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729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729A
KR20160140729A KR1020167028476A KR20167028476A KR20160140729A KR 20160140729 A KR20160140729 A KR 20160140729A KR 1020167028476 A KR1020167028476 A KR 1020167028476A KR 20167028476 A KR20167028476 A KR 20167028476A KR 20160140729 A KR20160140729 A KR 2016014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discharge
unit
grain
screw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2671B1 (ko
Inventor
무네노리 미야모토
켄지 나카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77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62799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84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6279965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0Sack-filling devices; Counting or weighing devices

Abstract

통산의 곡립량, 포장 또는 각 구획의 곡립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이 탈곡 장치로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공급된 곡립을 상기 저류부에 투입하는 회전식의 투입부와, 이 저류부에 투입된 곡립에 의한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이 검출부에서 검출한 충격력에 기초하여, 곡립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곡립량을 표시하는 리셋 가능한 복수의 곡립량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포장(圃場)에 있어서의 각 구획의 곡립량을 인식할 수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포장에서의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곡간(穀稈)의 예취 및 탈곡 그리고 곡립의 회수를 행하는 콤바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콤바인은 크롤러에 의해 포장을 주행하고, 이 주행 중에 예취날로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급동(扱胴)으로 반송하여 탈곡한다. 그리고 급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채프 시브(shaff sieve) 및 풍구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을 행하고, 선별된 곡립을 스크루 컨베이어를 통하여 곡립 탱크로 회수한다.
곡립 탱크 내에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센서가 마련되어 있고, 이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캐빈 내에 설치된 표시부에 곡립량을 표시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유저는 곡립 탱크 내의 곡립량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10-227078호
최근, 곡립 탱크 내의 곡립량뿐 아니라, 예취 개시 후의 통산의 곡립량(관리 수확량), 포장의 곡립량 및 포장의 각 구획의 곡립량 등을 표시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통산의 곡립량에 기초하여 유저는 매상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포장 또는 각 구획의 곡립량에 기초하여, 포장 또는 각 구획의 작물의 생장 상태를 파악하고, 다음 번 작물을 심을 때 반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료의 양 또는 모종의 옮겨심기 간격 등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상기 요구에 부응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통산의 곡립량, 포장 또는 각 구획의 곡립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공급된 곡립을 상기 저류부에 투입하는 회전식의 투입부와, 상기 저류부에 투입된 곡립에 의한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충격력에 기초하여, 곡립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곡립량을 표시하는 리셋 가능한 복수의 곡립량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곡립량 표시부를, 예를 들면 통산의 곡립량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하고, 다른 곡립량 표시부를, 예를 들면 포장 또는 구획 단위의 수확량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한다. 어떠한 곡립량 표시부도 리셋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하나의 상기 곡립량 표시부가 리셋된 후의 곡립량을 산출하는 리셋 후 산출부와, 곡립량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곡립량 및 상기 리셋 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곡립량과의 차분을 산출하는 차분 산출부와, 상기 차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차분이 정해진 값 이하의 경우에, 상기 차분이 정해진 값 이하인 것을 알리는 알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해진 곡립량(예를 들면, 곡립을 운반하는 차량에 적재 가능한 양)을 미리 설정한다. 저류부 내의 곡립량이, 설정한 곡립량에 근접한 경우에, 콤바인은 유저에게 그 취지를 알린다. 이 때문에 유저는 콤바인의 속도를 저하시켜, 정해진 곡립량에 달한 시점에서 예취를 정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차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저류부의 용량에 관한 예취 가능한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와, 상기 거리 연산부에서 연산된 예취 가능한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취 가능한 거리를 표시함으로써, 그 표시를 기준으로서 유저는 콤바인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저류부 내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는 감압식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가 압력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 하나의 상기 곡립량 표시부를 리셋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저류부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량을 계측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하나의 곡립량 표시부와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를 관련시켜, 저류부 내의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가 오프가 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하나의 곡립량 표시부를 리셋한다. 이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저류부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부(計時部)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부와, 상기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 및 상기 계시부에서 계측된 회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저류부로부터의 곡립의 배출량을 연산하는 배출량 연산부와, 상기 배출량 연산부에서 연산된 배출량을 표시하는 배출량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수 및 회전 시간에 기초하여, 배출량을 연산하고, 연산한 배출량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저류부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고, 곡립의 존부를 검출하는 곡립 검출부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가 정지된 경우에, 상기 곡립 검출부에서 검출된 곡립의 존부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량 연산부는, 상기 기록부에 곡립의 부존재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대기하고 나서, 배출량의 연산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류부로부터의 배출이 정지되었을 때, 저류부의 저부에 마련한 곡립 검출부가 곡립의 부존재를 검지한 경우, 저류부는 비어 있고, 배출 오거의 내부도 비어 있다고 상정된다. 이 후,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을 개시한 경우,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곡립은 배출 오거 내를 이동하고 있으며, 배출 오거로부터 아직 배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저류부로부터의 배출이 정지되었을 때, 곡립 검출부가 곡립의 부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대기하고 나서 배출량을 연산한다. 한편, 곡립 검출부가 곡립의 존재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 배출 오거 내는 곡립으로 채워져 있다고 상정되므로, 정해진 시간 대기하지 않고,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 개시 후 즉시 배출량을 연산한다. 이에 의해, 배출 오거 내에 곡립이 남아 있는 경우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서 배출량의 연산 개시 시점을 변경하여, 배출량을 정밀도 좋게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 및 스크루 컨베이어를 접속 또는 절단하는 클러치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곡립 검출부에서 곡립의 부존재가 검출된 경우에, 정해진 시간 대기하여 상기 클러치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곡립 검출부에서 곡립의 부존재가 검출된 경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에 의해, 저류부에 저류한 곡립이 대략 모두 배출되었다고 상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 대기하여 클러치를 절단하므로, 모든 곡립을 저류부로부터 배출한 후, 스크루 컨베이어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 때문에 스크루 컨베이어가 공운전하여, 배출량이 잘못 적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배출량을 설정하는 배출량 설정부와, 상기 배출량 연산부에서 연산된 배출량이 상기 배출량 설정부에서 설정된 배출량에 달한 경우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설정한 배출량이 되면 자동 정지하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곡립량 표시부를, 예를 들면 통산의 곡립량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하고, 다른 곡립량 표시부를, 예를 들면 포장 또는 구획 단위의 수확량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느 곡립량 표시부도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한 경우에 리셋할 수 있으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곡립 탱크를 대략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엔진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나타내는 전동 기구도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캐빈의 내부를 대략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표시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투입구 센서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9는 곡립량 모니터에 표시된 곡립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천이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곡립량(1)의 리셋 시에 있어서 곡립량 모니터에 표시되는 곡립량(1 및 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곡립량(2)의 리셋 시에 있어서 곡립량 모니터에 표시되는 곡립량(1 및 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제어부에 의한 알림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제어부에 의한 거리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제어부에 의한 리셋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의 배출량을 나타내는 화상으로 전환된 표시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제어부에 의한 배출량 미터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제어부에 의한 곡립 검출 센서의 온 오프 기억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9는 제어부에 의한 배출량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0은 목표 배출량에 달한 경우에 곡립의 배출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제어부의 자동 정지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1은 곡립 탱크 내의 곡립을 모두 배출한 경우에 곡립의 배출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제어부의 자동 정지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실시의 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주행 크롤러이고, 이 주행 크롤러(1)의 상측에 기체(9)가 마련되어 있다. 이 기체(9) 위에는 탈곡 장치(2)가 마련되어 있다. 이 탈곡 장치(2)의 전측에, 예취 곡간과 비예취 곡간을 구별하는 분초판(分草板)(3a),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3b), 및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기립 장치(3c)를 구비하는 예취부(3)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의 우측에는 곡립을 수용하는 곡립 탱크(4)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탈곡 장치(2)의 좌부에는, 곡간을 반송하는 전후로 긴 피드 체인(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피드 체인(5)의 상측에,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6)가 마련되어 있고, 이 협지 부재(6)와 피드 체인(5)이 대향하고 있다. 상기 피드 체인(5)의 전단부 부근에는 상부 반송 장치(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곡립 탱크(4)에는, 곡립 탱크(4)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통 형상의 배출 오거(4a)를 장착하고 있으며, 곡립 탱크(4)의 전측에는 캐빈(8)을 마련하고 있다. 캐빈(8) 및 예취부(3)의 상부에는 작업등(50)이 마련되어 있다.
주행 크롤러(1)의 구동에 의해 기체(9)는 주행한다. 기체(9)의 주행에 의해 예취부(3)로 곡간이 도입되고, 예취된다. 예취된 곡간은 상부 반송 장치(7), 피드 체인(5) 및 협지 부재(6)를 통하여 탈곡 장치(2)로 반송되고, 탈곡 장치(2) 내에서 탈곡된다.
도 2는 탈곡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대략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2)의 전측 상부에 곡간을 탈곡하기 위한 급실(扱室)(10)이 마련되어 있다. 이 급실(10) 내에, 전후 방향을 축 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급동(11)이 축을 가지고 마련되어 있고, 이 급동(11)은 축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동(11)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급치(扱齒)(12, 12, ㆍㆍㆍ, 12)가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의 하측에, 상기 급치(12, 12, ㆍㆍㆍ, 12)와 협동하여 짚을 비벼 푸는 크림프망(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은 후술하는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곡간을 탈곡한다.
상기 급실(10)의 상벽에 4 개의 송진(送塵) 밸브(10a, 10a, 10a, 10a)가 전후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이 송진 밸브(10a)는 급실(10)의 후부로 송출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급실(10)의 후부에는 처리실(1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처리실(13) 내에, 전후 방향을 축 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처리동(13b)이 축을 가지고 마련되어 있으며, 이 처리동(13b)은 축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리동(13b)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급치(13c, 13c, ㆍㆍㆍ, 13c)가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처리동(13b)의 하측에는 급치(13c, 13c, ㆍㆍㆍ, 13c)와 협동하여 짚을 비벼 푸는 처리망(13d)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처리동(13b)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급실(10)로부터 송출된 짚 및 곡립으로부터 곡립을 분리하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실(13)의 하측에는 배출구(13e)를 개방 형성하고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상벽에 4 개의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가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으며, 이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는 처리실(13)의 후부로 송출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크림프망(15)의 하측에는, 곡립 및 짚의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 장치(16)를 마련하고 있다. 이 요동 선별 장치(16)는 곡립 및 짚을 균일화하고, 또한 비중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반(17)과, 이 요동 선별반(17)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개략 선별을 행하는 채프 시브(18)와, 이 채프 시브(18)의 후측에 마련되어 있고, 짚에 혼입된 곡립을 낙하시키기 위한 짚체(straw rack)(19)를 구비한다.
이 짚체(19)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투과 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반(17)의 전부에는 요동 암(2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요동 암(21)은 전후로 요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요동 암(21)의 요동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6)는 요동하여,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요동 선별 장치(16)는, 상기 채프 시브(18)의 하측에 마련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정밀 선별을 행하는 그레인 시브(grain sieve)(20)를 더 구비한다. 이 그레인 시브(20)의 하방에, 전방을 아래로 하여 경사진 1 번 곡립판(22)이 마련되어 있고, 이 1 번 곡립판(22)의 전측에,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가 마련되어 있다. 이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는 1 번 곡립판(22)에서 미끄러져 떨어진 곡립을 도입하고, 곡립 탱크(4)로 송급한다.
상기 1 번 곡립판(22)의 후부에,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진 경사판(2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판(24)의 후단부에, 전방을 향해 하강 경사진 2 번 곡립판(25)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2 번 곡립판(25)과 상기 경사판(24)의 연결 부분의 상측에 짚 및 곡립을 반송하는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짚체(19)의 투과 홀로부터 경사판(24) 또는 2 번 곡립판(25)에 낙하한 낙하물은 상기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진다. 미끄러져 떨어진 낙하물은,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에 의해 상기 급동(11)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는 처리 로터(14)로 반송되고, 이 처리 로터(14)에서 탈곡 처리된다.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보다 전방이며, 상기 요동 선별반(17)보다 하방에, 바람을 일으키는 동작을 행하는 풍구(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풍구(27)의 바람을 일으키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후방으로 진행한다. 풍구(27)와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사이에, 바람을 상방향으로 송출하는 정류판(28)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2 번 곡립판(25)의 후단부에 통로판(36)이 연결되어 있다. 이 통로판(36)의 상방에는 하부 흡인 커버(30)가 마련되어 있다. 이 하부 흡인 커버(30) 및 통로판(36)의 사이는 티끌이 배출되는 배기 통로(37)로 되어 있다.
하부 흡인 커버(30)의 상방에 상부 흡인 커버(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상부 흡인 커버(31) 및 하부 흡인 커버(30)의 사이에, 짚을 흡인 배출하는 축류팬(32)을 설치하고 있다. 이 축류팬(32)의 후방에는 배진구(3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풍구(27)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상기 정류판(28, 28)에 의해 정류된 후에,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를 통과하여, 상기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 이른다.
상기 상부 흡인 커버(31)의 상측이며, 상기 처리실(13)의 하방에, 전방을 하방향으로 하여 경사진 유하(流下) 홈통(3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배출물은 상기 짚체(19)에 낙하한다.
크림프망(15) 및 요동 선별 장치(16)와의 사이에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배출량 센서(34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그레인 시브(20)의 하측 후방에도 배출량 센서(34b)가 마련되어 있다.
크림프망(15)의 후단부로부터 누하된 곡립이 배출량 센서(34a)에 접촉하여, 이 배출량 센서(34a)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표시부의 탈곡 모니터가 점등된다.
그레인 시브(20)의 후단부로부터 누하된 곡립 또는 풍구(27)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반송된 곡립이 배출량 센서(34a)에 접촉하여, 배출량 센서(34b)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표시부의 선별 모니터가 점등된다.
도 3은 곡립 탱크(4)를 대략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상단부의 축 부분(23c)에는, 직사각형의 날개판(23b)이 마련되어 있다. 이 날개판(23b)은, 축 부분(23c)을 중심으로 하여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날개판(23b)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에 동기하여 회전한다. 축 부분(23c)의 상단부 근방에는 픽업 센서(51)(도 4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축 부분(23c) 및 날개판(23b)은 케이싱(140)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140)은 축 부분(23c) 및 날개판(23b)의 주위를 덮는 측면(141)을 구비한다. 이 측면(141)은 축 부분(23c) 및 날개판(23b)을 사이로 하여, 곡립 탱크(4)의 측면에 대향하고 있다. 곡립 탱크(4)의 측면에 투입구(4b)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판(23b)은 투입구(4b)에 대향하고 있다.
상기 그레인 시브(20)로부터 1 번 곡립판(22)에 낙하한 곡립은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진다. 미끄러져 떨어진 곡립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에 의해 반송된다. 곡립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곡립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외주를 따라 상승한다. 날개판(23b)은 곡립을 투입구(4b)를 향해 밀어 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구(4b)의 하측에, 복수의 감압식 스위치(4c, 4c, ㆍㆍㆍ, 4c)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곡립 탱크(4)에 곡립이 저류됨에 따라, 감압식 스위치(4c)는 저류된 곡립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눌린다. 눌린 감압식 스위치(4c)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는 저류량을 인식한다.
또한 투입구(4b)로부터 투입된 곡립의 충격값을 검출하는 투입구 센서(300)(검출부)가 곡립 탱크(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4)의 천장면으로부터 지지 부재(310)가 수하(垂下)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310)에 투입구 센서(300)가 고정되어 있다.
도 3에서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려나온 곡립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로부터 받는 상방향의 힘 및 날개판(23b)으로부터 받는 횡방향의 힘의 합성에 의해, 기울기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한다.
곡립은 투입구(4b)로부터, 날개판(23b)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곡립 탱크(4)로 투입된다. 투입된 곡립이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할 때마다, 변형 게이지로부터 전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곡립량이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다.
곡립 탱크(4)의 저면은 하향으로 돌출된 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면의 최하부에는 곡립을 배출하는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오거(4a)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작동에 의해,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은 오거(4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콤바인은 엔진(40)을 구비한다. 도 4는 엔진(40)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나타내는 전동 기구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40)은 HST(Hydro Static Transmission)(41)를 개재하여 주행 미션(42)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40)에는, 엔진에 대한 부하를 검출하는 엔진 부하 검출 센서(40a)가 마련되어 있다. 엔진 부하 검출 센서(40a)는 엔진(40)의 연료 분사량에 기초하여, 엔진(40)에 대한 부하를 검출한다. 또한, 엔진(40)은 일정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정격 제어되고 있고, 연료 분사량의 대소는 엔진(40)에 대한 부하의 대소에 대응한다. 또한, 후술하는 표시부의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는, 엔진 부하 검출 센서(40a)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등된다.
HST(41)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와, 이 유압 펌프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 펌프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도시 생략)와, 이 기구를 제어하는 변속 회로(41a)를 가지고 있다.
주행 미션(42)은 상기 주행 크롤러(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도시 생략)를 가지고 있다. 주행 미션(42)에는 홀 소자를 가지는 차속 센서(43)를 마련하고 있다. 이 차속 센서(43)는 상기 기어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기어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기체의 차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엔진(40)은 전자식의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상기 급동(11) 및 처리동(13b)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전동 기구(50)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 기구(50)는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편심 크랭크(45)에 연결되어 있다. 이 편심 크랭크(45)는 상기 요동 암(21)에 연결되어 있다. 편심 크랭크(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가 요동한다. 또한,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상기 풍구(2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 및 전자식의 예취 클러치(46)를 개재하여 상기 예취부(3)에 연결되어 있다.
주행 미션(42)을 개재하여 엔진(40)의 구동력이 주행 크롤러(1)에 전달되어 기체(9)가 주행한다. 또한, 예취 클러치(46)를 개재하여 예취부(3)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예취부(3)에서 곡간이 예취된다.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상기 급동(11)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급동(11)에서 곡간은 탈곡된다. 또한,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처리동(13b)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처리동(13b)은 급동(11)에서 탈곡 처리된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분리한다.
또한, 배출 클러치(47)를 통하여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에는, 탈곡 클러치(44) 및 편심 크랭크(45)를 통하여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급동(11)으로부터 누하된 짚 및 곡립 그리고 처리실(13)로부터 배출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또한,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풍구(27)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요동 선별 장치(16)에서 선별된 짚이 풍구(27)의 바람을 일으키는 작용에 의해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된다.
도 5는 콤바인의 캐빈(8)의 내부를 대략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캐빈(8) 내에는 스티어링 휠(81)과 운전석(8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대시 패널이 운전석(88)의 좌측에 마련되어 있다. 이 대시 패널에는 예취 스위치(80), 배출 스위치(82), 알림 램프(84), 탈곡 스위치(8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180)가 스티어링 휠(81)의 중심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캐빈(8)의 전벽에 지지되어 있다.
도 6은 표시부(18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표시부(180)는 직사각형의 액정 표시 패널(181)과, 이 액정 표시 패널(181)의 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200)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181)은 표시부(180)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와 속도계(183)와 연료계(184)와 수확 모니터(185)와 탈곡 모니터(186)와 선별 모니터(187)와 탱크 모니터(188)와 곡립량 모니터(189)와 좌측 깜박이(190)과 우측 깜박이(191)와 정보 표시부(192)와 터치 패널부(193)를 구비한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는 액정 표시 패널(181)의 상측 좌우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우상 방향으로 상승 경사진 경사 부분(182a)과, 이 경사 부분(182a)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부분(182b)을 구비한다. 경사 부분(182a) 및 연장 부분(182b)은 복수의 점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는 엔진 부하가 커짐에 따라, 점등부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되고, 점등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의 경사 부분(182a)의 우측이며, 연장 부분의 하측에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계(183)가 위치하고 있다. 이 속도계(183)의 우방에, 속도계(183)로부터 이격되어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184)가 위치하고 있다.
속도계(183)의 하측에, 날개판(23b)에 의해 곡립이 곡립 탱크(4)로 투입될 때마다, 투입된 곡립량을 표시하는 수확 모니터(185)가 위치하고 있다. 수확 모니터(185)는 좌우에 좁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한 곡립량의 충격력의 대소에 따라 장단이 되도록 점등된다.
수확 모니터(185)의 좌하측에, 급동(11)의 탈곡 상황을 나타내는 좌우로 긴 탈곡 모니터(186)가 위치하고 있다. 탈곡 모니터(186)는 좌우로 병설된 복수의 점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탈곡 모니터(186)는 배출량 센서(34a)에 접촉한 곡립량이 커짐에 따라, 점등부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되고, 점등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수확 모니터(185)의 우하측에, 선별 장치(16)의 선별 상황을 나타내는 좌우로 긴 선별 모니터(187)가 위치하고 있다. 선별 모니터(187)는 좌우로 병설된 복수의 점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별 모니터(187)는, 배출량 센서(34b)에 접촉한 곡립량이 커짐에 따라, 점등부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되고, 점등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탈곡 모니터(186) 및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의 좌방에,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량을 나타내는 탱크 모니터(188)가 위치하고 있다. 탱크 모니터(188)는 표시부(180)의 왼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탱크 모니터(188)는 상하로 병설된 복수의 점등부를 가지고, 감압식 스위치(4c, 4c, ㆍㆍㆍ, 4c)가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눌림에 따라, 점등부도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된다.
탈곡 모니터(186)의 우측에 곡립량을 나타내는 곡립량 모니터(189)가 위치하고 있다. 곡립량 모니터(189)는 표시부(180)의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탱크 모니터(188)의 상방에 좌회전을 나타내는 좌측 깜박이(190)가 위치하고 있고,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의 우측에 우회전을 나타내는 우측 깜박이(191)가 위치하고 있다. 좌측 깜박이(190) 및 우측 깜박이(191)는 표시부(180)의 좌우 상측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의 하방에, 시각, 변속단, 경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192)가 위치하고 있고, 이 정보 표시부(192)의 하방에 화살표로 나타내진 선택 스위치 및 메뉴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부(193)가 위치하고 있다. 정보 표시부(192) 및 터치 패널부(193)는 표시부(180)의 아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화상의 전환, 후술하는 목표 곡립값의 설정 또는 그 외의 정보의 입력이 행해진다.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을 연산하는 제어부(100)가 콤바인에 탑재되어 있다. 도 7은 제어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내부 버스(100g)에 의해 서로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a), ROM(Read Only Memory)(100b), RAM(Random Access Memory)(100c)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00d)을 구비하고 있다. CPU(100a)는 ROM(100b)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100c)에 읽어들여, 이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필요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CPU(100a)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EEPROM(100d) 대신에,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D(Hard Disk), 플래시 메모리 등 고쳐쓰기가 가능한 다른 기억 매체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EEPROM(100d)에는,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하는 곡립량을 기억하는 제 1 기억 영역(101) 및 제 2 기억 영역(10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EEPROM(100d)에는, 보정 변수(X)가 설정되어 있고, 이 보정 변수(X)에는 필요에 따라 값이 저장된다. 또한,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곡립량의 산출 대상에 포함할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임계치(α)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EEPROM(100d)에는 후술하는 임계치(S)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개재하여, 탈곡 클러치(44), 예취 클러치(46) 및 배출 클러치(47)에 접속 또는 절단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개재하여, 표시부(180)에 정해진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신호, 혹은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알림 램프(84)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출력한다.
예취 스위치(80), 투입구 센서(300), 감압식 스위치(4c), 픽업 센서(51), 차속 센서(43), 탈곡 스위치(85), 배출 스위치(82) 및 스위치(200)의 각 출력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100e)를 개재하여 제어부(100)에 입력되어 있다.
예취 스위치(80)의 온 오프에 대응하여, 예취 클러치(46) 및 탈곡 클러치(44)가 접속 또는 절단된다. 또한, 배출 스위치(82)의 온 오프에 대응하여 배출 클러치(47)가 접속 또는 절단된다. 또한, 탈곡 스위치(85)의 온 오프에 대응하여, 탈곡 클러치(44)가 접속 또는 절단된다.
CPU(100a)는, 투입구 센서(300)의 출력 신호에 따른 검출값을 적산하고, 임계치(α)와 비교하여 적산 대상에 포함할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적산 대상에 포함하는 검출값을 픽업 센서(51)의 출력 신호에 따른 검출값에 동기시켜 EEPROM(100d)의 제 1 기억 영역(101) 및 제 2 기억 영역(102)에 기억한다.
도 8은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8a는 시간과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은 곡립의 충돌에 의한 변형량을 나타내고 있고, 정해진 샘플링수에 있어서의 이동 평균값이다. 도 8b는 시간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날개판(23b)의 일회전에 있어서의 회전 개시 시점 및 회전 종료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8의 주기(P)의 첨자는 적절히 생략한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펄스파로서 검출되고, 펄스파의 간격이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회전축(23c))의 일회전의 주기, 즉 날개판(23b)의 일회전의 주기(P)에 상당한다. 또한 주기(P)의 역수는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주기(P)를 회전 속도로서 인식할 수도 있다. CPU(100a)는, 정해진 샘플링 주기(예를 들면 100[ms])로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취득하고, EEPROM(100d)에 기억한다. 또한 CPU(100a)는, 픽업 센서(51)로부터 펄스파가 입력될 때마다, 타임 스탬프를 작성하고, 이 타임 스탬프를, 펄스파가 입력되었을 때 투입구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검출값에 연관시켜, EEPROM(100d)에 기억한다.
도 8에 있어서, 곡립이 날개판(23b)에 의해 곡립 탱크(4)에 투입되고 있는 경우, P/4 ~ 3 P/4의 사이에, 투입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곡립의 충돌에 의한 검출값이 입력된다. 0 ~ P/4 및 3 P/4 ~ P의 사이에 투입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입력된 검출값은, 곡립이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검출값이다.
도 8a에 있어서, 임계치(α)는, 투입구 센서(300)의 온도 특성, 날개판(23b)에 의한 풍압 및 기체(9)의 기울기 등의 외란에 의해, 투입구 센서(300)에서 검출되는 검출값에 상당한다. 곡립이 날개판(23b)에 의해 곡립 탱크(4)로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상적으로는, P/4 ~ 3 P/4의 사이에, 투입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곡립의 충돌에 의한 검출값은 입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는, 투입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외란(예를 들면 날개판(23b)에 의한 풍압)에 의한 검출값(임계치(α))이 입력된다.
CPU(100a)는, P/4 ~ 3 P/4의 사이에 투입구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검출값과 임계치(α)를 비교한다. 이 검출값에, 임계치(α)를 초과하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CPU(100a)는, P/4 ~ 3 P/4의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적산해야 할 대상으로 결정한다(도 8a의 주기(P1, P2 및 P5)에 있어서의 파선 해칭 부분의 면적). 적산해야 할 값은, 투입구 센서(300)에 대한 곡립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에 상당한다.
검출값에, 임계치(α)를 초과하는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CPU(100a)는, P/4 ~ 3 P/4의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적산해야 할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도 8a에 있어서 주기(P3 및 P4) 부분).
한편 0 ~ P/4 및 3 P/4 ~ P의 사이에 있어서의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 값(도 8a의 실선 해칭 부분의 면적)은 정상 편차에 상당한다. 이 정상 편차는, 엔진(40)의 진동, 요철이 있는 포장을 주행 중에 투입구 센서(300)에 전파한 진동 및 투입구 센서(300)의 특성 등에 기인한다.
CPU(100a)는, 정해진 주기(예를 들면 1[s])로, 0 ~ P/4 및 3 P/4 ~ P의 사이에 있어서의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 값에 필요한 처리를 행하고,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보정 변수(X)에 저장한다.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타임 스탬프를 참조하고, P/4 ~ 3 P/4의 사이에 있어서의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다. 그리고, 적산한 값에 포함되는 정상 편차를 보정 변수(X)에 저장된 값을 이용하여 제거한다. 예를 들면 적산한 값으로부터, 보정 변수(X)에 저장된 값을 감산한다.
CPU(100a)는, 정상 편차를 제거한 보정값(D)을 RAM(100c)에 기억한다. 그리고 보정값(D)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량을 산출한다. 산출한 곡립량은 제 1 기억 영역(101) 및 제 2 기억 영역(102)에 기억되고, 적산된다.
도 9는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된 곡립량을 나타내는 화상의 천이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1 기억 영역(101) 및 제 2 기억 영역(102)에 기억된 곡립량은 각각 곡립량(1) 및 곡립량(2)으로서,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된다.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되는 화상이 천이한다.
예를 들면 유저는, 곡립량(1)을, 하나의 포장에 있어서의 예취 개시 후의 통산의 곡립량(관리 수확량)으로서 사용하고, 곡립량(2)을 곡립 탱크(4)에 저류한 곡립량으로서 사용한다. 유저가 스위치(200)를 조작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량 모니터(189)에는 곡립량(1), 곡립량(2) 및 곡립량(1 및 2)이 차례로 표시된다.
도 10은 곡립량(1)의 리셋 시에 있어서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되는 곡립량(1 및 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곡립량(2)의 리셋 시에 있어서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되는 곡립량(1 및 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곡립량(1) 또는 곡립량(2)은 리셋된다.
하나의 포장에 있어서의 예취가 종료되고, 다른 포장에 있어서 예취를 행할 경우, 유저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곡립량(1)을 리셋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량(1)이 2000 kg이며, 곡립량(2)이 200 kg인 경우에, 유저가 곡립량(1)을 리셋했을 시, 곡립량(1)은 0 kg이 된다. 곡립량(2)은 200 kg인 채이다. 이 후, 콤바인이 다른 포장으로 이동하여 예취를 행한다. 예취에 의해 200 kg의 곡립이 곡립 탱크(4)에 투입된 경우, 곡립량(1)은 200 kg이 되고, 곡립량(2)은 400 kg이 된다.
유저는, 하나의 포장에 있어서의 통산의 곡립량을 리셋함으로써, 다른 포장에 있어서의 통산의 곡립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CPU(100a)는 곡립량(1)을 리셋할 경우에, EEPROM(100d)에 리셋 직전의 곡립량(1)을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는 포장마다의 통산의 곡립량(곡립량(1))을 나중에 참조할 수 있다.
포장의 하나의 구획에 있어서의 예취가 종료되고, 다른 구획에 있어서 예취를 행할 경우, 유저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곡립량(2)을 리셋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량(1)이 2000 kg이며, 곡립량(2)이 500 kg인 경우에, 유저가 곡립량(2)을 리셋했을 시, 곡립량(2)은 0 kg이 된다. 곡립량(1)은 2000 kg인 채이다. 이 후, 콤바인이 다른 구획에서 예취를 행한다. 예취에 의해 200 kg의 곡립이 곡립 탱크(4)에 투입된 경우, 곡립량(1)은 2200 kg이 되고, 곡립량(2)은 200 kg이 된다.
유저는, 하나의 구획에 있어서의 통산의 곡립량을 리셋함으로써, 다른 구획에 있어서의 통산의 곡립량을 측정할 수 있다. 유저는 구획마다의 곡립량을 확인하고, 구획마다의 작물의 생육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CPU(100a)는 곡립량(2)을 리셋할 경우에, EEPROM(100d)에 리셋 직전의 곡립량(2)을 기억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는, 구획마다의 곡립량(곡립량(2))을 나중에 참조할 수 있다.
유저는, 곡립량(2)을, 곡립 탱크(4) 내의 곡립량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곡립량(2)의 값을 확인함으로써, 유저는 곡립 탱크(4) 내의 곡립량이 목표 곡립값, 예를 들면 곡립을 반송하는 트럭에 적재 가능한 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곡립량(1) 또는 곡립량(2)의 값이 목표 곡립값에 근접한 경우, 그 취지를 알린다.
도 12는 제어부(100)에 의한 알림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알림 처리에 있어서는, 곡립량(2)의 값에 대하여 목표 곡립값이 설정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곡립량(1)의 값에 대하여 목표 곡립값이 설정된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제어부(100)의 CPU(100a)는,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곡립량(2)에 관한 목표 곡립값이 EEPROM(100d)에 설정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1) : NO).
곡립량(2)에 관한 목표 곡립값이 EEPROM(100d)에 설정된 경우(단계(S1) : YES), CPU(100a)는 곡립량(2)이 리셋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 곡립량(2)이 리셋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2) : NO), CPU(100a)는 단계(S1)로 처리를 되돌린다.
곡립량(2)이 리셋된 경우(단계(S2) : YES), CPU(100a)는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곡립량을 적산하고(단계(S3)), 목표 곡립값과 적산한 곡립량과의 차분을 연산한다(단계(S4)).
CPU(100a)는 연산한 차분이 임계치(S)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5)). 차분이 임계치(S) 이하가 아닌 경우(단계(S5) : NO), CPU(100a)는 단계(S3)로 처리를 되돌린다.
차분이 임계치(S) 이하인 경우(단계(S5) : YES), CPU(100a)는 알림 램프(84)에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단계(S6)). 또한 알림 버저를 캐빈(8) 내에 마련하여, 차분이 임계치(S) 이하인 경우에, 알림 버저를 울려도 된다. 또한 차분이 임계치(S) 이하인 경우에, 표시부(180)에 곡립량(2)이 목표 곡립값에 근접하고 있는 취지를 표시해도 된다.
곡립량(2)을, 곡립 탱크(4) 내의 곡립량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그 취지를 유저에게 알림으로써, 유저는 곡립 탱크(4) 내의 곡립량이, 예를 들면 곡립을 반송하는 트럭에 적재 가능한 양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유저는 콤바인의 속도를 저하시켜, 목표 곡립량에 달하기 직전에 예취를 정지할 수 있다. 유저는 목표 곡립량에 달할 때까지 예취 작업을 행할 수 있고, 또한 트럭에 대한 적재 시에는, 적재량의 조절이 불필요해져,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곡립량(1) 또는 곡립량(2)의 값에 기초하여, 곡립 탱크(4)에 관한 예취 가능한 거리를 연산하고, 표시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제어부(100)에 의한 거리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거리 연산 처리에 있어서는, 곡립량(2)의 값에 대하여 목표 곡립값이 설정된 경우(곡립량(2)을, 곡립 탱크(4) 내의 곡립량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곡립량(1)의 값에 대하여 목표 곡립값이 설정된 경우도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제어부(100)의 CPU(100a)는,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곡립량(2)에 관한 목표 곡립값이 EEPROM(100d)에 설정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11) : NO).
곡립량(2)에 관한 목표 곡립값이 EEPROM(100d)에 설정된 경우(단계(S11) : YES), CPU(100a)는 곡립량(2)이 리셋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2)). 곡립량(2)이 리셋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12) : NO), CPU(100a)는 단계(S11)로 처리를 되돌린다.
곡립량(2)이 리셋된 경우(단계(S12) : YES), CPU(100a)는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곡립량을 적산하고(단계(S13)), 목표 곡립값과 적산한 곡립량과의 차분을 연산한다(단계(S14)).
CPU(100a)는, 연산한 차분에 기초하여, 예취 가능한 거리를 연산한다(단계(S15)). 예를 들면,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계시하고, 투입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취득하여, 곡립 탱크(4) 내에 투입되는 곡립량에 대하여, 단위 시간당 평균 곡립량을 연산한다. 또한, 차속 센서(43)로부터 속도를 취득한다. 연산한 차분을 평균 곡립량으로 나누고, 나눈 값과 취득한 속도를 곱하여, 예취 가능한 거리를 연산한다.
CPU(100a)는 연산한 예취 가능한 거리를 표시부(180), 예를 들면 정보 표시부(192)에 표시한다(단계(S16)). 예를 들면 ‘예취 가능 거리 1200 m’와 같이 표시한다.
예취 가능한 거리를 표시부(180)에 표시함으로써, 그 표시를 기준으로서 유저는 콤바인의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4c)가 오프가 된 경우, 즉 감압식 스위치(4c)가 눌리지 않게 된 경우, 곡립량(1) 또는 곡립량(2)의 값을 리셋한다.
도 14는 제어부(100)에 의한 리셋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리셋 처리에 있어서는, 곡립량(2)을 리셋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곡립량(1)을 리셋하는 경우도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CPU(100a)는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되어, 배출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21) : NO).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되어, 배출이 개시된 경우(단계(S21) : YES), CPU(100a)는,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4c)가 오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2)).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4c)가 오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22) : NO), CPU(100a)는 단계(S22)로 처리를 되돌린다.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4c)가 오프가 된 경우(단계(S22) : YES), CPU(100a)는 곡립량(2)을 리셋한다(단계(S23)).
최하 위치에 있는 감압식 스위치(4c)가 오프가 된 경우, 곡립량(2)을 자동적으로 리셋한다. 이 때문에 곡립량(2)을, 곡립 탱크(4) 내의 곡립량으로서 사용하고 있는 경우, 유저의 조작 없이 곡립 탱크(4)가 빈 경우에, 곡립량(2)이 0이 되어,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콤바인은, 2 개의 곡립량을 계측하고 표시하는 구성이지만, 3 개 이상의 곡립량을 계측하고, 표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버킷에 의해 곡립을 곡립 탱크에 투입하는 콤바인에 상기 구성을 적용해도 된다.
(실시의 형태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전측에, 배출 오거(4a)를 지지하는 오거 지지부(4s)가 마련되어 있다. 오거 지지부(4s)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오거 지지부(4s)의 상단부에 배출 오거(4a)의 유무를 검출하는 오거 검출 센서(4p)가 마련되어 있다. 오거 검출 센서(4p)는 예를 들면 감압식의 센서, 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오거 지지부(4s)의 상단부에 배출 오거(4a)가 재치(載置)되어 있는 경우, 오거 검출 센서(4p)는 온이 되어, 배출 오거(4a)의 존재를 검출한다. 오거 지지부(4s)의 상단부에 배출 오거(4a)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오거 검출 센서(4p)는 오프가 되어, 배출 오거(4a)의 부존재를 검출한다.
곡간을 예취하고 있는 경우, 오거 지지부(4s)의 상단부에 배출 오거(4a)가 재치되어 있고, 오거 검출 센서(4p)는 온이 된다. 곡립 탱크(4) 내의 곡립을 배출하는 경우, 구동 기구의 구동에 의해, 배출 오거(4a)는 곡립 탱크(4)로부터 멀어져, 그 선단부를 정해진 방향을 향하도록 이동한다. 예를 들면, 곡립을 반송하는 트럭을 향해 이동한다. 오거 검출 센서(4p)는 오프가 된다. 이동 후, 배출 오거(4a)는 곡립을 배출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저면이며,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근방에 곡립의 유무를 검출하는 곡립 검출 센서(4k)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검출 센서(4k)는 예를 들면 감압식의 센서, 광 센서 또는 초음파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근방에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48a)가 마련되어 있다.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48a)는 홀 소자를 가지고,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단위 시간당 회전수(이하, 단순히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라고 함)를 검출한다.
도 15는 곡립의 배출량을 나타내는 화상으로 전환된 표시부(180)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유저가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곡립 탱크(4)로부터의 배출량의 표시를 선택한 경우, 표시부(180)에는 곡립의 배출량을 나타내는 화상(이하, 곡립의 배출량을 나타내는 화상을 배출량 미터라고 함)이 표시된다. 또한, 후술하는 배출량 미터 표시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 배출량 미터가 표시부(180)에 표시된다.
액정 표시 패널(181)에는 배출량을 나타내는 배출량 표시부(195)가 표시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배출량 300 kg’과 같이 배출량이 표시된다. 또한 정보 표시부(192)에는, ‘자동 정지’, ‘리셋’, ‘되돌아감’, ‘배출 속도 변경’이 표시된다. ‘자동 정지’는 후술하는 자동 정지 처리의 선택 또는 비선택을 행하기 위한 표시이다.
유저가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자동 정지’를 선택한 경우, ‘온’이 표시된다. ‘온’의 표시는, 후술하는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저가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자동 정지’의 선택을 해제한 경우, ‘온’의 표시는 사라진다. ‘온’의 비표시는 자동 정지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동 정지’의 선택 및 그 해제는, 후술하는 EEPROM(100d)(도 7 참조)에 기억된다.
유저가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리셋’을 선택한 경우, 배출량 표시부(195)에 표시된 배출량은 리셋된다.
유저가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되돌아감’을 선택한 경우, 배출량 미터가 전환 전의 화상(이하, 전환 전의 화상을 통상 미터라고 함)으로 돌아간다.
유저가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배출 속도 변경’을 선택한 경우,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가 변경된다.
예를 들면, ‘배출 속도 변경’이 선택된 경우에, ‘1 2 3 4 5’의 속도 레벨이 표시된다. 1이 최소 속도를 나타내고, 5가 최대 속도를 나타낸다.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3의 주위의 색이 다른 색과 상이하다. 주위의 상이한 숫자는, 선택되어 있는 속도 레벨을 나타낸다. 유저가 어느 한 숫자를 선택함으로써,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가 변경된다.
유저는 속도 레벨을 변경하고,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벼보다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보리의 수확 시에는, 벼를 수확하는 경우에 비해 회전수를 낮출 수 있다. 수분량이 많은 작물은 수분량의 적은 작물보다 손상되기 쉽다.
또한, 상기 속도 레벨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배출 속도 변경’이 선택될 때마다,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거나 또는 높아진다.
도 16은 제어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EEPROM(100d)에는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 시간 및 배출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가 기억되어 있다.
EEPROM(100d)에는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목표 배출량이 설정된다. 또한 EEPROM(100d)에는, ‘자동 정지’의 선택 및 그 해제가 기억된다.
곡립 검출 센서(4k), 오거 검출 센서(4p) 및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48a)의 각 출력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100e)를 통하여 제어부(100)에 입력되고 있다.
또한 제어부(100)에 있어서의 구성 중,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있어서, 차속 센서(43) 및 알림 램프(84)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제어부(100)는 배출 오거(4a)가 오거 지지부(4s)로부터 멀어진 경우, 배출량 미터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도 17은 제어부(100)에 의한 배출량 미터 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00)의 CPU(100a)는 오거 검출 센서(4p)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오거 검출 센서(4p)가 오프가 되어 있는지 여부, 즉 배출 오거(4a)가 오거 지지부(4s)로부터 이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1)). 오거 검출 센서(4p)가 오프가 되어 있는 경우, 배출 오거(4a)는 곡립 탱크(4)로부터 멀어져 이동하고 있다고 상정된다.
배출 오거(4a)가 오거 지지부(4s)로부터 이반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31) : NO), CPU(100a)는 단계(S31)로 처리를 되돌린다.
배출 오거(4a)가 오거 지지부(4s)로부터 이반되어 있는 경우(단계(S31) : YES), CPU(100a)는 표시부(180)에 배출량 미터를 표시시킨다(단계(S32)). 표시부(180)의 표시는 통상 미터(도 6 참조)로부터 배출량 미터(도 7 참조)로 전환된다.
이어서 CPU(100a)는, 오거 검출 센서(4p)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오거 검출 센서(4p)가 온이 될 때까지, 즉 배출 오거(4a)가 오거 지지부(4s)에 재치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33) : NO).
배출 오거(4a)가 오거 지지부(4s)에 재치된 경우(단계(S33) : YES), CPU(100a)는 표시부(180)에 통상 미터를 표시시킨다(단계(S34)). 표시부(180)의 표시는 배출량 미터로부터 통상 미터로 전환된다.
유저가 배출 스위치(82)를 조작하여, 배출 스위치(82)를 온으로 한 경우, 배출 클러치는 접속되고,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회전을 개시하며, 콤바인은 곡립의 배출을 개시한다. 유저가 배출 스위치(82)를 조작하여, 배출 스위치(82)를 오프로 한 경우, 배출 클러치는 절단되고,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회전을 정지하며, 콤바인은 곡립의 배출을 정지한다.
도 18은 제어부(100)에 의한 곡립 검출 센서의 온 오프 기억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CPU(100a)는 배출 스위치(82)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배출 스위치(82)가 오프가 될 때까지, 즉 곡립의 배출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41) : NO).
곡립의 배출이 정지된 경우(단계(S41) : YES), CPU(100a)는 곡립 검출 센서(4k)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곡립 검출 센서(4k)가 온이 되어 있는지 또는 오프가 되어 있는지를 EEPROM(100d)에 기억한다(단계(S42)).
제어부(100)는 곡립의 배출의 정지 후, 곡립의 배출을 재개하는 경우, 곡립의 배출의 정지 시에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는 경우, 정해진 시간 대기하고 나서 배출량의 연산을 실행한다.
도 19는 제어부(100)에 의한 배출량 연산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CPU(100a)는 배출 스위치(82)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될 때까지, 즉 곡립의 배출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51) : NO).
곡립의 배출이 개시된 경우(단계(S51) : YES), CPU(100a)는 EEPROM(100d)을 참조하여, 전회의 배출 정지 시점에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52), 단계(S42) 참조).
전회의 배출 정지 시점에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단계(S52) : NO), 즉 곡립 검출 센서(4k)가 온이 되어 있던 경우, 후술하는 단계(S5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곡립 검출 센서(4k)가 온이 되어 있었던 경우, 배출 오거(4a) 내는 곡립으로 채워져 있다고 상정된다.
전회의 배출 정지 시점에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었던 경우(단계(S52) : YES), CPU(100a)는 타이머로 계시하고, 정해진 시간 대기한다(단계(S53)). 전회의 배출 정지 시점에서 곡립 탱크(4)의 저부에 마련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었던 경우, 곡립 탱크(4)는 비어 있고, 배출 오거(4a)의 내부도 비어 있다고 상정된다. 따라서,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곡립은 배출 오거(4a) 내를 이동하고 있고, 배출 오거(4a)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
정해진 시간 대기 후, CPU(100a)는,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48a)의 검출값과 타이머로 계측한 시간에 기초하여 곡립의 배출량을 연산한다(단계(S54)).
전회의 배출 정지 시점에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었던 경우(단계(S52) : YES)에는, CPU(100a)는, 예를 들면 단계(S53)에 있어서의 정해진 시간 대기 후에 경과한 시간을 타이머로 계측한다. CPU(100a)는, 계측한 시간 및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48a)에서 검출된 회전수를, EEPROM(100d)에 기억한 함수(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 시간 및 배출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적용하여 배출량을 연산한다.
전회의 배출 정지 시점에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온이 되어 있던 경우(단계(S52) : NO)에는, CPU(100a)는, 타이머로 계측한 배출 개시 후의 시간 및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48a)에서 검출된 회전수를 상기 함수에 적용하여 배출량을 연산한다(단계(S54)). 즉 배출 개시 직후부터 배출량을 연산한다.
또한 타이머는 복수의 시점 각각을 개시 시점으로서, 복수의 시간을 계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머는 배출 개시 후(단계(S51) : YES)에 계시한다.
이어서 CPU(100a)는, 연산한 배출량을 배출량 표시부(195)에 표시한다(단계(S55). CPU(100a)는 배출 스위치(82)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배출 스위치(82)가 오프가 되었는지 여부, 즉 곡립의 배출이 정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56)).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되어 있고, 곡립의 배출이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56) : NO), CPU(100a)는 단계(S54)로 처리를 되돌린다.
배출 스위치(82)가 오프가 되어 있고, 곡립의 배출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단계(S56) : YES), CPU(100a)는 배출량의 연산을 정지한다(단계(S57)). 또한 후술하는 자동 정지 처리에 의해, 곡립의 배출이 자동적으로 정지된 경우도 CPU(100a)는 배출량의 연산을 정지한다.
CPU(100a)는 곡립 탱크(4) 내에 저류된 곡립량을 배출량으로 보정한다(단계(S58)). 예를 들면, 곡립 탱크(4) 내에 저류된 곡립량(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된 곡립량)으로부터 배출량을 감산한다.
이 때, 유저가 스위치(200) 또는 터치 패널부(193)를 조작하고, 통상 미터를 호출한 경우, 보정 후의 곡립량이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된다. 또한 단계(S58)의 처리가 종료된 후, 자동적으로 통상 미터를 호출하고, 보정 후의 곡립량을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배출량을 연산할 때마다, 상기 곡립량의 보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되는 곡립량은 순차 갱신된다.
제어부(100)는 ‘자동 정지’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연산한 배출량이 목표 배출량에 달했을 때, 자동적으로 곡립의 배출을 정지한다.
도 20은 목표 배출량에 달한 경우에 곡립의 배출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제어부(100)의 자동 정지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터치 패널부(193) 또는 스위치(200)의 조작에 의해, 목표 배출량이 EEPROM(100d)에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CPU(100a)는 배출 스위치(82)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될 때까지, 즉 곡립의 배출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61) : NO).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된 경우에,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회전하여, 곡립을 배출한다.
곡립의 배출이 개시된 경우(단계(S61) : YES), CPU(100a)는 EEPROM(100d)을 참조하여, ‘자동 정지’가 선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2)).
‘자동 정지’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62) : NO), CPU(100a)는 단계(S62)로 처리를 되돌린다.
‘자동 정지’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단계(S62) : YES), CPU(100a)는 ‘자동 정지’의 기능이 작동하고 있는 것을 표시부(180)에 표시한다(단계(S63)).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80)에 ‘온’이 표시된다(도 15 참조).
이어서 CPU(100a)는, 단계(S54)에서 연산한 배출량(도 19 참조)이 목표 배출량 이상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64) : NO).
연산한 배출량이 목표 배출량 이상이 된 경우(단계(S64) : YES), CPU(100a)는 배출 클러치(47)를 절단하고, 배출을 정지한다(단계(S65)).
배출 정지 후, CPU(100a)는 곡립 탱크(4) 내에 저류된 곡립량을 배출량으로 보정한다(단계(S66)). 예를 들면, 곡립 탱크(4) 내에 저류된 곡립량(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된 곡립량)으로부터 배출량을 감산한다.
이 때, 유저가 스위치(200) 또는 터치 패널부(193)를 조작하고, 통상 미터를 호출한 경우, 보정 후의 곡립량이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된다. 또한 단계(S66)의 처리가 종료된 후, 자동적으로 통상 미터를 호출하고, 보정 후의 곡립량을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배출량을 연산할 때마다, 상기 곡립량의 보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 경우, 곡립량 모니터(189)에 표시되는 곡립량은 순차 갱신된다. 콤바인은 상술한 각 처리(도 17 ~ 도 20 참조)를 병행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임계치를 ROM(100b) 또는 EEPROM(100d)에 설정해 두고, 연산한 배출량 및 목표 배출량의 차분을 연산하는 단계와, 연산한 차분과 상기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차분이 상기 임계치보다 작은 경우에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를 자동적으로 낮게 하는 단계를 단계(S64 및 S65)의 사이에 추가해도 된다. 또한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임계치를 ROM(100b) 또는 EEPROM(100d)에 설정한 경우, 복수의 임계치 각각을 내림차순으로 상기 차분과 순차 비교함으로써,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를 낮게 함으로써, 배출 정지까지 배출 오거(4a)로부터 배출된 배출량이 목표 배출량에 보다 근접한다.
도 21은 곡립 탱크(4) 내의 곡립을 모두 배출한 경우에 곡립의 배출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제어부(100)의 자동 정지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CPU(100a)는 배출 스위치(82)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될 때까지, 즉 곡립의 배출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71) : NO). 배출 스위치(82)가 온이 된 경우에, 배출 클러치(47)는 접속되고,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회전하여, 곡립을 배출한다.
곡립의 배출이 개시된 경우(단계(S71) : YES), CPU(100a)는 곡립 검출 센서(4k)의 출력 신호를 취득하고,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72)).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S72) : NO), CPU(100a)는 단계(S71)로 처리를 되돌린다.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곡립 탱크(4)에는 다량의 곡립이 잔존하고 있다고 상정된다.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는 경우(단계(S72) : YES), CPU(100a)는 타이머로 계시를 개시하고, 정해진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73)).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된 경우, 곡립 탱크(4)의 곡립의 대략 모두가 배출되고, 소량의 곡립만이 잔존하고 있거나 또는 배출 오거(4a) 내에 잔존하고 있다고 상정된다. 정해진 시간 대기함으로써, 곡립 탱크(4) 내에 잔존한 소량의 곡립 또는 배출 오거(4a) 내에 잔존한 곡립이 배출된다.
정해진 시간 대기 후, CPU(100a)는 배출 클러치(47)를 절단한다(단계(S74)). 배출 클러치(47)의 절단에 의해,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정지하고, 배출량의 적산도 정지한다.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콤바인에 있어서는,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 및 회전 시간에 기초하여 배출량을 연산한다. 이 때문에 배출량의 연산에 있어서, 외란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정밀도 좋게 배출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배출량을 표시하므로, 유저는 배출량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곡립 탱크(4)로부터의 배출이 정지했을 때, 곡립 탱크(4)의 저부에 마련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을 경우, 곡립 탱크(4)는 비어 있고, 배출 오거(4a)의 내부도 비어 있다고 상정된다. 이 후,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을 개시한 경우,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경과할 때까지는, 곡립은 배출 오거(4a) 내를 이동하고 있고, 배출 오거(4a)로부터 아직 배출되어 있지 않다.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콤바인은, 곡립 탱크(4)로부터의 배출이 정지했을 때,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는 경우,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대기하고 나서 배출량을 연산한다. 한편, 곡립 검출 센서(4k)가 온이 되어 있는 경우, 배출 오거(4a) 내는 곡립으로 채워져 있다고 상정되므로, 정해진 시간 대기하지 않고,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 개시 후 즉시 배출량을 연산한다. 이에 의해, 배출 오거(4a) 내에 곡립이 남아 있는 경우와 남아 있지 않은 경우에서 배출량의 연산 개시 시점을 변경하고, 배출량을 정밀도 좋게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배출 클러치(47)가 접속되고, 또한 곡립 검출 센서(4k)가 오프가 되어 있는 경우,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에 의해, 저류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은 대략 모두 배출되었다고 상정된다. 상술한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 대기하여 배출 클러치(47)를 절단하므로, 모든 곡립을 저류 탱크(4) 및 배출 오거(4a)로부터 배출한 후,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는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 때문에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가 공운전하여, 배출량이 잘못 적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목표 배출량에 달한 경우에, 곡립의 배출이 자동적으로 정지하므로, 유저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수확하는 작물의 종류에 따라,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48)의 회전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쌀보다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보리의 수확 시에는, 쌀을 수확하는 경우에 비해 회전수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배출 오거(4a)의 선단부측이 저류부로부터 멀어진 경우에, 표시부(180)의 표시를 통상 미터로부터 배출량 미터로 전환한다. 배출량이 자동적으로 표시되므로, 유저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곡립 탱크(4)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량을, 연산한 배출량에 의해 보정한다. 예를 들면 곡립 탱크(4)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량으로부터 배출량을 감산한다. 또한 보정 후의 곡립량을 표시하므로, 유저는 배출 후의 곡립량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구성 중,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번에 개시한 실시의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이해되어야 한다. 각 실시예에서 기재되어 있는 기술적 특징은 서로 조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가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2 : 탈곡 장치
4 : 곡립 탱크(저류부)
4c : 감압식 스위치(스위치)
4k : 곡립 검출 센서(곡립 검출부)
4p : 오거 검출 센서
23b : 날개판(투입부)
48 : 배출 스크루 컨베이어(스크루 컨베이어)
48a : 스크루 회전수 검출 센서(회전수 검출부)
84 : 알림 램프(알림부)
100 : 제어부(산출부, 리셋 후 산출부, 차분 산출부, 거리 연산부, 배출량 연산부, 배출량 설정부)
100a : CPU(계시부)
100b : ROM
100c : RAM
100d : EEPROM(기록부)
180 : 표시부(곡립량 표시부, 거리 표시부)
193 : 터치 패널부(설정부, 배출량 설정부)
195 : 배출량 표시부
200 : 스위치(설정부, 배출량 설정부, 배출량 설정부)
300 : 투입구 센서(검출부)

Claims (8)

  1.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공급된 곡립을 상기 저류부에 투입하는 회전식의 투입부와, 상기 저류부에 투입된 곡립에 의한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한 충격력에 기초하여, 곡립량을 산출하는 산출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곡립량을 표시하는 리셋 가능한 복수의 곡립량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곡립량 표시부가 리셋된 후의 곡립량을 산출하는 리셋 후 산출부와,
    곡립량을 설정하는 설정부와,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곡립량 및 상기 리셋 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곡립량과의 차분을 산출하는 차분 산출부와,
    상기 차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차분이 정해진 값 이하의 경우에, 상기 차분이 정해진 값 이하인 것을 알리는 알림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분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저류부의 용량에 관한 예취 가능한 거리를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와,
    상기 거리 연산부에서 연산된 예취 가능한 거리를 표시하는 거리 표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 내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는 감압식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가 압력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 하나의 상기 곡립량 표시부를 리셋 하도록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에 저류된 곡립을 배출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부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부와,
    상기 회전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수 및 상기 계시부에서 계측된 회전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저류부로부터의 곡립의 배출량을 연산하는 배출량 연산부와,
    상기 배출량 연산부에서 연산된 배출량을 표시하는 배출량 표시부
    를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의 저부에 마련되어 있고, 곡립의 존부를 검출하는 곡립 검출부와,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가 정지된 경우에, 상기 곡립 검출부에서 검출된 곡립의 존부를 기록하는 기록부
    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량 연산부는, 상기 기록부에 곡립의 부존재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의 회전 개시 후, 정해진 시간 대기하고 나서, 배출량의 연산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 및 스크루 컨베이어를 접속 또는 절단하는 클러치
    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곡립 검출부에서 곡립의 부존재가 검출된 경우에, 정해진 시간 대기하여 상기 클러치를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량을 설정하는 배출량 설정부와,
    상기 배출량 연산부에서 연산된 배출량이 상기 배출량 설정부에서 설정된 배출량에 달한 경우에, 상기 스크루 컨베이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67028476A 2014-04-04 2015-04-02 콤바인 KR101902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77933 2014-04-04
JP2014077933A JP6279960B2 (ja) 2014-04-04 2014-04-04 コンバイン
JP2014084660A JP6279965B2 (ja) 2014-04-16 2014-04-16 コンバイン
JPJP-P-2014-084660 2014-04-16
PCT/JP2015/060434 WO2015152362A1 (ja) 2014-04-04 2015-04-02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729A true KR20160140729A (ko) 2016-12-07
KR101902671B1 KR101902671B1 (ko) 2018-09-28

Family

ID=5424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476A KR101902671B1 (ko) 2014-04-04 2015-04-02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02671B1 (ko)
CN (1) CN106163260B (ko)
WO (1) WO2015152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5533B (zh) * 2017-06-15 2023-04-25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联合收割机脱粒滚筒驱动控制系统及方法
KR102587857B1 (ko) * 2017-06-26 2023-10-12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및 수확기
WO2020261825A1 (ja) * 2019-06-26 2020-12-3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7078A (ja) 2009-03-30 2010-10-1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9820A (ja) * 1985-04-12 1986-10-25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等の穀粒収容装置
JPH07110179B2 (ja) * 1988-01-12 1995-11-29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取出装置
JP4067889B2 (ja) * 2002-07-03 2008-03-26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貯留量の表示装置
JP2005087078A (ja) * 2003-09-16 2005-04-07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4396307B2 (ja) * 2004-02-16 2010-01-1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714456B2 (ja) * 2004-11-17 2011-06-29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8035825A (ja) * 2006-08-09 2008-02-21 Yanmar Co Ltd 排出穀粒量測定装置
JP2009044995A (ja) * 2007-08-20 2009-03-05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
JP2013009038A (ja) * 2011-06-22 2013-01-10 Kddi Corp 広告蓄積装置、広告蓄積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09871B2 (ja) * 2011-07-20 2015-11-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731938B2 (ja) * 2011-09-21 2015-06-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7078A (ja) 2009-03-30 2010-10-14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671B1 (ko) 2018-09-28
WO2015152362A1 (ja) 2015-10-08
CN106163260B (zh) 2018-09-25
CN106163260A (zh)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372B2 (ja) コンバイン
JP5856777B2 (ja) コンバイン
KR101902671B1 (ko) 콤바인
JP6338434B2 (ja) コンバイン
WO2014030511A1 (ja) コンバイン
JP6033002B2 (ja) コンバイン
JP2014042502A (ja) コンバイン
KR101614342B1 (ko) 콤바인
CN106332599B (zh) 联合收割机
JP5809871B2 (ja) コンバイン
KR102619441B1 (ko) 콤바인
JP6208538B2 (ja) コンバイン
WO2013012080A1 (ja) コンバイン
JP6279960B2 (ja) コンバイン
JP7010743B2 (ja) コンバイン
JP6279965B2 (ja) コンバイン
WO2020003882A1 (ja) コンバイン、収量算出方法、収量算出システム、収量算出プログラム、及び収量算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と、穀粒排出収量算出方法、穀粒排出収量算出システム、穀粒排出収量算出プログラム、及び穀粒排出収量算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と、不正流入検知システム、不正流入検知プログラム、不正流入検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不正流入検知方法と、貯留レベル検出システム
JP2010187640A (ja) コンバイン
JP6289405B2 (ja) コンバイン
JP6208537B2 (ja) コンバイン
JP2018011545A (ja) コンバイン
KR101614343B1 (ko) 콤바인
JP5893526B2 (ja) コンバイン
JP7045308B2 (ja) 排出部診断システム
JP2021058166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