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114B1 -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114B1
KR101996114B1 KR1020147026206A KR20147026206A KR101996114B1 KR 101996114 B1 KR101996114 B1 KR 101996114B1 KR 1020147026206 A KR1020147026206 A KR 1020147026206A KR 20147026206 A KR20147026206 A KR 20147026206A KR 101996114 B1 KR101996114 B1 KR 10199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brace
boom
girder
crane gi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612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패스만
리하트 크레이스너
마이클 카르덴
토마스 슈리어바흐-크노브로흐
Original Assignee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크레인스 글로벌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6/00Girders, or track-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으로 연장하고 다수의 브레이스(5)를 구비한 트러스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2)를 포함하고, 리프팅 기어를 구비한 크레인 트롤리(9)가 거더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거더(5)들 중 적어도 일부가 평면 형상을 갖는 크레인(1a, 1b),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개선된 크레인 거더(2)를 갖는, 크레인(1a, 1b),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5)이 각각의 경우에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평면의 주 표면(5a)을 각각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CRANE, PARTICULARLY BRIDGE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본 발명은 수평으로 연장하고 다수의 브레이스를 구비한 트러스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crane girder)를 포함하고, 리프팅 기어를 구비한 크레인 트롤리(crane trolley)가 거더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의 브레이스는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명세서 DE 260030은 갠트리 크레인의 갠트리 프레임을 형성하는 2개의 수평 크레인 거더 및 2개의 수직 지지 거더를 포함하는 소위 듀얼 거더 갠트리 크레인을 개시한다. 크레인 거더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각각의 경우에, 주행 메커니즘은 지지 거더의 하단부에 배열되고, 주행 메커니즘에 의해, 갠트리 크레인은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주행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블 윈치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는 크레인 거더 상에서 크레인 거더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더블 거더 크레인으로서의 설계에 따라서, 크레인 트롤리에 배열된 케이블의 하중 픽업 수단은 2개의 크레인 거더 사이에서 하강되거나 또는 상승된다. 크레인 거더는 트러스로서 설계되고, 서로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상부 붐(boom) 및 하부 붐을 각각 포함한다. 2개의 크레인 거더의 상부 붐 및 하부 붐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바 형상(bar-shaped)의 포스트와 대각으로 연장하는 바 형상의 포스트의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2개의 크레인 거더는 단부에서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크로스바 및 브레이스의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바 형상의 포스트 및 브레이스는 트러스의 방식으로 상부 붐과 하부 붐 사이에서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며, 포스트와 브레이스는 상부 붐을 아래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하부 붐에 각각 연결한다.
독일의 실용신안 문헌 DE 1 971 794 U는, 2개의 수평 크레인 거더들이 각각의 단부에 배열된 헤드 거더의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주행의 방향으로 함께 움직일 수 있는, 더블 거더 브릿지 크레인을 개시한다. 두 크레인 거더들은 유사하게 트러스로서 설계되고, 플레이트 형상의 상부 붐, 바 형상의 하부 붐 및 바 형상의 포스트를 각각 포함한다.
특허 명세서 DE 31 09 834 C2는 트러스 구조로 설계된 마스트(mast)와 크레인 지브(crane jib)를 갖는 타워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직육면체 마스트는 4개의 L자 형상의 수직으로 배향된 지지 거더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에, 그 중 2개의 인접한 거더는 삼각형 플레이트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플레이트는 모서리 영역 및/또는 양측부 중 하나가 상기 지지 거더에 체결된다. 플레이트의 측부 중 적어도 일부는 접혀져 보강 리브를 형성한다.
또한, 독일 공개공보 문헌 DE 1 759 120 A는, 트러스의 방식으로 및 패널의 수단에 의해 보강되고, 서로 연결된 상부 붐 및 하부 붐을 전형적인 방식으로 포함하는 크레인 거더를 이미 개시한다. 패널들은 대칭 사다리꼴의 형상을 하며, 구부러진 외부 윤곽 가장자리를 갖는 시트 패널로 이루어진다. 2개의 개구는 중량을 줄이기 위해 패널에 제공된다.
추가의 독일 공개공보 문헌 DE 1 907 455 A는, 상부 붐 및 하부 붐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하는 평면 프로파일로부터 원피스로 형성된 브레이스의 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트러스를 개시한다. 평면 프로파일은 각이 진, 파도 또는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미국 특허 4 621 475 B는, 브레이스가 단부 외측으로 양 측부에서 뒤로 접혀진 평면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트러스를 이미 개시한다. 그러므로, 브레이스의 평면 단부들은 트러스의 트러스의 상부 붐 및 하부 붐에 용접되고, 평면 프로파일은 대체로 수직 평면에서 트러스의 종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연장한다.
미국 공개공보 문헌 US 2005/0055951 A1은, 브레이스가 상부 붐과 하부 붐 사이에서, 브레이스의 단부들로부터 시작하여 중심으로 변하는 단면을 포함하는 추가의 트러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레인,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개선된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갖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에 의해 달성된다.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3항은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를 기술한다.
크레인, 특히 수평으로 연장하고 다수의 브레이스를 갖는 트러스로서 설계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더를 포함하고,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가 거더 위에서 움직일 수 있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경우에, 브레이스의 적어도 일부는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고,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는, 브레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고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가 각각의 경우에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평면의 주 표면을 각각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유익하게 개선된다. 이 경우에, 구문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는,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서 보면, 주 표면이 좌우로 연장하고, 상향 또는 하향하는 방식으로 연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이해된다. 특히,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의, 그러므로 또한 대응하는 브릿지 또는 갠트리 크레인의 크레인 거더의 좌굴 강도(buckling strength)는,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가 각각의 경우에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상기된 평면의 주 표면을 각각 가지고,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가 기다란(elongated)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경우에 종방향 측부의 영역에서 주 표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접혀진 보조 표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면은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향하게 되며, 브레이스는 대향 브레이스 단부들을 갖고, 상기 보조 표면들은 브레이스 단부들 외부에 배열되고, 상기 보조 표면의 길이는 브레이스의 총 길이의 약 40% 내지 70%의 범위에 있다는 사실에 의해 최적화된다. 이 경우에, 비스듬하거나 또는 대각선 진행을 갖는 트러스 구조의 지지 요소는 대체로 브레이스로서 간주된다. 이에 의해, 트러스 구조의 브레이스는, 오직 수직 방식으로만 연장하고 포스트로서 지정되는 지지 요소와 다르다. 또한,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 또는 표면 브레이스는 바람직하게 그들의 종방향 축의 방향으로, 그러므로 평면의 주 표면의 연장 평면에서 힘을 흡수한다. 이러한 표면 요소 또는 표면 지지 구조는 디스크로서 기술 역학에 지정되는데 반하여, 연장 표면 또는 주 표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적재된 표면 요소들은 플레이트로서 지정된다. 디스크, 그러므로 본 발명의 표면 브레이스는, 예를 들어 두께 치수가 디스크의 2차원 범위를 결정하는 길이 및 폭 치수보다 상당히 작은 점에서, 바 또는 바 형상의 포스트와 다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는 표면 브레이스 또는 디스크 브레이스로서 또한 지정될 수 있다.
박스 거더 설계에서의 종래의 크레인 거더와 대조하여, 개선된 크레인 거더는 특히 부품의 제조 경비와 다양성이 감소될 수 있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러스로서 본 발명의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로 만들어진 크레인 거더는 상당히 감소된 고유 중량을 갖는 동시에, 정적으로 요구되지 않는 금속 시트의 생략 및 이와 관련된 재료에서의 감소의 결과로서 최적화된 하중 지지 용량을 갖는다. 바 형상 롤링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종래의 브레이스의 경우에서와 달리, 본 발명의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의 치수, 특히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주 표면의 길이 및 폭은 금속 시트 두께의 대응하는 선택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U자, L자 또는 T자 형상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종래의 롤링 프로파일은 고정된 치수 및 강도를 갖는 표준 시리즈에 따라서만 얻어질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원하는 브레이스 폭의 경우에, 롤링 프로파일의 추가 치수는 고정되고 자유롭게 선택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개선된 크레인 거더의 경우에, 개별 크레인 거더 영역의 좌굴의 위험성은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의 사용을 통해 특정 범위까지 감소될 수 있다.
상기된 장점은 모든 브레이스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증가된다. 그러므로, 종래의 트러스 구조물과 달리, 모든 개별적으로 적합한 바 형상 브레이스는 균일하게 설계된, 본 발명의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크레인 거더의 상부 붐 및 하부 붐이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스에 의해 위치되거나 또는 이격됨으로써 상당한 제조 이점을 유발한다. 특히, 종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식으로 표면에 관하여 대응하여 연장하는 본 발명에 따라서 단지 하나의 브레이스가 배열되는 것을,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보여지는 것으로서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다수의 바 형상의 브레이스를 개별적으로 배향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종래의 경우에 트러스들이 서로 이웃하여 평행하게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배열되는 바 형상 브레이스는 그러므로 단일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로 표현된다.
또한, 브레이스의 주 표면이 크레인 거더의 폭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서 연장하는 것이 유익하게 제공된다.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가 기다란(elongated)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경우에 종방향 측부의 영역에서 주 표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접혀진 보조 표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면은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향하게 된다.
제조 경비는 각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가 레이저 절단된 강 시트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에 의해 특정 범위까지 감소된다.
브레이스는 대향 브레이스 단부들을 갖고, 상기 보조 표면들은 브레이스 단부들 외부에 배열되고, 상기 보조 표면의 길이는 브레이스의 총 길이의 약 40% 내지 70%의 범위에 있다.
이상적인 트러스에서, 바들은 단지 인장력 및 압축력을 흡수될 수 있도록 관절 방식으로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거더와 같은 실제 트러스 구조물에서, 거싯 플레이트(gusset plate)들은, 바에서의 어떠한 굽힘도 전달하고 최소 장력 피크가 일어나도록 힘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설계에서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거싯 플레이트는 단지 유한 수명에 대한 피로 강도만을 갖는 경향이 있다. 특정한 문제는 바의 무게중심 축이 거싯 플레이트에서 일치하지 않는 트러스에 의한 상황에 의해 제기된다. 이 경우에, 거싯 플레이트에 의해 흡수되어야만 하는 2차 굽힘이 만들어진다.
주 표면 및 보조 표면의 이유 때문에, 본 발명은, 상부 붐 및 하부 붐에 용접되는 것에 의해 클램핑되는 브레이스 단부들의 영역에서 굽힘의 위험에 처한 경사 브레이스(diagonal brace)의 대상이 되는 약화 수단에 의해, 멤브레인 조인트로서 또한 설계될 수 있는 탄력성 "플레이트 조인트"가 형성되는, 거싯 플레이트의 결점을 피한다. 이러한 멤브레인 조인트는 2차 굽힘을 탄성적으로 흡수한다. 멤브레인 조인트는 임의의 추가의 구조 경비를 요구하지 않고, 장력에서 증가를 이끌 수 있는 구조적인 기하학적 노치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트러스의 유효 수명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이러한 구조는 또한 다양한 범위 폭의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브릿지 크레인의 경우에, 대각 브레이스 사이의 갭을 변화시키도록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 결과, 간단한 방식으로 크레인 거더의 길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준화된 롤링 프로파일로서 설계된 종래의 브레이스에 대조하여, 그러므로, 브레이스의 구조는 대응하는 레이저 절단에 의해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간단한 설계는, 종방향 축의 방향으로 보면, 브레이스가 보조 표면의 레벨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L자, U자 또는 Z자 형상 단면을 갖는다는 사실에 의해 향상된다. 상기된 단면은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의 높은 좌굴 강도를 위해 특히 유익하다.
유익한 방식으로, 하부 오목부 및 상부 오목부가 브레이스의 종방향 측부 상에서 브레이스의 주 표면에 제공되고, 어퍼처(aperture)가 브레이스의 하부 협폭 측부에 제공되며, 각각의 경우에 오목부들이 제1 및/또는 제2 브레이스 단부에 배열되는 것이 또한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크레인 거더의 상부 붐 및 하부 붐에 대한 브레이스의 용접과 관련하여, 힘 흐름은 용접된 브레이스에 의해 최적화되고 용접 이음 또는 용접 이음 런아웃은 완화된다. 실외에서 사용될 때, 어퍼처는 모을 수 있는 빗물을 다른데로 흐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브레이스의 간단한 조립은 특히 보조 표면이 하부 오목부와 상부 오목부 사이에 배열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구조 및 제조면에서 특히 유익한 방식으로 설계되는 브릿지 크레인 및 갠트리 크레인은, 크레인 거더가 종방향으로 선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붐 및 이와 평행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붐을 포함하고, 상부 붐과 하부 붐은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브레이스의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상부 붐 또는 하부 붐 좌굴의 위험성은, 상부 붐과 하부 붐이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다수의 포스트의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는 사실에 의해 특히 효과적인 방식으로 감소된다.
전술한 장점은 각 포스트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스에 이웃하여 배열되고, 각 브레이스가 대응하는 포스트와 함께 동일한 크기의 설정 각도를 형성한다는 사실 때문에 여전히 더욱 향상된다.
대응하는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또는 크레인 거더의 하중 지지 용량에서의 증가는 포스트가 브레이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된다.
유익한 방식으로, 크레인이 서로 이격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제조 경비는,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와 포스트가 용접 이음의 수단에 의해 상부 붐과 하부 붐에 체결되고 용접 이음이 각각의 주 표면의 종방향 측부 상에만 배열된다는 사실에 의해 특히 감소된다. 이러한 것은 보조 표면들이 브레이스 발(brace feet)까지 연장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특히 가능하다. 접히지 않은 주 표면의 종방향 측부를 용접하는 것에 의해, 그러므로 상부 또는 하부 붐의 대응하는 림(limb)들이 확립된 종방향 측부 상의 연결부들은 접혀진 보조 표면들 아래에서 림들 사이에 삽입된 브레이스 발 위에 일정 형태의 멤브레인 조인트를 형성한다.
제조 경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 붐과 하부 붐이 서로 마주하는 림을 각각 갖고, 브레이스과 포스트들이 림의 내측부에만 용접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2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a는 단일 거더 크레인으로서 설계된 브릿지 크레인을 도시하고,
도 1b는 더블 거더 크레인으로서 설계된 브릿지 크레인을 도시하고,
도 2a는 도 1a에 따른 브릿지 크레인을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거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1b에 따른 브릿지 크레인을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거더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2a에 따른 크레인 거더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a는 크레인 거더를 위한 어댑터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서 본 어댑터를 도시한다.
브릿지 크레인을 참조하여 이하에 주어진 설명은 일치하여 갠트리 크레인에 적용된다.
도 1a는 단일 거더 브릿지 크레인으로서 설계된 종래의 제1 크레인(1a)을 도시한다. 제1 크레인(1a)은 박스 거더로서 설계된 크레인 거더(2)를 포함하고, 크레인 거더는 수평으로 배향되고 종방향(LR)으로 일정 길이(L) 연장한다. 제1 및 제2 주행 메커니즘(7, 8)은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더블 T자 형상인 크레인 브릿지가 형성되도록 크레인 거더(2)의 양쪽 단부에 체결된다. 주행 메커니즘(7, 8)의 수단에 의해, 제1 크레인(1a)은 도시되지 않은 레일 상에서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횡으로 수평 방향의 주행(F)으로 움직일 수 있다. 레일은 전형적으로 지면 위의 적소에 배열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적절한 지지 구조의 수단에 의해 상승될 수 있거나 또는 빌딩의 대향 벽들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크레인(1a) 또는 크레인 거더(2)를 움직이기 위하여, 제1 주행 메커니즘(7)은 제1 전기 모터(7a)에 의해 구동되고, 제2 주행 메커니즘(8)은 제2 전기 모터(8a)에 의해 구동에 의해 구동된다. 케이블 윈치로서 설계된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로부터 현수되고, 상기 크레인 트롤리는 제1 크레인(1a)의 주행(F)의 방향에 대해 횡으로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을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주행 메커니즘의 수단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하부 붐(4)의 측면 돌출 진행면(4c)을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제1 크레인(1a)은 크레인 컨트롤러(10)와, 컨트롤러에 연결된 펜던트 컨트롤 스위치(11)를 또한 포함하고, 이러한 수단에 의해, 제1 크레인(1a) 또는 전기 모터(7a, 8a) 및 케이블 윈치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는 제어될 수 있고 서로 분리하여 작동될 수 있다.
도 1b는, 더블 거더 브릿지 크레인으로서 설계되고, 단일 거더 브릿지 크레인으로서 설계된 제1 크레인(1a)과 대조하여 2개의 크레인의 지브(2)를 포함하는 종래의 제2 크레인(1b)을 도시한다. 주행 메커니즘(7, 8)은 다시, 프레임이 평면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형성되도록 2개의 크레인 거더(2)의 단부들에 체결된다. 제2 크레인(1b)은 케이블 윈치로서 설계된 리프팅 기어를 갖는 크레인 트롤리(9)를 또한 포함한다. 그러나,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하부 붐(4)으로부터 현수되지 않고, 2개의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붐(3) 상에서 진행한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2)들 사이에서 중앙에 배열된 크레인 트롤리(9)는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을 따라서 2개의 크레인 거더(2)들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크레인 트롤리(9) 상에 배열된 케이블 윈치의 하중 픽업 수단은 2개의 크레인 거더(2)들 사이에서 하강되거나 또는 상승될 수 있다.
나머지 부분에 대해, 제1 크레인(1a)에 대해 만들어진 설명은 제2 크레인(1b)에 일치하여 적용된다.
도 2a는 단일 거더 브릿지 크레인으로서 도 1a에 따라서 설계된 크레인(1a)을 위한 본 발명의 크레인 거더(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크레인 거더(2)는 종래와 같이 박스 거더로서 설계되지 않는 대신 트러스로서 설계된다.
크레인 거더(2)의 트러스 구조는 본질적으로 상부 붐(3), 하부 붐(4), 대각으로 연장하는 브레이스(5) 및 수직 포스트(6)를 포함한다. 상부 붐(3) 및 하부 붐(4)은 각각의 경우에 주행 메커니즘(7, 8) 사이에서 평행하게 종방향(LR)으로 서로 이격되어 선형으로 연장한다. 이 경우에, 상부 붐(3) 및 하부 붐(4)은 수직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상부 붐(3)은, 수평면에 배열되어 서로로부터 떨어져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2개의 제1 및 제2 상부 붐 프로파일(3d, 3e)로 구성된다.
2개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은 L자 또는 각이 진 프로파일 거더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붐(4)은 대략 U자 프로파일 평상의 단면이 제공되도록 2개의 수직 직립 림(4a)을 갖는 평면 프로파일(4b)에 의해 형성된다. 이 경우에, 평면 프로파일(4b)은 림(4a)을 지나서 측방으로 연장한다(또한 도 3 참조). 평면 프로파일(4b)의 측면 연장부는 여기에 예시되지 않은 크레인 트롤리(9)의 주행 메커니즘을 위한 진행면(4c)를 각각 형성한다. 종방향(LR)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부 붐 프로파일(3d, 3e) 또는 평면 프로파일(4b)의 최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공간 간격은 또한 크레인 거더(2)의 폭(b)을 만든다.
상부 붐(3)과 하부 붐(4)은 평면 형상을 갖는 다수의 브레이스(5)와 한 실시예에서 바 형상인 다수의 포스트(6)의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브레이스(5)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인 주 표면(5a)을 갖는 시트 금속 프로파일로서 형성되고, 종방향 측부는 좌굴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보조 표면(5b)의 형태로 적어도 중앙 영역에서 뒤로 접혀진다.
크레인 거더(2)의 트러스 구조는 각각의 경우에 어댑터(12)의 수단에 의해 상부 붐(3)과 하부 붐(4)의 양쪽 단부들에서 종료된다. 이러한 어댑터(12)의 수단에 의해, 상부 붐(3)과 하부 붐(4)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하부 붐(4)이 대체로 상부 붐(3)보다 짧기 때문에, 어댑터(12)는 대각 진행을 가지며, 크레인 거더(2)의 프레임은 대체로 하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하고 대체로 사다리꼴 방식으로 형성된다. 더욱이, 어댑터(12)는 상부 붐(3)의 영역에서 및 상부 붐(3)으로부터 떨어져 마주하는 측부에 있는 연결 플레이트(12a)를 포함하며, 연결 플레이트는 주행 메커니즘(7, 8) 중 하나 또는 거더에 체결된다.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2개의 어댑터(12) 중 하나로부터 시작하여, 제1 브레이스(5)는 하부 붐(4)에 연결되고 상부 붐(3)의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설정 각도(α1)로 종방향(LR)으로 연장하며 상부 노드 지점(OK)에 있는 이러한 위치에 체결된다. 이 경우에, 제1 설정 각도(α1)는 제1 브레이스(5)와 상부 노드 지점(OK)에서 종료하는 포스트(6)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설정 각도(α1)는 35°내지 55°의 범위에 있으며, 특히 바람직한 방식은 45°이다. 그런 다음, 하부 붐(4)으로 아래를 향한 설정 각도(α1)에서 비스듬하게 연장하는 제2 브레이스(5)는 상부 노드 지점(OK)에 인접한다. 이러한 것은 크레인 거더(2)의 반대쪽 단부가 브레이스(5)에 의해 도달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 경우에, 짝수의 브레이스(5)는 최종 브레이스(5)가 하부 붐(4)에서 종료하도록 항상 사용된다. 크레인 거더(2)의 길이(L)에 의존하여, 동일한 길이 및 동일한 설정 각도(α1)를 각각 갖는 짝수의 브레이스(5)가 사용되도록, 설정 각도(α1)는 조립 이전에 결정된다, 더욱이, 각 상부 노드 지점(OK)의 영역에서, 하부 붐(4)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하고 이 위치에서 체결되는 포스트(6)는 추가로 또한 체결된다. 그 결과, 레일로서 사용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진행면(4c)을 형성하는 하부 붐(4)은 굽힘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된다.
브레이스(5)는 각각의 경우에 주 표면(5a)이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크레인 거더(2)의 트러스 구조 내에 배향된다. 더욱이, 브레이스(5)는 하부 붐(4)의 상향 림(4a)들 사이에 하부 제1 브레이스 단부(5g)가 배열된다. 상부 제2 브레이스 단부(5h)들에서, 브레이스(5)는 2개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 사이에 배열되고, 상부 붐 프로파일(3d, 3e)들은 하부 붐(4)의 림(4a)과 동일 평면으로 수직으로 배향된 림(3a)의 내측부가 브레이스(5)에 용접된다(도 3 참조). 바 형상 포스트(6)는 하부 붐(4)의 림(4a)과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의 림(3a)의 사이에 배열되어 내측부가 용접된다. 예를 들면,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횡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지 심지어 하나의 브레이스(5)는 상부 붐(3) 또는 하부 붐(4)의 림(3a, 4a) 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수직 포스트(6)가 경사 지붕(pitched roof)의 방식으로 비스듬하게 또는 대각으로 연장하는 2개의 브레이스(5) 사이에 배열되는 것이 도 2a로부터 명백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할당된 브레이스(5) 및 포스트(6)는 상부 붐(3) 상의 공통의 노드 지점(OK)에서 서로 만나고, 각 브레이스(5)는 상부 붐(3)들 상의 대응하는 노드 지점(OK)의 영역에 있는 관련 포스트(6)와 함께, 동일 크기의 제1 설정 각도(α1)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적당하게 쌍으로 배열된 짝수의 브레이스(5)로 인하여, 마지막 브레이스(5)는 크레인 거더(2)의 양 단부에 있는 하부 붐(4)을 향하여 하강한다.
또한, 크레인 거더(2)는, 어댑터(12)들이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붐(3)의 양쪽 단부 상으로 슬라이딩되고, 그런 다음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LR)으로 일치하여 배치되고, 마지막으로, 크레인 거더(2)에 용접되는 것으로, 어댑터(12)의 수단에 의해 길이(L)에 대하여 치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다(도 4를 참조).
도 2b는 더블 거더 브릿지 크레인으로서 도 1b에 따라서 설계된 크레인(1b)에 대해, 트러스로서 본 발명에 따라서 설계된 2개의 크레인 거더(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두 크레인 거더(2)는 양쪽 단부에서 슬라이딩되는 어댑터(12)의 수단에 의해 원하는 길이(L)로 조정되고(또한 도 4 참조), 평행하게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 또한 도시된 주행 메커니즘(7, 8)은 어댑터(12)의 수단에 의해 2개의 크레인 거더(2)의 단부들에 체결된다.
제2 크레인(1b)의 2개의 크레인 거더(2)의 트러스 구조는 다시 하부 붐(4)과, 하부 붐보다 긴 상부 붐(3)을 포함하고, 상기 붐들은 각각의 경우에 제1 크레인(1a)의 하부 붐(4)과 동일한 방식으로 원피스로 설계된다. 따라서, 각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붐(3)은 대략 U자 프로파일 형상 단면을 구비한 림(3a)을 갖는 평면 프로파일(3b)에 의해 또한 형성된다. 상부 붐(3)의 평면 프로파일(3b)의 하향 림(3a)과 하부 붐(4)의 평면 프로파일(4b)의 상향 림(4a)은 서로를 향해 마주한다.
각 크레인 거더(2)의 상부 붐(3)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 다수의 브레이스(5)의 수단 및 제2 실시예에서 또한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고 수직으로 배향된 다수의 포스트(6)의 수단에 의해 관련된 하부 붐(4)에 연결된다. 제2 실시예에서 형성된 평면 형상의 포스트(6)의 기본 구조는, 대응하여 적응된 치수와 함께, 실질적으로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5)의 구조에 일치한다. 그러나, 2개의 바 형상의 포스트(6) 대신에, 단지 하나의 평면 형상의 포스트(6)가 2개의 인접한 브레이스(5) 사이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평면 형상의 제2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각 포스트(6)는 주 표면(6a)이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고, 주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접혀진 보조 표면(6b)이 종방향(LR)으로 연장한다. 평면 형상의 포스트(6)는 보조 표면(6b)이 크레인 거더(2)의 단부 중 하나를 향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떨어지는 방식으로 또한 배열되거나 또는 배향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형성된 평면 형상의 포스트(6)와 함께, 단일 거더 크레인으로 설계된 제1 크레인(1a)의 크레인 거더(2)를 제공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가능하다.
브레이스(5)는 제2 크레인(1b)의 2개의 크레인 거더(2)와 동일하며, 즉, 이것들은 종방향 축(LA)에 관하여 경면 대칭 방식으로 도 1a에 따른 제1 크레인(1a)의 경우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더욱이, 도시되지 않은 케이블 윈치를 위한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2)의 하부 붐(4)으로부터 현수되지 않는 대신 하부 붐(3)으로부터 현수되는 것이 도 2b에 도시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크레인 트롤리(9)가 크레인 거더(2)들 사이에 배열되고 부응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크레인(1b)의 주행 메커니즘(7, 8) 사이에서 종방향(LR)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대응 진행면(3c)을 갖는 진행 레일은 각각의 2개의 상부 붐(3) 상에서 바람직하게 중앙에 제공된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의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경사 지붕의 방식으로 배열된 브레이스(5)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2개의 인접한 브레이스(5)는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된 단지 하나의 포스트(6)에 할당되어서, 브레이스(5) 및 포스트(6)는 하부 붐(4) 상의 공통의 하부 노드 지점(UK)에서 서로 만난다. 그러므로, 각 브레이스(5)는 하부 붐(4) 상의 대응하는 하부 노드 지점(UK)의 영역에 있는 관련된 평면 형상의 포스트(6)와 함께 제2 설정 각도(α2)를 형성하고, 제1 설정 각도(α1)와 동일 크기의 제2 설정 각도는 바람직하게 35°내지 55°의 범위에 놓이고, 특히 바람직한 방식은 45°이다. 그러므로, 부응하여 짝으로 배열된 짝수의 브레이스(5) 때문에, 최종 브레이스(5)는 크레인 거더(2)의 양쪽 단부에서 하부 붐(4)을 향해 하강한다. 그러나, 도 2a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와 대조하여, 평면 형상의 포스트(6)는 또한 최종 브레이스(5) 뒤에서 크레인 거더(2)의 양쪽 단부에 각각 배열된다.
도 3은 도 2a에 따른 크레인 거더(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특히 제2 실시예에서 마찬가지로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는 포스트(6)의 기본적인 구조에 실질적으로 일치하지만 치수에서 이와 다를 수 있는 브레이스(5)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3을 관련하여 만들어진 설명은 또한 도 2b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와, 이 경우에 평면 형상의 제2 실시예에서 사용된 포스트(6)에 적용된다. 간략화를 위해, 도 3의 설명에 대하여 단지 브레이스(5)만을 참조하고; 이 경우에 기술되는 도면 부호 5a 내지 5h는 도면 부호로서 6a 내지 6h로서 동일한 지점에서 지시되고 도면부호의 설명에서 기술된 평면 형상의 포스트(6)의 대응하는 요소를 유사하게 지시한다.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고 도 3에 도시된 브레이스(5)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주 표면(5a)을 구비한 기다란 형상을 포함한다. 주 표면(5a)은 브레이스(5)의 종방향 축(LA)을 따라서, 각각의 경우에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횡으로 크레인 거더(2)의 폭(B)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서, 특히 림(3a) 또는 림(4a)의 내측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서 중앙 영역에서 연장한다. 브레이스(5)는 바람직하게 레이저 절단의 수단에 의해 강재 시트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브레이스(5)는 하부 제1 및 하부 제2 브레이스 단부(5g, 5h)를 포함한다. 특히, 2개의 브레이스 발(5f)은, 어퍼처(5e)가 주 표면(5a)에 있는 하부 제1 브레이스 단부(5g) 상에서 중앙에 제공되는 것에서, 브레이스(5)의 하부 모서리들의 영역에서 하부 제1 브레이스 단부(5g) 상에 형성된다. 어퍼처(5e)는 종방향 축(LA)과 관련하여 경면 대칭이며 대략 사다리꼴인 단면을 포함한다. 브레이스(5)는 하부 붐(4)의 상향 림(4a)들 사이에 하부 제1 브레이스 단부(5g)가 삽입된다. 이 경우에, 브레이스 발(5f)은, 하부 오목부(5c)와 하부 제1 브레이스 단부(5g) 사이에서 연장하는 주 표면(5a)의 종방향 측부가 하부 붐(4)의 림(4a)의 내측부를 향하여 놓이고 림(4a)에 용접된다. 그러나, 브레이스 발(5f)은 하부 붐(4)의 평면 프로파일(4b) 상에 놓이지 않는다. 또한 도 3에서, 2개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은 수직 림(3a)이 주 표면(5a)의 대응하는 종방향 측부를 향해 놓이며 상부 오목부(5d)와 상부 제2 브레이스 단부(5h) 사이에서 연장하고, 용접된 연결이 이 위치에서 확립된다.
마찬가지로 림(3a, 4a)이 서로 동일하게 이격되지 않는 것도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브레이스 단부(5g, 5h), 특히 또한 브레이스 발(5f)의 외부 종방향 측부는 그런 다음, 비동일 평면 방식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림(3a, 4a)을 향해 놓이고 이에 용접될 수 있기 위하여 서로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이격된다.
반대의 영역에서, 하부 제1 및 상부 제2 브레이스 단부(5g, 5h), 2개의 하부 오목부(5c), 2개의 상부 오목부(5d)는 브레이스(5)의 종방향 양측부에 제공된다. 하부 및 상부 오목부(5c, 5d)는 각각의 경우에 용접 이음(S) 또는 관련 용접 이음 런아웃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붐(3, 4)의 림(3a, 4a)에 인접한다. 오목부(5c, 5d)들은 둥근 형태이며, 바람직하게 원호 형상이다.
하부 및 상부 오목부(5c, 5d) 사이에서, 직각으로 접혀지고 종방향 축(LA)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보조 표면(5b)은 브레이스(5)의 각 종방향 측부에서 주 표면(5a)에 인접한다. 보조 표면(5b)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방식으로 형성된다. 보조 표면(5b)이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접혀 있다는 사실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브레이스(5)는 브레이스(5)의 종방향 축(LA)의 방향으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적어도 보조 표면(5b)의 영역에서 U-형상 단면을 포함한다. 종축(LA)의 방향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Z자 형상 단면에서 생성될 수 있도록, 보조 표면(5b)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보조 표면(5b)를 생략하거나 또는 단지 단일의 보조 표면(5b)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스(5)는 또한 대응하는 방식으로 종방향 축(LA)의 방향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L 자형 단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스(5)의 좌굴 강도는 보조 표면(5b)의 수단에 의해 증가된다. 뒤로 접혀지지 않은 주 표면(5a)의 종방향 양측부의 영역 만이 림(3a, 4a)에 용접되도록, 보조 표면(5b)은 림(3a, 4a) 외부에 위치된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브레이스의 총 길이는 890㎜이다. 이 경우에, 하부 제1 및 상부 제1 브레이스 단부(5g, 5h)의 종방향 측부는 각각의 경우에 상부 및 하부 붐(3, 4)의 림(3a, 4a) 사이에 80㎜의 삽입 길이로 삽입되었거나 또는 상기 길이에 걸쳐서 림(3a, 4a)에 용접된다. 그런 다음, 종방향 측부의 삽입된 영역과 보조 표면(5b) 사이의 이격 간격, 즉 이 영역에서 형성된 멤브레인 조인트의 길이는 각각의 경우에 100㎜이다. 따라서, 종방향 축(LA)에 관련하여, 보조 표면(5b)은 530㎜의 보조 표면 길이를 가지며, 즉 보조 표면(5b)은 530㎜의 보조 표면 길이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보조 표면 길이는 바람직하게 브레이스(5)의 총 길이의 약 40% 내지 70%의 범위에 있으며, 삽입 길이는 브레이스(5)의 총 길이의 약 5% 내지 15%의 범위에 있다.
도 4a는 제1 크레인(1a)을 위한 크레인 거더(2)의 양쪽 단부에 배열되는 2개의 어댑터(12) 중 하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크레인 거더(2)는 2개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을 갖는 트러스로서 설계된다. 바 형상의 포스트(6)에 대하여 제1 설정 각도(α1)로 조정되는 브레이스(5)가 또한 도시된다.
도 4a는 또한 보조 표면이 주 표면(5a)으로부터 접혀지는, 브레이스(5)의 보조 표면(5b)의 사다리꼴의 형태를 또한 도시한다. 보조 표면(5b)은 상부 및 하부 붐들(3, 4)의 림(3a, 4a)의 외부에 배열되고,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을 포함하는 수직 평면에서 연장한다.
크레인 거더(2)의 원하는 길이(L)를 조정하기 위해서, 어댑터(12)는 상부 붐(3)과 하부 붐(4)을 향하여 배치되고, 종방향(LR)으로 배향되어 이에 용접된다. 각 어댑터에 대하여, 종방향(LR)으로 ± 5㎜의 종방향 치수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 거더(2)는 어댑터(12)를 부착하기 전에 거의 원하는 길이(L)을 이미 갖는다. 이 경우에, 어댑터(12)의 구성은 길이(L)의 미세 조정의 목적을 위하여, 용접 전에 상부 붐 프로파일(3d, 3e) 및 하부 붐에 대하여 변위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4a에 도시된 크레인 거더(2)의 단부는 트러스 구조의 종단을 도시하고, 상부 붐(3)의 2개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은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하부 붐(4)에 연결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어댑터(12)는, 종방향(LR)으로 연장하고 상부 및 하부 단부에서 림(3a, 4a)에 연결되는, 2개의 동일하게 형성된 리브형 어댑터 벽(12e)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어댑터 벽(12e)들은 서로 이격되고, 서로 및 림(3a, 4a)과 평행하게 배열되며,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 대하여 대응하여 횡으로 표면을 향한다.
각 어댑터 벽(12e)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평면 플레이트로서 설계되고 4개의 모서리(E1 내지 E4)를 갖는 헤드부(12f)를 포함한다. 상부 제1 모서리(E1)와 상부 제2 모서리(E2)를 연결하는 어댑터 벽(12e)의 상부 측부에서, 수평으로 배향된 헤드 플레이트(12b)가 어댑터 벽(12e)에 배치되어 거기에 용접된다. 헤드 플레이트(12b)는 평면의 직사각형 방식으로 형성된다. 수직으로 배향된 연결 플레이트(12a)는 아래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제3 모서리(E3)에 제1 모서리(E1)를 연결하는 어댑터 벽(12e)의 연결 측부에 체결된다. 연결 플레이트(12a)는 평면의 직사각형 방식으로 또한 형성되고, 종방향(LR)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12a)는 어댑터 벽(12e)을 지나서 측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러므로, 연결 플레이트(12a) 및 헤드 플레이트(12b)는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되고, 제1 모서리(E1)의 영역에서 서로 만난다. 제1 모서리(E1)에 반대하여 대각선으로 위치된 제4 모서리(E4)의 영역에서, 어댑터 벽(12e)의 헤드부(12f)는 연결 림(12g) 내로 천이한다. 이 경우에, 연결 림 (12g)은, 어댑터 벽(12e)의 연결 측부로부터 떨어져 아래를 향해 대각선으로 또는 비스듬히 연장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어댑터 벽(12e)의 헤드부(12f)에 인접한다. 연결 림(12g)은 평면의 세장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러므로 기본 구조는 상부 붐(3a) 또는 하부 붐(4a)의 림(3a, 4a)의 구조를 실질적으로 닮는다.
크레인 거더(2)의 대응 단부에 배치된 어댑터(12)의 경우에, 연결 림(12g)의 대각선 진행은 상부 붐(3)보다 짧게 설계된 하부 붐(4)에 대한 연결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 특히 헤드부(12f) 및 연결 림(12g)에 대한 어댑터 벽(12e)의 치수는, 연결 림(12g)이 하부 붐(4) 도달하도록, 이 경우에 여전히 서로 측면으로 연결되거나 용접될 수 있도록 외측부에 대해 림(4a)을 외부에 놓도록, 상부 붐(3)과 하부 붐(4) 사이의 이격된 간격에 의존하여 선택된다. 도 3의 상부 및 하부 붐(3, 4)에 대조하여, 도 4a의 상부 붐(3)의 림(3a)은 그러므로 각각의 경우에 하부 붐(4)의 림(4a)과 수직으로 동일 평면인 방식으로 정렬되지 않고, 대신에 림(3a)은 림(4a)보다 수평 방향으로 서로 더욱 이격된다. 그러므로, 하부 붐(4)과 최종 브레이스(5)에 도달하는 연결 브레이스(12g)는 각각의 림(4a) 내부 또는 외부에서 또한 교차한다.
그러나, 림(3a, 4a)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하여 배열되고, 연결 림(12g)의 하단부들이 이에 연결될 수 있기 위하여 림(4a)들 사이의 대응 범위까지 삽입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벽들이 연결 림(12g)의 하부 자유 단부를 향하여 놓이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벽들이 상부 붐(3) 또는 하부 붐(4)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의 림(3a, 3b)의 내측부를 향하여 평면인 외측부가 놓이는 것에서, 어댑터 벽(12e)들은 서로로부터 지금까지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림(3a, 4a)이 서로로부터 동일하지 않도록 이격될 때, 어댑터 플레이트(12)들은 헤드부(12f)가 상부 붐(3)의 림(3a)들 사이에 놓이지만, 외측부에 대하여 하부 붐(4)의 림(4a) 외부에 연결 림(12g)이 놓이는 것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어댑터(12) 또는 이에 대응하여 상호 이격되는 어댑터 벽(12e), 특히 연결 림(12g)이 충분한 강성 및 안정성을 획득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단부 플레이트(12h)는 어댑터 벽(12e)의 하부 측부들에 제공된다. 단부 플레이트(12h)는 초기에 헤드부(12e)의 제3 모서리(E3)로부터 시작하여 수평 방향으로 제4 모서리(E4)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런 다음 하부 붐(4)에서 종료할 때까지 대각선으로 하향하는 연결 림(12e)의 진행이 이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굽혀진 단부 플레이트(12h)는 어댑터 벽(12e)의 하부면에 용접된다. 더욱이, 대략 직사각형인 오목부(12i)는 헤드부(12f)로부터 멀리 떨어져 마주하는 연결 플레이트의 일단에 제공된다.
크레인 거더(2)의 원하는 길이(L)에 대한 적응은, 도 4a의 예시와 대조하여, 예를 들어 제2 크레인(1b)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 크레인 거더(2)가 평면 프로파일(b)을 갖는 상부 붐(3)을 포함하면 또한 실행될 수 있다. 평면 프로파일(3b)로서 원피스로 설계된 상부 붐(3)의 경우에, 어댑터 벽(12e)들은 어댑터(12)가 상부 붐(3) 상에 헤드 플레이트(12b)가 놓이는 범위로 헤드 플레이트(12b) 아래에 다시 설정된다. 더 이상, 어댑터 벽(12e)은 림(3a, 4a)을 향해 측면으로 놓이지 않는다.
크레인 거더(2)의 길이를 완성하기 위하여, 어댑터(12)는 크레인 거더(2)의 한쪽 단부 상으로 슬라이딩되고, 헤드 플레이트(12b)는 상부 붐(3)의 상부 측부 상에서 또는 2개의 상부 붐 프로파일(3d, 3e)들 상에 평탄하게 놓인다. 조정될 길이(L)는 크레인 거더(2)의 양쪽 단부에 배열된 연결 플레이트(12a)의 연결면(12c)에 의해 한정되고, 연결면(12c)은 상부 붐(3)으로부터 멀리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끝으로, 길이(L)는 상부 붐(3) 상의 헤드 플레이트(12b)가 놓이는 어댑터(12)가 종방향(LR)으로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에서 치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조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정된 길이(L)를 고정하기 위하여, 어댑터(12)는 그런 다음 상부 붐(3)과 하부 붐(4)에 용접된다.
그러나, 초기에 크레인 거더의 단부 상으로 연결 플레이트(12a)없이 어댑터(12)를 슬라이딩시키고 길이(L)를 조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그런 다음, 연결 플레이트(12a)가 이미 보어(12d)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대향 연결 플레이트(12a)를 서로 배향시키기 위하여, 연결 플레이트(12a)는 끝으로 붐들에 용접되고, 보어의 수단에 의해, 주행 메커니즘(7, 8)은 어댑터(12)들에, 그러므로 대응 크레인 거더(2)에 체결된다.
도 4b는 크레인 거더(2)의 종방향(LR)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은, 크레인 거더(2)의 단부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어댑터(12)의 도면을 도시한다. 어댑터(12)의 수평으로 배향된 헤드 플레이트(12b)가 상부 붐(3) 또는 상부 붐 프로파일(3d, 3e)에 놓이는 것은 명백하다. 이러한 것은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지 않은 주행 메커니즘(7, 8) 중 하나를 체결하기 위한 보어(12d)를 갖는 수직으로 배향된 연결 플레이트(12a)에 의해 인접된다. 단부 플레이트(12h)는 연결 플레이트(12a)의 아래에 배열되고, 오목부(12i)는 하부 붐(4)을 향하여 마주하는 단부 플레이트의 단부 상에 제공된다. 오목부(12i)를 통하여, 하부 붐(4)의 평면 프로파일(4b)의 림(4a)들 사이에서 브레이스 발(5f)와 교차되는 브레이스(5)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경우에, 용접 이음(S) 중 하나가 브레이스 발(5f)의 외부 종방향 측부 상에 지시되고, 용접 이음의 수단에 의해, 브레이스(5)는 하부 붐(4)에 체결된다.
1a : 제1 크레인 1b : 제2 크레인
2 : 크레인 거더 3 : 상부 붐
3a : 림 3b : 평면 프로파일
3c : 진행면 3d : 제1 상부 붐 프로파일
3e : 제2 상부 붐 프로파일 4 : 하부 붐
4a : 림 4b : 평면 프로파일
4c : 진행면 5 : 브레이스
5a : 주 표면 5b : 보조 표면
5c : 하부 오목부 5d : 상부 오목부
5e : 어퍼처 5f : 브레이스 발
5g : 제1 브레이스 단부 5h : 제2 브레이스 단부
6 : 포스트 6a : 주 표면
6b : 보조 표면 6c : 하부 오목부
6d : 상부 오목부 6e : 어퍼처
6f : 포스트 풋 6g : 제1 포스트 단부
6h : 제2 포스트 단부 7 : 제1 주행 메커니즘
7a : 제1 전기 모터 8 : 제2 주행 메커니즘
8a : 제2 전기 모터 9 : 크레인 트롤리
10 : 크레인 컨트롤러 11 : 펜던트 컨트롤 스위치
12 : 어댑터 12a : 연결 플레이트
12b : 헤드 플레이트 12c : 연결면
12d : 보어 12e : 어댑터 벽
12f : 헤드부 12g : 연결 림
12h : 단부 플레이트 12i : 오목부
α1 : 제1 설정 각도 α2 : 제2 설정 각도
B : 폭 E1 : 제1 모서리
E2 : 제2 모서리 E3 : 제3 모서리
E4 : 제4 모서리 F : 주행 방향
L : 길이 LA : 종방향 축
LR : 종방향 OK : 상부 노드 지점
S : 용접 이음 UK : 하부 노드 지점

Claims (20)

  1. 수평으로 연장하고 복수의 브레이스를 구비한 트러스로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고, 리프팅 기어를 구비한 크레인 트롤리가 거더 상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의 브레이스가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는 크레인에 있어서,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는 각각 평면의 주 표면을 가지며, 평면의 주 표면은 각각의 경우에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연장하고,
    평면 형상의 브레이스는 종방향 측부를 갖는 기다란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경우에 브레이스의 종방향 측부의 영역에서 주 표면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접혀진 보조 표면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 표면은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향하며,
    브레이스는 대향 브레이스 단부를 갖고, 하부 및 상부 오목부는 브레이스의 종방향 측부의 개별 측면 외측 가장자리(laterally-outboard edge)를 따라 브레이스의 주 표면에 제공되고, 보조 표면은 하부 및 상부 오목부 사이에 있고 상기 브레이스 단부로부터 종방향 내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브레이스 단부의 외측으로 그리고 상기 브레이스 단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보조 표면의 길이는 개별 브레이스의 총 길이의 40% 내지 7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는 모두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의 주 표면은 상기 크레인 거더의 폭의 적어도 절반에 걸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종방향 축의 방향으로 보면, 상기 브레이스는 L자, U자 또는 Z자 형상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스의 하부 협폭 측부에 제공되는 어퍼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협폭 측부는 상기 브레이스의 종방향 측부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어퍼처는 각각의 경우에 제1 또는 제2 브레이스 단부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종방향으로 선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붐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거더는 상기 상부 붐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은 상기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브레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표면 각각은 상기 상부 붐 아래로 이격되고 상기 하부 붐 위로 이격된 개별 대향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은 상기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포스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9. 제8항에 있어서,
    각 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스에 이웃하여 배열되고, 각 브레이스는 대응하는 포스트와 함께 동일한 크기의 설정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서로 이격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2. 제8항에 있어서,
    평면 형상의 상기 브레이스와 상기 포스트는 용접 이음에 의해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에 체결되고, 상기 용접 이음은 개별 주 표면의 종방향 측부 상에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은 서로 마주하는 림을 각각 가지고, 상기 브레이스와 상기 포스트는 림의 내측부에만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거더는 종방향으로 선형 방식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붐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 거더는 상기 상부 붐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은 상기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브레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은 상기 크레인 거더의 종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복수의 포스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6. 제15항에 있어서,
    각 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스에 이웃하여 배열되고, 각 브레이스는 대응하는 포스트와 함께 동일한 크기의 설정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평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서로 이격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19. 제18항에 있어서,
    평면 형상의 상기 브레이스와 상기 포스트는 용접 이음에 의해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에 체결되고, 상기 용접 이음은 개별 주 표면의 종방향 측부 상에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붐과 상기 하부 붐은 서로 마주하는 림을 각각 가지고, 상기 브레이스와 상기 포스트는 림의 내측부에만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20147026206A 2012-03-30 2013-03-28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KR101996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102808.7 2012-03-30
DE102012102808A DE102012102808A1 (de) 2012-03-30 2012-03-30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PCT/EP2013/056763 WO2013144314A1 (de) 2012-03-30 2013-03-28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612A KR20150002612A (ko) 2015-01-07
KR101996114B1 true KR101996114B1 (ko) 2019-07-03

Family

ID=4777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6206A KR101996114B1 (ko) 2012-03-30 2013-03-28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9540216B2 (ko)
EP (1) EP2838830B1 (ko)
JP (1) JP6026638B2 (ko)
KR (1) KR101996114B1 (ko)
CN (2) CN202766132U (ko)
AU (1) AU2013241726B2 (ko)
BR (1) BR112014018580B1 (ko)
CA (1) CA2865266C (ko)
DE (1) DE102012102808A1 (ko)
ES (1) ES2563059T3 (ko)
IN (1) IN2014DN07458A (ko)
MX (1) MX347905B (ko)
WO (1) WO20131443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2808A1 (de)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2102809A1 (de)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2109586A1 (de) 2012-10-09 2014-04-1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zwei Kranträgern
DE102012109588A1 (de) 2012-10-09 2014-04-10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3006108A1 (de) * 2013-04-09 2014-10-09 Liebherr-Werk Biberach Gmbh Kran
DE102014107323A1 (de) * 2014-05-23 2015-11-26 Terex Mhps Gmbh Kranträger für einen Kran, insbesondere für einen Brücken- oder Portalkran, und einen Kran hiermit
DE102015101756A1 (de) *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DE102015101755A1 (de) * 2015-02-06 2016-08-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CN105217444A (zh) * 2015-11-02 2016-01-06 河南省黄河防爆起重机有限公司 改进型单梁起重机
JP2017100208A (ja) * 2015-11-30 2017-06-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DE102016120115A1 (de) * 2016-10-21 2018-04-26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Laufkran
CN106744340B (zh) * 2016-11-10 2019-04-16 大连理工大学 一种应用于狭小空间的实验室多功能专用起重机
AT520110B1 (de) * 2017-05-31 2019-08-15 Rail Cargo Wagon Austria Gmbh Untergestell für einen Plattformwagen
CN107458963A (zh) * 2017-08-04 2017-12-12 长春市兴泰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单主梁起重设备的整体式主梁结构
CN107458962B (zh) * 2017-08-04 2019-08-06 长春市兴泰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双主梁起重设备的组合式主梁结构
CN107445056A (zh) * 2017-08-04 2017-12-08 长春市兴泰起重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双主梁起重设备的整体式主梁结构
CN110342413B (zh) * 2018-04-04 2021-01-15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用于预应力梁的简易牵引方法
US11654989B2 (en) * 2019-04-11 2023-05-23 Hall Labs Llc Load leveling hanger
CN110395671A (zh) * 2019-06-18 2019-11-01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烟囱检修用吊装装置
DE102019125223A1 (de) * 2019-09-19 2021-03-25 Konecranes Global Corp. Vorrichtung zur Handbetätigung einer Maschine, vorzugsweise eines Hebezeugs oder Krans
RU201435U1 (ru) * 2020-11-02 2020-12-15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КАЙ ТЕХНОЛОДЖИ 2015» Портальная балк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7360A (en) 1885-09-29 Girder
DE260030C (ko)
DE1095486B (de) * 1955-02-26 1960-12-22 Donges Stahlbau Ges Mit Beschr Fachwerkkranbruecke in Leichtbauweise
FR1391167A (fr) 1964-01-22 1965-03-05 Pont roulant
DE1971794U (de) 1967-09-08 1967-11-02 Ottokar Bente Traeger fuer zwei-traeger-brueckenkrane.
DE1759120A1 (de) * 1968-04-02 1971-06-03 Visch Maschinno Elektrotechnit Traeger,insbesondere Krantraeger,aus gepressten Paneelen
JPS519233B2 (ko) * 1971-08-16 1976-03-25
FR2221603A1 (ko) * 1973-03-16 1974-10-11 C O Inc
IT1141853B (it) 1980-03-19 1986-10-08 Condecta Macchine Edili Srl Struttura reticolare con elementi poligonali per traliccio,particolarmente di gru a torre automontante
DE3222307A1 (de) 1982-06-14 1983-12-15 Filigran Trägersysteme GmbH & Co KG, 3071 Leese Fachwerktraeger
US4621475A (en) * 1982-08-09 1986-11-11 Glitsch, Inc. Structural strut and truss formed therefrom
JPS62259987A (ja) * 1986-04-30 1987-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クレ−ン装置
US5195204A (en) * 1990-07-27 1993-03-23 J. Muller International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precast segmental bridges
JPH09279681A (ja) * 1996-04-17 1997-10-28 Daiwa House Ind Co Ltd 立体トラス構造
CA2430786C (en) * 2002-06-12 2005-02-01 Peter Vanagan Lifting device for flying form table trusses
WO2005019558A2 (en) * 2003-08-18 2005-03-03 Ollman Melvin L Improved structural trus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503460B1 (en) * 2004-10-04 2009-03-17 Davor Petricio Yaksic Gantry crane
JP3943112B2 (ja) * 2005-04-15 2007-07-11 長萬産業有限会社 小屋トラスおよび屋根構造
US8678209B2 (en) * 2010-04-13 2014-03-25 Gorbel, Inc. Gantry crane having a truss supported runway
CN201932820U (zh) * 2010-11-18 2011-08-17 株洲天桥起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桥门式起重机的主梁装置
KR101048570B1 (ko) * 2011-02-11 2011-07-12 김근수 모노레일형 크레인거더의 단면구성방법
DE102011002044A1 (de) * 2011-04-14 2012-10-18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Ausrichtung eines Laufradblocks
DE102012102808A1 (de) 2012-03-30 2013-10-02 Demag Cranes & Components Gmbh Kran, insbesondere Brückenkran oder Portalkran, mit mindestens einem Kranträ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8830B1 (de) 2015-12-09
CA2865266C (en) 2019-11-19
JP2015515425A (ja) 2015-05-28
US9540216B2 (en) 2017-01-10
MX347905B (es) 2017-05-18
CN104395224A (zh) 2015-03-04
BR112014018580A2 (pt) 2017-07-04
CN104395224B (zh) 2017-07-21
WO2013144314A1 (de) 2013-10-03
AU2013241726B2 (en) 2016-12-01
EP2838830A1 (de) 2015-02-25
ES2563059T3 (es) 2016-03-10
KR20150002612A (ko) 2015-01-07
BR112014018580B1 (pt) 2021-05-18
US20150053636A1 (en) 2015-02-26
IN2014DN07458A (ko) 2015-04-24
JP6026638B2 (ja) 2016-11-16
MX2014011685A (es) 2015-01-22
CN202766132U (zh) 2013-03-06
AU2013241726A1 (en) 2014-10-16
CA2865266A1 (en) 2013-10-03
DE102012102808A1 (de)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114B1 (ko) 적어도 하나의 크레인 거더를 포함하는 크레인, 특히 브릿지 크레인 또는 갠트리 크레인
US9790060B2 (en) Crane, in particular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AU2013241731B2 (en) Crane, in particular an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AU2015261845B2 (en) Crane girder for a crane, in particular for an overhead or gantry crane, and a crane comprising such a girder
US9751730B2 (en) Crane, in particularly overhead crane or gantry crane, comprising at least two crane girders
US10407281B2 (en) Crane, in particular bridge crane or gantry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US10604383B2 (en) Crane, in particular bridge crane or gantry crane, having at least one crane girder
RU2574299C1 (ru) Подъёмный кран, в частности мостовой или козловый кран, с крановой балкой
CN216516403U (zh) 一种薄型底板叠合板
US20220332547A1 (en) Support for a trolley, and overhead transport device having such a support
CN114396133A (zh) 一种薄型底板叠合板的制作方法和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