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6895A - 수확 기계 - Google Patents

수확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895A
KR20230166895A KR1020230053504A KR20230053504A KR20230166895A KR 20230166895 A KR20230166895 A KR 20230166895A KR 1020230053504 A KR1020230053504 A KR 1020230053504A KR 20230053504 A KR20230053504 A KR 20230053504A KR 20230166895 A KR20230166895 A KR 20230166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ank
grains
measuring device
quality measuring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쇼타 구니마츠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6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4Tractor-driven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품질 측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려운 수확 기계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수확 기계 (4) 는, 탈곡부 (43) 와, 그레인 탱크 (2) 와, 반송 장치 (45) 와, 품질 측정기 (1) 를 구비한다. 그레인 탱크 (2) 는 곡립을 저류한다. 반송 장치 (45) 는, 탈곡부 (43)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로 곡립을 반송하고,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에 개구되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곡립을 투입한다.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곡립의 품질을 측정한다. 품질 측정기 (1) 는,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수확 기계{HARVESTING MACHINE}
본 발명은,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를 구비하는 수확 기계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로서, 예취부, 탈곡부 및 그레인 탱크 등을 구비하는 수확 기계 (콤바인) 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관련 기술에 관한 수확 기계는, 수확한 곡립의 수분율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기 (수분 센서 유닛) 와, 전장 유닛을 구비한다. 전장 유닛은, 품질 측정기로부터 얻어진 수분율을 조종부의 모니터에 표시할 때에, 품질 측정기를 제어하면서 얻어진 측정값으로부터 수분율을 연산하여 모니터에 표시시키는 전자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전장품이다.
상기 관련 기술에 관한 수확 기계에서는, 전장 유닛은, 배출 오거의 종 (縱) 나선통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그레인 탱크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벽 중, 종나선통측에 면하는 후방벽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곡립의 수분율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기가 그레인 탱크의 천정벽에 장착되고, 품질 측정기의 전원선 및 신호선은, 그레인 탱크의 후방벽의 외면에 고정구를 사용하여 고정되어 전장 유닛에 접속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21-141843호
상기 관련 기술의 구성에서는, 품질 측정기가 그레인 탱크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그레인 탱크의 회전 (개폐) 에 대응하도록, 품질 측정기에 연결되는 케이블 (하니스) 을 필요 이상으로 길게 설정하고, 또한 케이블의 처리가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케이블이 길어지고, 또한 그 처리가 복잡해지면, 품질 측정기의 신뢰성의 저하로도 이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품질 측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려운 수확 기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관한 수확 기계는, 탈곡부와, 그레인 탱크와, 반송 장치와, 품질 측정기를 구비한다. 상기 그레인 탱크는 곡립을 저류한다.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탈곡부로부터 상기 그레인 탱크에 상기 곡립을 반송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의 내측면에 개구되는 투입구로부터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상기 곡립을 투입한다.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그레인 탱크의 내부 공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곡립의 품질을 측정한다.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반송 장치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품질 측정기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려운 수확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의 개략 블록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의 그레인 탱크 및 반송 장치 주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의 그레인 탱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그레인 탱크 주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의 그레인 탱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의 그레인 탱크 주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그레인 탱크의 천정 패널의 해치를 떼어낸 상태로, 그레인 탱크, 반송 장치 및 동력부를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도 7 의 A1-A1 선 단면에 상당하는 그레인 탱크 및 반송 장치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도 8 의 A1-A1 선 단면에 상당하는 반송 장치 주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그레인 탱크의 천정 패널을 떼어낸 상태로, 그레인 탱크의 내부로부터 좌측 패널을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그레인 탱크의 천정 패널을 떼어낸 상태로, 그레인 탱크의 내부로부터 좌측 패널을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그레인 탱크의 좌측 패널을 그레인 탱크의 내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반송 장치 주변의 구조를 그레인 탱크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한 수확 기계를 나타내고, 반송 장치 주변의 구조를 탈곡부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실시형태 1)
[1] 전체 구성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도 1 ∼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주행 장치 (41), 예취부 (42), 탈곡부 (43), 선별부 (44), 반송 장치 (45), 동력부 (46), 운전부 (47), 짚 처리부 (48) 및 배출 장치 (49) 등을, 수확 기계 (4) 의 본체인 기체 (40) 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수확 기계 (4) 는,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 (2),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기 (1)(도 4 참조) 및 전장 유닛 (3)(도 4 참조) 등을 기체 (40) 에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 (45) 는, 탈곡부 (43)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로 곡립을 반송하고,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 (20)(도 10 등 참조) 에 개구되는 투입구 (21)(도 6 등 참조)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곡립을 투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확 기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장치 (51), 통신 단말 (52), 수확량 센서 (53), 곡립 센서 (54), 만량 센서 (55), 연료 탱크 및 배터리 등을 기체 (40) 에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전장 유닛 (3) 은, 곡립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장 유닛 (3) 에 접속되는 센서에는,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이 포함된다. 즉, 적어도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는, 전장 유닛 (3)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적어도 탈곡부 (43), 그레인 탱크 (2) 및 반송 장치 (45)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품질 측정기 (1) 와 전장 유닛 (3) 중 적어도 일방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도 4 는, 그레인 탱크 (2), 반송 장치 (45), 품질 측정기 (1) 및 전장 유닛 (3) 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그레인 탱크 (2), 반송 장치 (45), 품질 측정기 (1) 및 전장 유닛 (3) 이외의 구성의 도시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수확 기계」는, 포장에서 작물의 수확 작업을 실시하는 기계이고, 일례로서, 수확 작업에 더하여 탈곡 및 선별을 실시하는 콤바인 (콤바인 하베스터) 등을 포함한다. 수확 기계 (4) 로서의 콤바인은, 주로 곡물의 수확 작업에 사용되고, 포장 내를 이동 (주행) 하면서, 작물의 예취를 실시하고, 예취한 작물을 수확한다. 특히, 콤바인에는 예취한 작물 전체를 탈곡기 (탈곡부 (43)) 에 보내는 보통형 (범용) 콤바인과, 예취한 작물의 이삭 끝만을 탈곡기에 보내는 자탈형 콤바인이 있는 바,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통형 콤바인을 수확 기계 (4) 의 예로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수확 기계 (4) 는, 사람 (오퍼레이터) 의 조작 (원격 조작을 포함한다) 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확 기계 (4) 는, 자동 운전에 의해 동작하는 무인기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확 기계 (4) 는, 주행 장치 (41) 에 의해 포장을 주행하는「차량」이지만, 수확 기계 (4) 는「차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포장」은, 수확 기계 (4) 가 수확 작업을 실시하는 영역이고, 예를 들어, 벼, 보리, 대두 또는 메밀 등의 수확 대상이 되는 작물 (농산물) 을 생육하는 논, 밭, 과수원 및 목초지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수확 기계 (4) 에 의한 수확 대상이「벼」이고, 포장이 벼를 생육하는 옥외의 논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확 기계 (4) 가 사용 가능한 상태에서의 연직 방향을 상하 방향 (D3) 이라 정의한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 기계 (4)(의 운전부 (47)) 를 타고 있는 사람 (오퍼레이터) 으로부터 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방향 (D1) 및 전후 방향 (D2) 을 정의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각 방향은, 모두 수확 기계 (4) 의 기체 (40) 를 기준으로 하여 규정되는 방향이고, 수확 기계 (4) 의 전진시에 기체 (40) 가 이동하는 방향이「전방」, 수확 기계 (4) 의 후퇴시에 기체 (40) 가 이동하는 방향이「후방」이 된다. 마찬가지로, 수확 기계 (4) 의 우선회시에 기체 (40) 의 전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이「우방」, 수확 기계 (4) 의 좌선회시에 기체 (40) 의 전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이「좌방」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 (D1) 을「제 1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 (D3) 및 좌우 방향 (D1)(제 1 방향) 의 양방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 (D2) 을「제 2 방향」으로 한다. 즉, 제 1 방향 (좌우 방향 (D1)) 및 제 2 방향 (전후 방향 (D2)) 은, 모두 수평면을 따르는 방향이고, 또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단, 이들 방향은, 수확 기계 (4) 의 사용 방향 (사용시의 방향) 을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예를 들어,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전후 방향 (D2) 을「제 1 방향」으로 하고, 상하 방향 (D3) 및 전후 방향 (D2)(제 1 방향) 의 양방에 직교하는 좌우 방향 (D1) 을「제 1 방향」으로 해도 된다.
주행 장치 (41) 는, 수확 기계 (4) 를 전후 방향 (D2) 및 좌우 방향 (D1) 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확 기계 (4) 는, 논 또는 밭 등의 포장 내를 사행하면서 수확 작업을 실시한다. 일례로서, 수확 기계 (4) 는 포장 내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우측 (또는 좌측) 으로 선회하면서 이동해도 되고, 이 경우, 수확 기계 (4) 의 이동 궤적은 소용돌이상의 경로가 된다.
예취부 (42) 는, 포장의 작물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벼) 을 예취한다. 예취부 (42) 는, 릴 (421), 커터 (422), 소입 오거 (423), 반송 컨베이어 (424), 로터 (425) 및 피더 하우스 (426) 등을 갖는다. 릴 (421) 은, 회전함으로써 작물의 곡간 (穀稈) 을 커터 (422) 로 안내한다. 커터 (422) 는, 릴 (421) 에 의해 안내된 곡간을 절단한다. 이로써, 포장에 생육되어 있는 작물은 곡간의 도중에 절단되게 되고, 적어도 이삭 끝을 포함하는 곡간이 수확 기계 (4) 에 의해 예취되게 된다.
소입 오거 (423) 는, 이와 같이 하여 예취된 곡간을 피더 하우스 (426) 로 긁어모은다. 구체적으로는, 소입 오거 (423) 는, 예취된 곡간을 좌우 방향 (D1) 으로 반송하고, 피더 하우스 (426) 의 전방 위치에 집합시키는 횡 (橫) 이송 스크루이다.
피더 하우스 (426) 는, 예취부 (42)(의 소입 오거 (423)) 와 탈곡부 (43) 사이에, 예취된 작물 (곡간) 을 통과시키기 위한 경로의 외곽을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탈곡부 (43) 는 예취부 (42) 의 기울어진 상측 후방에 위치한다. 피더 하우스 (426) 는, 일례로서 단면 직사각형상인 중공통상 (각통상) 이고, 예취부 (42) 로부터 탈곡부 (43) 를 향하여 기울어진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취부 (42) 에서 예취된 곡간은, 피더 하우스 (426) 의 전방측에 개구되는 취입구로부터 피더 하우스 (426) 로 긁어모아지고, 피더 하우스 (426) 의 내부 공간을 통해 탈곡부 (43) 로 보내진다.
반송 컨베이어 (424) 는, 피더 하우스 (426) 내에 배치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 (424) 는, 소입 오거 (423) 에 의해 피더 하우스 (426) 의 취입구의 전방 위치로 모이고, 취입구로부터 피더 하우스 (426) 로 긁어모아진 곡간을 피더 하우스 (426) 의 내부를 통해 로터 (425) 까지 반송한다. 로터 (425) 는, 반송 컨베이어 (424) 에 의해 반송되어 오는 곡간을 탈곡부 (43) 로 보낸다.
탈곡부 (43) 는, 예취부 (42) 에 의해 예취된 곡간에 대한 탈곡 처리를 실행한다. 탈곡 처리에서는, 곡간으로부터 곡립을 포함하는 탈곡물을 분리한다. 탈곡물은 탈곡부 (43) 로부터 하방의 선별부 (44) 로 낙하한다.
선별부 (44) 는, 탈곡부 (43) 로부터 낙하하는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하는 선별 처리를 실행한다. 선별부 (44) 는, 예를 들어, 탈곡물에 대하여 기울어진 하방으로부터 바람을 쏘이면서 탈곡물을 체질함으로써, 탈곡물로부터 곡립을 선별한다.
탈곡부 (43) 는, 예를 들어, 곡간을 탈곡부 (43) 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곡간에 대한 탈곡 처리를 실행한다. 마찬가지로, 선별부 (44) 는, 예를 들어, 탈곡물을 선별부 (44) 의 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탈곡물에 대한 선별 처리를 실행한다.
반송 장치 (45) 는, 횡반송부 (451)(도 4 참조), 종반송부 (452) 및 투입부 (453) 등을 갖는다. 횡반송부 (451) 는, 선별부 (44)(및 탈곡부 (43)) 의 하방에 배치되고, 곡립을 좌우 방향 (D1) 을 따라 반송하는 횡이송 스크루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횡반송부 (451) 는, 탈곡부 (43) 에서 탈곡된 곡립을 종반송부 (452) 의 입구로 반송하는 스크루 컨베이어이다. 종반송부 (452) 는, 횡반송부 (451) 의 출구와, 그레인 탱크 (2) 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부 (453) 를 연결하고 있고, 곡립을 상하 방향 (D3) 을 따라 반송한다. 즉, 종반송부 (452) 는, 횡반송부 (451) 의 출구에 접속된 하단부로부터 투입부 (453) 에 접속된 상단부로 곡립을 반송함으로써, 횡반송부 (451) 에서 반송된 곡립을, 더욱 상하 방향 (D3) 을 따라 상방으로 반송한다.
투입부 (453) 는, 종반송부 (452) 의 출구 (상단부) 에 연결되어 있고, 종반송부 (452) 에서 반송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한다. 즉,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까지 반송된 곡립은 투입부 (453) 에서 그레인 탱크 (2) 내로 투입된다. 그 결과, 곡립은 횡반송부 (451) 및 종반송부 (452) 에서, 탈곡부 (43) 로부터 (선별부 (44) 를 거쳐) 투입부 (453) 까지 반송되고, 투입부 (453) 에서 그레인 탱크 (2) 내로 투입된다.
그레인 탱크 (2) 는, 탈곡부 (43) 에서의 탈곡 처리로 얻어지는 탈곡물 (곡립 등) 을 저류하는 탱크 (용기) 이다. 그레인 탱크 (2) 는 탈곡부 (43) 에 대하여, 기체 (40) 의 폭 방향인 좌우 방향 (D1) 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기체 (40) 를 좌우 방향 (D1) 에 있어서 대략 균등하게 이분했을 때에, 그 좌측 부분에 탈곡부 (43)(및 선별부 (44)) 가 위치하고, 우측 부분에 그레인 탱크 (2) 가 위치한다.
또한, 그레인 탱크 (2) 는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축 (Ax1) 을 중심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축 (Ax1) 은, 힌지 부재 (210) 의 중심을 통과하고 연직 방향 (상하 방향 (D3)) 으로 연장되는 가상축이다. 도 5 및 도 6 에서는, 탈곡부 (43)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의 외형을 상상선 (이점쇄선) 으로 나타내고 있다. 폐쇄 위치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부 (43) 및 선별부 (44)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의 우측면을 그레인 탱크 (2) 로 덮는 위치이다. 개방 위치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곡부 (43) 및 선별부 (44)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의 우측면을 개방하는 위치이다.
이로써, 그레인 탱크 (2) 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회전) 가능하게 되고, 예를 들어, 선별부 (44) 의 요동 베어링의 메인터넌스 등을 할 때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 (2) 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메인터넌스 등의 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도 2 등에서는,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반송 장치 (45) 는, 탈곡부 (43) 및 선별부 (44)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장치 (45) 는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454) 에 의해 탈곡부 (43)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 (454) 는 반송 장치 (45) 중 종반송부 (452) 의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고,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탈곡부 (43)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즉, 연결 부재 (454) 는, 반송 장치 (45) 와 탈곡부 (43) 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로써, 기체 (40) 는 상하 방향 (D3) 으로 높이가 있는 반송 장치 (45) 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반송 장치 (45) 가 탈곡부 (43)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그레인 탱크 (2) 가 개폐됨으로써, 반송 장치 (45) 와 그레인 탱크 (2) 의 위치 관계가 변화된다. 즉,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면에 반송 장치 (45) 가 접촉하는 데에 반해, 그레인 탱크 (2)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면으로부터 반송 장치 (45) 가 이간된다. 바꿔 말하면, 그레인 탱크 (2) 는 반송 장치 (45) 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 (도 5 에 나타내는 위치) 와, 반송 장치 (45) 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 (도 6 에 나타내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배출 장치 (49) 는, 그레인 탱크 (2) 내의 곡립을 수확 기계 (4) 의 주위의 임의의 장소로 배출한다. 배출 장치 (49) 는, 배출 반송로 (490) 및 반송 기구 (493) 등을 갖는다. 배출 반송로 (490) 는, 그레인 탱크 (2) 내의 저류물 (곡립) 을 배출하기 위한 경로이다. 배출 반송로 (490) 는, 상하 방향 (D3) 으로 연장되는 종반송로 (491) 와,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방향 (수평 방향) 으로 연장되는 횡반송로 (492) 를 포함하고 있다. 종반송로 (491) 의 하단부는 그레인 탱크 (2) 에 연결되어 있고, 종반송로 (491) 의 상단부는 횡반송로 (492) 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그레인 탱크 (2) 내의 저류물은 종반송로 (491) 를 통해 상방으로 반송되고, 또한 횡반송로 (492) 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고, 횡반송로 (492) 의 선단부로부터 배출된다.
반송 기구 (493) 는, 예를 들어, 배출 반송로 (490)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배출 반송로 (490) 를 통해 곡립을 반송하는 스크루 (오거) 이다. 즉, 종반송로 (491) 내에서는, 반송 기구 (493) 로서의 종오거가 회전함으로써 곡립을 반송하고, 횡반송로 (492) 내에서는, 반송 기구 (493) 로서의 횡오거가 회전함으로써 곡립을 반송한다.
짚 처리부 (48) 는, 탈곡 처리에서 발생하는 배고 (排藁)(짚) 등의 배출물을 배출한다. 즉, 탈곡부 (43) 에서의 탈곡 처리에 의해 탈곡물 (곡립을 포함한다) 과 분리된 짚 등은, 배출물로서 짚 처리부 (48) 로 반송된다. 짚 처리부 (48) 는, 배출물을 기체 (40) 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481)(도 1 참조) 를 갖는다. 짚 처리부 (48) 는, 예를 들어, 탈곡부 (43) 의 후방, 즉 기체 (40) 의 좌측 후방부에 배치되고, 배출구 (481) 가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다. 짚 처리부 (48) 는, 배출 짚 커터 등을 갖고, 배출물에 대한 재단 처리 등을 실시한 후에 배출구 (481) 로부터 배출물을 배출한다. 단, 짚 처리부 (48) 가 재단 처리 등을 실시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
동력부 (46) 는, 주행 장치 (41), 예취부 (42), 탈곡부 (43), 선별부 (44), 반송 장치 (45), 짚 처리부 (48) 및 배출 장치 (49) 등의 구동원이다. 동력부 (46) 는, 동력원으로서, 예를 들어, 디젤 엔진 등의 엔진 (461)(도 7 참조) 을 갖는다. 또한, 동력부 (46) 는, 엔진과 모터 (전동기) 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식 동력원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동력부 (46) 는, 그레인 탱크 (2) 의 후방, 즉 기체 (40) 의 우측 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부 (46) 는, 라디에이터의 막힘을 방지하여 엔진 (461) 의 냉각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로터리 스크린 (462)(도 5 참조) 을 갖는다. 로터리 스크린 (462) 은, 동력부 (46) 의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운전부 (47) 에는, 조작자 (오퍼레이터) 가 착석하는 운전 좌석, 그리고 조작자에 의해 조작되는 핸들, 각종 조작 레버 및 각종 조작 스위치 등의 조작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운전부 (47) 는, 수확 기계 (4) 의 기체 (40) 의 우측 부분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 (2) 의 전방 (도 2 참조) 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부 (47) 는 예취부 (42) 의 후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수확 기계 (4) 의 운전부 (47) 의 종류로는, 캐빈 타입, 캐노피 타입 및 플로어 타입 등이 있다. 캐빈 타입의 운전부 (47) 는 캐빈을 구비하고, 캐빈의 내부의 캐빈 공간에 조작자 (오퍼레이터) 가 탑승한다. 캐노피 타입의 운전부 (47) 는, 캐노피 (지붕) 를 구비하고, 캐노피의 하방의 공간에 조작자가 탑승한다. 플로어 타입의 운전부 (47) 는 캐빈 및 캐노피 등을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에 조작자가 탑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운전부 (47) 가 캐빈 타입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 (51) 는, 조작 장치가 받아들이는 조작에 따라 주행 장치 (41), 예취부 (42), 탈곡부 (43), 선별부 (44), 반송 장치 (45), 동력부 (46), 짚 처리부 (48) 및 배출 장치 (49) 등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 (51) 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1 이상의 프로세서와, ROM (Read Only Memory) 및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의 1 이상의 메모리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주 구성으로 하여, 다양한 처리 (정보 처리) 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51) 는, 수확 기계 (4) 전체의 제어를 실시하는 통합 컨트롤러이고,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유닛 (ECU: Electronic Control Unit) 으로 이루어진다. 단, 제어 장치 (51) 는 통합 컨트롤러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 (51) 는, 전장 유닛 (3) 을 통해, 품질 측정기 (1), 수확량 센서 (53),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에 접속되어 있다. 즉, 곡립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센서인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은 전장 유닛 (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장 유닛 (3) 은,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의 검지 결과를 취득하고, 검지 결과에 대하여 적당한 전치 처리 등을 실행한다. 또한, 전장 유닛 (3) 은, 제어 장치 (51) 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장 유닛 (3) 이 제어 장치 (51) 에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어 장치 (51) 는, 품질 측정기 (1) 의 측정 결과, 그리고 수확량 센서 (53),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의 각각의 검지 결과를 취득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는 반송 장치 (45) 에 장착되어 있고,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는 그레인 탱크 (2) 에 장착되어 있다. 품질 측정기 (1), 수확량 센서 (53),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의 배치의 상세에 대해서는,「[2] 그레인 탱크 및 반송 장치 주변의 구성」의 란에서 설명한다.
품질 측정기 (1) 는, 탈곡부 (43) 에서 탈곡된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품질」은, 곡립의 수분 함유량, 단백질 함유량 또는 아밀로오스 함유량 등의 내부 품질을 포함한다. 품질 측정기 (1) 는, 곡립의 품질에 따른 전기 신호를, 측정 결과로서 제어 장치 (51) 에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품질 측정기 (1) 는, 곡립의 수분 함유량 (수분량) 을 측정하는 수분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품질 측정기 (1) 는, 모터 동력 등으로 구동하는 1 쌍의 전극 롤러를 구비하고, 1 쌍의 전극 롤러 사이에서 곡립을 분쇄 (압쇄) 하면서, 1 쌍의 전극 롤러 사이의 전기 저항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곡립의 수분 함유량을 측정한다.
수확량 센서 (53) 는, 수확 기계 (4) 로 수확된 곡립량, 즉 수확량 (수량) 을 검지하는 센서이다. 이 종류의 센서는, 일례로서, 변형 게이지 또는 압전 소자 등의 충격 검출부를 포함하고, 반송 장치 (45) 에 의해 그레인 탱크 (2) 를 향하여 반송된 곡립이, 충격 검출부에 충돌했을 때의 충격력을 검출한다. 물론, 수확 기계 (4) 의 수확량의 취득 수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는 모두 그레인 탱크 (2) 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양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는, 일례로서,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그레인 탱크 (2) 에 저류된 곡립을 검지한다.
제어 장치 (51) 는, 취득한 품질 측정기 (1) 의 측정 결과, 그리고 수확량 센서 (53),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의 각각의 검지 결과의 정보를, 적당한 수단으로 출력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51) 는, 이들 정보를, 운전부 (47) 에 설치된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거나, 기록 매체에 기입하거나, 통신 단말 (52) 에 의해 외부 (서버 등) 에 송신하거나, 인쇄하거나 함으로써, 출력한다. 또한, 제어 장치 (51) 는, 이들 정보를, 예를 들어 반송 장치 (45) 및 품질 측정기 (1) 등의 제어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 (51) 는, 기본적으로는 품질 측정기 (1) 를 상시 구동하여, 곡립의 품질을 수시로 측정하고 있다. 즉, 품질 측정기 (1) 는, 곡립을 상시 취입하는 상태에 있고, 취입한 곡립의 품질을 수시로 측정한다. 한편, 제어 장치 (51) 는, 그레인 탱크 (2) 내의 곡립 센서 (54) 에 의해 곡립이 검지되면, 품질 측정기 (1) 를 정지시켜, 품질 측정기 (1) 로의 곡립의 취입을 정지시킨다. 즉,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내에 배치되는 곡립 센서 (54) 에 의해 곡립이 검지되면, 품질의 측정을 정지한다. 이로써, 그레인 탱크 (2)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의 양에 따라, 품질 측정기 (1) 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만량 센서 (55) 는 그레인 탱크 (2) 내의 곡립이 만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는 센서이다. 그 때문에, 제어 장치 (51) 는, 그레인 탱크 (2) 내의 만량 센서 (55) 에 의해 곡립이 검지되면, 그 취지 (만량에 도달한 취지) 를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혹은, 제어 장치 (51) 는, 그레인 탱크 (2) 내의 만량 센서 (55) 에 의해 곡립이 검지되면, 반송 장치 (45) 를 정지시켜 그레인 탱크 (2) 로의 곡립의 투입을 강제적으로 정지해도 된다.
통신 단말 (52) 은, 수확 기계 (4) 의 외부의 서버 등과 통신을 실시한다. 여기에서는, 통신 단말 (52) 은, 수확 기계 (4) 의 가동 상황, 수확 기계 (4) 의 현재 위치, 작물의 수확량 (수량), 작물의 식미 (수분 함유량 또는 단백질 함유량 등을 포함한다), 작업 시간 또는 작업 효율 등에 관한 정보를, 서버 등에 적절히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 단말 (52) 은, 예를 들어,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의 위성 측위 시스템을 사용하여, 수확 기계 (4) 의 현재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신 단말 (52) 은, 수확 기계 (4) 의 운전 지원 또는 자동 운전 등에 관한 제어 정보를 서버 등으로부터 수신해도 된다.
[2] 그레인 탱크 및 반송 장치 주변의 구성
이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에 있어서의 그레인 탱크 (2) 및 반송 장치 (45) 주변의 구성에 대하여, 도 4 ∼ 도 1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자세에 있는 상태에서의 방향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7 은, 그레인 탱크 (2) 의 천정 패널 (206) 의 해치를 떼어낸 상태로, 그레인 탱크 (2), 반송 장치 (45) 및 동력부 (46) 를 상방으로부터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A1-A1 선 단면에 상당하는 그레인 탱크 (2) 및 반송 장치 (45) 의 개략 좌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A1-A1 선 단면에 상당하는 반송 장치 (45) 주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은, 그레인 탱크 (2) 의 천정 패널 (206) 을 떼어낸 상태로,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로부터 좌측 패널 (204) 을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 는,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을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 (즉 우측) 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3 은, 반송 장치 (45) 주변의 구조를 그레인 탱크 (2) 측 (즉 우측) 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14 는, 반송 장치 (45) 주변의 구조를 탈곡부 (43) 측 (즉 좌측) 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레인 탱크 (2)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 패널 (201), 전측 패널 (202), 후측 패널 (203), 좌측 패널 (204), 우측 패널 (205) 및 천정 패널 (206) 을 가지고, 대략적인 형상으로서, 좌우 방향 (D1) 으로 평평한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그레인 탱크 (2) 의 구성 부재 (바닥 패널 (201), 전측 패널 (202), 후측 패널 (203), 좌측 패널 (204), 우측 패널 (205) 및 천정 패널 (206)) 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제이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레인 탱크 (2) 의 구성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수지제 등이어도 된다.
바닥 패널 (201) 은, 평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 (D2)(제 2 방향) 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패널이다. 전측 패널 (202) 은, 바닥 패널 (201) 의 외주 가장자리 중 전측의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패널이다. 후측 패널 (203) 은, 바닥 패널 (201) 의 외주 가장자리 중 후측의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직사각형상의 패널이다. 좌측 패널 (204) 은, 바닥 패널 (201) 의 외주 가장자리 중 좌측의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직사각형상의 패널이다. 우측 패널 (205) 은, 바닥 패널 (201) 의 외주 가장자리 중 우측의 변으로부터 상방으로 세워지는 직사각형상의 패널이다. 이로써, 바닥 패널 (201) 의 상방의 공간에 있어서는, 사방 (전후좌우) 이, 전측 패널 (202), 후측 패널 (203), 좌측 패널 (204) 및 우측 패널 (205) 로 둘러싸이게 된다. 또한, 천정 패널 (206) 은, 전측 패널 (202), 후측 패널 (203), 좌측 패널 (204) 및 우측 패널 (205) 로 둘러싸인 공간의 상면을 막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패널이다.
즉, 그레인 탱크 (2) 는, 바닥 패널 (201), 전측 패널 (202), 후측 패널 (203), 좌측 패널 (204), 우측 패널 (205) 및 천정 패널 (206) 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 (Sp1)(도 7 참조) 을 갖고, 이 내부 공간 (Sp1) 에 곡립을 저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전측 패널 (202) 과 후측 패널 (203) 은 전후 방향 (D2)(제 2 방향) 에 있어서 대향한다. 좌측 패널 (204) 과 우측 패널 (205) 은 좌우 방향 (D1)(제 1 방향) 에 있어서 대향한다. 바닥 패널 (201) 과 천정 패널 (206) 은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그레인 탱크 (2) 의 중심 (C1) 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공간 (Sp1) 내에 위치하게 된다. 도 7 에서 나타내는 중심 (C1) 은, 실체를 수반하지 않는 가상점이다.
여기서,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는, 종반송부 (452) 의 출구 (상단부) 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부 (453) 로부터 곡립이 투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 (2) 에 있어서의 좌측 패널 (204) 의 전방 근처의 상단부에는, 투입구 (21) 가 형성되어 있고, 투입부 (453) 는,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좌측 패널 (204) 의 투입구 (21)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투입구 (21) 는,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 (20)(도 10 등 참조) 에 개구되어 있고, 투입부 (453) 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곡립을 투입한다. 즉,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좌측 패널 (204) 의 표면이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 (20)(좌내측면) 을 구성하고, 당해 내측면 (20) 에 개구되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곡립이 투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입구 (21) 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6 등 참조),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는, 투입부 (453) 는 투입구 (21) 의 전체를 그레인 탱크 (2) 의 외측 (좌측) 으로부터 덮도록 그레인 탱크 (2) 에 접촉한다. 즉, 투입부 (453) 를 포함하는 반송 장치 (45) 는 폐쇄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반송 장치 (45) 는 평면에서 보아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과 탈곡부 (43)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장치 (45)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탈곡부 (43) 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에 대하여 연결 부재 (454) 에 의해 고정 (연결)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반송 장치 (45) 는, 그레인 탱크 (2) 의 개폐에 의하지 않고 기체 (40) 의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송 장치 (45)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반송부 (452) 및 투입부 (453) 를 갖고 있으며, 탈곡부 (43) 에서 탈곡된 곡립을, 종반송부 (452) 에 의해 상하 방향 (D3) 을 따라 상방으로 반송한다. 투입부 (453) 는,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탈곡부 (43) 에서 탈곡된 곡립은 (선별부 (44) 에서 선별되어) 횡반송부 (451) 및 종반송부 (452) 를 통해 투입부 (453) 로 반송 (공급) 된다. 그 때문에, 투입부 (453) 는 탈곡부 (43) 에서 탈곡된 곡립을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 (20) 에 개구하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횡반송부 (451) 의 출구로부터 투입부 (453) 에 곡립을 반송하는 종반송부 (452) 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버킷 (71) 을 포함하는 버킷 방식의 양곡 컨베이어 (버킷 컨베이어) 이다. 요컨대, 종반송부 (452) 는 상하 방향 (D3) 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버킷 (71) 을 포함하고, 곡립을 복수의 버킷 (71) 의 각각으로 떠내어 상방으로 반송한다. 이로써, 종반송부 (452) 는 반송시에 곡립을 손상시키기 어렵다.
구체적으로는, 종반송부 (452) 는, 복수의 버킷 (71) 에 더하여, 상하 방향 (D3) 으로 긴 양곡통 (72) 과, 양곡통 (72) 내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 배치된 스프로킷 (73, 74) 과, 1 쌍의 스프로킷 (73, 74) 에 감긴 무단상 (無端狀) 의 체인 (75) 을 포함하고 있다.
하측의 스프로킷 (73) 의 회전축은, 스크루 방식의 횡반송부 (451) 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측의 스프로킷 (73) 은 횡반송부 (451) 의 회전과 동기해서 회전한다. 하측의 스프로킷 (73) 의 회전에 수반하여, 상측의 스프로킷 (74) 이 종동하고, 또한 체인 (75) 이 1 쌍의 스프로킷 (73, 74) 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 (주회) 한다. 하측의 스프로킷 (73) 보다 하측에는, 횡반송부 (451) 에 의해 반송된 곡립이 도달하는 수용부 (76) 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76) 는, 버킷 (71) 이 곡립을 떠내기 위한 공간이다.
체인 (75) 에는, 복수의 버킷 (71) 이 등간격으로 거의 간극 없이 장착되어 있다. 버킷 (71) 은, 일면이 개구된 심형의 용기이고, 내측에 곡립을 수용할 수 있다. 체인 (75) 이 일방향 (도 8 의 예에서는 반시계 방향)(R1) 으로 회전 (주회) 함으로써, 체인 (75) 에 연결되어 있는 버킷 (71) 은 체인 (75) 의 회전에 따라서 주회하면서, 곡립을 반송한다. 버킷 (71) 의 개구는 체인 (75) 의 주회 방향 (일방향 (R1)) 을 향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반송부 (452) 에서는 버킷 (71) 이 수용부 (76) 에 있어서 곡립을 떠내어, 상승하면서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버킷 (71) 은 상측의 스프로킷 (74) 의 상방에 있어서, 상승 방향으로부터 하강 방향으로 되돌아갈 때에, 투입부 (453) 를 향하여 곡립을 내던진다. 버킷 (71) 이 곡립을 내던지는 위치를 투입 동작 위치 (P1) 로 한다. 투입 동작 위치 (P1) 의 범위는, 버킷 (71) 이 곡립을 던지기 시작하는 위치 (예를 들어, 버킷 (71) 이 가동 범위의 최상부에 도달했을 때의 위치) 로부터, 버킷 (71) 이 곡립을 다 던진 위치까지이다. 곡립을 내던져 비게 된 버킷 (71) 은 하강하고, 수용부 (76) 에 있어서 다시 곡립을 떠낸다. 종반송부 (452) 는,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실시함으로써, 곡립을 상방으로 반송한다.
여기서, 그레인 탱크 (2) 에 형성되어 있는 투입구 (21) 는, 버킷 (71) 의 투입 동작 위치 (P1) 로부터 보아 기울어진 하방에 위치한다. 투입부 (453) 는 그레인 탱크 (2) 의 투입구 (21) 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투입부 (453) 는 종반송부 (452) 의 버킷 (71) 으로부터 내던져진 곡립을,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한다.
투입부 (453) 는, 레벨링 디스크 (455) 와, 구동부 (456) 와, 커버 (457) 를 갖고 있다. 레벨링 디스크 (455)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 (여기에서는 4 개) 의 날개 (458) 를 포함한다. 구동부 (456) 는, 상하 방향 (D3) 을 따른 회전축 (Ax2) 을 중심으로 레벨링 디스크 (455) 를 회전시킨다. 커버 (457) 는 투입부 (453) 의 외곽을 구성하며, 내부에 레벨링 디스크 (455) 의 회전 영역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커버 (457) 는 적어도 상면 및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종반송부 (452) 의 버킷 (71) 으로부터 내던져진 곡립은, 커버 (457) 의 상면의 개구를 통해 레벨링 디스크 (455) 상으로 낙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 (456) 는, 풀리 및 벨트 등에 의해 상측의 스프로킷 (74) 과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종반송부 (452) 의 스프로킷 (74) 이 회전하면, 구동부 (456) 가 레벨링 디스크 (455) 를 회전시키게 된다. 종반송부 (452) 로부터 레벨링 디스크 (455) 상에 내던져진 곡립은, 이와 같이 하여 회전하고 있는 레벨링 디스크 (455) 의 날개 (458) 에 의해 횡방향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방향) 으로 확산되어,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된다.
즉, 투입부 (453)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벨링 디스크 (455) 가 일방향 (도 9 의 예에서는 시계 방향)(R2) 으로 회전함으로써, 레벨링 디스크 (455) 에서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으로 곡립을 압출하도록 하여 곡립을 던진다. 레벨링 디스크 (455) 의 회전 영역의 주위는 커버 (457) 로 덮여 있기 때문에, 레벨링 디스크 (455) 가 던진 곡립이 비산되는 범위는, 커버 (457) 에 의해 투입구 (21) 측으로 좁혀지게 된다. 그 결과, 투입부 (453) 는, 곡립을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로 투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커버 (457) 의 개구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후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투입부 (453) 에서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되는 곡립은, 주로 투입구 (21) 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어진 후방을 향하여 날려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입부 (453) 의 상방에는, 수확량 센서 (53) 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수확량 센서 (53) 는, 종반송부 (452) 로부터 투입부 (453) 에 내던져지는 곡립의 양에 기초하여, 투입부 (453) 가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하는 곡립의 양을 검지한다. 바꿔 말하면, 수확량 센서 (53) 는, 수확 기계 (4) 에서 수확된 곡립량, 즉 수확량 (수량) 을 검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확량 센서 (53) 는, 제 1 센서 (531) 및 제 2 센서 (532) 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센서 (531) 및 제 2 센서 (532) 는, 모두 판상의 센서이고, 그 편면에 평면상의 검출면을 갖고 있다. 제 1 센서 (531) 및 제 2 센서 (532) 는, 각각의 검출면에 곡립이 충돌하였을 때의 충격의 크기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제 2 센서 (532) 는, 제 1 센서 (531) 에 비하여, 투입 동작 위치 (P1) 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투입 동작 위치 (P1) 의 상방에는, 곡립의 투입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 (77) 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판 (77) 은,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을 갖고 있고, 투입 동작 위치 (P1) 에서 버킷 (71) 으로부터 세차게 내던져지는 곡립은, 가이드판 (77) 의 하면을 따라 전방으로 던져진다. 제 1 센서 (531) 는, 가이드판 (77) 의 전단부 (곡립의 투입 방향의 선단부) 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센서 (532) 는, 제 1 센서 (531) 로부터 보아 후방이고, 체인 (75) 의 주회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버킷 (71) 의 이동 경로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센서 (531) 의 검출면은 투입 동작 위치 (P1) 쪽 (후방) 을 향하고 있다. 한편 제 2 센서 (532) 의 검출면은 상방을 향하고 있다. 이로써, 체인 (75) 의 주회에 수반하여, 투입 동작 위치 (P1) 에 도달한 버킷 (71) 이 수평 방향으로 곡립을 내던진다. 여기서 말하는「횡방향」에는, 기울어진 상방 및 기울어진 하방도 포함한다. 버킷 (71) 으로부터 내던져진 곡립의 대부분은, 원심력에 따라 멀리 날아가려고 하여, 가이드판 (77) 의 하면을 따라 제 1 센서 (531) 로 안내된다 (도 8 의 화살표 Y1 참조). 이로써, 곡립의 일부는 제 1 센서 (531) 에서 검지되고, 제 1 센서 (531) 에 충돌한 곡립은 투입부 (453) 의 레벨링 디스크 (455) 상에 낙하한다. 제 1 센서 (531) 는, 가이드판 (77) 의 연장 상에 배치되어 있고, 곡립을 투입부 (453) 로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단, 버킷 (71) 이 투입 동작을 개시해도 즉시 버킷 (71) 내가 비워지지 않고, 버킷 (71) 이 투입 동작 위치 (P1) 에 있어서 스프로킷 (74) 의 둘레를 주회하는 동안, 버킷 (71) 으로부터 곡립이 계속 배출된다. 마지막까지 버킷 (71) 내에 남아 있던 곡립은, 버킷 (71) 이 투입 동작 위치 (P1) 의 종단부 근방에 도달하여 상하 반전된 자세가 되었을 때에, 하방의 제 2 센서 (532) 를 향하여 내던져진다 (도 8 의 화살표 Y2 참조). 이로써, 곡립의 일부는 제 2 센서 (532) 로 검지되고, 제 2 센서 (532) 에 충돌한 곡립은 제 2 센서 (532) 상을 이동하거나, 또는 제 2 센서 (532) 상을 튀도록 하여, 투입부 (453) 의 레벨링 디스크 (455) 상에 낙하한다.
품질 측정기 (1) 는, 도 9 ∼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11) 를 갖고 있고, 케이스 (11) 내에 품질 측정기 (1) 의 본체 (전극 롤러 등) 를 갖고 있다. 케이스 (11) 는 상하 방향 (D3) 으로 길이를 갖는 직방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품질 측정기 (1) 의 외곽을 구성한다. 케이스 (11) 중,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측면 (우측면)(111) 에는, 취입구 (12) 및 배출구 (13) 가 형성되어 있다. 취입구 (12) 는 측면 (111) 의 상부에 배치되고, 배출구 (13) 는 측면 (111) 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취입구 (12) 는 품질 측정기 (1) 내에 곡립을 취입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배출구 (13) 는 품질을 측정한 곡립을 그레인 탱크 (2) 내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품질 측정기 (1) 는, 그 내부에서 곡립을 분쇄하여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므로, 취입구 (12) 로부터 취입된 곡립은, 품질 측정기 (1) 내에서 분쇄되어, 분쇄 후의 곡립이 배출구 (13) 로부터 배출되게 된다.
품질 측정기 (1) 는, 케이스 (11) 의 측면 (우측면)(111) 으로부터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측 (우방) 으로 돌출되는 1 쌍의 취입 롤러 (14) 를 갖고 있다. 1 쌍의 취입 롤러 (14) 는, 취입구 (12) 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회전 구동됨으로써, 곡립을 취입구 (12) 로 취입하도록 동작한다. 요컨대, 품질 측정기 (1) 는, 1 쌍의 취입 롤러 (14) 를 회전시킴으로써, 곡립의 취입 및 품질의 측정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 각 취입 롤러 (14) 의 외주면에는 나선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취입 롤러 (14) 의 상방에 곡립이 재치된 상태에서, 1 쌍의 취입 롤러 (14) 가 회전하면, 각 취입 롤러 (14) 의 리브에 의해 곡립은 1 쌍의 취입 롤러 (14) 상을 취입구 (12) 측 (즉 좌측) 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1 쌍의 취입 롤러 (14) 가 회전하면 취입구 (12) 로부터 품질 측정기 (1) 로의 곡립의 취입이 실시되고, 1 쌍의 취입 롤러 (14) 가 정지되면 품질 측정기 (1) 로의 곡립의 취입이 정지된다.
여기서,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단,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에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 말하는「지지」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한 고정,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하나의 부재가 직접적 또는 (연결구 등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다른 부재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품질 측정기 (1) 는, 반송 장치 (45) 에 대하여 적당한 방법에 의해 장착됨으로써, 반송 장치 (45) 에 고정 (결합) 되고, 반송 장치 (45) 로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그레인 탱크 (2) 와 탈곡부 (43)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 장치 (45) 에, 품질 측정기 (1) 가 지지되어 있다. 품질 측정기 (1) 는, 반송 장치 (45) 에 장착된 상태에서, 폐쇄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 (2) 의 투입구 (21) 를 통해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노출된다. 품질 측정기 (1) 는, 반송 장치 (45) 의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에 대하여,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됨으로써,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품질 측정기 (1) 는, 종반송부 (452) 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탈곡부 (43) 와,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 (2) 와, 반송 장치 (45) 와, 품질 측정기 (1) 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장치 (45) 는, 탈곡부 (43)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로 곡립을 반송하고, 그레인 탱크 (2) 의 내측면 (20) 에 개구되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곡립을 투입한다.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곡립의 품질을 측정한다. 여기서, 품질 측정기 (1) 는,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에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인 탱크 (2) 와 탈곡부 (43)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그레인 탱크 (2) 의 회전 (개폐) 에 대응시키면서도, 품질 측정기 (1) 에 연결되는 케이블 (하니스) 을 비교적 짧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의 처리가 비교적 용이해진다. 즉, 품질 측정기 (1) 가 그레인 탱크 (2) 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해, 케이블이 짧아지고, 또한 그 처리가 용이해짐으로써, 품질 측정기 (1) 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품질 측정기 (1) 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려운 수확 기계 (4)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중, 반송 장치 (45)(투입부 (453)) 로부터 떨어진 부위로부터 곡립으로 메워 가기 때문에, 반송 장치 (45) 의 근방은 곡립으로 메워지기 어렵고, 그레인 탱크 (2) 가 만량 가까이 곡립이 저류될 때까지는, 품질 측정기 (1) 로 신선한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품질 측정기 (1) 가 주류를 취득함으로써, 낮은 유량에서 높은 유량까지 안정적으로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반송 장치 (45) 의 근방은 동력부 (46) 등으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품질 측정기 (1)(본 실시형태에서는 수분계) 내의 공정용 온도계에 대한 영향이 적다. 이에 더하여, 품질 측정기 (1) 에서의 측정 대상 외의 작물의 예취시에는, 품질 측정기 (1) 를 반송 장치 (45) 로부터 떼어내어 보관함으로써, 품질 측정기 (1) 의 고장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 (45) 는 곡립을 상하 방향 (D3) 을 따라 반송하는 종반송부 (452) 를 갖는다. 품질 측정기 (1) 는, 종반송부 (452) 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 (D3) 으로 연장되는 종반송부 (452) 에 의해 품질 측정기 (1) 가 지지됨으로써, 그레인 탱크 (2) 의 하단부가 아니라, 비교적 높은 위치에 품질 측정기 (1) 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 (2) 는, 반송 장치 (45) 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와, 반송 장치 (45) 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 (개폐 가능) 하다. 여기서,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그레인 탱크 (2) 의 품질 측정기 (1) 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개구공 (22) 을 통해 그레인 탱크 (2) 내에 노출된다. 즉, 폐쇄 위치에 있는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중의,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는 품질 측정기 (1) 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좌측 패널 (204) 을 관통하는 개구공 (2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 (2) 가 반송 장치 (45) 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는 품질 측정기 (1) 는, 이 개구공 (22) 을 통해 그레인 탱크 (2) 내에 노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품질 측정기 (1) 는, 전후 방향 (D2) 에 있어서 투입부 (453) 와의 사이에 종반송부 (452) 를 사이에 두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의 전방에는 투입부 (453) 가 위치하고,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의 후방에는 품질 측정기 (1) 가 위치한다. 즉, 투입부 (453) 와 품질 측정기 (1) 는,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의 동일한 위치 (동일 높이) 에 있어서, 전후 방향 (D2) 으로 나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에는,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의 동일 위치 (동일 높이) 에 있어서, 전후 방향 (D2) 으로 나열되도록 투입구 (21) 와 개구공 (22) 이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 (21) 는 개구공 (22) 의 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 (2) 가 반송 장치 (45) 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투입부 (453) 및 품질 측정기 (1) 가,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에 우측으로부터 가압되게 된다. 이 때, 좌측 패널 (204) 의 투입구 (21) 가 투입부 (453) 로 덮이고, 투입구 (21) 를 통해 투입부 (453) 가 그레인 탱크 (2) 내에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좌측 패널 (204) 의 개구공 (22) 이 품질 측정기 (1) 로 덮이고, 개구공 (22) 을 통해 품질 측정기 (1) 가 그레인 탱크 (2) 내에 노출된다. 한편, 그레인 탱크 (2) 가 반송 장치 (45) 로부터 이간되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투입부 (453) 및 품질 측정기 (1) 가,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로부터 이간된다 (도 6 참조). 이 때, 투입부 (453) 및 품질 측정기 (1) 의 그레인 탱크 (2) 측의 측면 (우측면) 은 외방으로 노출되어, 투입구 (21) 및 개구공 (22) 이 개방된다.
따라서, 그레인 탱크 (2) 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는 품질 측정기 (1) 를 그레인 탱크 (2) 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어, 예를 들어, 품질 측정기 (1) 의 메인터넌스 (청소 등을 포함한다) 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그레인 탱크 (2) 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면, 품질 측정기 (1) 를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투입부 (453) 및 품질 측정기 (1) 의 그레인 탱크 (2) 측의 측면 (우측면) 에는, 각각 외주를 따라 패킹 (23)(도 13 참조) 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그레인 탱크 (2) 가 반송 장치 (45) 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투입부 (453) 및 품질 측정기 (1) 와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의 간극이 패킹 (23) 으로 메워지게 된다. 그 때문에, 투입부 (453) 및 품질 측정기 (1) 와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의 간극으로부터, 곡립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공 (22) 내에는 개구공 (22) 의 대향하는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지는 보강 프레임 (24)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 ∼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프레임 (24) 은, 그레인 탱크 (2) 의 좌측 패널 (204) 의 내측면 (20) 에 결합되어 있고, 좌측 패널 (204) 을 보강하는 프레임 부재이다. 보강 프레임 (24) 은, 전후 방향 (D2) 으로 길이를 갖고, 투입구 (21) 의 전방으로부터 개구공 (22) 의 후방에 걸쳐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 프레임 (24) 은, 상하 방향 (D3) 으로 길이를 갖는 장방형상의 개구공 (22) 의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를 횡단함으로써, 개구공 (22) 을 상측공 (221) 과 하측공 (222) 으로 구분한다. 즉, 개구공 (22) 중, 보강 프레임 (24) 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상측공 (221) 으로 하고, 보강 프레임 (24) 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를 하측공 (222) 으로 한다. 이로써, 비교적 큰 개구공 (22) 을 형성하면서도, 그레인 탱크 (2) 에 있어서의 개구공 (22) 주위의 (좌측 패널 (204) 의) 강도를 보강 프레임 (24) 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측공 (221) 으로부터는 품질 측정기 (1) 의 취입구 (12) 가 그레인 탱크 (2) 내에 노출되고, 하측공 (222) 으로부터는 품질 측정기 (1) 의 배출구 (13) 가 그레인 탱크 (2) 내에 노출된다. 즉, 보강 프레임 (24) 은, 품질 측정기 (1) 의 측면 (111) 에 있어서의 취입구 (12) 와 배출구 (13) 의 사이를 횡단한다. 이와 같이, 보강 프레임 (24) 은, 그레인 탱크 (2) 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품질 측정기 (1) 에 있어서의 개구공 (22) 에 대향하는 측면 (111) 의 일부를 덮는다. 이로써,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에 투입되는 곡립이 직접적으로 품질 측정기 (1) 에 닿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정상적으로 품질 측정기 (1) 에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수확 기계 (4) 의 사용 기간이 장기간이 되어도, 품질 측정기 (1) 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는,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제 1 방향 (좌우 방향 (D1)) 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 (2) 의 중심 (C1)(도 7 참조) 으로부터 보아 투입구 (21) 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레인 탱크 (2) 에 있어서의 투입구 (21) 와 품질 측정기 (1) 의 위치 관계로서, 제 1 방향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 (2) 의 중심 (C1) 로부터 보아 양자가 동일한 측으로 되는 위치 관계를 채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방향이 좌우 방향 (D1) 이고, 또한 투입구 (21) 는 좌측 패널 (204) 의 내측면 (20)(좌내측면) 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품질 측정기 (1)(를 노출시키는 개구공 (22)) 에 대해서도, 투입구 (21) 와 동일하게 좌측 패널 (204) 에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투입구 (21) 와 품질 측정기 (1) 는, 모두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D1)(제 1 방향) 의 동일면 (좌측면) 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에 투입되는 곡립이 직접적으로 품질 측정기 (1) 에 닿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정상적으로 품질 측정기 (1) 에 충격 및 진동이 가해지기 어려워져, 수확 기계 (4) 의 사용 기간이 장기간이 되어도, 품질 측정기 (1) 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에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에 투입되는 곡립의 주된 경로가 존재하는 바, 품질 측정기 (1) 는, 당해 주된 경로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에 투입되는 곡립은, 품질 측정기 (1) 에 의해 닿기 어려워진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가이드 부재 (6) 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부재 (6) 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된 곡립을, 품질 측정기 (1) 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 (6) 를 형성함으로써, 투입구 (21) 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품질 측정기 (1) 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회피하면서도, 품질 측정기 (1) 에 곡립을 효율적으로 취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가이드 부재 (6) 는, 제 1 가이드부 (61) 및 제 2 가이드부 (62) 를 가진다. 제 1 가이드부 (61) 및 제 2 가이드부 (62) 는, 모두 후방측일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판재로 이루어진다. 제 1 가이드부 (61) 및 제 2 가이드부 (62) 의 사이에는, 1 쌍의 취입 롤러 (14) 의 상방 공간이 되는 위치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 (6) 는, 그 일부가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된 곡립의 경로 상에 위치하고, 제 1 가이드부 (61) 또는 제 2 가이드부 (62) 에 충돌한 곡립을 1 쌍의 취입 롤러 (14) 상으로 안내한다. 즉, 투입부 (453) 에 의해 투입구 (21) 로부터 투입 (던짐) 된 곡립의 일부가, 가이드 부재 (6) 의 일부에 충돌하여, 기세를 잃고 1 쌍의 취입 롤러 (14) 상으로 안내되게 된다.
여기서, 품질 측정기 (1)(를 노출시키는 개구공 (22)) 와 투입구 (21) 는, 상하 방향 (D3) 및 제 1 방향 (좌우 방향 (D1)) 의 양방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전후 방향 (D2)) 으로 나열되어 배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품질 측정기 (1) 는, 투입구 (21) 의 후방에 위치하므로, 투입부 (453) 에서 투입구 (21) 로부터 후방으로 투입된 곡립의 일부가, 품질 측정기 (1) 에 취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부재 (6)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되는 곡립을, 품질 측정기 (1) 에 취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에 있어서의 곡립을 취입하기 위한 취입구 (12) 는,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 투입구 (21) 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 또는 투입구 (21) 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입구 (12) 는,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 투입구 (21) 의 하단보다 높이 (H1) 분만큼 상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의 취입구 (12) 의 위치는, 투입구 (21) 의 하단보다 상방으로서, 투입구 (21) 의 상단보다 하방이다. 즉, 취입구 (12) 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 투입구 (21) 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과 같이, 품질 측정기 (1) 의 취입구 (12) 가 비교적 상방에 배치됨으로써, 그레인 탱크 (2) 내의 곡립이 만량에 가까운 상태에서도 품질 측정기 (1) 로 곡립의 품질 (여기에서는 수분량) 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입부 (453) 에 있어서의 레벨링 디스크 (455) 의 복수의 날개 (458) 가, 각각 레벨링 디스크 (455) 의 회전 방향 (R2)(도 9 참조) 의 선단측일수록 낮아지는 경사 각도를 갖고 있다. 이로써, 투입부 (453) 에서 투입구 (21) 로부터 투입되는 곡립은 레벨링 디스크 (455) 의 복수의 날개 (458) 에 의해 상방으로 던져지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취입구 (12) 는 투입구 (21) 의 하단보다 상방에 있어도, 취입구 (12) 에서 곡립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곡립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장 유닛 (3) 을 구비하고 있다. 전장 유닛 (3) 은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센서」는,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의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장 유닛 (3) 은, 그레인 탱크 (2) 에 지지되는 것이 아니라, 그레인 탱크 (2) 와 탈곡부 (43)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그레인 탱크 (2) 의 회전 (개폐) 에 대응시키면서도, 전장 유닛 (3) 에 연결되는 케이블 (하니스) 을 비교적 짧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의 처리가 비교적 용이해진다. 즉, 전장 유닛 (3) 이 그레인 탱크 (2) 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하여, 케이블이 짧아지고, 또한 그 처리가 용이해짐으로써, 품질 측정기 (1) 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전장 유닛 (3) 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어려운 수확 기계 (4) 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장치 (45) 는, 곡립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종반송부 (452) 를 갖는다. 전장 유닛 (3) 은, 종반송부 (452) 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 (D3) 으로 연장되는 종반송부 (452) 에 의해 전장 유닛 (3) 이 지지됨으로써, 그레인 탱크 (2) 의 하단부가 아니라, 비교적 높은 위치에 전장 유닛 (3) 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반송 장치 (45) 와 탈곡부 (43)(등을 포함하는 기체 (40) 의 좌측 부분) 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454)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전장 유닛 (3) 은,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 (454) 에 장착되어 있다. 즉, 전장 유닛 (3) 은, 연결 부재 (454) 에 고정됨으로써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다. 연결 부재 (454) 는, 반송 장치 (45) 와 탈곡부 (43) 를 연결하는 견고한 부재이므로, 이와 같은 연결 부재 (454) 에 전장 유닛 (3) 이 장착됨으로써, 전장 유닛 (3) 을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브래킷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장 유닛 (3) 을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게다가, 연결 부재 (454) 는, 종반송부 (452) 의 길이 방향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 부재 (454) 에 장착되는 전장 유닛 (3) 은, 반송 장치 (45) 의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반송 장치 (45) 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의 센서와 전장 유닛 (3) 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케이블의 처리가 비교적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 전장 유닛 (3) 은,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반송부 (452) 의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에 대하여, 연결 부재 (454) 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연결 부재 (454) 는 평면에서 보아, 그레인 탱크 (2) 측 (우측) 이 개방된 직사각형 프레임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종반송부 (452) 의 전면, 후면 및 좌측면에 접하도록 종반송부 (452) 에 고정된다. 전장 유닛 (3) 은, 이와 같은 연결 부재 (454) 에 볼트 등의 체결구로 고정됨으로써, 종반송부 (452) 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전장 유닛 (3) 은, 종반송부 (452) 의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의 전방에 위치한다. 즉, 전장 유닛 (3) 은, 종반송부 (452) 의 상단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투입부 (453) 의 하방에 위치한다.
여기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확 기계 (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탈곡부 (43) 의 구동원이 되는 동력부 (46) 를 구비하고 있다. 전장 유닛 (3) 은, 평면에서 보아 반송 장치 (45) 에 대하여 동력부 (46) 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동력부 (46) 는, 반송 장치 (45)(종반송부 (452)) 에서 보아 후방측에 위치하는 바, 전장 유닛 (3) 은, 반송 장치 (45)(종반송부 (452)) 에서 보아 동력부 (46) 와는 반대측인 전방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전장 유닛 (3) 은, 엔진 (461) 등의 발열원을 포함하는 동력부 (46) 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장 유닛 (3) 에서 보아, 발열원을 포함하는 동력부 (46) 와의 사이에는 반송 장치 (45)(종반송부 (452)) 가 개재하게 되므로, 동력부 (46) 에서 발생하는 열이 전장 유닛 (3) 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열의 영향에 의한 전장 유닛 (3) 의 오동작 또는 열화 등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반송 장치 (45) 에는 품질 측정기 (1) 및 전장 유닛 (3) 뿐만 아니라 수확량 센서 (53) 도 장착되어 있다. 수확량 센서 (53) 는, 투입부 (453)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수확 기계 (4) 는,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고, 곡립의 수확량을 검지하는 수확량 센서 (53) 를 추가로 구비한다. 이로써, 전장 유닛 (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센서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를 포함한다) 에 대해서도,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품질 측정기 (1), 수확량 센서 (53) 및 전장 유닛 (3) 이 반송 장치 (45) 에 집약되게 되어, 품질 측정기 (1), 수확량 센서 (53) 및 전장 유닛 (3) 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및 수확량 센서 (53) 등의 메인터넌스의 일괄 관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 (2) 내에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는 모두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면하는 표면이, 곡립으로부터의 압력을 받아 압입됨으로써, 곡립을 검지하는 센서이다. 즉,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있어서는 곡립이 서서히 퇴적되므로, 곡립 센서 (54) 의 위치까지 곡립이 도달하면 곡립 센서 (54) 가 곡립을 검지한다. 마찬가지로, 만량 센서 (55) 의 위치까지 곡립이 도달하면 만량 센서 (55) 가 만량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곡립 센서 (54) 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품질 측정기 (1) 에 있어서의 곡립의 배출구 (13) 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곡립 센서 (54) 의 검지부 (실제로 감도를 갖는 부위) 가 곡립 센서 (54) 의 중심에 있다고 가정하고, 곡립 센서 (54) 의 중심과 배출구 (13) 의 중심 사이에서, 상하 방향 (D3) 의 위치 관계를 규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센서 (54) 는, 배출구 (13) 보다 높이 (H2) 의 분만큼 하방에 위치한다.
또한, 그레인 탱크 (2) 내에는 곡립이 만량에 도달한 것을 검지하는 만량 센서 (55) 가 배치되고, 만량 센서 (55) 는, 곡립 센서 (54) 보다 상방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만량 센서 (55) 의 검지부 (실제로 감도를 갖는 부위) 가 만량 센서 (55) 의 중심에 있다고 가정하고, 만량 센서 (55) 의 중심과 곡립 센서 (54) 의 중심 사이에서, 상하 방향 (D3) 의 위치 관계를 규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량 센서 (55) 는 배출구 (13) 보다 높이 (H3) 분만큼 상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만량 센서 (55) 는 곡립 센서 (54) 에 대해서는 높이 (H2) 와 높이 (H3) 의 합계 (H2 + H3) 분만큼 상방에 위치한다.
[3] 변형예
이하, 실시형태 1 의 변형예를 열거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 가능하다.
또한, 곡립 센서 (54) 및 만량 센서 (55) 의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광학식 등, 비접촉으로 곡립을 검지하는 방식의 센서여도 된다.
또한, 수확 기계 (4) 는, 보통형 콤바인에 한정되지 않고, 자탈형 콤바인이어도 되고, 콤바인 이외의 수확 기계여도 된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는,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제 1 방향 (좌우 방향 (D1)) 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 (2) 의 중심 (C1) 으로부터 보아 투입구 (21) 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되고,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있어서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품질 측정기 (1) 를 지지하는 반송 장치 (45) 가 그레인 탱크 (2) 의 우측에 위치하는 경우, 투입구 (21) 와 품질 측정기 (1) 는, 모두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D1)(제 1 방향) 의 동일면이 되는 우측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 1 방향이 좌우 방향 (D1) 인 것도 필수는 아니며, 예를 들어, 제 1 방향이 전후 방향 (D2) 이어도 된다. 이 경우, 품질 측정기 (1) 는, 전후 방향 (D2) 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 (2) 의 중심 (C1) 으로부터 보아 투입구 (21) 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게 된다. 즉, 품질 측정기 (1) 를 지지하는 반송 장치 (45) 가 그레인 탱크 (2) 의 전측에 위치하는 경우, 투입구 (21) 와 품질 측정기 (1) 는, 모두 그레인 탱크 (2) 의 내부 공간 (Sp1) 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D2) 의 동일면이 되는 전면 (또는 후면) 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는, 상하 방향 (D3) 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그레인 탱크 (2) 의 중심 (C1) 으로부터 보아 투입구 (21) 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는 것은 원래 필수는 아니다. 또한, 수확량 센서 (53) 가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가, 종반송부 (452) 에 지지되어 있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여기서, 종반송부 (452) 가 상하 방향 (D3) 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버킷 (71) 을 포함하는 버킷 방식인 것은 필수는 아니고, 예를 들어, 종반송부 (452) 는 스크루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그레인 탱크 (2) 가, 반송 장치 (45) 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와, 반송 장치 (45) 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도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또한, 보강 프레임 (24) 이, 품질 측정기 (1) 에 있어서의 개구공 (22) 에 대향하는 측면 (111) 의 일부를 덮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원래, 개구공 (22) 내에 보강 프레임 (24) 이 형성되어 있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의 취입구 (12) 가, 상하 방향 (D3) 에 있어서 투입구 (21) 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 또는 투입구 (21) 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도 필수는 아니며, 취입구 (12) 가 투입구 (21) 의 하단보다 하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전장 유닛 (3)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센서 (수확량 센서 (53) 등) 가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또한, 전장 유닛 (3) 은, 반송 장치 (45) 와 탈곡부 (43) 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454) 에 고정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예를 들어, 종반송부 (452) 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도 된다. 또한, 전장 유닛 (3) 이 반송 장치 (45) 의 상하 방향 (D3) 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또한, 전장 유닛 (3) 이, 평면에서 보아 반송 장치 (45) 에 대하여 동력부 (46) 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필수는 아니며, 전장 유닛 (3) 은, 평면에서 보아 반송 장치 (45) 에 대하여 동력부 (46) 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전장 유닛 (3) 이 종반송부 (452) 에 지지되어 있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또한, 품질 측정기 (1) 와 전장 유닛 (3) 중 적어도 일방이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어 있으면 되고, 품질 측정기 (1) 와 전장 유닛 (3) 의 양방이,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품질 측정기 (1) 가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고, 전장 유닛 (3) 은 그레인 탱크 (2) 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반대로, 전장 유닛 (3) 이 반송 장치 (45) 에 지지되고, 품질 측정기 (1) 는, 그레인 탱크 (2) 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가이드 부재 (6) 등에 대한 구체적 형상 및 치수 등은, 실시형태 1 에서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수확 기계 (4) 가 가이드 부재 (6) 를 구비하는 것도 필수는 아니다.
또한, 운전부 (47) 는, 캐빈 타입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캐노피 타입 또는 플로어 타입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확 기계 (4) 는, 품질 측정기 (1) 가 곡립의 단백질 함유량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수확 기계 (4) 와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공통의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확 기계 (4) 에서는, 품질 측정기 (1) 는, 투입구 (21) 로부터 그레인 탱크 (2) 내에 투입된 곡립을 취입하여, 곡립의 단백질 함유량을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품질 측정기 (1) 는, 반송 장치 (45)(의 종반송부 (452)) 에 지지되어 있다.
품질 측정기 (1) 는,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는 장치이면 되고, 측정 대상인 품질도, 곡립의 수분 함유량 (실시형태 1) 및 단백질 함유량 (실시형태 2) 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아밀로오스 함유량,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2 의 구성 (변형예를 포함한다) 은, 실시형태 1 에서 설명한 다양한 구성 (변형예를 포함한다) 과 적절히 조합하여 채용 가능하다.
〔발명의 부기〕
이하,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로부터 추출되는 발명의 개요에 대해 부기한다. 또한, 이하의 부기에서 설명하는 각 구성 및 각 처리 기능은 취사 선택하여 임의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기 1>
탈곡부와,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탈곡부로부터 상기 그레인 탱크에 상기 곡립을 반송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의 내측면에 개구되는 투입구로부터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상기 곡립을 투입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내부 공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반송 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 기계.
<부기 2>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기 투입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부기 1 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3>
상기 반송 장치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곡립의 수확량을 검지하는 수확량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4>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곡립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종반송부를 갖고,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종반송부에 지지되어 있는, 부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5>
상기 종반송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버킷을 포함하고, 상기 곡립을 상기 복수의 버킷의 각각으로 떠내어 상방으로 반송하는, 부기 4 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6>
상기 그레인 탱크는, 상기 반송 장치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반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품질 측정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개구공을 통해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노출되는, 부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7>
상기 개구공 내에는, 상기 개구공의 대향하는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지는 보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부기 6 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8>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품질 측정기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공에 대향하는 측면의 일부를 덮는, 부기 7 에 기재된 수확 기계.
<부기 9>
상기 품질 측정기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을 취입하기 위한 취입구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 또는 상기 투입구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부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확 기계.
1 : 품질 측정기
2 : 그레인 탱크
4 : 수확 기계
12 : 취입구
20 : 내측면
21 : 투입구
22 : 개구공
24 : 보강 프레임
43 : 탈곡부
45 : 반송 장치
53 : 수확량 센서
71 : 버킷
452 : 종반송부
C1 : 중심
D1 : 좌우 방향 (제 1 방향)
D2 : 전후 방향 (제 2 방향)
D3 : 상하 방향
Sp1 : 내부 공간

Claims (9)

  1. 탈곡부와,
    곡립을 저류하는 그레인 탱크와,
    상기 탈곡부로부터 상기 그레인 탱크에 상기 곡립을 반송하고, 상기 그레인 탱크의 내측면에 개구되는 투입구로부터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상기 곡립을 투입하는 반송 장치와,
    상기 그레인 탱크의 내부 공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곡립의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반송 장치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중심으로부터 보아 상기 투입구와 동일한 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 기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곡립의 수확량을 검지하는 수확량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는, 수확 기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장치는, 상기 곡립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반송하는 종반송부를 갖고,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종반송부에 지지되어 있는, 수확 기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종반송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버킷을 포함하고, 상기 곡립을 상기 복수의 버킷의 각각으로 떠내어 상방으로 반송하는, 수확 기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인 탱크는, 상기 반송 장치에 접촉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반송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품질 측정기는,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그레인 탱크의 상기 품질 측정기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개구공을 통해 상기 그레인 탱크 내에 노출되는, 수확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공 내에는, 상기 개구공의 대향하는 둘레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지는 보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는, 수확 기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그레인 탱크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품질 측정기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공에 대향하는 측면의 일부를 덮는, 수확 기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기에 있어서의 상기 곡립을 취입하기 위한 취입구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하단과 동일한 위치, 또는 상기 투입구의 하단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수확 기계.
KR1020230053504A 2022-05-30 2023-04-24 수확 기계 KR20230166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87430A JP2023175131A (ja) 2022-05-30 2022-05-30 収穫機械
JPJP-P-2022-087430 2022-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895A true KR20230166895A (ko) 2023-12-07

Family

ID=8888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504A KR20230166895A (ko) 2022-05-30 2023-04-24 수확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3175131A (ko)
KR (1) KR20230166895A (ko)
CN (1) CN11713671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1843A (ja) 2020-03-11 2021-09-2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41843A (ja) 2020-03-11 2021-09-24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36710A (zh) 2023-12-01
JP2023175131A (ja)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3754B (zh) 联合收割机
JP2017112992A (ja) 収穫機
EP3238528B1 (en) Optical tailings sensor in tri-sweep tailings housing
CN108347883B (zh) 联合收割机以及联合收割机用谷粒产量管理系统
KR20230166895A (ko) 수확 기계
JP2008017855A (ja) コンバイン
JP2018038271A (ja) コンバイン用穀粒収量管理システム
JP6289405B2 (ja) コンバイン
JP2023175132A (ja) 収穫機械
CN113766827B (zh) 联合收割机
JP2024110478A (ja) 収穫機械
CN109104983B (zh) 收割机及联合收割机
KR20230014051A (ko) 수확 기계
JP4340609B2 (ja) コンバイン
WO2022124173A1 (ja) コンバイン、算定システム、算定方法、算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7531453B2 (ja) 支援システム
US20220217911A1 (en) Threshing Apparatus
JP7531454B2 (ja) 管理システム
WO2022124250A1 (ja) コンバイン
JP7391005B2 (ja) コンバイン
JP7130604B2 (ja) コンバイン
JP7500804B2 (ja) コンバイン
JP7423438B2 (ja) 脱穀装置
JP7495362B2 (ja) 作業機械用の燃料供給装置、及び収穫機械
JP2022093245A (ja) コンバイ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