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043A -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043A
KR20160127043A KR1020167025922A KR20167025922A KR20160127043A KR 20160127043 A KR20160127043 A KR 20160127043A KR 1020167025922 A KR1020167025922 A KR 1020167025922A KR 20167025922 A KR20167025922 A KR 20167025922A KR 20160127043 A KR20160127043 A KR 20160127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laminate
melting point
resi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324B1 (ko
Inventor
요헤이 타나베
요이치 미즈시마
켄 이토
Original Assignee
다이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아텍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7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26Composites, e.g. carbon fibre or aramid fibre; the sole, one or more sole layers or sole part being made of a composit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386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2Football boots or shoes, i.e. for soccer, football or rugb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2S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된 신규한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해당 신발창을 포함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시켜 얻어진 선조체를 이용해서 형성된 포상체를 복수매 적층하고, 가열 압축해서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신발{SHOE SOLE, INSOLE OF SHOE, MAIN SOLE OF SHOE, AND SHOE}
본 발명은 신발창, 신발의 안창(insloe), 신발의 본창(out sole) 및 신발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가열 압축해서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된 신규한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신발에 관한 것이다.
신발창은, 발가락을 구부렸을 때 용이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앞쪽 발부분(발끝부)은 유연성을 지니고 있는 동시에, 중간 발부분(中足部)(발바닥의 장심부)으로부터 뒤쪽 발부분(발뒤꿈치부)에 걸쳐서는, 발바닥을 지지할 수 있도록, 어느 정도의 강성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신발의 안창은, 앞쪽 발부분에 비교적 연질 소재를 사용하고, 중간 발부분 및 뒤쪽 발부분에 비교적 경질 소재를 사용해서, 발바닥 형상으로 가공한 것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에는, 스포츠 슈즈의 안창으로서, 펄프 보드를 이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JPH8-303 A
본 발명자들은, 신발창이, 해당 신발을 장착한 사용자의 신체능력의 발휘, 특히 민첩성의 발휘에 주는 영향에 착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 시트 형상의 적층체를 신발창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종래 안창에서는 얻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던 수많은 각별한 효과가 얻어지고, 특히, 축구, 럭비, 야구, 육상 등의 필드 경기나 런닝, 워킹 등의 운동에 사용되는 신발창으로서 적합한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특정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된 신규한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해당 신발창을 구비하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하의 기재에 의해 명확해진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각 발명에 의해서 해결된다.
1.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시켜 얻어진 선조체(線條體: strand)를 이용해서 형성된 포상체(布狀體: cloth)를 복수매 적층하고, 가열 압축해서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
2. 상기 선조체는, 가열 온도와 같거나 그보다도 낮은 융점의 저융점 수지성분과, 가열 온도보다도 높은 융점의 고융점 수지성분을 포함하는, 상기 1항에 기재된 신발창.
3. 상기 저융점 수지성분과 상기 고융점 수지성분이 동종의 수지성분인, 상기 1 또는 2항에 기재된 신발창.
4. 상기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가, 복수의 상기 포상체 사이에, 접착용 필름을 개재시켜, 상기 접착용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용융시켜 형성된, 상기 1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
5. 상기 적층체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 또는 크레이프지가 접합되어 있거나, 혹은, 조면(粗面) 가공이 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
6.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 또는 양쪽을 따르는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
7. 상기 포상체의 적층 매수가 부분적으로 다르게 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
8. 상기 포상체는, 상기 선조체를 날실 및 씨실에 이용해서 직조되고,
상기 선조체의 투입 개수가 상기 포상체 내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
9. 상기 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에 의해서 구성된 신발의 안창.
10. 상기 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에 의해서 구성된 신발의 본창.
11. 상기 적층체에 스파이크(spike)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상기 10항에 기재된 신발의 본창.
12.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적층체의 밑면 쪽에 돌출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스파이크의 돌출 쪽과는 반대면 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상기 11항에 기재된 신발의 본창.
13. 상기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된 보강부(counter)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상기 10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의 본창.
14. 상기 1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을 포함하는 신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된 신규한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해당 신발창을 구비하는 신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a)는 앞쪽 발부분을 굴곡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2(b)는 중간 발부분으로부터 뒤쪽 발부분에 걸쳐서 굴곡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발의 윈들러스 기구(windlass mechanism)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2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 중의 (v)- (v)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2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3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3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1 중의 (xii)- (x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a) 내지 (e)는 선조체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7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신발창이란, 신발의 착용자의 발바닥보다도 지면 쪽에 배치되는 신발 구성부품을 가리키고, 신발의 안창 및 신발의 본창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의 신발창(1)의 설명은,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안창(1A) 및 본창(1B)에 공통되는 것이다.
(신발창의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 중의 큰 원은, 작은 원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형태는, 시트 형상의 적층체(2)에 의해서 형성된 신발창(1)(안창(1A), 본창(1B))을 예시하고 있다. 도면 중, (11)은 앞쪽 발부분(발끝부), (12)는 중간 발부분(발바닥의 장심부), (13)은 뒤쪽 발부분(발뒤꿈치부)이다.
적층체(2)는,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시켜 얻어진 선조체(3)를 이용해서 포상체(4)를 형성하고(포상체 형성 공정), 이어서, 얻어진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하고(적층 공정), 이어서, 가열 압축하고(가열 압축 공정), 더욱 냉각 압축시키는(냉각 압축 공정) 것에 의해, 일체화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조체(3)로서는, 포상체(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임의이고, 예를 들면, 테이프, 얀, 스플릿 얀, 모노필라멘트, 멀티필라멘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선조체(3)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연신 효과가 큰 수지, 일반적으로는 결정성 수지가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뷰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나일론6, 나일론66 등의 폴리아마이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가공성과 경제성, 나아가서는 비중의 작음으로부터 고밀도 폴리에틸렌,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상기 포상체(4)는, 선조체(3)를 이용해서 형성된 시트 형상체이다. 포상체(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실(3A) 및 씨실(3B)에 의해서 직조된 직포가 일반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적층체(2)는, 소망의 사이즈 및 소망의 형상에 맞춰서 재단된다. 재단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발바닥의 표면 형상 등에 맞춰서 만곡시켜 신발창(1)이 형태 부여된다.
본 발명자들이 확인한 바, 이러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2)를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은, 종래의 신발창과 마찬가지로 굴곡성이 양호하면서도, 내디딜 때에 발가락을 배후 굴곡시켜,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 발부분(11)을 굴곡시킨 상태(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하고 나서, 원래의 평탄한 상태(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돌아갈 때의 되돌리기가 빠른(되돌림 탄성(return elasticity)이 높은) 것에 의해, 내딛기 동작에 있어서의 발의 윈들러스(windlass) 기구를 보조하여, 보다 강한 추진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을 찾아내었다.
윈들러스 기구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가락이 배후 굴곡되도록 내딛기 동작을 행했을 때, 발가락의 배후 굴곡에 따라서, 발가락으로부터 발뒤꿈치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발밑바닥 근육막(발 밑바닥 건막)이 발뒤꿈치로부터 발부리 쪽을 향해서 도면 중 A방향으로 들어올려진 결과, 발가락의 밑동아리부에서 발뒤꿈치에 걸쳐서 형성되는 발의 아치가, 도면 중의 일점 쇄선의 상태(평상시)로부터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B방향으로 크게 만곡되어 들어올려지도록 작용하는 것이다. 들어올려진 아치에는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이것에 의해서 발가락이 뻗어서 원래로 돌아갈 때에 지면을 강하게 킥(kick)하여, 발이 앞으로 진행하기 위한 추진력이 된다. 이 윈들러스 기구는, 맨발 시에 비해서, 발등이 고정되는 신발의 착용시에는 감퇴된다고 말해지고 있다.
종래의 신발창은, 내딛기 시에 발가락을 배후 굴곡시켰을 때에 유연하게 추종해서 굴곡할 수 있도록, 앞쪽 발부분이 적당한 굴곡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래의 평탄한 상태로 돌아갈 때의 되돌리기가 완만한(되돌림 탄성이 낮은) 것이었다. 그 결과, 종래의 신발창은, 발의 윈들러스 기구를 보조할 수 없고, 발가락이 배후 굴곡된 상태로부터 원래로 돌아갈 때의 킥력(kicking force)을 충분히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은, 발가락을 배후 굴곡시켜서 내디딜 때, 종래의 신발창과 마찬가지로 유연하게 추종해서 굴곡 가능하면서도, 굴곡 상태로부터의 되돌림 탄성이 높다. 이 때문에, 윈들러스 기구에 의해서 들어올린 아치가 원래로 돌아가려고 하여 배후 굴곡된 발가락이 원래의 상태로 뻗으려고 하는 힘을 신발창(1)의 높은 되돌림 탄성이 보조한다. 이것에 의해, 발가락은 원래의 상태로 재빠르게 또한 강하게 돌아갈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강한 킥력을 발휘하여, 강한 추진력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는 각별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2)를 사용한 신발창(1)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지시나 발바닥 전체로 내디뎠을 때에 일어나는 중간 발부분(12)으로부터 뒤쪽 발부분(13)에 걸쳐서 지면 쪽으로 휘는 상태(실선으로 나타낸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한 상태(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상태)까지 복원되는 힘도 강한(복원력이 높은) 것을 찾아내었다.
종래의 신발창은, 유연하기 때문에, 착지 시 등에 휜 상태로부터 원래의 평탄한 상태까지 복원하는 힘이 약한(복원력이 낮은) 것이었다. 그러나, 이 신발창(1)은, 되돌림 탄성이 높은 것에 의해, 착지시 등에 일어나는 휨으로부터의 복원력도 높다고 하는, 종래의 신발창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효과를 구비하고 있다. 신발창(1)은, 착지시나 발바닥 전체로 내디뎠을 때의 휨으로부터의 복원력이 높은 것에 의해, 착지로부터 다음 동작으로 이행할 때의 민첩한 동작이 가능해진다는 각별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에 따르면, 특히 운동 경기에서 중요한 스타트 동작의 속도, 민첩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운동시, 신발창에는 발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발폭방향의 움직임(비틀림))도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은, 이러한 발폭방향의 비틀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높은 되돌림 탄성과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발의 전진 방향뿐만 아니라 가로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강한 추진력과 높은 민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적층체(2)는 열가소성 수지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비중이 낮고 경량이며, 기계적 강도도 높다. 이 때문에, 이 신발창(1)은, 신발창으로서 통상 요구되는 강성을 구비한 종래 일반의 신발창과 동등한 강성에서 비교했을 경우,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고, 경량이며 굴곡성도 양호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에 따르면, 얇게 됨으로써, 신발의 착용자의 발과의 일체감이 높아지고, 지면의 감촉 등을 발바닥으로 지각할 수 있는 감각(발바닥 감각)이 얻어지고, 신은 착용감이 양호하다는 각별한 효과도 얻어진다.
특히 축구 등과 같이 발의 움직임을 주체로 하는 경기에서는, 신발을 개재해서 지면이나 공 등의 감촉을 어느 정도 발바닥으로 지각할 수 있는 발바닥 감각이 요구된다. 이러한 발바닥 감각은 종래의 신발창에서는 얻는 것이 곤란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에 따르면, 발바닥 형상에 잘 길들여져서 일체감도 양호해지므로, 발바닥 감각도 우수하다는 각별한 효과도 얻어진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1)은, 적층체(2)에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시켜 얻어진 선조체가 사용되어 있기 때문에, 균열, 꺾임 등이 일어나기 어렵고, 반복 굴곡성이 우수한 등, 높은 내구성도 지닌다.
또, 이하에 예시하는 제2,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발창(1)에는, 부분적으로 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다.
이 신발창(1)을 안창(1A)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 한 면 또는 양면에, 다른 신발부품과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부직포 또는 크레이프지를 접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 목적으로, 부직포나 크레이프지 대신에 연마 등에 의해 조면 가공해도 된다.
(신발창의 제2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 중의 (v) - (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위는 동일한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는, 리브(14)를 구비하는 신발창(1)(안창(1A), 본창(1B))을 예시하고 있다. 이 리브(14)는, 중간 발부분(12)에, 신발창(1)의 길이 방향(도 3 중의 상하 방향)을 따라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리브(14)에 의해 신발창(1)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리브(14)는, 적층체(2)를 예를 들면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리브(14)의 단면형상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창(1)의 한쪽의 면에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이외에, 반구 형상, 사다리꼴 형상, 직사각형상 등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리브(14)의 평면형상은, 길이 방향에 걸쳐서 동일 폭으로 형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뒤쪽 발부분(13) 쪽에서부터 앞쪽 발부분(11) 쪽을 향해서 좌우로 퍼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리브(14)는 직선 형상으로 뻗도록 형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평면에서 보아서 약간 만곡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리브의 높이에 대해서도 필요에 따라서, 높이를 점차 변화시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리브(14)는, 신발창(1)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한쪽으로 돌출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특히 이 신발창(1)을 안창(1A)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14)가 돌출하는 면이 하부면(발바닥이 놓이는 면과 반대쪽의 면)이 되도록 형성하면, 착용자의 발바닥에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리브(14)의 개수는 복수개이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신발창(1)은, 중간 발부분(12)에 3개의 리브(14)를 병설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복수개의 리브(14)는, 병설하는 양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평면에서 보아서 예를 들면 X자 형상 등으로 교차시켜도 된다.
리브(14)를 복수개 설치할 경우, 소망의 개수, 소망의 형상, 소망의 돌출 높이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신발창(1) 중간 발부분(12)에 소망의 강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특성을 가진 신발창(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신발창(1)은, 앞쪽 발부분(11)에도 리브(15)를 형성하고 있다. 이 리브(15)는, 리브(14)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앞쪽 발부분(11)의 폭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설되어 있다. 이 리브(15)는, 내디딜 때에 발가락을 배후 굴곡시켜서 앞쪽 발부분(11)을 굴곡시킬 때의 굴곡 부위를 규제하고, 신발창(1)의 굴곡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한다. 게다가, 리브(15)는 폭방향으로 뻗고 있기 때문에, 앞쪽 발부분(11)의 폭방향의 강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앞쪽 발부분(11)의 폭방향의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어, 보행 시나 주행 시의 발의 움직임을 더욱 안정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 리브(15)도, 리브(14)와 마찬가지로, 개수나 형상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으며, 도시한 것 이외에, 신발창(1)의 크기나 필요로 되는 강성 등에 따라서 다양한 개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복수개의 리브(15)는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리브(15)는, 본창(1B)의 폭방향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중간 발부분(12)에 형성한 리브(14)는, 뒤쪽 발부분(13)까지 연장해도 된다.
(신발창의 제3 실시형태)
도 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위는 동일한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는, 적층체(2)를 구성하는 포상체(4)의 적층 매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강성을 부분적으로 향상시키도록 한 신발창(1)(안창(1A), 본창(1B))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제3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신발창(1)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7은, 앞쪽 발부분(11), 중간 발부분(12) 및 뒤쪽 발부분(13)이 일체로 형성된 대형 적층체(21)의 중간 발부분(12)에 대응하는 부위에만, 대형 적층체(21)보다도 작은 소형 적층체(22)를 마련한 신발창(1)을 나타내고 있다. 대형 적층체(21)와 소형 적층체(22)는, 모두 복수매의 포상체(4)를 적층하고, 가열 압축함으로써 형성된 적층체(2)이다. 따라서, 신발창(1)에 있어서의 포상체(4)의 적층 매수는, 대형 적층체(21)와 소형 적층체(22)가 적층되어 있는 중간 발부분(12)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많게 되므로, 중간 발부분(12)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일 수 있다.
대형 적층체(21)와 소형 적층체(22)는, 양자를 개별의 적층체(2)로서 형성한 후에 중첩시키고, 재차 가열 압축시킴으로써 일체화해도 되고, 양자를 개별의 적층체(2)로서 형성한 후에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착함으로써 일체화해도 된다.
한편, 도 8은, 포상체(4)를 부분적으로 많이 적층해서 형성한 적층체(2)를 사용한 신발창(1)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는, 2매의 대형 포상체(41, 41)에 있어서의 중간 발부분(12)에 대응하는 부위의 사이에, 대형 포상체(41)보다도 작은 1매의 소형 포상체(42)를 끼우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소형 포상체(42)는, 적층체(2)의 표면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대형 포상체(4)는 앞쪽 발부분(11), 중간 발부분(12) 및 뒤쪽 발부분(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소형 포상체(42)는 신발창(1)에 있어서의 중간 발부분(12)에 대응하는 부위에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대형 포상체(41)와 소형 포상체(42)를 적층한 후, 가열 압축해서 일체화함으로써 적층체(2)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도, 신발창(1)에 있어서의 포상체(4)의 적층 매수는 중간 발부분(12)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많아지므로, 중간 발부분(12)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 도 7, 도 8에서는, 소형 적층체(22) 및 소형 포상체(42)를 중간 발부분(12)의 형상에 맞춰서 형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중간 발부분(12) 이외에도 요구에 따라서 임의의 부위에, 상기와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부분적으로 강성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신발창의 제4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 중의 큰 원은, 작은 원의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위는 동일한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는, 포상체(4)의 선조체(3)의 투입 개수를 포상체(4) 내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 적층체(2)를 사용함으로써,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이도록 한 신발창(1)(안창(1A), 본창(1B))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제4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신발창(1)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 신발창(1)은, 중간 발부분(12)의 포상체(4)의 날실(3A), 씨실(3B)로 이루어진 선조체(3)의 날실(3B)의 투입 개수를, 앞쪽 발부분(11)의 포상체(4)의 선조체(3)의 투입 개수보다도 많게 한 것이다. 포상체(4)는, 선조체(3)의 투입 개수가 많을수록, 강도가 높아져서 강성이 높아지므로, 이 신발창(1)에 따르면, 중간 발부분(12)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일 수 있다.
선조체(3)의 투입 개수를 이상과 같이 변화시킨 포상체(4)는, 적층체(2)를 구성하는 복수매의 포상체(4)의 전부이어도 되고, 복수매의 포상체(4) 중 일부의 포상체(4)만이어도 된다.
구체적인 투입 개수는, 선조체(3)의 굵기나 필요로 되는 강성에 따라서 적당히 조정할 수 있다.
또, 선조체(3)의 투입 개수의 조정은, 중간 발부분(12)에 한정되지 않고, 요구에 따라서 임의의 부위에 대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신발창(1)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높일 경우, 이상의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각 구성 중 어느 쪽인가 2종 이상의 구성을 적당히 조합시키도록 해도 된다.
(신발창의 제5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위는 동일한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신발창(1)은, 안창(1A), 본창(1B)을 막론하고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제5 실시형태의 신발창(1)은, 본창(1B)으로서 사용될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창(1B)은, 적층체(2)를 포함하는 복수의 층이 적층되어서 이루어진 적층구조를 지니고 있다. 본창(1B)은, 적층체(2)의 층과 중간 밑창(5)의 층과 외측 밑창(6)의 층의 3층으로 이루어지고, 최상층에 적층체(2)를 사용하고 있다. 이 적층체(2)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형태에 나타낸 어느 하나의 적층체(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중간 밑창(5)은, 예를 들면 에틸렌 아세트산비닐(EVA),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등의 발포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밑창(6)은, 예를 들면 고무 등의 내마모성, 미끄럼 방지성을 지니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적층체(2), 중간 밑창(5), 외측 밑창(6)은,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일체화되어서 본창(1B)을 형성하고 있다. 또, 가열에 의해서 융착시켜서 일체화함으로써 본창(1B)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적층체(2)에 중간 밑창(5)의 층과 외측 밑창(6)의 층을 순차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해도 된다.
이 본창(1B)은,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중간 밑창(5)이 발휘하는 양호한 쿠션성에 의해서, 런닝화, 워킹화 등의 본창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에서는 3층의 적층구조를 예시했지만, 적층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 본창(1B)은, 적층체(2)를 최상층에 적층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의 층에 적층해도 된다. 또한, 적층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층 중 2층 이상에 적층체(2)를 사용해도 된다.
(신발창의 제6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 12는 도 11 중의 (xii)-(x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위는 동일한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 실시형태의 신발창(1)도 본창(1B)으로서 사용될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창(1B)은, 적층체(2)의 밑면(지면과 접하는 면)에 적절한 수의 스파이크(16)이 돌출 설치된 것이다. 이 본창(1B)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예를 들면 축구화나 럭비화 등의 필드 경기용의 운동화의 본창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스파이크(16)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2)를 부분적으로 밑면 쪽으로 볼록하게, 그리고 그 반대면 쪽으로 오목하게 되도록,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파이크(16)의 형상은 임의이고,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스파이크(16)의 돌출 쪽과는 반대면 쪽의 오목부에는 충전재(161)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장기 사용에 의한 마모 등에 의해서 스파이크(16)의 선단에 구멍이 뚫렸다고 해도, 충전재(161)에 의해서 스파이크(16)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충전재(161)로서는, 적당한 탄성을 지니고, 쿠션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고무를 들 수 있다. 고무에 의해서 접지 시의 추력을 완화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파이크(16)는, 본창(1B)을 형성하는 적층체(2)의 밑면 쪽에, 후가공으로서, 폴리아마이드나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사출 성형되는 합성 수지와 적층체(2)의 일체화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적층체(2)의 적어도 밑면 쪽에, 사출 성형되는 합성 수지와 적층체(2)의 양쪽과 접착성이 양호해지는 합성 수지를, 필름이나 도포 등의 형태로 적층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파이크(16)는 본창(1B)의 밑면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부착해도 된다. 이 경우, 본창(1B)에 암 나사 구멍과 너트를 설치해두고, 스파이크(16)로부터 돌출하는 나사축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스파이크(16)를 본창(1B)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 제6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창(1B)에는,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각 구성 중 어느 쪽인가 2종 이상의 구성을 적당히 적용해도 된다.
(신발창의 제7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밑면도이다. 도 1과 동일한 부호의 부위는 동일한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 실시형태의 신발창(1)도 본창(1B)으로서 사용될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창(1B)은, 적층체(2)의 밑면(지면과 접하는 면)에 적당한 수 및 형상의 미끄럼방지부(17)가 돌출 설치된 것이다. 이 본창(1B)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예를 들면 런닝화나 워킹화 등의 본창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미끄럼방지부(17)는, 적층체(2)의 밑면 쪽에,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등의 연질의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파이크(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층체(2)의 적어도 밑면 쪽에, 사출 성형되는 합성 수지와 적층체(2)의 양쪽과 접착성이 양호해지는 합성 수지를 필름이나 도포 등의 형태로 적층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밖에, 별도 형성한 미끄럼방지부(17)를, 적층체(2)의 밑면 쪽에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해도 된다.
또, 제7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창(1B)에는,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 및 제4 실시형태의 각 구성 중 어느 쪽인가 2종 이상의 구성을 적당히 적용해도 된다.
(신발창의 제8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창의 제8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도 11, 도 12와 동일 부호의 부위는 동일 구성의 부위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8 실시형태의 신발창(1)도 본창으로서 사용될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창(1B)은, 뒤쪽 발부분에 적층체(2)로 이루어진 보강부(18)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보강부(18)는, 주로 신발의 발뒤꿈치부의 형태 붕괴를 막는 동시에, 발의 발뒤꿈치를 보호하기 위한 심재가 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 나타낸 보강부(18)는, 본창(1B)을 형성하는 적층체(2)를 예를 들면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본창(1B)의 뒤쪽 발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창(1B)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의 효과에 부가해서, 보강부(18)에 의해서 발의 발뒤꿈치를 유지하는 효과를 높여, 스포츠 경기와 같은 심한 움직임을 수반할 때의 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즉, 신발 속의 발뒤꿈치는, 내딛기나 착지 시에 신발 속에서 항상 움직이고 있다. 예를 들면 착지 시에 대해서 살펴보면, 발뒤꿈치가 다소 안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변형되는 프로네이션(pronation)이라고 불리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일반적인 신발의 보강부는, 오로지 신발의 발뒤꿈치부를 보형하기 위하여 비교적 경질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속의 발뒤꿈치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발뒤꿈치의 움직임에 추종하면서 유지하는 기능은 불충분해서, 신발 속의 발의 안정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과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적층체(2)에 의해서 형성된 보강부(18)를 구비한 본창(1B)은, 보강부(18)가 발뒤꿈치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굴곡 변형될 수 있다. 게다가, 적층체(2)로 이루어진 보강부(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은 되돌림 탄성을 지니므로, 발뒤꿈치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변형된 후,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고 한다. 이때, 발뒤꿈치가 신발 속에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고 하는 움직임을, 보강부(18)의 높은 되돌림 탄성에 의해서 보조한다. 이 때문에, 발뒤꿈치를 유지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신발 속의 발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 착지 시의 프로네이션에 의해서 변형된 발뒤꿈치가 보강부(18)의 되돌림 탄성으로 보조되어서 신속하게 원래로 돌아갈 수 있는 것에 의해, 착지 후에 다음 내딛기 동작으로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어, 보다 민첩한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보강부(18)는, 발뒤꿈치의 움직임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발뒤꿈치의 움직임에 의해서 보강부(18)의 부위 이외의 갑피의 부분이 변형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갑피의 피트(fit)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갑피의 변형에 의해서 생긴 간극으로부터 신발 내에 모래 등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적층체(2) 자체가 가진 강성에 의해서 보강부 본래의 신발의 발뒤꿈치부의 보형성도 유지할 수 있다.
또, 보강부(18)를 구비하는 본창(1B)은, 스파이크(16)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적층체의 구성)
다음에, 적층체(2)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적층체(2)는,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시켜 얻어진 선조체(3)를 이용해서 형성된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하고, 이것을 가열 압축함으로써 일체화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선조체(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테이프, 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선조체(3)는 필요에 따라서 연사로 되지만, 테이프, 얀 등의 편평한 선조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테이프 형상 선조체인 플랫 얀(flat yarn)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하고, 가열 압축함으로써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2)를 얻을 때에는, 선조체(3)의 일부분을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조체(3)는, 저융점 수지성분과 고융점 수지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가열 시에, 저융점 수지성분이 용융되고, 고융점 수지성분이 용융되지 않는 정도의 온도에서 가열함으로써, 이 중의 저융점 수지성분이 접착 성분이 되고, 고융점 수지성분은 강화 섬유가 된다.
저융점 수지성분과 고융점 수지성분은, 선조체(3)를 구성하는 수지 중에 본래 함유되어 있는 저융점 수지성분과 고융점 수지성분이어도 되고, 선조체(3)에 의도적으로 저융점 수지성분의 부위와 고융점 수지성분의 부위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전자의 경우에서는,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조체(3)는 기저층(31)만의 단층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자의 경우에서는, 도 15(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조체(3)는 기저층(31)의 한 면 또는 양면에 기저층(31)보다도 융점이 낮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층(32)이 적층된 적층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도 1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층(31)보다도 융점이 낮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표면층(32)이 기저층(31)을 덮는 심초형 구조(sheath-core structure)이어도 되고, 도 1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층(31)보다 융점이 낮은 열가소성 수지(33)를 분산시킨 해도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적층체(2)를 구성하는 선조체(3)가, 고융점 수지성분인 기저층(31)과 저융점 수지성분인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를 포함하는 것일 경우, 표면층(32)이나 열가소성 수지(33)에는, 기저층(31)보다도 저융점의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기저층(31)을 구성하는 수지성분과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의 수지성분은 동종의 수지성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가열 압축 시에, 선조체(3)에 의해서 구성되는 포상체(4)끼리의 접착을 보다 강고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동종의 수지성분이란, 폴리올레핀,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등, 동종의 성분으로 구성된 수지를 가리킨다.
선조체(3)에는, 목적에 따라서 각종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인계, 티오에터계 등의 산화 방지제; 힌더드 아민계 등의 광안정제; 벤조페논계, 벤조트라이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등의 자외선흡수제; 대전 방지제; 비스아미드계, 왁스계, 유기 금속염계 등의 분산제; 아미드계, 유기 금속염계 등의 윤활제; 브로민 함유계 유기계, 인산계, 멜라민사이아누레이트계, 3산화안티몬 등의 난연제;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연신 조제; 유기안료; 무기안료;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 이온계 등의 무기 항균제, 유기 항균제 등을 들 수 있다.
선조체(3)로서 적층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그의 성형 재료로 되는 적층 필름을 성형하는 수단으로서는, 미리 기저층(31)으로 되는 필름과 표면층(32)으로 되는 필름을 형성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이나 열 라미네이트법을 이용해서 복층화하는 수단이나, 기저층(31)으로 되는 필름의 표면에 표면층(32)으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코팅하는 벙법, 미리 형성한 기저층(31)으로 되는 필름에 표면층(32)을 압출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혹은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서 적층 필름으로서 압출성형하는 방법 등의 공지의 수단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성형의 용이성이나 비용면, 그리고 제품의 각 층 간의 접착성의 점에서는, 다층 공압출법에 의해서 기저층(31)과 표면층(32)의 적층구조를 하나의 단계에서 얻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신해서 선조체(3)로 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1축 연신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기저층(31)으로 되는 필름을 1축방향으로 연신시킨 후, 표면층(32)으로 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하고, 이것을 테이프 형상으로 슬릿해도 되고, 혹은, 기저층(31)과 표면층(32)이 적층된 적층 필름을 슬릿하기 전, 또는, 슬릿한 후, 1축방향으로 연신시킴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연신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 롤, 열판, 열풍로, 온수, 열유, 증기, 적외선 조사 등의 공지의 가열 방법을 이용하여, 일단 혹은 다단 연신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선조체(3)의 굵기는 목적에 따라서 임의로 선정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50 내지 10000 데시텍스(decitex)(dt)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포상체(4)는, 선조체(3)를 이용해서 형성된 시트 형상체로, 도 1,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실(3A) 및 씨실(3B)에 의해서 직조된 직포를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외에, 포상체(4)는, 다수의 선조체를 1방향으로 병설하고, 그 위에 임의의 각도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다수의 선조체를 병설해서, 그 교점을 핫멜트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해서, 혹은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한 교차 결합포(조포(粗布))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밖에, 포상체(4)는, 다수의 선조체(3)를 1방향으로 병설하고, 그 위에 임의의 각도방향으로 교차하도록 다수의 선조체(3)를 병설해서, 스티칭 실로 연결한 다축섬유기재로 할 수도 있다. 포상체(4)는 편물이어도 된다.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하고, 가열 압축해서,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2)를 얻을 때, 복수의 포상체(4) 사이에 접착용 필름을 개재시켜, 해당 접착용 필름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용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해당 접착용 필름의 일부분을 용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접착용 필름으로서는, 수지 필름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수지 필름은, 선조체(3)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종의 수지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용 필름은, 용융시키는 수지로서 저융점 수지성분과, 용융시키지 않는 수지로서 고융점 수지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융점 수지 중에, 고융점 수지의 미립자를 분산시킨 것 등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하고, 가열 압축함으로써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2)를 얻을 때, 선조체(3)의 일부분을 용융시키고, 또한 복수의 포상체(4) 사이에 접착용 필름을 개재시켜, 해당 접착용 필름의 일부분 또는 전부를 용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해당 접착용 필름의 일부분을 용융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체(2)는, 이러한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하고, 이것을 가열 압축함으로써 일체화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그 구체적인 제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 일례를 설명한다.
적층체(2)는, 포상체 형성 공정에서 선조체(3)를 이용해서 포상체(4)를 형성하고, 이어서, 얻어진 포상체(4)를 적층공정에서 복수매 적층한다. 그리고, 이들을 가열 압축 공정에서 가열 압축 후, 냉각 압축 공정에서 냉각 압축시킴으로써, 소망의 신발창 재료로 되는 적층체(2)를 형성할 수 있다.
포상체 형성 공정에서는, 선조체(3)를 이용해서 포상체(4)를 형성한다. 포상체(4)를 직포로 할 경우, 직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평직, 능직, 사문직, 두둑직(rib weave), 이중직 등으로 작성할 수 있다.
적층공정에서는,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포상체(4)를 복수매 적층한다. 적층 매수는, 적층체(2)에 어느 정도의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는 관점에서 2매 이상으로 된다. 적층 매수의 상한은, 최종제품인 신발창(1)(안창, 본창)이 소망의 두께나 강성으로 되도록 임의로 설정된다.
또, 적층되는 포상체(4)의 각각은 동일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선조체(3)의 종류나 폭이나 두께나 연신배율, 투입 개수, 직조 방법 등을 다르게 한 포상체(4)끼리를 적층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포상체(42)를 개재시킬 경우에는, 이 적층공정에 있어서 대형 포상체(41)와 소형 포상체(42)를 적층할 수 있다.
가열 압축 공정에서는, 복수매 적층한 포상체(4)의 적층물을 가열 및 압축한다. 이 가열 압축 공정은, 포상체(4)를 가열한 후에, 가열된 포상체(4)에 대해서 압축을 행하도록 해도 되고, 가열과 압축을 동시에 행하도록 해도 된다.
가열 조건은,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2)를 얻을 수 있는 조건이면 각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선조체(3)의 일부분이 용융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b) 내지 (e)에서 제시한 선조체(3)를 이용하면, 선조체(3)의 기저층(31)이 용융되지 않고,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와 같이 기저층(31)보다 융점이 낮은 부분이 용융되는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행함으로써, 선조체(3)의 일부분이 용융되도록 가열 압축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압축함으로써, 기저층(31)은 용융되지 않지만,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은 기저층(31)보다도 융점이 낮기 때문에, 이 표면층(32)이나 열가소성 수지(33)가 용융되어, 인접하는 포상체(4, 4) 사이를 강고하게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기저층(31)과 이 기저층(31)보다도 융점이 낮은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을 포함하는 선조체(3)를 사용한 포상체(4)로 구성된 적층체(2)는, 선조체(3)에 있어서의 고융점 수지성분인 기저층(31)이 강화 섬유가 되고, 저융점 수지성분인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가 접착 성분이 되는 것에 의해, 높은 굽힘 탄성률을 지니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동시에, 인접하는 포상체(4, 4)사이가 강고하게 접착된 적층체(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접착용 필름을 포상체(4) 사이에 개재시킬 경우에는, 가열 조건은, 접착용 필름의 일부분을 용융시키도록 행한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포상체(4, 4) 사이를 강고하게 접착할 수 있다. 이때, 접착용 필름의 일부분을 용융시킬 때에, 더욱 선조체(3)의 일부분을 용융시키도록 가열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인접하는 포상체(4, 4) 사이를 더욱 강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다.
압축 시의 압력이나 압축 시간은, 포상체(4)를 구성하고 있는 선조체(3)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나, 포상체(4)의 두께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례를 제시하면, 압력은 0.5㎫ 내지 30㎫, 압축 시간은 수초 내지 20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냉각 압축 공정에서는, 가열 압축 공정에서 가열 압축된 적층물을 냉각 조건 하에서 압축시킨다. 여기서 냉각이란, 가열 압축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조건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면 10 내지 60℃로 할 수 있다. 냉각 압축 공정에 의해서, 가열에 의해 용융된 표면층(32)이나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33)가 경화되어, 각 포상체(4)가 강고하게 경화된 적층체(2)를 얻을 수 있다.
압축 시의 압력이나 압축 시간은, 포상체(4)를 구성하고 있는 선조체(3)에 사용되고 있는 수지나, 포상체(4)의 두께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일례를 제시하면, 압력은 0.5㎫ 내지 30㎫, 압축 시간은 수초 내지 20분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열 압축 공정 및 냉각 압축 공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압축 수단은 특별히 문제되지 않으며, 유압 프레스기, 롤 프레스기, 더블 벨트 프레스기 등의 적절한 공지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적층체(2)는, 이 냉각 압축 공정을 거침으로써 소망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적층체(2)는, 신발창(1)(안창(1A), 본창(1B))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소망의 사이즈 및 소망의 형상에 맞춰서 재단된다. 재단 후에는, 필요에 따라서, 발바닥의 표면 형상 등에 맞춰서 만곡되도록 형태 부여된다.
(신발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전술한 적층체(2)를 사용한 신발창(1)을 안창(1A)과 본창(1B)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구비한다. 도 16은, 적층체(2)를 사용한 안창(1A)과 적층체(2)를 사용한 본창(1B)을 구비한 신발(1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신발(100)는, 본창(1B)에 갑피(7) 및 안창(1A)이 접착되고, 또한 중창(8)이 장착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신발(100)은, 적층체(2)를 사용한 신발창(1)을 구비하므로,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신발창(1)이 발휘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안창(1A)와 중창(8)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완충재를 더 장착해도 된다. 또한, 도 16에서는, 적층체(2)를 사용한 본창(1B)으로서 도 11, 도 12의 제6 실시형태에 나타낸 본창(1B)을 사용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고융점 수지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MFR = 0.4g/10분, 중량평균 분자량 Mw = 630,000, 융해 피크 온도 164℃)과, 저융점 수지성분으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MFR = 7.0g/10분, 중량평균 분자량 Mw = 220,000, 융해 피크 온도 125℃)를 이용해서,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서, 저융점 수지성분을 양쪽 외층으로 하고 고융점 수지성분을 중간층으로 한 3층 필름(층 두께비 1/8/1)을 얻었다.
고융점 수지성분(폴리프로필렌)과, 저융점 수지성분(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은, 모두 폴리올레핀이며, 동종의 수지성분이다.
얻어진 필름을, 면도칼(razor)로 슬릿하였다. 다음에, 온도 110 내지 120℃의 열판 상에서 7배로 연신시킨 후, 온도 145℃의 열풍순환식 오븐 내에서 10%의 이완 열처리를 행하고, 실 폭 4.5㎜, 섬도 1700dt의 플랫 얀을 얻었다.
얻어진 플랫 얀을, 술저 직조기(Sulzer weaving machine)를 이용해서, 날실 15개/25.4㎜, 씨실 15개/25.4㎜의 능직으로 직조함으로써 포상체를 얻었다.
한편, 저융점 수지성분으로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MFR = 7.0g/10분, 중량평균 분자량 Mw = 220,000, 융해 피크 온도 125℃)와, 고융점 수지성분으로서 폴리프로필렌(MFR = 1.9g/10분, 중량평균 분자량 Mw = 500,000, 융해 피크 온도 161℃)을, 중량비율로서, 저융점 수지성분:고융점 수지성분 = 80:20으로 혼합하고, 인플레이션 성형법에 의해서 접착용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포상체 4매와, 얻어진 접착용 필름 3매를, 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가 되도록 교대로 적층해서 적층물을 얻었다.
얻어진 적층물을, 유압식 프레스기에서 프레스 온도 145℃, 압력 5㎫에서 2분간 가열 프레스한 후, 유압식 프레스기에서 프레스 온도 25℃, 압력 5㎫에서 2분간 냉각 프레스해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한 면에, 평량 30g/㎡의 PET 스펀 레이스 부직포와, 두께 30㎛의 EMA(에틸렌-아크릴산메틸 공중합체) 필름을, 적층체/EMA 필름/부직포의 순서로 적층하고, 유압식 프레스기에서 프레스 온도 125℃, 압력 0.5㎫에서 1분간 프레스한 후, 유압식 프레스기에서 프레스 온도 25℃, 압력 0.5㎫에서 1분간 프레스해서 두께 1.3㎜의 적층체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 시트를 발바닥 형상으로 타발한 후, 130℃로 가열하고, 알루미늄 주형을 이용해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 발부분의 폭 방향을 따라서 리브를 4개, 중간 발부분의 길이 방향에 따라 리브를 3개 프레스 성형하여, 안창 (1)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 포상체 5매와 접착용 필름 4매를 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가 되도록 교대로 적층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1.6㎜ 안창 (2)를 얻었다.
(비교예 1)
두께 2㎜의 펄프 보드를 발바닥 형상으로 타발함으로써 안창 (3)을 얻었다.
<평가 방법>
실시예 1, 2에서 얻어진 안창 (1), (2)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안창 (3)을 이용해서, 26.5㎝의 풋살용 신발을 제조하고, 이하의 평가 방법에 의거해서 민첩성의 효과를 평가했다.
피험자에게 해당 신발을 신게 하고, 한쪽 발을 앞으로, 반대쪽 발을 뒤로 보폭 정도로 벌려서 정지한 상태로부터, 전진하기 위하여 킥했을 때의 앞발에 있어서의 수직방향의 바닥 반력 Fz를, 키슬러(주)(Kistler Holding AG) 제품인 포스 플레이트(Force Plate) 9281B를 이용해서 측정했다. Fz값의 상승이 완만해지는 점을 MP 관절굴곡 시로 간주하고, MP 관절굴곡으로부터 바닥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했다. 또, MP관절이란, 발끝을 지면에 대고서 발뒤꿈치를 올렸을 때에 굴곡되는 부위이다.
피험자 1명당 5회의 시도를 행하여, MP 관절굴곡으로부터 바닥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측정 시간의 평균치를 구했다. 그 결과를 표 1 및 도 1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평가>
표 1 또는 도 17로부터, 실시예 1, 2의 안창 (1), (2)를 이용한 신발의 경우, 비교예 1의 안창 (3)을 이용한 신발의 경우와 비교해서, MP 관절굴곡으로부터 바닥에서 떨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포상체 3매와 접착용 필름 2매를 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접착용 필름/포상체가 되도록 교대로 적층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두께 1.0㎜의 안창 (4)를 얻었다.
<평가 방법>
실시예 3에서 얻어진 안창 (4)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안창 (3)을 이용해서, 26.5㎝의 런닝용 신발을 제조하고, 체육관 내에서의 20m 전력질주에 있어서의 주행 타임과 수직 뛰기에 있어서의 도약 거리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평가>
표 2 및 표 3으로부터, 실시예 3의 안창(4)을 이용한 신발의 경우, 비교예 1 안창(3)을 이용한 신발의 경우와 비교해서, 주행 타임 및 도약 거리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우수하여, 킥력 및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는 적층체를 신발의 안창에 이용한 경우이지만, 실시예 2에서 얻어진 두께 1.6㎜의 적층체 시트는, 신발의 본창으로서도 사용가능하다. 따라서, 이 적층체 시트를 본창 형상으로 타발하여 신발을 제조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마찬가지의 민첩성, 킥력 및 추진력의 향상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 신발창
1A: 신발의 안창
1B: 신발의 본창
11: 앞쪽 발부분
12: 중간 발부분
13: 뒤쪽 발부분
14: 리브
15: 리브
16: 스파이크
161: 충전재
17: 미끄럼방지부
18: 보강부
2: 적층체
21: 대형 적층체
22: 소형 적층체
3: 선조체
3A: 날실
3B: 씨실
31: 기저층
32: 표면층
33: 해도 구조의 열가소성 수지
4: 포상체
41: 대형 포상체
42: 소형 포상체
5: 중간 밑창
6: 외측 밑창
7: 갑피
8: 중창
100: 신발

Claims (14)

  1.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시켜 얻어진 선조체(線條體: strand)를 이용해서 형성된 포상체(布狀體: cloth)를 복수매 적층하고, 가열 압축해서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조체는, 가열 온도와 같거나 그보다도 낮은 융점의 저융점 수지성분과, 가열 온도보다도 높은 융점의 고융점 수지성분을 포함하는, 신발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수지성분과 상기 고융점 수지성분이 동종의 수지성분인, 신발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화한 시트 형상의 적층체가, 복수의 상기 포상체 사이에, 접착용 필름을 개재시켜, 상기 접착용 필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용융시켜 형성된, 신발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의 한 면 또는 양면에, 부직포 또는 크레이프지가 접합되어 있거나, 혹은, 조면(粗面) 가공이 되어 있는, 신발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중 어느 한 방향 또는 양쪽을 따르는 리브(rib)가 형성되어 있는, 신발창.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체의 적층 매수가 부분적으로 다르게 되어 있는, 신발창.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상체는, 상기 선조체를 날실 및 씨실에 이용해서 직조되고,
    상기 선조체의 투입 개수가 상기 포상체 내에서 부분적으로 다르게 되어 있는, 신발창.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에 의해서 구성된, 신발의 안창(inlsoe).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에 의해서 구성된, 신발의 본창(out sole).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 스파이크(spike)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신발의 본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적층체의 밑면 쪽에 돌출하도록 성형되고, 상기 스파이크의 돌출 쪽과는 반대면 쪽에 형성되는 오목부에 충전재가 충전되어 있는, 신발의 본창.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체에 의해서 형성된 보강부(counter)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는, 신발의 본창.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창을 포함하는 신발.
KR1020167025922A 2014-02-25 2015-02-19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신발 KR102273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4286 2014-02-25
JP2014034286 2014-02-25
JP2014093113 2014-04-28
JPJP-P-2014-093113 2014-04-28
PCT/JP2015/054690 WO2015129555A1 (ja) 2014-02-25 2015-02-19 靴底、靴の中底、靴の本底及び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043A true KR20160127043A (ko) 2016-11-02
KR102273324B1 KR102273324B1 (ko) 2021-07-05

Family

ID=54008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22A KR102273324B1 (ko) 2014-02-25 2015-02-19 신발창, 신발의 안창, 신발의 본창 및 신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11491B2 (ko)
EP (1) EP3111794B1 (ko)
JP (4) JP6802061B2 (ko)
KR (1) KR102273324B1 (ko)
CN (2) CN106231945B (ko)
TW (2) TWI638612B (ko)
WO (1) WO2015129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5784B2 (en) 2012-04-12 2022-09-20 Worcester Polytechnic Institute Adjustable response elastic kinetic energy converter and storage field system for a footwear appliance
US10806216B2 (en) * 2014-02-25 2020-10-20 Diatex Co., Ltd. Shoe sole, insole of shoe, main sole of shoe, and shoe
WO2015129555A1 (ja) * 2014-02-25 2015-09-03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靴底、靴の中底、靴の本底及び靴
USD756083S1 (en) * 2014-05-02 2016-05-17 Gavrieli Brands LLC Single-sole shoe with red sole
JP6307667B2 (ja) 2015-09-18 2018-04-04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用部材、及び、靴
WO2017058419A1 (en) 2015-10-02 2017-04-06 Nike Innovate C.V. Plate with foam for footwear
US10842224B2 (en) 2015-10-02 2020-11-24 Nike, Inc. Plate for footwear
US10441027B2 (en) 2015-10-02 2019-10-15 Nike, Inc. Footwear plate
CN108495567A (zh) * 2016-01-15 2018-09-04 罗杰斯公司 适形且传播压力的鞋床、制造该鞋床的方法以及包括该鞋床的制品
DE212017000086U1 (de) * 2016-03-15 2018-11-29 Nike Innovate C.V. Schaumstoffzusammensetzungen und deren Anwendungen
JP6979741B2 (ja) * 2016-04-21 2021-12-15 萩原工業株式会社 成形加工用フラットヤーンラミネートシート及び成形加工品
CN115413855A (zh) 2016-07-20 2022-12-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板
AU2016433456B2 (en) * 2016-12-22 2020-10-22 Asics Corporation Shoe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le
JP2019097955A (ja) * 2017-12-05 2019-06-24 株式会社三和 スリッパの底部材となる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スリッパ
WO2019204202A1 (en) 2018-04-16 2019-10-24 Nike Innovate C.V. Outsole plate
US11344078B2 (en) 2018-04-16 2022-05-31 Nike, Inc. Outsole plate
CN116138540A (zh) 2018-06-04 2023-05-2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两部分鞋底结构及其用途
KR20210092731A (ko) * 2018-10-05 2021-07-26 워세스터 폴리테크닉 인스티튜트 충격 흡수 풋웨어 장치
US11523655B2 (en) 2018-12-03 2022-12-13 Nike, Inc. High energy return foam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and uses thereof
BR112021012870A2 (pt) 2019-01-16 2021-09-21 Milliken & Company Composto de proteção multiameaça
WO2020167402A1 (en) 2019-01-16 2020-08-20 Milliken & Company Multi-threat protection composite
CH716004B1 (de) * 2019-03-27 2023-03-31 On Clouds Gmbh Laufschuhsohle mit Faserverbundplat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aserverbundplatte.
JP7153793B2 (ja) 2019-04-22 2022-10-14 日立Astemo株式会社 制御装置
JP6849765B1 (ja) * 2019-09-30 2021-03-31 株式会社デサント ランニング用靴およびバレーボール用靴
KR102263757B1 (ko) * 2019-12-09 2021-06-11 문신환 다공성 신발중창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신발중창
FR3107437B1 (fr) * 2020-02-25 2022-04-29 Decathlon Sa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structure de semelle comprenant un élément de semelle textile intégralement ou en partie thermofondu, et article chaussant comprenant une telle structure de semelle.
JP7077354B2 (ja) 2020-03-27 2022-05-30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
US20220225729A1 (en) 2021-01-20 2022-07-2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plate
JPWO2022173052A1 (ko) * 2021-02-15 2022-08-18
USD1010297S1 (en) 2021-06-30 2024-01-09 Puma SE Sho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16278A1 (en) * 1997-11-11 1999-05-19 Forestali srl Assembly insole for assembling shoes, shoe assembled on the insole and preparation method
JPH11506035A (ja) * 1995-11-24 1999-06-02 テクセ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履物の製造に使用する積層製品
JPH11244003A (ja) * 1998-01-16 1999-09-14 Fila Sports Spa 靴底単位体または中底の一部として使用可能の、剛性もしくは少なくとも半剛性挙動を示す、サンドイッチ状の靴用補強単位体
JP2992620B2 (ja) * 1990-09-07 1999-12-20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靴の靴底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10863A1 (en) * 2006-07-17 2008-01-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Full Length Composite Plate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3121B2 (ja) * 1977-09-30 1985-09-26 株式会社ミツウマ 射出成型靴の製造法
JPS5712885Y2 (ko) * 1978-11-30 1982-03-15
US4654984A (en) * 1985-04-03 1987-04-07 Northwest Podiatric Laboratories, Inc. Reinforced heel orthotic insert
JPS63167901U (ko) * 1987-04-22 1988-11-01
US5022168A (en) * 1989-08-04 1991-06-11 Jeppson Iii John Footwear insert
US5204173A (en) * 1990-11-29 1993-04-20 Dvsg Holding Gmbh Paperboard product and process
US5338600A (en) * 1991-08-19 1994-08-16 Medical Materials Corporation Composite thermoplastic material including a compliant layer
JP3005269U (ja) * 1994-06-15 1994-12-13 有限会社東仙
JPH08303A (ja) 1994-06-21 1996-01-09 Asics Corp 衝撃緩衝型シューズ
EP0777982A1 (en) * 1995-12-04 1997-06-11 Global Sports Technologies Inc. Sports footwear with a composite sole
US5896680A (en) * 1995-12-22 1999-04-27 Hoechst Celanese Corporation Shoes comprising three-dimensional formed fiber product
IT1286411B1 (it) * 1996-11-27 1998-07-08 Fila Sport Calzatura con sottopiede o intersuola adattabile alla conformazione del piede dell'utente
JPH10182741A (ja) * 1996-12-24 1998-07-07 Sumitomo Bakelite Co Ltd 多層包装材料
US5836094A (en) * 1997-06-02 1998-11-17 Figel; Nicholas H. Bicycle shoe including unit body
SG126668A1 (en) * 1998-12-29 2006-11-29 Bfr Holding Ltd Protective boot and sole structure
US6231946B1 (en) * 1999-01-15 2001-05-15 Gordon L. Brown, Jr.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use in a shoe sole
GB2364017A (en) * 2000-06-27 2002-01-16 Texon Uk Ltd Laminar material suitable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shoes
SE523468C2 (sv) * 2001-06-27 2004-04-20 Camp Scandinavia Ab Ortopedisk fotsula för förbättrad gång och protes, sko eller ortos innefattande sulan
US20030121179A1 (en) * 2002-01-02 2003-07-03 Eddie Chen Vulcanized shoe component with fibrous reinforcement
JP2004113650A (ja) * 2002-09-27 2004-04-15 Sekisui Chem Co Ltd 靴用補強シート
JP4521807B2 (ja) * 2002-10-28 2010-08-11 旭化成パックス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複合フィルム
KR101135830B1 (ko) * 2003-10-03 2012-04-23 다이셀 에보닉 가부시키가이샤 복합 성형체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접합용 수지
DE10347673B4 (de) * 2003-10-09 2012-01-12 BLüCHER GMBH Schuh, insbesondere Stiefel, mit ABC-Schutz
GB0329813D0 (en) * 2003-12-23 2004-01-28 Terra Plana Internat Ltd Footwear
US7107703B1 (en) * 2004-04-23 2006-09-19 Yan Wang Shoe sole
CN2717254Y (zh) * 2004-07-27 2005-08-17 黄宗仁 鞋层底部防刺穿结构
ITPO20040005A1 (it) * 2004-10-14 2005-01-14 Lenzi Egisto Spa Soletta antiperforazione per calzature
US7825048B2 (en) * 2005-10-17 2010-11-02 Milliken & Company Puncture resistant composite
US8082685B2 (en) * 2005-10-19 2011-12-27 Novation S.P.A. Insole having puncture-resistant properties for safety footwear
DE102006009974A1 (de) * 2006-03-03 2007-09-06 W.L. Gore & Associates Gmbh Schuhstabilisierungsmaterial, Barriereeinheit, Schuhsohlenverbund und Schuhwerk
JP3123585U (ja) * 2006-05-11 2006-07-20 成義 楊 靴の靴面交換可能構造
WO2007148365A1 (en) * 2006-06-21 2007-12-27 Tessiltoschi Industrie Tessili S.P.A. Textile product
JP2008012101A (ja) * 2006-07-06 2008-01-24 Ube Nitto Kasei Co Ltd 足裏マッサージ用シートまたはシート積層物
JP4964019B2 (ja) * 2007-05-11 2012-06-27 株式会社ヤマニ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US8720086B2 (en) * 2008-03-20 2014-05-13 Nike, Inc. Cleat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JP4787312B2 (ja) * 2008-12-22 2011-10-05 ダイセル・エボニック株式会社 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99406A1 (en) * 2009-02-06 2010-08-12 Nike, Inc. Thermoplastic Non-Woven Textile Elements
US20140305004A1 (en) * 2009-11-29 2014-10-16 Timothy Thomas O'Dowd Removable footwear insert
MY161334A (en) * 2010-11-25 2017-04-14 Mitsui Chemicals Inc Spunbonded nonwoven fabric-laminated multilayer structure
KR101870480B1 (ko) * 2011-03-11 2018-06-22 다이셀에보닉 주식회사 신발창용 시트 및 이 시트를 사용한 신발창
WO2012135007A2 (en) * 2011-03-25 2012-10-04 Dashamerica, Inc. D/B/A Pearl Izumi Usa, Inc. Flexible shoe sole
KR101332166B1 (ko) * 2012-05-18 2013-11-22 정재욱 족저압력 분산기능을 가지는 신발창
US20150351490A1 (en) * 2012-07-31 2015-12-10 Hugo Lam Puncture Resistant Workboot
US9265300B2 (en) * 2012-10-26 2016-02-23 K-2 Corporation Base for a ski boot and ski boot incorporating such a base
WO2015065545A1 (en) * 2013-11-04 2015-05-07 Milliken & Company Puncture resistant insole or footwear
WO2015129555A1 (ja) * 2014-02-25 2015-09-03 ダイヤテックス株式会社 靴底、靴の中底、靴の本底及び靴
US9775401B2 (en) * 2015-01-16 2017-10-03 Nike, Inc. Sole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incorporating a knitted component with a one-piece knit outso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2620B2 (ja) * 1990-09-07 1999-12-20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靴の靴底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506035A (ja) * 1995-11-24 1999-06-02 テクセ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履物の製造に使用する積層製品
EP0916278A1 (en) * 1997-11-11 1999-05-19 Forestali srl Assembly insole for assembling shoes, shoe assembled on the insole and preparation method
JPH11244003A (ja) * 1998-01-16 1999-09-14 Fila Sports Spa 靴底単位体または中底の一部として使用可能の、剛性もしくは少なくとも半剛性挙動を示す、サンドイッチ状の靴用補強単位体
US20080010863A1 (en) * 2006-07-17 2008-01-1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Full Length Composite Pla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H8-303 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8612B (zh) 2018-10-21
EP3111794A1 (en) 2017-01-04
CN111387644A (zh) 2020-07-10
JP2017018819A (ja) 2017-01-26
JP2019080965A (ja) 2019-05-30
EP3111794B1 (en) 2022-01-05
JP6802061B2 (ja) 2020-12-16
JP2021028029A (ja) 2021-02-25
US10111491B2 (en) 2018-10-30
CN106231945A (zh) 2016-12-14
KR102273324B1 (ko) 2021-07-05
TW201545678A (zh) 2015-12-16
JP7011022B2 (ja) 2022-01-26
EP3111794A4 (en) 2017-11-29
WO2015129555A1 (ja) 2015-09-03
US20170006962A1 (en) 2017-01-12
CN106231945B (zh) 2020-04-17
TWI590775B (zh) 2017-07-11
JP6507139B2 (ja) 2019-04-24
JPWO2015129555A1 (ja) 2017-03-30
TW201729703A (zh) 2017-09-01
JP6792651B2 (ja)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1022B2 (ja) 靴底、靴の中底、靴の本底及び靴
US10806216B2 (en) Shoe sole, insole of shoe, main sole of shoe, and shoe
CN102202536B (zh) 具有带流体填充囊的支撑柱的鞋类物品
CN105050440B (zh) 具有带保护元件的轻鞋底夹层构件的鞋底结构和鞋类物品
CN103561603B (zh) 具有抗拉构件的流体填充室
EP3164026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 segmented plate having a heel region
WO2016002412A1 (ja) 月形芯及び靴
JP6622467B2 (ja) 靴底構造及び靴
CN103379996B (zh) 超回弹垫及其制作方法
JP2019103630A (ja) フットボール用シューズのアッパー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ットボール用シューズ
CN217185019U (zh) 骑行配送员专用鞋
JP2020022896A (ja) 靴底構造及び靴
WO2017093270A1 (en) An outsole and a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