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9065B1 -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 Google Patents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9065B1
KR101979065B1 KR1020160013834A KR20160013834A KR101979065B1 KR 101979065 B1 KR101979065 B1 KR 101979065B1 KR 1020160013834 A KR1020160013834 A KR 1020160013834A KR 20160013834 A KR20160013834 A KR 20160013834A KR 101979065 B1 KR101979065 B1 KR 101979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thickness
fibers
layer
reinforc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761A (ko
Inventor
이주형
강봉규
윤삼훈
박명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013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9065B1/ko
Priority to PCT/KR2017/000613 priority patent/WO2017135596A1/ko
Priority to JP2018536409A priority patent/JP6776358B2/ja
Priority to CN201790000553.4U priority patent/CN209227891U/zh
Publication of KR20170092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laminated and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12, E04C2/16, E04C2/2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강화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쿠션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A board for indoor interior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oard and the indoor interior materials comprising the board}
본 발명은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강화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쿠션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보통 실내 바닥재, 벽장재와 같은 실내 내장재 용도로 사용되는 경질의 보드 자재로는 합판, HDF(High Density Fiberboard),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무기물 보드, 섬유 보드 등이 있다. 각각의 보드들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합판, HDF, MDF 같은 목질계 보드의 경우 내수성이 나쁘고, 무기물 보드의 경우 비중이 높아 경량화될 필요가 있다. 섬유 보드의 경우 치수 보강섬유가 고분자 바인더와 일정 함량으로 혼합되어 있는데, 이 경우 보강섬유의 버(bur)로 인하여 일정 크기로 가공된 보드를 체결할 수 있는 홈의 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각 보드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2588호는 양마(Kenaf) 보드의 양면에 HDF 또는 MDF를 접착하거나, HDF 또는 MDF 양면에 양마 보드를 접착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 복합기재상에 표면층 및 표면처리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마루 바닥재를 제공함으로써, 내수성, 치수안정성 등의 기본 물성을 개선하도록 한 마루 바닥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 개시된 복합기재는 기존의 HDF 또는 MDF에 비해 치수안정성이 일부 개선되었을지 모르나, HDF 또는 MDF를 포함함으로 인해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복합기재가 경질의 보드로만 구성되어 마루 바닥재의 쿠션성 및 경량성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건강은 물론 친환경적인 제품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고, 아파트의 층간소음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서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내 내장재가 요구된다. 그 일례로, 주거 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바닥재 및 벽장재 등과 같은 실내 내장재는 점차 친환경 및 차음성능을 부여해줄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기존 목질계 보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강화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쿠션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보드의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KR 10-2008-0092588 A (2008. 10. 16)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강화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쿠션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며,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치수보강층; 제1치수보강층 상에 형성된 코어층; 코어층 상에 형성된 제2치수보강층;을 포함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발포폼 하부 및 상부에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열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 상에 표면재를 부착하여 형성된 실내 내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코어층으로 발포폼을 이용하고 있어 쿠션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고, 충격흡수가 가능하며, 경량화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코어층으로 발포폼을,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으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여, 이들을 열합판하여 코어층을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이 형성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조함으로써,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부직포 내 보강섬유로 천연섬유를 사용하고 합성수지 섬유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소프트한 코어층을 중심으로 하드한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이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종래의 섬유 보드가 구현할 수 없었던 제혀(Tongue & groove) 또는 클릭 구조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1실시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2실시예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내 내장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내 내장재의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더블 벨트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조하는 개략적인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혀(Tongue & Groove) 구조가 형성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클릭 구조가 형성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클릭 구조가 형성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구체적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전도 충돌 안정 시험 평가 시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들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는 제1치수보강층(10); 제1치수보강층(10) 상에 형성된 코어층(30); 코어층(30) 상에 형성된 제2치수보강층(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은 섬유 부직포를 열압착하여 형성된 보드 형태로서 실내 내장재용 보드(1)가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섬유 부직포는 합성수지 섬유 및 보강섬유를 포함하도록 제조하여 코어층(30)과 열압착시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의 용융에 의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코어층과 접착이 가능하다. 상기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와 보강섬유의 중량비는 5:5-7: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섬유의 중량비가 5를 초과할 경우 인장강도나 휨 강도는 높아지나 상대적으로 합성수지 섬유 함량이 낮아져 부직포가 잘 형성되지 않고 형성된 부직포가 브리틀(brittle)하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3 미만일 경우 인장강도나 휨 강도가 약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합성수지 섬유 중량비가 7을 초과할 경우 다공성 소재인 부직포를 제조하는 의미가 퇴색되고 5 미만일 경우 부직포가 잘 형성되지 않으므로,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와 보강섬유의 중량비는 5:5-7: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교적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단일 수지의 섬유일 수 있으며 또는 코어-쉘 구조의 섬유로서 코어를 이루는 섬유와 쉘을 이루는 코팅 수지를 동종 또는 이종의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강섬유로는 유리섬유, 탄소섬유(아라미드 섬유),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친환경적이며, 치수변화율이 적은 천연섬유를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섬유로는 황마(Jute) 섬유, 양마(Kenaf) 섬유, 아바카(Abaca) 섬유, 코코넛 섬유, 목섬유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 부직포는 습식 또는 건식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건식 제조방법 중 에어레이드(airlaid)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부직포의 평량은 500-1,000g/m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0-800g/m2 일 수 있다. 섬유 부직포의 평량이 500g/m2 미만일 경우 압입강도가 저하되고, 1,000g/m2을 초과할 경우 쿠션효과가 저해되고 경량화를 구현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 부직포의 두께는 5-15mm일 수 있고, 비중은 0.2-0.4일 수 있으나, 이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의 두께는 1-3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은 동일한 두께 또는 제1치수보강층(10)과 제2치수보강층(50)의 두께 차이가 ±0.3m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실내 내장재용 보드(1)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가 여름철 또는 겨울철 난방 등에 따른 열적 환경에 노출시 컬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어층(30)은 발포폼을 열압착하여 구성된 것으로, 실내 내장재용 보드(1)가 쿠션성 및 차음성을 가짐과 아울러 충격을 흡수해주며, 보드의 경량화를 구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포폼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와 발포제, 발포안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발포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포폼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폼 또는 폴리프로필렌 폼을 이용하는 것이 가격이 저렴하고, 제혀(Tongue & groove) 또는 클릭 가공이 용이하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과 접착이 용이하고, 실내 내장재용 보드(1)의 물성 구현에 적합하므로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발포폼의 수지와 상기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의 형성에 사용된 합성수지(즉,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코어층(30)과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 간의 접착력 강화를 위해 핫멜트 필름 등에 의해 형성된 제1접착층(20) 및 제2접착층(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기 발포폼의 경도는 쇼어 D(Shore D type) 경도로 65-85인 것이 쿠션성을 발현하는데 바람직하다. 65 미만일 경우 더블벨트 프레스 압착 공정상 폼이 너무 많이 눌릴 수 있고 85를 초과할 경우는 쿠션성이 약화되므로 상기 범위 내의 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폼의 두께는 3-7mm일 수 있으며, 이 발포폼을 치수보강층과 적층 후 열합판하여 형성된 코어층(30)의 두께는 발포폼의 초기 두께 대비 약 40-50% 압착되어 1.5-4.5mm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치수보강층(10); 제1치수보강층(10) 상에 형성된 코어층(30); 코어층(30) 상에 형성된 제2치수보강층(5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의 두께는 4-7mm일 수 있으나, 사용 용도나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그 두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의 비중은 약 0.5-0.7로서 동일 두께의 종래 합판(비중 : 0.6~0.8), MDF 및 HDF 같은 목질계 보드(비중 : 0.9~1.1), 무기물 보드(비중 : 1.1~2.0)에 비해 경량화되었다.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는 시공을 용이하기 위한 체결구조를 갖도록 측면에 제혀(Tongue & groove) 구조 또는 클릭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6, 7 참조). 도 6과 같이 제혀 구조를 형성할 경우에는 바닥면과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실내 내장재용 보드 하면에 홈(미도시)을 더 형성할 수 있다.
클릭 구조가 형성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구체적 일예를 도 8 및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8은 클릭 구조가 형성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이의 측단면도로서, 별도의 접착제 없이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우수한 체결강도를 갖기 위하여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돌출부(P)와 이 돌출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홈부(G')를 포함하는 클릭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는 코어층(30)으로 발포폼을 이용하고 있어 쿠션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고, 충격흡수가 가능하며, 경량화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는 코어층(30)으로 발포폼을,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으로 섬유 부직포를 이용하여, 이들을 열합판하여 코어층(30)을 중심으로 하부 및 상부에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이 형성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조함으로써, 내수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는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을 형성하기 위한 섬유 부직포 내 보강섬유로 천연섬유를 사용하고 합성수지 섬유로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1)는 소프트한 발포폼 재질의 코어층(30)을 중심으로 하드한 제1치수보강층(10) 및 제2치수보강층(50)이 대칭적으로 위치하여, 종래의 섬유 보드가 구현할 수 없었던 제혀(Tongue & groove) 또는 클릭 구조 형성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내 장식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발포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발포폼 하부 및 상부에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열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사용된 발포폼 및 섬유 부직포에 대한 설명은 위에 기재하였으므로 중복기재는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열합판하는 단계에서 열합판의 온도 조건은 200-250℃일 수 있다. 200℃미만에서는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의 용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발포폼과의 합판이 용이하지 않고, 250℃를 초과하는 경우 합성수지 용융이 너무 일어나 보드의 두께를 제어하기 힘드므로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열합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합판하는 단계는 더블 벨트 프레스(Double belt press)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는, 상기 열합판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포폼과 섬유 부직포 사이에 핫멜트 필름을 더 위치시킨 후 열합판할 수도 있다. 이는 발포폼과 섬유 부직포 간에 가열 압착만으로는 접착력이 약할 경우, 즉, 일예로 발포폼의 합성수지와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의 재질 차이로 인해 접착력이 약할 경우, 핫멜트 필름을 매개로 열합판할 수 있다. 또는 선택적으로, 핫멜트 필름 대신 발포폼 상부 및 하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섬유 부직포를 부착시켜 합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열합판 단계 후에 측면에 제혀(Tongue & groove)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복수의 보드 간 체결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는 제혀(Tongue & groove) 대신 클릭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도 7 참조).
상기 제혀를 형성하는 단계 또는 클릭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상부에 표면재를 부착한 상태에서 제혀 (Tongue & groove) 구조 또는 클릭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형성의 용이성과 공정 경제상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발포폼과 섬유부직포를 열합판하여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조하는 방법 대신 섬유 부직포를 열압착하여 성형한 섬유 보드와 발포폼을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섬유 보드의 비중은 0.4-0.7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비중이 약 0.5-0.7가 되도록 발포폼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1) 상에 표면재(3)를 부착하여 형성된 실내 내장재(A)에 관한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A)는 바닥재 또는 벽장재일 수 있다.
상기 표면재(3)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계 시트, HPM(high pressure melamine)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계 시트, 무늬목 또는 원목 같은 목질계 시트, 또는 무기질계 시트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계 시트는 비발포 또는 발포 시트일 수 있다.
상기 표면재(3)의 두께는 0.2~2mm 일 수 있다. (단위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기 표면재(3) 내에는 인쇄무늬가 형성된 필름 또는 종이 등이 합지되어 있어 심미감이 우수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표면재(3)를 실내 내장재용 보드(1) 상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는 표면재의 종류에 달라질 수 있으며, 표면재로 열가소성 수지계 시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올레핀계 핫멜트, 반응성 폴리우레탄(Reactive polyurethane), EVA 핫멜트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HPM(high pressure melamine)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계 시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에폭시, 폴리우레탄계 또는 멜라민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무늬목 또는 원목 같은 목질계 시트를 이용할 경우에는 PVAc계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표면재(3)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실내 내장재용 보드(1)의 표면을 샌딩(sanding)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실내 내장재용 보드(1)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3접착층(2) 형성 후 표면재(3)를 부착할 경우, 보드(1) 상부에 부착된 표면재(3)로 인해 내장재 전체적인 휨 밸런스가 맞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보드(1) 하부에 별도로 시트를 부착하여 밸런스층(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휨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스층의 두께는 상기 표면재(3)와 동일 내지 유사한 두께범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런스층은 상기 제1치수보강층(10)에 포함된 합성수지와 동일한 재질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밸런스층과 보드(1)의 제1치수보강층(10)과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실내 내장재(A)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 실시예 ]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양마(Kenaf) 섬유를 5:5의 비율로 혼합하여 평량 500g/m2, 두께 10mm, 비중 0.3의 섬유 부직포를 건식 에어레이드(airlaid)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그후 쇼어 D 경도 75, 두께 5mm의 EVA(ethylene vinylacetate) 폼 하부 및 상부에 상기 제조된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더블 벨트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220~250℃의 온도로 열합판하여, 코어층 하부 및 상부에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이 형성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의 두께는 각각 1~1.5 mm이고, 상기 코어층은 약 3mm두께로 압착되어, 총 6mm 두께, 평량 1200~1500g/m2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가 제조되었다.
비교예 1
시중에서 판매하는 두께 약 7mm의 5겹 합판(말레이시아산)을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내수성 및 치수변화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 2와 같다.
표 1의 내수성 시험결과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보드를 상온의 물에 24시간 침지한 후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고, 표 2의 치수변화율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보드를 80℃의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치수변화율을 측정한 것이다.
내수성 시험결과
비교예 1 실시예 1
두께 변화(%) 4.4% 1.3%
치수변화율 시험결과
비교예 1 실시예 1
치수변화율(%) -0.2% -0.06%
위 시험결과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내수성 및 치수변화정도가 기존의 합판 보드에 비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차음성능을 비교한 시험자료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차음성능 시험은 KS F 2810-1(경량충격음 시험조건)에 따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보드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의 맨바닥을 대상으로, 비교예 1은 상기 대조군의 맨바닥에 비교예 1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설치한 것을 대상으로, 그리고 실시예 1는 상기 대조군의 맨바닥에 실시예 1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설치한 것을 대상으로 하여 대조군 대비 차음성능을 측정하였다.
구분 차음성능(㏈) 측정방법
저감율% 감쇠량(Db) KS F 2810-2
(경량충격음)
비교예 1 24.4 19
실시예 1 26.9 21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비교예 1의 합판 보드에 비해 경량충격음 저감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전도 충돌 안정 시험 평가를 진행 하였다. 시험은 JIS A 6519(Head model test)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험방법은 헤드모델(3.75kg) 자유 낙하 후 가속도 G의 최대값을 측정한 것으로, 먼저, 낙하장치에 헤드모델을 고정하고, 시험편을 바닥에 깔고 두께 8mm 고무판을 위에 올린 다음, 헤드모델을 20cm 높이에서 자유낙하시켜 가속도 G의 최대값을 측정하였다(도 10의 참조).
구분 측정결과(G의 최대값) 측정방법
대조군(콘크리트 바닥) 160 JIS A 6519
비교예 1 146
실시예 1 120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비교예 1의 합판 보드에 비해 G의 최대값이 낮아 쿠션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1 : 실내 내장재용 보드
10 : 제1치수보강층 20 : 제1접착층
30 : 코어층 40 : 제2접착층
50 : 제2치수보강층
A : 실내 내장재
2 : 제3접착층 3 : 표면재
T : Tongue G : Groove
P : Protrusion G' : Groove

Claims (32)

  1. 합성수지 섬유 및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평량이 500-1,000g/m2이고 두께가 5-15mm이며 비중이 0.2-0.4인 섬유 부직포를 열압착하여 형성된 보드인 두께가 1-3mm인 제1치수보강층;
    제1치수보강층 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쇼어 D 경도가 65-85이고, 두께가 3-7mm인 발포폼을 열압착하여 형성된 두께가 1.5-4.5mm인 코어층;
    코어층 상에 형성된 것으로서, 합성수지 섬유 및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평량이 500-1,000g/m2이고 두께가 5-15mm이며 비중이 0.2-0.4인 섬유 부직포를 열압착하여 형성된 보드인 두께가 1-3mm인 제2치수보강층;을 포함하는
    내수성이 1.3%이상 4.4%미만이고, 비중이 0.5-0.7인 실내 내장재용 보드로,
    상기 내수성은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상온의 물에 24시간 침지한 후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것이며,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바닥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실내 내장재용 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부직포 내 합성수지 섬유와 천연섬유의 중량비는 5:5-7: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섬유는 폴리올레핀계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황마(Jute) 섬유, 양마(Kenaf) 섬유, 아바카(Abaca) 섬유, 코코넛 섬유, 목섬유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치수보강층 및 제2치수보강층은 동일한 두께를 갖거나 또는 두께 차이가 ±0.3m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폼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과 제1치수보강층 사이에 제1접착층이, 상기 코어층과 제2치수보강층 사이에 제2접착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착층 및 제2접착층은 핫 멜트 필름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18. 삭제
  19. 삭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두께는 4-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21. 삭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제혀(Tongue & groove) 구조 또는 클릭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
  23. 쇼어 D 경도가 65-85이고, 두께가 3-7mm인 발포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발포폼 하부 및 상부에 합성수지 섬유 및 천연섬유를 포함하는, 평량이 500-1,000g/m2이고 두께가 5-15mm이며 비중이 0.2-0.4인 섬유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열합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부에서 상부로, 두께가 1-3mm인 제1치수보강층; 두께가 1.5-4.5mm인 코어층; 두께가 1-3mm인 제2치수보강층;을 포함하고, 내수성이 1.3%이상 4.4%미만이고, 비중이 0.5-0.7인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내수성은 실내 내장재용 보드를 상온의 물에 24시간 침지한 후 두께 변화를 측정한 것이며,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는 바닥재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인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합판하는 단계에서 열합판의 온도는 200-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합판하는 단계에서 열합판은 더블 벨트 프레스(Double belt press) 장치를 이용하여 합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합판하는 단계에서 상기 발포폼과 섬유 부직포 사이에 핫멜트 필름을 더 위치시킨 후 열합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합판 단계 후에 측면에 제혀(Tongue & groove)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열합판 단계 후에 클릭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제조방법.
  29.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제8항,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7항, 제20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의 실내 내장재용 보드의 상면에 표면재가 부착된 실내 내장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재는 열가소성 수지계 시트, 열경화성 수지계 시트 또는 목질계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와 표면재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내장재용 보드 하면에 밸런스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내장재.
KR1020160013834A 2016-02-04 2016-02-04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KR101979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34A KR101979065B1 (ko) 2016-02-04 2016-02-04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PCT/KR2017/000613 WO2017135596A1 (ko) 2016-02-04 2017-01-18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JP2018536409A JP6776358B2 (ja) 2016-02-04 2017-01-18 室内内装材用ボード及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並びにそのボードを用いた室内内装材
CN201790000553.4U CN209227891U (zh) 2016-02-04 2017-01-18 室内装饰材料用板材及室内装饰材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3834A KR101979065B1 (ko) 2016-02-04 2016-02-04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761A KR20170092761A (ko) 2017-08-14
KR101979065B1 true KR101979065B1 (ko) 2019-05-15

Family

ID=5950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834A KR101979065B1 (ko) 2016-02-04 2016-02-04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76358B2 (ko)
KR (1) KR101979065B1 (ko)
CN (1) CN209227891U (ko)
WO (1) WO20171355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20B1 (ko) * 2020-10-21 2021-02-23 박서경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321B2 (ja) * 2018-11-14 2022-09-0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複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593483B (zh) * 2019-09-19 2022-07-29 大亚人造板集团有限公司 一种轻质环保复合墙板制造方法
KR102624899B1 (ko) * 2019-10-25 2024-01-15 (주)엘엑스하우시스 마루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4593B1 (ko) * 2020-09-15 2022-06-02 신기현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KR102509438B1 (ko) * 2021-03-17 2023-03-14 (주)원투비씨에스티 삼을 이용한 바이오복합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595A (ja) * 2007-06-07 2008-12-18 Nakagawa Sangyo Kk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4167A (ja) * 1993-04-06 1994-10-21 Jsp Corp 型枠兼用断熱ボード
KR19990065077A (ko) * 1998-01-07 1999-08-05 성재갑 염화 비닐 수지 시트 적층 멜라민 수지 패션 벽 판넬
JP2000185384A (ja) * 1998-12-24 2000-07-04 Dainippon Ink & Chem Inc 水周り構築物用パネル材及びその製造法
JP2001248079A (ja) * 2000-02-29 2001-09-14 Matsui Shikiso Chem Co Ltd 新規な高品質壁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11146A (ja) * 2002-06-04 2004-01-15 Achilles Corp フローリング材
KR101317063B1 (ko) 2007-04-12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KR101108874B1 (ko) * 2008-05-13 2012-01-30 한일이화주식회사 경량성 다층 구조물 및 제조방법
JP2011011337A (ja) * 2009-06-30 2011-01-20 Sumitomo Bakelite Co Ltd 板材用材料、化粧板及び板材用材料の製造方法
EP2402155A1 (en) * 2010-06-30 2012-01-04 Spanolux N.V. Div. Balterio A panel comprising a polymeric composite layer and a reinforcement layer
KR101320265B1 (ko) * 2010-12-24 2013-10-29 (주)엘지하우시스 무늬목 형태의 pla 표면층을 갖는 마루 바닥재
KR101396822B1 (ko) * 2012-06-04 2014-05-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연속섬유 강화 프리프레그 시트를 이용한 열가소성 복합소재 제조방법
KR101446618B1 (ko) * 2012-09-20 2014-10-07 우진폼테크(주) 실내용 강화 흡음 마감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67772B1 (ko) * 2014-02-07 2015-11-20 한일이화 주식회사 고강성 경량다층 차량 내장재용 기재
CN106163794B (zh) * 2014-03-31 2018-09-28 爱克工业株式会社 装饰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595A (ja) * 2007-06-07 2008-12-18 Nakagawa Sangyo Kk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220B1 (ko) * 2020-10-21 2021-02-23 박서경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761A (ko) 2017-08-14
JP6776358B2 (ja) 2020-10-28
JP2019504946A (ja) 2019-02-21
CN209227891U (zh) 2019-08-09
WO2017135596A1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065B1 (ko)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US11732468B2 (en) Sound attenuating laminate materials
EP3530840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P3744924B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20080045101A1 (en) Decorative dual scrim composite panel
KR102245407B1 (ko) 다중레이어 패널
JP2733641B2 (ja) 建築用板
JP2010538863A (ja) 高圧積層シートを備える複合材シート
JP2000117709A (ja) 複合木質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66284B1 (ko) 클릭 합판마루
JP3777838B2 (ja) 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16940462A (zh) 建筑镶板和制造这种建筑镶板的方法
JPH0726472U (ja) 遮音床板
JP2001032515A (ja) 床 材
JP2003127156A (ja) 繊維系建築板の製造方法
KR20120102185A (ko) 준불연성을 갖는 패널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20144112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JP3101058U (ja) 造作材
JP2010001704A (ja) 化粧板材
KR20130011156A (ko) 섬유보드를 이용한 패널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