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575B1 -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 Google Patents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575B1
KR100437575B1 KR10-2001-0069635A KR20010069635A KR100437575B1 KR 100437575 B1 KR100437575 B1 KR 100437575B1 KR 20010069635 A KR20010069635 A KR 20010069635A KR 100437575 B1 KR100437575 B1 KR 100437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melamine
phenol
composi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815A (ko
Inventor
김광민
송완호
김형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US10/220,477 priority Critical patent/US6835676B2/en
Priority to JP2002554506A priority patent/JP2004516957A/ja
Priority to CN01805295A priority patent/CN1404441A/zh
Priority to PCT/KR2001/002292 priority patent/WO2002053373A1/en
Priority to ES01272958T priority patent/ES2256166T3/es
Priority to AU2002217603A priority patent/AU2002217603B2/en
Priority to TW90132958A priority patent/TW587987B/zh
Priority to EP01272958A priority patent/EP1365912B1/en
Priority to AT01272958T priority patent/ATE318207T1/de
Priority to DE2001617344 priority patent/DE60117344T2/de
Publication of KR2002005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specially treated, e.g. surfaced, parchment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7/00Animal or vegetable based
    • B32B2317/12Paper, e.g. cardboard
    • B32B2317/122Kraft pap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객차 내부마감재, 선박 내장재, 각종 차량 내장재, 지하철 구내 벽면, 화장실 벽면, 실내 주방의 벽면, 천장, 바닥 등의 건축 내외장재, 인테리어, 및 가구에 사용될 수 있는 내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칫수변화율이 적으며, 굴곡시공이 가능한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a)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충전재를 함유하는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수지 배합물이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기재층; 및 b)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의 이면층을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불연 복합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객차 내부마감재, 선박 내장재, 각종 차량 내장재, 지하철 구내 벽면, 화장실 벽면, 실내 주방의 벽면, 천장, 바닥 등의 건축 내외장재, 인테리어, 및 가구에 사용될 수 있는 내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칫수변화율이 적으며, 곡면시공이 가능한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인 멜라민 화장판은 멜라민수지 함침 표면보호층, 멜라민수지 함침 모양층, 및 페놀수지를 크라프트지에 함침한 코아층을 구성하여 다단프레스로 고온 고압에서 성형한다. 그러나 이들 화장판은 많은 양의 수지, 및 펄프층을 포함하므로 불에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화성을 요구하는 상용건물의 내외장재와 가구 등은 석재 등을 연마하여 사용하거나 금속을 가공하여 사용하고, 또는 사기, 도기 등의 타일을 부착한다. 그러나 이들 재료들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내화성이 우수한 반면에 제조비용이 높고, 무거우며, 가공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화려한 장식미를 나타내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의 무기물을 기재층에 포함하는 불연 멜라민 화장재가 개시되었고, 그 예는 일본공개특허공보 평3-253342호(도 1), 평11-268186호(도 2), 평10-305527호(도 2, 도 3), 평10-305525호(도 2, 도 3) 등과 같다. 이들은 위로부터 모양지와 멜라민 수지를 사용하는 화장층용 시트, 글래스 섬유 부직포, 및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무기충전재를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에 혼합하고 함침 또는 코팅하여 제조되는 기재층, 글래스 섬유 직포를 멜라민수지 또는 페놀수지에 혼합하고 함침하여 제조되는 보강층, 상기 기재층, 및 상기 화장층으로 구성하고, 이들을 다단프레스에서 고온 고압으로 성형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불연 멜라민 화장패널은 일반 멜라민 화장판에 비하여 내화성이 향상되었지만 화장판의 강도 향상 및 제조 작업성을 위하여 많은 양의 수지를 사용하므로 불연성 및 칫수 안정성을 만족시키기에는 미흡한 면이 많고, 수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무기충전재를 사용하므로 제조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불연멜라민 화장판은 2 mm 이하의 두께에서 내충격성이 약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기가 곤란하며, 이들은 곡면시공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내화성, 내충격성 및 칫수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 자체에 우수한 굴곡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면층을 포함하여 곡면시공이 가능한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패널에 우수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무기충전재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불연 화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2은 종래의 불연 화장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불연 화장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비교예 2의 일반 멜라민 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6는 실시예 2의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의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 4의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5의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이 곡면시공되는 개념도이다.
도면부호 11은 화장층이고, 12는 기재층이고, 13은 보강층이고, 21은 모양층이고, 31은 이면층이고, 41은 일반 화장판이고, 51은 모양층 및 기재층을 포함하는 상부층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불연 복합패널에 있어서,
a)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충전재를 함유하는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수지 배합물이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기재층; 및
b)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의 이면층
을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연 화장복합패널에 있어서,
a) 모양지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충전재를 함유하는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의 수지 배합물이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기재층; 및
c)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의 이면층
을 포함하는 불연 화장복합패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작 용]
본 발명은 글래스 섬유, 알루미나 섬유와 같은 무기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직포, 부직포, 종이 등의 기재에 황토를 주재로 하는 무기충전재 및 내화성이 강한 난연제를 포함하는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 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 처리시킨 시트를 1 내지 여러 장 적층시킨 재료를 기재로 하고, 이 기재의 이면에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을 이면층으로 위치시키고 고온고압으로 성형하여 일체화시킨 불연 복합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불연 복합패널은 불연성 뿐만 아니라 내화성, 내충격성 및 칫수안정성이 보다 우수하며, 이면층에 의해 곡면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불연 복합패널을 하나의 기재로 하여, 기재 위에 표면에 멜라민 수지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함침 모양지가 겹쳐져 일체화됨으로써 표면이 화장된 불연 화장복합패널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 및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상기 기재층과 모양층 사이, 기재층과 기재층 사이, 또는 기재층과 이면층 사이에, 유리섬유, 알루미나섬유 등의 무기섬유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난연성의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처리시킨 보강층을 개재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재층과 보강층은 복수 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사용용도 및 두께에 따라서 다양화된다. 특히 벽체로 사용될 때에는 두께 2 내지 5 mm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의 기재층의 개수는 1 내지 5 매이며, 보강층은 필요에 따라서 1 내지 12 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면층은 0.2 내지 3 mm의 두께가 곡면시공을 위하여 적합하며, 내충격성을 고려하면 2 내지 3 mm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은 불연 화장복합패널로 제조될 때 다양한 방법으로 화장시킬 수 있다. 화장방법은 도료등을 불연 복합패널의 표면에 도장하거나, 상기와 같이 모양지에 열경화성 수지 등을 함침 또는 코팅처리하고, 이를 불연 패널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대표될 수 있다. 특히 도장되는 도료의 수지, 또는 모양층에 함침되는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등의 종류에 따라서 멜라민 화장복합패널, 페놀 화장복합패널, 아크릴 화장복합패널, 우레탄 화장복합패널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에 보다 적합한 화장복합패널은 표면에 난연성을 부여하고, 불연 복합패널이 열경화성 수지인 것을 고려하여, 모양지에 열경화성 수지 등을 함침 또는 코팅처리한 모양층을 표면에 위치시켜 열압 부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복합패널의 유형은 하기와 같다.
첫째 유형의 황토를 사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위로부터
ⅰ) 모양층;
ⅱ)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ⅲ) 이면층
를 포함한다(도 5).
둘째 유형의 황토를 사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위로부터
ⅰ) 모양층;
ⅱ) 1 내지 5 개의 기재층;
ⅲ)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및
ⅳ) 이면층
을 포함한다(도 6).
셋째 유형의 황토를 사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위로부터
ⅰ) 모양층;
ⅱ)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ⅲ)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ⅳ) 이면층
을 포함한다(도 7).
네째 유형의 황토를 사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위로부터
ⅰ) 모양층;
ⅱ) 1 내지 5 개의 기재층;
ⅲ)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ⅳ)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ⅴ) 이면층
을 포함한다(도 8).
다섯째 유형의 황토를 사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위로부터
ⅰ) 모양층
ⅱ)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및
ⅲ)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ⅳ)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ⅴ) 이면층
을 포함한다(도 9).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은 상기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다섯 가지 유형에 있어서 최상층인 모양층을 포함하지 않고 최상층이 기재층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불연 복합패널은 화장을 안하고 그대로 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별도의 화장방법으로 화장이 될 수 있는 것이거나 시공 현장에서 별도로 도료 도장 등으로 화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층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재층은 무기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무기충전재를 함유하는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 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이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시트상의 층이다.
상기 기재층용 기재는 유리섬유, 또는 알루미나섬유 등의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와 같은 종이가 바람직하다. 특히 니들링 기계에서 섬유경 6 내지 30 ㎛의 E-글래스(E-Glass) 조성의 유리섬유를 10 내지 50 ㎜의 길이로 절단한후 에폭시, 아크릴,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 등의 바인더를 섞어 혼합하여 제조한 유리 섬유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는 평량 30 내지 200 g/㎡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량이 30 g/㎡ 미만이면 제조되는 화장 패널의 강도가 부족하여, 함침 또는 코팅, 성형, 또는 취급할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평량이 200 g/㎡ 이상이면 딱딱하여 함침성 또는 코팅성, 및 제조 작업성이 좋지 않다.
상기 기재층용 기재에 함침되는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 변성수지 등의 수지 배합물은
ⅰ)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고형분 기준);
ⅱ) 황토 50 내지 80 중량%;
ⅲ)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 및
ⅳ) 용제(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배합물 내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 변성수지가 5 중량% 이하이고 난연제가 4.0 중량% 이상이면 KS F 2271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의 결과에서 난연 1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배합물중 프레스 성형 후 사용자의 제품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황토의 무기충전재의 일부를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활석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대체 무기 충전재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의 수지 배합물의 조성은
ⅰ)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고형분 기준);
ⅱ) 황토 40 내지 70 중량%;
ⅲ)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대체 무기충전재 3 내지 20 중량%;
ⅳ)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
ⅴ) 용제(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배합물은 그대로의 상태, 또는 물, 알코올 등의 희석제를 추가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지 배합물의 함침(또는 코팅)량은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내지 200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함침량이 400 중량부 미만이면 규정 두께를 맞추기 위하여 많은 량의 시트가 필요하게 되어서 비용이 상승되고, 2000 중량부를 초과하면 건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낮아지며, 프레스로 성형된 후의 층간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상기 멜라민 변성수지 및 페놀 변성수지는 액상형으로, 멜라민 또는 페놀 25 내지 45 중량%, 포름알데히드 30 내지 60 중량%, 가소제 2 내지 5 중량%, 용제로 증류수 10 내지 25 중량%를 통상적인 중합방법으로 반응시켜 제조되는 1차 축합물이다. 또한 상기 멜라민 수지의 경우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추가로 경화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인 및 질소를 함유하는 액상 난연제와 디시안디아마이드의 고상 난연제를 혼용하여 사용한다. 투입방법은 상기 1차 축합물 100 중량부에 인/질소계 난연제 15 내지 30 중량부, 고상형 난연제 디시안디아마이드 5 내지 10 중량부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난연제를 혼합함으로써 수지는 난연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인 및 질소를 함유하는 액상 난연제는 독일 에스테이더블유 트로스트베르그(SKW Trostberg)사의 Melflam 131 A가 바람직하며, 이 액상 난연제는 여러 가지의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활성성분이 35 내지 45 중량%이다. 이 난연제의 역할은 화재로 인하여 화장패널이 열을 받게될 때 폴리인산의 열적 축중합을 촉진시켜 고분자 폴리인산을 생성하며, 생성된 고분자의 폴리인산은 탈수소 촉매로 작용하여 숯을 형성하므로 산소와 열을 차단하게 되므로 우수한 불연성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한다. 또한 멜라민 수지에 포함된 많은 질소성분 또한 고분자 폴리인산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인 및 질소를 함유하는 액상 난연제는 디시안디아마이드의 고상 난연제와 함께 사용하면 난연 상승작용을 일으켜 효과가 배가된다.
상기 디시안디아마이드는 고상으로 상기 수지 배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 물, 암모늄염 등의 여러물질과 다양한 반응을 하여 불에 타지 않는 물질로 변하게 되어 난연효과를 나타내며, 화재로 인하여 화장패널이 열을 받게될 때 화장패널이 타는 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특히 상기 인 및 질소를 함유하는 액상 난연제와 함께 사용하면 난연상승 효과를 일으켜 효과가 배가된다.
상기 무기충전재로 사용되는 황토는 화재로 인하여 화장패널이 열을 받게될 때 연소가 되지 않고 열을 전달하지 않으며, 황토성분에 포함되어 있는 결정수가 열을 흡수하여 난연 효과를 주게된다. 또한 황토는 화장패널이 고온 고압으로 성형될 때 수지에 고르게 열전달을 하여 각 층 간에 우수한 접착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황토는 일반적으로 제독능력이나 항균작용 등의 약리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환경오염 물질을 정화시키는 정화제, 미용재료, 민간요법 치료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황토는 종래의 사용효과 이외에도 원적외선 방사 능력이 있기 때문에 인해 본 발명의 복합패널의 기재에 포함되어 인체의 온열 효과와 건물 보온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토는 생산되는 산지에 따라 백색, 황색, 적색 등의 색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경상남도 산청, 청도, 전라남도 구례, 화순, 및 전라북도 부안 등에서 채취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황토는 이산화규소 10 내지 90 중량%, 산화알루미늄 10 내지 80 중량%, 산화철 0.1 내지 50 중량%, 산화마그네슘 0.1 내지 30 중량%, 산화칼슘 0.1 내지 50 중량%, 산화칼륨 0.1 내지 30 중량%, 산화광물 및 무기물질 0.1 내지 5 중량%, 수분 0 내지 5 중량%, 나머지 불순물 0.1 내지 20 중량%의 조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토는 천연황토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300 내지 1000 ℃의 온도로 소성처리한 소성황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성황토는 황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을 제거하고, 황토에 불규칙하게 포함되어 있는 미세기공 및 결정수를 일정 수준으로 감소시킨 것이다. 이러한 소성황토는 수지에 배합될 때 흡유량이 감소되어 보다 다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보다 우수한 난연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충전재로 사용되는 황토의 입도분포는 5 내지 300 ㎛가 바람직하고, 평균입도는 10 내지 50 ㎛가 바람직하다. 규정 입도 이하의 것을 사용하면 수지와 용제의 흡유성이 강하여 점도가 매우 높게 되어 함침 또는 코팅 작업성이 나쁘게되며, 규정입도 이상의 것을 사용하면 함침 또는 코팅 후 고온고압 성형시 표면에 큰 입자 사이즈로 인한 패널 표면 평활성이 낮아질 수가 있다.
상기 황토의 일부를 대체하는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 활석 등의 대체 무기충전재는 입도가 10 내지 5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정 이하의 입도의 것을 사용하면 수지와 용제의 흡유성이 강하여 배합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작업성이 좋지 않게 되며, 규정 이상의 입도 사용시 제품 성형후 큰 입자 크기로 인하여 표면 평활성이 낮아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복합패널 및 화장복합패널은 상기 기재층과 모양층 사이, 기재층과 기재층 사이, 또는 기재층과 이면층 사이에, 유리섬유, 알루미나섬유 등의 무기섬유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를 함침 또는 코팅처리시킨 보강층을 개재시킬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의 기재가 직포인 경우, 평량은 30 내지 150 g/㎡가 바람직하다. 평량이 30 g/㎡ 미만이면 섬유의 굵기가 너무 가늘고 유연하여 취급성 및 작업성(적층)이 나쁘게 되며, 150 g/㎡을 초과하면 섬유의 굵기가 커져서 패널 제조후 섬유의 흔적이 표면에 전사되어 나타날 수가 있고 또한 섬유층 상하간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가 있다. 이러한 보강층용 기재에 사용되는 무기섬유 직포는 E-글래스 조성의 유리섬유를 직조기로 제직하여 제조한 유리섬유 직포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층의 기재가 그라프트지인 경우, 평량은 70 내지 300 g/㎡가 바람직하다. 평량이 70 g/㎡ 미만이면 함침, 적층 등의 작업성이 나쁘게 되며, 300 g/㎡을 초과하면 패널을 제조할 때 요구되는 두께를 맞추기 어렵고 섬유층 상하간의 접착력이 약해져서 층이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상기 보강층은 무기섬유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 100 중량부에 상기 기재층에 사용되는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 변성수지의 배합물을 40 내지 200 중량부로 함침(또는 코팅)하여 사용한다. 또한 무기충전재인 황토를 포함하지 않은 멜라민 변성수지 단독 또는 페놀 변성수지 단독으로 40 내지 100 중량부를 함침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사용되는 수지량이 증가시킬수록 난연성은 좋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화장복합패널에 사용되는 모양층은 시트상이며, 합성펄프, 나무, 직물, 유기 합성섬유 등으로 만들어진 평량 40 내지 200 g/㎡의 종이 기재 100 중량부에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등의 수지가 50 내지 200 중량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가 사용되며, 모양층 기재에 산화티탄 등의 무기질 성분을 혼합하면 난연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 수지량이 적을수록 난연성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면층은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으로, 이들은 우수한 강도와 내식성 및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서 철도 객차, 선박, 자동차 등의 내장재에 적합하다. 특히 알루미늄 시트의 합금재질은 A1050, A3004, A5052가 좋으나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들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은 기재와 함께 일체로 열압 성형되기 위하여 표면에 각종의 열경화성 수지로 코팅처리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면층은 본 발명의 복합패널 및 화장복합패널이 곡면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내충격성을 크게 부여한다. 곡면시공 정도를 나타내는 곡률반경은 이면층(31)의 두께에 따라서 다르지만, 그 두께가 0.5 내지 2 mm인 경우, 0.4 내지 1.0 mm 사이의 상부층(51)(기재층, 모양층과 기재층, 모양층과 보강층 및 기재층, 모양층과 기재층과 보강층 및 기재층 등의 유형)의 이면에 위치시키고 이를 일체로 열압성형하여 제조할 경우, 도 10과 같이 곡률반경 30 mm까지도 곡면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면층 없이 곡면시공할 경우 또는 임의의 힘으로 구부릴 경우, 기재층 또는 모양층이 항력이 약하여 부셔지게 된다.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 및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각각의 층을 제조한 후, 이를 적층하고 다단프레스에서 가열가압하여 제조된다. 이때 기재층과 보강층용 시트는 패널의 두께를 고려하여 여러 장을 사용하고 표면에는 모양층이 각 1 매씩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가압 성형시 표면에 경면판, 엠보판 등을 제품표면에 겹쳐져서 성형할 경우 엠보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패널 및 화장복합패널은 종래기술로 제작된 2.5 내지 4.5 mm 두께의 멜라민 불연패널에 비해 최소 3 배 이상의 내충격 강도와 더불어 동일하게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가지므로 별도의 이면 보강판재 없이 철, 나무, 벽면 등 프레임에 화장복합패널 그 자체로 접착제, 나사, 못 등을 이용하는 부착 시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장복합패널은 외면에 화장면이 보일 수 있도록 모양층이 외면을 향하도록 부착 시공한다.
본 발명의 불연 복합패널 및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내화성과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칫수변화율이 적기 때문에 철도 객차 내부마감재, 선박내장재, 각종 차량 내장재, 지하철 구내 벽면, 화장실 벽면, 실내 주방의 벽면, 천장, 바닥 등의 건축 내외장재, 철도 객차 바닥, 인테리어, 및 가구에 적합하며, 곡면시공도 가능하기 때문에 그 적용분야는 다양하다.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기재층 및 난연크라프트층용 난연 멜라민 수지 및 황토 배합물의 제조)
멜라민 1 몰에 대하여 포름알데히드 1.7 몰을 가하고, 이들을 95 ℃의 온도 및 약알칼리 하에서 반응시키고, 가소제와 물을 가하여 함량을 조절하여 초기 축합물을 얻는다. 이 초기 축합물 100 중량부에 경화제로 파라톨루엔술폰산(PTSA)과 잠재성 경화제(고온에서만 반응을 촉진시키는 경화제)인 독일 에스케이더블유 트로스트베르그(SKW Trostberg)사의 Melpers RH4를 각각 0.1 중량부를 첨가하여 멜라민 수지를 얻었다. 이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에 액상 난연제인 Melflam 131A 20 중량부와 고상 난연제인 디시안디아마이드 4.0 중량부를 투입하여 난연 멜라민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 멜라민 수지 100 중량부에 평균입도 10 내지 50 ㎛의 황토를 900 중량부를 첨가 혼합하여 난연 멜라민 수지와 황토의 수지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기재층 시트의 제조)
상기 난연 멜라민 수지와 황토의 배합물을 아크릴수지계 바인다로 처리시킨 평량 110 g/㎡의 E-글래스 섬유 부직포에 건조 기준 함침률 800 중량%가 되도록 함침 및 건조하여 기재층 시트를 얻었다.
(모양층용 멜라민 수지의 제조)
멜라민 1 몰에 대하여 포름알데히드 1.7 몰을 가한 후, 이들을 95 ℃의 온도 및 약알칼리 하에서 반응시키고 물을 가하여 수지의 함량을 조절하여 초기축합물을 얻는다. 이 초기 축합물에 100 중량부에 경화제로 파라톨루엔 술폰산(PTSA)과 잠재성 경화제 ( 고온에서만 반응을 촉진시키는 경화제 ) 인 독일 에스케이더블유 트로스트베르그(SKW Trostberg)사의 Melpers RH4를 각각 0.2 중량부를 첨가하여 멜라민수지를 제조하였다.
(모양층 시트의 제조)
상기 멜라민수지에 산화티탄이 혼입된 80 g/㎡의 인쇄 모양지를 90 중량% 함침하여 모양층을 제조하였다.
(이면층 시트의 제조)
두께 0.8 mm인 알루미늄 시트의 표면에 멜라민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를 0.05 내지 0.2 mm 두께로 고르게 도포한 후 완전 자연건조하여 이면층을 제조하였다.
(불연 화장 복합패널의 제조 : 도 5)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기재층 시트 1 매 및 이면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모양층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1.5 mm 두께의 불연 멜라민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재층용 및 보강층용 난연 페놀 수지 및 황토 배합물의 제조)
페놀 1 몰에 대하여 포름알데히드 1.4 몰을 가하고, 이들을 100 ℃의 온도 및 약알칼리 하에서 반응시키고, 가소제, 에탄올, 및 물을 가하여 함량을 조절하여 초기 축합물을 얻는다. 이 초기 축합물 100 중량부에 액상 난연제인 Melflam 131A 20 중량부와 고상 난연제인 디시안디아마이드 4.0 중량부를 투입하여 난연 페놀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 페놀 수지 100 중량부에 평균입도 10 내지 50 ㎛의 황토를 900 중량부 첨가 혼합하여 난연 페놀 수지와 황토의 수지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기재층 시트의 제조)
상기 난연 페놀 수지와 황토의 배합물을 아크릴수지계 바인다로 처리시킨 평량 110 g/㎡의 E-글래스 섬유 부직포에 건조 기준 함침률 800 중량%가 되도록 함침 및 건조하여 기재층 시트를 얻었다.
(모양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모양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보강층 시트의 제조)
상기 난연 페놀 수지와 황토의 수지 배합물을 평량 60 g/㎡의 E-글래스 섬유 직포에 건조 기준 300 중량%가 되도록 함침 및 건조하여 보강층 시트를 얻었다..
(이면층 시트의 제조)
두께 0.4 mm인 전기아연도강판의 표면에 페놀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를 0.05 내지 0.2 mm 두께로 고르게 도포한 후 완전 자연건조하여 이면층을 제조하였다.
(불연 화장 복합패널의 제조 : 도 6)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기재층 시트 1 매, 보강층 1 매 및 이면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모양층 위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1.5 mm 두께의 불연 멜라민화장 아연도강판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기재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기재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보강층-난연크라프트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난연페놀 수지를 평량 300 g/㎡의 함침용 난연크라프트지에 건조 기준 80 중량%가 되도록 함침 및 건조하여 난연크라프트층 시트를 얻었다.
(모양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난연멜라민 수지를 산화티탄이 혼입된 80 g/㎡의 인쇄 모양지에 90 중량% 함침하여 모양층을 제조하였다.
(이면층 시트의 제조)
두께 0.4 mm인 알루미늄 시트의 표면에 페놀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를 0.05 내지 0.2 mm 두께로 고르게 도포한 후 완전 자연건조하여 이면층을 제조하였다.
(불연화장 복합패널의 제조; 도 7)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보강층 1 매, 기재층 시트 1 매, 및 이면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모양층 위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1.5 mm 두께의 불연 페놀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기재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기재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보강층-난연크라프트층 시트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난연페놀 수지를 평량 300 g/㎡의 함침용 난연크라프트지에 건조 기준 80 중량%가 되도록 함침 및 건조하여 난연크라프트층 시트를 얻었다.
(모양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모양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면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이면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불연화장 복합패널의 제조; 도 8)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기재층 시트 2 매, 난연크라프트층 시트 1 매, 기재층 시트 1 매, 및 이면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양측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3.0 mm 두께의 불연 멜라민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기재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기재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보강층-난연크라프트층 시트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난연페놀 수지를 평량 300 g/㎡의 함침용 난연크라프트지에 건조 기준 80 중량%가 되도록 함침 및 건조하여 난연크라프트층 시트를 얻었다.
(모양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모양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면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이면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불연화장 복합패널의 제조; 도 9)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난연크라프트층 시트 1 매, 기재층 시트 3 매, 난연크라프트층 시트 1 매, 및 이면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양측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3.0 mm 두께의 불연 멜라민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기재층 시트의 제조)
무기충전재로 황토 대신에 10 내지 50 ㎛의 수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기재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모양층 시트의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모양층 시트를 제조하였다.
(불연 멜라민 화장 패널의 제조; 도 1)
실시예 1과 같이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기재층 시트 5 매, 및 모양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양측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3.0 mm 두께의 불연 멜라민 화장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모양층 및 크라프트층의 제조)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모양층과 일반 멜라민화장판용 멜라민수지 함침 크라프트지를 기재층으로 제조하였다.
(이면층 시트의 제조)
두께 1.0 mm인 알루미늄시트의 표면에 열경화성수지 접착제를 0.05 내지 0.2 mm 두께로 고르게 도포한 후 완전 자연건조하여 이면층을 제조하였다.
(일반 멜라민 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의 제조 : 도 4)
상기에서 제조된 각각의 시트들을 위에서부터 차례로 모양층 1 매, 페놀수지함침크라프트 시트(기재층) 3 매 및 이면층 1 매의 순으로 적층시키고 모양층에 스테인레스 경면판을 포개어 150 ℃의 온도, 100 kgf/㎠의 압력으로 30 분간 고온프레스에서 열압하여 1.5 mm 두께의 일반 멜라민 화장 알루미늄 복합패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각각의 불연 화장복합패널의 물성을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교예 1 비교예 2
불연성 표면시험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기재시험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불합격
칫수안정성 1(70 ℃, 24 hr) -0.03 % -0.03 % -0.03 % -0.06 % -0.06 % -0.10 % -0.10 %
칫수안정성 2(45 ℃, 95 % 습도, 96 hr) +0.01 % +0.01 % +0.01 % +0.03 % +0.04 % +0.05 % +0.02 %
내충격성(67 g 철구 낙하시험) 900 mm 900 mm 900 mm 900 mm 900 mm 100 mm 900 mm
두 께 1.5 mm 1.5 mm 1.5 mm 3.0 mm 3.0 mm 3.0 mm 1.5 mm
최소곡률반경(R) 30 mm 30 mm 30 mm 70 mm 70 mm 1200 mm 30 mm
상기 표에서,
불연성은 KS F2271의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에 따라서 실시된 시험 결과이고,
각각의 칫수안정성은 JIS K6902의 열경화성 수지 화장판 시험방법에 기재된 칫수안정성 시험방법에 따라서 실시된 시험 결과이다.
또한 최소 곡률반경은 패널의 양끝을 잡고 중앙부로 잡아당겼을 때 모양층이 깨지지 않고 굴곡될 때의 곡률반경(R)을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황토를 사용한 불연 복합패널 및 불연 화장복합패널은 유리 섬유, 알루미나 섬유 등의 무기섬유로부터 제조되는 직포, 부직포, 또는 그라프트지 등의 다공질 시트와 황토를 주요 무기충전재로 사용하고 난연제를 첨가한 멜라민 또는 페놀수지 및 그 변성수지로 되는 배합물이 일체화 되는 기재층을 포함하며, 치수안정성 및 내충격성이 뛰어난 알루미늄 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을 이면층으로 보강하여 철도객차 내장재, 선박 내장재, 각종자동차의 내장재, 건축 내외장재, 인테리어 및 가구용, 바닥용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복합패널이며, 이들은 내화성과 내충격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칫수안정성이 우수하여 변형이 거의 없으며, 곡면시공도 가능하다.

Claims (30)

  1. 위로부터
    a)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지로 이루어지는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iv) 및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된 하나 이상의 기재층; 및
    c)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을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패널의 기재층과 기재층 사이, 기재층과 이면층 사이, 또는 기재층과 모양층 사이에,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의 기재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 변성수지를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하나 이상의 보강층을 개재시킨 불연 복합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기재층은 수지 배합물의 함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400 내지 2000 중량부인 불연 복합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수지 배합물이
    ⅰ) 멜라민 또는 페놀 25 내지 45 중량%, 포름알데히드 30 내지 60 중량%,
    가소제 2 내지 5 중량%, 및 물 10 내지 25 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고형분 기준);
    ⅱ) 황토 50 내지 80 중량%;
    ⅲ)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 및
    ⅳ) 용제로 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수지 배합물이
    ⅰ) 멜라민 또는 페놀 25 내지 45 중량%, 포름알데히드 30 내지 60 중량%, 가소제 2 내지 5 중량%, 및 물 10 내지 25 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고형분 기준);
    ⅱ) 황토 40 내지 70 중량%;
    ⅲ)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종 이상 선택되는 무기충전재 3 내지 20 중량%;
    ⅳ)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
    ⅴ) 용제로 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황토는 입도 분포가 5 내지 300 ㎛이고, 평균입도가 10 내지 50 ㎛인 불연 화장복합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황토는 산지가 경상남도 산청, 청도, 전라남도 구례, 화순, 또는 전라북도 부안인 불연 복합패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황토는 이산화규소 10 내지 90 중량%, 산화알루미늄 10 내지 80 중량%, 산화철 0.1 내지 50 중량%, 산화마그네슘 0.1 내지 30 중량%, 산화칼슘 0.1 내지 50 중량%, 산화칼륨 0.1 내지 30 중량%, 산화광물 및 무기물질 0.1 내지 5 중량%, 수분 0 내지 5 중량%, 나머지 불순물 0.1 내지 20 중량%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황토는 천연황토를 300 내지 1000 ℃의 온도로 소성처리한 소성황토인 불연 복합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의 기재층의 기재는 유리섬유, 또는 알루미나섬유의 직포, 부직포, 또는 그라프트지이고, 평량이 30 내지 200 g/㎡인 불연 복합패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니들링 기계에서 섬유경 6 내지 30 ㎛의 E-글래스(E-Glass) 조성의 유리섬유를 10 내지 50 ㎜의 길이로 절단한후 에폭시, 아크릴, 및 폴리비닐 알코올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한 유리섬유 부직포인 불연 복합패널.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은 수지 배합물의 함침량이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500 중량부인 불연 화장복합패널.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배합물이
    ⅰ) 멜라민 또는 페놀 25 내지 45 중량%, 포름알데히드 30 내지 60 중량%,
    가소제 2 내지 5 중량%, 및 물 10 내지 25 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부;
    ⅱ)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부; 및
    ⅲ) 용제로 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부
    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배합물이
    ⅰ) 멜라민 또는 페놀 25 내지 45 중량%, 포름알데히드 30 내지 60 중량%,
    가소제 2 내지 5 중량%, 및 물 10 내지 25 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고형분 기준);
    ⅱ) 황토 50 내지 80 중량%;
    ⅲ)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 및
    ⅳ) 용제로 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배합물이
    ⅰ) 멜라민 또는 페놀 25 내지 45 중량%, 포름알데히드 30 내지 60 중량%,
    가소제 2 내지 5 중량%, 및 물 10 내지 25 중량%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멜라민 또는 페놀 수지 1차 축합물 3.0 내지 10.0 중량%(고형분 기준);
    ⅱ) 황토 40 내지 70 중량%;
    ⅲ)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및 활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무기충전재 3 내지 20 중량%;
    ⅳ) 난연제 1.0 내지 5.0 중량%; 및
    ⅴ) 용제로 물, 또는 알코올 10 내지 40 중량%
    를 포함하는 불연 복합패널.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의 기재는 평량이 30 내지 150 g/㎡인 유리섬유, 또는 알루미나섬유의 직포인 불연 복합패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의 기재가 E-글래스 조성의 유리섬유를 직조기로 제직하여 제조되는 유리섬유 직포인 불연 복합패널.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층의 기재는 평량이 70 내지 300 g/㎡인 그라프트지인 불연 복합패널.
  19. 제 1 항 있어서,
    상기 c)의 이면층은 표면이 열경화성 수지로 코팅처리된 불연 복합패널.
  20. 제 1 항 있어서,
    상기 c)의 이면층의 두께가 0.2 내지 3.0 mm인 불연 복합패널.
  21. 삭제
  22. 삭제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모양층은 열경화성 수지의 함침량이 모양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부인 불연 화장복합패널.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열경화성 수지가 멜라민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및 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연 화장복합패널.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모양지는 평량이 40 내지 200 g/㎡인 합성펄프, 나무, 직물, 및 유기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질의 종이인 불연 화장복합패널.
  26. 위로부터
    a)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지로 이루어지는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및 iv)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c) 표면에 열경화성수지가 코팅 처리된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이 적층되어 가열가압에 의하여 일체화된 불연 화장복합패널.
  27. 위로부터
    a)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지로 이루어지는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및 iv)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이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1 내지 5 개의 기재층;
    c)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및
    d) 표면에 열경화성수지가 코팅 처리된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이 적층되어 가열가압에 의하여 일체화된 불연 화장복합패널.
  28. 위로부터
    a)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지로 이루어지는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c)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및 iv)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d) 표면에 열경화성수지가 코팅 처리된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이 적층되어 가열가압에 의하여 일체화된 불연 화장복합패널.
  29. 위로부터
    a)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지로 이루어지는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및 iv)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5 개의 기재층;
    c)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d)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및 멜라민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및 iv)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된 1 내지 5 개의 기재층; 및
    e) 표면에 열경화성수지가 코팅 처리된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이 적층되어 가열가압에 의하여 일체화된 불연 화장복합패널.
  30. 위로부터
    a)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 또는 코팅처리된 모양지로 이루어지는 모양층;
    b)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된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c)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부직포, 또는 종이의 기재에, i) 페놀수지, 페놀 변성수지, 페놀-우레아 변성수지, 멜라민수지, 멜라민 변성수지, 및 멜라민-우레아 변성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경화성 수지, ii) 황토, iii) 난연제 및 iv)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되는 1 내지 5 개의 기재층;
    d) 무기섬유의 직포, 또는 크라프트지에 멜라민 변성수지 또는 페놀수지 변성수지의 수지 배합물을 함침 또는 코팅시켜 제조된 1 내지 12 개의 보강층; 및
    e) 표면에 열경화성수지가 코팅 처리된 알루미늄시트 또는 아연도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이 적층되어 가열가압에 의하여 일체화된 불연 화장복합패널.
KR10-2001-0069635A 2000-12-29 2001-11-09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KR10043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554506A JP2004516957A (ja) 2000-12-29 2001-12-28 不燃性複合パネ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燃性装飾複合パネル
CN01805295A CN1404441A (zh) 2000-12-29 2001-12-28 防火复合板及其制成的防火装饰复合板
PCT/KR2001/002292 WO2002053373A1 (en) 2000-12-29 2001-12-28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ES01272958T ES2256166T3 (es) 2000-12-29 2001-12-28 Panel de material compuesto resistente al fuego y panel de material compuesto decorativo al fuego usando el mismo.
US10/220,477 US6835676B2 (en) 2000-12-29 2001-12-28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AU2002217603A AU2002217603B2 (en) 2000-12-29 2001-12-28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TW90132958A TW587987B (en) 2000-12-29 2001-12-28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EP01272958A EP1365912B1 (en) 2000-12-29 2001-12-28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AT01272958T ATE318207T1 (de) 2000-12-29 2001-12-28 Feuerfeste komposit-panele und diese verwendende dekorative feuerfeste komposit-panele
DE2001617344 DE60117344T2 (de) 2000-12-29 2001-12-28 Feuerfeste komposit-panele und diese verwendende dekorative feuerfeste komposit-pane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422 2000-12-29
KR1020000085422 2000-12-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90U Division KR200263325Y1 (ko) 2000-12-29 2001-11-09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815A KR20020056815A (ko) 2002-07-10
KR100437575B1 true KR100437575B1 (ko) 2004-07-01

Family

ID=2768862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90U KR200263325Y1 (ko) 2000-12-29 2001-11-09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KR2020010034389U KR200264938Y1 (ko) 2000-12-29 2001-11-09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KR10-2001-0069636A KR100423023B1 (ko) 2000-12-29 2001-11-09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KR10-2001-0069635A KR100437575B1 (ko) 2000-12-29 2001-11-09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390U KR200263325Y1 (ko) 2000-12-29 2001-11-09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KR2020010034389U KR200264938Y1 (ko) 2000-12-29 2001-11-09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KR10-2001-0069636A KR100423023B1 (ko) 2000-12-29 2001-11-09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02633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74B1 (ko) * 2009-03-10 2009-12-28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칸막이와 문짝용 불연성 열경화성 수지 강판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1165565B1 (ko) 2012-03-08 2012-07-16 주식회사 케이피 불연 내장재가 함유된 친환경적인 선박 가구용 복합판넬
KR101293764B1 (ko) 2011-05-18 2013-08-05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불연성 외장 마감재
KR20160138243A (ko) * 2014-03-31 2016-12-02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325Y1 (ko) * 2000-12-29 200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KR100452486B1 (ko) * 2001-09-21 2004-10-12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난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451482B1 (ko) * 2002-04-24 2004-10-11 우진물산 주식회사 페놀복합수지를 이용한 바닥재
KR100491732B1 (ko) * 2002-11-28 2005-05-25 (주) 지오시스 이중바닥재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19417B1 (ko) * 2003-02-05 2005-10-07 주식회사 보광 천연 무늬목을 갖는 마루판의 제조방법
KR20050062667A (ko) * 2003-12-19 2005-06-27 요업기술원 고알루미나질 반토혈암을 이용한 온돌용 뮬라이트질 세라믹 패널
KR20050079438A (ko) * 2004-02-05 2005-08-10 최준한 방화문(벽)용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방화문(벽)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5465B1 (ko) * 2006-05-02 2007-12-14 김영 벽체용 황토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41592B1 (ko) 2006-10-19 2013-03-08 (주)엘지하우시스 유리재질의 직물을 적용한 내열 바닥장식재
KR100804731B1 (ko) 2006-11-21 2008-02-19 김명자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용기 제조방법
WO2008082054A1 (en) * 2007-01-04 2008-07-10 Shingwang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wood panels, method of manufacturing high-glossy synthetic resin film sheets employed for wood panels, and wood panels respectively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100826958B1 (ko) * 2007-02-09 2008-05-02 김승현 벌집형 내장재와 이를 구비하는 판넬과 벌집형 내장재제조방법 및 판넬 제조방법
KR100761693B1 (ko) * 2007-04-07 2007-09-28 주식회사 부일세이프텍 불연성 적층 시이트
KR101476394B1 (ko) * 2008-06-18 2014-12-24 (주)엘지하우시스 내수성 도어 표면재
KR100996654B1 (ko) 2010-05-26 2010-11-25 전병호 포름알데히드 방산 저감 합판으로 제조되는 가구재
KR101344442B1 (ko) * 2011-11-23 2013-12-23 (주)모린스코퍼레이션 유리섬유 보온단열재 성형용 발수성 바인더의 제조방법
KR101360144B1 (ko) * 2012-05-22 2014-02-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역 소프트 코어 내벽 마감재의 설치 방법
KR101220515B1 (ko) * 2012-06-14 2013-01-10 주식회사 한샘이펙스 황토를 포함하는 lpm 표면재의 제조방법
KR101450964B1 (ko) * 2012-08-13 2014-10-14 김정순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는 온열 황토판넬
KR101342390B1 (ko) 2013-05-20 2013-12-17 주식회사 광성테크 황토 마루판재 제조방법
KR101311190B1 (ko) 2013-05-23 2013-09-26 강상수 불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불연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보강패널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KR20160071140A (ko) 2014-12-11 2016-06-21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폴리우레탄 난연 바닥재 시공방법
KR101698178B1 (ko) * 2016-05-24 2017-01-19 김정림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난연성 섬유강화 플라스틱
KR101903122B1 (ko) * 2016-11-11 2018-10-01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준불연 열경화성수지 복합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2174476B1 (ko) * 2018-11-29 2020-11-05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경량성 구조의 친환경준불연 외장재
KR102188408B1 (ko) * 2019-03-18 2020-12-08 주식회사 이고진 적산전력량계 설치용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불연판재와 그의 설치방법
KR20230130440A (ko) 2022-03-03 2023-09-12 송현경 벽체 마감용 패널 고정부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481A (ko) * 1996-07-02 1998-04-30 기승철 불연성보드에 황토 흙이 내장된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H10305527A (ja) * 1997-03-03 1998-11-17 Sumitomo Bakelite Co Ltd 化粧板
JPH11198282A (ja) * 1998-01-16 199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機質系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38181A (ja) * 1999-02-23 2000-09-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化粧板、複合化粧パネル、および同パネルが施工された化粧壁面
JP2000263736A (ja) * 1999-03-17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機質系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41744Y1 (ko) * 2000-12-29 2001-09-25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KR200263325Y1 (ko) * 2000-12-29 200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8914A (ko) * 1996-01-29 1997-08-12 성재갑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갖는 멜라민 화장판 및 그 제조방법
TW455538B (en) * 1996-09-04 2001-09-21 Sumitomo Bakelite Co Flame-retardant or incombustible decorative laminated sheet
JPH11277705A (ja) * 1998-03-30 1999-10-12 Aica Kogyo Co Ltd 不燃性化粧板
KR20000056394A (ko) * 1999-02-20 2000-09-15 추두련 천연한지를 포함한 난연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83182Y1 (ko) * 1999-12-16 2000-05-15 주식회사메라톤 난연성 기능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화장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481A (ko) * 1996-07-02 1998-04-30 기승철 불연성보드에 황토 흙이 내장된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JPH10305527A (ja) * 1997-03-03 1998-11-17 Sumitomo Bakelite Co Ltd 化粧板
JPH11198282A (ja) * 1998-01-16 199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機質系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38181A (ja) * 1999-02-23 2000-09-05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属化粧板、複合化粧パネル、および同パネルが施工された化粧壁面
JP2000263736A (ja) * 1999-03-17 2000-09-26 Dainippon Printing Co Ltd 無機質系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41744Y1 (ko) * 2000-12-29 2001-09-25 주식회사 엘지씨아이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KR200263325Y1 (ko) * 2000-12-29 2002-0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974B1 (ko) * 2009-03-10 2009-12-28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칸막이와 문짝용 불연성 열경화성 수지 강판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1293764B1 (ko) 2011-05-18 2013-08-05 주식회사 서한안타민 불연성 외장 마감재
KR101165565B1 (ko) 2012-03-08 2012-07-16 주식회사 케이피 불연 내장재가 함유된 친환경적인 선박 가구용 복합판넬
KR20160138243A (ko) * 2014-03-31 2016-12-02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판
KR102009071B1 (ko) * 2014-03-31 2019-08-08 아이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화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938Y1 (ko) 2002-02-21
KR20020056815A (ko) 2002-07-10
KR100423023B1 (ko) 2004-03-30
KR200263325Y1 (ko) 2002-02-04
KR20020056816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575B1 (ko) 불연 복합패널 및 이를 이용한 불연 화장복합패널
JP4177105B2 (ja) 黄土を含む不燃性パネル及びこれを利用した不燃性装飾パネル
US6835676B2 (en) Fire-resistant composite panel and fire-resistant decorative composite panel using the same
US6803110B2 (en) Decorative laminat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RU2539158C2 (ru) Печатание на нетканых полотнах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ах
KR20140053805A (ko) 난연성 라미네이트
EP0249583B1 (en) Decorative plastics laminat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100685370B1 (ko) 철도차량 내장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1293764B1 (ko) 불연성 외장 마감재
KR200241744Y1 (ko) 황토를 포함하는 불연 화장판넬
JPH04185799A (ja) 難燃紙もしくは難燃ボードまたは難燃成形体の製造方法
JPH0624822B2 (ja) 化粧材
KR20050046262A (ko) 준 불연성 화장복합판넬
KR20020087818A (ko) 석고보드 양쪽면에 페놀수지를 기지재료로 하고 유리섬유Tissue로 보강된 복합재료가 형성되고, 그 하단면에마감처리재가 부착된 “Glass Tissue 보강 (준)불연성석고보드 제작 방법”
KR200282866Y1 (ko) 준 불연성 화장 판넬
EP2746438B1 (de) Aminoplastharzfilm
JP2001139703A (ja) シート状不燃成形体
JP2004142279A (ja) 不燃化粧板
AU2001257284A1 (en) Decorative laminate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