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523A -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0523A
KR20160120523A KR1020150049699A KR20150049699A KR20160120523A KR 20160120523 A KR20160120523 A KR 20160120523A KR 1020150049699 A KR1020150049699 A KR 1020150049699A KR 20150049699 A KR20150049699 A KR 20150049699A KR 20160120523 A KR20160120523 A KR 20160120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guide member
mold
scrap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8994B1 (ko
Inventor
손인수
윤석철
이상혁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49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89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20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0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7Combined feeding and ejec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 B21D45/006Stripping-off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es And Accessory Devic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스 금형과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별도의 동력 소모 없이도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크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에 대하여 대각방향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되 금형박스의 내부공간을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하부금형으로부터 낙하하는 스크랩을 받으면서 하측에 위치한 일단부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부프레스에 고정되어 상부프레스와 함께 승강하면서 하강시에는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를 접촉하여 타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그 타단부 쪽으로 스크랩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을 유발하도록 한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NON POWER SCRAP PROCESSING APPARATUS FOR PRESS MOLD}
본 발명은 스크랩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스 금형과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별도의 동력 소모 없이도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크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 금형장치는 금속판재의 성형가공 이를테면 전단(剪斷)이나 굽힘가공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판재에 전단력이나 굽힘력을 가하기 위한 금형을 갖는다.
상기 금형은 프레스 금형장치의 베드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연직 상부에서 승강하며 하부금형으로 하강하여 하부금형 위에 공급되어 있는 금속판재를 가압하거나 펀칭하는 상부금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스 금형장치는 각종 공산품의 대량 생산라인에 설치되어, 별도의 공급라인을 통해 금형 내부로(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로) 공급된 판상의 소재를 설계된 형상으로 찍어낸다. 예컨대 자동차의 도어나 지붕 또는 각종 전자제품의 내부 케이스나 금속제 용기 등이 프레스 금형장치에 의해 제작된 것들이다.
그런데 상기 하부금형을 금형장치의 베드위에 세팅하기 위해서는 하부금형과 베드 사이에 금형받침부를 먼저 설치하여야 한다. 즉 베드 상부에 프레스금형용 받침부를 먼저 고정하고 그 위에 하부금형을 올리는 것이다. 이는 하부금형을 베드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시킴으로써 펀칭 가공시 발생하는 금속 스크랩이 하부금형 아래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상기 금형받침부(15)가 구비된 프레스 금형장치를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11)의 상부에 수평으로 놓여있는 베드(13)에 금형받침부(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금형받침부(15)의 상부에는 하부금형부(17)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부(17)의 위에는 상부금형부(21)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부금형부(17)는, 상기 금형받침부(15)에 올려져 지지되며 베드(13)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는 홀딩플레이트(17a)와, 상기 홀딩플레이트(17a)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는 소정 형상의 하부금형(17b)과, 상기 하부금형(17b)의 주위에 위치하며 홀딩플레이트(17a)에 고정된 상태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가이드실린더(17c)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금형부(21)는, 프레스장치의 승강램(19)에 고정되는 홀딩플레이트(21a)와, 상기 홀딩플레이트(21a)의 저면에 장착되되 하부금형(17b)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금형(21b)과, 상기 상부금형(21b)의 주변에 설치되며 승강램(19)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실린더(17c)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하부금형에 대한 상부금형의 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드(21c)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금형받침부(15)는, 베드(13)의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5a)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5a)에 고정되며 수직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홀딩플레이트(17a)의 저면에 결합함으로써 홀딩플레이트(17a)의 하부에 공간부(23)를 제공하는 다수의 다리(15b)로 구성된다. 상기 공간부(23)는 하부금형(17b)으로부터 하부로 떨어지는 스크랩이 낙하하는 공간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프레스 금형장치는, 프레스 가공시 공간부(23)에 쌓이는 스크랩을 공간부(23)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지 않아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이를테면 공간부(23)에 수북하게 쌓이는 스크랩을 자동으로 인출해 내는 장치가 없어 작업자가 해당 프레스 금형장치 옆에 항상 대기하고 있다가 스크랩을 쌓아 한꺼번에 배출하여야 하였다. 이같은 스크랩 제거작업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항상 프레스를 멈춘 후에 행해지기 때문에 전체 작업시간의 20% 정도가 스크랩 제거에 소요되는 관계로 전체 작업량이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30155호(2013.03.2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금형과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별도의 동력 소모 없이도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크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공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프레스 및 하부프레스와, 상기 하부프레스 하측에 프레스 가공시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금형박스를 구비하는 프레스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낙하하는 스크랩을 상기 금형박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로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에 대하여 대각방향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기 금형박스의 내부공간을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낙하하는 스크랩을 받아서 하측에 위치한 일단부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스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프레스와 함께 승강하면서 하강시에는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를 접촉하여 타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스크랩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을 유발하도록 한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상기 스크랩이 이동하는 구간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직교하게 형성되어 스크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측벽에 의해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에는 봉 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는 하강시 상기 접촉부를 타격하여 누르면서 밀어낼 수 있도록 그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부와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타격부재와의 접촉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촉롤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부와의 접촉시 소음 및 충격 완화를 위하여 고무패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형박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하부프레스에 고정되는 고정봉이 위치하고, 가이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은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봉에 지지된 상태로 그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 중 타단부의 인근 부위가 받침에 걸쳐진 형태로 지지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받침 사이에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그 상단부에 전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는 프레스 금형과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별도의 동력 소모 없이도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크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공하는 상부금형(211) 및 하부금형(221)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프레스(210) 및 하부프레스(220)와, 상기 하부프레스(220)의 하측에서 프레스 가공시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한 공간을 제공하는 금형박스(222)를 구비하는 프레스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221)으로부터 낙하하는 스크랩을 상기 금형박스(22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프레스 금형과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별도의 동력 소모 없이도 프레스 금형으로부터 배출되는 스크랩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크랩 제거장치는, 피가공물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발생하여 낙하하는 스크랩을 받아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10)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지지를 위해 하부프레스(22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탄성지지시켜주는 지지스프링(130), 상기 상부프레스(210)와 함께 하강하면서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진동을 유발하는 타격부재(140)를 주요 구성요소로 구비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221)으로부터 낙하하는 피가공물의 스크랩을 별도의 구동수단 없이도 대기중인 수집함(240)으로 안내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에 대해 상기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전술된 것처럼 피가공물에 대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발생하여 낙하하는 스크랩을 받은 후 이를 하측에서 대기중인 수집함으로 안내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기다란 판형상의 부재로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에 대하여 대각방향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금형박스의 내부공간을 관통한 상태에서 그 인근의 부위가 지지스프링(130)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10)는 스크랩이 이동하는 구간은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으로부터 직교하게 형성되어 스크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측벽(112)을 구비하여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단부에는 상기 타격부재(140)가 타격하여 누르면서 밀어낼 수 있도록 봉 형상의 접촉부(115)가 형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접촉부(115)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타격부재(140)와의 접촉시 회전축(115b)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촉롤러(115a)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단부에 접촉롤러(115a)가 설치되면 상기 타격부재(140)에 의한 타격시 충격을 넓게 분산시키면서 완화시켜주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110) 중 타단부 인근의 일부위는 프레스 금형의 받침(230)(다이) 모서리에 걸쳐진 형태로 지지되는데, 서로 접촉하게 되는 가이드부재(110)와 받침(230) 사이에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114)가 설치된다. 이같이 완충패드(114)를 구비하게 되면 타격으로 유발되는 가이드부재(110)의 진동이 쉽게 소멸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가이드부재(110)와 받침(230) 간 과도한 충격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스 금형의 좌우 폭에 대응하여 복수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하부프레스(220)에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하부프레스(220)에 상단이 고정되는 수직봉(121)과 상기 수직봉(121)의 하단에 접합되어 좌우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된 고정봉(1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봉(122)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130)의 일단부가 지지되며 상기 고정봉(122)의 경우 상기 프레스 금형의 좌우 폭에 해당하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구비되며, 프레스 금형의 좌우 폭이 넓은 경우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고정봉(122)에 대하여 복수의 가이드부재(110)가 지지스프링(130)을 통해 탄성지지된다.
상기 지지스프링(130)은 전술된 것처럼 상기 고정봉(122)에 대하여 가이드부재(110)를 탄성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스프링(130)은 인장스프링으로 구비되며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봉(122)에 지지된 상태로 그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하면에서 돌출된 돌출부(113)를 지지하도록 연결된다. 이처럼 상기 지지스프링(130)에 의해 가이드부재(110)가 탄성지지된 상태에서 타격부재(140)가 가이드부재(110)의 일단부를 타격하면 상기 가이드부재(110)에는 급격한 진동이 유발된다. 이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낙하된 스크랩이 경사진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타격부재(140)는 상기 상부프레스(210)와 함께 하강하여 상기 가이드부재(110)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진동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타격부재(140)는 몸체(141)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스(210)의 후단부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접촉부(115) 상측 인근까지 위치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140)의 몸체(141)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봉 형상의 접촉부(115)와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타격부재(140)의 하강시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접촉부(115)를 타격하여 누르면서 밀어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타격부재(14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접촉부(115)와 접촉시 소음 및 충격 완화를 위하여 고무패드(142)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격부재(140)는 상기 상부프레스(21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같은 경우 상부프레스(210)에 손상을 입히는 것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타격부재(140)의 상단부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 형태의 전자석(145)을 장착하여 상기 전자석(145)의 자력에 의해 상기 타격부재(140)를 상부프레스(2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 4a 내지 도 4d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먼저, 도 4a는 상부프레스(210)가 하강하기 전 상태이다. 이같은 상태에서 도 4b에 볼 수 있는 것처럼 상부프레스(210)가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공하기 위해 하강하게 되면 상부프레스(210)에 고정된 타격부재(140)도 함께 하강하게 되며 그 하단부가 가이드부재(1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접촉부(115)에 순간적으로 접촉하여 타격을 시작하게 된다.
이후, 도 4c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스(210)가 더 하강하면 상부금형(211)과 하부금형(221)이 만나면서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공하게 되고 피가공물로부터 분리되어 나온 스크랩은 금형박스(222) 내부공간으로 낙하하여 가이드부재(110) 위로 떨어진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프레스(210)를 따라 하강한 타격부재(140)는 그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110)의 일단부에 구비된 접촉부(115)를 타격하게 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10)가 지지스프링(130)의 탄성력에 반하는 방향으로 밀리면서 순간적으로 변위된다. 이같은 동작은 매우 짧은 순간에 이루어진다.
이후,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프레스(210)가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면 상기 타격부재(140)도 함께 상승하게 되며 타격부재(140)에 의해 변위되었던 가이드부재(110)가 지지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북귀된다. 이같은 과정에서 가이드부재(110)에는 진동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110)에 떨어졌던 스크랩이 경사진 가이드부재(110)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배출되어 하측에 놓여있는 수집함(240)에서 모아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가이드부재 111 : 바닥판
112 : 측벽 113 : 돌출부
114 : 완충패드 115 : 접촉부
115a : 접촉롤러 115b : 회전축
120 : 지지부재 121 : 수직봉
122 : 고정봉 130 : 지지스프링
140 : 타격부재 141 : 타격부재의 몸체
142 : 고무패드 145 : 전자석

Claims (9)

  1. 외부로부터 공급된 피가공물을 프레스 가공하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을 각각 구비하는 상부프레스 및 하부프레스와, 상기 하부프레스의 하측에 프레스 가공시 발생하는 스크랩이 낙하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금형박스를 구비하는 프레스 금형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낙하하는 스크랩을 상기 금형박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로서,
    일단부와 타단부가 서로에 대하여 대각방향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되 상기 금형박스의 내부공간을 관통한 상태에서 지지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금형으로부터 낙하하는 스크랩을 받아서 하측에 위치한 일단부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상부프레스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프레스와 함께 승강하면서 하강시에는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를 접촉하여 타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하여 스크랩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을 유발하도록 한 타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서 상기 스크랩이 이동하는 구간은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직교하게 형성되어 스크랩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측벽에 의해 'U'자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단부에는 봉 형상의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재는 하강시 상기 접촉부를 타격하여 누르면서 밀어낼 수 있도록 그 하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부와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타격부재와의 접촉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촉롤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접촉부와의 접촉시 소음 및 충격 완화를 위하여 고무패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박스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하부프레스에 고정되는 고정봉이 위치하고, 가이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은 그 일단부가 상기 고정봉에 지지된 상태로 그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면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지지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 중 타단부의 인근 부위가 받침에 걸쳐진 형태로 지지되되,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받침 사이에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완충패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그 상단부에 전자석을 구비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상부프레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금형.
KR1020150049699A 2015-04-08 2015-04-08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KR10169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699A KR101698994B1 (ko) 2015-04-08 2015-04-08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699A KR101698994B1 (ko) 2015-04-08 2015-04-08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0523A true KR20160120523A (ko) 2016-10-18
KR101698994B1 KR101698994B1 (ko) 2017-01-23

Family

ID=5724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699A KR101698994B1 (ko) 2015-04-08 2015-04-08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8994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97832A (zh) * 2017-12-19 2018-06-01 中山市雅乐思商住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冲压模具的定位顶出装置及其工作方法
CN108435947A (zh) * 2018-04-14 2018-08-24 马鞍山市润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动剪角机的废料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WO2018199345A1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에이취케이 피어싱 가공용 금형장치
CN109159459A (zh) * 2018-09-28 2019-01-08 东阳东磁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压机上的产品自动收料装置及其实现方法
CN109807383A (zh) * 2018-12-31 2019-05-28 合肥久享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钣金件自动化落料系统
CN111251651A (zh) * 2020-01-18 2020-06-09 余雪飘 一种可振动的秸秆压块机接料台
CN112108558A (zh) * 2020-08-24 2020-12-22 浙江泰欣电器有限公司 一种冲压模具
KR20210038148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화신 블랭크 배출장치
CN113274945A (zh) * 2021-05-07 2021-08-20 贵州省产品质量检验检测院 一种肥料加工用混合压制设备
KR200494199Y1 (ko) 2020-06-26 2021-08-25 김성일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N113857380A (zh) * 2021-11-09 2021-12-31 常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管材冲压模具用的出料拍打式防堵塞机构
KR102393479B1 (ko) * 2020-12-01 2022-05-06 주식회사 호원 피어싱 가공용 금형장치
CN114798867A (zh) * 2021-12-24 2022-07-29 浙江安吉铭成椅业有限公司 全自动冲压机
CN116213534A (zh) * 2023-02-10 2023-06-0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薄壁件的加工装置
CN116237407A (zh) * 2023-02-14 2023-06-09 东莞市声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壶发热盘减料设备
CN117584531A (zh) * 2024-01-18 2024-02-23 南通人人发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四柱液压机的智能型下料结构
CN114798867B (zh) * 2021-12-24 2024-05-31 浙江安吉铭成椅业有限公司 全自动冲压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517B1 (ko) * 2020-12-23 2022-11-07 조원진 폐식용유 재활용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451U (ko) * 1981-05-18 1982-11-25
JPH05237U (ja) * 1991-06-13 1993-01-08 株式会社三五 プレス金型の可動式スクラツプシユート
JP2008142733A (ja) * 2006-12-08 2008-06-26 Mikumo Seisakusho:Kk プレス加工品用オートシューター
KR20130030155A (ko) 2011-09-16 2013-03-26 세진공업 (주) 편심축을 갖는 프레스금형용 스크랩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451U (ko) * 1981-05-18 1982-11-25
JPH05237U (ja) * 1991-06-13 1993-01-08 株式会社三五 プレス金型の可動式スクラツプシユート
JP2008142733A (ja) * 2006-12-08 2008-06-26 Mikumo Seisakusho:Kk プレス加工品用オートシューター
KR20130030155A (ko) 2011-09-16 2013-03-26 세진공업 (주) 편심축을 갖는 프레스금형용 스크랩배출장치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9345A1 (ko) *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에이취케이 피어싱 가공용 금형장치
CN108097832A (zh) * 2017-12-19 2018-06-01 中山市雅乐思商住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冲压模具的定位顶出装置及其工作方法
CN108435947A (zh) * 2018-04-14 2018-08-24 马鞍山市润玛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气动剪角机的废料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CN109159459A (zh) * 2018-09-28 2019-01-08 东阳东磁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压机上的产品自动收料装置及其实现方法
CN109807383A (zh) * 2018-12-31 2019-05-28 合肥久享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钣金件自动化落料系统
KR20210038148A (ko) * 2019-09-30 2021-04-07 주식회사화신 블랭크 배출장치
CN111251651A (zh) * 2020-01-18 2020-06-09 余雪飘 一种可振动的秸秆压块机接料台
KR200494199Y1 (ko) 2020-06-26 2021-08-25 김성일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N112108558A (zh) * 2020-08-24 2020-12-22 浙江泰欣电器有限公司 一种冲压模具
KR102393479B1 (ko) * 2020-12-01 2022-05-06 주식회사 호원 피어싱 가공용 금형장치
CN113274945A (zh) * 2021-05-07 2021-08-20 贵州省产品质量检验检测院 一种肥料加工用混合压制设备
CN113857380A (zh) * 2021-11-09 2021-12-31 常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管材冲压模具用的出料拍打式防堵塞机构
CN114798867A (zh) * 2021-12-24 2022-07-29 浙江安吉铭成椅业有限公司 全自动冲压机
CN114798867B (zh) * 2021-12-24 2024-05-31 浙江安吉铭成椅业有限公司 全自动冲压机
CN116213534A (zh) * 2023-02-10 2023-06-06 哈尔滨理工大学 一种薄壁件的加工装置
CN116237407A (zh) * 2023-02-14 2023-06-09 东莞市声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壶发热盘减料设备
CN116237407B (zh) * 2023-02-14 2024-02-13 东莞市声德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水壶发热盘减料设备
CN117584531A (zh) * 2024-01-18 2024-02-23 南通人人发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四柱液压机的智能型下料结构
CN117584531B (zh) * 2024-01-18 2024-04-05 南通人人发机器制造有限公司 一种四柱液压机的智能型下料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8994B1 (ko) 201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994B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KR101660788B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KR101336954B1 (ko) 찍힘을 방지하는 타발금형장치
KR20120034397A (ko) 프레스금형 스크랩 자동취출장치
CN105107953A (zh) 建筑板材冲压成型模具
CN208976586U (zh) 一种冰箱钣金件的冲压装置
KR20100042013A (ko) 프레스금형용 스크랩 자동배출장치
KR100674651B1 (ko) 펀칭 금형장치
KR101285279B1 (ko) 찍힘을 방지하는 타발금형장치
KR100974340B1 (ko) 프레스가공장치
CN205767640U (zh) 一种金属废料压紧输送机构
KR200494199Y1 (ko) 프레스 금형용 무동력 스크랩 제거장치
CN215032665U (zh) 汽车金属零件加工用冲压设备
CN207770666U (zh) 一种便于下料的条状钢带冲压机
CN211218271U (zh) 一种集装箱地板用侧冲孔装置
CN216989463U (zh) 一种便于产品下料的冲压模具
CN216137926U (zh) 一种机械制造冲压装置
CN215745805U (zh) 一种两侧打孔装置
CN219703189U (zh) 无废料的落料模具
CN218591565U (zh) 一种闭式单点压力机
CN205020645U (zh) 建筑板材冲压成型模具
CN220278029U (zh) 一种便于卸料的钣金件冲孔装置
CN221064639U (zh) 一种切板装置
CN220658898U (zh) 一种直埋式锚栓加工支架
CN210848038U (zh) 半自动冲压系统的供料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