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065B1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065B1
KR101576065B1 KR1020147035762A KR20147035762A KR101576065B1 KR 101576065 B1 KR101576065 B1 KR 101576065B1 KR 1020147035762 A KR1020147035762 A KR 1020147035762A KR 20147035762 A KR20147035762 A KR 20147035762A KR 101576065 B1 KR101576065 B1 KR 10157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isposed
pair
machine room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863A (ko
Inventor
미네타카 니시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22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유압 셔블 (100)은, 상부 선회체 (11)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웨이트(12)와, 카운터웨이트(12)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실(13) 및 기기실(14)과, 기기실(14) 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난간(19, 20)과, 제1 및 제2 난간(19, 20)에 접속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본 발명은, GNSS 안테나를 장비 가능한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 RTK-GNSS(Real Time Kinematic-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는 전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을 말함)용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유압 셔블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안테나는, 상부 선회체(旋回體)의 후단(後端)에 배치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상에 세워 설치된 폴형의 안테나 지지부에 장착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8-102097호 공보
이 안테나는, 일상적으로, 안테나 지지부로부터의 착탈(着脫) 작업이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안테나 지지부가 상부 선회체의 후방 에지에 있으므로, 안테나의 착탈 시의 작업성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안테나의 착탈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態樣)에 관한 유압 셔블은, 하부 주행체와, 상부 선회체와, 카운터웨이트와, 기계실과, 제1 난간 및 제2 난간과, 한 쌍의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를 구비한다. 상부 선회체는,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카운터웨이트는, 상부 선회체 상에 배치된다. 기계실은, 상부 선회체 상에서 카운터웨이트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은, 기계실 상에 배치된다.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는, 제1 난간 및 제2 난간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한 쌍의 안테나의 착탈 작업을 행할 때, 오퍼레이터는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을 잡음으로써 몸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안테나의 착탈 시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태양에 관한 것이며,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의 상단은, 제1 난간 또는 제2 난간의 상단과 같은 높이, 또는 제1 난간 또는 제2 난간의 상기 상단보다 높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난간 또는 제2 난간에 차단되지 않고 전파를 한 쌍의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2 태양에 관한 것이며,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안테나의 상단은,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의 상기 상단보다 높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난간 및 제2 난간에 차단되지 않고 전파를 한 쌍의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3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것이며,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은, 좌우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한 쌍의 안테나가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안테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유압 셔블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4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것이며, 기계실 상에 형성되는 통로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는, 상면에서 볼 때,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을 기준으로 하여 통로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가 난간이 아닌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의 강도를 난간만큼 강하게 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은, 제1 내지 제5 어느 하나의 태양에 관한 것이며, 기계실은, 카운터웨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실과 엔진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기실을 가진다.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은, 기기실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제1 난간 및 제2 난간이 엔진실 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한 쌍의 안테나를 상부 선회체의 선회 중심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한 쌍의 안테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유압 셔블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의 착탈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 셔블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유압 셔블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기기실의 상면도이다.
도 4는 기기실의 측면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전」 「후」 「좌」 「우」는, 운전석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를 기준으로 하는 용어이다.
[유압 셔블(100)의 구성]
실시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유압 셔블(100)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압 셔블(100)의 후방 사시도이다.
유압 셔블(100)은, 하부 주행체(10), 상부 선회체(11), 카운터웨이트(12), 엔진실(13), 기기실(14), 작업기(15), 캡(cab)(16), 계단(17), 통로(18), 제1 난간(19), 제2 난간(20), 제3 난간(21), 제1 GNSS 안테나(22) 및 제2 GNSS 안테나(23)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10)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10a, 10b)을 가진다. 유압 셔블(100)은, 한 쌍의 크롤러 트랙(10a, 10b)을 회전시킴으로써, 전후 좌우로 이동한다.
상부 선회체(11)는, 하부 주행체(10)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부 선회체(11)는, 연직(沿直) 방향으로 평행한 선회 중심 CP(도 3 참조)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 가능하다. 상부 선회체(11)는, 유압 셔블(100)의 차체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부 선회체(11) 상에는, 카운터웨이트(12), 기기실(14), 엔진실(13) 및 캡(16)이 배치된다.
카운터웨이트(12)는, 엔진실(13)의 후방에 배치된다. 카운터웨이트(12)는, 예를 들면, 강판에 의해 조립되어 상자 중에 고철이나 콘크리트 등을 넣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카운터웨이트(12)는, 굴삭 작업 등에 있어서의 차체 밸런스의 유지에 이용된다.
엔진실(13)은, 상부 선회체(11) 상에 배치된다. 엔진실(13)은, 카운터웨이트(12)의 전방에 배치된다. 엔진실(13)은, 기기실(14)의 후방에 배치된다. 엔진실(13)은, 도시하지 않은 엔진이나 배기 가스 처리 장치 등을 수용한다. 엔진실(13)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엔진 후드(13a)가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엔진실(13) 내의 유지보수를 행할 때, 통로(18)에서 엔진 후드(13a)를 개방할 수 있다.
기기실(14)은, 상부 선회체(11) 상에서 엔진실(13)과 캡(16) 및 작업기(15)의 사이에 배치된다. 기기실(14)은, 연료 탱크(14a)나 작동유 탱크(14b)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기실(14)의 상면(14S)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엔진실(13) 및 기기실(14)은, 카운터웨이트(12)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계실"을 구성하고 있다.
작업기(15)는, 상부 선회체(11)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장착된다. 작업기(15)는, 기기실(14)의 전방에 배치된다. 작업기(15)는, 캡(16)과 계단(17)의 사이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11)에 축지지된다.
캡(16)은, 상부 선회체(11) 상에 배치된다. 캡(16)은, 오퍼레이터가 작업기(15)의 동작을 바라볼 수 있도록, 기기실(14)의 전방 또한 작업기(15)의 측방에 설치된다. 캡(16)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는 운전석이 배치된다.
계단(17)은, 기기실(14)의 우측 전방에 배치된다. 계단(17)은, 지상과 통로(18) 사이의 승강에 사용된다.
통로(18)는, 기기실(14) 상에 형성된다. 통로(18)는, 기기실(14)의 상면(14S) 중 대략 평면형의 영역이다. 환언하면, 통로(18)는, 기기실(14)의 상면(14S) 중 오퍼레이터가 다리를 탑재 가능한 영역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통로(18)는, 기기실(14)의 상면(14S)의 형상에 따라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로(18)의 표면에는, 미끄럼방지 가공이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통로(18)의 표면에는, 복수의 반구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방지 가공은, 통로(18)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기기실(14)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통로(18)에 선 오퍼레이터가 몸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난간(19)과 제2 난간(20)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난간(19)과 제2 난간(20)의 사이에 선 오퍼레이터는, 엔진 후드(13a)를 개방하여 엔진실(13) 내의 유지보수를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난간(19, 20) 각각은, 상면에서 볼 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의 한 변은 상부 선회체(11)의 좌우측 단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L자 형상의 다른 변은 한 변의 후단으로부터 상부 선회체(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난간(19, 20)의 설치 위치 및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1 난간(19)에는, 제1 안테나 지지부(19a)가 접속되어 있다. 제1 안테나 지지부(19a)는, 제1 GNSS 안테나(22)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이다. 마찬가지로, 제2 난간(20)에는, 제2 안테나 지지부(20a)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안테나 지지부(20a)는, 제2 GNSS 안테나(23)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이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설치 위치 및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3 난간(21)은, 제1 난간(19)의 전방 또한 계단(17)의 우측으로 배치된다. 제3 난간(21)은, 계단(17)을 승강하는 오퍼레이터가 몸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는, RTK-GNSS(Real Time Kinematic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는 전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을 말함)에 사용되는 안테나이다.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는, 통로(18)의 위쪽에 배치된다. 제1 GNSS 안테나(22)는, 제1 난간(19)의 제1 안테나 지지부(19a)에 장착되어 있다. 제2 GNSS 안테나(23)는, 제2 난간(20)의 제2 안테나 지지부(20a)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설치 위치]
다음에,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상부 선회체(11)의 상면도이며, 기기실(14) 등을 나타낸다. 도 4는, 상부 선회체(11)의 측면도이며, 기기실(14) 등을 나타낸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서, 제1 및 제2 난간(19, 20)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통로(18)의 에지에 설치되고, 기기실(14)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유압 셔블(100)의 좌우방향에서의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이격되어 있다. 제1 난간(19)은, 기기실(14) 중 좌단부 상에 배치된다. 제1 난간(19)은, 통로(18)의 좌측을 커버한다. 제2 난간(20)은, 기기실(14) 중 우단부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난간(20)은, 연료 탱크(14a)와 작동유 탱크(14b)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난간(20)은, 통로(18)의 우측을 커버한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도,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의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통로(18)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엔진실(13)과 기기실(14)의 경계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난간(19, 20)을 기준으로 하여 통로(18)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는,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 상에 장착되므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의 배치 위치는, 전술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배치 위치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에 접속된 위치로부터 경사 뒤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 상단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제1 및 제2 난간(19, 20) 상단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난간 상단 위치(Q1)와 대략 같은 높이이다. 또한,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엔진 후드(13a) 상단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후드 상단 위치(Q2)보다 높다. 또한,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캡(16) 상단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캡 상단 위치 Q3보다 높다
또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는, GNSS 위성 전파를 양호하게 수신하기 위해, 캡(16)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는,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 상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 상단의 상하 방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안테나 상단 위치(P2)는, 지지부 상단 위치(P1)보다 높다따라서, 안테나 상단 위치(P2)는, 후드 상단 위치(Q2) 및 캡 상단 위치 Q3보다 높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구성]
다음에,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단,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제2 안테나 지지부(20a)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GNSS 안테나(23)가 제2 안테나 지지부(20a)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 GNSS 안테나(23)가 제2 안테나 지지부(20a)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안테나 지지부(20a)는, L자형으로 벤딩된 원형관에 의해 구성되는 브래킷이다. 제2 안테나 지지부(20a)는, 제2 난간(2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 또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제2 안테나 지지부(20a) 상에 배치되는 제2 GNSS 안테나(23)는, 제2 GNSS 안테나(23) 자체를 제2 안테나 지지부(20a)에 체결하기 위한 노브(23a)를 가진다. 제2 GNSS 안테나(23)에는, 위치 정보를 컨트롤러에 송신하기 위한 케이블(30)이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GNSS 안테나(23)가 분리된 경우, 제2 안테나 지지부(20a)에는 캡(40)이 끼워넣어진다.
[작용 및 효과]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의 일례)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의 착탈 작업을 행할 때, 오퍼레이터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을 잡음으로써 몸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의 착탈 시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난간 상단 위치(Q1)와 대략 같은 높이이다. 또한, 안테나 상단 위치(P2)는, 지지부 상단 위치(P1)보다 높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난간(19, 20)에 차단되지 않고 GNSS 위성 전파를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로 수신할 수 있다.
(3)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좌우 방향의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가 중심선 CL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유압 셔블(10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4)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을 기준으로 하여 통로(18)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가 난간이 아닌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의 강도를 난간만큼 강하게 할 필요가 없다.
(5)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기기실(14) 상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난간(19, 20)이 엔진실(13) 상에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를 상부 선회체(11)의 선회 중심 CP에 근접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GNSS 안테나(22, 23)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유압 셔블(100)의 위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기재하였으나, 이 개시된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 질 것이다.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기기실(14)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카운터웨이트(12)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계실"상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난간(19, 20)은, 엔진실(13)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엔진실(13) 및 기기실(14)의 양쪽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난간 상단 위치(Q1)와 대략 같은 높이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난간 상단 위치(Q1)보다 높아도 된다. 또한, 지지부 상단 위치(P1)는, 난간 상단 위치(Q1)보다 낮아도 되지만, 이 경우에는, 안테나 상단 위치(P2)가 지지부 상단 위치(P1)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제1 및 제2 난간(19, 20)의 전방이나 측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엔진실(13)과 기기실(14)의 경계선 상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지지부(19a, 20a)는, 엔진실(13)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기기실(14) 상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다양한 실시형태 등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타당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관한 발명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정해지는 것이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유압 셔블에 의하면, 안테나의 착탈 시에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유압 셔블 분야에 있어서 유용하다.
10; 하부 주행체
11; 상부 선회체
12; 카운터웨이트
13; 엔진실
14; 기기실
15; 작업기
16; 캡
17; 계단
18; 통로
19; 제1 난간
20; 제2 난간
21; 제3 난간
22; 제1 GNSS 안테나
23; 제2 GNSS 안테나
100; 유압 셔블

Claims (6)

  1.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旋回)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선회체;
    상기 상부 선회체(旋回體) 상에 배치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
    상기 상부 선회체 상에서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계실;
    상기 기계실 상에 배치되는 제1 난간 및 제2 난간;
    상기 제1 난간 및 상기 제2 난간에 각각 접속되고, 한 쌍의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 및
    상기 기계실 상에 형성되는 통로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는, 상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난간 및 상기 제2 난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통로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의 상단은, 접속되는 상기 제1 난간 또는 상기 상기 제2 난간의 상단과 같은 높이, 또는 접속되는 상기 제1 난간 또는 상기 제2 난간의 상기 상단보다 높은, 유압 셔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테나 지지부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안테나의 상단은, 상기 제1 난간 또는 상기 제2 난간의 상기 상단보다 높은, 유압 셔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난간 및 상기 제2 난간은, 좌우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카운터웨이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실과, 상기 엔진실의 전방에 배치되는 기기실을 가지고,
    상기 제1 난간 및 상기 제2 난간은, 상기 기기실 상에 배치되어 있는, 유압 셔블.
  6. 삭제
KR1020147035762A 2012-11-13 2012-11-13 유압 셔블 KR101576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79386 WO2014076764A1 (ja) 2012-11-13 2012-11-13 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863A KR20150022863A (ko) 2015-03-04
KR101576065B1 true KR101576065B1 (ko) 2015-12-09

Family

ID=49396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762A KR101576065B1 (ko) 2012-11-13 2012-11-13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99365B2 (ko)
JP (1) JP5296947B1 (ko)
KR (1) KR101576065B1 (ko)
CN (1) CN103534416B (ko)
DE (1) DE112012000401B4 (ko)
IN (1) IN2014DN09748A (ko)
WO (1) WO2014076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9068B2 (ja) 2017-06-26 2022-11-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7102071B2 (ja) * 2018-09-07 2022-07-19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6983830B2 (ja) * 2019-03-22 2021-12-1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274397B2 (ja) * 2019-10-18 2023-05-16 酒井重工業株式会社 位置特定部材の取付構造
JP7301720B2 (ja) * 2019-11-14 2023-07-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22101971A (ja) * 2020-12-25 2022-07-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76A (ja) * 2001-04-26 2002-11-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アンテナ装置
US20100206927A1 (en) * 2009-02-13 2010-08-19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Toolbox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US20120068432A1 (en) * 2009-06-17 2012-03-22 Komatsu Ltd. Dump truc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8310B2 (ja) * 1995-09-29 2001-12-10 株式会社クボタ 小型バックホーのボンネット内の配置構造
JP2004036169A (ja) * 2002-07-02 2004-02-05 Komatsu Ltd 作業車両
CN100482901C (zh) * 2004-03-29 2009-04-29 株式会社久保田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JP4167675B2 (ja) * 2005-07-05 2008-10-15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4597914B2 (ja) * 2006-06-06 2010-12-15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4891731B2 (ja) * 2006-10-20 2012-03-07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作業機械のアンテナ脱着装置
AU2007321750B2 (en) * 2006-11-16 2011-12-22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Digital terrain mapping with GPS and laser system
KR100945190B1 (ko) * 2007-10-02 2010-03-03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장비의 앞쪽 방향으로 개방되는 툴박스를 갖는 중장비
JP5527883B2 (ja) 2009-12-08 2014-06-25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201713843U (zh) * 2010-06-30 2011-01-19 王贤志 无人驾驶挖掘机
JP5237409B2 (ja) * 2011-03-24 2013-07-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較正装置及び油圧ショベルの較正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676A (ja) * 2001-04-26 2002-11-08 Komatsu Ltd 建設機械のアンテナ装置
US20100206927A1 (en) * 2009-02-13 2010-08-19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Toolbox structure of construction machine
US20120068432A1 (en) * 2009-06-17 2012-03-22 Komatsu Ltd. Dump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2000401B4 (de) 2014-11-13
US8899365B2 (en) 2014-12-02
JPWO2014076764A1 (ja) 2016-09-08
CN103534416A (zh) 2014-01-22
CN103534416B (zh) 2015-05-13
KR20150022863A (ko) 2015-03-04
IN2014DN09748A (ko) 2015-07-31
US20140133945A1 (en) 2014-05-15
DE112012000401T5 (de) 2014-08-14
JP5296947B1 (ja) 2013-09-25
WO2014076764A1 (ja)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349B1 (ko) 유압 셔블
KR101692883B1 (ko) 유압 셔블
KR101576065B1 (ko) 유압 셔블
KR101575704B1 (ko) 유압 셔블
KR101809577B1 (ko) 유압 셔블
JP4504283B2 (ja) 建設機械
US10843556B2 (en) Resin-made fuel tank moun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achine
JP2007046233A (ja) 建設機械
JP4673269B2 (ja) 建設機械
JPWO2016043345A1 (ja) 油圧ショベル
EP1091049A2 (en) Hydraulic excavator
JP2005336735A (ja) 旋回式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