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134A - 코일 유닛,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촬영용 광학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유닛,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촬영용 광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134A
KR20170007134A KR1020160084610A KR20160084610A KR20170007134A KR 20170007134 A KR20170007134 A KR 20170007134A KR 1020160084610 A KR1020160084610 A KR 1020160084610A KR 20160084610 A KR20160084610 A KR 20160084610A KR 20170007134 A KR20170007134 A KR 2017000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nvex portion
holding member
face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미나미사와
가즈히코 야나기사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7/00Instruments capable of converting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into a single mechanical displacement
    • G01R7/04Instruments capable of converting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into a single mechanical displacement for forming a quotient
    • G01R7/08Instruments capable of converting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into a single mechanical displacement for forming a quotient moving-coil type, e.g. crossed-coi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8Forming windings by laying conductors into or around cor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47Air-gap windings, i.e. iron-fre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Abstract

코일 유지 부재에 코일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코일 유닛을 제공한다.
코일 유닛(35)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26)과, 코일(26)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9)를 구비하고 있고, 코일 유지 부재(9)의 외주면에는, 코일(26)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26)의 일단부면이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9f)이 형성됨과 함께, 코일(26)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9g)가 접촉면(9f)으로부터 코일 유지 부재(9)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g)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9g)의 선단측에는, 접촉면(9f)에 평행인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9k)이 형성되어 있고, 접촉면(9f)과 볼록부 단부면(9k)의 거리는, 코일(26)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코일 유닛,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촬영용 광학 장치{COIL UNIT,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UNIT, AND IMAGE CAPTURING OPTICAL DEVICE}
본 발명은 코일과, 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를 갖는 코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코일 유닛을 구비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손떨림 등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촬영용 광학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촬영용 광학 장치는,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는 가동 모듈과, 가동 모듈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와, 가동 모듈과 지지체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과,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해서 지지체에 대하여 가동 모듈을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 구동 기구는, 4개의 구동용 자석과, 4개의 구동용 자석 각각에 대향 배치되는 4개의 구동용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촬영용 광학 장치에서는, 구동용 자석은, 대략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는 가동 모듈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용 코일은, 공심 코일이다. 지지체는, 대략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체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용 코일은, 케이스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체의 내주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에 의해 구동용 코일이 케이스체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8128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촬영용 광학 장치에서는, 공심 코일인 4개의 구동용 코일 각각이, 대략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케이스체의 내주면에 접착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접착제를 사용한 구동용 코일의 고정 작업은 수작업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케이스체에의 구동용 코일의 설치 작업은 번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코일과, 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를 구비하는 코일 유닛에 있어서, 코일 유지 부재에 코일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코일 유닛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이러한 코일 유닛을 구비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코일 유닛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과, 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의 긴 변에 평행인 방향과 코일의 짧은 변에 평행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코일의 두께 방향이라 하면,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코일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의 일단부면이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됨과 함께, 코일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가 접촉면으로부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선단측에는, 접촉면에 평행인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이 형성되고, 접촉면과 볼록부 단부면 사이의 거리는, 코일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은, 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가 고정됨과 함께 회전 가능한 권선용 본체부와,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을 공급하는 공급 노즐과, 본체부와 함께 회전하는 종속 헤드를 구비하는 권선 장치를 구비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의 긴 변에 평행인 방향과 코일의 짧은 변에 평행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코일의 두께 방향이라 하면,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코일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의 일단부면이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됨과 함께, 코일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가 접촉면으로부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선단측에는, 접촉면에 평행인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이 형성되고, 접촉면과 볼록부 단부면 사이의 거리는, 코일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고, 종속 헤드는, 본체부에 고정된 코일 유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코일 유지 부재의 볼록부 단부면에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고, 종속 헤드의 접촉면을 코일 유지 부재의 볼록부 단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종속 헤드와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볼록부에 도선을 직접 권회해서 코일을 코일 유지 부재에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일 유닛, 또한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에서는,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볼록부에 코일이 직접 권회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권선 장치를 사용해서 볼록부에 코일을 직접 권회함으로써, 그대로, 코일이 코일 유지 부재에 설치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코일 유지 부재에 코일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일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의 일단부면이 접촉하는 접촉면에 평행인 볼록부 단부면이 볼록부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고, 접촉면과 볼록부 단부면 사이의 거리는, 코일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권선용 지그, 구체적으로는, 종속 헤드의 평면 부분을 볼록부 단부면에 밀어붙인 상태에서 볼록부에 코일을 직접 권회함으로써, 코일의 권취 붕괴를 방지하면서 볼록부에 정연하게 코일을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일 유닛은, 코일의 단부가 묶여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제의 단자 핀을 구비하고,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이 2개 형성됨과 함께, 2개의 측면쌍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접촉면 및 볼록부는, 측면에 형성되고, 2개의 측면쌍 중 한쪽 측면쌍을 구성하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2개의 측면쌍 중 다른 쪽 측면쌍을 구성하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면, 단자 핀은,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자 핀에 도선을 묶고 나서 볼록부에 도선을 직접 권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자 핀이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핀에 묶은 코일의 단부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자 핀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에 코일을 직접 권회할 때의, 단자 핀에의 코일의 걸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에 코일이 직접 권회될 때 코일의 권취 개시측 부분이 처음에 접촉하는 볼록부의 측면 부분을 권취 개시 접촉부라 하면, 코일 유지 부재의 측면, 코일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과 권취 개시 접촉부 사이에는, 접촉면보다 움푹 들어간 코일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코일 도입부의, 접촉면으로부터의 움푹 들어간 양은,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코일 도입부의, 접촉면으로부터의 움푹 들어간 양은, 도선의 외경과 같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볼록부에 대하여 코일을 정렬 권취체로 권회할 때 단자 핀으로부터 권취 개시 접촉부에 코일 도입부를 개재시켜서 권회할 수 있어, 볼록부에의 코일의 권취 개시측 부분에, 권취 개시로부터 2바퀴째 이후의 코일이 올라 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정렬 권취체에 의해 볼록부에 대하여 코일을 정연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코일의 두께 방향과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도입부의 폭은, 단자 핀이 고정되는 코일 유지 부재의 제1 방향의 한쪽 단부면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제1 방향으로 분할되는 금형을 사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코일 유지 부재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일 유닛은, 단자 핀이 납땜되는 땜납 랜드가 형성된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자 핀 및 회로 기판을 통해서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코일의 배선 거리를 짧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이 2개 형성됨과 함께, 2개의 측면쌍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접촉면 및 볼록부는, 측면에 형성되고, 2개의 측면쌍 중 한쪽 측면쌍을 구성하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2개의 측면쌍 중 다른 쪽 측면쌍을 구성하는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면,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접촉면의 양 끝의 각각은,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를 개재시켜서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유지 부재의 양 단부면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볼록부에 코일을 직접 권회할 때, 예를 들어 단자 핀에 도선을 묶고 나서 볼록부에 도선을 직접 권회할 때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코일 유지 부재의 양 단부면과 접촉면의 경계 부분에서의 코일의 걸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에는, 볼록부 단부면으로부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코일 유닛을 취급할 때, 코일이 외부의 부재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코일 유닛을 취급할 때의 코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어 코일 유닛이 탑재되는 소정의 장치에 있어서 코일과 자석이 대향 배치되었을 때, 코일과 자석의 접촉을 제2 볼록부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볼록부에는, 볼록부 단부면으로부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고, 종속 헤드의 접촉면에는, 제2 볼록부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 종속 헤드의 접촉면을 코일 유지 부재의 볼록부 단부면에 접촉시켰을 때, 제2 볼록부를 오목부에 들어가게 하고, 이 상태에서 종속 헤드와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볼록부에 도선을 직접 권회하도록 하여, 코일 유닛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유닛은,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고 코일 유지 부재에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과, 코일 유닛을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고정되어 코일에 대향 배치되는 구동용 자석을 구비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촬영용 광학 장치에서는, 코일 유지 부재에 코일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촬영용 광학 장치에서는, 권선용 지그의 평면 부분을 볼록부 단부면에 밀어붙인 상태에서 볼록부에 코일을 직접 권회함으로써, 코일의 권취 붕괴를 방지하면서 볼록부에 정연하게 코일을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코일 유지 부재에 코일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유닛이 탑재되는 촬영용 광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E-E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코일 유닛을 다른 방향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홀더 및 단자 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홀더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을 권회하는 권선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F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촬영용 광학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유닛(35)이 탑재되는 촬영용 광학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E-E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세방향 각각을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이라 하고, X 방향을 좌우 방향, Y 방향을 전후 방향, Z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한다. 또한, 도 1 등의 Z1 방향측을 「위」측, Z2 방향측을 「아래」측이라 한다.
본 형태의 촬영용 광학 장치(1)는, 휴대 전화 등의 휴대 기기, 드라이브 레코더 또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등에 탑재되는 소형이면서 또한 박형의 카메라이며, 손떨림 등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촬영용 광학 장치(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촬영용 광학 장치(1)는, 촬영용 렌즈의 광축 L의 방향(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촬영용 광학 장치(1)의 4개의 측면은,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구성되는 ZX 평면 또는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구성되는 YZ 평면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촬영용 광학 장치(1)는, 촬영용 렌즈 및 촬상 소자가 탑재되는 가동 모듈(3)과, 가동 모듈(3)을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체(4)와, 가동 모듈(3)과 지지체(4)를 연결하는 스프링 부재(5)와, 가동 프레임(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촬영용 광학 장치(1)는, 지지체(4)에 대하여 가동 모듈(3)을 요동시켜서 손떨림 등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한 흔들림 보정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도 2 참조). 본 형태에서는, 상하 방향은, 가동 모듈(3)이 요동하고 있지 않을 때의 가동 모듈(3)의 광축 방향과 거의 일치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가동 모듈(3)의 하단부측에 촬상 소자가 탑재되어 있고, 상측에 배치되는 피사체가 촬영된다.
가동 모듈(3)은, 전체적으로,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는 대략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모듈(3)은,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는 카메라 모듈(8)과, 카메라 모듈(8)이 고정되는 홀더(9)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8)은, 예를 들어 렌즈를 유지하고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체와, 이 가동체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체와, 가동체와 유지체를 연결하는 판 스프링과, 가동체를 광축 방향으로 구동하는 렌즈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즉, 카메라 모듈(8)은, 오토 포커스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모듈(8)의 하단부측으로부터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0)이 인출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8)은, 오토 포커스 기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홀더(9)는, 내열성 및 절연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홀더(9)는,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는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8)은, 홀더(9)에 의해 카메라 모듈(8)의 외주측이 덮이도록, 홀더(9)의 내주측에 고정되어 있다.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홀더(9)의 축방향은, 광축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홀더(9)의 상단부측에는, 가동 모듈(3)의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추(16, 17)가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의 홀더(9)는, 흔들림 보정 기구(7)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이다.
지지체(4)는, 지지체(4)의 상단부측 부분의 전후 좌우의 4개의 측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체(12)와, 지지체(4)의 하단부측 부분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체(13) 및 커버 부재(14)와, 지지체(4)의 상단부면을 구성하는 커버 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케이스체(12)는, 촬영용 광학 장치(1)의 상단부측 부분의 전후 좌우의 4개의 측면을 구성하고, 하부 케이스체(13) 및 커버 부재(14)는, 촬영용 광학 장치(1)의 하단부측 부분을 구성하고, 커버 부재(15)는, 촬영용 광학 장치(1)의 상단부면을 구성하고 있다.
케이스체(12)는, 대략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체(12)는, 가동 모듈(3) 및 흔들림 보정 기구(7)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 부재(15)는, 케이스체(12)의 상단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 커버 부재(15)는, 대략 정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면부(15a)와, 상면부(15a)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b)로 구성되어 있다. 상면부(15a)의 중심에는, 원형의 관통 구멍(15c)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5b)는, 대략 정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관통 구멍(15c)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체(13)는, 대략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부재(14)는, 하부 케이스체(13)의 하단부를 덮는 저면부(14a)와, 하부 케이스체(13)의 외주측을 덮는 4개의 측면부(14b)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체(12)의 하단부와 하부 케이스체(13)의 상단부 사이에는, 가동 모듈(3)의 요동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18)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5)는, 판 스프링이며,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5)는, 가동 모듈(3)의 상단부측(구체적으로는, 홀더(9)의 상단부측)에 고정되는 가동측 고정부와, 지지체(4)의 상단부측(구체적으로는, 커버 부재(15)의 돌출부(15b))에 고정되는 지지측 고정부와, 가동측 고정부와 지지측 고정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아암부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부재(5)는, 흔들림 보정 기구(7)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에 전류가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 가동 모듈(3)의 자세를 유지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가동 프레임(6)은, 탄성 부재이며, 전체적으로 판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대략 정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동 프레임(6)은, 그 네변이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과 대략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대략 정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동 프레임(6)의 각 변의 중심부에는,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하여 사행되는 사행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프레임(6)의 네코너의 각각의 내측에는, 구상으로 형성되는 구체(20)가 고정되어 있다. 구체(20)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레이저 용접에 의해 가동 프레임(6)에 접합되어 있다.
4개의 구체(20) 중, 가동 프레임(6)의 한쪽 대각선 상에 배치되는 2개의 구체(20)는, 구체(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22)에 지지되고, 나머지 2개의 구체(20)는, 구체(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23)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22, 23)는, 얇은 금속판을 소정 형상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 판 스프링이다. 지지 부재(22)는, 커버 부재(15)의 돌출부(15b)의 하단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23)는, 홀더(9)의 상단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 부재(22, 23)에는, 구체(20)의 일부가 배치되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22, 23)는, 가동 프레임(6)의 내주측으로부터 구체(20)를 유지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가동 모듈(3)과 지지체(4) 사이에 짐벌 기구가 구성되어 있고, 짐벌 기구에 사용한 가동 프레임(6)을 개재시켜서, 지지체(4)에 대하여 지지 부재(22)로 지지된 가동 모듈(3)은, 제1 축선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지지 부재(23)로 지지된 제2 축선 둘레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흔들림 보정 기구(7)는, 홀더(9)의 4개의 측면 각각에 설치되는 코일로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과, 케이스체(12)의 4개의 내측면의 각각에 설치되는 구동용 자석으로서의 흔들림 보정용 자석(27)을 구비하고 있다. 즉, 흔들림 보정 기구(7)는, 4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과, 4개의 흔들림 보정용 자석(27)을 구비하고 있다.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도선이 권회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흔들림 보정용 자석(27)은,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에 대향하도록 케이스체(12)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홀더(9)와, 4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과, 후술하는 8개의 단자 핀(36) 및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에 의해 코일 유닛(35)(도 4 참조)이 구성되어 있다. 이 코일 유닛(35)은, 지지체(4)에 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코일 유닛(3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촬영용 광학 장치(1)에서는, 가동 모듈(3)의 하단부면에 설치되는 자이로스코프(28)(도 2 참조)에 의해 가동 모듈(3)의 기울기의 변화가 검출되면, 자이로스코프(28)에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에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에 전류가 공급되면, 짐벌 기구에 사용한 가동 프레임(6)을 개재시켜서, 지지체(4)에 대하여 지지 부재(22)로 지지된 가동 모듈(3)은, 제1 축선 둘레에서 요동하거나, 지지 부재(23)로 지지된 제2 축선 둘레에서 요동하여, 흔들림이 보정된다.
(코일 유닛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코일 유닛(35)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코일 유닛(35)을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홀더(9) 및 단자 핀(36)의 사시도이다.
코일 유닛(35)은, 홀더(9)와 4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코일 유닛(35)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단부가 묶여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제의 8개의 단자 핀(36)과, 8개의 단자 핀(36)이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회로 기판으로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은,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2개의 긴 변부(26a)와, 긴 변부(26a)보다 짧은 2개의 짧은 변부(26b)로 구성되어 있다.
홀더(9)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홀더(9)는, 대략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내통부(9a)와, 대략 사각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통부(9a)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외통부(9b)와, 내통부(9a)의 하단부와 외통부(9b)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저부(9c)로 구성되는 이중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9a)의 내주측에는 카메라 모듈(8)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홀더(9)의 외형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즉, 상하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홀더(9)의 외주면(구체적으로는, 외통부(9b)의 외주면)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홀더(9)의 외주면에는, 좌우 방향에 대략 직교함과 함께 서로 평행인 2개의 측면(9d)과, 전후 방향에 대략 직교함과 함께 서로 평행인 2개의 측면(9e)이 형성되어 있다.
즉, 홀더(9)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9d)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과,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9e)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이 형성되어 있고, 이 2개의 측면쌍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의 상하 방향은, 2개의 측면쌍 중 한쪽 측면쌍을 구성하는 측면(9d)에 직교하는 방향인 좌우 방향과, 2개의 측면쌍 중 다른 쪽 측면쌍을 구성하는 측면(9e)에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이다.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긴 변에 평행인 방향(즉, 긴 변부(26a)에 평행인 방향)과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짧은 변에 평행인 방향(즉, 짧은 변부(26b)에 평행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 방향이라 하면, 측면(9d, 9e)의 각각에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면이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9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면(9d, 9e)의 각각에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9g)가 접촉면(9f)으로부터 홀더(9)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9d)에는,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g)가 형성되고, 측면(9e)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g)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9d)에 형성되는 접촉면(9f)은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9e)에 형성되는 접촉면(9f)은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면(9d)에 형성되는 볼록부(9g)는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전후 방향을 긴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구체적으로는, 네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면(9e)에 형성되는 볼록부(9g)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좌우 방향을 긴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구체적으로는, 네 모서리가 둥그스름한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g)는, 측면(9d, 9e)의 대략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접촉면(9f)은, 볼록부(9g)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할 수 있도록, 측면(9d, 9e)에 있어서,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양 끝 부분보다 접촉면(9f)만이 홀더(9)의 외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볼록부(9g)만이 접촉면(9f)보다 홀더(9)의 외주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접촉면(9f)의 상단부는,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9h)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상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접촉면(9f)의 상단부는, 곡면부(9h)를 개재시켜서 홀더(9)의 상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접촉면(9f)의 하단부는,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9j)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즉, 접촉면(9f)의 하단부는, 곡면부(9j)를 개재시켜서 홀더(9)의 하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9)의 상단부면 및 하단부면에 대하여 접촉면(9f)은 홀더(9)의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9g)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9g)의 선단측에는, 접촉면(9f)에 평행인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9k)이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9d)에 형성되는 볼록부(9g)의 선단측(좌우 방향의 외측단부)에는, 좌우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9k)이 형성되고, 측면(9e)에 형성되는 볼록부(9g)의 선단측(전후 방향의 외측단부)에는,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9k)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9g)의 선단측에는, 볼록부 단부면(9k)으로부터 홀더(9)의 외주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 볼록부로서의 볼록부(9m)가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9d)의 볼록부(9g)에는, 좌우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m)가 형성되고, 측면(9e)의 볼록부(9g)에는, 전후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m)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9d)의 볼록부(9g)에 형성되는 볼록부(9m)는,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전후 방향을 긴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면(9e)의 볼록부(9g)에 형성되는 볼록부(9m)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좌우 방향을 긴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9m)는, 볼록부(9g)의 대략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 단부면(9k)은, 볼록부(9m)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은, 볼록부(9g)의 측면에 권회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정렬 권취체에 의해 볼록부(9g)의 측면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9g)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이 상하 방향을 짧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짧은 방향과 상하 방향이 일치하도록 볼록부(9g)에 권회되어 있다.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내주면은 전체 둘레에 걸쳐서, 볼록부(9g)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면(9f)에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면이 접촉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접촉면(9f)과 볼록부 단부면(9k)의 거리 D(도 6 참조)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다. 즉, 측면(9d)에 있어서, 접촉면(9f)과 볼록부 단부면(9k)의 좌우 방향의 거리 D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고, 측면(9e)에 있어서, 접촉면(9f)과 볼록부 단부면(9k)의 전후 방향의 거리 D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면과 볼록부 단부면(9k)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단자 핀(36)은,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 핀(36)은,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핀(36)은, 사각기둥형(사각막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핀(36)은, 홀더(9)의 하단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핀(36)은, 측면(9d, 9e)의 각각의 접촉면(9f)에 대하여 내측이며 외통부(9b)의 하단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압입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측면(9d, 9e)의 각각의 하방에 2개의 단자 핀(36)이 배치되어 있다.
측면(9d)의 하방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 핀(36)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고, 한쪽 단자 핀(36)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묶이고, 다른 쪽 단자 핀(36)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종료측 단부가 묶여 있다. 측면(9e)의 하방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 핀(36)은,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고, 한쪽 단자 핀(36)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묶이고, 다른 쪽 단자 핀(36)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종료측 단부가 묶여 있다. 또한, 측면(9d)의 하방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 핀(36)은, 볼록부(9g)의 전후 방향의 측면보다 전후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고, 측면(9e)의 하방에 배치되는 2개의 단자 핀(36)은, 볼록부(9g)의 좌우 방향의 측면보다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직접 권회될 때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부분이 처음에 접촉하는 볼록부(9g)의 측면 부분을 권취 개시 접촉부(9p)라 하면(도 6 참조), 측면(9d, 9e)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36)과 권취 개시 접촉부(9p) 사이에는, 접촉면(9f)보다 움푹 들어간 코일 도입부(9r)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9d)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9g)의 한쪽 측면이 권취 개시 접촉부(9p)로 되어 있고, 측면(9e)에서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9g)의 한쪽 측면이 권취 개시 접촉부(9p)로 되어 있다.
코일 도입부(9r)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과 권취 개시 접촉부(9p)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입부(9r)의 폭은, 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다. 즉, 측면(9d)에 형성되는 코일 도입부(9r)의 전후 방향의 폭은, 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고, 이 코일 도입부(9r)의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대략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측면(9e)에 형성되는 코일 도입부(9r)의 좌우 방향의 폭은, 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고, 이 코일 도입부(9r)의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대략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코일 도입부(9r)의 접촉면(9f)으로부터의 움푹 들어간 양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코일 도입부(9r)의 접촉면(9f)으로부터의 움푹 들어간 양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과 같게 되어 있다. 접촉면(9f)의 하단부와 마찬가지로, 코일 도입부(9r)의 하단부는,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9v)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 핀(36)은 곡면부(9v)의 내측에 있어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권취 개시측 단부가 단자 핀(36)에 고정된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은, 그 후, 이 단자 핀(36)과 권취 개시 접촉부(9p)를 연결하는 선 상에 형성되는 코일 도입부(9r)의 경사면(9s)(도 6 참조)을 따라 권취 개시 접촉부(9p)까지 배선된다. 즉,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성하는 도선을 단자 핀(36)에 묶어서 고정하고 나서, 도선은 코일 도입부(9r)의 경사면(9s)을 따라 권취 개시 접촉부(9p)까지 배선되고, 볼록부(9g)에 권회된다. 또한,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볼록부(9g)의 측면이며, 권취 개시 접촉부(9p)로 되는 측면과 반대측 측면을 비권취 개시 접촉부(9t)(도 6 참조)라 하면, 본 형태에서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종료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36)과 비권취 개시 접촉부(9t) 사이에도, 코일 도입부(9r)와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오목부(9u)가 형성되어 있다. 코일 도입부(9r)의 하단부와 마찬가지로, 오목부(9u)의 하단부는,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9w)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연결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은, 외통부(9b)의 하단부면을 따라 배치되는 단자 접속부(37a)와, 단자 접속부(37a)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37b)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접속부(37a)의 하면에는, 단자 핀(36)이 납땜되는 땜납 랜드(37c)가 형성되어 있다. 땜납 랜드(37c)는, 단자 핀(36)의 일부가 배치되는 대략 D 형상의 절결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땜납 랜드(37c)는, 단자 핀(36)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 구멍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도 된다.
(흔들림 보정용 코일의 권회 방법)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홀더(9)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권회하는 권선 장치(41)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의 F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홀더(9)의 볼록부(9g)에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선은, 권선 장치(41)를 사용해서 행해진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권선 장치(41)는, 홀더(9)가 고정되는 권선용 본체부(42)와, 본체부(42)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도시 생략)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성하는 도선을 공급하는 공급 노즐(43)과, 본체부(42)와 함께 회전하는 종속 헤드(44)를 구비하고 있다. 권선용 본체부(42)는, 홀더(9)가 탑재되는 홀더 탑재부(45)와, 홀더 탑재부(45) 사이에 홀더(9)를 끼워서 홀더(9)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부(46)와, 도 7의 상하 방향을 회동의 축방향으로 하여 홀더 탑재부(45)를 회동 가능하게 유지함과 함께 도 7의 상하 방향으로 클램프부(46)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이스부(47)를 구비하고 있다. 권선용 본체부(42)는, 도 7의 좌우 방향을 회전의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속 헤드(44)는, 도 7의 좌우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종속 헤드(44)는, 도 7의 좌우 방향을 회전의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속 헤드(44)에는, 종속 헤드(44)를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가 연결되어 있고, 권선용 본체부(42)와 종속 헤드(44)가 동기해서 회전한다. 또한, 종속 헤드(44)에는, 홀더(9)의 볼록부 단부면(9k)에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4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속 헤드(44)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부(9m)가 들어가는 오목부(44b)가 형성되어 있다.
권선 장치(41)를 사용해서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볼록부(9g)에 권회할 때는, 먼저, 권선용 본체부(42)에 홀더(9)를 고정함과 함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단부를 단자 핀(36)에 묶어서 고정한다. 그 후, 종속 헤드(44)의 오목부(44b) 내에 볼록부(9m)가 배치됨과 함께 접촉면(44a)이 볼록부 단부면(9k)에 밀어붙여지도록 종속 헤드(44)를 이동시킨다. 접촉면(44a)이 볼록부 단부면(9k)에 밀어붙여지면, 접촉면(44a)과 접촉면(9f) 사이의 간격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와 같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급 노즐(43)로부터 도선을 공급하면서, 본체부(42)와 종속 헤드(44)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권회한다. 또한,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면,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종료측 단부를 단자 핀(36)에 묶어서 고정한다.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종료측 단부를 단자 핀(36)에 묶어서 고정하면, 베이스부(47)에 대하여 홀더 탑재부(45)를 90°회동시키고 나서, 마찬가지로 하여, 다음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권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측면(9d, 9e)의 각각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순차 권회한다. 또한, 각 볼록부(9g)에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회가 종료할 때마다, 홀더(9)가 탑재된 홀더 탑재부(45)의 회동이 가능해지도록, 종속 헤드(44) 및 클램프부(46)를 이동시킨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성하는 도선은 융착 피막을 갖는 융착선이며, 각 볼록부(9g)에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회가 종료될 때마다, 홀더(9)와 함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가열하여, 도선끼리를 융착시킨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홀더(9)의 측면(9d, 9e)에 형성되는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직접 권회되어 있다. 즉, 본 형태에서는, 권선 장치(41)를 사용해서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함으로써, 그대로,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홀더(9)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홀더(9)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면이 접촉하는 접촉면(9f)과 볼록부(9g)의 볼록부 단부면(9k)이 평행으로 되어 있고, 접촉면(9f)과 볼록부 단부면(9k)의 거리 D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종속 헤드(44)의 접촉면(44a)을 볼록부 단부면(9k)에 밀어붙인 상태에서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함으로써,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붕괴를 방지하면서 볼록부(9g)에 정연하게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측면(9d, 9e)에 있어서,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36)과 권취 개시 접촉부(9p) 사이에, 접촉면(9f)보다 움푹 들어간 코일 도입부(9r)가 형성되어 있고, 코일 도입부(9r)의 접촉면(9f)으로부터의 움푹 들어간 양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볼록부(9g)에 대하여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정렬 권취체로 권회할 때,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36)과 권취 개시 접촉부(9p) 사이에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도선에, 권취 개시로부터 2바퀴째 이후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도선이 올라 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정렬 권취체에 의해 볼록부(9g)에 대하여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정연하게 권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단자 핀(36)은, 측면(9d, 9e)의 각각의 접촉면(9f)에 대하여 내측의 위치에 있어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홀더(9)의 하단부면에 고정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홀더(9)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할 때의, 단자 핀(36)에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걸림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접촉면(9f)의 상단부가 곡면부(9h)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상단부면에 연결되고, 접촉면(9f)의 하단부가 곡면부(9j)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면(9f)으로부터 돌출되는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할 때 외통부(9b)의 상하의 양 단부면과 접촉면(9f)의 경계 부분에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걸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코일 도입부(9r)의 하단부가 곡면부(9v)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연결되고, 오목부(9u)의 하단부가 곡면부(9w)를 개재시켜서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할 때 외통부(9b)의 상하의 양 단부면과 코일 도입부(9r), 오목부(9u)의 경계 부분에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걸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단자 핀(36)이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단자 핀(36)에 묶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단부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코일 도입부(9r)의 폭이, 하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으로 분할되는 금형을 사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홀더(9)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형태에서는, 볼록부 단부면(9k)으로부터 홀더(9)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9m)가 볼록부(9g)에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본 형태에서는, 코일 유닛(35)을 취급할 때,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외부의 부재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코일 유닛(35)을 취급할 때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속 헤드(44)의 접촉면(44a)을 볼록부 단부면(9k)의 외주부에만 밀어붙이게 되므로, 접촉면(44a)과 접촉면(9f)의 간격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촬영용 광학 장치(1)에 있어서,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에 대향 배치되는 흔들림 보정용 자석(27)과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접촉을 볼록부(9m)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 형태)
상술한 형태는, 본 발명의 적합한 형태의 일례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측면(9d, 9e)에, 1개의 볼록부(9g)가 형성되고, 1개의 볼록부(9g)에 1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어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측면(9d, 9e)에, 1개의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는 2개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측면(9d)에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2개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측면(9e)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상태에서 2개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2개의 측면(9d)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됨과 함께, 2개의 측면(9e)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어 있다. 이 밖에도 예를 들어, 2개의 측면(9d)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고, 2개의 측면(9e)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2개의 측면(9e)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고, 2개의 측면(9d)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2개의 측면(9d) 중 한쪽 측면(9d)의 볼록부(9g)와, 2개의 측면(9e) 중 한쪽 측면(9e)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고, 다른 쪽 측면(9d)의 볼록부(9g)와 다른 쪽 측면(9e)의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권회되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단자 핀(36)은, 외통부(9b)의 하단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외통부(9b)의 하단부면에 고정되어 있지만, 단자 핀(36)은, 외통부(9b)의 외주면에 고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볼록부(9g)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을 직접 권회할 때, 단자 핀(36)에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이 걸리지 않도록, 예를 들어 외통부(9b)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오목부 내에 단자 핀(36)이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단자 핀(36)은,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단자 핀(36)은, 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타원기둥형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코일 도입부(9r)의 형상은 대략 직각삼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코일 도입부(9r)의 형상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36)과 권취 개시 접촉부(9p)를 연결하는 직선 모양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흔들림 보정용 코일(26)의 권취 종료측 단부가 고정되는 단자 핀(36)과 비권취 개시 접촉부(9t) 사이에 오목부(9u)가 형성되어 있지만, 오목부(9u)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단자 핀(36)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7)에 납땜되어 있지만, 단자 핀(36)은, 리지드 기판에 납땜되어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볼록부(9g)의 선단측에 볼록부(9m)가 형성되어 있지만, 볼록부(9m)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종속 헤드(44)에 오목부(44b)를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기 때문에, 종속 헤드(44)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형태에서는,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홀더(9)의 외형은, 대략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지만, 광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홀더(9)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대략 정육각형이나 대략 정팔각형 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형태에서는, 코일 유닛(35)은, 촬영용 광학 장치(1)에 탑재되어 있지만, 코일 유닛(35)은, 촬영용 광학 장치(1) 이외의 장치에 탑재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코일은, 흔들림 보정용 코일(26) 이외의 코일이어도 된다.
1 : 촬영용 광학 장치
4 : 지지체
8 : 카메라 모듈
9 : 홀더(코일 유지 부재)
9d, 9e : 측면
9f : 접촉면
9g : 볼록부
9h, 9j : 곡면부
9k : 볼록부 단부면
9m : 볼록부(제2 볼록부)
9p : 권취 개시 접촉부
9r : 코일 도입부
26 : 흔들림 보정용 코일(코일)
27 : 흔들림 보정용 자석(구동용 자석)
35 : 코일 유닛
36 : 단자 핀
37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회로 기판)
37c : 땜납 랜드
D : 접촉면과 볼록부 단부면 사이의 거리
Z : 제1 방향

Claims (19)

  1.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코일의 긴 변에 평행인 방향과 상기 코일의 짧은 변에 평행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기 코일의 두께 방향이라 하면,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단부면이 맞닿는 평면 형상의 맞닿음면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코일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가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맞닿음면에 평행인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볼록부 단부면의 거리는, 상기 코일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단부가 묶여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제의 단자 핀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이 2개 형성됨과 함께, 2개의 상기 측면쌍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맞닿음면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측면쌍 중 한쪽의 상기 측면쌍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2개의 상기 측면쌍 중 다른 쪽의 상기 측면쌍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면,
    상기 단자 핀은,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상기 코일이 직접 권회될 때 상기 코일의 권취 개시측 부분이 처음에 접촉하는 상기 볼록부의 측면 부분을 권취 개시 접촉부라 하면,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상기 측면의, 상기 코일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단자 핀과 상기 권취 개시 접촉부 사이에는, 상기 맞닿음면보다 움푹 들어간 코일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입부의,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양은,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입부의,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양은, 상기 도선의 외경과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두께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입부의 폭은, 상기 단자 핀이 고정되는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상기 제1 방향의 한쪽 단부면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넓어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입부의,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양은,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핀이 납땜되는 땜납 랜드가 형성된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이 2개 형성됨과 함께, 2개의 상기 측면쌍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맞닿음면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측면쌍 중 한쪽의 상기 측면쌍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2개의 상기 측면쌍 중 다른 쪽의 상기 측면쌍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면,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의 양단 각각은,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를 개재시켜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양 단부면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볼록부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11.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의 양단 각각은,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를 개재시켜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양 단부면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
  12. 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유지 부재가 고정됨과 함께 회전 가능한 권선용 본체부와,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을 공급하는 공급 노즐과, 상기 본체부와 함께 회전하는 종속 헤드를 구비하는 권선 장치를 구비하고,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코일의 긴 변에 평행인 방향과 상기 코일의 짧은 변에 평행인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상기 코일의 두께 방향이라 하면,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코일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일단부면이 맞닿는 평면 형상의 맞닿음면이 형성됨과 함께, 상기 코일이 직접 권회되는 볼록부가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돌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의 선단측에는, 상기 맞닿음면에 평행인 평면 형상의 볼록부 단부면이 형성되고,
    상기 맞닿음면과 상기 볼록부 단부면의 거리는, 상기 코일의 두께와 같게 되어 있고,
    상기 종속 헤드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상기 볼록부 단부면에 접촉하는 평면 형상의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속 헤드의 상기 접촉면을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상기 볼록부 단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종속 헤드와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에 상기 도선을 직접 권회해서 상기 코일을 상기 코일 유지 부재에 구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는 상기 코일의 단부가 묶여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제의 단자 핀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면에는, 서로 평행인 한 쌍의 측면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쌍이 2개 형성됨과 함께, 2개의 상기 측면쌍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맞닿음면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측면에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측면쌍 중 한쪽의 상기 측면쌍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과 2개의 상기 측면쌍 중 다른 쪽의 상기 측면쌍을 구성하는 상기 측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면,
    상기 단자 핀은, 다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한쪽 단부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단자 핀에 상기 도선을 묶고 나서 상기 볼록부에 상기 도선을 직접 권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 상기 코일이 직접 권회될 때 상기 코일의 권취 개시측 부분이 처음에 접촉하는 상기 볼록부의 측면 부분을 권취 개시 접촉부라 하면,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상기 측면의, 상기 코일의 권취 개시측 단부가 고정되는 상기 단자 핀과 상기 권취 개시 접촉부 사이에는, 상기 맞닿음면보다 움푹 들어간 코일 도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선은, 상기 단자 핀으로부터 상기 권취 개시 접촉부에 상기 코일 도입부를 개재시켜서 권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도입부의, 상기 맞닿음면으로부터 움푹 들어간 양은, 상기 코일을 구성하는 도선의 외경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면의 양단 각각은, 볼록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곡면부를 개재시켜서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양 단부면의 각각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볼록부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종속 헤드의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제2 볼록부가 들어갈 수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종속 헤드의 상기 접촉면을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상기 볼록부 단부면에 접촉시켰을 때,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로 들어가고, 이 상태에서 상기 종속 헤드와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볼록부에 상기 도선을 직접 권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일 유닛과, 렌즈 및 촬상 소자를 갖고 상기 코일 유지 부재에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코일 유닛을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어 상기 코일에 대향 배치되는 구동용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유닛의 상기 볼록부에는, 상기 볼록부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코일 유지 부재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제2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용 광학 장치.
KR1020160084610A 2015-07-08 2016-07-05 코일 유닛,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촬영용 광학 장치 KR201700071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6653 2015-07-08
JP2015136653A JP6572028B2 (ja) 2015-07-08 2015-07-08 コイルユニットおよび撮影用光学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134A true KR20170007134A (ko) 2017-01-18

Family

ID=5773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610A KR20170007134A (ko) 2015-07-08 2016-07-05 코일 유닛,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촬영용 광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1750B2 (ko)
JP (1) JP6572028B2 (ko)
KR (1) KR20170007134A (ko)
CN (1) CN106338873B (ko)
TW (1) TWI7008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4583B1 (ko) * 2013-09-25 2021-09-27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CN108027490B (zh) * 2015-09-15 2020-06-23 富士胶片株式会社 透镜镜筒及摄影装置
CN107238910B (zh) * 2016-03-29 2023-08-1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JP6936580B2 (ja) 2017-02-08 2021-09-1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積層制御装置、積層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93065B2 (ja) * 2017-03-13 2020-12-0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前記レンズ駆動装置を使用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
JP6989275B2 (ja) * 2017-03-30 2022-01-0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873829B2 (ja) * 2017-06-02 2021-05-1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09089020B (zh) * 2017-06-13 2021-06-04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系统
JP2019028112A (ja) * 2017-07-26 2019-02-2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07444969A (zh) * 2017-08-25 2017-12-08 福州可源电子有限公司 一种绕线机
JP6951173B2 (ja) * 2017-09-20 2021-10-20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7016666B2 (ja) * 2017-10-20 2022-02-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7222629B2 (ja) * 2018-08-06 2023-02-15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JP7213121B2 (ja) * 2019-03-28 2023-01-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光学ユニット
US11442287B2 (en) * 2018-11-30 2022-09-13 Nidec Sankyo Corporation Optical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288A (ja) 2009-10-09 2011-04-21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およびこの撮影用光学装置を備える携帯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713B2 (ja) * 1997-05-23 2000-09-2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巻線型チップバルントランス
JP3570946B2 (ja) * 2000-01-18 2004-09-29 日特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巻線方法と巻線治具および巻線装置
JP4673499B2 (ja) * 2001-05-01 2011-04-20 コーア株式会社 チップ型コイル
CN101673553B (zh) * 2007-06-08 2012-01-04 北京泰和磁记录制品有限公司 磁头
JP4844848B2 (ja) * 2008-03-24 2011-12-28 Tdk株式会社 電子部品の継線構造
JP2011521285A (ja) * 2008-05-14 2011-07-21 ハイソニック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振れ補正機能を備えた映像撮影装置
JP5465500B2 (ja) * 2008-10-20 2014-04-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および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における振れ補正制御方法
JP5348235B2 (ja) * 2009-08-21 2013-11-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カメラ
JP2012055031A (ja) * 2010-08-31 2012-03-15 Nidec Sankyo Corp モータ
JP2012103373A (ja) * 2010-11-09 2012-05-31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
JP5868042B2 (ja) * 2011-07-01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防振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013134455A (ja) * 2011-12-27 2013-07-08 Nidec Copal Corp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WO2013172001A1 (ja) * 2012-05-16 2013-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
JP6077938B2 (ja) * 2012-05-31 2017-02-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1349524B1 (ko) *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4059341A (ja) * 2012-09-14 2014-04-03 Canon Inc 像ぶれ補正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KR102089429B1 (ko) * 2012-12-12 2020-03-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TWI457693B (zh) * 2013-05-10 2014-10-21 Tdk Taiwan Corp 光學影像防震裝置
JP6077939B2 (ja) * 2013-05-30 2017-02-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204166184U (zh) * 2014-11-05 2015-02-18 爱佩仪光电技术(深圳)有限公司 一种有利于生产的微型移轴式光学防抖音圈马达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1288A (ja) 2009-10-09 2011-04-21 Nidec Sankyo Corp 撮影用光学装置およびこの撮影用光学装置を備える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1750B2 (en) 2021-11-23
JP2017021093A (ja) 2017-01-26
TW201703398A (zh) 2017-01-16
CN106338873B (zh) 2019-04-09
JP6572028B2 (ja) 2019-09-04
TWI700877B (zh) 2020-08-01
CN106338873A (zh) 2017-01-18
US20170010475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7134A (ko) 코일 유닛, 코일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촬영용 광학 장치
CN107526229B (zh) 线圈单元以及拍摄用光学装置
JP6410474B2 (ja) コイルユニット、駆動機構、巻線装置および巻線方法
CN109324422B (zh) 透镜驱动装置、摄像机模块及摄像机搭载装置
JP7041360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5538020B2 (ja) 撮影用光学装置
US20190361262A1 (en) Photographing optical device
JP6993567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CN105527777A (zh) 透镜移动装置
JP2011170214A (ja) レンズ駆動装置
US11057548B2 (en) Coil uni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hotographing optical device
CN107544123A (zh) 透镜驱动装置
JP6122352B2 (ja) 撮影用光学装置
JP5404275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6106511B2 (ja) レンズ駆動装置
US11622077B2 (en) Optical unit
JP6190713B2 (ja) 撮影用光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