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7857B1 - 콤바인 및 수확기 - Google Patents

콤바인 및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7857B1
KR102587857B1 KR1020180071335A KR20180071335A KR102587857B1 KR 102587857 B1 KR102587857 B1 KR 102587857B1 KR 1020180071335 A KR1020180071335 A KR 1020180071335A KR 20180071335 A KR20180071335 A KR 20180071335A KR 102587857 B1 KR102587857 B1 KR 10258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hreshing
grain tank
grains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1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534A (ko
Inventor
나오키 사이토오
소오타로오 하야시
쿄오스케 야마오카
다카시 나카바야시
쇼오마 데구치
사다노리 히다
마사아키 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24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67709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39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787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9000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곡립 탱크 내에서 치우침이 적은 상태로 탈곡립을 투척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와, 탈곡립을 반송하여 곡립 탱크(5)의 내부로 토출하는 반송 장치와,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 상에 설치되고,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안내부(6)를 구비한다.
곡립 반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의 내부로 토출되는 곡립의 수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수확기가 요망되고 있다.
탈곡 장치(1006)와, 탈곡 장치(1006)에서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07)와, 탈곡 장치(1006)로부터 곡립 탱크(1007)로 곡립을 반송하고, 곡립 탱크(1007)의 내부로 곡립을 토출하는 곡립 반송 장치(1010)와, 곡립 반송 장치(1010)의 토출구에 설치되고, 곡립 반송 장치(1010)를 통과하는 곡립의 양에 기초하는 압력에 의해 수량을 검출하는 검출부(1020)가 구비되고, 검출부(1020)는 곡립 탱크(1007)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및 수확기{COMBINE AND HARVESTER}
본 발명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탈곡립을 반송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로 토출하는 반송 장치가 구비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곡 장치와, 탈곡 장치에서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탈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로 곡립을 반송하고, 곡립 탱크의 내부로 곡립을 토출하는 곡립 반송 장치와, 곡립 반송 장치를 통과하는 곡립의 양에 기초하는 압력에 의해 수량(收量)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된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에 구비되어 있는 반송 장치로서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블레이드부의 수평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곡립 탱크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로부터, 곡립 탱크 내부의 후방측으로 탈곡립을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나(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혹은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크루 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블레이드부의 연직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곡립 탱크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로부터, 당해 토출구의 전방 영역으로 탈곡립을 토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탈곡 장치로부터 스크루 컨베이어에 의해 보내져 온 곡립을 곡립 탱크로 토출하는 토출구(문헌에서는 「곡립 방출구」)가 곡립 탱크의 상부에 형성되고,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의 양이 검출부(문헌에서는 「투구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콤바인이, 특허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검출부는, 토출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곡립 탱크의 천장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46641호 공보(도 1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4-068562호 공보(도 4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7-077204호 공보
상술한, 블레이드부의 수평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곡립 탱크 내부의 후방측으로 탈곡립을 토출하는 구성인 경우, 토출된 탈곡립의 적어도 일부가 곡립 탱크의 천장판에 닿음으로써, 곡립 탱크 내부의 후방측으로 투척되기 어려워져, 결과로서, 곡립 탱크의 내부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탈곡립의 치우침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의 연직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토출구의 전방 영역으로 탈곡립을 토출하는 구성인 경우, 토출구의 전방 영역과 비교하여, 토출구의 좌우 양측의 영역에 대한 투척량이 상대적이기는 하지만,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즉, 탈곡 장치측의 곡립 탱크 측벽의 전후 방향 중간 부분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곡립 탱크의 내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대한 투척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에도 결과로서,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 탈곡립의 치우침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특히, 탈곡립의 양에 대응하는 하중을 검출하여 탈곡립의 반송 수량(收量)을 계측하는 반송 곡립 계측 장치가, 토출구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탈곡립이 반송 곡립 계측 장치로 안내되는 상태로 되고, 곡립 탱크의 천장판, 혹은 토출구의 전방 영역으로 투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술한 탈곡립의 치우침이 보다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 곡립 탱크 내에서 치우침이 적은 상태로 탈곡립을 투척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곡립이 방출구로부터 확산 방출되는 경우, 검출부가 방출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검출부는, 확산 방출되는 곡립의 일부밖에 검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곡립의 방출량의 대소에 따라 확산 방향으로 치우침이 발생하는 경우, 수량 검출의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원 출원인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5-254614호에서,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케이스(문헌에서는 「방출 케이스」)에, 검출부(문헌에서는 「하중 검출기」)가 설치된 콤바인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의해, 검출부가, 탈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로 보내져 오는 곡립을 빠짐 없이 검출할 수 있다.
수량의 검출에, 일반적으로 로드셀이 사용되지만, 상기 제안에서는, 회전 블레이드의 회전에 기인하는 진동이, 토출 케이스를 통하여 로드셀에 노이즈로서 전달된다. 이 때문에, 로드셀이 곡립의 하중을 정확히 완전하게 검출할 수 없어, 검출 정밀도의 향상이 저해되고 있다.
상기 실정에 비추어, 곡립 반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의 내부로 토출되는 곡립의 수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는 수확기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탈곡립을 반송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로 토출하는 반송 장치와,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 상에 설치되고,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안내부가 구비되어 있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 상에,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곡립 탱크 내에 있어서의 탈곡립의 투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부의 수평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곡립 탱크 내부의 후방측으로 탈곡립을 토출하는 구성인 경우, 토출된 탈곡립이, 곡립 탱크의 천장판의 방향으로 일단은 투척되었다고 해도, 안내부에 의해 그 진행 방향이 변경되고, 천장판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곡립 탱크 내부의 후방측으로 투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투척된 탈곡립이, 곡립 탱크 내에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밸런스가 좋은 분포 상태로 저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레이드부의 연직축 주위의 회전에 의해 토출구의 전방 영역에 탈곡립을 토출하는 구성인 경우, 토출된 탈곡립이, 토출구의 전방 영역의 방향으로 일단은 투척되었다고 해도, 안내부에 의해 그 진행 방향이 변경되고, 토출구의 좌우 양측의 영역, 즉 곡립 탱크의 내부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투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 대해서도, 투척된 탈곡립이, 곡립 탱크 내에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밸런스가 좋은 분포 상태로 저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 조정 기구가 구비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방향 조정 기구에 의해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투척된 탈곡립이, 곡립 탱크 내의 어떠한 영역에 치우치기 시작한다면,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적절하게 변경하여, 곡립 탱크 내의 다른 영역으로 투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탈곡립이 치우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여, 밸런스가 좋은 분포 상태로 저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부에 의해 안내되는 탈곡립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는, 그 작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으므로, 방향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적합한 방향으로 탈곡립이 투척되도록 조절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방향 조정 기구는, 다단계로 상기 진행 방향을 조정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방향 조정 기구가 다단계로 조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단계적으로 보다 미세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탈곡립의 치우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천장판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천장판에 안내부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 최소한이어도 되며, 탈곡립의 저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천장판에 점검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점검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점검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에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의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할 때에는, 덮개를 벗김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천장판에 점검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점검구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점검구부의 근방에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의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할 때에는, 작업자가 점검구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안내부에, 기부와, 상기 기부를 보호하는 라이너가 구비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기부를 보호하는 라이너가 안내부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열화가 안내부에 발생하였을 때, 라이너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라이너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이 보다 간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서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로 곡립을 반송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로 곡립을 토출하는 곡립 반송 장치와,
상기 곡립 반송 장치의 토출구에 설치되고, 상기 곡립 반송 장치를 통과하는 곡립의 양에 기초하는 압력에 의해 수량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곡립 탱크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부가 곡립 탱크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검출부가 토출구에 설치되어 있어도, 검출부를 곡립 반송 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곡립 반송 장치의 진동이 검출부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검출부에 있어서의 수량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 결과, 곡립 반송 장치로부터 곡립 탱크의 내부로 토출되는 곡립의 수량을,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벽부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횡 반송부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횡 반송부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벽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의 벽부 및 지지 프레임을 잘 이용하여, 검출부를 곡립 탱크의 벽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토출구가 곡립 탱크의 벽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검출부를, 곡립 반송 장치로부터 분리한 채, 토출구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 반송부에 회전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와 검출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검출부에 있어서의 곡립의 압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횡 반송부와 검출부의 간극 간격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곡물의 종류에 따라 간극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곡립이 횡 반송부와 검출부의 간극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벽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지지 프레임을 움직이기만 하는 간소한 기구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검출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검출부를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움직이기만 하는 간소한 기구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검출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기체 횡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해, 회전 블레이드에 의해 압출되는 곡립이, 검출부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진다. 이에 의해, 검출부가 곡립을 빠짐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에 걸쳐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이면, 지지 프레임이 곡립 탱크에 양단 지지됨으로써, 지지 프레임이 진동하기 어려워지므로, 곡립 반송 장치의 진동이 검출부에 한층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의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이, 검출부에 의해 널리 받아들여진다. 이에 의해, 검출부가 곡립을 빠짐 없이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와 곡립 탱크를 도시하는 배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4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방출 장치와 안내부를 도시하는 측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5는,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방출 장치와 안내부를 도시하는 배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6은, 곡립 방출 장치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안내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8은, 안내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9는, 안내부의 그 밖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10은, 안내부의 그 밖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11은, 콤바인의 그 밖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반송 장치와 곡립 탱크를 도시하는 배면 모습 설명도이다.
도 1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곡립 반송 장치와 곡립 탱크를 도시하는 콤바인 배면도이다.
도 15는,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검출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검출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지지 프레임에 지지된 검출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지지 프레임의 설치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9는, 곡립 방출 장치와 검출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곡립 방출 장치와 검출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1)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하나를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1)의 일례인 보통형 콤바인(1)의 측면도이며, 도 2는, 평면도이다. 이 콤바인(1)은, 홈형재나 각파이프재 등의 복수의 강재를 연결한 기체 프레임(8)을 구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8)의 하부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9)를 장비하고 있다. 기체 프레임(8)에 있어서의 우측 절반부의 전방측에는, 엔진(11)이 탑재되고, 그 상부에 캐빈 구성의 운전부(10)가 형성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8)의 전방부에는, 예취부(2)가 승강 가능하게 장비되어 있고, 기체 프레임(8)의 후방부에는, 예취부(2)로부터 공급된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3)와, 탈곡립을 반송하여 곡립 탱크(5)의 내부로 토출하는 반송 장치와, 탈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5)와, 곡립 탱크(5)에 저류된 탈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언로더(12)가 장비되어 있다.
예취부(2)는, 기체 횡방향의 횡축심(X1) 주위로 상하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선회 시 등의 비수확 작업 시에는 예취부(2)는 상승 상태로 되고, 수확 작업 시에는 포장면에 근접한 하강 상태로 된다. 예취부(2)에는, 식립 곡간을 빗어 나누는 좌우 한 쌍의 디바이더(20)와, 회전 구동됨으로써 식립 곡간을 후방으로 긁어 넣는 긁어넣기 릴(21)과, 긁어넣기 릴(21)에 의해 긁어 넣어진 식립 곡간을 베는 예취날 장치(22)와, 예취날 장치(22)에 의해 베어진 예취 곡간을 후방으로 보내는 오거 드럼(23)과, 오거 드럼(23)으로부터 보내진 예취 곡간을 탈곡 장치(3)의 전단부로 반송하는 피더(24)가 구비되어 있다.
탈곡 장치(3)는, 피더(24)로부터 공급을 받은 예취 곡간을, 회전 구동되는 급동(30)에 의해 탈곡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장치(4)는, 탈곡 장치(3)의 저부에 설치된 탈곡 처리물 회수 스크루(40)와 리프팅 컨베이어(41)와 횡 이송 컨베이어(42)와 곡립 방출 장치(49)를 포함하고, 엔진(11)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프팅 컨베이어(41)는, 탈곡 장치(3)로부터 배출된 탈곡립을 상방으로 보내기 위해, 거의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리프팅 컨베이어(41)는, 구동 스프로킷(43)과 종동 스프로킷(도시하지 않음)에 걸쳐 감아 걸려진 무단 회동 체인(44)의 외주측에 복수의 버킷(45)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버킷 컨베이어이다.
리프팅 컨베이어(41)는, 탈곡 장치(3)로부터 배출된 탈곡립을 상방으로 보내는 버킷 컨베이어이다. 횡 이송 컨베이어(42)는, 리프팅 컨베이어(41)의 반송 종단부와 접속되어 있고, 리프팅 컨베이어(41)로부터 이송된 탈곡립을 곡립 탱크(5)의 내부로 보내오는 스크루 컨베이어이다. 횡 이송 컨베이어(42)는, 리프팅 컨베이어(41)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곡립 탱크(5)의 좌측벽(52)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상부에 삽입되어 있고, 외주부는, 단면 형상 원형(팔각형이나 그 밖의 다각형이어도 됨)의 케이싱(46)으로 포위되어 있다. 횡 이송 컨베이어(42)는, 스크루축(47)과, 이 스크루축(47)에 고정된 스크루체(48)를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횡 이송 컨베이어(42)의 종단 영역에, 탈곡립을 곡립 탱크(5)의 내부로 확산 방출하는 곡립 방출 장치(49)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49)는, 방출 회전체(412)와 방출 회전체(412)의 주위를 덮는 방출 케이스(411)를 구비하고 있다. 방출 회전체(412)는, 스크루축(47)으로부터 연장된 회전축(413)과, 회전축(413)에 설치된 블레이드판(414)으로 이루어지는 회전 블레이드이다. 블레이드판(414)은, 회전축(413)으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413)에 고정되어 있다. 블레이드판(414)은, 그 회전 방향으로 탈곡립을 압출해 가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압출면을 갖고 있다. 방출 케이스(411)는, 블레이드판(414)의 회전 궤적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이다. 방출 케이스(411)의 둘레면의 일부가 절결되어 있다. 이 절결에 의해, 블레이드판(414)의 회전에 의해 탈곡립을 곡립 탱크(5)의 내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으로 방출하는 곡립 방출구(410)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루축(47)과 회전축(413)은, 횡축심(X2) 주위로 일체 회전한다. 그 회전 방향은,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횡축심(X2)을 따라 스크루축(47)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시선을 기준으로 한 좌회전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판(414)은, 도 4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수평축 주위)으로 회전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방출구(410)는, 방출 케이스(4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거의 블레이드판(414)의 폭에서, 방출 케이스(411)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하단으로부터 회전 방향에서 거의 3분의 1 원주의 길이에 걸친 절결 개구이다. 블레이드판(414)에 밀려 보내져 온 탈곡립은 이 곡립 방출구(410)를 통하여, 방출 케이스(411)로부터 곡립 탱크(5)의 내부로 방출된다.
곡립 방출구(410)의 하측에는, 하중 검출기(7)가 설치되어 있다. 하중 검출기(7)는, 곡립 탱크(5)의 우측벽(51)의 지지 부재(71)로부터 좌측벽(52)의 지지 부재(71)에 걸쳐 가설된 스테이(72)에 고정되어 있다. 하중 검출기(7)는, 압박 작용부(7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압박 작용부(70)에 로드셀이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판(414)에 의한 탈곡립의 방출 시에, 블레이드판(414)의 회전력에 의한 탈곡립으로의 압박이 탈곡립을 통하여 압박 작용부(70)에 전달된다. 이 압박에 의한 압력이 압박 작용부(70)에 변형을 발생시킨다. 블레이드판(414)에 의한 탈곡립으로의 압박은, 반송 장치(4)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탈곡립의 양이 많아질수록 커진다. 따라서, 압박 작용부(70)의 변형에 의해 로드셀에 발생하는 전기 신호는, 반송되어 오는 탈곡립의 양(수확된 탈곡립의 양: 수량)에 의존하는 강도를 갖게 되므로, 반송되어 오는 탈곡립의 변동이나 양을 평가하기 위한 검출 신호로서 취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방출구(410)의 하방에는, 탈곡립의 식미를 측정하는 식미 측정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식미 측정 장치(15)의 식미 측정 용기(151) 내에 일시적으로 탈곡립을 저류하고, 탈곡립에 대한 분광 측정을 통하여, 수분이나 단백 등의 곡립 성분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횡 이송 컨베이어(42)에 의해 반송되어 온 탈곡립은, 수평 투사된 물체가 자유 낙하할 때와 마찬가지의 궤도로 낙하하려고 하기 때문에, 식미 측정 장치(15)는, 곡립 방출구(410)의 바로 밑이 아니라, 곡립 탱크(5)의 우측벽(51)쪽으로 조금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식미 측정 장치(15)의 식미 측정 용기(151) 내에 탈곡립을 효율적으로 저류할 수 있다.
곡립 탱크(5)는, 기체 프레임(8) 상의 우측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고, 탈곡 장치(3)의 우측 횡 인접측에서, 운전부(10)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탈곡 장치(3)로부터 곡립 탱크(5)로 탈곡립을 공급하는 리프팅 컨베이어(41)가 탈곡 장치(3)와 곡립 탱크(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의 후방측에는, 점검구부(53)가 개구되어 있다. 점검구부(53)에는, 이것을 개폐하기 위한 덮개(54)가 설치되어 있고, 덮개(54)는, 힌지(55)에 의해 요동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54)에는, 곡립 탱크의 내부의 곡립 저류 상태를 외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 수지판 등에 의해 구성되는 투명 창부(56)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에는, 평판형의 안내부(6)가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탱크의 천장판부(50)에 안내부(6)가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부(6)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 최소한이어도 되며, 탈곡립의 저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안내부(6)는, 연결부(60)를 통하여 회전 막대(61)에 용접되어 있고, 회전 막대(61)는, 천장판부(50)에 고정된 지지 부재(62)에 의해 횡축심(X3)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 막대(61)는, 그 일단이 곡립 탱크의 좌측벽(5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꿰뚫고 나간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회전 막대(61)의 단부에 조작용 레버(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부(6)는, 곡립 방출 장치(49)의 상방이면서 또한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부(6)의 좌우의 횡 폭은, 적어도 곡립 방출 장치(49)의 횡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부(6)는, 곡립 방출 장치(49)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 상에 설치되어 있고,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곡립 방출 장치(49)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의 안내부(6)에 대한 입사각 A1과 반사각 A2가, 안내부(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곡립 방출 장치(49)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의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에 대한 입사각 a1과 반사각 a2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A1>a1, A2>a2).
상기 구성에 의해,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방출 장치(49)로부터 토출된 탈곡립(K)이,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의 방향으로 일단은 투척되었다고 해도, 안내부(6)에 의해 그 진행 방향이 변경되고, 천장판부(50)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곡립 탱크(5) 내부의 후방측(도 4 및 도 6의 지면 우측)으로 투척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투척된 탈곡립(K)이, 곡립 탱크(5) 내에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밸런스가 좋은 분포 상태로 저류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용 레버(63)를 회전 막대(61)의 횡축심(X3)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막대(61)와 연결부(60)와 안내부(6)가 횡축심(X3) 주위로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용 레버(63)를 조작함으로써 안내부(6)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 조정 기구가, 지지 부재, 회전 막대(61), 연결부(60) 및 조작용 레버(6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방향 조정 기구에 의해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투척된 탈곡립이, 곡립 탱크(5) 내의 어떠한 영역에 치우치기 시작한다면,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다른 방향으로 적절하게 변경하여, 곡립 탱크(5) 내의 다른 영역으로 투척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탈곡립이 치우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여, 밸런스가 좋은 분포 상태로 저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내부(6)에 의해 안내되는 탈곡립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는, 그 작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있으므로, 방향 조정 기구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보다 적합한 방향으로 탈곡립이 투척되도록 조절하기 쉬워진다.
또한, 방향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안내부(6)를, 그 전단과 후단의 2점에서 현수 지지하고, 각각에 있어서의 현수 거리를 수동으로 조절 가능(예를 들어, 복수의 볼트 구멍을 구비하는 스테이와, 볼트를 조합하여, 볼트를 삽입 관통시키는 구멍을 변경함으로써 스테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등)으로 함으로써 구성해도 되고, 모터 등을 사용하여 전동적으로 방향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되고, 혹은 수동 혹은 전동에 구애되지 않고 공지의 자동 텐션 방식을 이용하여 방향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방향 조정 기구는, 다단계로 진행 방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용 레버(63)의 횡축심(X3) 주위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경ㆍ유지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방향 조정 기구가 다단계로 조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단계적으로 보다 미세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탈곡립의 치우침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즉, 안내부(6)가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에 고정되어 있고, 그 각도를 변경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안내부(6)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점검구부(53)를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의 전방측에 설치하여, 당해 점검구부(53)를 개폐하는 덮개(54)에 안내부(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혹은 당해 점검구부(53)의 근방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덮개(54)에 안내부(6)를 설치하는 구성인 경우, 안내부(6)의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할 때에는, 덮개(54)를 벗김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구부(53)의 근방에 안내부(6)를 설치하는 경우, 안내부(6)의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할 때에는, 작업자가 점검구부(53)를 통하여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특히, 안내부(6)를 덮개(54)에 설치하는 경우, 저류한 탈곡립의 상승압이 안내부(6)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적당한 막대 부재와 그 막대 부재를 끼움 지지하는 판 스프링에 의해, 덮개(54)의 폐쇄 자세가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탈곡립에 의한 소정의 상승압이 덮개(54)에 작용함으로써, 덮개(54)가 밀어올려져, 막대 부재가 판 스프링으로부터 벗겨져 덮개(54)가 열리도록 구성하면 된다.
안내부(6)에, 기부와, 기부를 보호하는 라이너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이너는, 안내부(6)의 기부에 있어서, 곡립 방출 장치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이 닿는 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기부를 보호하는 라이너가 안내부(6)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마모에 의한 열화가 안내부(6)에 발생하였을 때, 라이너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라이너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이 보다 간소화된다.
안내부(6)가 천장판부(5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에 한하지 않고, 곡립 탱크의 천장판부(50)의 전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설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내부(6)가, 하중 검출기의 압박 작용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
곡립 방출 장치(49)의 형태는, 콤바인(1)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곡립 방출 장치(49)의 형태, 압박 작용부(70)와 하중 검출기(7)의 형상 및 배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에서는, 탈곡 장치(3)의 저부로부터 탈곡립(K)을 곡립 탱크(5)의 상방으로 반송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식 리프팅 컨베이어(41)의 상단에 곡립 방출 장치(49)가 설치되어 있다. 곡립 방출 장치(49)는, 리프팅 컨베이어(41)를 구성하는 스크루 컨베이어(415)의 축체(416)의 상단에,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블레이드판(417)과, 이 블레이드판(417)을 덮는 블레이드 커버(418)를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 커버(418)는, 블레이드판(417)의 회전 궤적(연직축 주위의 회전)의 곡립 탱크(5)의 내부를 향하고 있는 부분에 대향하는 영역을 개구하고 있고, 이 개구가 탈곡립(K)의 곡립 방출구(410)로 된다. 스크루 컨베이어(415)로 반송되어 온 탈곡립(K)은, 연직축 주위로 회전하는 블레이드판(417)에 의해, 곡립 방출구(410)로부터 곡립 탱크(5) 내를 향하여 날려진다.
블레이드 커버(418)의 측벽이며, 곡립 방출 시에 블레이드판(417)과의 사이에 탈곡립(K)을 끼워 넣는 개소에, 판형의 압박 작용부(70)와, 로드셀에 의한 하중 검출기(7)가 설치되어 있다. 리프팅 컨베이어(41)로 반송되어 온 탈곡립(K)은, 블레이드판(417)에 의해 블레이드 커버(418)의 측벽에 압박되므로, 탈곡립(K)의 양에 대응하는 하중이 압박 작용부(70)에 걸린다. 하중 검출기(7)(로드셀)는, 이 측벽에 걸리는 하중을 검출한다.
본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곡립 탱크의 천장판부(50)에는, 평면에서 보아 「く」자형을 한 평판형의 안내부(6)가 지지되어 있다. 안내부(6)는, 그 굴곡 개소에 있어서 회전 막대(61)에 용접되어 있고, 회전 막대(61)는, 종축심(X4)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천장판부(50)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 막대(61)는, 그 일단이 곡립 탱크의 천장판부(5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꿰뚫은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회전 막대(61)의 단부에 조작용 레버(63)가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의 좌측벽(52)의 전후 방향 중간 부분에 곡립 방출 장치(49)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6)는, 곡립 방출 장치(49)에 있어서의 곡립 방출구(410)의 전방, 즉 곡립 탱크(5)의 우측벽(51)측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6)는, 곡립 방출 장치(49)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 상에 설치되어 있고,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토출된 탈곡립이, 곡립 방출 장치(49)의 곡립 방출구(410)의 전방 영역의 방향으로 일단은 투척되었다고 해도, 안내부(6)에 의해 그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곡립 탱크(5)의 내부의 후방측(도 7 및 도 8의 지면 우측)으로 투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척된 탈곡립(K)이, 곡립 탱크(5) 내에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밸런스가 좋은 분포 상태로 저류할 수 있게 된다.
안내부(6)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에서 보아 원호상의 곡면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본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용 레버(63)를 회전 막대(61)의 종축심(X4)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회전 막대(61)와 안내부(6)가 종축심(X4) 주위로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용 레버(63)를 조작함으로써 안내부(6)의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의해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 조정 기구가, 회전 막대(61)와 조작용 레버(6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방향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앞서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수동에 의한 것, 전동에 의한 것, 혹은 수동 혹은 전동에 구애되지 않고 공지의 자동 텐션 방식을 이용하여 방향 조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방향 조정 기구는, 앞서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다단계로 진행 방향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용 레버(63)의 종축심(X4) 주위의 각도를 단계적으로 변경ㆍ유지할 수 있는 공지의 구성을 채용하면 된다.
또한, 방향 조정 기구에 대해서는, 앞서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즉, 안내부(6)가 곡립 탱크(5)의 천장판부(50)에 고정되어 있고, 그 각도를 변경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안내부(6)를 설치하는 위치에 대해서도 앞서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점검구부(53)를 개폐하는 덮개(54)에 안내부(6)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혹은 점검구부(53)의 근방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특히, 안내부(6)를 덮개(54)에 설치하는 경우, 저류한 탈곡립의 상승압이 안내부(6)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적당한 막대 부재와 그 막대 부재를 끼움 지지하는 판 스프링에 의해, 덮개(54)의 폐쇄 자세가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탈곡립에 의한 소정의 상승압이 덮개(54)에 작용함으로써, 덮개(54)가 밀어올려져, 막대 부재가 판 스프링으로부터 벗겨져 덮개(54)가 열리도록 구성하면 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안내부(6)에는, 기부와, 기부를 보호하는 라이너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라이너는, 안내부(6)의 기부에 있어서, 곡립 방출 장치로부터 토출된 탈곡립이 닿는 면을 덮도록 설치된다.
안내부(6)가 천장판부(50)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에 한하지 않고, 곡립 탱크의 천장판부(50)의 전후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설정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안내부(6)가, 하중 검출기의 압박 작용부를 겸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 형태]
1. 도 9에서 도면 부호 W1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앞선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부(6)가, 측면에서 보아, 곡립 방출 장치(49)의 방출 케이스(411)(도 4 참조)의 상측 선단 부분과, 방출 케이스(411)의 상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중복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부터, 측면에서 보아, 곡립 방출 장치(49)와 안내부(6)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기 때문에, 곡립 방출구(410)로부터 방출된 탈곡립의 일부가, 당해 간극을 통과하여 안내부(6)의 상면에 정체되어 손실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되는 안내부(6)에 관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앞선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2. 도 10에서 도면 부호 W2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안내부(6)가, 평면에서 보아, 곡립 방출 장치(49)의 곡립 방출구(410)와, 곡립 탱크(5) 내부의 전방측(도 10의 지면 좌측)에서 중복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아, 곡립 방출 장치(49)와 안내부(6)의 사이의 간극이 없어지기 때문에, 곡립 방출구(410)로부터 방출된 탈곡립이, 당해 간극을 빠져나가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안내부(6)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곡립 탱크(5)의 내부의 후방측(도 10의 지면 우측)으로 투척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되는 안내부(6)에 관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다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3. 상술한 앞선 실시 형태에서는, 곡립 방출구(410)의 하측에 하중 검출기(7)를 설치하여, 탈곡립으로부터의 압박력을 검출함으로써 탈곡립의 수량을 측정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스크루축(47)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함으로써, 탈곡립의 수량을 측정하도록 해도 된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엔진 동력으로부터 독립된 액추에이터로서의 전동 모터(M)와, 스크루축(47)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S)를, 스크루축(47)에 설치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전동 모터(M)의 동력에 의해, 회전수가 일정해지도록 스크루축(47)을 회전시키면, 반송되어 오는 탈곡립의 양이 많아질수록, 스크루축(47)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대되어 회전수가 감소한다. 따라서, 탈곡립의 양과 스크루축(47)의 회전수의 대응 관계를 검량선으로서 미리 산출해 두면, 회전 센서(S)의 검출값으로부터, 탈곡립의 수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되는 구성에서는, 스크루축(47)만을 전동 모터(M)에 의해, 엔진 동력과는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탈곡 처리물 회수 스크루(40), 리프팅 컨베이어(41) 및 횡 이송 컨베이어(42)의 스크루축(47)의 전부를 전동 모터(M)에 의해, 엔진 동력과는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예를 들어 스크루축(47)뿐만 아니라, 탈곡 처리물 회수 스크루(40)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의 회전 센서(S) 대신에, 예를 들어 토크 센서를 설치하여, 검출 토크에 기초하여 스크루축(47)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여 탈곡립의 수량을 측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스크루축(47)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하는 구성과, 앞선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하중 검출기(7)를 조합해도 되고, 혹은 각각을 단독으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술한 스크루축(47)에 가해지는 부하를 검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크루 컨베이어(415)의 축체(416)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부호를 기재하였지만, 해당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수확기의 기본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에 대하여, 그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횡 폭 방향에 있어서의 좌측 또는 우측은, 기체 진행 방향을 향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좌우를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도 12 및 도 13에, 수확기의 일례인 보통형 콤바인이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강재를 연결한 기체 프레임(1001)이 수확기에 구비되고, 기체 프레임(1001)의 하부에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02)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01)에 있어서의 전방 우측부에 엔진(E100)이 탑재되고, 그 상방에 운전용 캐빈(1003)이 설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01)의 전방에 예취부(100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1001)의 후방부에 있어서, 예취부(1004)로부터 반송 피더(1005)에 의해 공급된 예취 곡간을 전간 투입하여 탈곡하는 탈곡 장치(1006)와, 탈곡 장치(1006)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1007)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장착되어 있다. 또한, 곡립 탱크(1007)에 인접하여 장착된 언로더(1008)에 의해, 곡립 탱크(1007)에 저류된 곡립이 외부로 배출된다.
[곡립 반송 장치]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1006)와 곡립 탱크(1007)는 곡립 반송 장치(101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곡립 반송 장치(1010)에, 탈곡 장치(1006)의 저부에 설치된 탈곡 처리물 반송 스크루(1010A)와, 탈곡 장치(1006)와 곡립 탱크(1007)의 사이에 배치된 리프팅 컨베이어(1010B)와, 곡립 탱크(1007)의 좌측벽(1007a)의 전방 상부를 관통하는 횡 반송부(1011)가 구비되어 있다. 리프팅 컨베이어(1010B)는 버킷 컨베이어이며, 무단 회동 체인(1010E)이 스프로킷(1010D)에 감아 걸려져 리프팅 컨베이어(1010B)의 반송 방향 양단에 걸쳐 있고, 무단 회동 체인(1010E)의 외주측에 복수의 버킷(1010F)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006)의 저부에서 회수된 곡립은, 탈곡 처리물 반송 스크루(1010A)에 의해 탈곡 장치(1006)의 우횡측 외측으로 배출된 후, 리프팅 컨베이어(1010B)에 의해 곡립 탱크(1007)의 상방을 향하여 반송되고, 횡 반송부(1011)에 의해 곡립 탱크(1007)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반송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횡 반송부(1011)에, 횡 이송 스크루(1012)와, 평판형의 회전 블레이드(1013)와, 회전 블레이드(1013)의 주위를 덮는 토출 케이스(1014)가 구비되어 있다. 횡 이송 스크루(1012)로부터 반송 방향 종단 쪽으로, 회전축(1012a)이 연장되어 있고, 회전축(1012a)은 횡 이송 스크루(1012)와 일체 회전한다. 회전 블레이드(1013)는, 회전축(1012a)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회전 블레이드(1013)는 회전축(1012a)의 축심(P1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토출 케이스(1014)의 기체 후방측, 즉 도 15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에, 토출구(1014a)가, 기체 측면에서 보아 C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블레이드(1013)의 축심 방향에 있어서, 토출구(1014a)의 폭은, 회전 블레이드(1013)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회전 블레이드(1013)는 화살표(R)로 나타난 방향으로 회전하고, 토출 케이스(1014)로 송출된 곡립은, 회전 블레이드(1013)에 의해 토출구(1014a)로부터 곡립 탱크(1007)의 내부로 압출된다.
회전축(1012a)으로부터, 회전 블레이드(1013)와 반대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상태로 돌기부(1015)가 구비되어 있다. 돌기부(1015)의 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회전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돌기부(1015)가 회전 센서를 통과하는 타이밍에 회전 펄스가 발생하고, 1회전이 카운트된다.
[검출부]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출구(1014a)에 인접하는 상태로, 곡립의 방출량을 계측하는 검출부(1020)가 설치되어 있다. 검출부(1020)는 지지 프레임(1030)에 지지되고, 지지 프레임(1030)은, 곡립 탱크(1007)의 벽부 중, 좌측벽(1007a)과 우측벽(1007b)에 걸쳐 있다. 검출부(1020)에, 검지판(1021)과 로드셀(1022)이 스페이서(1023)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셀(1022)의 일단부(1022A)는, 지지 프레임(1030)에 스페이서(1024)를 사이에 두고 지지되어 있다. 또한, 로드셀(1022)의 타단부(1022B)의 상방에, 검지판(1021)이 스페이서(1023)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다.
검지판(1021)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블레이드(1013)의 선단이 검지판(1021)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블레이드(1013)의 접선 방향을 따라 후방 위쪽으로 경사진다. 검지판(1021)의 좌우 폭은, 토출구(1014a)의 좌우 폭에 걸쳐 있고, 검지판(1021)의 좌우 폭이 회전 블레이드(1013)의 좌우 폭보다 넓어지도록, 검지판(1021)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토출구(1014a)의 좌우 폭의 전체 폭에 걸쳐 토출되는 곡립이, 모두 검지판(1021)에 밀어붙여지고, 검출부(1020)가, 곡립 반송 장치(1010)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을 빠짐 없이 검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판(1021)이 후방 위쪽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검지판(1021)에 밀어붙여진 곡립이 곡립 탱크(1007)의 후방부로 날려진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드셀(1022)의 일단부(1022A)에, 하방에 개구되는 나사 구멍(1022a)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가, 지지 프레임(1030)에 형성된 긴 구멍(1031c)으로부터 삽입 관통되고, 스페이서(1024)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1024a)을 관통하고, 나사 구멍(1022a)에 볼트 체결된다. 이에 의해, 로드셀(1022)의 일단부(1022A)는, 스페이서(1024)를 사이에 두고 지지 프레임(1030)에 외팔보 지지된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로드셀(1022)의 타단부(1022B)에도, 상방에 개구되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는 볼트 삽입 관통 구멍이 검지판(1021) 및 스페이서(1023)에 형성되어 있다. 볼트가, 검지판(1021)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으로부터 삽입 관통되고, 스페이서(1023)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을 관통하고, 로드셀(1022)의 타단부(1022B)에 볼트 체결된다.
이와 같이, 로드셀(1022)이 지지 프레임(1030)에 외팔보 지지되며, 또한 스페이서(1023, 1024)가, 로드셀(1022)에 대하여 상하 좌우 대칭으로 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에 의해, 로드셀(1022)의 중심부(22C)에 응력이 집중하기 쉬워진다. 즉, 로드셀(1022)이 검지판(1021)으로부터 하중을 받으면, 타단부(1022B)에 모멘트 하중이 걸리고, 중심부(1022C)에 변형이 발생한다.
로드셀(1022)의 중심부(1022C)에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로드셀(1022)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한다. 이 전기 신호는, 곡립의 수량을 평가하기 위한 검출 신호로서 사용되고, 전기 신호는 예를 들어 전압값이나 전류값으로 표시된다. 곡립 반송 장치(1010)로부터 보내져 오는 곡립의 방출량이 많아질수록, 검지판(1021)에 대한 곡립의 압박력은 커지고, 로드셀(1022)의 검출 신호도 커진다.
검지판(1021)과 토출구(1014a)가 인접하는 구성에 의해, 토출구(1014a)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을 검출부(1020)가 검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수량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된다. 그러나, 회전 블레이드(1013)가 회전할 때, 회전 블레이드(1013)와 돌기부(1015)에 원심력이 걸리기 때문에, 회전 블레이드(1013)의 원심력과, 돌기부(1015)의 원심력의 합력이 균형잡힌 위치로 회전 무게 중심이 치우쳐, 회전 블레이드(1013)의 회전에 기인하는 진동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검지판(1021)이 토출 케이스(1014)에 직접 설치되는 경우, 회전 블레이드(1013)의 회전 진동은, 토출 케이스(1014)를 통하여 검지판(1021)에 전달되고, 로드셀(1022)에도 전달된다. 이 때문에, 회전 블레이드(1013)의 회전 진동이, 노이즈로 되어 검출부(1020)에 검출되고, 수량 검출의 정밀도의 향상이 저해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030)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지지 프레임]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출부(1020)는 횡 반송부(101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토출구(1014a)에 설치되어 있고, 검출부(1020)는 지지 프레임(1030)에 지지되어 있다. 곡립 탱크(1007)의 벽부 중, 좌/우측벽(1007a, 1007b)의 각각에, 기체 전후 방향을 따라 벽부 프레임(1071, 1071)이 수평인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30)은, 예를 들어 산형강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고, 곡립 탱크(1007)의 좌우 양단에 걸친 지지 부재(1031)와, 지지 부재(1031)의 좌우 양단에 용접 고정된 좌우 한 쌍의 설치 부재(1032)를 갖는다. 설치 부재(1032)가 좌우의 벽부 프레임(1071, 1071)에 볼트 고정됨으로써, 지지 프레임(1030)은 곡립 탱크(1007)에 양단 지지된다.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1031)는 단면에서 보아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1030)이 곡립 탱크(1007)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1031)는, 기체 측면에서 보아 V자를 상하 반전한 형상으로 되고, 후방 위쪽으로 경사지는 후방 상부 경사부(1031a)와, 후방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후방 하부 경사부(1031b)를 갖는다. 후방 상부 경사부(1031a)가 검출부(10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전후 폭에 있어서, 후방 상부 경사부(1031a)는, 스페이서(1024)의 하면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 상부 경사부(1031a)의 좌우 양단에, 절판부(1031d, 1031d)가 형성되어 있다. 절판부(1031d, 1031d)는, 후방 상부 경사부(1031a)에 대하여 굴곡되고, 좌/우측벽(1007a, 1007b)과 평행인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절판부(1031d, 1031d)와, 좌우의 설치 부재(1032, 1032)에 형성된 측부(1032b, 1032b)가 각각 용접 고정된다.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 상부 경사부(1031a)에 있어서, 로드셀(1022)의 외팔보 지지의 기단부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후 방향을 따르는 긴 구멍(1031c, 1031c)이, 좌우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긴 구멍(1031c, 1031c)에 볼트가 2개씩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검출부(1020)는 지지 부재(1031)에 볼트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검출부(1020)가 지지 프레임(1030)에 지지되고, 횡 반송부(1011)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검지판(1021)과 토출구(1014a)가 인접하는 구성에 의해, 토출구(1014a)로부터 토출되는 곡립의 압박력을 검출부(1020)가 검지하기 쉬워지고, 또한 회전 블레이드(1013)의 회전에 기인하는 진동이 검출부(1020)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검출부(1020)와 지지 부재(1031)를 접합하는 볼트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출부(1020)는, 지지 부재(1031) 상을 긴 구멍(1031c)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검출부(1020)의 검지판(1021)이 후방 위쪽으로 경사지는 것에 대응하여, 지지 부재(1031)의 후방 상부 경사부(1031a)는, 검지판(1021)의 경사 각도와 평행으로 되도록 경사진다. 이러한 점에서, 긴 구멍(1031c)은, 회전 블레이드(1013)의 선단이 검지판(1021)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블레이드(1013)의 접선 방향을 따른다. 이 때문에, 지지 프레임(1030)에 대한 검출부(1020)의 위치가, 회전 블레이드(1013)의 상기 접선 방향을 따라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블레이드(1013)에 대한 검출부(1020)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검지판(1021)의 전방 하단과 토출 케이스(1014)의 하단의 간극 간격이, 회전 블레이드(1013)의 상기 접선 방향을 따라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간극 간격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지만, 예를 들어 곡립이 끼이지 않을 정도의 간극으로서 8.5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설치 부재(1032, 1032)는,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긴 변 방향이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상태로, 설치 부재(1032, 1032)는, 벽부 프레임(1071, 1071)에 수평으로 적재된다. 설치 부재(1032)는, 벽부 프레임(1071)과 맞닿는 하부(1032a)와, 지지 부재(1031)의 절판부(1031d)에 용접 고정되는 측부(1032b)를 갖는다. 하부(1032a)에, 기체 전후 방향을 따르는 긴 구멍(1032c, 1032c)이, 설치 부재(1032)의 기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 프레임(1071)에, 볼트 삽입 관통용 설치 구멍(1071a, 1071a)이 형성되어 있고, 설치 구멍(1071a, 1071a)은 긴 구멍(1032c, 1032c)과 걸림 결합한다.
좌우 한 쌍의 설치 부재(1032, 1032)에 형성된 긴 구멍(1032c, 1032c, 1032c, 1032c)과, 좌우의 벽부 프레임(1071, 1071)에 형성된 설치 구멍(1071a, 1071a, 1071a, 1071a)이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 볼트가 삽입 관통되고, 체결됨으로써, 지지 프레임(1030)은 좌우의 벽부 프레임(1071, 1071)에 볼트 고정된다.
좌우의 설치 부재(1032, 1032)와 좌우의 벽부 프레임(1071, 1071)을 접합하는 볼트가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좌우 한 쌍의 설치 부재(1032, 1032)는, 좌우의 벽부 프레임(1071, 1071)의 위를 긴 구멍(1032c)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1007)의 좌/우측벽(1007a, 1007b)에 대한 지지 프레임(1030)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회전 블레이드(1013)와 검지판(1021)의 이격 거리를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정할 수 있고, 검지판(1021)에 대한 곡립의 압박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검지판(1021)의 전방 하단과 토출 케이스(1014)의 하단의 간극 간격을, 수평 방향을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예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른 실시 형태를 예시한다.
(1) 검출부(1020)의 지지 구조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출부(1020)가, 곡립 탱크(1007)의 저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프레임 부재, 또는 곡립 탱크(1007)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검출부(1020)가, 곡립 탱크(1007)의 상하 방향, 또는 전후 방향에 걸친 프레임 부재에 지지되는 구조여도 된다.
(2) 토출구(1014a) 및 검출부(1020)의 위치 관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출부(1104)가, 곡립 탱크의 벽부(1100)에 지지된 상태에서, 화살표(R)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101)의 상방의 토출구(1102)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탈곡 장치의 저부로부터 곡립을 수직으로 반송하는 스크루 컨베이어(1101)의 상단에 스크루 컨베이어(1101)와 일체 회전하는 회전 블레이드(1103)가 설치되고, 곡립 탱크의 벽부(1100) 중, 회전 블레이드(1103)가 위치하는 개소에 개구되는 토출구(1102)가 형성되어 있다. 검출부(1104)에, 검지판(1105)과 로드셀(1106)과, 검지판(1105) 및 로드셀(1106)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1107)과, 곡립 탱크의 벽부(1100)에 검출부(1104)를 설치하는 설치 브래킷(1108)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곡립이 회전 블레이드(1103)에 의해 토출구(1102)로부터 날려져 검지판(1105)에 밀어붙여지고, 로드셀(1106)은 검지판(1105)에 걸리는 압박력을 검출한다. 또한, 지지 브래킷(1107)은, 설치 브래킷(1108)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지지 브래킷(1107)의 요동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회전 블레이드(1103)에 대한 검출부(1104)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토출구(1014a)는, 횡 반송부(1011)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횡 반송부(1011)의 반송 방향 말단에, 횡 이송 스크루(1012)의 축심 방향에 개구되는 토출구(1014a)가 형성되고, 곡립이 기체 횡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검출부(1020)는, 횡 이송 스크루(1012)의 축심 방향을 따라, 토출구(1014a)와 대향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4)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검지판(1021)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검지판(1021)은, 후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곡립 탱크(1007)의 후방으로 날려지는 곡립의 양이 많아진다.
(5)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검출부(1020)에, 검지판(1021)과 로드셀(1022)이 스페이서(1023)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어 있지만, 검출부(1020)는, 곡립의 수량이 로드셀(1022)에 의해서만 검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곡립의 수량이, 로드셀(1022) 대신에, 변형 게이지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6)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설치 부재(1032, 1032)가 좌우의 벽부 프레임(1071, 1071)을 따라 슬라이드함으로써, 지지 프레임(103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설치 부재(1032)와 벽부 프레임(1071)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끼우는 등에 의해, 지지 프레임(103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설치 부재(1032)가, 곡립 탱크(1007)의 좌/우측벽(1007a, 1007b)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7)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프레임(1030)은 산형강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지지 프레임(1030)은 T형강이나 홈형강 등이어도 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1030)은, 스테인리스강의 조합이나, 일체 성형된 플라스틱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당해 콤바인은, 보통형 콤바인 대신에 자탈형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뿐만 아니라, 자탈형 콤바인 등, 곡립을 수확하는 수확기 전반에 적용 가능하다.
3: 탈곡 장치
30: 급동
4: 반송 장치
40: 탈곡 처리물 회수 스크루
41: 리프팅 컨베이어
42: 횡 이송 컨베이어
43: 구동 스프로킷
44: 무단 회동 체인
45: 버킷
46: 케이싱
47: 스크루축
48: 스크루체
49: 곡립 방출 장치
410: 곡립 방출구
411: 방출 케이스
412: 방출 회전체
413: 회전축
414: 블레이드판
415: 스크루 컨베이어
416: 축체
417: 블레이드판
418: 블레이드 커버
5: 곡립 탱크
50: 천장판부(천장판)
51: 우측벽
52: 좌측벽
53: 점검구부
54: 덮개
55: 힌지
56: 투명 창부
6: 안내부
60: 연결부
61: 회전 막대
62: 지지 부재
63: 조작용 레버
K: 탈곡립
1006: 탈곡 장치
1007: 곡립 탱크
1010: 곡립 반송 장치
1011: 횡 반송부
1012: 횡 이송 스크루
1013: 회전 블레이드
1014: 토출 케이스
1014a: 토출구
1015: 돌기부
1020: 검출부
1021: 검지판
1022: 로드셀
1030: 지지 프레임
1031: 지지부
1032: 설치부

Claims (29)

  1. 예취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탈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탈곡립을 반송하여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로 토출하는 반송 장치와,
    토출된 탈곡립의 토출 궤도 상에 설치되고, 탈곡립의 진행 방향을 변경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천장판에 점검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점검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에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행 방향을 조정하는 방향 조정 기구가 구비된, 콤바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조정 기구는 다단계로 상기 진행 방향을 조정 가능한, 콤바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에, 기부와, 상기 기부를 보호하는 라이너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서 회수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로 곡립을 반송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로 곡립을 토출하는 곡립 반송 장치와,
    상기 곡립 반송 장치를 통과하는 곡립의 양에 기초하는 압력에 의해 수량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 회전에 의해 곡립을 상기 곡립 반송 장치의 토출구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로 방출하는 회전 블레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토출구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방출되는 곡립의 방출 방향을 따르는 상태에서, 상기 곡립 탱크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반송 장치의 반송 방향 종단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벽부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횡 반송부가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횡 반송부의 외주부에 형성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곡립 탱크의 벽부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횡 반송부에 회전 블레이드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벽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회전 블레이드에 대한 상기 검출부의 위치가 조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수확기.
  16. 제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기체 횡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회전 블레이드의 기체 횡방향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는, 수확기.
  18.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에 걸쳐 있는, 수확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에 걸쳐 있는, 수확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에 걸쳐 있는, 수확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곡립 탱크에 있어서 대향하는 측벽에 걸쳐 있는, 수확기.
  22.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의 기체 횡방향의 폭은, 상기 토출구의 기체 횡방향의 양단에 걸쳐 있는, 수확기.
KR1020180071335A 2017-06-26 2018-06-21 콤바인 및 수확기 KR102587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24239 2017-06-26
JPJP-P-2017-124235 2017-06-26
JP2017124239A JP6770932B2 (ja) 2017-06-26 2017-06-26 収穫機
JP2017124235 2017-06-26
JP2017239043A JP6917877B2 (ja) 2017-06-26 2017-12-13 コンバイン
JPJP-P-2017-239043 2017-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534A KR20190001534A (ko) 2019-01-04
KR102587857B1 true KR102587857B1 (ko) 2023-10-12

Family

ID=64822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335A KR102587857B1 (ko) 2017-06-26 2018-06-21 콤바인 및 수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87857B1 (ko)
CN (1) CN109104983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092Y2 (ja) * 1990-07-03 1996-08-07 株式会社クボタ 穀粒回収装置
JP2001224242A (ja) * 2000-02-15 2001-08-21 Iseki & Co Ltd 穀粒流量検出センサ
JP2016131528A (ja) * 2015-01-20 2016-07-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4048U (ja) * 1991-04-19 1992-11-11 株式会社クボタ 穀粒回収装置
JPH0746937A (ja) * 1993-08-06 1995-02-21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貯留部
JP3829405B2 (ja) * 1997-04-24 2006-10-04 チッソ株式会社 回転式ポンプ
JP3386720B2 (ja) * 1998-07-13 2003-03-1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CN103781346B (zh) * 2011-07-20 2016-05-25 洋马株式会社 联合收割机
JP5732445B2 (ja) 2012-09-27 2015-06-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KR101902671B1 (ko) * 2014-04-04 2018-09-28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6459399B2 (ja) * 2014-10-30 2019-01-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6650708B2 (ja) 2015-09-02 2020-02-19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6566833B2 (ja) 2015-10-20 2019-08-28 ヤンマー株式会社 マッピングシステム、マッピング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06177379U (zh) * 2016-10-11 2017-05-17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双板差分式谷物产量计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6092Y2 (ja) * 1990-07-03 1996-08-07 株式会社クボタ 穀粒回収装置
JP2001224242A (ja) * 2000-02-15 2001-08-21 Iseki & Co Ltd 穀粒流量検出センサ
JP2016131528A (ja) * 2015-01-20 2016-07-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104983B (zh) 2022-11-29
CN109104983A (zh) 2019-01-01
KR20190001534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2916B1 (en) Sens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combine
US7682236B2 (en) Harvested crop processing unit with selectable guide rails of differing inclinations
CN102065675B (zh) 包括具有刚性中央分段的柔性切割器的带式输送器头
CA2423774C (en) Combine with adjustable straw guide
US8282453B1 (en) Tailings distribution control for harvester
BR102018010600A2 (pt) sistema para processar sementes
US7645190B2 (en) Combine cleaning fan control system
US10512216B2 (en) Combine harvester with grain culm sensor
US9309057B2 (en) Inclined conveyor assembly with inclined pendulum shaft
WO2017094588A1 (ja) 収穫機
BR102012032787A2 (pt) Sistema de controle de limpeza de balanço lateral combinado
US20150080069A1 (en) Arrangement for Loss Measurement in a Combine Harvester
JP6650708B2 (ja) コンバイン
CN108347883B (zh) 联合收割机以及联合收割机用谷粒产量管理系统
KR102587857B1 (ko) 콤바인 및 수확기
JP6770932B2 (ja) 収穫機
JP6917877B2 (ja) コンバイン
JP2018038272A (ja) コンバイン
CN111373920A (zh) 联合收割机
US20220217911A1 (en) Threshing Apparatus
JP7094191B2 (ja) コンバイン
JP7427823B2 (ja) コンバイン
JP2752293B2 (ja) 穀粒搬送量検出装置
JP2001161157A (ja) コンバイン
KR20230166895A (ko) 수확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