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352A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352A
KR20160110352A KR1020167010704A KR20167010704A KR20160110352A KR 20160110352 A KR20160110352 A KR 20160110352A KR 1020167010704 A KR1020167010704 A KR 1020167010704A KR 20167010704 A KR20167010704 A KR 20167010704A KR 20160110352 A KR20160110352 A KR 2016011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upport member
railing
disposed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577B1 (ko
Inventor
미쓰유키 다키모토
아사미 이와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1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선회체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을 제공한다. 카메라(50)는, 선회체의 상면의 사이드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난간(10)은, 선회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난간(10)은,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난간 부재와, 제1 난간 부재를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20)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50)와 제1 지지 부재(20)는, 선회체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고, 제1 지지 부재(20)가 카메라(5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EXCAVATOR}
본 발명은,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회체(旋回體)의 우측부의 전단(前端)으로부터 선회체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난간(hand rail)을 구비하고 있는, 유압 셔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5629015호 공보(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종래, 선회체의 전방 좌측에 캡(cab)을 설치하고, 선회체의 우측의 위치에 카메라가 설치되고, 선회체의 우측편의 감시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2―112108호 공보(특허 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제562901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제2012―112108호 공보
선회체의 상면의 사이드 에지부에 난간과 카메라와의 양쪽을 설치하는 경우, 카메라의 배치가 난간에 의해 제한되면 카메라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없어져, 선회체의 측방의 감시가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회체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은, 선회체와, 카메라와, 난간을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는, 선회체의 상면의 사이드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난간은, 선회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난간은,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난간 부재와, 제1 난간 부재를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와 제1 지지 부재는, 선회체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고, 제1 지지 부재가 카메라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지지 부재의 외측의 스페이스에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1 지지 부재에 의해 카메라의 배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회체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유압 셔블에 있어서, 난간은, 제1 난간 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된,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난간 부재와, 제2 난간 부재를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와 제2 지지 부재는,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고, 제2 지지 부재가 카메라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2 지지 부재의 후방의 스페이스에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카메라의 배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회체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유압 셔블에 있어서, 선회체는, 연료를 저류(貯留)하기 위한 연료 탱크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카메라는, 연료 탱크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의 상면에,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카메라 모두를 모아 배치함으로써, 카메라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유압 셔블에 있어서, 선회체는, 작동유를 저류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를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는, 연료 보급구를 가지고 있다. 작동유 탱크는, 작동유 보급구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카메라는, 선회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연료 보급구와 작동유 보급구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 제2 지지 부재 및 카메라를, 연료 보급구와 작동유 보급구와의 사이에 모아 배치함으로써, 연료 보급구 및 작동유 보급구를,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와의 양쪽으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유압 셔블에 있어서, 선회체는, 연료 탱크의 상면에 장착된 마운트 부재(mount member)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는 마운트 부재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는, 연료 탱크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외장(外裝) 커버를 가지고 있다. 측방에서 볼 때 외장 커버와 마운트 부재가 중첩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 상에 카메라를 탑재함으로써, 선회체의 우측의 넓은 범위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운트 부재가 측방에서 볼 때 보이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유압 셔블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유압 셔블에 있어서, 제1 난간 부재와 제2 난간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원의 액세스 통로를 더욱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체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을 도 3과는 상이한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카메라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으로부터 커버부를 분리해 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유압 셔블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체(2)와, 선회체(3)와, 작업기(work machine)(4)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주행체(2)와 선회체(3)에 의해, 유압 셔블 본체가 주로 구성되어 있다.
주행체(2)는, 한 쌍의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이 회전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旋回) 가능하게, 주행체(2)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3)는,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승강하는 운전실인 캡(7)을 포함하고 있다. 선회체(3)는, 후방측에, 엔진실(5) 및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6)를 포함하고 있다.
토사의 굴삭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4)는,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선회체(3)의 전방측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4)는, 캡(7)에 탐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작업기(4)의 선단부를 간파할 수 있도록, 캡(7)에 대하여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유압(油壓)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카운터웨이트(6)는, 채굴 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선회체(3)의 후부에 배치된 추이다. 선회체(3)의 후부의 엔진실(5) 내에, 엔진이 수용되어 있다.
캡(7)은, 선회체(3)의 전방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캡(7)과는 반대측의 우측에서의 선회체(3)의 사이드 에지부에, 난간(10)이 장착되어 있다. 난간(10)은, 선회체(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난간(10)은,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7) 내에 운전원이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원의 전방측(정면측)을 선회체(3)의 전방측으로 하고, 운전원의 후방측을 선회체(3)의 후방측이라고 하고, 착석 상태에서의 운전원의 좌측을 선회체(3)의 좌측이라고 하고, 착석 상태에서의 운전원의 우측을 선회체(3)의 우측이라고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회체(3)의 전후좌우와 유압 셔블(1)의 전후좌우는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1)의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은, 우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유압 셔블(1)의 외장을 구성하는 외장 커버(61), (63∼66)를 가지고 있다.
외장 커버(61)는, 도 1에 나타낸 엔진실(5), 카운터웨이트(6) 및 캡(7) 등을 탑재하는 선회 프레임을,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외장 커버(63)는, 공구 박스를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외장 커버(64)는, 환원제(還元劑)를 저류하기 위한 환원제 탱크를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외장 커버(65)는, 연료를 저류하기 위한 연료 탱크를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외장 커버(66)는, 작동유를 저류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를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외장 커버(6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스텝(32)이 설치되어 있다. 외장 커버(64)는, 환원제 탱크 커버(34)와 함께, 환원제 탱크를 수용하는 탱크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외장 커버(65)에 덮힌 연료 탱크(35)의 상면에는, 연료 보급구(41)와 카메라(50)가 배치되어 있다.
외장 커버(63)와 외장 커버(64)는, 각각의 상부 에지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방에서 볼 때 외장 커버(63)의 상부 에지와 외장 커버(64)의 상부 에지가 모두 보이기 때문에, 유압 셔블(1)의 디자인성이 향상되어 있다. 외장 커버(65)와 외장 커버(66)는, 각각의 상부 에지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측방에서 볼 때 외장 커버(65)의 상부 에지와 외장 커버(66)의 상부 에지가 모두 보이기 때문에, 유압 셔블(1)의 디자인성이 향상되어 있다. 카메라(50)는, 외장 커버(65)의 상부 에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난간(10)은, 제1 기립부(rise portion)(11)를 가지고 있다. 제1 기립부(11)는, 그 하단(下端)에, 장착부(12)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12)에 있어서, 제1 기립부(11)는, 선회체(3)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장착부(12)는, 선회체(3)의 선회 프레임의 전방 에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기립부(11)는, 선회체(3)의 전단부(前端部)에 있어서, 하단의 장착부(12)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고, 상단(上端)을 향함에 따라 약간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난간(10)은 또한, 제1 경사부(13)와 제1 평행부(14)를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부(13)와 제1 평행부(14)는, 작업원이 손으로 잡기 위한 제1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난간 부재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경사부(13)는, 제1 기립부(11)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1 경사부(13)는, 제1 기립부(11)의 상단으로부터 위쪽 또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경사부(13)는,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유압 셔블(1)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경사부(13)는, 수직 방향(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제1 평행부(14)는, 제1 경사부(13)의 상단[또는 후단(後端)]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평행부(14)는, 제1 경사부(13)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평행부(14)는, 선회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난간(10)은 또한, 전방 연결부(15)와, 제2 기립부(16)와, 제2 경사부(17)와, 제2 평행부(18)를 가지고 있다. 전방 연결부(15)의 전단은, 제1 기립부(11)의 상단과 하단과의 사이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전방 연결부(15)는, 선회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2 기립부(16)는, 전방 연결부(15)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기립부(16)는, 전방 연결부(15)의 후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상승하고, 상단을 향함에 따라 약간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제2 기립부(16)는, 제1 기립부(11)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부(17)는, 제2 기립부(16)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경사부(17)는, 제2 기립부(16)의 상단으로부터 위쪽 또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부(17)는,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이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유압 셔블(1)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2 경사부(17)는, 수직 방향(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의 양쪽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제2 경사부(17)는, 제1 경사부(13)에 대해 비(非)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2 평행부(18)는, 제2 경사부(17)의 상단(또는 후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2 평행부(18)는, 제2 경사부(17)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평행부(18)는, 선회 프레임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전방 연결부(15)와, 제2 기립부(16)와, 제2 경사부(17)와, 제2 평행부(18)는, 작업원이 손으로 잡기 위한 제2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난간 부재는, 제1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제1 경사부(13) 및 제1 평행부(1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난간 부재는, 전체로서, 제1 난간 부재보다 선회 프레임에 근처 배치되어 있다. 제2 난간 부재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난간(10)은 또한, 후방 연결부(19)를 가지고 있다. 후방 연결부(19)는, 제1 평행부(14)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상단과, 제2 평행부(18)의 후단에 연결되어 있는 하단을 가지고 있다. 후방 연결부(19)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연결부(19)는,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난간(10)은 또한,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25)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제1 난간 부재의 제1 평행부(14)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제2 난간 부재의 제2 평행부(18)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2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25)는,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을 도 3과는 상이한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에는,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을 나타내는 양 화살표 DR1과, 선회체(3)의 전후 방향을 나타내는 양 화살표 DR2가 나타나 있다. 양 화살표 DR1이 나타내는 R 방향은 우측 방향, L 방향은 좌측 방향을 나타낸다. 양 화살표 DR2가 나타내는 Fr 방향은 전방향, Rr 방향은 후방향을 나타낸다.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는, 공구 박스(33)를 가지고 있다. 공구 박스(33)의 우측편은, 도 1, 도 2에 나타낸 외장 커버(63)에 의해 덮혀져 있다. 공구 박스(33)에는, 유압 셔블(1)을 정비 및 보수하기 위한 각종 공구류가 수용되어 있다. 공구 박스(33)는, 선회체(3)의 전방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공구 박스(33)의 후방에는, 도 2에도 나타내는 환원제 탱크 커버(34)가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 커버(34)의 후방에는, 연료 탱크(35)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5)의 우측편은, 도 1, 도 2에 나타낸 외장 커버(65)에 의해 덮혀져 있다. 연료 탱크(35)는, 엔진실(5)(도 1) 내에 수용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를 저류한다. 연료 탱크(35)는, 연료 탱크(35)에 대한 연료의 보급을 행하기 위한 연료 보급구(41)를 가지고 있다. 연료 보급구(41)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5)의 상면에는 또한, 마운트 부재(51)가 장착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51)는, 연료 탱크(35)의 한쪽의 측부인 우측의, 연료 탱크(35)의 에지부에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50)는, 마운트 부재(51) 상에 탑재되어 있다. 카메라(50)는, 마운트 부재(51)를 통하여,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50)는, 선회체(3)의 우측 방향을 향해 배치되어 있고, 선회체(3)의 상면으로부터 경사 하방향으로 시야를 향해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50)는, 선회체(3)의 우측 화상을 취득한다. 캡(7)의 내부의, 운전원이 착석하는 운전석의 전방 위치에는, 표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50)에 의해 취득한 화상은,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운전원은, 캡(7) 내에 착석한 상태에서, 표시 장치를 볼 때 선회체(3)의 우측편을 감시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원은, 캡(7) 내에 있어서, 선회체(3)의 우측편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선회체(3)의 좌우 방향에서 볼 때, 마운트 부재(51)는, 외장 커버(65)와 중첩되어 있다. 외장 커버(65)는 마운트 부재(51)를 우측편으로부터 덮고 있고, 도 2에 나타낸 측방에서 볼 때 마운트 부재(51)는 외장 커버(65)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마운트 부재(51)는, 도 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는다.
난간(10)의 제1 지지 부재(20)의 하단에는, 평판형의 장착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24)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지지 부재(20)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난간(10)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연장부(21, 22)를 가지고 있다. 가로 연장부(21)의 일단은, 제1 난간 부재의 제1 평행부(14)에 연결되어 있다. 가로 연장부(21)의 타단은, 아래쪽으로 만곡되어 제1 지지 부재(2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가로 연장부(22)의 일단은, 제2 난간 부재의 제2 평행부(18)에 연결되어 있다. 가로 연장부(22)의 타단은, 제1 지지 부재(20)의 상단과 하단과의 사이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난간(10)은, 가로 경사부(23)를 가지고 있다. 가로 경사부(23)는,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가로 경사부(23)는, 가로 연장부(22)와 제1 지지 부재(20)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가로 연장부(22)가 제1 지지 부재(20)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보다 아래쪽에서, 가로 경사부(23)가 제1 지지 부재(20)에 연결되어 있다.
난간(10)의 제2 지지 부재(25)의 하단에는, 평판형의 장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26)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볼트 등을 사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2 지지 부재(25)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부(26)는, 선회체(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장착부(24)보다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6)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장착부(24)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4, 26)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과의 양쪽에서, 서로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25)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과의 양쪽에서 서로 어긋나 배치되고, 선회체(3)의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과의 양쪽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의 상단은, 제2 난간 부재의 제2 평행부(18)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가 제2 평행부(18)에 연결되는 위치는, 가로 연장부(22)가 제2 평행부(18)에 연결되는 위치보다, 전방이다.
가로 연장부(21)의 일단은, 제1 평행부(14)의 전단과 후단과의 사이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가로 연장부(22)의 일단은, 제2 평행부(18)의 전단과 후단과의 사이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의 상단은, 제2 평행부(18)의 전단과 후단과의 사이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평행부(14)는, 제1 지지 부재(20) 및 제2 지지 부재(25)보다 선회체(3)의 후방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평행부(18)는, 제1 지지 부재(20) 및 제2 지지 부재(25)보다 선회체(3)의 후방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평행부(14)와 제2 평행부(18)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부(19)는, 제1 지지 부재(20) 및 제2 지지 부재(25)보다도, 선회체(3)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5)의 후방에는, 작동유 탱크를 덮는 작동유 탱크 커버(36)가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의 우측편은, 도 1, 도 2에 나타낸 외장 커버(66)에 의해 덮혀져 있다. 작동유 탱크는, 도 1에 나타낸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 등의, 유압 액추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저류한다. 연료 탱크(35)의 상면과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상면은, 대략 동일한 평면을 구성하고 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36)에는, 커버부(38)가 장착되어 있다. 커버부(38)는, 착탈(着脫)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부(38)는,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부(38)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대하여,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부(38)를 분리함으로써, 작동유 탱크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선회체(3)의 좌우 방향으로 볼 때, 커버부(38)는, 외장 커버(66)와 중첩되어 있다. 외장 커버(66)는 작동유 탱크 커버(36) 및 커버부(38)를 우측편으로부터 덮고 있고, 도 2에 나타낸 측방에서 볼 때 커버부(38)는 외장 커버(66)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부(38)는, 도 2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공구 박스(33), 환원제 탱크 커버(34) 및 연료 탱크(35)는, 계단형의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스텝(32)으로부터, 공구 박스(33)의 상면 및 환원제 탱크 커버(34)의 상면에 순차적으로 다리를 걸치고, 연료 탱크(35)의 상면, 및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상면에 대한 액세스가 용이하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작업원은, 연료 탱크(35)에 대한 연료의 보급, 작동유 탱크에 대한 급유, 및 엔진실(5) 내의 각종 기기(機器)의 점검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난간(10)은, 스텝(32)보다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상면에 도달하는 액세스 통로에 대하여,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난간(10)의 제1 난간 부재와 제2 난간 부재와의 양쪽이, 선회체(3)의 전단 부분으로부터,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위쪽까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작업원은, 난간(10)의 제1 난간 부재 또는 제2 난간 부재를 가볍게 잡고, 손을 미끄러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선회체(3)의 상면에 대한 승하차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전단부에는, 센터 브래킷(center bracket)(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작업기(4)의 기단부(基端部)는, 센터 브래킷(8)에 장착되어 있다. 센터 브래킷(8)은, 유압 셔블(1)의 작업기(4)를 지지하고 있고, 작업기(4)의 장착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유압 셔블(1)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에는,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구 박스(33), 환원제 탱크 커버(34), 연료 탱크(35) 및 작동유 탱크 커버(36)가, 평면에서 볼 때 도시되어 있다.
공구 박스(33)의 우측편에, 외장 커버(63)가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 커버(34)의 우측편에, 외장 커버(64)가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5)의 우측편에, 외장 커버(65)가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우측편에, 외장 커버(66)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제1 평행부(14)는, 도 5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 제2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제2 평행부(18)와 중첩되어 있다. 제2 평행부(18)는 제1 평행부(14)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도 5에 나타낸 평면에서 볼 때, 제2 평행부(18)는 제1 평행부(14)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평행부(18)는, 도 5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았다.
난간(10)을 구성하고 있는 제1 기립부(11), 제1 평행부(14), 전방 연결부(15), 제2 기립부(16) 및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2 평행부(18)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제1 경사부(13) 및 제2 경사부(17)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경사부(13)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선회체(3)의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2 경사부(17)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함에 따라 선회체(3)의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제1 경사부(13) 및 제2 경사부(17)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난간(10)은, 전체로서, 선회체(3)의 우측의 사이드 에지(3e)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양 화살표 DR1으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에서의 외장 커버(65, 66)의 치수는, 외장 커버(63, 64)의 치수보다 크다. 공구 박스(33) 및 환원제 탱크 커버(34)의 우측 에지보다, 연료 탱크(35) 및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우측 에지는, 선회체(3)의 우측의 사이드 에지(3e)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기립부(11)는, 공구 박스(33)의 우측 에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1 평행부(14) 및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은 제2 평행부(18)는, 연료 탱크(35) 및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우측 에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6은, 카메라(50)의 주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50)를 탑재하고 있는 마운트 부재(51)와, 난간(10)의 제1 지지 부재(20)를 연료 탱크(35)에 장착하는 장착부(24)는, 선회체(3)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51)는, 장착부(24)보다도, 연료 탱크(35)의 우측 에지에 근처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4)는, 마운트 부재(51)보다 선회체(3)의 우측의 사이드 에지로부터 이격되어, 선회체(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마운트 부재(51)에 탑재된 카메라(50)와, 장착부(24)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 부재(20)는, 선회체(3)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지지 부재(20)가 카메라(5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카메라(50)보다 선회체(3)의 좌우 방향의 중심에 근처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카메라(50)보다 선회체(3)의 우측의 사이드 에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마운트 부재(51)와, 난간(10)의 제2 지지 부재(25)를 연료 탱크(35)에 장착하는 장착부(26)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장착부(26)는, 마운트 부재(51)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마운트 부재(51)에 탑재된 카메라(50)와, 장착부(26)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 부재(25)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2 지지 부재(25)가 카메라(5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유압 셔블의 일부 구성으로부터 커버부(38)를 분리해 낸 평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커버부(38)가 분리(detach)되는 것에 의해, 작동유 탱크 커버(36)가 개구되고, 작동유 탱크를 수용하는 탱크 수용 공간이 외부로 개방된다. 이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에서 볼 때 작동유 탱크(37)의 일부가 육안 관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37)는, 작동유 탱크(37)에 대한 작동유의 보급을 행하기 위한 작동유 보급구(42)를 가지고 있다. 작동유 보급구(42)는, 작동유 탱크(37)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38)를 분리함으로써, 작동유 보급구(42)가 외부로 노출된다. 작업원은, 노출된 작동유 보급구(42)로부터, 용이하게 작동유를 작동유 탱크(37)에 보급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10)의 제1 지지 부재(20) 및 제2 지지 부재(25), 및 카메라(50)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연료 보급구(4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작동유 보급구(4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 제2 지지 부재(25) 및 카메라(50)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연료 보급구(41)와 작동유 보급구(4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선회체(3)의 우측의 안전 확인을 위한 카메라(50)와, 선회체(3)의 상면에 대한 액세스 시에 작업원이 손으로 잡기 위한 난간(10)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50)는, 선회체(3)의 상면의, 우측의 사이드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10)은, 선회체(3)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난간(10)은, 제1 경사부(13)와, 제1 평행부(14)를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부(13)와 제1 평행부(14)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난간(10)은, 제1 지지 부재(20)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제1 난간 부재를 선회체(3)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난간(10)은, 전방 연결부(15)와 제2 기립부(16)와, 제2 경사부(17)와, 제2 평행부(18)를 가지고 있다. 전방 연결부(15)와, 제2 기립부(16)와, 제2 경사부(17)와, 제2 평행부(18)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난간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난간(10)은, 제2 지지 부재(25)를 가지고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제2 난간 부재를 선회체(3)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카메라(50)와, 제1 지지 부재(20)는, 선회체(3)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지지 부재(20)가 카메라(5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를, 선회체(3)의 사이드 에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지지 부재(20)와 선회체(3)의 사이드 에지와의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이 스페이스에 카메라(5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난간(10)의 제1 지지 부재(20)에 의해 카메라(50)의 배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회체(3)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50)를 배치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카메라(50)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선회체(3)의 상면에 대한 액세스 통로와 카메라(5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선회체(3)의 상면을 통행하는 작업원과 카메라(50)와의 충돌의 가능성을 저감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50)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50)와 제2 지지 부재(25)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2 지지 부재(25)가 카메라(5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25)와 제1 지지 부재(20)를,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제2 지지 부재(25)를 제1 지지 부재(20)보다 전방에 배치한다. 부가하여, 제2 지지 부재(25)와 제1 지지 부재(20)를, 선회체(3)의 좌우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여 배치하고, 제1 지지 부재(20)를 제2 지지 부재(25)보다 내측에 배치한다. 이로써, 제2 지지 부재(25)의 후방이면서 또한 제1 지지 부재(20)의 외측에,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이 스페이스에 카메라(50)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난간(10)의 제1 지지 부재(20)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카메라(50)의 배치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회체(3)의 사이드 에지부의 적절한 위치에 카메라(50)를 배치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5)는, 카메라(50)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원은, 선회체(3)의 전단으로부터 계단형의 통로를 통하여, 선회체(3)의 상면에 액세스한다. 전방으로부터 액세스하는 작업원의 액세스 통로와 카메라(50)와의 사이에 제2 지지 부재(25)를 개재(介在)시킴으로써, 선회체(3)의 상면을 통행하는 작업원과 카메라(50)와의 충돌의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50)를 적절히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연료를 저류하기 위한 연료 탱크(35)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20), 제2 지지 부재(25) 및 카메라(50)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평면에서 본 면적이 큰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제1 지지 부재(20), 제2 지지 부재(25) 및 카메라(50)의 모두를 모아 배치함으로써, 카메라(50)를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제1 지지 부재(20)의 외측이면서 또한 제2 지지 부재(25)의 후방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작동유를 저류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37)를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35)는, 연료 보급구(41)를 가지고 있다. 작동유 탱크(37)는, 작동유 보급구(42)를 가지고 있다. 제1 지지 부재(20), 제2 지지 부재(25) 및 카메라(50)는,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연료 보급구(41)와 작동유 보급구(4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보급구(41)는, 연료 탱크(35)에 연료를 보급할 때 사용된다. 작동유 보급구(42)는, 작동유 탱크(37)에 작동유를 보급할 때 사용된다. 연료 탱크(35)에 대한 연료의 보급 작업, 및 작동유 탱크(37)에 대한 작동유의 보급 작업의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연료 보급구(41) 및 작동유 보급구(42)를 난간(10)의 제1 지지 부재(20) 및 제2 지지 부재(25)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 부재(20), 제2 지지 부재(25) 및 카메라(50)를, 연료 보급구(41)와 작동유 보급구(42)와의 사이에 모아 배치함으로써, 연료 보급구(41) 및 작동유 보급구(42)가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25)와의 양쪽으로부터 이격된 바람직한 배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연료 탱크(35)의 상면에 장착된 마운트 부재(51)를 가지고 있다. 카메라(50)는, 마운트 부재(51) 상에 탑재되어 있다. 도 2,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체(3)는, 연료 탱크(35)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65)를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에서 볼 때 외장 커버(65)와 마운트 부재(51)가 중첩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51) 상에 카메라(50)를 탑재함으로써, 카메라(50)를 더 높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카메라(50)에 의해 취득되는 화상을 이용하여 선회체(3)의 우측의 넓은 범위를 감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마운트 부재(51)가 측방에서 볼 때 외장 커버(65)에 은폐되어 보이지 않도록 되어 있으므로, 유압 셔블(1)의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제1 난간 부재와 제2 난간 부재가 중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선회체(3)의 전단으로부터 연료 탱크(35) 및 작동유 탱크 커버(36)의 상면에까지 달하는 작업원의 액세스 통로를, 보다 광폭(廣幅)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서는 없고,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유압 셔블, 2: 주행체, 3: 선회체, 3e: 사이드 에지, 4: 작업기, 5: 엔진실, 6: 카운터웨이트, 7: 캡, 8: 센터 브래킷, 10: 난간, 11: 제1 기립부, 12, 24, 26: 장착부, 13: 제1 경사부, 14: 제1 평행부, 15: 전방 연결부, 16: 제2 기립부, 17: 제2 경사부, 18: 제2 평행부, 19: 후방 연결부, 20: 제1 지지 부재, 21, 22: 가로 연장부, 23: 가로 경사부, 25: 제2 지지 부재, 32: 스텝, 33: 공구 박스, 34: 환원제 탱크 커버, 35: 연료 탱크, 36: 작동유 탱크 커버, 37: 작동유 탱크, 38: 커버부, 41: 연료 보급구, 42: 작동유 보급구, 50: 카메라, 51: 마운트 부재, 61, 63, 64, 65, 66: 외장 커버.

Claims (6)

  1. 선회체(旋回體);
    상기 선회체의 상면의 사이드 에지부에 설치되는 카메라; 및
    상기 선회체의 상면에 장착된 난간(hand rail);
    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은, 상기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난간 부재와, 상기 제1 난간 부재를 상기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선회체의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가 상기 카메라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hydraulic excavato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제1 난간 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난간 부재와, 상기 제2 난간 부재를 상기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와 상기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고, 상기 제2 지지 부재가 상기 카메라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제1 난간 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난간 부재와, 상기 제2 난간 부재를 상기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체는, 연료를 저류(貯留)하기 위한 연료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카메라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는, 작동유를 저류하기 위한 작동유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탱크는, 연료 보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유 탱크는, 작동유 보급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회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료 보급구와 상기 작동유 보급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체는, 상기 연료 탱크의 상면에 장착된 마운트 부재(mount member) 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마운트 부재 상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선회체는, 상기 연료 탱크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외장(外裝) 커버를 구비하고,
    측방에서 볼 때 상기 외장 커버와 상기 마운트 부재가 중첩되는, 유압 셔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은, 상기 제1 난간 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선회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난간 부재와, 상기 제2 난간 부재를 상기 선회체에 대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난간 부재와 상기 제2 난간 부재가 중첩되는, 유압 셔블.
KR1020167010704A 2015-02-23 2015-02-23 유압 셔블 KR1018095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5000 WO2016038905A1 (ja) 2015-02-23 2015-02-23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352A true KR20160110352A (ko) 2016-09-21
KR101809577B1 KR101809577B1 (ko) 2017-12-15

Family

ID=5545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704A KR101809577B1 (ko) 2015-02-23 2015-02-23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415211B2 (ko)
JP (1) JP6340068B2 (ko)
KR (1) KR101809577B1 (ko)
CN (1) CN105814260B (ko)
DE (1) DE112015000228B4 (ko)
WO (1) WO2016038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0068B2 (ja) * 2015-02-23 2018-06-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6583883B2 (ja) * 2015-08-21 2019-10-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
JP6893782B2 (ja) * 2016-03-28 2021-06-23 住友建機株式会社 ショベル
CN106592497A (zh) * 2016-12-01 2017-04-26 张铁民 一种登车平台
JP6842392B2 (ja) * 2017-09-08 2021-03-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9234864A1 (ja) * 2018-06-06 2019-12-12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D977031S1 (en) * 2018-12-12 2023-01-31 Bruder Spielwaren Gmbh + Co. Kg Toy
US11525240B2 (en) 2020-07-23 2022-12-13 Caterpillar Underground Mining Pty. Ltd. Storage assembly for battery energizing switches of electric machin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2108A (ja) 2010-11-22 2012-06-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JP5629015B1 (ja) 2013-02-18 2014-1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72851A (ja) 1996-08-30 1998-03-1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侵入移動体検出装置
JP3989091B2 (ja) 1998-06-23 2007-10-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小旋回型建設車両
JP2000291056A (ja) 1999-04-07 2000-10-17 Komatsu Ltd 油圧式掘削機のブーム取付装置
KR100892269B1 (ko) * 2001-06-15 2009-04-0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기계
JP4667142B2 (ja) 2005-07-05 2011-04-06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4597914B2 (ja) 2006-06-06 2010-12-1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2008240278A (ja) 2007-03-26 2008-10-0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100974274B1 (ko) * 2007-11-28 2010-08-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사이드 도어를 갖는 탱크가 장착되는 굴삭기
JP4925351B2 (ja) * 2008-02-27 2012-04-25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化粧カバー構造
JP5152027B2 (ja) * 2009-02-13 2013-02-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ツールボックス構造
JP5562777B2 (ja) * 2010-09-16 2014-07-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5269026B2 (ja) 2010-09-29 2013-08-2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JP5597596B2 (ja) * 2011-06-07 2014-10-0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周辺監視装置
JP5124672B2 (ja) * 2011-06-07 2013-01-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周辺監視装置
EP2743407B1 (en) * 2011-08-09 2016-03-3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AU2012258458B9 (en) * 2011-12-01 2014-11-06 Joy Global Surface Mining Inc Cab module for a mining machine
EP2808455B1 (en) * 2012-01-27 2018-05-30 Doosan Infracore Co., Ltd. Operational stability enhancing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9366007B2 (en) * 2012-03-16 2016-06-1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5781978B2 (ja) * 2012-05-22 2015-09-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ダンプトラック
JP2014047564A (ja) * 2012-08-31 2014-03-1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529943B2 (ja) * 2012-09-21 2014-06-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用周辺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車両
WO2014076763A1 (ja) * 2012-11-13 2014-05-2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US20160129844A1 (en) * 2013-06-28 2016-05-12 Access Innovations Pty Ltd Walkway System
JP2015021320A (ja) * 2013-07-22 2015-02-02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におけるgpsアンテナ装置
JP6303717B2 (ja) * 2014-03-28 2018-04-0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DE112014000134B4 (de) * 2014-06-04 2016-09-22 Komatsu Ltd. Stellungsberechnungsvorrichtung für eine Arbeitsmaschine, Arbeitsmaschine und Stellungsberechnungsverfahren für eine Arbeitsmaschine
DE112014000079B4 (de) * 2014-06-04 2017-02-09 Komatsu Ltd. Stellungsberechnungsvorrichtung für eine Arbeitsmaschine, Arbeitsmaschine und Stellungsberechnungsverfahren für eine Arbeitsmaschine
WO2015056814A1 (ja) * 2014-10-24 2015-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6340068B2 (ja) * 2015-02-23 2018-06-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DE112015002201T8 (de) * 2015-06-29 2017-07-13 Komatsu Ltd. Zugangssystem und Arbeitsfahrzeug
JP6925775B2 (ja) * 2015-10-05 2021-08-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施工管理システム
US10233615B2 (en) * 2015-10-15 2019-03-19 Komatsu Ltd.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nd position measurement method
JP6550359B2 (ja) * 2016-09-21 2019-07-2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2108A (ja) 2010-11-22 2012-06-14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JP5629015B1 (ja) 2013-02-18 2014-1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8905A1 (ja) 2016-03-17
US10988912B2 (en) 2021-04-27
KR101809577B1 (ko) 2017-12-15
US10415211B2 (en) 2019-09-17
CN105814260A (zh) 2016-07-27
DE112015000228T5 (de) 2016-09-01
US20170159262A1 (en) 2017-06-08
US20190360168A1 (en) 2019-11-28
JPWO2016038905A1 (ja) 2017-04-27
JP6340068B2 (ja) 2018-06-06
CN105814260B (zh) 2018-07-27
DE112015000228B4 (de)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9577B1 (ko) 유압 셔블
JP4670488B2 (ja) 建設機械の後方監視装置
KR101540349B1 (ko) 유압 셔블
KR101692883B1 (ko) 유압 셔블
US20180223503A1 (en) Working Machine
JP2019077999A (ja) 作業車両のキャブ、作業車両およびホイールローダ
JP2007205100A (ja) 建設機械の車体フレームおよび建設機械
KR101576065B1 (ko) 유압 셔블
KR101575704B1 (ko) 유압 셔블
US10550546B2 (en) Cover of work vehicle, cab of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JP6346676B2 (ja) 油圧ショベル
JP2010007419A (ja) 建設機械の保護柵取付構造
WO2017141419A1 (ja)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US10125473B2 (en) Bulldozer
US9896132B1 (en) Working vehicle
JP6840453B2 (ja) 小旋回型ショベル
JP2017214759A (ja) ガード体及びガード体を装備する建設機械
KR20180039104A (ko) 소형의 건설 기계
JP4673269B2 (ja) 建設機械
JPH06212665A (ja) 旋回作業車
JP2020073777A (ja) 建設機械
JP6002397B2 (ja) 作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