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4343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343B1
KR101614343B1 KR1020147002271A KR20147002271A KR101614343B1 KR 101614343 B1 KR101614343 B1 KR 101614343B1 KR 1020147002271 A KR1020147002271 A KR 1020147002271A KR 20147002271 A KR20147002271 A KR 20147002271A KR 101614343 B1 KR101614343 B1 KR 101614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impact force
detected
sens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3454A (ko
Inventor
무네노리 미야모토
코우이치 쇼우지
카즈키 카나타니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72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8567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580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3526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2/068510 external-priority patent/WO2013012080A1/ja
Publication of KR20140043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50Sack-filling devices; Counting or weig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곡립이 센서에 접촉하는 접촉 기간에 있어서도 곡립량의 검출값으로부터 외란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투입 센서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을 미리 설정한 역치(α)와 비교한다.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충격력을 산출 대상에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충격력이 역치(α)보다 작은 경우, 산출해야할 대상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때문에 특히 소량의 곡립이 반송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저속으로 예취 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수급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곡립량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곡립의 반송량이 적은 경우 곡립의 반송량이 많은 경우에 비해 산출된 곡립량에 대한 외란의 영향이 커진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회수한 곡립의 양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포장에서의 수확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곡간의 예취 및 탈곡 및 곡립의 회수를 행하는 콤바인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콤바인은 크롤러에 의해 포장을 주행하고, 이 주행중에 예취날로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급동으로 반송해서 탈곡한다. 그리고 급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채프 시브로 곡간으로부터 분리한 짚 및 곡립의 선별을 행하고, 선별된 곡립을 채프 시브로부터 누하시켜서 스크류 컨베이어를 통해 곡립 탱크로 회수한다.
스크류 컨베이어의 선단부에는 곡립을 곡립 탱크에 투입하기 위한 날개판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판에 의해 투입된 곡립량을 검출하는 곡립량 검출 센서가 곡립 탱크에 설치되어 있다. 곡립량 검출 센서는 압전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곡립이 접촉한 경우의 압력에 의거해서 곡립량을 검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곡립량 검출 센서에는 엔진의 진동 및 요철을 갖는 포장을 주행함으로써 발생한 진동 등이 전파된다. 이들 진동은 외란으로 되어서 곡립량 검출 센서의 출력에 영향을 준다.
최근에서는 곡립량 검출 센서의 검출 주기를 설정하고, 검출 주기에 포함되는 곡립이 접촉해야 할 접촉 기간에 검출된 검출값을 비접촉 기간에서 검출된 검출값에 의거해서 보정하여 외란의 영향을 제거하는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2005-24381호 공보
쇼오지 코이치 외 2명, 「비선형 특성을 갖는 수량 센서의 현장 교정법-전자 픽업을 탑재하는 것에 의한 정밀도 향상에 대해서」, ISMAB 2010 FUKUOKA, 2010년 4월 5일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곡립이 반송되고 있지 않는 경우여도 곡립량 검출 센서의 온도특성, 날개판에 의한 풍압 및 차체의 경사 등의 외란에 의해 접촉 기간에 곡립량 검출 센서로부터 검출값이 출력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촉 기간에 있어서도 곡립량의 검출값으로부터 외란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된 곡립에 의한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충격력에 의거하여 곡립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이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서의 판정 결과에 의거해서 검출된 충격력을 상기 산출 수단에서의 산출에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을 미리 설정한 역치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충격력을 산출 대상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충격력이 역치보다 작은 경우 산출해야 할 대상으로부터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반송 수단은 스크류 컨베이어이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단부에 있어서의 축부분에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투입하는 날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을 상기 날개판에 대향시켜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 수단은 날개판에 대향되어 있고,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은 검출 수단에 확실에 접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에 검출된 충격력을 적산하는 적산 수단을 갖고, 적산한 적산값에 의거해서 곡립량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간에서 상기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충격력을 상기 적산 수단에서의 적산에 사용하는 결정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에 있어서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충격력만을 적산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간내에 있어서의 외란의 영향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에 검출된 충격력을 적산하는 적산 수단을 갖고, 적산한 적산값에 의거해서 곡립량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간에서 상기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큰지의 여부를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기간의 임의의 시점에 검출된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기간내에 검출된 충격력을 상기 적산 수단에서의 적산에 사용하는 결정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기간의 임의의 시점에 검출된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기간내에 검출된 충격력 전체를 적산 대상에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간내에 있어서의 외란의 영향을 제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 주기를 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은 1회전 주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날개판의 1회전 주기마다 상기 판정을 실행하고, 상기 기간에 있어서의 외란의 제거를 실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기간외에 검출된 상기 검출 수단의 충격력에 의거해서 상기 적산 수단의 적산 결과에 포함되는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검출 수단에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 기간에 검출된 충격력은 진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정상편차이며, 이것을 적산 결과로부터 제외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반송 수단은 곡립을 상기 저류부로 투입하는 회전식의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회전 주기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 주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1회전 주기 동안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충격력의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이 1회전 주기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대 외인 경우에 상기 시점이 소정 시간대 외인 것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충격력의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의 전후에 있어서 곡립이 검출 수단에 접촉하고 있다라고 생각되므로, 피크값이 1회전 주기에 있어서의 미리 정한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했을 경우, 곡립 탱크에 저류한 곡립량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했을 경우에 그러한 바를 유저에게 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1회전 주기에 있어서의 미리 정한 산출 대상 기간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의거해서 곡립량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이 소정 시간대 외인 경우에 상기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했을 경우에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하고, 변경후의 산출 대상 기간에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에 의거해서 곡립량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곡립량의 산출을 계속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산출 수단이 상기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했을 경우에 상기 산출 대상 기간의 변경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고지하는 변경 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산출 대상 기간의 변경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그러한 바를 유저에게 고지하고, 예취 종료후에 서비스맨에 의한 검출 수단의 수리·위치 조정 등을 행하도록 재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투입부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날개판 또는 스프로킷의 둘레를 회전하는 버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곡립의 저류부로의 투입을 스크류 컨베이어의 선단에 설치한 날개판 또는 회전식의 버킷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한 것을 유저에게 고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을 미리 설정한 역치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충격력을 산출 대상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충격력이 역치보다 작은 경우, 산출해야 할 대상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때문에, 특히 소량의 곡립이 반송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저속으로 예취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수급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 곡립량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곡립의 반송량이 적은 경우, 곡립의 반송량이 많은 경우에 비해 산출된 곡립량에 대한 외란의 영향이 커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검출 수단은 날개판에 대향하고 있으며,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은 검출 수단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날개판에 의한 풍압 등의 외란이 충격력에 영향을 주어도, 외란에 의한 검출값을 제거하도록 설계하는 한, 날개판에 대향하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사양에 따른 배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에 있어서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충격력만을 적산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간내에 있어서 외란을 정밀도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기간의 임의의 시점에 검출된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기간내에 검출된 충격력 전체를 적산 대상에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기간내에 있어서 외란을 정밀도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날개판의 1회전 주기마다 상기 판정을 실행해서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에 있어서의 외란의 제거를 정밀도 좋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검출 수단에 충돌하지 않는 기간에 검출된 값은 진동 등에 의해 생기는 정상 편차이며, 이것을 적산 결과로부터 제외시킴으로써 곡립량의 검출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의 내부구성을 대략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곡립 탱크를 대략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4는 곡립 탱크를 대략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5는 엔진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나타내는 전동 기구도이다.
도 6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엔진의 회전수 및 계수(β)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8은 투구 센서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9는 CPU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CPU에 의한 보정값 산출 처리를 1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1은 CPU에 의한 경보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3은 CPU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를 대략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투구 센서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7은 충돌판이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8은 CPU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9는 CPU에 의한 피크값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20은 변형된 날개판을 대략 나타내는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4에 의한 콤바인의 버킷식 승강기 및 곡립 탱크를 확대해서 대략 나타내는 내부 측면 구성도이다.
도 22는 버킷식 승강기 및 투구 센서를 내부에 갖는 곡립 탱크를 확대해서 대략 나타내는 내부 측면 구성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주행 크롤러이며, 상기 주행 크롤러(1)의 상측에 기체(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체(9) 위에는 탈곡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의 앞측에 예취 곡간과 비예취 곡간을 구별하는 분초판(3a),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3b), 및 곡간을 일으켜세우는 일으켜세움 장치(3c)를 구비하는 예취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의 우측에는 곡립을 수용하는 곡립 탱크(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탈곡 장치(2)의 좌부에는 곡간을 반송하는 전후로 긴 피드체인(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드체인(5)의 상측에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부재(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협지부재(6)와 피드체인(5)이 대향하고 있다. 상기 피드체인(5)의 전단부 부근에는 상부 반송 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곡립 탱크(4)에는 곡립 탱크(4)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통상의 배출 오거(4a)가 부착되어 있고, 곡립 탱크(4)의 앞측에는 캐빈(8)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 크롤러(1)의 구동에 의해 기체(9)는 주행한다. 기체(9)의 주행에 의해 예취부(3)에 곡간이 도입되고 예취된다. 예취된 곡간은 상부 반송 장치(7), 피드체인(5) 및 협지부재(6)를 통해 탈곡 장치(2)에 반송되고, 탈곡 장치(2)내에서 탈곡된다.
도 2는 탈곡 장치(2)의 내부구성을 대략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3은 곡립 탱크(4)를 대략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 도 4는 곡립 탱크(4)를 대략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곡 장치(2)의 앞측 상부에 곡간을 탈곡하기 위한 급실(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실(10)내에 전후 방향을 축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급동(11)이 축가되어 있으며, 상기 급동(11)은 축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동(11)의 주면에는 다수의 급치(12,12,…12)가 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의 하측에 상기 급치(12,12,…12)와 협동해서 짚을 문질러 푸는 크림프망(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은 후술하는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여 볏짚을 탈곡한다.
상기 급실(10)의 상벽에 4개의 송진 밸브(10a,10a,10a,10a)가 전후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송진 밸브는 급실(10)의 후부로 송출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급실(10)의 후부에는 처리실(13)이 연설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13)내에 전후 방향을 축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처리동(13b)이 축가되어 있고, 상기 처리동(13b)은 축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리동(13b)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급치(13c,13c,…,13c)가 나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처리동(13b)의 하측에는 급치(13c,13c,…,13c)와 협동해서 짚을 주물러 푸는 처리망(13d)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동(13b)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여 급실(10)로부터 송출된 짚 및 곡립으로부터 곡립을 분리하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실(13)의 후단부 하측에는 배출구(13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상벽에 4개의 처리동 밸브(13a,13a,13a,13a)가 전후 방향에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처리동 밸브(13a,13a,13a,13a)는 처리실(13)의 후방부로 송출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크림프망(15)의 하측에는 곡립 및 짚의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는 곡립 및 짚을 균일화함과 아울러 비중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반(17)과, 상기 요동 선별반(17)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흠선별을 행하는 채프 시브(18)와, 상기 채프 시브(18)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짚에 혼입된 곡립을 낙하시키기 위한 스트로랙(19)을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랙(19)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투공을 갖고 있다. 또 상기 요동 선별반(17)의 전방부에는 요동암(2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요동암(21)은 전후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요동암(21)의 요동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6)는 요동하여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요동 선별 장치(16)는 상기 채프 시브(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정밀 선별을 행하는 그레인 시브(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그레인 시브(20)의 하방에 전방을 아래로 해서 경사진 1번 곡립판(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1번 곡립판(22)의 앞측에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는 1번 곡립판(22)을 미끄러져 떨어진 곡립을 도입하고, 곡립 탱크(4)로 송급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상단부의 축부분(23c)에는 직사각형의 날개판(23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23b)은 축부분(23c)을 중심으로 해서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날개판(23b)은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에 동기해서 회전한다.
축부분(23c) 및 날개판(23b)은 케이싱(140)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140)은 축부분(23c) 및 날개판(23b)의 주위를 덮는 평면으로 볼 때 U형의 측면(141)을 구비한다. 상기 측면(141)은 축부분(23c) 및 날개판(23b)을 사이에 두고 곡립 탱크(4)의 측면(투구(4b))에 대향하고 있다. 곡립 탱크(4)내에 있어서 투구(4b)의 하측 근방에 압박식 스위치(4c)가 설치되어 있다.
측면(141)의 일단부는 곡립을 안내하는 안내면(141a)을 이룬다. 측면(141)의 타단부는 안내면(141a)에 대향한 비안내면(141b)을 이룬다. 안내면(141a)은 곡립 탱크(4)의 측면에 대하여 예각으로 경사져 있고, 비안내면(141b)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 및 안내면(141a) 사이의 치수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 및 비안내면(141b) 사이의 치수보다 크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1은 안내면(141a) 및 안내면(141a)을 연장한 면상에 위치하는 선이다. L2는 축부분(23c) 및 안내면(141a) 사이에 있어서 L1에 30도의 각도로 교차한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외주 접선이다. 곡립 탱크(4)내에 있어서 L1 및 L2에 의해 끼워지는 영역을 제 1 영역으로 하고(도 3에 있어서의 실선 해칭 참조), L2를 기준으로 해서 제 1 영역과 반대측의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한다(도 3에 있어서의 파선 해칭 참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영역내에 투구(4b)로부터 곡립 탱크(4)에 투입되는 곡립의 충격값을 검출하는 투구 센서(3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의 천면으로부터 지지 부재(310)가 수하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310)에 투구 센서(300)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투구 센서(300)는 투구(4b)의 하측 가장자리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 곡립 탱크(4)가 가득 차게 된 경우에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가득 찼을 때에 곡립에 매몰되지 않는 상하 위치 및 안길이 위치에 투구 센서(3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안내면(141a) 부근의 파선 화살표 및 원형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된 곡립의 대부분은 안내면(141a)을 따라 이동하고, 곡립 탱크(4)내의 제 1 영역에 광폭으로 연속한 띠형상으로 되어 투입된다. 도 3에 있어서,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 부근의 파선 화살표 및 원형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머지 곡립은 곡립 탱크(4)내의 제 2 영역에 이산해서 투입된다.
제 1 영역에 있어서는 안내면(141a)을 따라 이동하는 곡립 및 안내면(141a)에 충돌해서 튀어 오른 곡립 등이 연속적으로 곡립 탱크(4)에 투입된다. 또한, 안내면(141a)에 접촉하므로 곡립은 감속해서 투입된다. 한편 제 2 영역에 있어서는 곡립은 날개판(23b)으로부터 곡립 탱크(4)에 직접 투입된다. 그 때문에 곡립은 제 1 영역에 투입되는 곡립과 같이 안내면(141a)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거의 감속하지 않고, 이산한 상태로 고속 투입된다.
또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에 의한 상방향의 힘이 곡립에 작용한다. 도 4의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향의 힘과 날개판(23b)으로부터의 횡방향의 힘의 합성에 의해 곡립은 비스듬하게 상방향으로 이동한다.
투구 센서(300)는 제 2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산한 소량의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순간적으로 충돌한다. 또한 투구 센서(300)가 제 1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광폭으로 연속한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계속적으로 충돌한다.
곡립은 투구(4b)로부터 날개판(23b)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곡립 탱크(4)에 투입된다. 투입된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함으로써 변형 게이지로부터 전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압에 의거해서 곡립량이 산출된다. 또한, 투구 센서(300)는 접촉한 곡립의 충격값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변형 게이지 대신에 압전소자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L1 및 L2가 이루는 각도는 30도이지만, L1 및 L2가 이루는 각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L2는 투구 센서(300)에 곡립이 연속적으로 충돌하는 제 1 영역과 순간적으로 충돌하는 제 2 영역을 구별하는 선이면 좋고, L1 및 L2가 이루는 각도는 설계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상기 그레인 시브(20)로부터 1번 곡립판(22)에 낙하한 곡립은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를 향해서 미끄러 떨어진다. 미끄러 떨어진 곡립은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에 의해 반송된다. 곡립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곡립은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외주를 따라 상승한다. 도 3의 실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개판(23b)은 비안내면(141b)측으로부터 안내면(141a)측을 향해서 회전한다(도 3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날개판(23b)은 곡립을 투구(4b)를 향해서 압출한다.
도 3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입된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접촉함으로써 변형 게이지로부터 전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압에 의거해서 투구량이 검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1번 곡립판(22)의 후방부에 후방을 향해서 하강 경사진 경사판(24)이 연설되어 있다. 상기 경사판(24)의 후단부에 전방을 향해서 하강 경사진 2번 곡립판(25)이 연설되어 있다. 상기 2번 곡립판(25)과 상기 경사판(24)의 연결 부분의 상측에 짚 및 곡립을 반송하는 2번 스크류 컨베이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랙(19)의 투공으로부터 경사판(24) 또는 2번 곡립판(25)에 낙하한 낙하물은 상기 2번 스크류 컨베이어(26)를 향해서 미끄러 떨어진다. 미끄러 떨어진 낙하물은 2번 스크류 컨베이어(26)에 의해 상기 급동(11)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처리 로터(14)에 반송되고, 처리 로터(14)에서 탈곡 처리된다.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보다 전방이며, 상기 요동 선별반(17)보다 하방에 기풍 동작을 행하는 풍구(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풍구(27)의 기풍 동작에 의해 발생한 바람은 후방으로 진행한다. 풍구(27)와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 사이에 바람을 상향으로 송출하는 정류판(2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2번 곡립판(25)의 후단부에 통로판(36)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통로판(36)의 상방에는 하부 흡인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흡인 커버(30) 및 통로판(36) 사이에는 진애가 배출되는 배기 통로(37)로 되어 있다.
하부 흡인 커버(30)의 상방에 상부 흡인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흡인 커버(31) 및 하부 흡인 커버(30) 사이에 짚을 흡인 배출하는 축류팬(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축류팬(32)의 후방에는 배진구(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풍구(27)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상기 정류판(28,28)에 의해 정류된 후에,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를 통과해서 상기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 이른다.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는 압전소자를 구비하는 배출량 센서(34,34)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곡립이 배출되고, 배출량 센서(34,34)에 접촉한다. 이 때 배출량 센서(34,34)의 압전소자로부터 전압신호가 출력되고,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단위시간당 곡립량(로스량)이 검출된다.
또한, 배출량 센서(34,34)는 압전소자를 갖는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 소자 및 수광소자를 갖는 광센서를 배출량 센서(34)로서 사용하고, 발광 소자 및 수광소자 사이를 통과하는 곡립량을 검출해도 좋다. 또 발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초음파 센서를 배출량 센서(34)로서 사용하고, 발신기 및 수신기 사이를 통과하는 곡립량을 검출해도 좋다.
상기 상부 흡인 커버(31)의 상측이며, 상기 처리실(13)의 하방에 전방으로 하강 경사진 유하 홈통(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배출물은 유하 홈통(35)을 미끄러 떨어져서 상기 스트로랙(19)에 낙하한다.
상술한 주행 크롤러(1)의 구동, 예취부(3)의 예취동작, 급동(11)의 회동, 처리동(13b)의 회동, 요동 선별 장치(16)의 요동 및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 동작 등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행해진다. 도 5는 엔진(40)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나타내는 전동 기구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40)은 HST(Hydro Static Transmission)(41)를 통해 주행 미션(42)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40)의 출력축의 근방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엔진 회전수 센서(40a)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회전수 센서(40a)는 홀소자 등을 갖는 자기 센서이며, 출력축이 갖는 자성체의 통과에 의해 회전수를 검출한다.
HST(41)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와,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 펌프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도시 생략)와, 상기 기구를 제어하는 변속 회로(41a)를 갖고 있다.
주행 미션(42)은 상기 주행 크롤러(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주행 미션(42)에는 홀소자를 갖는 차속 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속 센서(43)는 상기 기어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기어의 회전수에 대응하는 기체의 차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엔진(40)은 전자식의 탈곡 클러치(44)를 통해 상기 급동(11) 및 처리동(13b)에 연결되어 있고, 또 전동기구(50)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구(50)는 상기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기구(50)와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를 연결하는 축의 근방에 픽업 센서(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픽업 센서(51)는 홀소자 등을 갖는 자기 센서이며, 상기 축이 갖는 자성체의 통과에 의해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또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통해 편심 크랭크(4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편심 크랭크(45)는 상기 요동암(21)에 연결되어 있다. 편심 크랭크(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가 요동한다. 또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통해 상기 풍구(27)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 및 전자식의 예취 클러치(46)를 통해 상기 예취부(3)에 연결되어 있다.
주행 미션(42)을 통해 엔진(40)의 구동력이 주행 크롤러(1)에 전달되어 기체가 주행한다. 또 예취 클러치(46)를 통해 예취부(3)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예취부(3)에서 곡간이 예취된다.
탈곡 클러치(44)를 통해 상기 급동(11)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급동(11)에서 곡간은 탈곡된다. 또 탈곡 클러치(44)를 통해 처리동(13b)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처리동(13b)은 급동(11)에서 탈곡 처리된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분리한다.
또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에는 탈곡 클러치(44) 및 편심 크랭크(45)를 통해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급동(11)으로부터 누하된 짚 및 곡립 및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또 탈곡 클러치(44)를 통해 상기 풍구(27)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요동 선별 장치(16)에서 선별된 짚이 풍구(27)의 기풍 작용에 의해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투구 센서(300), 엔진 회전수 센서(40a) 및 픽업 센서(51)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해서 곡립 탱크(4)에 저류하는 곡립량을 연산하는 제어부가 콤바인에 탑재되어 있다. 도 6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엔진의 회전수 및 계수(β)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제어부(100)는 내부 버스(100g)에 의해 서로 접속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a), ROM(Read Only Memory)(100b), RAM(Random Access Memory)(100c)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100d)를 구비하고 있다. CPU(100a)는 ROM(100b)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100c)에 기록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송진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동작 제어 등 필요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CPU(100a)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있다.
EEPROM(100d)에는 LUT(Look Up Table)(100h)가 격납되어 있다.
LUT(100h)에는 엔진의 회전수 및 계수(β)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도 7 참조). 상기 테이블은 「엔진 회전수」란 및 「계수(β)」란을 구비하고 있고, 각 란의 각 행에는 엔진 회전수와, 엔진 회전수에 대응한 계수(β)의 값(β1∼β6)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엔진 회전수의 대소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회전수의 대소에 대응하고 있다.
또 EEPROM(100d)에는 보정 변수(X)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보정 변수(X)에는 필요에 따라 값이 격납된다. 또한,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곡립량의 산출 대상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역치(α)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해 예취 클러치(46) 및 탈곡 클러치(44)에 계단(繼斷)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해 표시부(83)에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신호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해 경고 램프(84)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출력한다.
예취 스위치(80), 지표 설정 스위치(81), 조작 스위치(82), 투구 센서(300), 압박식 스위치(4c), 픽업 센서(51), 엔진 회전수 센서(40a) 및 탈곡 스위치(85)의 각 출력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100e)를 통해 제어부(100)에 입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빈(8)내에는 도시가 생략된 데시보드 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데시보드 패널에 예취 스위치(80), 지표 설정 스위치(81), 복수의 조작 스위치(82) 및 탈곡 스위치(85)가 설치되어 있고, 또 액정 패널을 갖는 표시부(8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캐빈(8)내에는 경고 램프(8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예취 스위치(80)의 온오프에 대응해서 예취 클러치(46) 및 탈곡 클러치(44)가 계단된다. 또 탈곡 스위치(85)의 온오프에 대응해서 탈곡 클러치(44)가 계단된다.
CPU(100a)는 투구 센서(300)의 출력 신호에 의한 검출값을 적산하고, 역치(α)와 비교해서 적산 대상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적산 대상에 포함시키는 검출값을 픽업 센서(51)의 출력 신호에 의한 검출값에 동기시켜서 EEPROM(100d)에 기억시킨다. 도 8은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8A는 시간과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은 곡립의 충돌에 의한 변형량을 나타내고 있고, 소정의 샘플링수에 있어서의 이동 평균값이다. 도 8B는 시간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날개판(23b)의 1회전에 있어서의 회전 개시 시점 및 회전 종료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중의 주기(P)의 첨자는 적당히 생략한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펄스파로서 검출되고, 펄스파의 간격이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1회전의 주기, 즉 날개판(23b)의 1회전의 주기(P)에 상당한다. CPU(100a)는 소정의 샘플링 주기(예를 들면 100[ms])로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취득하고, EEPROM(100d)에 기억시킨다. 또 CPU(100a)는 픽업 센서(51)로부터 펄스파가 입력될 때마다 타임 스탬프를 작성하고, 상기 타임 스탬프를 펄스파가 입력되었을 때에 투구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검출값에 링크시켜서 EEPROM(100d)에 기억시킨다.
도 8에 있어서, 곡립이 날개판(23b)에 의해 곡립 탱크(4)에 투입되고 있는 경우, P/4∼3P/4 사이에 투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곡립의 충돌에 의한 검출값이 입력된다. 0∼P/4 및 3P/4∼P 사이에 투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입력된 검출값은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검출값이다.
도 8A에 있어서, 역치(α)는 투구 센서(300)의 온도특성, 날개판(23b)에 의한 풍압 및 기체(9)의 경사 등의 외란에 의해 투구 센서(300)에서 검출되는 검출값에 상당한다. 곡립이 날개판(23b)에 의해 곡립 탱크(4)에 투입되어 있지 않는 경우, 이상적으로는 P/4∼3P/4 사이에 투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곡립의 충돌에 의한 검출값은 입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는 투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외란(예를 들면 날개판(23b)에 의한 풍압)에 의한 검출값(역치(α))이 입력된다.
CPU(100a)는 P/4∼3P/4 사이에 투구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검출값과 역치(α)를 비교한다. 상기 검출값에 역치(α)를 초과하는 값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CPU(100a)는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적산해야 할 대상으로 결정한다(도 8A의 주기(P1, P2 및 P5)에 있어서의 파선 해칭 부분의 면적). 적산해야 할 값은 투구 센서(300)에의 곡립의 충돌에 의한 임펄스에 상당한다.
검출값에 역치(α)를 초과하는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CPU(100a)는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적산해야 할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킨다(도 8A에 있어서, 주기(P3 및 P4)부분).
한편, 0∼P/4 및 3P/4∼P 사이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 값(도 8A의 실선 해칭 부분의 면적)은 정상편차에 상당한다. 상기 정상편차는 엔진(40)의 진동, 요철이 있는 포장의 주행중에 투구 센서(300)에 전파한 진동 및 투구 센서(300)의 특성 등에 기인한다.
CPU(100a)는 소정의 주기(예를 들면 1[s])로 0∼P/4 및 3P/4∼P 사이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 값에 필요한 처리를 행하고,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보정 변수(X)에 격납한다.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타임 스탬프를 참조하고, P/4∼3P/4 사이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다. 그리고 적산한 값에 포함되는 정상편차를 보정 변수(X)에 격납된 값을 사용해서 제거한다. 예를 들면 적산한 값으로부터 보정 변수(X)에 격납된 값을 감산한다.
CPU(100a)는 정상편차를 제거한 보정값(D)을 RAM(100c)에 기억시킨다. 그리고 보정값(D)에 계수(β)를 적용해서 곡립 탱크(4)에 저류한 곡립량을 구한다.
또한, 안내면(141a)측(제 1 영역)에 투구 센서(300)를 배치한 경우, 주기(P)의 전체 기간에 걸쳐서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므로 정상편차를 제거할 수 없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4)내의 제 1 영역에는 광폭으로 연속한 띠형상의 곡립군이 투입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영역에 투구 센서(300)를 배치했을 경우, 주기(P) 동안 계속해서 투구 센서(300)에 곡립이 충돌한다. 바꾸어 말하면,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을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충돌한다.
0∼P/4 및 3P/4∼P 사이의 검출값을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보정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충돌하고 있지 않다라고 간주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연속적으로 충돌하고 있어 0∼P/4 및 3P/4∼P 사이의 검출값을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보정에 사용할 수는 없다.
다음에 CPU(100a)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CPU(100a)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예취 스위치(80)가 온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S1), 예취 스위치(80)가 온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NO). 예취 스위치(80)가 온인 경우(스텝S1:YES), CPU(100a)는 엔진 회전수 센서(40a)로부터 신호를 취득한다(스텝S2). 그리고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LUT(100h)를 참조하고(스텝S3), 엔진 회전수 센서(40a)로부터 취득한 신호가 나타내는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계수{β(β1∼β6)}를 결정한다(스텝S4).
그리고 CPU(100a)는 픽업 센서(51) 및 투구 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스텝S5), P/4∼3P/4 사이의 임펄스를 적산한다(스텝S6). 이 때,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타임 스탬프를 참조하고, P/4∼3P/4 사이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다. 또한 투구 센서(300)로부터 제어부(100)에는 검출값이 일정 샘플링 주기로 순차 입력되고 있고, CPU(100a)는 타임 스탬프를 참조함으로써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CPU(100a)는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에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7).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스텝S7:NO), CPU(100a)는 스텝S12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이 포함될 경우(스텝S7:YES),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보정 변수(X)를 참조하고(스텝S8), 산출한 임펄스를 보정 변수(X)로 보정해서(스텝S9), 보정값(D)을 구한다. 예를 들면 CPU(100a)는 산출한 임펄스로부터 보정 변수(X)에 격납된 값을 감산한다. 또한 감산은 보정의 일례이며, 보정 변수(X)에 격납된 값에 의거해서 승산 또는 제산해도 좋다.
그리고 CPU(100a)는 보정값(D)에 계수(β)를 적용한다(스텝S10). 예를 들면 보정값(D)에 계수(β)를 승산하거나 또는 가산한다. 또한 계수(β)의 승산 또는 가산은 계수(β)의 적용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CPU(100a)는 계수(β) 적용후의 보정값(D)을 적산한다(스텝S11). 또한 스텝S11에 있어서의 적산값이 곡립 탱크(4)에 저류한 곡립량에 상당한다. 그리고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예취 스위치(80)가 오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2). 예취 스위치(80)가 오프가 아닌 경우(스텝S12:NO), 즉, 예취 스위치(80)가 온인 경우, CPU(100a)는 스텝S2로 처리를 되돌린다. 예취 스위치(80)가 오프인 경우(스텝S12:YES), CPU(100a)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곡립량 연산 처리는 주기(P) 이내에 실행되는 리얼타임 처리로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CPU(100a)는 스텝S10 후에 예취 스위치(80)가 오프가 된 후, 급동(11)에서 처리된 곡립이 곡립 탱크(4)로 반출될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고, 곡립량 연산 처리를 종료해도 좋다. 또 스텝S7의 판정은 스텝S5의 다음으로 실행해도 좋다.
다음에 CPU(100a)에 의한 보정값 산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CPU(100a)에 의한 보정값 산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예취 스위치(80)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21), 예취 스위치(80)가 온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21:NO). 예취 스위치(80)가 온일 경우(스텝S21:YES), 픽업 센서(51) 및 투구 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스텝S22), 0∼P/4 및 3P/4∼P 사이에 있어서의 임펄스를 적산한다(스텝S23). 이 때,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타임 스탬프를 참조하고, 0∼P/4 및 3P/4∼P 사이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다. 또한 투구 센서(300)로부터 제어부(100)에는 검출값이 일정 샘플링 주기로 순차 입력되고 있고, CPU(100a)는 타임 스탬프를 참조함으로써 0∼P/4 및 3P/4∼P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CPU(100a)는 적산한 값으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24). 예를 들면, 변동률을 고려한 계수를 승산하거나 또는 상기 조작 스위치(82)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미리 EEPROM(100d)으로 설정한 소정의 함수를 적용한다. 다음에 CPU(100a)는 처리를 실시한 값을 보정 변수(X)에 격납한다(스텝S25).
그리고 CPU(100a)는 내장되는 타이머로 경시를 개시하고,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s]가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26:NO).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스텝S26:YES),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예취 스위치(80)가 오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7). 예취 스위치(80)가 온인 경우(스텝S27:NO), CPU(100a)는 타이머를 리셋하고(스텝S28), 스텝S22로 처리를 되돌린다. 예취 스위치(80)가 오프인 경우(스텝S27:YES), CPU(100a)는 처리를 종료한다.
CPU(100a)는 압박식 스위치(4c)가 저류한 곡립에 압박되었을 경우, 즉 압박식 스위치(4c)가 온이 된 경우에 경보처리를 실행한다. 도 11은 CPU(100a)에 의한 경보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또한 경보처리는 인터럽트 처리로서 실행된다.
CPU(100a)는 압박식 스위치(4c)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압박식 스위치(4c)가 온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31:NO). 압박식 스위치(4c)가 온인 경우(스텝S31:YES), 경고 램프(84)에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32).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로 경시를 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33:NO). 소정 시간 경과후(스텝S33:YES),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 및 탈곡 스위치(85)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탈곡 클러치(44)가 절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4). 예취 스위치(80) 및 탈곡 스위치(85)로부터 오프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는 탈곡 클러치(44)는 절단되어 있고, 예취 스위치(80) 또는 탈곡 스위치(85)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는 탈곡 클러치(44)는 계합되어 있다.
탈곡 클러치(44)가 절단되어 있는 경우(스텝S34:YES), 즉 예취 스위치(80) 및 탈곡 스위치(85)가 오프인 경우, CPU(100a)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유저는 경고 램프(84)의 점등에 의해 곡립 탱크(4)가 가득찬 것을 알아차려 예취 스위치(80) 및 탈곡 스위치(85)를 오프 조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탈곡 클러치(44)가 계합되어 있는 경우(스텝S34:NO), CPU(100a)는 탈곡 클러치(44) 및 예취 클러치(46)에 절단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35). 또한 스텝S35를 실행하기 전에 탈곡 클러치(44) 및 예취 클러치(46)를 강제적으로 절단하는 것을 표시시키는 신호를 표시부(83)에 출력해도 좋다. 또한 스텝S32에 있어서 부저로부터 경보음을 발해도 좋고, 표시부(83)에 곡립 탱크(4)가 가득차 있다라는 바를 표시시켜도 좋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투구 센서(300)에서 검출된 충격력을 미리 설정한 역치(α)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에 의거해서 충격력을 산출 대상에 포함시키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충격력이 역치(α)보다 작은 경우, 산출해야 할 대상으로부터 제거한다. 그 때문에, 특히 소량의 곡립이 반송되고 있는 경우(예를 들면 저속으로 예취작업을 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수급 모드인 경우)에 있어서 곡립량의 산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곡립의 반송량이 적은 경우, 곡립의 반송량이 많은 경우에 비해서 산출된 곡립량에 대한 외란의 영향이 커진다.
또 투구 센서(300)는 날개판(23b)에 대향하고 있으며, 날개판(23b)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은 투구 센서(300)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날개판(23b)에 의한 풍압 등의 외란이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에 영향을 주어도 외란에 의한 값을 제거하도록 설계하는 한, 투구 센서(300)를 날개판(23b)에 대향하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사양에 따른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 기간 P/4∼3P/4의 임의의 시점에 검출된 충격력이 역치(α)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 기간 P/4∼3P/4에 검출된 충격력 전체를 적산 대상에 포함시킨다. 이것에 의해, 곡립의 충돌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을 적산 대상에 빠짐없이 포함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간 P/4∼3P/4에 있어서의 외란의 제거 및 누설이 없는 검출을 양립시킬 수 있고,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0∼P/4 및 3P/4∼P 사이에 검출된 충격력은 진동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정상편차이며, 이것을 적산 결과로부터 제외시킴으로써 곡립량의 검출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2는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2A는 시간과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은 곡립의 충돌에 의한 변형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소정의 샘플링수에 있어서의 이동 평균값이다. 도 12B는 시간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날개판(23b)의 1회전에 있어서의 회전 개시 시점 및 회전 종료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CPU(100a)는 P/4∼3P/4 사이에 투구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검출값과 역치(α)를 비교한다. CPU(100a)는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에 있어서,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을 적산해야 할 대상으로 결정한다(도 12A의 주기(P1, P2 및 P5)에 있어서의 파선 해칭 부분의 면적). 적산해야 할 값은 투구 센서(300)에의 곡립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에 상당한다. CPU(100a)는 역치(α)를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검출값을 적산해야 할 대상으로부터 제외시킨다.
다음에 CPU(100a)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CPU(100a)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예취 스위치(80)가 온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41), 예취 스위치(80)가 온이 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41:NO). 예취 스위치(80)가 온인 경우(스텝S41:YES), CPU(100a)는 엔진 회전수 센서(40a)로부터 신호를 취득한다(스텝S42). 그리고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LUT(100h)를 참조하고(스텝S43), 엔진 회전수 센서(40a)로부터 취득한 신호가 나타내는 엔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계수{β(β1∼β6)}를 결정한다(스텝S44).
그리고 CPU(100a)는 픽업 센서(51) 및 투구 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스텝S45), P/4∼3P/4 사이의 임펄스를 적산한다(스텝S46). 이 때,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타임 스탬프를 참조하고, P/4∼3P/4 사이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적산한다. 또한, 투구 센서(300)로부터 제어부(100)에는 검출값이 일정 샘플링 주기로 순차 입력되고 있고, CPU(100a)는 타임 스탬프를 참조함으로써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CPU(100a)는 P/4∼3P/4 사이에 입력된 검출값에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이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47).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스텝S47:NO), CPU(100a)는 스텝S53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이 포함될 경우(스텝S47:YES), CPU(100a)는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에 관련된 임펄스를 추출한다(스텝S48). 다음에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해서 보정 변수(X)를 참조하고(스텝S49), 추출한 임펄스를 보정 변수(X)로 보정하고(스텝S50), 보정값(D)을 구한다. 예를 들면 CPU(100a)는 추출한 임펄스로부터 보정 변수(X)에 격납된 값을 감산한다. 또한, 감산은 보정의 일례이며, 보정 변수(X)에 격납된 값에 의거해서 승산 또는 제산해도 좋다.
그리고 CPU(100a)는 보정값(D)에 계수(β)를 적용한다(스텝S51). 예를 들면 보정값(D)에 계수(β)를 승산하거나 또는 가산한다. 또한 계수(β)의 승산 또는 가산은 계수(β)의 적용의 예시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CPU(100a)는 계수(β) 적용후의 보정값(D)을 적산한다(스텝S52). 또한 스텝S52에 있어서의 적산값이 곡립 탱크(4)에 저류한 곡립량에 상당한다. 그리고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예취 스위치(80)가 오프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3). 예취 스위치(80)가 오프가 아닌 경우(스텝S53:NO), 즉, 예취 스위치(80)가 온인 경우, CPU(100a)는 스텝S42로 처리를 되돌린다. 예취 스위치(80)가 오프인 경우(스텝S53:YES), CPU(100a)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곡립량 연산 처리는 주기(P) 이내에 실행되는 리얼타임 처리로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CPU(100a)는 스텝S52 후에 예취 스위치(80)가 오프가 된 후, 급동(11)에서 처리된 곡립이 곡립 탱크(4)로 반출될 때까지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고, 곡립량 연산 처리를 종료해도 좋다. 또 스텝S47 및 S48의 처리는 스텝S45의 다음에 실행해도 좋다. 이 경우, 투구 센서(300)로부터 입력된 검출값과 역치(α)를 비교해서 역치(α)를 초과한 검출값을 추출하고, 임펄스를 구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기간 P/4∼3P/4 사이에 있어서 역치(α)보다 크다고 판정한 충격력만을 적산한다. 이것에 의해, 기간 P/4∼3P/4에 있어서의 충격력으로부터 외란의 영향을 정밀도 좋고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실시형태 2에 의한 구성 중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14는 투구 센서(300)를 대략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14A는 적정한 위치에서의 투구 센서(300)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B는 적정한 위치로부터 편의한 위치에서의 투구 센서(300)를 나타내고 있다.
투구 센서(300)는 변형 게이지 및 회로 기판 등을 구비하는 센서 본체(301)(고정부)를 구비한다. 센서 본체(301)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에 변형 게이지 및 회로 기판 등을 수용한다. 센서 본체(301)의 하우징 배면을 복수의 나사(311)에 의해 지지 부재(310)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센서 본체(301)는 충돌한 곡립의 충격값을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변형 게이지 대신에 압전소자를 구비해도 좋다.
센서 본체(301)의 정면에 강판(30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판(302)에는 곡립이 충돌하는 충돌판(303)이 설치되어 있다. 투구 센서(300)는 충돌판(303)이 투구(4b)측을 향하고 있다.
충돌판(303)은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강판(302)은 충돌판(303)보다 고경도이며,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그 밖의 금속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염화 비닐 등의 수지에 의해 구성해도 좋다. 충돌판(303)을 탄성부재로 구성함으로써 곡립의 충돌에 대한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또 충돌시에 있어서의 곡립의 손상을 방지한다.
충돌판(303)에는 나사(304)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관통한 복수의 수용 구멍(303a)이 형성되어 있다. 강판(302)에는 수용 구멍(303a)에 대응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302a)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302a)은 수용 구멍(303a)보다 소경이다. 나사(304)의 나사 부분의 지름은 수용 구멍(303a)의 지름보다 약간 작다. 나사(304)의 머리부의 지름은 관통 구멍(302a)의 지름보다 크고, 수용 구멍(303a)보다 작다.
복수의 나사(304)는 수용 구멍(303a) 및 관통 구멍(302a)에 삽입되고, 센서 본체(301)의 하우징 정면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나사(304)의 머리부는 관통 구멍(302a)의 둘레가장자리 부분에 록킹되어 있다. 나사(304)의 머리부 및 센서 본체(301) 사이에서 강판(302)이 협지되어 있다. 강판(302)은 금속제이며, 탄성부재에 의해 구성된 충돌판(303)에 나사를 록킹하는 경우에 비해 투구 센서(300)의 안정성은 향상된다.
엔진의 진동 및 포장의 주행에 의한 진동이 장기간 투구 센서(300)에 전파된 경우, 투구 센서(300)에 요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나사(304,311)가 풀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판(303)이 하향으로 경사진다. 충돌판(303)에 곡립이 충돌하는 시점은 도 14A에 나타내는 자세에 의거한 당초의 설정 시점으로부터 편의된다. 도 14B의 경우로 말하면, 당초의 설정 시점보다 빠른 시점에서 곡립은 충돌판(303)에 충돌한다. 또한 세팅 당초의 투구 센서(300)의 위치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편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충돌판(303)에 곡립이 충돌하는 시점은 본래의 충돌 시점으로부터 편의된다.
도 15는 제어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버스(100g)에 의해 서로 접속된 CPU(100a), ROM(100b), RAM(100c) 및 EEPROM(100d)을 구비하고 있다.
EEPROM(100d)에는 LUT(100h)가 격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UT(100h)에는 엔진의 회전수 및 계수(β)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다(도 7 참조). 또 EEPROM(100d)에는 보정 변수(X) 및 역치(α)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해 고지 램프(86)에 점등 또는 소등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에 있어서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 또는 2에 기재된 콤바인과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PU(10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구 센서(300)의 출력 신호에 관련되는 검출값을 적산하고, 역치(α)와 비교해서 적산 대상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도 8 참조).
투구 센서(300)를 제 2 영역에 배치한 경우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보정을 실행할 수 있다. 투구 센서(300)를 제 1 영역에 배치한 경우,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보정을 실행할 수 없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도 16은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6A는 시간과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은 곡립의 충돌에 의한 변형량을 나타내고 있고, 소정의 샘플링수에 있어서의 이동 평균값이다.
도 16A의 실선의 파형이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나타낸다. 파선의 파형은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나타낸다. 도 16B는 시간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날개판(23b)의 1회전에 있어서의 회전 개시 시점 및 회전 종료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6의 주기(P)의 첨자는 적당히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4)내의 제 1 영역에는 광폭으로 연속된 띠형상의 곡립군이 투입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영역에 투구 센서(300)를 배치한 경우, 주기(P) 동안 계속해서 투구 센서(300)에 곡립이 충돌한다. 바꾸어 말하면,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을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충돌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4)에 곡립이 투입되고 있는 각 주기(P1,P2,P5)에 있어서 0∼P/4 및 3P/4∼P 사이의 검출값은 2점 쇄선으로 쇄선으로 나타낸 검출값(제 2 영역에 위치하는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보다 크다. 이것은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을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충돌했기 때문이다.
0∼P/4 및 3P/4∼P 사이의 검출값을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보정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충돌하고 있지 않다고 간주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0∼P/4 및 3P/4∼P 사이에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연속적으로 충돌하고 있고, 0∼P/4 및 3P/4∼P 사이의 검출값을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보정에 사용할 수는 없다.
또 투구 센서(300)의 위치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편의되어 있는 경우, 곡립량을 정밀도 좋게 연산하는 것은 어렵다. 이하 그 이유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판(303)이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도 14A에 나타내는 자세에 의거한 당초의 설정 시점보다 빠른 시점에서 곡립은 충돌판(303)에 충돌한다.
도 17은 충돌판(303)이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의 일례이다. 도 17A는 시간과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A의 실선이 충돌판(303)이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나타낸다. 파선의 파형은 투구 센서(300)가 적정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을 나타낸다. 또한, 도 17A에 있어서의 2개의 2점 쇄선은 피크값이 올 시점(P/2)으로부터 ΔT/2 늦은 시점 및 Δ/2 진행된 시점을 나타내고, 2점 쇄선간은 시간(ΔT)에 상당한다. 또한 ΔT/2의 크기는 P/4보다 작다.
도 17B는 시간과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픽업 센서(51)의 검출값은 날개판(23b)의 1회전에 있어서의 회전 개시 시점 및 회전 종료 시점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7의 주기(P)의 첨자는 적당히 생략한다.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판(303)이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에 피크값은 P/2보다 빠른 시점, 예를 들면 P/4에 있어서 검출된다. 이 경우, 0∼P/4 사이에 있어서도 투구 센서(300)로부터 CPU(100a)에 곡립의 충돌에 의한 검출값이 입력되어 있다라고 생각되며, 이 동안의 검출값을 적산 대상으로 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당초의 설정에서는 0∼P/4 및 3P/4∼P 사이의 검출값은 정상편차에 상당한다고 간주되며 적산 대상으로는 되지 않는다.
또한 0∼P/4 사이의 검출값은 곡립의 충돌에 의한 검출값임에도 불구하고 정상편차로 간주된다. 그 때문에 P/4∼3P/4 사이의 검출값(적산 대상)으로부터 정상편차가 아닌 값도 제거한다. 그 결과, 곡립량을 정밀도 좋게 연산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다음에 CPU(100a)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CPU(100a)에 의한 곡립량 연산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CPU(100a)는 스텝S61∼스텝S65를 실행한 후, 후술하는 피크값 특정 처리를 실행하고(스텝S66), 스텝S67∼스텝S73을 실행한다.
또한 스텝S61∼스텝S65, 스텝S67∼스텝S73의 처리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곡립량 연산 처리(스텝S1∼스텝S13)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CPU(100a)는 상술한 보정값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도 10 참조).
다음에 CPU(100a)에 의한 피크값 특정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CPU(100a)에 의한 피크값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챠트이다. CPU(100a)는 상술한 스텝S65의 처리를 실행한 후, 피크값 특정 처리를 실행한다(도 18, 스텝S66 참조).
CPU(100a)는 픽업 센서(51) 및 투구 센서(300)로부터 신호를 취득하고, 0∼P 사이에 있어서의 피크값을 검출한 시점을 타이머를 참조해서 검출한다(스텝S661). 다음에, CPU(100a)는 피크값이 와야 할 목표시점(예를 들면 P/2의 시점)과 검출시점의 차분의 크기가 ΔT/2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662).
목표시점 및 검출시점의 차분의 크기가 ΔT/2이하인 경우(스텝S662:YES), CPU(100a)는 처리를 스텝S67로 진행시킨다(도 18, 스텝S67 참조). 이 때 피크값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대(P/2를 기준으로 해서 ±ΔT/2의 시간대)에 존재하고, 피크값의 검출시점은 목표시점으로부터 크게 편의되어 있지 않다라고 생각된다.
목표시점 및 검출시점의 차분의 크기가 ΔT/2이하가 아닌 경우(스텝S662:NO), CPU(100a)는 고지 램프(86)에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663). 이 때 피크값은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대에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돌판(303)이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등의 이유에 의해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목표시점으로부터 크게 편의되어 있다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CPU(100a)는 고지 램프(86)에 점등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663). 고지 램프(86)의 점등에 의해 유저는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목표시점으로부터 크게 편의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CPU(100a)는 산출 대상 기간(투구 센서(300)에 곡립이 충돌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기간, 바꾸어 말하면 P/4∼3P/4 사이)을 변경한다(스텝S664). 구체적으로는 산출 대상 기간의 개시시점을 검출시점 및 목표시점의 차분의 크기만큼 지연시키거나 또는 빠르게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상기 차분이 K인 경우, P/4±K를 개시시점으로 하고, 3P/4±K를 종료시점으로 한다.
다음에 CPU(100a)는 표시부(83)에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한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665). 예를 들면 「곡립량의 변경 처리를 행했습니다」라고 표시부(83)에 표시한다. 이 표시에 의해 산출 대상 기간이 변경된 것을 유저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CPU(100a)는 처리를 스텝S67로 되돌아간다.
또한 피크값 특정 처리에 있어서 스텝S664 및 스텝S665를 생략하고, 그 후의 곡립량의 연산을 정지해도 좋다. 이 경우, 표시부(83)에 「투구 센서의 위치가 벗어나 있지 않습니까?」 또는 「곡립량의 연산을 정지하고 있습니다」등의 경고를 표시하고, 서비스맨에 의한 투구 센서(300)의 수리를 재촉해도 좋다.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충격력의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의 전후에 있어서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접촉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피크값이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대(P/2를 기준으로 해서 ±ΔT/2의 시간대)로부터 일탈한 경우, 곡립 탱크(4)에 저류한 곡립량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없다. 그 때문에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한 경우에 그러한 바를 유저에게 고지한다. 이것에 의해, 서비스맨에 의한 투구 센서(300)의 수리·위치 조정 등을 행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할 수 있다.
또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한 경우에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하고, 변경후의 산출 대상 기간에 투구 센서(300)에서 검출된 충격력에 의거해서 곡립량을 산출한다. 이것에 의해 곡립량의 산출을 계속할 수 있다.
또 산출 대상 기간의 변경이 행해져 있는 경우에 고지 램프(86)의 점등 또는 표시부(83)에 있어서의 표시에 의해 그러한 바를 유저에게 고지하고, 예취 종료후에 서비스맨에 의한 검출 수단의 수리·위치 조정 등을 행하도록 재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투구 센서(300)에 의한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피크값이 검출되어야 할 시점으로부터 진행되거나 또는 지연되는 요인으로서 투구 센서(300)의 위치가 적정한 위치로부터 편의되어 있는 경우를 채택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날개판(23b)이 변형된 경우도 상기 요인으로서 들 수 있다.
도 20은 변형된 날개판(23b)을 대략 나타내는 확대 평면 단면도이다. 날개판(23b)은 경년 열화에 의해 변형될 경우가 있고, 또 흙 등의 이물을 도입한 경우에 도입한 이물에 의해 과대한 힘이 날개판(23b)에 작용하여 날개판(23b)이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판(23b)이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만곡한 경우, 곡립이 곡립 탱크(4)에 투입되는 타이밍은 날개판(23b)이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느리다. 또한 날개판(23b)이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만곡된 경우, 곡립이 곡립 탱크(4)에 투입되는 타이밍은 날개판(23b)이 만곡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 빨라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피크값 특정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피크값을 검출하는 시점의 지연 또는 진행을 검출하고, 유저에게 고지하거나 또는 지연 또는 진행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83)에 「날개판이 변형되어 있지 않습니까?」라는 경고를 표시하고, 서비스맨에 의한 날개판(23b)의 수리를 촉구해도 좋다.
실시형태 3에 의한 구성 중 실시형태 1 또는 2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3은 날개판(23b)의 회전 주기(1주기)마다 투구 센서(300)에서 검출된 검출값을 사용해서 적산을 행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있지만, 복수 주기(예를 들면 2 또는 3주기)의 검출값을 EEPROM(100d)에 기억하고, 복수 주기를 1단위로 해서 상기 결정을 실행해도 좋다.
(실시형태 4)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4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실시형태 4에 의한 콤바인은 스크류 컨베이어 대신에 버킷식 승강기(144)를 곡립의 반송에 사용한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 1∼3과 같은 구성이다. 도 21은 버킷식 승강기(144) 및 곡립 탱크(4)를 확대해서 대략 나타내는 내부 측면 구성도이다. 도 21에 있어서, 파선 화살표는 곡립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환형은 곡립을 나타낸다.
버킷식 승강기(144)는 뒤판(500)과 앞판(501), 좌우 측판(502) 및 천면판(144a)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천면판(144a)에 대향하는 앞판(501)은 비안내면이 된다.
버킷식 승강기(144)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축심이 좌우 방향의 스프로킷(503,504)이 각각 설치되고, 이 스프로킷(503과 504)에 무단상의 체인(505)이 권취된다. 이 체인(505)에는 적당히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측 개방 측면시 대략 U글자형 등의 버킷(506)이 부착된다.
구동력이 버킷식 승강기(144)의 하부에 갖는 스프로킷(504)에 전달되고, 이 스프로킷(504)의 회전과 함께 체인(505)이 구동하고, 버킷식 승강기(144)의 상부에 갖는 스프로킷(503)이 회전한다. 버킷식 승강기(144)의 하부에 구비된 곡립 공급구(도시 생략)와 버킷식 승강기(144)의 상부에 구비된 곡립 배출구(507) 사이를 체인(505)을 따라 버킷(506)이 상하로 주회된다.
투구 센서(300)는 곡립 탱크(4)내에 있어서 천면판(144a)과 곡립 배출구(50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투구 센서(300)는 천면판(144a)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곡립 탱크(4)내에서 곡립 배출구(507)의 근방에 곡립을 튕겨 날리는 레벨링 디스크(150)가 설치되어 있다. 레벨링 디스크(150)는 지지 부재(154)를 통해 곡립 탱크(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154)에는 상하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회전 가능한 회전축(153)이 기립 설치되어 있다. 레벨링 디스크(150)는 상하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한 디스크부(151)와, 상기 디스크부(151)의 상면에 기립 설치되고, 회전 중심의 주위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날개판(152,152,…152)을 구비한다. 회전축(153)은 디스크부(151)의 중심부에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154)의 하측에 모터(15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155)의 출력축은 회전축(153)에 연결되어 있다.
버킷(506)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은 곡립 배출구(507)를 통해 레벨링 디스크(150)에 이른다. 모터(155)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부(151)는 회전하고, 날개판(152)은 곡립을 튕겨 날려서 곡립 탱크(4)내에 평균적으로 퇴적시킨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면판(144a) 부근의 파선 화살표 및 원형으로 나타내듯이 압출된 곡립의 대부분은 천면판(144a)을 따라 이동하고, 곡립 탱크(4)내에 연속한 상태로 투입된다. 도 21에 있어서, 스프로킷(503) 부근의 파선 화살표 및 원형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머지 곡립은 곡립 탱크(4)내에 이산해서 투입된다. 투구 센서(300)에는 이산한 곡립이 순간적으로 충돌한다.
천면판(144a)으로부터 투구 센서(300)를 이격시킴으로써 소량의 곡립이 투구 센서(300)에 충돌하고, 곡립은 곡립 탱크(4)내에 평균적으로 퇴적한다.
또 스프로킷(503)을 지지하는 지지판(도시 생략)에는 픽업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픽업 센서에 의해 버킷(506)이 스프로킷(503)의 주위를 회전하는 주기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 센서 및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에 의거해서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곡립량의 연산 및 피크값의 검출 등을 행한다.
또한 투구 센서(300)는 곡립 탱크(4)내에 설치해도 좋다. 도 22는 버킷식 승강기(144) 및 투구 센서(300)를 내부에 갖는 곡립 탱크(4)를 확대해서 대략 나타내는 내부 측면 구성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구 센서(300)는 곡립 탱크(4)의 천면부로부터 수하된 지지부(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디스크부(151)의 주위에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의 측면(141)과 마찬가지로 곡립을 안내하는 안내면(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4)내에 있어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이 존재한다. 투구 센서(300)는 제 2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픽업 센서 및 투구 센서(300)의 검출값에 의거해서 실시형태 3과 같이 곡립량의 연산 및 피크값의 검출 등을 행한다.
실시형태 3 및 4에 의한 발명에 있어서는 곡립의 곡립 탱크(4)로의 투입을 1번 스크류 컨베이어(23)의 선단에 설치한 날개판(23b), 디스크부(151) 상에 설치한 날개판(152) 또는 회전식의 버킷(156)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어도 피크값의 검출시점이 소정 시간대로부터 일탈한 것을 유저에게 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4에 의한 구성 중 실시형태 1∼3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한 설명을 생략한다.
2: 탈곡 장치
4: 곡립 탱크(저류부)
4c: 압박식 스위치
11: 급동
23: 1번 스크류 컨베이어(반송 수단, 스크류 컨베이어, 투입부, 회전축)
23b: 날개판
40: 엔진
44: 탈곡 클러치
51: 픽업 센서(회전수 검출 수단)
83: 표시부(고지 수단, 변경 고지 수단)
86: 고지 램프(고지 수단)
100: 제어부(산출 수단, 특정 수단)
100a: CPU
100b: ROM
100c: RAM
100d: EEPROM
100h: LUT
144: 버킷식 승강기
150: 레벨링 디스크(투입부)
152: 날개판
153: 회전축
300: 투구 센서(검출 수단)
503, 504: 스프로킷
506: 버킷

Claims (10)

  1.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반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반송된 곡립에 의한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한 충격력에 기초해서 곡립량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단부에 있어서의 축부분에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투입하는 날개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검출 수단을 상기 날개판에 대향시켜서 배치하고 있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에 검출된 충격력을 적산하는 적산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충격력이 미리 설정한 역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해서, 검출된 충격력을 상기 산출 수단에서의 산출에 사용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적산한 적산값에 기초해서 곡립량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수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의 회전 주기를 구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날개판으로부터 투입된 곡립이 상기 검출 수단에 충돌해야 할 기간은 1회전 주기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간에서 상기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큰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된 충격력을 상기 적산 수단에서의 적산에 사용하는 결정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간에서 상기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큰지의 여부를을 판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기간의 임의의 시점에 검출된 충격력이 상기 역치보다 크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기간 내에 검출된 충격력을 상기 적산 수단에서의 적산에 사용하는 결정을 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기간 외에 검출된 상기 검출 수단의 충격력에 기초해서 상기 적산 수단의 적산 결과에 포함되는 정상편차를 제거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은 곡립을 상기 저류부로 투입하는 회전식의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의 회전 주기를 검출하는 회전 주기 검출 수단과,
    상기 회전 주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1회전 주기 동안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충격력의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을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이 1회전 주기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대 외인 경우에 상기 시점이 소정 시간대 외인 것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1회전 주기에 있어서의 미리 정한 산출 대상 기간에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값에 기초해서 곡립량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피크값이 검출된 시점이 소정 시간대 외인 경우에 상기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 수단이 상기 산출 대상 기간을 변경한 경우에 상기 산출 대상 기간의 변경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고지하는 변경 고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날개판 또는 스프로킷의 둘레를 회전하는 버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삭제
  10. 삭제
KR1020147002271A 2011-07-20 2012-07-20 콤바인 KR1016143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9408 2011-07-20
JPJP-P-2011-159408 2011-07-20
JP2011172302A JP5856777B2 (ja) 2011-07-20 2011-08-05 コンバイン
JPJP-P-2011-172302 2011-08-05
JP2012158024A JP5893526B2 (ja) 2012-07-13 2012-07-13 コンバイン
JPJP-P-2012-158024 2012-07-13
PCT/JP2012/068510 WO2013012080A1 (ja) 2011-07-20 2012-07-2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454A KR20140043454A (ko) 2014-04-09
KR101614343B1 true KR101614343B1 (ko) 2016-04-21

Family

ID=5057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271A KR101614343B1 (ko) 2011-07-20 2012-07-20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4343B1 (ko)
CN (1) CN1037813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6833B2 (ja) * 2015-10-20 2019-08-28 ヤンマー株式会社 マッピングシステム、マッピング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339A (ja) 2001-09-06 2003-03-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収穫量の測定装置
JP2005024381A (ja) * 2003-07-02 2005-01-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穀物検出装置
JP2005130776A (ja) 2003-10-30 2005-05-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穀粒の搬送装置における流量検出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6123A (ja) * 1984-03-19 1985-10-04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
CN101248721B (zh) * 2008-03-14 2011-06-01 江苏大学 联合收割机的谷物流量测量装置及测产方法
JP5512372B2 (ja) * 2010-04-22 2014-06-0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339A (ja) 2001-09-06 2003-03-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収穫量の測定装置
JP2005024381A (ja) * 2003-07-02 2005-01-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穀物検出装置
JP2005130776A (ja) 2003-10-30 2005-05-26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穀粒の搬送装置における流量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81345B (zh) 2015-11-25
CN103781345A (zh) 2014-05-07
KR20140043454A (ko)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6777B2 (ja) コンバイン
KR101614342B1 (ko) 콤바인
WO2013012080A1 (ja) コンバイン
JP6338434B2 (ja) コンバイン
KR101614343B1 (ko) 콤바인
JP6739026B2 (ja) コンバイン
KR101902671B1 (ko) 콤바인
CN110602944B (zh) 联合收割机
JP2021016343A (ja) コンバイン
JP6208538B2 (ja) コンバイン
JP7010743B2 (ja) コンバイン
JP5893526B2 (ja) コンバイン
JP6289405B2 (ja) コンバイン
JP2018011545A (ja) コンバイン
JP6279960B2 (ja) コンバイン
JP6279965B2 (ja) コンバイン
WO2013012073A1 (ja) コンバイン
JP6208537B2 (ja) コンバイン
WO2022124173A1 (ja) コンバイン、算定システム、算定方法、算定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0262530A1 (ja) 脱穀装置
JP5512373B2 (ja) コンバイン
JP7391005B2 (ja) コンバイン
JP7423438B2 (ja) 脱穀装置
JP7045308B2 (ja) 排出部診断システム
JP2015008700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