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0442A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0442A KR20160120442A KR1020150049430A KR20150049430A KR20160120442A KR 20160120442 A KR20160120442 A KR 20160120442A KR 1020150049430 A KR1020150049430 A KR 1020150049430A KR 20150049430 A KR20150049430 A KR 20150049430A KR 20160120442 A KR20160120442 A KR 2016012044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razor
- water
- sauc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1197 pereji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0254 Jasminum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5385 Jasminum sambac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40000003136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8089 Syzygium polyanth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0278 Syzygium polyanth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219793 Trifol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9164 Petroselinum crisp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20001592 potato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0000008067 Cucumi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0799 Cucumi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0000002268 Citrus limon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4103 egg wh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10000000969 egg whit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8960 ketchu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YJISHJVIRFPGGN-UHFFFAOYSA-N 5-[5-[3,4-dihydroxy-6-(hydroxymethyl)-5-methoxyoxan-2-yl]oxy-6-[[3,4-dihydroxy-6-(hydroxymethyl)-5-methoxyoxan-2-yl]oxymethyl]-3,4-dihydroxyoxan-2-yl]oxy-6-(hydroxymethyl)-2-methyloxane-3,4-diol Chemical compound O1C(CO)C(OC)C(O)C(O)C1OCC1C(OC2C(C(O)C(OC)C(CO)O2)O)C(O)C(O)C(OC2C(OC(C)C(O)C2O)CO)O1 YJISHJVIRFPGG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2799 Prunus avi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5042 Zier Koh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9693 cherri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0000007119 Malus pumil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claims 2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2
- 229920001800 Shellac Polymers 0.000 claims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4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29940113147 shellac Drugs 0.000 claims 1
- 235000013874 shellac Nutrition 0.000 claims 1
- 239000004208 shellac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claims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35917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41000208317 Petroselin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194 Lyophyllum decas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0000005856 Lyophyllum decast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1047 Malus domes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LCTONWCANYUPML-UHFFFAOYSA-N pyruv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LCTONWCANYUPM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858 Laurus nobi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1422 Laurus nobi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212 Terminalia toment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851 Vaccinium corymb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095 Vaccinium corymb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14 blue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4000144725 Amygdalu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37 Amygdalu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5801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40107700 Pyruv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KDYFGRWQOYBRFD-UHFFFAOYSA-N Succ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KDYFGRWQOYBR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224 almon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5 chew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71 col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91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984 mast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098 plum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18 plum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e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424 soybean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49 soybean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FZIPCQLKPTZZIM-UHFFFAOYSA-N 2-oxidanylpropane-1,2,3-tri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OC(=O)CC(O)(C(O)=O)CC(O)=O FZIPCQLKPTZZ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626 Catec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46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6 Chrysanthemum x morifol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1002 Cianida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80 Cucurbita pep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UHFFFAOYSA-N 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EWJPZIEWOKRBE-XIXRPRMCSA-N Mesotart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H](O)C(O)=O FEWJPZIEWOKRBE-XIXRPRMC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58 Prunus mu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546 Prunus mu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736 Rheumat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37 Succ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VXMKYRQZQXVKGB-CWWHNZPOSA-N Tannin Chemical compound O([C@H]1[C@H]([C@@H]2OC(=O)C3=CC(O)=C(O)C(O)=C3C3=C(O)C(O)=C(O)C=C3C(=O)O[C@H]([C@H]2O)O1)O)C(=O)C1=CC(O)=C(O)C(O)=C1 VXMKYRQZQXVKGB-CWWHNZPO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29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085 Vigna mungo var mun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616 Vigna mungo var. mung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30 antalg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6 app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12 astring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405 be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0 cak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253 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87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106 cit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97 lea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690 ma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1 malign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3 monosodium glutam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3 phys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84 succ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44 succ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906 tarta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5 tart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367 tarta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wh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Abstract
본 발명은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파슬리, 로즈마리, 클로버, 월계수 잎 및 쟈스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약리적인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조기는 쓴 냄새(맛), 신 냄새(맛) 및 비린 냄새는 억제되고, 구수한 냄새(맛) 및 담백한 맛이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약리적 성분이 다량 함유되고 관능성이 크게 개선되어 소스가 라조기에 적절하게 배합되는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조기는 닭고기에 대해 물을 혼합한 전분 반죽을 입혀 기름에 튀긴 다음 물에 야채와 전분을 혼합한 소스를 튀긴 고기 위에 부어 제조한다. 라조기의 주재료는 닭고기인데 다른 육류에 비하여 지방이 많으며 쇠고기처럼 살코기 속에 지방이 섞여 있지 않아 지방을 모두 떼어버리고 조리하면 빡빡해져 맛이 덜하므로 조리 시에 지방을 떼어내지 않고 조리하는데 지방은 느끼한 맛이 강하다. 또한, 닭고기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나 닭고기의 특유의 냄새 때문에 냄새를 제거한 뒤 요리한다.
닭고기 특유의 이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라조기에 치즈를 가미하여 닭고기의 느끼한 맛을 중화시켜 주며 고기의 누린내를 없애주고 한층 맛을 더해주기도 하고, 라조기에 치즈와 요구르트를 함께 가미하여 유산균이 함유된 라조기을 제조할 수 있으며 느끼한 맛과 누린내를 제거시키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종래의 라조기 소스는 물에 야채와 전분만을 혼합한 것으로서 맛, 색, 향 그리고 영양면에서 단순한 편이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제1997-0058593호에는 정제수, 마늘, 양파, 당근, 배추, 설탕, 식염을 배합한 후 야채가 익을 때까지 가열하는 제1공정, 상기 야채가 익은 후 정제수에 풀어둔 오이를 넣고, 전분이 완전히 호화될 때까지 가열하는 제2공정, 식초, 간장을 넣고 약 1분 30초에서 2분 30초 가열하는 제3공정 및 이렇게 제조된 소스를 5-10로 냉각하여 기밀 포장하고 금속 동결하는 제4공정으로 이루어진 라조기 소스의 제조공정 및 오징어를 할복하여 내장, 눈 및 입 등을 제거하고 청결히 세척 후 탈피하는 오징어 전처리 공정, 상기 오징어를 취식에 용이한 크기로 잘라내는 절단과정과 별도로 정제수에 감자전분, 포도당, 천연색소, 전란, 냉동난백, MSG, 식염, 소맥분을 투입한 후 교반하여 배합하는 튀김옷의 배합공정 및 상기 오징어 절단과정에서 제조한 오징어 육에 상기 튀김옷을 입힌 후 유탕에서 튀겨내고 냉각하여 급속 동결을 실시하는 튀김공정으로 이루어진 라조기 내용물의 제조공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약리 성분이 함유되고 관능성이 개선된 라조기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는 라조기의 향미 및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라조기 소스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라조기을 제조한 결과, 닭고기 특유의 이취는 제거되고 라조기의 관능성(구수한 냄새(맛), 담백한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닭고기 등심을 길이 3-5 cm 및 두께 4-6 mm로 자르는 단계; (b) 반죽재료인 계란 흰자, 찹쌀가루, 멥쌀가루,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 첨가하여 반죽을 입히고 150-200℃의 식용유에 3-5 분 동안 튀겨내는 단계; (d) 물에 1차 소스재료로 사과 채, 양파 채, 레몬 채, 대파 채, 생강 채, 청양고추 채 또는 건조한 적색고추 채, 파슬리 채, 로즈마리 채, 클로버 채, 월계수 잎 및 쟈스민을 첨가하고 30-90 분 동안 가열하여 끊여 1차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여과하고 여과한 1차 소스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에 2차 소스재료로 식초, 설탕, 노추(중국 간장), 카라멜, 매실청, 케찹, 스테이크 소스(A1 소스) 및 우스타 소스를 첨가하고 2-7 분 동안 가열하며 끊여 라조기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c)의 결과물 및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며, 이에 보라색 양배추 채, 양파 채, 오이 채, 청 피망 채, 건포도, 체리 및 마카로니를 첨가하고 교반하며, 고추기름을 첨가하고, 이에 감자 전분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조리실에서 라조기을 볶는 단계, (h)일정시간동안 라조기을 숙성하는 숙성단계를 거쳐, 본 발명자는 라조기의 향미 및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제조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라조기 소스를 제조하여 이를 이용한 라조기을 제조한 결과, 닭고기 특유의 이취는 제거되고 라조기의 관능성(구수한 냄새(맛), 담백한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이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조기에 관한 것이다.
(ⅱ) 본 발명의 방법은 파슬리, 로즈마리, 클로버, 월계수 잎 및 쟈스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다양한 약리적인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ⅲ)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조기는 쓴 냄새(맛), 신 냄새(맛) 및 비린 냄새는 억제되고, 구수한 냄새(맛) 및 담백한 맛이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하였다.
도 1은 볶음 라조기 제조방법에 관한 플롯차트.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먼저, 라조기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닭고기 등심을 자름
우선, 본 발명의 방법은 닭고기 등심을 길이 3-5 cm 및 두께 4-6 mm로 자르는 단계를 거친다.
(b) 반죽재료의 혼합 및 반죽
그 다음, 본 발명의 방법은 반죽재료인 계란 흰자, 찹쌀가루, 멥쌀가루,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감자 전분 및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실시한다.
상기 혼합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기구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반죽재료는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란 흰자 10-20 중량부, 멥쌀가루 35-55 중량부, 옥수수 전분 5-15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5-15 중량부, 감자 전분 5-15 중량부 및 물 15-25 중량부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죽재료는 찹쌀가루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란 흰자 12-17 중량부, 멥쌀가루 38-45 중량부, 옥수수 전분 8-13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8-13 중량부, 감자 전분 8-13 중량부 및 물 18-23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반죽재료가 상기 함량을 가지는 경우에 후술할 닭고기 등심에 반죽을 입혀 튀기는 과정에서 닭고기 등심이 타는 것을 방지하고 잘 익혀 라조기의 저작감을 좋게 하는 장점이 있다.
(c) 닭고기 등심에 반죽을 입히고 튀김
그 다음, 본 발명은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 첨가하여 반죽을 입히고 150-200℃의 식용유에 3-5 분 동안 튀겨내는 단계를 거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튀겨내는 단계는 170-190℃의 식용유에 3-5 분 동안 실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190℃의 대두유에 3-5 분 동안 실시한다.
상기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실시하는 경우에 라조기의 저작감은 좋아진다.
(d) 물에 1차 소스재료의 첨가 및 끊여 1차 소스의 준비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물에 1차 소스재료로 사과 채, 양파 채, 레몬 채, 대파 채, 생강 채, 청양고추 채 또는 건조한 적색고추 채, 파슬리 채, 로즈마리 채, 클로버 채, 월계수 잎 및 쟈스민을 첨가하고 30-90 분 동안 가열하여 끊여 1차 소스를 준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월계수(Laurus nobilis L.)는 상록교목으로 원산지는 남부유럽의 지중해연안이고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수로, 중부이북은 분화초로 재배하여 향신료로 이용한다. 생잎은 약간 쓴맛이 있으나 건조시킨 잎은 달고 강하며 독특한 향기가 있어 서양요리에는 필수적일 만큼 널리 쓰이는 향신료다. 또한 식욕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풍미를 더하며 방부력도 뛰어나고, 항산화제, 신경통, 류마티스의 진통제, 구풍제, 소화제, 수렴제 등으로 쓰여져 왔다(참조:최영전, 예가, 1997).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물 및 1차 소스재료는 중량비 6-7.5 : 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및 1차 소스재료는 중량비 6.5-7 : 1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은 45-75 분 동안 실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1차 소스재료는 사과 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 채 25-35 중량부, 레몬 채 17-27 중량부, 대파 채 45-55 중량부, 생강 채 90-110 중량부, 청양고추 채 또는 건조한 적색고추 채 3-12 중량부, 파슬리 채 5-15 중량부, 로즈마리 채 1-3 중량부, 클로버 채 0.1-1 중량부, 월계수 잎 0.1-0.3 중량부 및 쟈스민 5-10 중량부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과 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양파 채 28-32 중량부, 레몬 채 20-24 중량부, 대파 채 48-52 중량부, 생강 채 95-105 중량부, 청양고추 채 또는 건조한 적색고추 채 4-8 중량부, 파슬리 채 8-12 중량부, 로즈마리 채 1-2 중량부, 클로버 채 0.3-0.7 중량부, 월계수 잎 0.1-0.3 중량부 및 쟈스민 7-8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과 1차 소스재료의 특정 중량비 그리고 상기 1차 소스재료가 상기 함량을 가지는 경우에 라조기 소스의 관능성을 개선시켜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한다.
상기 1차 소스재료를 채 형태로 이용하는 것은 1차 소스재료의 유익 성분이 소스에 함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e) 1차 소스의 여과 및 물의 첨가
이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여과하고 여과한 1차 소스에 물을 첨가한다.
상기 여과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물리적인 방법으로 실시하여, 건더기를 건져 낸다.
그리고, 상기 1차 소스에 물의 첨가는 1차 소스 제조 시 가열을 통한 수분의 증발로 인해, 즉 졸이는 과정을 통해서 감소한 물을 보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물의 양은 1차 소스 제조 시 첨가한 물의 양만큼 첨가한다. 상기 단계 (d)의 과정으로 물의 양은 초기 물의 양 보다 5-10 % 감소하고, 이에 상기 감소한 양만큼 첨가한다.
(f) 1차 소스에 2차 소스재료의 첨가 및 라조기 소스 준비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에 2차 소스재료로 식초, 설탕, 노추(중국 간장), 카라멜, 매실청, 케찹, 스테이크 소스(A1 소스) 및 우스타 소스를 첨가하고 2-7 분 동안 가열하며 끊여 라조기 소스를 준비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매실은 학명이 프루누스 뭄(Prunus mume)인 매실나무의 열매이며, 약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그 성분 중에는 특히, 구연산, 무기질, 비타민 등의 유익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인체의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만들고, 정혈작용, 해독작용, 강장작용, 보간작용, 피로회복, 노화방지, 살균작용 등을 한다. 과육 부분이 전체의 85%이며,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당분 10%와 다량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유기산은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호박산, 피루브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구연산의 함량이 다른 과실에 비해 월등히 높다. 그 외에도 카데킨산, 펙틴, 탄닌 등을 함유하고 있다. 구연산(시트르산)은 섭취한 음식을 에너지로 바꾸는 대사작용을 돕고 근육에 쌓인 젓산을 분해해 피로를 풀어주고, 칼슘의 흡수를 촉진하는 역할도 한다. 매실의 자극적인 향을 내는 피루브산은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주고, 카테킨산은 장속의 유해세균 번식을 억제해 염증을 예방한다. 또한, 매실에는 같은 무게의 사과보다 칼슘이 4배, 철분이 6배, 마그네슘은 7배, 아연은 5배 이상 많이 들어 있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의 갈증 해소에 효과가 있으며, 식중독 등으로 배탈 설사가 자주 나기 쉬운 여름철에 위장을 보호해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2차 소스재료는 설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초 25-37 중량부, 노추(중국 간장) 1-4 중량부, 카라멜 1-4 중량부, 매실청 1-4 중량부, 케찹 80-90 중량부, 스테이크 소스(A1 소스) 3-7 중량부 및 우스타 소스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설탕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초 30-34 중량부, 노추(중국 간장) 2-3 중량부, 카라멜 2-3 중량부, 매실청 2-3 중량부, 케찹 84-88 중량부, 스테이크 소스(A1 소스) 4-6 중량부 및 우스타 소스 4-6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2차 소스재료가 상기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2차 소스, 즉 라조기 소스는 맛 및 향의 관능성이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증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열은 4-6분 동안 실시한다.
(g) 라조기의 제조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c)의 결과물 및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며, 이에 보라색 양배추 채, 양파 채, 오이 채, 청 피망 채, 건포도, 체리 및 마카로니를 첨가하고 교반하며, 고추기름을 첨가하고, 이에 감자 전분 및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조리실에서 라조기를 볶는 단계;
구체적으로, 프라이팬에 반죽을 입혀 튀긴 닭고기 등심 및 라조기 소스를 첨가하고 가열한다. 그리고, 추가적인 재료를 첨가하고 감자 전분을 통하여 라조기 소스의 점도 조절을 실시한다.
*이러한 점도 조절을 통하여 본 발명의 라조기의 관능성은 더욱 개선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라조기는 상기 단계 (f)의 결과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계 (c)의 결과물 40-80 중량부, 보라색 양배추 채 0.5-2 중량부, 양파 채 0.5-2 중량부, 오이 채 0.5-2 중량부, 청 피망 채 0.5-2 중량부, 건포도 0.5-2 중량부, 체리 0.1-1.5 중량부, 마카로니 0.1-1 중량부, 고추기름 0.1-1 중량부, 감자 전분 0.1-1.5 중량부 및 물 0.5-2 중량부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f)의 결과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단계 (c)의 결과물 50-70 중량부, 보라색 양배추 채 0.8-1.4 중량부, 양파 채 0.8-1.4 중량부, 오이 채 0.8-1.4 중량부, 청 피망 채 0.8-1.4 중량부, 건포도 0.8-1.4 중량부, 체리 0.4-1 중량부, 마카로니 0.2-0.6 중량부, 고추기름 0.2-0.6 중량부, 감자 전분 0.4-1 중량부 및 물 0.8-1.5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라조기의 상기 함량을 가지는 경우에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된다.
(h)일정시간동안 라조기를 숙성하는 숙성단계는 라조기를 식히는 시간 또한 중요한 식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라조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g) 이후에 (h) 접시에 오이 채 및 2-3 cm 크기로 자른 양상추를 깔고 그 위에 상기 단계 (g)의 라조기를 붓고 라조기 위에 아몬드 슬라이스를 뿌려 주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라조기는 상술한 본 발명의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이 둘 사이에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라조기 제조
먼저, 닭고기 등심을 길이 3-5 cm 그리고 두께 5 mm로 잘라 준비하였다. 그 다음, 반죽재료로 계란 흰자 200 g, 찹쌀가루 1400 g, 멥쌀가루 600 g, 옥수수 전분 150 g, 타피오카 전분 150 g, 감자 전분 150 g 및 물 300 g을 준비하고 이를 혼합하여 반죽하였고, 상기 반죽재료의 조성은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이어, 상기 준비한 닭고기 등심을 반죽한 재료에 첨가하여 반죽을 입히고 180℃의 대두유에서 3-5 분 동안 튀겨내었다.
반죽재료 | 중량(g) | 중량 % | 중량부 | 비교예 | 중량(g) |
계란 흰자 | 200 | 6.7 | 14.1 | - | - |
찹쌀가루 | 1400 | 47.5 | 100 | 찹쌀가루 | 1050 |
멥쌀가루 | 600 | 20.3 | 42.7 | 멥쌀가루 | 1050 |
옥수수 전분 | 150 | 5.1 | 10.7 | 옥수수 전분 | 250 |
타피오카 전분 | 150 | 5.1 | 10.7 | 타피오카 전분 | 300 |
감자 전분 | 150 | 5.1 | 10.7 | - | - |
물 | 300 | 10.2 | 21.5 | 물 | 300 |
합계 | 2950 | 100 | - | 합계 | 2950 |
그리고, 라조기 소스를 준비하였다. 구체적으로, 1차 소스재료로 사과 2 kg, 양파 600 g, 레몬 450 g, 대파 1 kg, 생강 2 kg, 청양고추 150 g 또는 건조한 적색고추 100 g, 파슬리 200 g, 로즈마리 30 g, 클로버 10 g, 월계수 잎 3 g 및 쟈스민(꽃 및 잎) 150 g을 준비하고 월계수 잎 및 쟈스민을 제외한 다른 소스재료들을 작게 채로 썬 다음에 상기 재료들을 물 45 L에 넣고 센 불에서 1 시간 동안 가열하여 끊였다. 그리고, 1차 소스재료의 조성은 아래 표 2와 같다:
1차 소스재료 |
중량 (g) |
중량 (%) |
중량부 | 1차 소스재료 |
중량 (g) |
중량 (%) |
중량부 | 비교예 | 중량(g) |
사과 | 2000 | 30.34 | 100 | 사과 | 2000 | 30.57 | 100 | 사과 | 2000 |
양파 | 600 | 9.10 | 30 | 양파 | 600 | 9.16 | 30 | 양파 | 750 |
레몬 | 450 | 6.80 | 22.4 | 레몬 | 450 | 6.88 | 22.5 | 레몬 | 460 |
대파 | 1000 | 15.17 | 50 | 대파 | 1000 | 15.28 | 50 | 대파 | 1000 |
생강 | 2000 | 30.34 | 100 | 생강 | 2000 | 30.57 | 100 | 생강 | 2000 |
청양고추 | 150 | 2.28 | 7.5 | 청양고추 | - | - | - | 청양고추 | 100 |
건조 적색고추 |
- | - | - | 건조 적색고추 |
100 | 1.53 | 5 | - | - |
파슬리 | 200 | 3.03 | 10 | 파슬리 | 200 | 3.06 | 10 | 파슬리 | 233 |
로즈마리 | 30 | 0.46 | 1.5 | 로스마리 | 30 | 0.46 | 1.5 | - | - |
클로버 | 10 | 0.15 | 0.5 | 클로버 | 10 | 0.15 | 0.5 | - | - |
월계수 잎 | 3 | 0.05 | 0.16 | 월계수 잎 | 3 | 0.05 | 0.16 | - | - |
쟈스민 | 150 | 2.28 | 7.5 | 쟈스민 | 150 | 2.29 | 7.5 | - | - |
합계 | 6593 | 100 | - | 합계 | 6543 | 100 | - | 합계 | 6543 |
그 다음, 건더기는 건져내고 추가적으로 물의 양을 첨가하여 처음 물의 양인 45 L를 맞추어주었다. 그리고, 이에 2차 소스재료로 식초 2400 g, 설탕 7500 g, 노추(중국 간장) 200 g, 카라멜 200 g, 매실청 200 g, 케찹 6500 g, 스테이크 소스(A1 소스) 400 g 및 우스타 소스 400 g을 첨가하여 추가적으로 5 분 동안 가열하여 끊여 주어 라조기 소스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2차 소스재료의 조성은 아래 표 3에 정리하였다:
2차 소스재료 | 중량(g) | 중량 % | 중량부 | 비교예 | 중량(g) |
식초 | 2400 | 13.54 | 32.2 | 식초 | 2400 |
설탕 | 7500 | 42.1 | 100 | 설탕 | 7700 |
노추(중국간장) | 200 | 1.14 | 2.7 | - | - |
카라멜 | 200 | 1.14 | 2.7 | 카라멜 | 400 |
매실청 | 200 | 1.14 | 2.7 | - | - |
케찹 | 6500 | 36.4 | 86.5 | 케찹 | 6500 |
스테이크소스(A1 소스) | 400 | 2.27 | 5.4 | 스테이크소스(A1 소스) | 800 |
우스타 소스 | 400 | 2.27 | 5.4 | - | - |
합계 | 17600 | 100 | - | 합계 | 17600 |
그 다음, 프라이팬에 튀긴 닭고기 등심 300 g 및 라조기 소스 500 g을 넣고 가열하면서 이에 보라색 양배추 채 5 g, 양파 채 5 g, 오이 채 5 g, 청 피망 채 5 g, 건포도 5 g, 체리 3 g 및 마카로니 2 g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이에 고추기름 2 g을 첨가한 다음, 감자 전분 3 g 및 물 6 g을 혼합하고 이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점도를 맞추어 주어 라조기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라조기의 색상은 갈색이다. 라조기의 조성은 아래 표 4에 정리하였다.
라조기 | 중량(g) | 중량 % | 중량부 | 비교예 | 중량(g) |
튀긴 닭고기 등심 | 300 | 35.66 | 60 | 튀긴 닭고기 등심 | 300 |
라조기 소스 | 500 | 59.44 | 100 | 라조기 소스 | 500 |
보라색 양배추 채 | 5 | 0.6 | 1.1 | 보라색 양배추 채 | 5 |
양파 채 | 5 | 0.6 | 1.1 | 양파 채 | 5 |
오이채 | 5 | 0.6 | 1.1 | 오이채 | 5 |
청피망채 | 5 | 0.6 | 1.1 | 청피망채 | 5 |
건포도 | 5 | 0.6 | 1.1 | 건포도 | 5 |
체리 | 3 | 0.36 | 0.6 | 체리 | 3 |
마카로니 | 2 | 0.24 | 0.4 | 마카로니 | 2 |
고추기름 | 2 | 0.24 | 0.4 | 고추기름 | 2 |
감자전분 | 3 | 0.36 | 0.6 | 감자전분 | 3 |
물 | 6 | 0.70 | 1.2 | 물 | 6 |
합계 | 841 | 100 | - | 합계 | 841 |
마지막으로, 양상추 30 g을 2-3 cm 크기로 자르고 오이 50 g의 채를 썬 다음 이를 접시에 깔고 그 위에 제조한 라조기를 붓고 라조기 위에 아몬드 슬라이스 1 g을 뿌려 주었다.
상기 제조예 중 상기 표 2에서 청양고추를 이용하는 경우를 실시예 1, 건조된 적색고추를 이용하는 경우를 실시예 2로 이용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표 1 내지 4에서 별도 조성으로 나타낸 성분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경우를 비교예로 이용하였다.
실험예 2: 관능성 검사
상기 실시예 1, 2 그리고 비교예의 라조기의 관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냄새는 구수한 냄새, 단 냄새, 쓴 냄새, 신 냄새 및 비린 냄새를, 맛은 구수한 맛, 담백한 맛, 단맛, 쓴맛 및 신맛, 그리고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관능평가에 사용한 모든 시료의 온도는 상온이 되도록 준비하였고, 라조기 50 g을 입안에 넣고 10번 치아로 씹어 구강 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며,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안을 세척하고 10 분이 경과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였다. 관능평가요원은 기본 맛과 향미 평가에 대해 훈련된 패널 1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맛이나 냄새가 매우 강한 경우를 9점, 맛이나 냄새가 없는 경우를 1점, 그리고 매우 강한 정도에서 없는 정도 순으로 점수는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고, 관능평가의 평균값은 아래 표 5 및 6에 정리하였다.
시료 | 냄새 | ||||
구수한냄새 | 단냄새 | 쓴냄새 | 신냄새 | 비린냄새 | |
실시예 1 | 9 | 4 | 3 | 2 | 1 |
실시예 2 | 9 | 4 | 3 | 2 | 1 |
비교예 2 | 6 | 5 | 3 | 2 | 4 |
시료 | 맛 | ||||
구수한맛 | 단맛 | 쓴맛 | 신맛 | 담백한 맛 | |
실시예 1 | 8 | 4 | 3 | 3 | 9 |
실시예 2 | 9 | 5 | 3 | 3 | 8 |
비교예 2 | 6 | 4 | 3 | 3 | 6 |
시료 | 전체적인 기호도 |
실시예 1 | 9 |
실시예 2 | 9 |
비교예 | 6 |
상기 표 5 및 6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쓴 냄새(맛), 신 냄새(맛) 및 비린 냄새는 억제되고, 구수한 냄새(맛) 및 담백한 맛이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a) 닭고기 등심을 길이 3-5 cm 및 두께 4-6 mm로 자르는 단계;
(b) 반죽재료인 계란 흰자 200 중량부, 찹쌀가루 1400 중량부, 멥쌀가루 600 중량부, 옥수수 전분 150 중량부, 타피오카 전분 150 중량부, 감자 전분 150 중량부 및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에 첨가하여 반죽을 입히고 150-200℃의 식용유에 3-5 분 동안 튀겨내는 단계;
(d) 물에 1차 소스재료로 사과 채 2000 중량부, 양파 채 600 중량부, 레몬 채 450 중량부, 대파 채 1000 중량부, 생강 채 2000 중량부, 청양고추 채 150 중량부 또는 건조한 적색고추 채 100 중량부, 파슬리 채 200 중량부, 로즈마리 채 30 중량부, 클로버 채 10 중량부, 월계수 잎 3 중량부 및 쟈스민 150 중량부를 첨가하고 30-90 분 동안 가열하여 끊여 1차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여과하고 여과한 1차 소스에 물을 첨가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에 2차 소스재료로 식초 2400 중량부, 설탕 7500 중량부, 노추(중국 간장) 200 중량부, 카라멜 200 중량부, 매실청 200 중량부, 케찹 6500 중량부, 스테이크 소스(A1 소스) 400 중량부 및 우스타 소스 400 중량부를 첨가하고 2-7 분 동안 가열하며 끊여 라조기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g) 상기 단계 (c)의 결과물 및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혼합하고 가열하며, 이에 보라색 양배추 채 5 중량부, 양파 채 5 중량부, 오이 채 5 중량부, 청 피망 채 5 중량부, 건포도 5 중량부, 체리 3 중량부 및 마카로니 2 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하며, 고추기름 2 중량부를 첨가하고, 이에 감자 전분 3 중량부 및 물 6 중량부을 혼합한 혼합물을 첨가하여 조리실에서 라조기를 볶는 단계;
(h)일정시간동안 라조기를 숙성하는 숙성단계;를 거쳐 라조기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g) 이후에 (h) 접시에 오이 채 및 2-3 cm 크기로 자른 양상추를 깔고 그 위에 상기 단계 (g)의 라조기를 붓고 라조기 위에 아몬드 슬라이스를 뿌려 주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9430A KR20160120442A (ko) | 2015-04-08 | 2015-04-08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9430A KR20160120442A (ko) | 2015-04-08 | 2015-04-08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0442A true KR20160120442A (ko) | 2016-10-18 |
Family
ID=5724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9430A KR20160120442A (ko) | 2015-04-08 | 2015-04-08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044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2416B1 (ko) * | 2021-10-18 | 2022-11-04 | 주식회사 이엔지스토리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58593A (ko) | 1996-01-23 | 1997-08-12 | 오치남 | 오징어를 이용한 탕수육 및 그 제조방법 |
-
2015
- 2015-04-08 KR KR1020150049430A patent/KR2016012044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58593A (ko) | 1996-01-23 | 1997-08-12 | 오치남 | 오징어를 이용한 탕수육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2416B1 (ko) * | 2021-10-18 | 2022-11-04 | 주식회사 이엔지스토리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2799B1 (ko) | 탕수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탕수육 | |
KR101793202B1 (ko) | 블루베리 떡갈비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루베리 떡갈비 | |
CN105995917B (zh) | 泡椒酱汁及其制备方法 | |
KR101812006B1 (ko) |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 |
KR20170136710A (ko) |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 |
KR101740320B1 (ko) | 숙성 돼지고기 김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성 돼지고기 김밥 | |
KR20160109627A (ko) | 볶음 탕수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탕수육 | |
KR102235139B1 (ko) | 백색 또는 금색 고춧가루를 사용한 무 곁들이 하얀 배추김치의 제조방법 | |
KR20030071670A (ko) | 육류용 양념 소스 및 이를 이용한 오리고기 조리방법 | |
KR100830693B1 (ko) | 더덕 고추장 절임의 제조방법 | |
KR20130071708A (ko) | 양념치킨용 양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46013B1 (ko) | 고로쇠 액과 표고버섯을 이용한 맛간장 소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맛간장 소스 | |
KR20040040978A (ko) | 양념치킨 제조방법 | |
KR20210069535A (ko) | 육전 물냉면 제조방법 | |
KR102006548B1 (ko) | 콩나물 잡채의 제조방법 | |
KR101392552B1 (ko) |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50216B1 (ko) | 간장불고기용 양념육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66580B1 (ko) | 산마늘이 함유된 만두 제조방법 | |
KR101401646B1 (ko) | 기능성 국수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기능성 국수 | |
KR101603750B1 (ko) | 냉면 육수 제조방법 | |
KR102037760B1 (ko) | 건나물 파스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나물 파스타 | |
KR20160120442A (ko)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
KR100630477B1 (ko) | 부대찌개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0867B1 (ko) |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 |
KR20200113354A (ko) | 치즈 떡갈비 및 그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