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416B1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62416B1 KR102462416B1 KR1020210138248A KR20210138248A KR102462416B1 KR 102462416 B1 KR102462416 B1 KR 102462416B1 KR 1020210138248 A KR1020210138248 A KR 1020210138248A KR 20210138248 A KR20210138248 A KR 20210138248A KR 102462416 B1 KR102462416 B1 KR 1024624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determined
- raw material
- inner cylinder
- mixing
- cylinder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60—Salad dressings; Mayonnaise; Ketchup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S100) 소정의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 (S200) 소정의 원료를 믹싱 용기에서 혼합하는 원료 교반 단계; 및 (S300) 소정의 원료를 숙성하는 원료 숙성 단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킨 양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와 소정의 양념원료를 배합하고 최상의 숙성 온도에서 숙성하여 치킨 양념의 바비큐 맛과 풍미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제조 방법을 제시하도록 하는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1인 가구, 맞벌이 가정 등이 증가함에 따라 간편식 시장이 커지고 분말 조미료 이외에 액상 조미료, 간편 양념의 수요가 늘며 매출이 동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조미료 시장 매출 규모는 2018년 1599억 원을 기록했다. 조미료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자연 조미료(2018년 기준 37.5%)이며, 이어서 일반 조미료 (37.4%), 발효 조미료(25.1%)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자연 조미료의 매출 점유율은 감소하고 있는 반면 일반 조미료의 매출규모는 2018년 기준 597억 원으로 2016년 이후 꾸준히 증가추세다.
이러한 시장 매출은 2016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향미진증제(MSG)의 안정성이 입증됐다는 사실을 알리기 시작했고 식품첨가물 분류에서 ‘화학적 합성첨가물’이라는 용어를 퇴출시키며 MSG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변화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으로 건강 중시 트렌드와 구매 전 성분, 원재료 등을 꼼꼼히 따지는 이른바 ‘체크슈머’(Check+Consumer)가 증가함에 따라 천연 원료로 맛을 살리는 조미료 시장이 더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대한 간편함과 편리함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소스 및 양념 시장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간편함과 편리함에 대한 니즈와 양념 및 소스 시장의 성장성에 걸맞춰 소스 및 양념에 대한 다양한 제조 공법에 대한 기술적인 시도가 존재하여 왔는데, 이러한 시도들은 기업의 대량 생산 위조의 공급자 중심이며, 인위적인 향의 추가 등을 통하여 맛과 건강에 좋지 않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치킨 양념 제조와 관련된 기술을 소개하고 있는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마늘 양념 치킨 제조방법(공개번호 제10-2016-0051915호, 이하 특허문헌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
특허문헌1에 따르면, 마늘 양념 치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염지된 조각 상태의 튀긴 닭(후라이드 치킨)과 양념소스를 중화 팬에 넣은 다음 강한 불에서 볶아 불맛과 불향이 가미된 양념소스가 튀김 닭에 흡수 및 코팅되어 알싸함과 말콤함 및 바삭한 식감과 깊은 양념의 치킨 맛을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양념소스는, 200~300℃로 가열된 중화 팬에 20g 전후의 식용유를 넣어 중화 팬을 코팅한 다음 30g 전후의 탕파와 30g 전후의 간마늘을 넣어 소정시간 볶아 탕파향과 간마늘향과 불맛과 불향을 식용유에 입힌 다음, 500~800℃의 강한 불로 중화 팬을 가열시켜 불맛과 불향을 더욱 강하게 해주고 튀김 닭의 잡내를 없애기 위해 20g 전후의 청주를 중화 팬에 가미한 다음, 16~20g의 간장 또는 불고기 간장 중 어느 하나를 중화 팬에 넣어 간을 맞춘 다음, 180g 전후의 마늘간장소스와100g 전후의 찧은 마늘을 중화 팬에 넣고 500~800℃ 의 강한 불에 졸인 다음 20g 전후의 청량고추 조각을 넣어 가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닭갈비용 양념 소스 및 그 제조방법(공개번호 제10-2017-0085790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2에 따르면, 닭갈비를 3㎝ × 3㎝의 크기로 세절하면서 규정량의 물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유화상태로 만들어 닭갈비 원재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양념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로서, 양념 소스 총량에 대해, 풋콩 3 ~ 15중량부를 분쇄하고, 알긴산 용액 0.3 ~ 0.8중량부, 염화칼슘 수용액 0.05 ~ 0.1 중량부를 첨가시켜 풋콩 분쇄물을 알갱이화하고, 얻어진 알갱이화된 풋콩 분쇄물에, 올리고당 20 ~ 30중량부, 사과 15 ~ 20 중량부, 고추장 10 ~ 13중량부, 배 10 ~ 13중량부, 양파 10 ~ 13중량부, 갈색 설탕 9 ~ 13 중량부, 청양고추 2.5 ~ 4중량부, 마늘 2 ~4중량부, 양조 간장 1 ~ 2 중량부, 청주 1 ~ 3 중량부, 생강 0.5 ~ 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여 양념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및 닭갈비와 준비된 양념소스를 1 : 2 ~ 3의 비율로 배합한 혼합물을 12 ~ 15℃에서 22 ~ 24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닭갈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기능성을 추가하여 양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선행 기술도 존재하는데, 이에 대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치킨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등록번호 제10-2193535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
특허문헌3에 따르면, (1) 히비스커스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히비스커스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2) (1)단계의 제조한 히비스커스 추출액과, 간장, 마늘, 양파, 생강, 토마토 케찹, 토마토 착즙액, 물엿, 잔탄검, 후추 분말, 고추장, 설탕, 전분, 레몬향, 마누카 꿀, 링곤베리 분말 및 물을 혼합하여 소스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및 (3) (2)단계의 준비한 소스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킨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방법으로 제조된 치킨용 양념 소스 및 치킨에 치킨용 양념 소스를 버무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 치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들 기술은 양념 소스의 배합 비율, 첨가물의 부가와 이에 따른 각종 공법들에 대한 기술적 사상만을 개시하고 있어, 혼합 및 교반 단계에서의 적절한 믹싱을 통하여 극대화된 양념의 풍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 양념 원료와 신선식품 원료를 혼합하여 자연스러운 단맛이 어우러지는 바베큐 치킨 양념을 만들고자 한다.
둘째, 원료들의 믹싱과 저온 숙성을 통하여 치킨 양념의 풍미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은 (S100) 소정의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 (S200) 상기 소정의 원료를 믹싱 용기에서 혼합하는 원료 교반 단계; 및 (S300) 상기 소정의 원료를 숙성하는 원료 숙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상기 (S100) 단계는, (S110)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미리 정해진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및 (S120) 상기 소정의 양념 원료를 계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는, 마늘, 사과, 양파를 4:1:2의 중량비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상기 소정의 양념 원료는, 진간장, 짜장 분말, 고추장, 물엿, 고추기름, 백후추분말, 꿀, 고추가루, 참기름, 토마토케첩, 노두유, 사이다, 캐러멀시럽을 10:7:1:24:3.4:0.1:14:6:0.2:8:0.4:3.4:6: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소정의 양념 원료와 상기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상기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기준으로 1: 12.5의 중량비로 상기 믹싱 용기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상기 (S300) 단계는, 교반된 상기 소정의 원료를 섭씨 0~5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상기 믹싱 용기는, 상기 믹싱용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아우터 실린더부; 상기 아우터 실린더부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아우터 실린더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이너 실린더부; 및 상기 이너 실린더부와 연장되어 제공되고, 믹싱용기의 회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소정의 주기에 따라 회전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로테이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상기 로테이션부는, 상기 이너 실린더부를 회전시켜 상기 소정의 원료를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 이동시키고 상기 소정의 원료의 자중에 따라 상기 소정의 원료를 하부로 이동시키되, 상기 소정의 원료의 자중을 통해 상기 소정의 원료들 상호 간에 물리적으로 마찰을 제공하여 상기 소정의 원료가 믹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과일과 채소를 사용하여 자연스러운 단맛을 제공하고, 원료들의 혼합을 통해 치킨 양념의 맛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원료의 혼합 이후 적절한 시간에 대한 저온 숙성 과정을 통하여 양념의 풍미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셋째, 원료의 혼합 과정에서 원료의 자중을 통하여 원료 간의 물리적 혼합이 이루어지며, 원료 간의 혼합을 통해 원료의 혼합이 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전반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전반적인 순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a) 믹싱용기의 개념도와 (b) 믹싱용기 중 이너 실린더부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 중 로테이션부의 회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 중 이너 실린더부와 로테이션부가 회전하며 소정의 원료가 회전을 통해 믹싱되고, 원료들의 하중을 통해 믹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에 소정의 양념 원료와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가 투입되고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에 따라 교반되어 배출홀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 내주면에 슬로프가 형성되고, 슬로프를 지나는 소정의 원료들이 혼합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에 센싱부가 제공되고,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센싱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전반적인 순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a) 믹싱용기의 개념도와 (b) 믹싱용기 중 이너 실린더부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 중 로테이션부의 회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 중 이너 실린더부와 로테이션부가 회전하며 소정의 원료가 회전을 통해 믹싱되고, 원료들의 하중을 통해 믹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에 소정의 양념 원료와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가 투입되고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에 따라 교반되어 배출홀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 내주면에 슬로프가 형성되고, 슬로프를 지나는 소정의 원료들이 혼합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에 센싱부가 제공되고,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센싱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전반적인 순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전반적인 순서도이다. 도 3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a) 믹싱용기의 개념도와 (b) 믹싱용기 중 이너 실린더부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 중 로테이션부의 회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 중 이너 실린더부와 로테이션부가 회전하며 소정의 원료가 회전을 통해 믹싱되고, 원료들의 하중을 통해 믹싱이 이루어지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에 소정의 양념 원료와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가 투입되고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에 따라 교반되어 배출홀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 내주면에 슬로프가 형성되고, 슬로프를 지나는 소정의 원료들이 혼합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에 센싱부가 제공되고,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센싱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소정의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S200) 소정의 원료를 믹싱 용기에서 혼합하는 원료 교반 단계와 (S300) 소정의 원료를 숙성하는 원료 숙성 단계로 나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가 우선 수반된다.
소정의 원료를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는 (S110)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미리 정해진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S120) 소정의 양념 원료를 계량하는 단계로 분류된다.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의 경우, 마늘, 사과, 양파에 해당하며, 마늘 사과 양파를 4:1:2의 중량비로 준비하고, 미리 정해진 크기로 절단한다.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는 여러 번의 칼질을 통하여 큐브 형태로 작게 다져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늘의 경우, 다진 마늘을 사용하며, 사과의 양파의 경우, 다지기를 통해 잘게 다져진 크기를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의 경우, 절단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기에 양념 계량 전에 준비하는 과정을 필요로 할 수 있으나, 양념 계량 단계와 동시에 신선식품 원료를 준비할 수도 있다.
즉, 원료 준비 단계에 대해서는 동시에 진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소정의 양념 원료의 경우, 진간장, 짜장 분말, 고추장, 물엿, 고추기름, 백후추분말, 꿀, 고춧가루, 참기름, 토마토케첩, 노두유, 사이다, 캐러멀시럽을 10:7:1:24:3.4:0.1:14:6:0.2:8:0.4:3.4:6: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소정의 양념 원료를 계량하는 단계에서 소정의 양념 원료를 믹싱용기(100)에 투입하며 계량할 수 있다.
노두유는 노추(老抽)라고도 불리며, 중국식 간장이라 말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한다.
꿀의 경우, 잡꿀(또는 잡화꿀, 양생화꿀)에 해당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고춧가루는 일반 고춧가루, 청양 고춧가루에 해당하는 고춧가루를 사용하며, 여기서의 고춧가루는 청양 고춧가루를 사용할 수 있다.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이후 원료를 교반하는 단계의 경우, 믹싱 용기를 사용하여 소정의 원료들을 교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반 단계에서 소정의 양념 원료와 소정의 신석식품 원료를 신선식품 원료 기준으로 1:12.5의 중량비로 투입하여 교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S300) 원료 숙성 단계의 경우, 교반 된 소정의 원료를 섭씨 0~5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원료 숙성 단계에서 냉장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숙성온도는 섭씨 0~5도로 설정되도록 한다.
원료 숙성 단계에서 48시간의 냉장 숙성을 통하여 소정의 원료의 맛과 풍미를 발전시키며, 숙성 시간이 완료된 소정의 원료는 소분 포장되어 출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하 전 소정의 원료에 대한 검사를 통하여 소정의 원료의 교반 상태와 숙성 정도를 검사한 후 출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믹싱용기(100)는, 아우터 실린더(outer cylinder)부(110), 이너 실린더(inner cylinder)부(120), 로테이션(rotation)부(130)를 포함한다.
아우터 실린더부(110)는 믹싱용기(100)의 몸체를 형성하며, 믹싱용기(100)의 가장 외부에 제공된다.
이너 실린더부(120)는, 아우터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제공되고, 아우터 실린더부(11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도 3에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믹싱용기(100)는 이너 실린더부(120)만이 회전하는 것이다.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 시 이너 실린더부(120)가 회전하면서 기울어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아우터 실린더부(110)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실린더부(120)는 아우터 실린더부(110)의 내부에 제공되는 것으로 그 너비와 높이가 아우터 실린더부(110) 대비 작은 너비와 작은 높이로 제공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테이션부(130)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와 연장되어 제공되고, 로테이션부(130)는 이너 실린더부(120) 일측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실린더부(120)의 일측은 로테이션부(130)가 제공되고, 이너 실린더부(120)의 타측은 소정의 원료가 투입되어지는 것이다.
이너 실린더부(120)와 로테이션부(130)는 동시 회전하는 것으로, 로테이션부(130)와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을 제공하는 모터(미도시)가 제공되어질 수 있다.
회전의 경우, 모터의 작동을 통하여 이너 실린더부(120)와 로테이션부(130)의 분당 회전 속도가 설정되어질 수 있다.
회전 속도의 경우, 사용자의 컨트롤에 의하여 분당 회전 수가 설정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테이션부(130)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향 볼록한 회전 날개(131)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 날개(131)의 경우, 도시된 형태 이외에도 날개의 모양과 개수의 제한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테이션부(130)와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 방향은 소정의 주기(period)에 따라 회전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소정의 주기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 속도와 소정의 원료의 양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실린더부(120)의 몸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되는 배출홀(12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실린더부(120)의 몸체를 따라 배출홀(121)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원료는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부에 뭉쳐진 상태로 또한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제공되는데, 이너 실린더부(120)와 로테이션부(130)의 회전을 통하여 교반되지 않은 소정의 원료는 회전을 통하여 고루 믹싱되어 배출홀(121)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혼합된 소정의 원료는 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구성이다.
아울러, 배출홀(121)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경우, 아우터 실린더부(110)로부터 소정의 공기가 인입되어질 수 있는데, 배출홀(121)을 통해 인입되는 소정의 공기는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벽에 흡착된 소정의 원료들을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떨어트려 줄 수 있다.
배출홀(121)을 통하여 인입되는 소정의 공기는 아우터 실린더부(110)와 이너 실린더부(120)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에 해당하며,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의 인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부로 인입된 소정의 공기는, 배출홀(121)을 통하여 이너 실린더부(120)의 외부로 다시 토출되고,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으로 인입되는 방식으로 소정의 공기에 대한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로테이션부(130)는, 이너 실린더부(120)를 회전시켜 소정의 원료를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시키고 소정의 원료의 자중에 따라 소정의 원료를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부에 투입된 소정의 원료는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한 후 자중에 의하여 이너 실린더부(120)의 하부로 이동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실린더부(120)는 원통형의 몸체를 형성하는데, 예컨대, 원통형의 이너 실린더부(120)가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소정의 원료의 경우도 도 5의 (a)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소정의 원료가 이너 실린더부(120)의 상부에 제공되면 소정의 원료의 하중에 의하여 소정의 원료는 이너 실린더부(120)의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도 5의 (b) 경우는 이너 실린더부(120)가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실린더부(120)는 오른쪽, 왼쪽의 회전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너 실린더부(120)가 주기적으로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함은 소정의 원료의 교반 및 혼합이 고루 이루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이너 실린더부(120)에 투입된 소정의 원료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일부 소정의 원료에 대한 교반 및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주기적으로 방향을 변경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에는 슬로프(slope)(122)가 제공될 수 있는데, 슬로프(122)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일정하게 병렬적으로 배치되어질 수 있다.
슬로프(122)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의 회전에 따라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소정의 원료와 그에 해당하지 않는 소정의 원료를 고루 혼합시키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이너 실린더부(120)를 따라 이동하는 소정의 원료는 이동하는 과정에서 층이 형성되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층은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동시에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22)가 형성되는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의 원료가 형성한 층이 슬로프(122)에 의해 혼합되고 이너 실린더부(120)의 이동을 통하여 소정의 원료가 고루 혼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이너 실린더부(120)가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주면에 형성된 슬로프(122)의 회전도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로프(122)의 왼쪽에 제공된 소정의 원료는 슬로프(122)를 지나며 소정의 원료는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의 벽면에 제공되고, 슬로프(122)를 기준으로 왼쪽의 하부에 있던 소정의 원료는 슬로프(122)를 따라 이동하며 상부로 제공되어진다.
이러한 소정의 원료의 자중과 슬로프(122)를 통해 소정의 원료들이 층을 이루지 않고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소정의 원료의 자중을 통하여 하부로 이동한 소정의 원료는 상호 간에 물리적으로 마찰을 제공하여 소정의 원료가 믹싱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한 소정의 원료는 하강을 통하여 하부에 제공된 소정의 원료와 직면하게 되며, 하강한 소정의 원료는 하강되는 힘에 의하여 하부에 제공된 소정의 원료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힘을 제공한다.
하강하는 소정의 원료의 하강하는 힘에 의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하는 소정의 원료와 하부에 제공된 소정의 원료가 물리적인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의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을 따라 중량을 감지하는 센싱부(123)가 제공될 수 있다.
센싱부(123)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의 원을 따라 제공되며,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원료의 중량에 따라 회전 속도와 순간 속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센싱부(123)는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실린더부(120)의 내주면에서 제공된 영역으로 나뉘어 중량을 감지하고, 중량에 따라 (a)및 (b)와 같이 회전 속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센싱부(123)의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텍팅부(123-1), 프레싱부(123-2)로 형성될 수 있다.
디텍팅부(123-1)는, 마주보는 전도 가지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주보는 전도 가지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싱부(123-2)의 경우,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도성을 가지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류를 흘려보낼 수 있다.
프레싱부(123-2)가 디텍팅부(123-1)의 전도 가지들을 가압하면서 눌러지면, 프레싱부(123-2)는 디텍팅부(123-1)를 이루는 전도성 가지들을 강압하면서 연결하는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디텍팅부(123-1)가 형성하는 전기적 저항의 변화가 형성되고, 디텍팅부(123-1)를 가압하는 정도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센싱 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23)의 경우, 이너 실린더부(100)의 내주면에 붙어 있는 소정의 원료를 센싱하여 이너 실린더부(100)의 순간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순간 회전 속도는 이너 실린더부(100)에 의하여 순간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며, 센싱부(123)의 중량 감지를 통해 이너 실린더부(100)의 속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속도를 빠르게 조절하여 이너 실린더부(100)의 내주면에 붙은 소정의 원료가 순간 회전력에 의하여 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믹싱용기
110: 아우터 실린더부
120: 이너 실린더부
121: 배출홀
122: 슬로프
123: 센싱부
123-1: 디텍팅부
123-2: 프레싱부
130: 로테이션부
131: 회전 날개
140: 배출구
110: 아우터 실린더부
120: 이너 실린더부
121: 배출홀
122: 슬로프
123: 센싱부
123-1: 디텍팅부
123-2: 프레싱부
130: 로테이션부
131: 회전 날개
140: 배출구
Claims (7)
- (S100) 소정의 원료를 미리 정해진 비율에 따라 계량하여 준비하는 단계:
(S200) 상기 소정의 원료를 믹싱 용기에서 혼합하는 원료 교반 단계; 및
(S300) 상기 소정의 원료를 숙성하는 원료 숙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믹싱 용기는,
상기 믹싱용기의 몸체를 형성하는 아우터 실린더부;
상기 아우터 실린더부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아우터 실린더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이너 실린더부; 및
상기 이너 실린더부와 연장되어 제공되고, 믹싱용기의 회전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날개를 형성하고, 상기 소정의 주기에 따라 회전방향을 주기적으로 변화시키는 로테이션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테이션부는,
상기 이너 실린더부를 회전시켜 상기 소정의 원료를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 이동시키고 상기 소정의 원료의 자중에 따라 상기 소정의 원료를 하부로 이동시키되,
상기 소정의 원료의 자중을 통해 상기 소정의 원료들 상호 간에 물리적으로 마찰을 제공하여 상기 소정의 원료가 믹싱되도록 하고,
상기 이너 실린더부는,
복수 개로 제공되며 이격되어 배치되는 배출홀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홀은,
상기 아우터 실린더부와 상기 이너 실린더부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가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된 공기는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벽에 흡착된 상기 소정의 원료들을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탈시키며,
상기 소정의 공기는,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외부로 토출되며, 상기 이너 실린더부의 회전으로 상기 소정의 공기에 대한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00) 단계는,
(S110)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미리 정해진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준비하는 단계; 및
(S120) 상기 소정의 양념 원료를 계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는,
마늘, 사과, 양파를 4:1:2의 중량비로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양념 원료는,
진간장, 짜장 분말, 고추장, 물엿, 고추기름, 백후추분말, 꿀, 고추가루, 참기름, 토마토케첩, 노두유, 사이다, 캐러멀시럽을 10:7:1:24:3.4:0.1:14:6:0.2:8:0.4:3.4:6: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200) 단계는,
상기 소정의 양념 원료와 상기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상기 소정의 신선식품 원료를 기준으로 1: 12.5의 중량비로 상기 믹싱 용기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S300) 단계는,
교반된 상기 소정의 원료를 섭씨 0~5도에서 48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248A KR102462416B1 (ko) | 2021-10-18 | 2021-10-18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8248A KR102462416B1 (ko) | 2021-10-18 | 2021-10-18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62416B1 true KR102462416B1 (ko) | 2022-11-04 |
Family
ID=8404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8248A KR102462416B1 (ko) | 2021-10-18 | 2021-10-18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6241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6156B1 (ko) * | 2023-03-28 | 2023-09-07 | 한인섭 | 치킨 소스 제조 방법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2746A (ko) * | 2010-06-17 | 2010-07-19 | 한상관 | 물, 유동성 식품 또는 음료 또는 주류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오염물질을 중화시키거나 분해하도록 작용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 유동성 식품 또는 곡물과 음료 또는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 |
KR20150017115A (ko) * | 2013-08-06 | 2015-02-16 |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닭갈비 양념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60051915A (ko) | 2014-10-22 | 2016-05-12 | 이승원 | 마늘 양념 치킨 제조방법 |
KR20160120442A (ko) * | 2015-04-08 | 2016-10-18 | 김연국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KR20170085790A (ko) | 2016-01-15 | 2017-07-25 | (주)성우식품 | 닭갈비용 양념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103559A (ko) * | 2017-03-10 | 2018-09-19 | (주) 에프앤에스유통 | 파 풍미 강정치킨 제조방법 |
KR20180125233A (ko) * | 2017-05-15 | 2018-11-23 | 주식회사 상생 | 흑마늘,흑양파,사과,한방약재를 이용한 관능성,안전성,기능성이 우수한 찜닭용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00089516A (ko) * | 2019-01-17 | 2020-07-27 | 김홍현 | 치킨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
KR102193535B1 (ko) | 2020-06-15 | 2020-12-21 | 나형호 |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치킨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
-
2021
- 2021-10-18 KR KR1020210138248A patent/KR10246241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2746A (ko) * | 2010-06-17 | 2010-07-19 | 한상관 | 물, 유동성 식품 또는 음료 또는 주류에 포함된 유해물질과 오염물질을 중화시키거나 분해하도록 작용하는 물질마찰작용과 물질폭발작용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 유동성 식품 또는 곡물과 음료 또는 주류를 제조하는 방법 |
KR20150017115A (ko) * | 2013-08-06 | 2015-02-16 | 영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닭갈비 양념을 제조하는 방법 |
KR20160051915A (ko) | 2014-10-22 | 2016-05-12 | 이승원 | 마늘 양념 치킨 제조방법 |
KR20160120442A (ko) * | 2015-04-08 | 2016-10-18 | 김연국 | 볶음 라조기의 제조 방법 |
KR20170085790A (ko) | 2016-01-15 | 2017-07-25 | (주)성우식품 | 닭갈비용 양념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KR20180103559A (ko) * | 2017-03-10 | 2018-09-19 | (주) 에프앤에스유통 | 파 풍미 강정치킨 제조방법 |
KR20180125233A (ko) * | 2017-05-15 | 2018-11-23 | 주식회사 상생 | 흑마늘,흑양파,사과,한방약재를 이용한 관능성,안전성,기능성이 우수한 찜닭용 소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00089516A (ko) * | 2019-01-17 | 2020-07-27 | 김홍현 | 치킨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
KR102193535B1 (ko) | 2020-06-15 | 2020-12-21 | 나형호 |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치킨용 양념 소스의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6156B1 (ko) * | 2023-03-28 | 2023-09-07 | 한인섭 | 치킨 소스 제조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219804C1 (ru) |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голубцов | |
CN104381994B (zh) | 一种即食木耳的制备方法 | |
CN108835587A (zh) | 一种食品调味酱料的制备方法 | |
KR100905042B1 (ko) | 고추를 함유한 양념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7751917A (zh) | 牛肉复合风味高汤调料、其制备方法及应用 | |
JP2736873B2 (ja) | 野菜粒子含有液状調味料の製造方法 | |
KR102462416B1 (ko) | 혼합 원료의 믹싱을 통한 치킨 양념 제조 방법 | |
WO2017061524A1 (ja) | 香味油の製造方法 | |
CN106889552A (zh) | 一种牛羊肉火锅底料及其生产工艺 | |
CN103549376B (zh) | 雪菜酱及其制备方法 | |
CN101438786A (zh) | 香甜型桃片风味羹 | |
CN103393124B (zh) | 一种茶羹系列产品的生产方法 | |
CN107373583A (zh) | 一种酸辣粉酱调味料及其制作方法和应用 | |
KR101851984B1 (ko) | 치즈 스테이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치즈 스테이크 | |
Göğüş et al. | Function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some turkish traditional foods | |
JP2009118815A (ja) | 加熱調理食品の製造方法 | |
RU2302155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нсервов "тефтели с капустой в соусе красном с кореньями" | |
KR101607870B1 (ko) | 김치 피자 소스를 이용한 김치 부추 피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456570B1 (ko) | 분말의 회전과 자중에 따른 분말 양념의 믹싱을 통한 양념 주꾸미 제조 방법 | |
Anadani et al. | Processing and mechanization of Indian traditional food products | |
KR100884091B1 (ko) | 굴비 혼합 고추장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90040101A (ko) | 비빔밥용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101766317B1 (ko) | 고구마칩이 혼합된 소시지의 제조방법 | |
KR101759250B1 (ko) | 닭가슴살 및 자색고구마를 함유한 떡볶이떡의 제법 | |
CN103610083B (zh) | 一种猪肉饭配料的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