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243A - 화장판 - Google Patents

화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243A
KR20160138243A KR1020167030018A KR20167030018A KR20160138243A KR 20160138243 A KR20160138243 A KR 20160138243A KR 1020167030018 A KR1020167030018 A KR 1020167030018A KR 20167030018 A KR20167030018 A KR 20167030018A KR 20160138243 A KR20160138243 A KR 20160138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ist
layer
core layer
resin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071B1 (ko
Inventor
카즈야 시도
마사타카 마츠오카
토모야 오기노
Original Assignee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장판(7)은 섬유질 기재, 열가소성 수지 및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층(4)과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층(2)과 화장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층(1)을 구비하고, 코어층(4)이 포함하는 상기 열가소성수지의 량은 10∼100g/㎡이다.

Description

화장판 {DECORATIVE BOARD}
본 발명은 화장판에 관한 것이다.
본 국제출원은 2014년 3월 31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71573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71573호의 모든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참조로 원용한다.
종래 멜라민 화장판 등의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참조). 이 화장판은 주택기기, 내장재(예를 들면 천판, 카운터 등)등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2008-290444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 공개 2013-99939호 공보
종래의 화장판은 휨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휨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국면의 화장판은 섬유질 기재, 열가소성 수지 및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층과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混抄紙)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층과 화장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층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층이 포함하는 상기 열가소성수지의 량은 10∼100g/㎡이다. 본 발명의 화장판은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화장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화장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막대형 형광등의 광을 투사한 상태에서 실시예 1의 화장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막대형 형광등의 광을 투사한 상태에서 비교예 1의 화장판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1) 코어층
본 발명의 화장판은 코어층을 가진다. 코어층은 섬유질 기재, 열가소성 수지 및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한다.
섬유질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섬유 기재나 무기섬유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섬유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이들의 변성물,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무기섬유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섬유, 록울, 탄소섬유 등의 무기섬유로부터 이루어지는 부직포, 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섬유 기재의 평량은 10∼200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무기섬유 기재를 사용한 경우는 유기섬유 기재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화장판의 불연성이 한층 향상된다. 무기섬유 기재 중에서도 특히 유리섬유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는 내열성, 내염성 및 슬러리의 함침성이 한층 향상된다.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면 바인더로서 기능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아크릴 수지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특히 유리 전이온도(Tg)가 0도를 넘는 아크릴 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면 코어층의 밀착성이나 성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Tg가 0도를 넘는 아크릴 수지 에멀젼 중에서도 평균 입자 직경이 150∼300nm의 아크릴 수지 에멀젼을 사용하면 코어층의 결착력 및 화장판의 굽힘 가공성 및 평활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바람직하다.
화장판의 평활성이 향상되는 이유는, 아크릴 수지 에멀젼이 미립자이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한편,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광 회절·산란식 입자 직경 측정장치(오쓰카 전자 주식회사 제품 ELS-8000)를 사용하여, 레이저 조사시에 검출된 산란광에 따라 계산한 값이다.
코어층이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양(단위면적 코어층이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은 10∼100g/㎡이다. 100g/㎡ 이하인 것에 의해 화장판의 불연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100g/㎡ 이하인 것에 의해 화장판을 열압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가 스며 나오거나 하는 것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 코어층이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양이 10g/㎡ 이상인 것에 의해 코어층을 프리프레그로 제조하는 경우, 프리프레그끼리의 밀착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10g/㎡ 이상인 것에 의해 섬유질 기재에 슬러리를 함침시켜 코어층을 제조할 경우, 슬러리의 함침량을 한층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은 결정수를 포함하고 고온시에 분해하여, 물을 방출한다. 분해하고 물을 방출하는 반응은 흡열반응이기 때문에,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층은 연소시에 화장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화장판의 불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한 경우, 화장판의 불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한층 현저하다.
코어층이 포함하는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양(단위면적의 코어층이 포함하는 흡열성 수산화물의 중량)은 100∼300g/㎡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의해 코어층을 프리프레그로 제조할 경우 프리프레그끼리의 밀착성을 높이고 또 화장판의 불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면 1∼50μm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마이크로 트랙법)에 의해 검출된 입도 분포(체적분포)로부터 산출된 산술평균 직경이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슬러리내에서의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섬유질 기재에의 슬러리 함침성이 향상된다. 또 화장판 표면이 평활하게 마무리된다.
코어층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이외의 무기충전재,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등을 포함해도 된다. 무기충전재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산 아연 등의 탄산염, 실리카, 탈크, 플라이 애쉬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충전재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면 0.05∼20μm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평균 입자 직경이 이 범위 내의 경우 섬유질 기재에의 슬러리 함침 적성이 한층 향상된다. 한편, 무기충전재의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산란법(마이크로 트랙법)에 의해 검출된 입도 분포(체적분포)로부터 산출된 산술평균 직경이다.
무기충전재 중에서도 특히 탄산염(예를 들면 탄산 칼슘)이 바람직하다. 탄산 칼슘을 사용할 경우 화장판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 절삭성이 한층 향상된다. 탄산 칼슘으로서는 예를 들면 중질 탄산 칼슘, 경질 탄산 칼슘(침강성 탄산 칼슘)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산 칼슘의 평균 입자 직경은 예를 들면 0.05∼10μm,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μm로 할 수 있다. 탄산 칼슘의 평균 입자 직경을 0.05μm 이상으로 함으로써 슬러리내에 탄산 칼슘의 응집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섬유질 기재에의 슬러리 함침 적성이 향상된다. 또 탄산 칼슘의 평균 입자 직경을 10μm 이하로 함으로써 화장판의 표면이 한층 평활하게 되고 화장판의 외관이 향상된다.
한편 경질 탄산 칼슘이란 석회석을 소성하여 화학적으로 제조되는 탄산 칼슘을 의미하고, 중질 탄산 칼슘이란 백색 결정질 석회석을 건식 또는 습식 분쇄하여 만든 미분 탄산 칼슘을 의미한다.
코어층에 포함되는 전체 무기 충전재 중에서 차지하는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면 30∼100중량%로 할 수 있다. 30중량% 이상일 경우 화장판의 불연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100중량% 이하일 경우 화장판의 절삭성이 한층 향상된다.
코어층이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경우,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보다도 JIS K-6902 '열경화성 수지 고압 화장판 시험방법'의 내자비성(耐煮沸性)에 있어서 중량 증가율이 한층 작아지고 또 코어층과 중간층과의 밀착성이 한층 향상된다.
코어층이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의 양(단위면적의 코어층이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의 중량)은 1∼15g/㎡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상술한 실란 커플링제에 의한 효과가 한층 현저해진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3- (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 (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함유 실란,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비닐 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비닐기 함유 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p-스티릴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스티릴기 함유 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페닐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3-메르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메르캅토기 함유 실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에폭시기 함유 실란이나 아미노기 함유 실란을 사용하면 코어층에 있어서의 가교 밀도가 한층 향상된다.
난연제로서는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인·질소계 난연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특히, 인·질소계 난연제가 바람직하다. 인·질소계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와 질소계 난연제와의 기능을 겸비하는 화합물이다. 인·질소계 난연제는 1분자중에 인 원자와 질소 원자를 함께 가지며, 고온에 노출되면 인은 강한 탈수작용으로 산소를 차단하고, 질소는 암모니아 가스 등을 발생하고, 산소를 차단한다. 이 작용에 의해 인·질소계 난연제의 단열·난연효과는 높다. 따라서 인·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코어층은 불연 성능이 높다.
인·질소계 난연제의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 전체 인 함유 비율이 1∼50중량%, 전체 질소 함유 비율이 1∼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체 인 함유 비율이 1∼30중량%, 전체 질소 함유 비율이 5∼35중량%인 것이 한층 바람직하다.
전체 인 함유 비율 및 전체 질소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불연 성능이 한층 향상된다.
코어층이 포함하는 난연제의 양(단위면적의 코어층이 포함하는 난연제의 중량)은 1∼100g/㎡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난연제에 의한 효과가 한층 현저해진다.
코어층은 예를 들면 섬유질 기재에 열가소성 수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등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함침해서 프리프레그를 제조하고, 이와 같이 제조한 1매 이상(예를 들면 2매)의 프리프레그를 열압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사용하는 슬러리는 또한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등을 포함하여도 된다.
섬유질 기재에 슬러리를 함침해서 코어층을 제조할 경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함침율의 값이 500∼1200%의 범위 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수학식 1에 있어서 '함침 전의 중량'은 섬유질 기재의 중량을 의미한다. '함침 후의 중량'은 섬유질 기재에 슬러리를 함침하고 건조한 후의 중량을 의미한다. 함침율이 1200% 이하일 경우 프리프레그에서의 슬러리 고형분의 탈락을 억제하고, 프리프레그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함침율의 값이 500% 이상일 경우 프리프레그의 층간 박리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섬유질 기재에 슬러리를 함침해서 코어층을 제조할 경우, 슬러리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등의 배합 비율을 조정함으로써, 코어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등의 함유량을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러리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의 배합 비율은 고형분 환산으로 3∼17중량%로 할 수 있다. 또 슬러리에 있어서의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배합 비율은 20∼95중량%로 할 수 있다. 또 슬러리에 있어서의 실란 커플링제의 배합 비율은 고형분 환산으로 0.1∼10중량%로 할 수 있다. 또 슬러리에 있어서의 난연제의 배합 비율은 고형분 환산으로 0.1∼15중량%로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슬러리에 있어서의 배합 비율은 슬러리의 전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의 값이다.
(2) 중간층
중간층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混抄紙)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이 중간에 의해 코어층의 베이스가 화장판 표면에 드러나기 어려워지고, 화장판 표면의 평활성이 향상되고 화장판의 휨이 억제된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는 예를 들면 펄프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초지(抄紙)하고, 탈수 건조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펄프로서는 예를 들면 목재 펄프, 목면 펄프, 식물섬유 펄프 등의 천연 펄프를 들 수 있다. 특히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 등의 섬유장이 짧은 목재 펄프를 화학적으로 처리한 케미컬 펄프는 혼초지의 지력 강도 및 함침 적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와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는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는 표백, 미표백의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칼슘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수산화 알루미늄 및 수산화 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한 경우 화장판의 불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한층 현저하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과 펄프의 총량을 100중량%로 하였을 때의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비율(단위는 중량%)을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에 있어서의,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혼초 비율로 한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혼초(混抄) 비율은 40∼95중량%가 바람직하고, 55∼85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혼초 비율이 40중량% 이상이면 화장판의 불연 성능이 한층 높아지고, 95중량% 이하이면 혼초지의 지력이 한층 높아진다.
슬러리에는 펄프 및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에 더하여 예를 들면 응집 바인더, 약제, 유기섬유, 무기섬유, 정착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초지 공정에는 환망 초지기, 장망 다통형 초지기, 장망-원망 콤비네이션 초지기, 경사 초지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의 평량은 예를 들면 60∼200g/㎡로 할 수 있다. 혼초지의 평량이 이 범위 내일 경우 화장판의 평활성이 한층 향상되고, 화장판의 휨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는 자기 소화성을 가지고, 불꽃이 확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 강도 등의 여러 물성에서 우수한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가 바람직하다.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는 멜라민, 요소, 아세토구아나민, 벤조구아나민 등의 아미노 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와의 축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중간층은 예를 들면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에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함침하고 건조하는 것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열경화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함침하고 건조할 때의 함침율은 5∼1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 함침율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정의되는 값이다. 이 경우, 수학식 1에 있어서의 '함침 전의 중량'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의 중량을 의미하고, '함침 후의 중량'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에 수지액을 함침하고 건조한 후의 중량을 의미한다.
(3) 화장층
화장층은 화장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화장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용 30∼140g/㎡의 화장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 내마모성 등에서 우수한 아미노-포름알데히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내수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오염성에서 우수한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장층은 예를 들면 열경화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화장지에 함침하고 건조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지액을 화장지에 함침하고 건조할 때의 함침율은 30∼30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학식 1에 있어서의 '함침 전의 중량'은 화장지의 중량을 의미하고, '함침 후의 중량'은 수지액을 함침하고 건조한 후의 값을 의미한다.
(4) 기타
본 발명의 화장판은 예를 들면 코어층, 중간층, 화장층을 포함하는 각층을 평판 프레스, 연속 프레스 등의 프레스기로 열압 성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장판에 있어서의 적층 순서는 예를 들면 코어층, 중간층 및 화장층의 순번으로 할 수 있다. 코어층과 중간층과는 직접 접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의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여도 좋다. 또 중간층과 화장층은 직접 접하고 있어도 되고, 이들의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여도 좋다.
화장판은 그 한 면에 화장층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고, 양면에 화장층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화장판의 한 면에 화장층을 가지는 경우, 화장판은 밸런스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화장판은 코어층의 한쪽에 중간층 및 화장층을 구비하고, 코어층의 반대쪽에 밸런스층을 구비할 수 있다. 밸런스층을 구비할 경우 화장판의 휨이나 파손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밸런스층은 예를 들면 종이에 수지액을 함침, 건조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런스층은 종이와 여기에 포함된 수지를 포함하게 된다. 수지액에 포함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구아나민 수지, 디아릴프탈레이트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밸런스층용의 종이로서는 예를 들면 평량이 18∼40g/㎡인 화장판용 표면지를 들 수 있다.
수지액을 밸런스층용의 종이에 함침하고 건조할 때의 함침율은 260∼32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함침율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정의되는 값이다. 이 경우 수학식 1에 있어서의 '함침 전의 중량'은 밸런스층용의 종이의 중량을 의미하고, '함침 후의 중량'은 수지액을 함침하고 건조한 후의 중량을 의미한다.
실시예 1
(1) 슬러리 제조
이하의 성분을 혼합해서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한편, 중량부의 수치는 고형분 환산치이다.
아크릴 수지 에멀젼(제품번호RAX-208, 아이카공업 주식회사 제품): 32중량부
수산화 알루미늄: 300중량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5중량부
인·질소계 난연제: 18중량부
물: 170중량부
한편, 아크릴 수지 에멀젼은 열가소성 수지의 일례이다. 아크릴 수지 에멀젼의 유리 전이온도(Tg)는 60도이다. 아크릴 수지 에멀젼은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주모노머로 하는 것이다. 아크릴 수지 에멀젼의 평균 입자 직경은 200nm이다. 아크릴 수지 에멀젼은 바인더로서 기능한다.
수산화 알루미늄은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의 일례이다. 수산화 알루미늄의 평균 입자 직경은 8μm이다. 3-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은 실란 커플링제의 일례이다. 인·질소계 난연제에 있어서의 인 함유량은 16%이며, 질소함유량은 22%이다.
실시예 1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슬러리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코어층의 슬러리 조성 [중량부]
아크릴 수지 에멀젼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칼슘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총 고형분
실시예 1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2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4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5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6 58 300 0 3.5 18 379.5
실시예 7 17 300 0 3.5 18 338.5
실시예 8 32 300 0 18 18 368
실시예 9 32 300 0 1.8 18 351.8
실시예 10 32 600 0 3.5 18 653.5
실시예 11 32 100 100 3.5 18 253.5
실시예 12 32 300 0 3.5 35 370.5
실시예 13 32 300 0 3.5 3.5 339
실시예 14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15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16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17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18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19 58 300 0 3.5 18 379.5
실시예 20 17 300 0 3.5 18 338.5
실시예 21 32 300 0 18 18 368
실시예 22 32 300 0 1.8 18 351.8
실시예 23 32 600 0 3.5 18 653.5
실시예 24 32 100 100 3.5 18 253.5
실시예 25 32 300 0 3.5 35 370.5
실시예 26 32 300 0 3.5 3.5 339
실시예 27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28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29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0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1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2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3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4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35 32 300 0 - 18 350
실시예 36 32 300 0 - 18 350
실시예 37 32 300 0 3.5 - 335.5
실시예 38 32 300 0 3.5 - 335.5
실시예 39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40 32 300 0 3.5 18 353.5
실시예 41 32 300 0 3.5 18 353.5
비교예 1 32 300 0 3.5 18 353.5
비교예 2 7 250 0 3.5 18 278.5
비교예 3 76 250 0 3.5 18 347.5
비교예 4 32 300 0 3.5 18 353.5
비교예 5 32 300 0 3.5 18 353.5
(2) 프리프레그의 제조
섬유질 기재로서 40g/㎡의 유리 섬유 부직포를 준비하였다. 이 섬유질 기재에 상기 (1)에서 제조한 슬러리를 상기 수학식 1에서 정의하는 함침율이 750%가 되도록 함침하고 건조해서 프리프레그를 제조하였다. 이 프리프레그는 섬유질 기재, 아크릴 수지 에멀젼 및 수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한다.
1매의 프리프레그가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에멀젼, 수산화 알루미늄, 실란 커플링제 및 난연제의 양(단위면적당 중량)은 각각 27.16g/㎡, 254.60g/㎡, 2.97g/㎡, 15.28g/㎡이다.
실시예 1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조성을 표 2에 나타낸다.
  각 성분의 함유량[g/㎡]
아크릴 수지
에멀젼
수산화
알루미늄
탄산 칼슘 실란
커플링제
난연제
실시예 1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2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4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5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6 45.85 237.15 0 2.77 14.23
실시예 7 15.07 265.88 0 3.10 15.95
실시예 8 26.09 244.57 0 14.67 14.67
실시예 9 27.29 255.83 0 1.53 15.35
실시예 10 14.69 275.44 0 1.61 8.26
실시예 11 37.87 118.34 118.34 4.14 21.30
실시예 12 25.91 242.91 0 2.83 28.34
실시예 13 28.32 265.49 0 3.10 3.10
실시예 14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15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16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17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18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19 45.85 237.15 0 2.77 14.23
실시예 20 15.07 265.88 0 3.10 15.95
실시예 21 26.09 244.57 0 14.67 14.67
실시예 22 27.29 255.83 0 1.53 15.35
실시예 23 14.69 275.44 0 1.61 8.26
실시예 24 37.87 118.34 118.34 4.14 21.30
실시예 25 25.91 242.91 0 2.83 28.34
실시예 26 28.32 265.49 0 3.10 3.10
실시예 27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28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29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0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1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2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3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4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35 27.43 257.14 0 - 15.43
실시예 36 27.43 257.14 0 - 15.43
실시예 37 28.61 268.26 0 3.13 -
실시예 38 28.61 268.26 0 3.13 -
실시예 39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40 27.16 254.60 0 2.97 15.28
실시예 41 27.16 254.60 0 2.97 15.28
비교예 1 27.16 254.60 0 2.97 15.28
비교예 2 7.54 269.30 0 3.77 19.39
비교예 3 65.61 215.83 0 3.02 15.54
비교예 4 27.16 254.60 0 2.97 15.28
비교예 5 27.16 254.60 0 2.97 15.28
표 2에 있어서의 수치는 1㎡의 프리프레그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중량이다.
(2) 중간층의 제조
혼초지로서 평량 110g/㎡의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상품명:썬월, 산젠제지사 제품, 수산화 알루미늄의 혼초 비율 69중량%)를 준비하였다. 이 혼초지는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의 일례이다.
이 혼초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수학식 1에서 정의하는 함침율이 30%가 되도록 함침하고 건조해서 중간층을 제조하였다. 이 중간층은 수산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혼초지 및 이 혼초지에 포함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포함한다. 한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일례다. 중간층이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양은 33g/㎡이다.
실시예 1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중간층의 내용을 표3에 나타낸다.
중간층
기재 평량(g/㎡) 함침율(%) 함침량(g/㎡)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80 30 54
Al 혼초지 80 30 24
Al 혼초지 110 100 110
Al 혼초지 110 10 11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80 30 54
Al 혼초지 80 30 24
Al 혼초지 110 100 110
Al 혼초지 110 10 11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 - -
Al 혼초지 110 30 33
Al 혼초지 110 30 33
KP 지 190 50 95
KP 지 110 30 33
표 3에 있어서의 '알루미늄 혼초지'는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를 의미하고, 'KP지'는 크라프트 펄프지를 의미한다. 표 3에 있어서의 '평량'은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의 평량을 의미한다. 표 3에 있어서의 '함침율'은 혼초지에 수지액을 함침할 때의 함침율을 의미한다. 표 3에 있어서의 '함침량'은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 또는 크라프트 펄프지에 있어서의 1㎡당 수지 부착량(고형분 환산)을 의미한다.
(3) 화장층의 제조
평량 100g/㎡인 백색의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용의 화장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수학식 1에서 정의하는 함침율이 130%가 되도록 함침하고 건조해서 화장층을 제조하였다. 이 화장층은 화장지 및 이 화장지에 포함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포함한다. 한편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열경화성 수지의 일례다. 화장층이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양은 130g/㎡이다.
(4) 화장판의 제조
밑에서부터 순차로 프리프레그 2매, 중간층 1매 및 화장층 1매를 적층하고, 플랫 처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32도, 70kgf/c㎡, 64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해서 일체화하여 화장판을 얻었다. 이때 2매의 프리프레그는 코어층을 형성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제조한 화장판(7)은 2매의 프리프레그(3)로부터 이루어지는 코어층(4)과 중간층(2)과 화장층(1)을 적층한 적층체이다.
실시예 1 및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화장판의 구성을 표 4에 나타낸다.
화장판의 구성재료
  화장층 중간층 코어층 밸런스층
실시예 1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2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3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4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5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6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7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8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9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10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11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12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13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14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15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16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17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18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19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0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1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2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3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4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5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6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7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28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29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30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31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32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33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34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35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36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37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38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실시예 39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40 있음 있음 있음 -
실시예 41 있음 있음 있음 -
비교예 1 있음 - 있음 -
비교예 2 있음 있음 있음 -
비교예 3 있음 있음 있음 -
비교예 4 있음 있음 있음 -
비교예 5 있음 있음 있음 -
한편,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코어층은 2매의 프리프레그로 이루어지므로, 각 성분을 표2에 나타내는 함유량의 2배 포함한다.
실시예 2
중간층 제조 공정에 있어서 혼초지로서 평량 180g/㎡의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상품명: 썬월, 산젠제지사 제품,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 비율 69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중간층 제조 공정에 있어서 혼초지로서 80g/㎡의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아와제지사 제품,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 비율 69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중간층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에 수지액을 함침할 때의 함침율을 100%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중간층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에 수지액을 함침할 때의 함침율을 10%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을 58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을 17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의 배합량을 18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의 배합량을 1.8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의 배합량을 600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의 배합량을 100중량부로 하였다. 또 슬러리에 평균 입자 직경 1μm의 중질 탄산 칼슘을 100중량부 더하였다. 이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질소계 난연제의 배합량을 35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질소계 난연제의 배합량을 3.5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1) 밸런스층의 제조
평량이 24g/㎡의 화장판용의 표면지에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액을 상기 수학식 1에서 정의하는 함침율이 280%로 되도록 함침하고 건조해서 밸런스층을 제조하였다. 이 밸런스층은 표면지와 그 표면지에 포함되는 멜라민 수지를 포함한다. 밸런스층이 포함하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양은 67.2g/㎡이다.
(2) 화장판의 제조
밑에서부터 순차로 상기 (1)에서 제조한 밸런스층 1매, 프리프레그 2매, 중간층 1매 및 화장층 1매를 적층하고, 플랫 처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132도, 70kg/c㎡, 64분간의 조건으로 열압 성형하여 일체화하고, 화장판을 얻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프리프레그, 중간층 및 화장층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제조한 화장판(8)은 밸런스층(5)과 2매의 프리프레그(3)로 이루어진 코어층(4)과 중간층(2)과 화장층(1)을 적층한 적층체이다. 화장판(8)은 코어층(4)의 한쪽(도 2에 있어서의 상측)에 중간층(2) 및 화장층(1)을 구비하고, 코어층(4)의 반대쪽(도 2에 있어서의 하측)에 밸런스층(5)을 구비한다.
실시예 15
중간층을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중간층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8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5와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9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6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0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7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8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9와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10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프리프레그를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것으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동량의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동량의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9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질소계 난연제 대신에 동량의 질소계 난연제(상품명 아피논-901, 주성분 황산멜라민, 전체 질소 48%, 전체 유황 9%, 주식회사 산와케미컬 제품)를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0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질소계 난연제 대신에 동량의 질소계 난연제(상품명 아피논-901 주성분 황산멜라민, 전체 질소 48%, 전체 유황 9%, 주식회사 산와케미컬 제품)를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RAX-208 대신에 동량의 RAX-208E를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RAX-208E는 아이카공업주식회사 제품의 아크릴 수지 에멀젼이다. RAX-208E의 유리 전이온도(Tg)는 0도이다. RAX-208E의 주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실시예 32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RAX-208 대신에 동량의 RAX-208E를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3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RAX-208 대신에 동량의 RAX-208D를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RAX-208D는 아이카공업주식회사 제품의 아크릴 수지 에멀젼이다. RAX-208D의 유리 전이온도(Tg)는 30도이다. RAX-208D의 주모노머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다.
실시예 34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RAX-208 대신에 동량의 RAX-208D를 배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5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6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을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7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질소계 난연제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8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인·질소계 난연제를 배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4와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9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 대신에 동량의 수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0
중간층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의 혼초 비율이 60중량%인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중간층 제조 공정에 있어서 수산화 알루미늄의 혼초 비율이 80중량%인 수산화 알루미늄 혼초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중간층을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을 7중량부로하고 수산화 알루미늄의 배합량을 250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3)
슬러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 에멀젼의 배합량을 76중량부로 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 비교예 4)
중간층 대신에 함침율 50%의 페놀 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이 함침율 50%의 페놀 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는 190g/㎡의 크라프트지에 수학식 1에서 규정하는 함침율이 50%가 되도록 페놀 수지를 함침, 건조한 것이다.
( 비교예 5)
중간층 대신에 함침율 30%의 페놀 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사용한 것 이외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화장판을 제조하였다. 이 함침율 30%의 페놀 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는 110g/㎡의 크라프트지에 수학식 1에서 규정하는 함침율이 30%가 되도록 페놀 수지를 함침, 건조한 것이다.
< 화장판의 평가>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의 화장판에 대해서 평활성, 불연성, 굽힘 가공성, 중량증가율 및 휨의 평가 시험을 행하였다. 평가 시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평활성
화장판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화장층에 있어서의 크랙과 오렌지 필이 없으면 평활성을 'O'으로 하고, 경미한 오렌지 필이 있으면 평활성을 '△'로 하였다.
또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화장판에 막대형 형광등의 광을 투사하고 그 상태에서 화장판을 촬영하였다. 실시예 1의 화장판 사진을 도 3에 나타내고, 비교예 1의 화장판 사진을 도 4에 나타낸다. 실시예 1의 화장판 표면은 평활성이 높기 때문에 형광등의 형상이 충실하게 비치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화장판 표면은 평활성이 낮기 때문에 형광등의 형상이 흐리게 되어 있었다.
(2) 불연성
ISO5660에 준거한 콘칼로리미터에 의한 20분 시험의 발열성 시험을 행하였다. 이하의 α∼γ 모두를 충족하였을 경우는 O으로 평가하고, 그 이외를 X로 평가하였다.
α: 총 발열량이 8MJ/㎡이하이다.
β: 최고 발열속도가 10초 이상 계속해서 200KW/㎡를 넘지 않는다.
γ: 시험개시 후 20분간 이면까지 관통하는 균열 및 구멍의 발생이 없다.
(3) 굽힘 가공성
화장판에서 150mm 폭의 샘플을 잘라냈다. 그리고 막대형 히터를 샘플 표면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하였다. 이때 막대형 히터의 축방향과 화장판의 섬유방향을 평행으로 하였다. 이 상태에서 히터 온도를 700도로 하고 샘플의 표면온도를 170도로 하였다.
다음에 면이 수평하게 되도록 지지된 샘플을 수직으로 입설된 판형 지그의 상단에, 위쪽에서 꽉 눌렀다. 이때 화장판의 섬유방향과 판형 지그의 길이 방향을 평행하게 하였다. 지그 상단의 단면 형상은 소정 곡률의 원호형상이다.
다음에 샘플을 상기한 바와 같이 지그에 꽉 누른 상태에서 샘플 양단을 또 일정량 눌러 내리고 샘플을 굴곡시켜 샘플에 크랙이 생기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샘플을 굴곡시키는 시험을 지그 상단의 곡률을 서서히 작게 하면서 반복하였다. 샘플에 크랙이 생기지 않는 최소의 곡률을 굽힘 가공성의 평가치로 하였다.
(4) 중량증가율
JIS K 6902 '열경화성 수지 고압 화장판 시험방법'의 내자비성에 의거하여 화장판의 중량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규격치는 17%이하이다.
(5) 휨의 평가
화장판에서 50mm×300mm의 샘플을 잘라냈다. 화장판의 섬유방향은 이 샘플의 짧은 방향과 평행하다. 이 샘플을 실온 40도, 습도 30%의 환경에서 24시간 양생하였다. 그 후 샘플을 수평면상에 두었을 때의 수평면에서의 휨 높이(샘플의 길이 방향의 일단을 수평면으로 누르고 있을 때의 샘플의 반대 단부와 수평면과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5, 표 6에 나타낸다. 한편, 표 5에 있어서의 '두께'란 화장판의 두께를 의미한다.
평가 결과
  두께[mm] 평활성 불연성 굽힘 가공성 중량증가율(%)
실시예 1 0.63 6R 10.4
실시예 2 0.65 6R 12.8
실시예 3 0.62 6R 10.3
실시예 4 0.62 6R 12.1
실시예 5 0.61 6R 14.6
실시예 6 0.60 6R 12.2
실시예 7 0.61 6R 16.5
실시예 8 0.61 6R 12.9
실시예 9 0.63 6R 13.5
실시예 10 0.61 6R 14.9
실시예 11 0.60 6R 12.2
실시예 12 0.64 6R 15.8
실시예 13 0.65 6R 10.2
실시예 14 0.70 9R 4.5
실시예 15 0.72 9R 8.7
실시예 16 0.66 9R 5.8
실시예 17 0.66 9R 7.9
실시예 18 0.63 9R 8.2
실시예 19 0.64 9R 6.3
실시예 20 0.65 9R 11.6
실시예 21 0.64 9R 5.2
실시예 22 0.67 9R 9.8
실시예 23 0.64 9R 9.6
실시예 24 0.65 9R 6.5
실시예 25 0.67 9R 15.5
실시예 26 0.69 9R 7.5
실시예 27 0.67 6R 10.5
실시예 28 0.69 9R 9.8
실시예 29 0.68 6R 12.5
실시예 30 0.68 9R 10.8
실시예 31 0.66 6R 10.4
실시예 32 0.67 9R 6.9
실시예 33 0.65 6R 10.3
실시예 34 0.69 9R 7.9
실시예 35 0.66 6R 14.5
실시예 36 0.68 9R 11.9
실시예 37 0.67 6R 12.6
실시예 38 0.68 9R 10.7
실시예 39 0.62 6R 14.4
실시예 40 0.63 6R 10.2
실시예 41 0.65 6R 13.9
비교예 1 0.65 9R 8.5
비교예 2 - (화장판으로 되지 않음)
비교예 3 0.69 × 6R 7.1
비교예 4 0.73 × 9R 8.1
비교예 5 0.63 × 9R 11.8
  휨[mm]
실시예 1 23
실시예 14 12
비교예 1 29
비교예 5 50
실시예의 화장판은 각 평가 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시 말해 실시예의 화장판은 얇으면서 휨이 생기기 어렵고 외관에 평활성이 있으며, 굽힘 가공성에 우수하고 동시에 불연 성능도 겸비한 화장판이다. 비교예의 화장판은 평활성, 굽힘 가공성, 불연성능 및 휨 중 어느 것인가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 떨어진다
1 화장층 2 중간층
3 프리프레그 4 코어층
5 밸런스층 7, 8 화장판

Claims (10)

  1. 섬유질 기재, 열가소성 수지 및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코어층과,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을 포함하는 혼초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층과,
    화장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화장층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층이 포함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양은 10∼100g/㎡인 화장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화장층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인 화장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 또는 상기 중간층에서의 상기 흡열성 금속 수산화물이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인 화장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에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아크릴 수지 에멀젼인 화장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는 화장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난연제를 포함하는 화장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1∼100g/㎡의 상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화장판.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질소계 난연제 또는 인·질소계 난연제인 화장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에서의 인 함유량은 1∼30중량%이고,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에서의 질소함유량은 5∼35중량%인 화장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의 한쪽에 상기 중간층 및 상기 화장층을 구비하고,
    상기 코어층의 반대쪽에 밸런스층을 구비하는 화장판.
KR1020167030018A 2014-03-31 2015-03-24 화장판 KR1020090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1573 2014-03-31
JPJP-P-2014-071573 2014-03-31
PCT/JP2015/058926 WO2015151934A1 (ja) 2014-03-31 2015-03-24 化粧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243A true KR20160138243A (ko) 2016-12-02
KR102009071B1 KR102009071B1 (ko) 2019-08-08

Family

ID=5424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018A KR102009071B1 (ko) 2014-03-31 2015-03-24 화장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2) JP5876605B2 (ko)
KR (1) KR102009071B1 (ko)
CN (1) CN106163794B (ko)
MY (1) MY165595A (ko)
SG (1) SG11201607789UA (ko)
TW (2) TWI631013B (ko)
WO (1) WO2015151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3794B (zh) * 2014-03-31 2018-09-28 爱克工业株式会社 装饰板
KR101979065B1 (ko) * 2016-02-04 2019-05-15 (주)엘지하우시스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CN109476129A (zh) * 2016-07-21 2019-03-15 爱克工业株式会社 带有胶粘剂的装饰片材
CN107489073A (zh) * 2017-08-24 2017-12-19 浙江科屹耐火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防火壁纸及其制备方法
JP6967977B2 (ja) * 2018-01-19 2021-11-17 アイカ工業株式会社 不燃化粧パネル
JP6831342B2 (ja) * 2018-01-19 2021-02-17 アイカ工業株式会社 磁性層を有する化粧板
MY192276A (en) * 2018-09-12 2022-08-16 Aica Kogyo Co Ltd Decorative laminate
CN111376550B (zh) * 2020-03-09 2022-03-15 合肥师范学院 一种美术调色板及其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5B1 (ko) * 2000-12-29 200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US20130323497A1 (en) * 2010-09-21 2013-12-05 Gerald Ullrich Flame resistant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1296A (ja) * 1992-09-02 1994-03-22 New Oji Paper Co Ltd 積層板用シート
JP4029942B2 (ja) * 1996-03-28 2008-01-09 株式会社興人 人工ソリッド化粧材
JP4310715B2 (ja) * 1997-07-29 2009-08-12 北越製紙株式会社 シート状不燃成形体
JP4363609B2 (ja) * 2000-08-02 2009-11-11 アイカ工業株式会社 天然質感を有する化粧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264287A (ja) * 2001-03-12 2002-09-18 Sumitomo Bakelite Co Ltd 高圧メラミン樹脂化粧板
JP2004142279A (ja) * 2002-10-25 2004-05-20 Aica Kogyo Co Ltd 不燃化粧板
JP3844135B2 (ja) * 2004-01-15 2006-11-08 アイカ工業株式会社 化粧板
WO2005110744A1 (en) * 2004-04-29 2005-11-24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Iac) Manufacturing method of functional charcoal board laminate
JP4354003B2 (ja) * 2008-08-19 2009-10-28 アイカ工業株式会社 不燃化粧板
CN202390947U (zh) * 2011-07-01 2012-08-22 日本Sk化研株式会社 耐火覆盖结构
WO2013054897A1 (ja) * 2011-10-13 2013-04-18 アイカ工業株式会社 化粧板
CN102691388B (zh) * 2012-06-18 2015-09-23 北京蓝海嘉铭建材技术有限公司 三维立体纸浆模塑装饰板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06163794B (zh) * 2014-03-31 2018-09-28 爱克工业株式会社 装饰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575B1 (ko) * 2000-12-29 2004-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US20130323497A1 (en) * 2010-09-21 2013-12-05 Gerald Ullrich Flame resistant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071B1 (ko) 2019-08-08
SG11201607789UA (en) 2016-11-29
TWI631013B (zh) 2018-08-01
JP5918898B1 (ja) 2016-05-18
MY165595A (en) 2018-04-16
JP2015199346A (ja) 2015-11-12
TW201834860A (zh) 2018-10-01
WO2015151934A1 (ja) 2015-10-08
CN106163794B (zh) 2018-09-28
JP5876605B2 (ja) 2016-03-02
TW201600328A (zh) 2016-01-01
JP2016093998A (ja) 2016-05-26
CN106163794A (zh) 2016-11-23
TWI672222B (zh) 201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8243A (ko) 화장판
US6926954B2 (en) Decorative sheet or molding comprising fibers and filler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JP5432353B2 (ja) 化粧板
CN107848263B (zh) 装饰片材
KR20140053805A (ko) 난연성 라미네이트
KR101447235B1 (ko) 방염패널 및 그 제조방법
ES2941489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 panel a base de madera
TWI760348B (zh) 具黏著劑的裝飾板
JP2006336159A (ja) 不燃性ボード及び不燃性化粧板
JP6831342B2 (ja) 磁性層を有する化粧板
JPH08198980A (ja) 不燃性シ−トまたは不燃性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59001B1 (ko) 폐섬유를 이용한 건축 내장재용 난연성 가구패널
JPH0858027A (ja) 不燃化粧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25284B1 (ko) 폐섬유를 이용한 난연성 가구 및 실내가구용 패널
US6833174B2 (en) Molded sheet, its use,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20050046262A (ko) 준 불연성 화장복합판넬
KR102614958B1 (ko) 폐섬유를 이용한 준불연성 및 방염성을 갖는 사무가구용 패널
RU2769139C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слоистый материал
JP2012066556A (ja) 不燃性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12659A (ja) 難燃シ−トまたは難燃成形体
JP3079459B2 (ja) 不燃性の複合板または複合成形体
JPH08239921A (ja) 不燃性成形体
JP2006218778A (ja) 化粧板
JPH0994805A (ja) 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