. 크레인(1)은 트러스 거더로 설계되고 수평으로 배향되고 길이방향(LR)으로 길이(L)만큼 연장하는 크레인 거더(2)를 포함한다.
물론, 크레인(1)은 또한 대응하는 크레인 지브(jib)를 포함하는 단일-거더의 갠트리 크레인으로 설계될 수 있다. 유사하게, 크레인(1)은 이중-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또는 이중-거더 갠트리 크레인으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방식의 두 개의 크레인 거더(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거더 오버헤드 크레인으로 설계된 크레인(1)을 참조하여 이후 이루어지는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크레인(1)의 크레인 거더(2)는 상호 대향하는 단부들에 고정된 제1 및 제2 주행 기어 유닛(7, 8)들과 함께,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이중의 T-형상인 크레인 브리지를 형성한다. 주행 기어 유닛(7, 8)들에 의하여, 크레인(1)은 도시되지 않은 레일들 위에서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을 가로지르는 수평 이동 방향(F)으로 이동가능하다. 레일들은 통상적으로 지표면 위에 위치되고 이를 위하여, 예컨대, 적절한 지지 구조물에 의하여 승강될 수 있거나 또는 빌딩의 대향하는 벽들에 고정될 수 있다. 크레인(1) 또는 그의 크레인 거더(2)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주행 기어 유닛(7)은 제1 전기모터(7a)에 의하여 구동되고 제2 주행 기어유닛(8)은 제2 전기모터(8a)에 의하여 구동된다.
크레인 거더(2)로부터 크레인 트롤리(9)가 현가되는 데, 이는 케이블 윈치로서 설계되고 도시되지 않은 주행 기어 유닛들에 의하여 크레인(1)의 이동 방향(F)을 가로질러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팅 기어를 포함한다.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하부 코드(4)의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주행면(4h)을 따라 그 위에서 이동가능하다. 크레인(1)은 또한 크레인 콘트롤러(10)와 그에 연관된 펜던트 콘트롤 스위치(11)를 포함하며, 그를 통해 크레인(1) 또는 전기 모터(7a, 8a)들과 케이블 윈치를 포함하는 크레인 트롤리(9)가 서로로부터 별개로 가동되고 작동될 수 있다.
크레인 거더(2)의 트러스 구조는 실질적으로 상부 코드(3), 하부 코드(4) 및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를 고정되게 연결하고 그 사이로 대각선으로 연장하는 브레이스(5)들을 포함한다. 도 1 도시와 같이, 복수의 기둥(6)들이 추가적으로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기둥들은 수직으로 연장하여 유사하게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를 서로 고정되게 연결하며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으로 배치된다.
단순화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에 브레이스(5)들을 고정하는 것과 관련해서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2)는 기둥(6) 없이 단지 브레이스(5)들만을 구비하여 도 2 내지 4에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에 브레이스(5)들을 고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신에 동일한 방식으로 기둥(6)들의 고정에 관련되고, 기둥들은 상부 코드(3) 및 하부 코드(4)에 구비되고 이에 따라 기둥들에 적용될 수 있다.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는 주행 기어 유닛(7, 8)들 사이로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으로 서로로부터 떨어져 평행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는 서로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된다. 상부 코드(3)는 수평면에 배치되고 서로 수평으로 이격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들로 구성된다. 두 개의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들은 각각의 경우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 웨브(3a)와 수평 플랜지(3d)를 포함하는 L-형상 또는 앵글 프로파일 거더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들의 플랜지(3c)들은 바람직하게 브레이스(5)의 상단부 면에 의하여 수평면에 배치된다. 상부 코드(3)에 유사한 방식으로 하부 코드(4)는 유사하게 각각 L-형상으로 또는 앵글 프로파일 거더로서 설계되고 따라서 거더에 직각으로 배치된 수직 웨브(3a)와 수평 플랜지(3d)를 포함하는 제1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및 제2 하부 코드 프로파일(4e)로 구성된다. 이 경우, 하부 코드(4)의 플랜지(4c)들은 크레인 트롤리(9)를 위한 주행면들을 형성한다. 상부 코드(3)의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들의 아래로 향하는 웨브(3a)와 하부 코드(4)의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4e)들의 위로 향하는 웨브(4a)는 서로를 향하도록 대향한다.
그러나,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4e)들은 도 1에서와 같이 L-형상 또는 앵글 프로파일 거더들로 설계될 필요는 없다. 크레인 거더(2)의 하부 코드(4)는 두 개의 별개의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4e)들이 아닌 두 개의 수직 웨브(4a)들을 포함하는 단일의 평탄한 프로파일(4b)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략 U-형상의 단면을 가진 평탄한 프로파일(4b)의 경우, 웨브(4a)를 지나 횡방향으로 연장된 단 하나의 공통 플랜지(4f)가 구비된다. 이 경우, 이어서 플랜지(4f)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들은 주행면(4h)을 형성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코드(3)는 또한 대응하는 평탄한 프로파일(3b)들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크레인 거더(2)의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는 각각의 경우 박판 브레이스(5)들과 기둥(6)들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고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경우, 브레이스(5)들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주 표면(5a)을 포함하는 금속 시트 프로파일로서 설계되고, 길이방향 측면들은 적어도 중심 지역에서 버클링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2 표면(5b)의 형태로 접혀진다. 브레이스(5)들은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의 웨브(3a, 4a)들 사이에 크레인 거더(2)의 트러스 구조 내에 배치되고 이 경우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을 가로질러 각 경우 주 표면(5a)이 연장하도록 배향된다. 그러므로,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을 가로질러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하나의 브레이스(5) -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기둥(6) - 이 상부 코드(3)의 웨브(3a)들 사이 또는 하부 코드(4)의 웨브(4a)들 사이에 구비된다.
브레이스(5)들의 디자인은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임의로 구비된 구조의 디자인에서, 유사하게 금속 시트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박판식 기둥(6)은 - 대응하게 형성된 크기로 - 실질적으로 박판식 브레이스(5)의 디자인에 대응하고, 그러므로 이 경우 기재된 참조 부호(5a 내지 5g)를 포함하는 그의 설명이 따라서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크레인 거더(2)의 단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크레인 거더(2)는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가 각 경우 두 개의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들과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4e)들로 각각 구성되는 트러스 거더로 설계된다.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4e)들은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공 프로파일들로 설계된다.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를 연결하는 브레이스(5)들은, 길이방향(LR)으로 보여진 바와 같이, 쌍으로 피치를 가진 지붕 형식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각 브레이스(5)는 길이방향(LR)으로 평행으로 연장하는 하부 코드(4)와 상부 코드(3)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수직 보조평면(또한 도 4 참조)에 대해 설정 각도(α)로 경사된다. 이 경우, 설정 각도(α)는 제1 브레이스(5)의 평탄한 주 표면(5a)과 보조 평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단순화를 위하여, 설정 각도(α)는 주 표면(5a)과 보조 평면에 위치하는 보조 라인(HL) 사이에 표시된다. 바람직하게, 설정 각도(α)는 35° 내지 55°범위이고 특히 45°이다. 바람직하게, 짝수의 브레이스(5)가 사용되고, 상기 브레이스들은 쌍으로 그리고 피치-지붕 식으로 경사지게 또는 서로에 대해 대각선으로 배치되므로, 길이(L)에 걸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최종 브레이스(5)는 하부 코드(4)에서 시작 또는 종료한다(도 1 참조). 각각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짝수의 브레이스(5)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설정 각도(α)는 조립 전의 크레인 거더(2)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레일로서 작용하고 이를 위하여 주행면(4h)을 형성하는 하부 코드(4)는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된다. 그러나, 또한 브레이스들은 근본적으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또한 설정 각도(α)는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쌍을 이루는 브레이스(5)의 피치-지붕식 배치의 경우, 길이 방향(LR)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크레인 거더(2)의 두 단부들의 하나의 지역에서, 제1 브레이스(5)는 하부 스크류 연결부(12) 및 하부 플러그-인 연결부(13)에 의하여 하부 코드(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로부터 나아가서, 브레이스(5)는 상부 코드(3)의 방향으로 경사된 방식으로 설정 각도(α)에서 길이방향(LR)으로 연장하고, 여기에 브레이스(5)는 상부 스크류 연결부(12) 및 상부 플러그-인 연결부에 의하여 유사하게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브레이스(5)는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의 웨브(3a, 4a)들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들에 대향하여 그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부의 제1 브레이스 단부(5e)와 하부 제2 브레이스 단부(5f)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1 상부 노드 영역(OK) 또는 제1 하부 노드 영역(UK)은 각 경우 상부 스크류 연결부(12) 및 상부 플러그-인 연결부(13)에 의하여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의 웨브(3a, 4a)들에 형성되며, 상기 노드 영역은 점-형식으로는 아니고 선-형식으로 브레이스(5)의 주 표면(5a)의 길이방향 측면들에 형성된다.
각각의 상부 스크류 연결부(12) 및 상부 플러그-인 연결부 및 그 제조는 도 3, 3a 및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 상부 노드영역(OK) 다음에 배치된 제2 상부 노드영역(OK)에 인접하는 것은 하부 코드(4)로 아래로 설정각도(α)에서 경사지게 연장하고 피치-지붕식으로 배치된 제1의 쌍을 이루는 브레이스(5)를 종료시키는 제2 브레이스(5)이다. 그러므로, 각 브레이스(5)는 상부 코드(3) 위의 대응하는 상부 노드 영역(OK)에서 보조 평면 또는 보조 라인(HL)과 설정 각도(α)를 형성한다. 브레이스(5)가 크레인 거더(2)의 반대 단부에 도달하기까지 이것이 반복된다. 임의적으로, 기둥(6)은 두 개의 인접한 브레이스(5)들 사이에, 특히 한 쌍의 브레이스(5)들의 상부 노드 영역(OK) 또는 두 개의 인접한 쌍을 이루는 브레이스(5)들의 하부 노드 영역(UK)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브레이스(5)들과 동일하게 분리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 도시 크레인 거더(2)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데, 그 단면은 길이방향(LR)에 대해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으로 긴 형상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주 표면(5a)을 가진다. 브레이스(5)는 길이방향 축(LA)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주 표면(5a)은 브레이스(5)의 길이방향 축(LA)을 따라 소정의 경우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을 가로질러 크레인 거더(2)의 폭(B)의 적어도 절반을 넘게 중심 영역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 폭(B)은 하부 코드(4)의 또는 - 도 3 도시의 크레인 거더(2)의 경우와 같이 - 상부 코드(3)의, 특히 길이방향 축(LA)으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향하는 플랜지(3c, 4c)들의 길이방향(LR)에서 볼 때 최외측인, 지점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다.
브레이스(5)들은 바람직하게 레이저 절단에 의하여 주 표면(5a)을 형성하고 임의적으로 제2 표면(5b)을 제공하는 강 시트로부터 제조된다. 상호 대향하는 단부(5e, 5f)들의 영역에서, 두 개의 상부 및 두 개의 하부 리세스(5c)들이 브레이스(5)의 양측 길이방향 측면들에 구비된다. 리세스(5c)들은 원형으로, 바람직하게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크레인 거더(2)의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에 브레이스(5)를 고정하는 경우, 브레이스(5)들을 통해 작용하는 힘의 유동이 최적화되고 스크류 연결부(12) 또는 플러그-인 연결부(13)가 확실히 제거될 수 있다. 리세스(5c)들은 길이방향 축(LA)을 가로질러 주 표면(5a)의 조임부인 각각의 브레이스 단부(5e, 5f)들 영역에 형성되어, 브레이스(5)는 각각의 경우 이들 영역에서 일정 유형의 멤브레인 조인트를 형성한다.
하부 및 상부 리세스(5c)들 사이에서, 접혀진, 바람직하게 직각으로 접혀지고 길이방향 축(LA)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제2 표면(5b)은 브레이스(5)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면의 주 표면(5a)에 인접한다. 제2 표면(5b)들은 실질적으로 평행사변형이다(또한 도 4 참조). 제2 표면(5b)들이, 본 도면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같은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혀지면, 도 2 예시의 브레이스(5)는 적어도 제2 표면(5b)의 영역에서, 브레이스(5)의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에서 볼 때, U-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유사하게, 제2 표면(5b)은 대향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으므로,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으로 볼 때, 제2 표면(5b), 또는 단지 하나의 단일 제2 표면(5b)을 제공함으로써, 브레이스(5)는 또한 대응하게 길이방향 축(LA)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L-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표면(5b)은 브레이스(5)의 버클링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작용한다. 제2 표면(5b)은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 사이에 웨브(3a, 4a)들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접혀지지 않은 주 표면(5a)의 길이방향 측면들의 영역들만이 웨브(3a, 4a)들에 대해, 특히 서로 대향하는 내측 측면들에 대해 위치된다. 리세스(5c)들에 의하여 형성된 멤브레인 지점들은, 이와 같이 길이방향 축(LA)에서 볼 때, 웨브(3a 또는 4a) 들 사이에 클램핑된 제2 표면(5b)과 각각의 브레이스 단부(5e 또는 5f) 사이에 배치된다.
각각의 경우 브레이스(5)를 상부 코드(3) 및 하부 코드(4)에 고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스크류 연결부(12)와 플러그-인 연결부(13)는 각각 동일한 식으로 설계되고, 이러한 이유들로서 브레이스 단부(5e, 5f)들은 - 다른 크기들에 상관 없이 - 또한 구조적인 면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하의 설명은 따라서 브레이스(5)의 상부 코드(3)로의 고정 또는 브레이스(5)의 하부 코드(4)로의 고정에 대한 것이며 따라서 브레이스(5)의 각각의 다른 고정에 적용될 수 있다.
두 웨브(3a)들 사이에서 스크류 연결부(12)에 의한 상부 제1 브레이스 단부(5e)를 가진 브레이스(5)를 상부 코드(3)에 고정할 수 있도록, 브레이스(5)의 상부 제1 브레이스 단부(5e)와 주 표면(5a)의 금속 시트의 상부 리세스(5c)들 사이에 두 개의 상부 구멍(5d)들이 구비되고 길이방향 축(LA)에 관련해서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된다. 구멍(5d)들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슬롯들로서 설계되며, 이들은 길이방향 축(LA)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브레이스(5)의 길이방향 측면들로부터 진행하여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으로 가로질러 서로 연장하며, 이로써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에서 길이방향 측면들을 후방으로 설정한다.
각 구멍(5d) 영역에는 슬리브(12b)가 배치되고, 스크류 연결부(12)의 하나의 스크류(12a)가 그를 통해 안내된다. 이 경우,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이 구멍(5d)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고 구멍(5d)의 에지에 대해 슬리브의 둘레 표면이 배치되도록 슬리브(12b)는 배향된다. 이를 위하여, 슬리브(12b)의 둘레 표면은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에서 측정된 구멍(5d)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러므로, 슬리브(12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멍(5d)에 배치되고 주 표면(5a)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관통하여 돌출한다. 슬리브의 길이방향 축 둘레에서 슬리브가 회전하는 것이 확실히 방지되도록, 슬리브(12b)는 주 표면(5a), 특히 구멍(5d)의 에지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고정은 일체로 접합된 방식으로 특히 구멍(5d)의 에지 영역에서 슬리브(12b)의 둘레 표면과 주 표면(5a) 사이의 용접 연결부에 의하여 실행된다. 대체적으로, 납땜되거나 또는 접착 연결부가 또한 가능하다.
구멍에서의 상기 설명한 슬리브(12b)의 배치에 의하여 브레이스(5)의 길이방향 축(LA)을 가로질러 주 표면(5a)에 평행으로 연장하는 스크류-인 방향(ER)이 스크류(12a)에 대해 형성된다.
브레이스(5)를 상부 코드(3)에 고정되게 클램핑하기 위하여, 스크류(12)는 스크류 통로(3g)를 통해 그리고 슬리브(12b)를 통해 외측으로 안내되고, 스크류 통로는 상부 코드(3) 또는 그 웨브(3a)에 제공되고 프레스 너트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설계된 너트(12c)에 의해 스크류-인 방향(ER)으로 스크류 결합된다. 이 경우, 스크류(12a)들은 상부 코드(3) 위의 웨브(3a)를 거쳐 스크류 헤드들에 의하여 지지된다. 구멍(5d) 내에서, 너트(12c)는 스크류(12a)의 조임 토크를 흡수하도록 슬리브(12b) 위에 지지된다. 따라서, 슬리브(12b)와 또한 브레이스(5)는 상부 코드(3)에 고정되게 클램핑된다. 브레이스(5) 또는 거기에 고정된 슬리브(12c)와 상부 코드(3)의 웨브(3a) 사이의 횡방향 힘 또는 전단력을 흡수하기 위하여, 스크류 연결부(12)는, 스크류(12a)가 그를 통해 안내되는 슬리브-형상의 클램핑 핀(12d)(도 3a 참조)을 포함한다.
도 3에서, 하부 스크류 연결부(12)는 세부(A)로서 표시된다. 도 3a는 예로서 그리고 상세하게 스크류 연결부(12)의 모든 기본적인 디자인을 상세하게 보이기 위하여 세부(A)의 확대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예시된 단면은 브레이스(5)의 주 표면(5a)과 함께 평행으로 연장한다. 도 3a는 특히 하부 스크류 연결부(12)에 의한 하부 코드(4)의 두 웨브(4a)들의 하나에 하부 제2 브레이스 단부(5f)를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면은 하나의 구멍(5d)을 도시하는 데, 그의 에지에 대해 슬리브(12c)의 둘레면이 위치되고 용접된다. 또한 스크류 통로(4g)와 슬리브(12b) 내에 클램핑 핀(12d)이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이 경우, 슬리브(12b)와 웨브(4a)는 스크류 통로(4g)를 통해 클램핑 핀(12d) 위에 지지된다. 스크류(12a)는 스크류-인 방향(ER)으로 연장하는 클램핑 핀(12d)을 통해 안내된다.
도 3은 또한 스크류 연결부(12) 및 플러그-인 연결부(13)에 의하여 상부 제1 브레이스 단부(5e)가 상부 코드(3)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다. 플러그-인 연결부(13)는 브레이스(5), 특히 그의 주 표면(5a)과, 상부 코드(3), 특히 그 웨브(3a) 사이에 직접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주 표면(5a)은 그 길이방향 측면에서 각 경우에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배치된 플러그-인 단턱부(5g)(또한 도 2 참조)를 형성하며, 이 단턱부는 외측으로, 바람직하게 직사각형으로, 길이방향 축(LA)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연장한다. 상부 리세스(5c)들과 상부 구멍(5d)들 사이에 플러그-인 단턱부(5g)의 날개-형상의 배치를 이유로서, 주 표면(5a)은 대략 T-형상으로 이 영역에 형성된다. 플러그-인 연결부(13)를 형성할 수 있도록, 플러그-인 리시버(3f)가 각 경우에 상부 코드(3) 또는 그 웨브(3a)에 구비되고, 브레이스(5)는 플러그-인 단턱부(5g)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인 리시버에 삽입된다. 따라서, 플러그-인 리시버(3f)는 슬롯들의 형상으로 설계되고 상보적인 방식으로 플러그-인 단턱부(5g) 또는 그의 금속 시트 단면부에 형성된다. 길다란 관통 구멍들만이 또한 비연속식으로 그리고 맹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슬롯-형상의 플러그-인 리시버(3f)들은 각 경우 웨브(3f)들에 형성된다.
더욱이, 플러그-인 리시버(3f)들은 보조 평면(또한 도 4 참조)에 대해 설정 각도(α)에 따라 배향되므로, 플러그-인 리시버(3f)들은 각각 주 표면(5a)과 평행으로 바람직하게 주 표면(5a)을 가진 평면에서 연장한다. 설정 각도(α)에 대해 그리고 길이방향(LR)으로 서로로부터 이격시켜 플러그-인 리시버(3f)를 배향시킴으로써, 브레이스(5)들의 고정 위치는 이러한 측면에서 회전 및 병진 측면에서 고정된다. 브레이스(5)를 분리가능하게 상부 코드(3)에 고정하기 위하여, 브레이스(5)의 상부 제1 브레이스 단부(5e)와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는 각각 플러그-인 방향(SR)에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므로 플러그-인 단턱부(5g)는 대응하는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의 연관된 플러그-인 리시버(3f)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길이방향(LA)으로 연장하는 주 표면(5a)의 길이방향 측면들은 모두 구멍(5d) 또는 웨브(3a)의 내측면들에 대해 플러그-인 단턱부(5g)의 위 및 아래 위치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플러그-인 연결부(13)는 형태-맞춤 연결부 또는 - 플러그-인 방향(SR)을 가로질러 작용하는 - 브레이스(5)의 상부 코드(3)로의 고정을 형성하며, 이것에 의하여, 브레이스(5)의 위치는 고정 위치의 플러그-인 리시버(3f)의 위치와 배향에 따라 고정된다. 이어서 형태-맞춤 연결부가 각각의 대향하는 플러그-인 방향(SR)으로 브레이스(5) 또는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의 이동에 의해서만 해제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인 방향(SR)은 스크류-인 방향(ER)과 동일하므로, 주 표면(5a)의 평면과 평행으로 배치되고 이 경우 스크류 연결부(12)와 플러그-인 연결부(1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 표면(5a)(또한 도 4 참조)의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레이스(5)들을 하부 코드(4)에 고정하기 위하여, 하부의 제2 브레이스 단부(5f)에는 유사하게 대응하는 하부 스크류 연결부(12) 및 하부 플러그-인 연결부(13)가 구비된다. 브레이스(5)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관련하여, 상부 스크류 연결부(12)와 하부 플러그-인 연결부(13)는 대응하는 브레이스 단부(5e, 5f)들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하부 스크류 연결부(12)와 상부 플러그-인 연결부(13)는 그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에서, 스크류 연결부(12) 및 플러그-인 연결부(13)는 서로 소정의 방식으로 각각의 브레이스 단부(5e, 5f)들에 배치될 수 있다. 브레이스(5)는 특히 주 표면(5a)을 통해 상부 코드(3)에 고정되는 데, 스크류 연결부(12)와 플러그-인 연결부(13)가 각각 구멍(5d)과 플러그-인 단턱부(5g) 형태의 주 표면(5a)을 각각 포함하고 따라서 주 표면(5a)과 직접 함께 작용하기 때문이다.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를 연결하는 박판식 브레이스(5)들을 특히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이전에 설명된 크레인 거더(2)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이 이후 설명될 것이다. 이 경우, 제1 조립 단계에서, 브레이스(5)들은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에 관련해서 고정 위치에 이동되고, 이 위치는 브레이스(5)들의 소정의 설정 각도(α) 및 길이 방향(LR)으로의 그들의 간격을 포함한다. 제1 조립 단계에서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의 설정 각도(α)에서 형성된 플러그-인 단턱부(5g)와 플러그-인 리시버(3f, 4f)들을 구비한 브레이스(5)들은 고정 위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플러그-인 방향(SR)으로 함께 조립된다. 따라서, 플러그-인 리시버(3f, 4f)들은 각각의 플러그-인 연결부(13)를 생성할 때, 배치 보조구로서 작용하고, 그에 의하여 고정 위치는 길이 방향(LR)으로 병진 측면에서 고정되고 설정 각도(α) 측면에서 상기 설명된 형태-맞춤 연결부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가 각 경우 두 개의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들 또는 두 개의 하부 코드 프로파일(4e, 4f)로 구성되면, 그들은 따라서 브레이스(5)들과 함께 조립된다.
제2 조립 단계에서, 이어서 크레인 거더(2)는, 또한 두 개의 스크류 연결부(12)들에 의하여 삽입 방향(ER)에 대해 제1 조립 단계에서 발생된 고정 위치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부 스크류 연결부(12)들의 두 개의 스크류(12a)들은 상부 제1 브레이스 단부(5e)를 특히 두 개의 웨브(3a)들 사이에 고정되게 클램핑하며, 하부 스크류 연결부(12)의 두 개의 스크류(12a)들은 하부 제2 브레이스 단부(5f)를 하부 코드(4)에, 특히 두 개의 웨브(4a) 사이에 고정되게 클램핑한다. 배치 보조구로서 작용하는 상부 및 하부 플러그-인 연결부(13)는 고정 위치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이 경우 또한 회전되게 고정되는 스크류 연결부(12)를 배제한다. 그러나, 회전되게 고정된 스크류 연결부(12)에 의하여, 크레인 거더(2)의 조립 동안, 근본적으로 플러그-인 연결부(13)를 생략할 수 없으며 단지 스크류 연결부(12)에 의하여 설정 각도(α)를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또한 주 표면(5a)으로부터 접혀진 브레이스(5)들의 제2 표면(5b)의 사다리형 형성을 명확히 도시한다. 제2 표면(5b)들은 상부 및 하부 코드(3, 4)의 웨브(3a, 4a)들의 외측에 배치되고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을 포함하는 수직면에서 또는 그에 평행으로 연장한다. 플러그-인 단턱부(5g), 리세스(5c) 및 구멍(5d)은, 주 표면(5a)에 의하여 규정되고 길이방향(LR)을 가로질러 수직 보조 라인(HL)에 대해 설정 각도(α)에서 경사되는 평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평행으로 배치되며, 주 표면(5a), 스크류 연결부(12)의 스크류(12a), 특히 그들의 스크류-인 방향(ER), 및 플러그-인 연결부(13)의 플러그-인 방향(SR), 슬롯-형상의 플러그-인 리시버(3f, 4g)들 및 상부 코드(3)와 하부 코드(4)의 스크류 통로(3g, 4g)들의 중심 지점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브레이스(5)의 전체 길이는 890mm이다. 이 경우, 이어서 플러그-인 단턱부(5g)는 각각 25mm의 플러그-인 폭에 의하여, 길이방향 축(LA)의 방향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코드(3, 4)들의 플러그-인 리시버(3f, 4f) 내로 삽입된다. 스크류 연결부(12)를 수용하는 구멍(5d)들의 중심들과, 플러그-인 단턱부(5g) 사이의 최대 거리는 각 경우 35mm이다. 길이방향 축(LA)에 관련해서, 제2 표면(5b)은 530mm의 제2 표면 길이를 가지며, 즉, 제2 표면(5b)은 길이 방향으로 530mm의 제2 표면 길이를 지나 연장한다.
제2 표면 길이는 따라서 바람직하게 브레이스(5)의 총 길이의 약40% 내지 70%, 특히 바람직하게 60% 내지 65%이다. 각각의 경우 브레이스 단부(5e, 5f)를 향하는 리세스(5c)의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브레이스 단부(5e, 5f)의 길이는 브레이스(5)의 총 길이의 약 10% 내지 15% 범위이다. 브레이스(5)의 총 길이에 관련하여, 리세스(5c)의 영역에서의 멤브레인 조인트의 길이는 바람직하게 5% 내지 10%, 특히 바람직하게 8%이다.
브레이스(5)들의 설명된 스크류 연결부(12)와 플러그-인 연결부(13)에 의한 상부 코드(3) 및 하부 코드(4)에의 분리가능한 연결은,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가 상부 코드 프로파일(3d, 3e) 또는 하부 코드 프로파일(4d, 4e)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체형 평탄 프로파일(3b) 또는 평탄한 프로파일(4b)로서 설계되는 여부에 상관 없이 가능하다. 더욱이, 대응하는 브레이스 단부(5e, 5f)들 위의 스크류 연결부(12)는 또한 단지 하나의 스크류(12a)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러그-인 연결부(13)는 또한 단지 하나의 플러그-인 단턱부(5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4에서, 모든 브레이스(5)들은 박판으로 설계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상부 코드(3) 및 하부 코드(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또한 모든 브레이스(5)들이 분리가능하게 고정되지 않고, 대신에 일부 브레이스(5)들은 분리할 수 없도록, 특히 용접에 의하여 상부 코드93) 또는 하부 코드(4)에 고정된다. 더욱이, 모든 브레이스(5)들이 아니고, 그 대신에 일부 브레이스(5)들이 박판으로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상부 제1 기둥 단부(6e)를 상부 코드(3)의 웨브(3a)들 사이에 두고 브레이스(5)들과 동일하게 배치되며 함께 조립되고 그와 나사 결합되는 임의로 제공된 기둥(6)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기둥(6)들은 또한 그들의 주 표면(6a)들 위에 대응하는 구멍(6d)들과 플러그-인 단턱부(6b)를 가진다.
각각 볼트와 적어도 하나의 체결 링을 포함하는 볼트 연결부가,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에 브레이스(5)들을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또는 근본적으로 가능하다. 볼트 연결부는 스크류 연결부(12) 또는 플러그-인 연결부(13)에 추가해서 또는 대신해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대응하는 방식으로 브레이스(5)들에 연결될 수 있으며, 특히 대응하는 구멍(5d)을 통해 상부 코드(3) 또는 하부 코드(4)에 연결될 수 있다.
1: 크레인, 2: 크레인 거더,
3: 상부 코드, 3a, 4a: 웨브,
3b, 4b: 평탄한 프로파일, 3c, 4c: 플랜지,
3d: 제1 상부 코드 프로파일, 3e: 제2 상부 코드 프로파일,
3f, 4f: 플러그-인 리시버, 3g, 4g: 스크류 통로,
4: 하부 코드, 4d: 제1 하부코드 프로파일,
4e: 제2 하부코드 프로파일, 4h: 주행면,
5: 브레이스, 5a, 6a: 주 표면,
5b, 6b: 제2 표면, 5c, 6c: 리세스,
5d, 6d: 구멍, 5e: 제1 브레이스 단부,
5f: 제2 브레이스 단부, 5g: 플러그-인 단턱부,
6: 기둥, 6e: 제1 기둥단부,
6f: 제2 기둥단부, 7: 제1 주행 기어유닛,
7a: 제1 전기모터, 8: 제2 주행기어 유닛,
8a: 제2 전기모터, 9, 10: 크레인 트롤리,
11: 펜던트 콘트롤 스위치,
12: 스크류 연결부, 12a: 스크류,
12b: 슬리브, 12c: 너트,
12d: 클램핑 핀, 13: 플러그-인 연결부,
α: 설정 각도, A: 세부,
B: 폭, ER: 스크류-인 방향,
F: 이동 방향, HL: 보조 평면,
L: 길이, LA: 길이방향 축,
LR: 길이방향, OK: 상부 노드영역,
SR: 플러그-인 방향, UK: 하부 노드영역

Claims (15)

  1. 크레인(1),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의 크레인 거더(2)로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상부 코드(3), 하부 코드(4) 및 상기 코드들을 서로 연결하는 브레이스(5)들을 구비한 트러스 거더로서 설계되고, 상기 브레이스(5)들의 적어도 하나는 박판으로 설계되고 상기 코레인 거더 (2)의 길이방향(LR)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주 표면(5a)을 가지는 크레인 거더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5)는 상기 상부 코드(3) 및/또는 상기 하부 코드(4)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5)는 상기 주 표면(5a)을 통해 상기 상부 코드(3) 및/또는 상기 하부 코드(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5)는 상기 상부 코드(3) 및/또는 상기 하부 코드(4)의 웨브(3a, 4a)에 고정되고 상기 웨브(3a, 4a)는 바람직하게 상기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LR)에 관련하여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4. 청구항 1-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5)는 형태-맞춤 및/또는 가압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5. 청구항 1-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5)는 스크류 연결부(12)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연결부(12)는 상기 주 표면(5a)에 의하여 형성된 평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주 표면(5a)에 평행으로 스크류-결합 방향(ER)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7. 청구항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연결부(12)는 적어도 하나의 스크류(12a), 상기 상부 코드(3) 또는 상기 하부 코드(4)의 스크류 통로(3g, 4g) 및 슬리브(12b)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스크류(12a)에 의하여, 상기 주 표면(5a)에 고정된 상기 슬리브(12b), 및 상기 슬리브(12b) 위에 지지되고 바람직하게 프레스 너트로서 설계되는 너트(12c)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스(5)는 상기 상부 코드(3)와 상기 하부 코드(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연결부(12)는 추가로 클램핑 핀(12d)을 포함하며, 그를 관통해 상기 스크류(12a)는 안내되고 그 위에 상기 상부 코드(3) 또는 상기 하부 코드(4)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주 표면(5a)은 적어도 하나의 구멍(5d)을 가지며, 그의 에지에 접해서 상기 슬리브(12b)의 둘레면이 위치되어 고정되고, 바람직하게 용접되거나, 솔더링 결합되거나 또는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10. 청구항 1 내지 9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5)는 플러그-인 연결부(13)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13)는 상기 주 표면(5a)에 평행인 플러그-인 방향(SR)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13)는 상기 상부 코드(3)의 플러그-인 리시버(3f) 내에 또는 상기 하부 코드(4)의 플러그-인 리시버(4f) 내에 삽입되는 상기 주 표면(5a)의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인 단턱부(5g)에 의하여 특히, 상기 주 표면(5a)과 상기 상부 코드(3) 또는 상기 하부 코드(4) 사이에 직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13. 청구항 1 내지 12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드(3)와 상기 하부 코드(4)는 상기 크레인 거더(2)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기둥들(6)들에 의하여 추가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14. 청구항 1 내지 1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코드(3)와 상기 하부 코드(4)는 분리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전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거더(2).
  15. 길이방향(LR)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2)를 포함하는, 크레인(1), 특히 오버헤드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거더(2)는 청구항 1 내지 14의 어느 하나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1).
KR1020167031269A 2014-05-23 2015-05-21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 및 그러한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KR1023887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07323.1A DE102014107323A1 (de) 2014-05-23 2014-05-23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hiermit
DE102014107323.1 2014-05-23
PCT/EP2015/061291 WO2015177292A1 (de) 2014-05-23 2015-05-21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mit solch einem 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219A true KR20170013219A (ko) 2017-02-06
KR102388798B1 KR102388798B1 (ko) 2022-04-19

Family

ID=5185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269A KR102388798B1 (ko) 2014-05-23 2015-05-21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 및 그러한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155644B2 (ko)
EP (1) EP3145851B1 (ko)
JP (2) JP2017516726A (ko)
KR (1) KR102388798B1 (ko)
CN (2) CN203938385U (ko)
AU (1) AU2015261845B2 (ko)
BR (1) BR112016025953B1 (ko)
CA (1) CA2947500A1 (ko)
DE (1) DE102014107323A1 (ko)
ES (1) ES2685967T3 (ko)
MX (1) MX2016015221A (ko)
RU (1) RU2654840C1 (ko)
WO (1) WO20151772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7323A1 (de) * 2014-05-23 2015-11-26 Terex Mhps Gmbh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hiermit
DE102015101756A1 (de) *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5101755A1 (de)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US10465396B2 (en) 2015-10-06 2019-11-05 Paul Kristen, Inc. Platform with a track for attaching decking
US9896852B2 (en) * 2015-10-06 2018-02-20 Paul Kristen, Inc. Quad-chord truss and platform containing same
TWI608984B (zh) * 2016-08-25 2017-12-21 Quan Cheng Hong Three-dimensional three-dimensional moving care equipment
DE102016120115A1 (de) * 2016-10-21 2018-04-26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Laufkran
CN106917934A (zh) * 2017-04-25 2017-07-04 郑州大学 一种大型箱体结构
CN108298425A (zh) * 2018-04-08 2018-07-20 苏州库力铁重工有限公司 可更换电动葫芦主梁
FI128794B (fi) * 2018-04-20 2020-12-15 Konecranes Global Oy Nosturin pääkannattajan jatkoliitos
DE102019125223A1 (de) * 2019-09-19 2021-03-25 Konecranes Global Corp. Vorrichtung zur Handbetätigung einer Maschine, vorzugsweise eines Hebezeugs oder Krans
DE102019126399A1 (de) * 2019-09-30 2021-04-01 Konecranes Global Corp. Träger für eine Laufkatze und flurfreie Transporteinrichtung mit einem solchen Trä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0743A (en) * 1955-02-01 1958-11-18 Cliff William Open web metal joist
US4546591A (en) * 1983-11-23 1985-10-15 Beltz Thomas G Truss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7587877B2 (en) * 2003-10-28 2009-09-15 Best Joist Inc Cold-formed steel joist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622A (en) 1893-06-13 Girder for traveling cranes
US2146540A (en) * 1937-02-05 1939-02-07 Harry W Hahn Structural member for buildings
BE459880A (ko) * 1943-01-01
US2500718A (en) 1945-08-30 1950-03-14 Guy M Turner Trussed skid
CH389204A (de) * 1961-05-19 1965-03-15 Alusuisse Laufkranbrücke aus Leichtmetall
US3294252A (en) * 1962-12-06 1966-12-2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rane girders
US3826057A (en) * 1972-01-03 1974-07-30 J Franklin Truss system
US3793790A (en) * 1972-05-02 1974-02-26 Butler Manufacturing Co Frame construction with yieldable knee brace connection
JPS49148650U (ko) 1973-04-24 1974-12-23
JPS49148653U (ko) * 1973-04-25 1974-12-23
JPS50150075U (ko) * 1974-05-28 1975-12-13
US4106256A (en) * 1976-12-01 1978-08-15 Symons Corporation Adjustable shoring apparatus
JPS564710Y2 (ko) * 1977-07-02 1981-02-02
GB2038393B (en) 1978-12-29 1983-04-13 Baveg Wooden lattice beam
JPS60137782U (ja) * 1984-02-22 1985-09-12 株式会社 北都鉄工 クレ−ンガ−ダ
US4580780A (en) * 1984-07-19 1986-04-08 Brunswick Corporation Wooden truss foundation for bowling lanes
DE3436882A1 (de) * 1984-07-27 1986-01-30 Burger, Frank, 8000 München Rahmensystem, insbesondere fuer gestelle und den innenausbau
US5443151A (en) * 1994-03-30 1995-08-22 Gorbel, Inc. Conveyor or crane beam of extruded aluminum alloy
US5598784A (en) * 1994-11-22 1997-02-04 Jervis B. Webb Company Extruded aluminum conveyor with track offset
JP2002005138A (ja) 2000-06-26 2002-01-09 Sumitomo Metal Ind Ltd 片締め式ボルト締結装置
FR2814480B1 (fr) * 2000-09-26 2008-10-17 Soc Civ D Brevets Matiere Cage de ferraillage pour un element en beton arme
JP4648573B2 (ja) * 2001-06-11 2011-03-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薄板軽量形鋼を用いた小屋組の接合構造
CA2353202C (en) * 2001-07-17 2009-01-06 Guildo Deschenes I-shaped wooden beam
US6698152B1 (en) * 2002-06-07 2004-03-02 Thomas A. Bush Adjustable truss construction
US7578109B2 (en) * 2004-08-31 2009-08-25 Gossamer Space Frames Space frames and connection node arrangement for them
JP4876623B2 (ja) 2006-02-21 2012-02-15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の起伏部材
US7707795B2 (en) * 2006-11-09 2010-05-04 Haworth, Inc. Wall panel with gusseted open frame
GB2448297A (en) 2007-04-10 2008-10-15 Farzad Neysari A structural beam comprising opposed chords and a lattice web
EP2318773B1 (en) * 2008-08-29 2019-06-05 Werner Extrusion Solutions Llc Solar trough frame, part and method
US8037658B2 (en) * 2009-01-08 2011-10-18 Kundel Industries, Inc. Structural members for forming various composite structures
CA2795178C (en) * 2010-01-22 2018-06-12 Ray Givens Slant-truss crane rail
DE202010004971U1 (de) 2010-04-14 2010-09-02 Bomag Gmbh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Überrollbügels o.dgl. Anbauteiles an einem Fahrzeug
DE102010037520A1 (de) * 2010-09-14 2012-03-15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aus einer Schiene und einem daran befestigten Schleifleitungshalter
WO2012112608A2 (en) * 2011-02-14 2012-08-23 Constantine Shuhaibar Split gusset connection
CN202000473U (zh) * 2011-02-22 2011-10-05 迈特建筑科技(武汉)有限公司 一种格构梁
DE102012102808A1 (de)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2102809A1 (de) *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JP6148806B2 (ja) * 2012-09-15 2017-06-14 株式会社東京Bk足場 天井クレーン
DE102012109586A1 (de) * 2012-10-09 2014-04-1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zwei Kranträgern
WO2015069096A1 (en) * 2013-11-08 2015-05-14 Itrec B.V. Crane boom segment for assembly of a crane boom, method for assembling a crane boom
DE102014107323A1 (de) * 2014-05-23 2015-11-26 Terex Mhps Gmbh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hierm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0743A (en) * 1955-02-01 1958-11-18 Cliff William Open web metal joist
US4546591A (en) * 1983-11-23 1985-10-15 Beltz Thomas G Truss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7587877B2 (en) * 2003-10-28 2009-09-15 Best Joist Inc Cold-formed steel joi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58843A (ja) 2018-10-11
KR102388798B1 (ko) 2022-04-19
EP3145851A1 (de) 2017-03-29
CN106414304B (zh) 2019-11-12
CN106414304A (zh) 2017-02-15
RU2654840C1 (ru) 2018-05-22
EP3145851B1 (de) 2018-07-04
US10155644B2 (en) 2018-12-18
AU2015261845B2 (en) 2019-05-02
JP6543747B2 (ja) 2019-07-10
CN203938385U (zh) 2014-11-12
BR112016025953B1 (pt) 2021-11-30
DE102014107323A1 (de) 2015-11-26
AU2015261845A1 (en) 2016-11-03
US20170144867A1 (en) 2017-05-25
JP2017516726A (ja) 2017-06-22
WO2015177292A1 (de) 2015-11-26
BR112016025953A2 (pt) 2017-08-15
ES2685967T3 (es) 2018-10-15
CA2947500A1 (en) 2015-11-26
MX2016015221A (es)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3219A (ko) 크레인, 특히 오버헤드 또는 갠트리 크레인용 크레인 거더, 및 그러한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KR101996114B1 (ko)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CA2851435C (en)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in particular a bridge crane or a portal crane
KR20140008996A (ko) 두 레일 부재들의 연결장치
US9790060B2 (en) Crane, in particular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AU2013329652B2 (en) Crane, in particular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two crane girders
JP5773469B1 (ja) 吊足場
JP5794461B1 (ja) 吊足場
JP3528910B2 (ja) デッキプレートの敷設方法
JP2612435B2 (ja) 天井型クレーン
JP2001032370A (ja) 鋼管柱と鉄骨梁との継手構造とその接合方法
KR200145486Y1 (ko) 철골구조물의 안전로프걸이
CN210636649U (zh) 一种钢梁固定装置
JPH07197646A (ja) 鉄骨建て方における梯子取付け装置と梯子及びその架装方法
CN110863434B (zh) 一种调整钢箱梁横向预拱度的装置及施工方法
JP3172154B2 (ja) 鉄塔組立用足場及び鉄塔組立工法
JP2724909B2 (ja) 枠足場の組立法および枠足場
RU2203370C1 (ru) Преднапряженное шпренгельное покрытие
JPH07317306A (ja) 吊り足場用部材
JP2002004438A (ja) 鉄骨柱ジョイント方式
KR20170011322A (ko) 수직부재에 설치하는 가변식 브라켓
JPH04198536A (ja) 梁材と柱材の接合構造および当該構造に用いられる接合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