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613A -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613A
KR20160147613A KR1020150126169A KR20150126169A KR20160147613A KR 20160147613 A KR20160147613 A KR 20160147613A KR 1020150126169 A KR1020150126169 A KR 1020150126169A KR 20150126169 A KR20150126169 A KR 20150126169A KR 20160147613 A KR20160147613 A KR 2016014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moving stage
heating
fixed shaf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946B1 (ko
Inventor
왕샤오런
Original Assignee
베이징 골드윈드 싸이언스 앤 크리에이션 윈드파워 이큅먼트 코.,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골드윈드 싸이언스 앤 크리에이션 윈드파워 이큅먼트 코.,엘티디. filed Critical 베이징 골드윈드 싸이언스 앤 크리에이션 윈드파워 이큅먼트 코.,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14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1/00Connecting or disconnecting metal parts or objects by metal-working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5/00Auxiliary treatment of workpieces, before or during machining operations, to facilitate the action of the tool or the attainment of a desired final condition of the work, e.g. relief of internal stress
    • F03D1/00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80/00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3D1/00 - F03D17/00
    • F03D80/70Bearing or lubricating arrangements
    • F03D9/00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30/00Manufacture
    • F05B2230/60Assembly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31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02E10/7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 설치된 제1레일 및 제2레일,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 베어링 가열장치 및 고정축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는 제1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와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상기 제2레일(11)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7)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9)는 상기 제2레일(11)에 장착되고,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는 조립공간을 구비하는바, 해당 조립공간은 조립될 베어링이 로딩된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및 조립될 고정축이 로딩된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설계가 합리하고 인력자원을 절약하며 작업효율을 향상하고 안전문제를 감소할 수 있으며 축계의 기계화 조립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Assembly system for shafting system of permanent magnet direct drive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기계조립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shafting) 조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풍력발전기술은 우리 나라에서 쾌속한 발전을 가져와 한대의 풍력발전기의 용량도 갈수록 더 커지고 있으며 MW레벨의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의 축계 조립은 풍력발전기 조립의 제일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현재, MW 레벨의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의 축계 조립은 모두 양중장비에 의해 축계 부재를 양중하는 방식을 적용하는데, 조립과정에 축계 부재에 대해 번지기 등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양중장비가 축계 부재를 반복적으로 양중하여야 하기에 기계화 정도가 낮고 대량의 인력낭비를 초래하며 양중과정에 여러 가지 안전문제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계의 기계화 조립을 구현할 수 있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여 축계 부재의 조립효율을 향상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방안을 적용한다.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 설치된 제1레일 및 제2레일,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 베어링 가열장치 및 고정축 가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는 상기 제1레일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와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는 상기 제2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는 상기 제2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제1레일을 중심선으로,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와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는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와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는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는 조립공간을 구비하는바, 해당 조립공간은 조립될 베어링이 로딩된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및 조립될 고정축이 로딩된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는 승강 가능한 회전축 로딩 면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 로딩 면 중부에는 회전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로딩 면 하부는 상기 조립공간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는 평행 설치된 2개의 문형 프레임과 2개의 문형 프레임을 함께 고정 연결하는 2개의 수평 설치된 제1도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의 4개 밑각에는 제1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1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로딩 면은 4개의 제1신축지지부재에 지지되며, 4개의 상기 제1신축지지부재는 각각 2개의 상기 제1도리의 양단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에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는 상기 제1관통홀을 통해 상기 회전축과 상기 베어링 및 상기 고정축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는 승강 가능한 베어링 로딩 면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로딩 면에는 상기 베어링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는 제1승강장치와 제1가열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장치는 전체적으로 문형을 나타내며 상기 제2레일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챔버이고 크기가 상기 조립될 베어링의 크기와 대응되며 그 내부에는 제1가열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가열로와 상기 제1승강장치는 연결되고, 상기 제1가열로의 밑부분과 상기 베어링 로딩 면은 맞대어진 후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는 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로딩 면은 4개의 제2신축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카 프레임에 지지되고, 상기 카 프레임의 밑부분에는 제2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2롤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환형 챔버이며, 밑부분에는 2개의 직경이 부동한 제1환형전열부재를 구비하는바, 직경이 큰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는 외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는 내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 사이에는 가열된 베어링의 출입을 위한 환형의 노구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는 상기 노벽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된 곳에 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가열로의 챔버 내에는 상기 제1가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온도 센서는 상기 제1가열로의 챔버 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감시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1가열소자의 작동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는 승강 가능한 고정축 로딩 면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의 전체 크기는 조립될 고정축을 로딩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공간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축 로딩 면에는 상기 고정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3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는 제2승강장치와 제2가열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승강장치는 전체적으로 문형을 나타내고 상기 제2레일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챔버이고 크기는 조립될 고정축의 크기와 대응되며 그 내부에는 제2가열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제2가열로와 상기 제2승강장치는 연결되고, 상기 제2가열로의 밑부분과 상기 고정축 로딩 면이 맞대어진 후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는 밑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 로딩 면은 적어도 3개의 제3신축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밑판에 지지되며, 상기 밑판에는 제2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3롤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환형 챔버이며, 밑부분에는 2개의 직경이 부동한 제2환형전열부재를 구비하는바, 직경이 큰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는 외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는 내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 사이에는 가열된 베어링의 출입을 위한 환형의 노구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는 상기 노벽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된 곳에 제2양방향 탄성 복원기구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가열로의 챔버 내에는 상기 제2가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2온도 센서는 상기 제2가열로의 챔버 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감시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2가열소자의 작동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레일의 방향을 따라,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는 각각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교차점의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교차점에 가까이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조립 클린룸(clean room)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교차점 및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는 상기 조립 클린룸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교차점 부근에 설치되는 너트 체결 로봇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은 수직되게 교차되는 제1레일과 제2레일에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 베어링 가열장치 및 고정축 가열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베어링과 고정축의 이동, 가열, 및 회전축과 베어링 및 고정축 간 조립의 기계화 작업을 구현하였으며, 축계 부재 조립효율을 향상하였다.
도1은 축계 부재 조립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도1 중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도1 중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도1 중 베어링 가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도5의작동 상태의 국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7은 도1 중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 및 실시예를 결합하여 본 발명의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이해할 것은, 여기서 묘사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석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먼저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부재의 조립구성을 간단히 소개하는바, 본 발명 중의 축계 부재는 주로 풍력발전기 세트의 이동 축, 베어링 및 고정축을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은 베어링(2)의 내부 슬리브에 조립되고, 베어링 엔드 캡(4)은 나사에 의해 회전축(1)에 연결되어 회전축(1)과 함께 베어링(2)을 파지 및 고정하며, 회전축(3)은 베어링(2)의 외부 슬리브에 씌워져 나사에 의해 회전축(1)과 연결되며 고정축(3), 베어링(2) 및 회전축(1)을 함께 고정 연결시킨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시스템은, 서로 수직되게 교차 설치된 제1레일(10) 및 제2레일(11),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 베어링 가열장치(7) 및 고정축 가열장치(9)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와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상기 제2레일(11)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7)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9)는 상기 제2레일(11)에 장착되고, 제1레일(10)을 중심선으로, 베어링 가열장치(7)와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정축 가열장치(9)와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타측에 설치되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조립공간(52)을 구비하는바, 해당 조립공간(52)은 조립될 베어링(2)이 로딩된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 및 조립될 고정축(3)이 로딩된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승강 가능한 회전축 로딩 면(51)을 구비하며, 회전축 로딩 면(51) 중부에는 회전축(1)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관통홀(511)이 구비되고, 회전축 로딩 면(51) 하부는 조립공간(52)을 형성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승강 가능한 베어링 로딩 면(61)을 구비하며, 베어링 로딩 면(61)에는 베어링(2)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2관통홀(611)이 구비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가열장치(7)는 제1승강장치(71)와 제1가열로(72)를 포함하며, 제1승강장치(71)는 전체적으로 문형을 나타내고 제2레일(11)의 양측에 장착되며, 제1가열로(72)는 밑부분이 개방된 챔버이고 크기는 조립될 베어링(2)의 크기와 대응되며 그 내부에는 제1가열소자(미도시)가 설치되며, 제1가열소자는 전열선, 탄화규소 로드 등 전기가열소자일 수 있으며, 제1가열로(72)와 제1승강장치(71)는 연결되고, 제1가열로(72)의 밑부분과 베어링 로딩 면(61)은 맞대어진 후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가열로(72)의 챔버 내에는 제1가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온도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제1온도 센서는 제1가열로(72)의 챔버 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감시된 온도에 따라 제1가열소자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렇게 제1가열로(72) 온도의 자동적 조절을 구현하였으며 자동화 정도를 향상하였다.
축계 부재의 조립 작업에서, 우선 회전축(1)과 베어링(2)의 조립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회전축(1)을 회전축 로딩 면(51)에 놓고 회전축(1)이 제1관통홀(511)을 통과하도록 하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회전축(1)을 구동하여 제1레일(10)을 따라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의 교차 위치까지 운동한 후 기다린다. 또한, 베어링(2)을 베어링 로딩 면(61)에 놓고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베어링(2)을 구동하여 제2레일(11)을 따라 베어링 가열장치(7)의 하부까지 운동한 후 운동을 정지하며, 이때 제1승강장치(71)은 제1가열로(72)를 구동하여 베어링(2)을 향해 운동하도록 하며 제1가열로(72)가 베어링(2)을 씌우도록 하며, 제1가열로(72)의 밑부분과 베어링 로딩 면(61)이 맞대어져 베어링(2)을 제1가열로(72) 내부에 밀폐하여 베어링(2)을 가열하며, 베어링(2)의 가열작업을 완성한 후, 제1승강장치(71)는 제1가열로(72)를 베어링(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여 베어링(2)이 제1가열로(72)에서 이탈하도록 한다. 그후,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베어링(2)을 구동하여 계속하여 제2레일(11)을 따라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의 교차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며, 베어링(2)과 회전축(1)이 얼라이먼트된 후,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이동을 정지하며, 이때 회전축 로딩 면(51)은 회전축(1)을 구동하여 하강시켜 회전축(1)이 베어링(2)의 내부 슬리브에 장착되도록 하며, 다음 나사로 베어링 앤드 캡(4)을 회전축(1)에 장착하여 회전축(1)과 베어링 엔드 캡(4)이 베어링(2)에 대해 파지를 이루도록 하여 회전축(1)과 베어링(2) 간의 조립을 완성한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승강 가능한 고정축 로딩 면(81)을 구비하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의 전체 크기는 조립될 고정축(3)이 로딩된 상태에서 조립공간(52)을 통과할 수 있으며, 고정축 로딩 면(81)에는 고정축(3)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3관통홀(811)이 구비된다.
고정축 가열장치(9)는 제2승강장치(미도시)와 제2가열로(미도시)를 포함하며, 제2승강장치는 전체적으로 문형을 나타내고 제2레일의 양측에 장착되며, 제2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챔버이고 크기는 조립될 고정축의 크기와 대응되며 그 내부에는 가열소자가 설치되며, 제2가열로와 제2승강장치는 연결되고, 제2가열로의 밑부분과 고정축 로딩 면(81)은 맞대어 진 후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중의 고정축 가열장치(9)와 베어링 가열장치(7)의 구성원리는 동일하며, 단지 제2가열로와 제1가열로(72)의 노 내부 크기에 다소 구별이 있기에 고정축 가열장치(9)의 구체적인 구성은 베어링 가열장치(7)을 참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가열로의 챔버 내에는 제2가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제2온도 센서는 제2가열로의 챔버 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감시된 온도에 따라 제2가열소자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렇게 제2가열로 온도의 자동적 조절을 구현하였으며 자동화 정도를 향상하였다.
축계 부재의 조립작업 중, 회전축(1)과 베어링(2) 간의 조립을 완성한 후, 또 고정축(3)을 베어링(2)에 조립하여야 하며, 그 구체적인 조립과정은 다음과 같다. 베어링(2)과 회전축(1) 간의 조립을 완성한 후,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비여서 퇴출하며, 이때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함께 조립된 회전축(1)과 베어링(2)을 로딩하고 원 위치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고정축(3)을 고정축 로딩 면(81)에 놓고,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고정축(3)을 구동하여 제2레일(11)을 따라 고정축 가열장치(9)의 하부까지 운동한 후 운동을 정지하며, 이때 제2승강장치는 제2가열로를 구동하여 고정축(3)을 향해 운동시켜 제2가열로가 고정축(3)을 씌우고 제2가열로의 밑부분과 고정축 로딩 면(81)에 맞대어져 고정축(3)을 제2가열로 내부에 밀폐하여 고정축(3)을 가열한다. 고정축(3)의 가열작업을 완성한 후, 제2승강장치는 제2가열로를 구동하여 고정축(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운동하여 고정축(3)을 제2가열로 내부로부터 이탈하게 한다. 다음,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고정축(3)을 구동하여 계속하여 제2레일(11)을 따라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의 교차 위치까지 운동하도록 하며, 고정축(3)과 베어링(2)이 얼라이먼트된 후,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운동을 정지하며, 이때 회전축 로딩 면(51)은 회전축(1)과 회전축(1)에 조립된 베어링(2)을 구동하여 하강시키며 고정축(3)이 베어링(2)의 외부 슬리브에 씌워지도록 한 후, 나사로 고정축(3)을 상기 회전축에 고정하여 축계 부재의 조립을 완성한다. 조립을 전부 완성한 후,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비여서 퇴출하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조립을 완성한 축계 부재를 다음 작업 위치로 운송한다.
보다시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은 수직되게 교차된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에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 베어링 가열장치(7) 및 고정축 가열장치(9)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축(2)과 고정축(3)의 이동, 가열, 및 회전축(1)과 베어링(2) 및 고정축(3) 간의 조립의 기계화 작업을 구현하여 축계 부재에 대한 반복적인 양중을 피면하였으며 축계 부재를 번질 필요가 없으며 작업효율을 향상하고 안전성을 향상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계화 정도도 더욱 높으며 대량의 인력을 절약하였다.
바람직하게, 제2레일(11)의 방향을 따라, 베어링 가열장치(7)와 고정축 가열장치(9)는 각각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의 교차점의 양측에 설치되며, 교차점에 가까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설치는 축계 부재 조립의 공정요구에 더 잘 부합되며, 즉 가열 및 씌우기 공정에서, 베어링 또는 고정축을 가열한 후 즉시 교차 위치의 조립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에 열량손실을 감소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의 각 부분의 상세한 구성의 선택 가능한 실시방식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1.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구체적인 구성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평행 설치된 2개의 문형 프레임(53)과 2개의 문형 프레임(53)을 함께 고정 연결하는 2개의 수평 설치된 제1도리(54)를 포함하며, 2개의 제1도리(54)는 각각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양측에 위치하며 높이가 같으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4개 밑각에는 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1롤러(56)가 설치되고, 제1롤러(56)의 이동방향은 문형 프레임(53)과 수직되며, 적어도 3개의 제1신축지지부재(55)는 2개의 제1도리(54)에 분산 설치되어 평면 지지 구성을 형성하며, 회전축 로딩 면(51)은 적어도 3개의 제1신축지지부재(55)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한 제1신축지지부재(55)의 수량은 4개이며, 각각 제1도리(54)의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이렇게, 회전축 로딩 면(51)은 4개의 제1신축지지부재(55)의 구동 하에 승강운동을 진행하며, 동시에 부동한 제1신축지지부재(55)의 승강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회전축 로딩 면(51)을 조절하여 회전축(1)을 수평이 되도록 할 수 있는바, 이는 베어링(2)과 회전축(1) 및 고정축 간의 상호 얼라이먼트에 유리하며 따라서 조립작업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한다. 여기서, 제1신축지지부재(55)는 유압실린더 또는 기타 직선 구동을 진행할 수 있는 장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에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미도시)가 설치되며, 여기서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는 본 발명의 발명점이 아니고 기존의 기술인 바, 본 발명은 이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였을 뿐 이에 대해 개진을 수행하려는 것이 아니기에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의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는 제1관통홀(511)을 통해 회전축(1)과 베어링(2) 또는 고정축(3)의 상대적 위치정보를 검측하며, 회전축(1), 베어링(2) 및 고정축(3) 간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검측결과를 더욱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할 수 있으며,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의 검측결과에 따라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와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의 변이를 조절하여 회전축(1), 베어링(2) 및 고정축(3) 상호 간에 더 정확하게 얼라이먼트되도록 할 수 있다.
2.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의 구체적인 구성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카 프레임(62)을 포함하며, 베어링 로딩 면(61)은 적어도 3개의 제2신축지지부재(63)에 의해 카 프레임(62)에 지지되고, 카 프레임(62)의 밑부분에는 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2롤러(64)가 설치된다. 여기서, 카 프레임(62)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강판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사각 튜브 또는 기타 형강을 용접하여 제작된 구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한 제2신축지지부재(63)의 수량은 4개이며 구형으로 분포된다.
부동한 제2신축지지부재(63)의 승강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베어링 로딩 면(61)을 조절하여 베어링(2)을 수평되게 할 수 있는바, 이는 베어링(2)과 회전축(1) 및 고정축 간의 상호 얼라이먼트에 유리하며 따라서 조립작업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한다. 여기서, 제2신축지지부재(63)는 유압실린더 또는 기타 직선 구동을 진행할 수 있는 장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한 제2롤러(64)의 수량은 4개이며 카 프레임(62) 하부의 4개 모서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3.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의 구체적인 구성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밑판(84)을 포함하며, 고정축 로딩 면(81)은 적어도 3개의 제3신축지지부재(82)에 의해 밑판(84)에 지지되고, 밑판(84)에는 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3롤러(83)가 설치된다. 여기서, 밑판(84)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강판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사각 튜브 또는 기타 형강을 용접하여 제작된 구형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한 제3신축지지부재(82)의 수량은 4개이며 구형으로 분포된다. 부동한 제3신축지지부재(82)의 승강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해 고정축 로딩 면(81)을 조절하여 고정축(3)을 수평되게 할 수 있는바, 이는 고정축(3)과 베어링(2) 간의 상호 얼라이먼트에 유리하며 따라서 조립작업의 순리로운 진행을 보장한다. 여기서, 제3신축지지부재(82)는 유압실린더 또는 기타 직선 구동을 진행할 수 있는 장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한 제2롤러(64)의 수량은 4개이며 밑판(84) 하부의 4개 모서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4. 제1가열로(72)의 구체적인 구성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로(72)는 밑부분이 개방된 환형 챔버이며, 밑부분에는 2개의 직경이 부동한 제1환형전열부재(721)를 구비하는바, 직경이 큰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외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내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며, 2개의 제1환형전열부재(721) 사이에는 가열된 베어링의 출입을 위한 환형의 노구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노벽과 힌지 연결되며 힌지 연결된 곳에 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722)가 설치된다.
제1가열로(72)가 베어링(2)을 씌운 후, 베어링 로딩 면(61)을 통해 제1가열로(72)의 노구를 밀폐하는 동시에, 2개의 제1환형 전열부재(721)는 모두 베어링 로딩 면(61)에 접촉되어 베어링 로딩 면(61)과 노구 간의 틈새를 밀봉하여 베어링(2)이 밀봉된 제1가열로(72) 내부에서 가열되도록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환형전열부재(721)와 노벽은 힌지 연결되며, 힌지 연결된 곳에는 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722)가 설치되어 있다. 실제 사용과정에서, 제1승강장치(71)는 제1가열로(72)를 구동하여 아래로 운동시키는바, 즉 베어링(2)을 향해 운동한 후, 베어링(2)의 상부는 제1환형전열부재(721)를 밀어 위로 회전시키며 베어링(2)이 제1가열로(72)에 완전히 들어간 후,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722)의 복원작용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운동하며 베어링 로딩 면(61)에 접촉되어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한다. 가열을 완성한 후, 제1승강장치(71)는 제1가열로(72)를 위로 운동하도록 구동하는바, 즉 베어링(2)에서 멀어져 운동하며, 베어링(2)의 하부는 제1환형전열부재(721)를 밀어 아래로 회전시키며 베어링(2)이 제1가열로(72)를 완전히 이탈한 후,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722)의 복원작용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원된다.
5. 제2가열로의 구체적인 구성
상기 제2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환형 챔버이며, 밑부분에는 2개의 직경이 부동한 제2환형전열부재를 구비하는바, 직경이 큰 제2환형전열부재는 외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제2환형전열부재는 내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며, 2개의 제2환형전열부재 사이에는 가열된 베어링의 출입을 위한 환형의 노구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환형전열부재는 노벽과 힌지 연결되고 힌지 연결된 곳에 제2양방향 탄성 복원기구가 설치된다.
제2가열로는 제1가열로(72)와 구성원리와 작동원리가 모두 동일하므로(구체적으로 제1가열로(72)를 참조할 수 있음)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한가지 실시 가능한 방식으로, 축계 조립 시스템은 조립 클린룸(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의 교차점 및 베어링 가열장치(7)와 고정축 가열장치는 조립 클린룸 내에 설치된다. 이는 축계 부재의 조립, 및 베어링(2)과 고정축(3)의 가열을 위해 외부와 상대적으로 차단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축계 부재가 상대적으로 깨끗한 환경에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축계 부재의 조립품질을 보장하였다.
한가지 실시 가능한 방식으로, 축계 조립 시스템은 제1레일(10)과 제2레일(11)의 교차점 부근에 설치되는 너트 체결 로봇(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 중, 베어링 엔드 캡(4)이 나사에 의해 회전축(1)에 장착되고 고정축(3)이 나사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나사 체결 작업은 너트 체결 로봇에 의해 완성될 수 있으며, 인력을 절약하였다. 여기서, 너트 체결 로봇 자체는 기존의 기술이지 본 발명의 발명점이 아니며, 본 발명은 단지 이 기존의 기술을 이용하였을 뿐 이에 대해 개진을 진행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므로 너트 체결 로봇의 나사 체결 조작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계가 합리하고 인력자원을 절약하며 작업효율을 향상하고 안전문제를 감소할 수 있으며 축계의 기계화 조립을 구현할 수 있는 등 장점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방식을 표현하였으며 묘사가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로 하여 본 발명 특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안된다. 지적할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 하에 여러 가지 변형 또는 개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 특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1-회전축, 2-베어링, 3-고정축, 4-베어링 엔드 캡, 5-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51-회전축 로딩 면, 511-제1관통홀, 52-조립공간, 53-문형 프레임, 54-제1도리, 55-제1신축지지부재, 56-제1롤러, 6-베어링 이동 스테이지, 61-베어링 로딩 면, 611-제2관통홀, 62-카 프레임, 63-제2신축지지부재, 64-제2롤러, 7-베어링 가열장치, 71-제1승강장치, 72-제1가열로, 721-제1환형전열부재, 722-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 8-고정축 이동 스테이지, 81-고정축 로딩 면, 811-제3관통홀, 82-제3신축지지부재, 83-제3롤러, 84-밑판, 9-고정축 가열장치, 10-제1레일, 11-제2레일.

Claims (14)

  1.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에 있어서,
    서로 수직되게 교차 설치된 제1레일(10) 및 제2레일(11),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 베어링 가열장치(7) 및 고정축 가열장치(9)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상기 제1레일(10)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와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상기 제2레일(11)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7)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9)는 상기 제2레일(11)에 장착되고, 상기 제1레일(10)을 중심선으로,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7)와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9)와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가까운 곳에서 먼 곳으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조립공간(52)을 구비하는바, 해당 조립공간(52)은 조립될 베어링(2)이 로딩된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 및 조립될 고정축(3)이 로딩된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승강 가능한 회전축 로딩 면(51)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 로딩 면(51) 중부에는 회전축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1관통홀(51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 로딩 면(51) 하부는 상기 조립공간(5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는 평행 설치된 2개의 문형 프레임(53)과 2개의 문형 프레임(53)을 함께 고정 연결하는 2개의 수평 설치된 제1도리(54)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의 4개 밑각에는 제1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1롤러(56)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 로딩 면(51)은 4개의 제1신축지지부재(55)에 지지되며, 4개의 상기 제1신축지지부재(55)는 각각 2개의 상기 제1도리(54)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이동 스테이지(5)에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양안시력위치결정장치는 상기 제1관통홀(511)을 통해 상기 회전축(1)과 상기 베어링(2) 및 상기 고정축(3)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검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승강 가능한 베어링 로딩 면(61)을 구비하며, 상기 베어링 로딩 면(61)에는 상기 베어링(2)이 통과하기 위한 제2관통홀(611)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7)는 제1승강장치(71)와 제1가열로(72)를 포함하며, 상기 제1승강장치(71)는 전체적으로 문형을 나타내며 상기 제2레일(11)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1가열로(72)는 밑부분이 개방된 챔버이고 크기가 상기 조립될 베어링(2)의 크기와 대응되며 그 내부에는 제1가열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가열로(72)와 상기 제1승강장치(71)는 연결되고, 상기 제1가열로(72)의 밑부분과 상기 베어링 로딩 면(61)은 맞대어진 후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이동 스테이지(6)는 카 프레임(62)을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로딩 면(61)은 4개의 제2신축지지부재(63)에 의해 상기 카 프레임(62)에 지지되고, 상기 카 프레임(62)의 밑부분에는 제2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2롤러(6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로(72)는 밑부분이 개방된 환형 챔버이며, 밑부분에는 2개의 직경이 부동한 제1환형전열부재(721)를 구비하는바, 직경이 큰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외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내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721) 사이에는 가열된 베어링의 출입을 위한 환형의 노구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환형전열부재(721)는 상기 노벽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된 곳에 제1양방향 탄성 복원기구(72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로(72)의 챔버 내에는 상기 제1가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1온도 센서는 상기 제1가열로(72)의 챔버 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감시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1가열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승강 가능한 고정축 로딩 면(81)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의 전체 크기는 조립될 고정축(3)을 로딩한 상태에서 상기 조립공간(52)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축 로딩 면(81)에는 상기 고정축(3)을 통과시키기 위한 제3관통홀(81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9)는 제2승강장치와 제2가열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승강장치는 전체적으로 문형을 나타내고 상기 제2레일(11)의 양측에 장착되며, 상기 제2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챔버이고 크기는 조립될 고정축(3)의 크기와 대응되며 그 내부에는 제2가열소자가 설치되며, 상기 제2가열로와 상기 제2승강장치는 연결되고, 상기 제2가열로의 밑부분과 상기 고정축 로딩 면(81)은 맞대어진 후 밀폐된 가열로 챔버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 이동 스테이지(8)는 밑판(84)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 로딩 면(81)은 4개의 제3신축지지부재(82)에 의해 상기 밑판(84)에 지지되며, 상기 밑판(84)의 하부에는 제2레일에서 주행하기 위한 제3롤러(8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로는 밑부분이 개방된 환형 챔버이며, 밑부분에는 2개의 직경이 부동한 제2환형전열부재를 구비하는바, 직경이 큰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는 외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고 직경이 작은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는 내부 링의 노벽에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 사이에는 가열된 베어링의 출입을 위한 환형의 노구가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환형전열부재는 상기 노벽과 힌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연결된 곳에 제2양방향 탄성 복원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로의 챔버 내에는 상기 제2가열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온도 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제2온도 센서는 상기 제2가열로의 챔버 내의 온도를 감시하고 감시된 온도에 따라 상기 제2가열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립 클린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10)과 상기 제2레일(11)의 교차점 및 상기 베어링 가열장치(7)와 상기 고정축 가열장치(9)는 상기 조립 클린룸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10)과 상기 제2레일(11)의 교차점 부근에 설치되는 너트 체결 로봇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계 조립 시스템.
KR1020150126169A 2015-06-15 2015-09-07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 조립 시스템 KR101780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CN201510328972.8 2015-06-15
CN201510328972.8A CN104942581B (zh) 2015-06-15 2015-06-15 永磁直驱风力发电机组轴系装配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613A true KR20160147613A (ko) 2016-12-23
KR101780946B1 KR101780946B1 (ko) 2017-09-26

Family

ID=541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169A KR101780946B1 (ko) 2015-06-15 2015-09-07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 조립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0946B1 (ko)
CN (1) CN104942581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6810A (zh) * 2018-12-25 2019-03-01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刀盘拼装工作平台及其拼装方法
CN110385560A (zh) * 2019-07-09 2019-10-29 中国航发哈尔滨东安发动机有限公司 轴承安装加热装置
CN112615503A (zh) * 2020-12-22 2021-04-06 武汉市恒信泰采油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永磁同步潜油电机自动化装机和测试生产线
CN113146176A (zh) * 2021-04-07 2021-07-23 宁波新松机器人科技有限公司 液压马达输出轴组件自动装配装置
CN113567150A (zh) * 2021-08-02 2021-10-29 陕西正一机电工程有限公司 新型高效轴系盘车装配及扭力检测平台装置及使用方法
CN114132857A (zh) * 2021-11-19 2022-03-0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解决无吊点环境的弹性联轴器安装方法
CN114770097A (zh) * 2022-04-27 2022-07-22 烟台凯博机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三通转组装置及方法
CN116765787A (zh) * 2023-08-21 2023-09-19 苏州德星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适于电机轴系入箱的抓手模组及使用方法
CN117773565A (zh) * 2024-02-23 2024-03-29 河南威猛振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电机端盖装配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14343A (zh) * 2017-09-27 2017-12-26 江苏中车电机有限公司 一种用于直驱永磁风力发电机转动轴承端盖翻转的装置
CN110466980B (zh) * 2019-08-13 2021-03-16 国电联合动力技术(连云港)有限公司 风力发电机组机架翻转装置
CN112548548A (zh) * 2019-09-25 2021-03-26 株洲中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牵引变流器装配系统
CN110814750B (zh) * 2019-12-19 2020-12-22 谭雪辉 一种电机轴自动组装设备
CN111193363A (zh) * 2020-03-06 2020-05-22 扬州工业职业技术学院 用于电动汽车电机的一体式组装调节设备
CN112077591A (zh) * 2020-09-05 2020-12-15 赵培培 一种大型发电机装配生产工艺及其装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45444C3 (de) * 1975-10-10 1979-08-30 Ulrich 4800 Bielefeld Prust Vorrichtung zum Zusammenbauen von Möbelkorpussen
DE3832845C1 (en) * 1988-09-28 1989-07-20 Protech Automation Gmbh, 5000 Koeln, De Assembly station having a positioning and holding apparatus
JP3153842B2 (ja) * 1994-06-15 2001-04-09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リング状ワークの加工装置
AT501244B1 (de) * 2004-12-29 2007-10-15 Sticht Fertigungstech Stiw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augruppe aus mehreren miteinander gefügten teilen
CN101623820B (zh) * 2009-08-05 2011-08-31 中铁宝桥集团有限公司 大型桥梁钢塔水平预拼方法
CN202780434U (zh) 2012-10-09 2013-03-13 湖北三江航天红阳机电有限公司 一种套装装配辅助加压装置
CN203412968U (zh) 2013-08-15 2014-01-29 常熟理工学院 一种高速轴承外圈与内圈组件的自动装配装置
CN204673274U (zh) * 2015-06-15 2015-09-30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永磁直驱风力发电机组轴系装配系统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6810A (zh) * 2018-12-25 2019-03-01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刀盘拼装工作平台及其拼装方法
CN109396810B (zh) * 2018-12-25 2023-09-08 中铁隧道局集团有限公司 一种盾构刀盘拼装工作平台及其拼装方法
CN110385560A (zh) * 2019-07-09 2019-10-29 中国航发哈尔滨东安发动机有限公司 轴承安装加热装置
CN112615503A (zh) * 2020-12-22 2021-04-06 武汉市恒信泰采油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永磁同步潜油电机自动化装机和测试生产线
CN113146176B (zh) * 2021-04-07 2023-04-28 宁波新松机器人科技有限公司 液压马达输出轴组件自动装配装置
CN113146176A (zh) * 2021-04-07 2021-07-23 宁波新松机器人科技有限公司 液压马达输出轴组件自动装配装置
CN113567150A (zh) * 2021-08-02 2021-10-29 陕西正一机电工程有限公司 新型高效轴系盘车装配及扭力检测平台装置及使用方法
CN113567150B (zh) * 2021-08-02 2024-04-16 陕西正一机电工程有限公司 新型高效轴系盘车装配及扭力检测平台装置及使用方法
CN114132857A (zh) * 2021-11-19 2022-03-04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解决无吊点环境的弹性联轴器安装方法
CN114132857B (zh) * 2021-11-19 2023-11-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解决无吊点环境的弹性联轴器安装方法
CN114770097A (zh) * 2022-04-27 2022-07-22 烟台凯博机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三通转组装置及方法
CN114770097B (zh) * 2022-04-27 2024-03-01 烟台凯博机械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三通转组装置及方法
CN116765787A (zh) * 2023-08-21 2023-09-19 苏州德星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适于电机轴系入箱的抓手模组及使用方法
CN116765787B (zh) * 2023-08-21 2023-11-03 苏州德星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适于电机轴系入箱的抓手模组及使用方法
CN117773565A (zh) * 2024-02-23 2024-03-29 河南威猛振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电机端盖装配装置
CN117773565B (zh) * 2024-02-23 2024-05-14 河南威猛振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振动电机端盖装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946B1 (ko) 2017-09-26
CN104942581B (zh) 2017-07-07
CN104942581A (zh)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46B1 (ko) 직접구동 영구자석 풍력발전기 세트 축 조립 시스템
CN104477272A (zh) 一种能够攀爬杆塔的巡线机器人及攀爬方法
KR20110007270A (ko) 이동형 태양광 발전장치
CN205566190U (zh) 一种太阳能电池板的角度调节装置
CN109712477A (zh) 一种数学模型旋转展示教学装置
CN113809979B (zh) 一种智能升降式光伏发电站及其升降方法
CN107910807B (zh) 一种高压线自动巡检装置
CN107263497A (zh) 一种用于生产车间的智能搬运机器人
CN108988751A (zh) 一种角度可调节便于安装的单柱光伏支架
KR101813468B1 (ko) 베어링 가열 장치 및 베어링 가열 시스템
CN208890103U (zh) 等离子阻雷装置
KR102462545B1 (ko) 가공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
CN207496808U (zh) 一种攀爬装置
CN215259018U (zh) 一种基于bim的建筑数据监测装置
CN205501845U (zh) 一种升降式桥梁检修装置
CN213749962U (zh) 一种弱电工程用多功能检测仪
CN204673274U (zh) 永磁直驱风力发电机组轴系装配系统
KR101455641B1 (ko) 풍력타워 설치용 가이드
CN107069560A (zh) 电力线路维护装置
CN221098031U (zh) 一种升降式地铁机房环境监测装置
CN207884457U (zh) 一种电机自动磨合台
CN104816149B (zh) 锚索锚具的夹片套安装用双滑道自动安装机
CN219535971U (zh) 一种角度可调的太阳能光伏板
CN110625636A (zh) 一种工业机器人用便于拆装的夹爪
CN113104782A (zh) 一种便于移动的大型反应炉观测升降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