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685A -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685A
KR20160108685A KR1020150030791A KR20150030791A KR20160108685A KR 20160108685 A KR20160108685 A KR 20160108685A KR 1020150030791 A KR1020150030791 A KR 1020150030791A KR 20150030791 A KR20150030791 A KR 20150030791A KR 20160108685 A KR20160108685 A KR 2016010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weight
perfume composition
composition
linal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805B1 (ko
Inventor
함대영
고승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50030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05B1/ko
Publication of KR2016010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목서(Osmanthus asiaticus.)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SPME법에 의해 은목서의 향취 성분으로 분석된 γ-데카락톤(γ-decalacton), 리날룰(Linalo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 노나날(Nonanal) 등에,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한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노나날 등의 은목서 향취의 주요성분과 함께 2-페닐에틸알코올을 함유함으로써,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reproducibly expressing the fragrance of Osmanthus asiaticus.}
본 발명은 은목서(Osmanthus asiaticus.)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SPME법에 의해 은목서의 향취 성분으로 분석된 γ-데카락톤(γ-decalacton), 리날룰(Linalo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 노나날(Nonanal) 등에,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첨가함으로써 기호성이 우수한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은목서(Osmanthus asiaticus.)는 물푸레나무과의 늘푸른 넓은잎 떨기나무이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의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잎은 길이 7~12cm, 폭 2.5~4cm이며, 잎맥은 들어가고 뒷면에서는 잎맥이 도드라진다. 꽃은 이가화로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 모여 달리며 향기가 매우 좋다. 꽃받침과 꽃잎은 4개로 갈라지고 2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타원형의 핵과로 꽃이 핀 다음해 5월에 짙은 보라색으로 열린다. 중국이 원산으로서, 한국에서는 남부 지역에 서식한다.
영문명은 'Osmanthus Asiaticus'로, 중국에서는 우아한 꽃이라는 의미로 계화(桂花)라고 하며, 계수나무로도 불린다. 은목서는 그 향기가 매우 좋으나, 생장속도가 느리고, 대기오염에 약하며, 그늘에서는 꽃을 피우지 않기 때문에 우리 주변에서는 그 향을 쉽게 맡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방법으로 은목서의 향취 성분을 화정유(Absolute) 형태로 만드는 용매추출법과 향취 성분을 정유(Essential oil)로 만드는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추출과정에서 높은 열을 가해야 하고 처리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본래의 향취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SPME법(고상 마이크로 추출법(Solid Phase Micro Extraction); SUPELCO international, Vol.13, No.4, p.9-10)을 비롯한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법이 개발되었다. 헤드 스페이스법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휘발성이 좋은 향취 성분은 분석이 용이하지만, 휘발성이 낮거나 분자량이 큰 향취 성분들은 이 방법으로는 분석이 쉽지 않다는 단점도 지니고 있다.
한편, GC(Gas Chromatography)는 휘발성 물질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기기분석이므로 모든 향취 성분 분석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향취 성분 중 역치값이 매우 낮아 저농도에서도 강하게 향을 발현하는 향취 성분들도 존재하는 반면, 그 역치값이 매우 높아 고농도에서도 향을 발현하지 못하는 휘발성 성분도 존재한다. 따라서 단순히 GC를 통해 정량적으로 주요하게 발견되는 휘발성 성분이 반드시 특정 물질의 주요 향취 성분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GC-O(Gas Chromatography Olfactometry, Guth H, Grosch W (1993) Lebensm Wiss U Technol, 196, 22-28)의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CG-O는 향취 성분을 크로마토그램의 피크를 통해 분석하는 동시에 직접 향기를 맡으면서 피크로는 나타나지 않지만 실제로 향을 내는 성분을 동정하는 방법이다.
국내특허출원 제2007-0037741호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살아있는 천연물의 향취물질을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SPME법을 이용하여,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향취의 주성분만으로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할 수 없지만, 여기에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함께 사용하게 되면 은목서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뛰어난 기호성을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은목서의 고유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은목서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함유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노나날 등의 은목서 향취의 주요성분과 함께 2-페닐에틸알코올을 함유함으로써,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향취의 기호성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은목서의 향취 성분인 γ-데카락톤(γ-decalacton), 리날룰(Linalo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 노나날(Nonanal),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제라니올(Geraniol),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β-이온원(β-Ionone), γ-노나락톤(γ-nonalactone), 데카날(Decanal), 바닐린(Vaniline), 및 인돌(Indole)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은목서의 향취 성분과 함께, 인공합성물질인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필수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은목서의 고유향취를 재현하여 실제 은목서와의 향취 유사성을 높이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은목서의 향취 성분 중 주요 성분으로는, γ-데카락톤(γ-decalacton), 리날룰(Linalo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 노나날(Nonanal)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부차적인 성분으로는 제라니올(Geraniol),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β-이온원(β-Ionone), γ-노나락톤(γ-nonalactone), 데카날(Decanal), 바닐린(Vaniline), 인돌(Indol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γ-데카락톤(γ-decalacton)을 21.1~31.1중량%, 바람직하게는 23.1~29.1중량%, 리날룰(Linalool)을 15.1~25.1중량%, 바람직하게는 17.1~23.1중량%,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를 4.6~14.6중량%, 바람직하게는 6.6~12.6중량%,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를 3.4~13.4중량%, 바람직하게는 5.4~11.4중량%, 노나날(Nonanal)을 0.8~10.8중량%, 바람직하게는 2.8~8.8중량%, 제라니올(Geraniol)을 4~6.4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를 3.5~5.8중량%, β-이온원(β-Ionone)을 3.1~5.1중량%, γ-노나락톤(γ-nonalactone)을 2.8~4.7중량%, 데카날(Decanal)을 2.5~4중량%, 바닐린(Vaniline)을 1.5~2.7중량%, 인돌(Indole)을 1.2~2.3중량%,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1.2~5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다.
은목서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인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노나날, 및 2-페닐에틸알코올은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은목서와의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그 외의 부차적인 성분인 제라니올, 아니스알데하이드, β-이온원, γ-노나락톤, 데카날, 바닐린, 인돌 성분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은목서의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은목서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기제에 배합될 수 있고,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외용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은목서의 향취성분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SPME법을 사용할 수 있다. SPME법은 특별한 전처리 없이 화이버(Fiber)에 흡착된 향취 성분들이 GS-MS 컬럼안으로 빠르게 탈착, 주입될 수 있어, 분석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으므로, 휘발성이 강한 은목서의 향취성분을 분석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SPME법에 의해서 분석된 은목서의 향취성분을 토대로 조합 향료를 조성하고, 이에 대해 은목서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후각관능검사를 통해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전문 조향사 및 일반인에 의해 실시되었고, 은목서 향취와의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은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예 1] SPME법을 이용한 은목서의 향취 분석
향기가 강한 은목서 한 그루를 골라 화분을 채취한 후, 2시간동안 85㎛의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코팅된 화이버(Polyacrylate Fiber)에 향기성분을 흡착시켜 향기성분을 포집하였다.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3시간 동안 포집이 이루어졌다.
향취성분을 포집한 후, 화이버(Fiber)를 밀봉하고, 이를 GC-MS의 주입구에 옮겨 꽂은 다음, 2분간 탈착을 시키고, GC-MS 분석을 행하였다. GC-MS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분석 조건
. 분석기기: HP 5890 II GC
. 검출기: HP 5972 MSD
. 컬럼(Column): DB-1(60m X 0.25mm X 0.25um)
. 이동 기체(Carrier Gas): He
. 주입부 온도(Injection Temperature): 250 ℃
. 검출부 온도(Detector Temperature): 280 ℃
. 오븐 온도(Oven Temperature): 70℃~220℃(3℃/min)
. 이온화 전압(Ionization Voltage): 70eV
. 탈착 시간: 2분
그 결과,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은목서의 향취성분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향료명 함량(중량%)
γ-데카락톤 24.76
리날룰 19.05
리날룰옥사이드 9.12
벤잘데하이드 7.94
노나날 5.51
제라니올 4.65
아니스알데하이드 4.11
β-이온원 3.71
γ-노나락톤 3.27
데카날 3.03
바닐린 1.89
인돌 1.52
기타 11.44
총함량 100
상기 표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은목서는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노나날을 주요 향취성분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주요 성분이 전체의 66.38중량%를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1] 분석결과로 조성된 향료와 천연 은목서 향취와의 비교관능평가
상기 참고예 1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새로이 조성한 하기 표 2의 조성을 갖는 조합향료(샘플 B)를 만들고, 이 항료와 천연 은목서 화분(샘플 A)의 향취 유사성을 관능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향료명 함량(중량%)
γ-데카락톤 24.76
리날룰 19.05
리날룰옥사이드 9.12
벤잘데하이드 7.94
노나날 5.51
제라니올 4.65
아니스알데하이드 4.11
β-이온원 3.71
γ-노나락톤 3.27
데카날 3.03
바닐린 1.89
인돌 1.52
DPG(solvent) 11.44
총함량 100
관능평가는 20~45세의 일반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상기 참고예 1에서 은목서 화분으로부터 직접 포집된 향취 성분의 샘플 A와, SPME법으로 재현한 조합향료의 샘플 B의 향취를 각각 맡아보도록 하고, 하기 표 3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샘플 A와 샘플 B의 향취 유사성(질문 1) 및 향취의 기호성(질문 2)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설문지

(1) 질문 1: 샘플A와 샘플B의 향취가 얼마나 유사(비슷)한가?
1) 전혀 유사하지 않다.
2) 별로 유사하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어느 정도 유사하다.
5) 매우 유사하다.

(2) 질문 2: 샘플 B의 향취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1) 전혀 좋지 않다.
2) 별로 좋지 않다.
3) 그저 그렇다.
4) 약간 좋다.
5) 매우 좋다.
평가요원 질문 1 (유사성) 질문 2 (기호성)
1 3 2
2 2 2
3 2 2
4 3 3
5 2 3
6 3 4
7 2 3
8 3 2
9 2 2
10 1 1
11 2 3
12 2 2
13 3 2
14 2 4
15 3 2
16 3 3
17 2 3
18 1 4
19 3 2
20 2 1
평균 2.3 2.5
상기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조합향료인 샘플 B는 은목서 화분의 향취와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성도 낮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전문 평가단에 의한 향취분석과 은목서와의 향취비교
상기 시험예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SPME법에 의해 분석된 성분을 인공적으로 배합 조성한 향료 조성물은 은목서 화분으로부터 직접 포집한 향취와의 유사성이 매우 낮았다.
이에, 조향사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은 은목서의 각각의 향취 성분들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은목서의 향취 성분들 중, 스윗 크리미(sweet creamy)한 향취를 만들어 내는 γ-데카락톤, 플로랄 우디(floral woody)한 향취를 만들어 내는 리날룰, 스윗 우디(sweety woody)한 향취를 만들어 내는 리날룰 옥사이드, 스윗 플로랄(sweet floral)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벤잘데하이드, 플로랄 프루티(floral fruity)한 향취를 만들어내는 노나날의 다섯 성분이 은목서의 고유향취를 만들어내는 주요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다섯가지 주성분의 함량변화에 따른 새로운 조합향료의 제조
상기 시험예 2로부터, 은목서의 독창적 향취의 주성분이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및 노나날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 다섯 성분을 함유하여 은목서의 향취를 그대로 나타내면서, 기호성이 좋은 향료를 제조하기 위해서 하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내지 #4의 새로운 조합 향료들을 제조하였다.
조합향료 #1부터 #4는 이들 다섯 주요성분의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다섯가지 향료의 총 함량을 60~90중량%로 변화시켜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향료명 #1 #2 #3 #4
(60중량%) (70중량%) (80중량%) (90중량%)
γ-데카락톤 22.4 26.1 29.8 33.6
리날룰 17.2 20.1 23.0 25.8
리날룰옥사이드 8.2 9.6 11.0 12.3
벤잘데하이드 7.2 8.4 9.6 10.8
노나날 5.0 5.8 6.6 7.5
제라니올 8.4 6.3 4.2 2.1
아니스알데하이드 7.4 5.6 3.7 1.8
β-이온원 6.7 5.0 3.3 1.7
γ-노나락톤 5.9 4.4 3.0 1.5
데카날 5.5 4.1 2.7 1.4
바닐린 3.4 2.6 1.7 0.8
인돌 2.7 2.0 1.4 0.7
총 함량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들의 관능평가
새로이 조합된 상기 실시예 1의 4가지의 향료(#1~#4)에 대해, 은목서 향취와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은목서의 향취 유사성 및 기호성에 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가
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1 #2 #3 #4 #1 #2 #3 #4
1 3.0 4.0 2.0 1.0 2.0 4.0 2.0 2.0
2 2.0 3.0 3.0 2.0 2.0 3.0 3.0 1.0
3 1.0 4.0 3.0 1.0 3.0 3.0 3.0 1.0
4 2.0 3.0 3.0 2.0 2.0 4.0 3.0 3.0
5 3.0 3.0 4.0 2.0 2.0 3.0 3.0 1.0
6 3.0 3.0 2.0 2.0 2.0 3.0 2.0 3.0
7 2.0 3.0 3.0 1.0 3.0 3.0 3.0 1.0
8 2.0 3.0 2.0 2.0 3.0 3.0 4.0 3.0
9 3.0 3.0 3.0 2.0 2.0 3.0 3.0 3.0
10 2.0 4.0 3.0 3.0 1.0 4.0 2.0 2.0
11 2.0 3.0 3.0 1.0 2.0 3.0 3.0 1.0
12 1.0 3.0 3.0 3.0 2.0 3.0 4.0 3.0
13 2.0 4.0 3.0 1.0 2.0 3.0 3.0 2.0
14 2.0 3.0 3.0 2.0 3.0 3.0 3.0 3.0
15 3.0 3.0 3.0 3.0 3.0 3.0 3.0 3.0
16 2.0 3.0 2.0 1.0 2.0 4.0 3.0 3.0
17 2.0 3.0 2.0 1.0 3.0 3.0 1.0 1.0
18 2.0 4.0 2.0 2.0 1.0 3.0 2.0 3.0
19 3.0 3.0 4.0 3.0 2.0 3.0 3.0 1.0
20 3.0 4.0 3.0 2.0 2.0 3.0 2.0 1.0
평균 2.25 3.3 2.8 1.85 2.2 3.2 2.75 2.05
상기 표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은목서 향취성분 중 주요 다섯 성분의 총함량이 70중량%를 차지하는 샘플 #2가 4개의 조합향료 중 가장 뛰어난 유사성과 기호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졌다. 그러나 유사성과 기호성이 모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전문 평가단의 분석에 의한 향취 개선향료 제조
상기 표 6에서 은목서의 향취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난 샘플 #2의 향료의 유사성 및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하기 표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노나날을 70중량%의 함량으로 유지(표 6 샘플 #2와 동일)하고, 여기에 인공 합성물질인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더 첨가하여 #가 내지 #사의 새로운 조합향료 샘플을 제조하였다.
이 때, 조향사 전문가 집단의 판단에 의해서 2-페닐에틸알코올의 함량기준을 잡았으며, 2-페닐에틸알코올을 0.9중량%, 1.5중량%, 2.1중량%, 2.7중량%, 3.3중량%, 3.9중량%, 4.5중량%로 변화시켜 가면서 첨가하고, 그 외 성분들은 2-페닐에틸알코올의 함량 변화에 따라 총 함량 100을 맞추기 위해 조절하였다. 이들 재조합 향료의 조성은 하기 표 7과 같다 (단위: 중량%).
조합향료 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향료명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함량
γ-데카락톤 26.1 26.1 26.1 26.1 26.1 26.1 26.1
리날룰 20.1 20.1 20.1 20.1 20.1 20.1 20.1
리날룰옥사이드 9.6 9.6 9.6 9.6 9.6 9.6 9.6
벤잘데하이드 8.4 8.4 8.4 8.4 8.4 8.4 8.4
노나날 5.8 5.8 5.8 5.8 5.8 5.8 5.8
제라니올 5.6 5.5 5.4 5.4 5.3 5.2 5.1
아니스알데하이드 5.5 5.2 5.1 5.0 4.9 4.8 4.8
β-이온원 4.9 4.7 4.7 4.7 4.5 4.5 4.4
γ-노나락톤 4.4 4.4 4.2 4.2 4.2 4.2 4.0
데카날 4.1 4.1 3.9 3.7 3.6 3.4 3.3
바닐린 2.6 2.6 2.6 2.4 2.4 2.2 2.1
인돌 2.0 2.0 2.0 1.9 1.8 1.8 1.8
2-페닐에틸알콜 0.9 1.5 2.1 2.7 3.3 3.9 4.5
총함량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시험예 4]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조합향료들의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2의 7가지(#가 내지 #사)의 조합 향료들에 대하여, 은목서와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의 기호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한편, 두 개의 조합향료에 대한 비교관능평가를 실시한 후, 5분 동안의 휴식시간을 주어, 후감각 마비현상이 없도록 하였다. 새로운 조합향료와 은목서와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평가요원 질문1 (유사성) 질문2 (기호성)
조합향료번호 조합향료번호
#가 #나 #다 #라 #마 #바 #사 #가 #나 #다 #라 #마 #바 #사
1 3.0 4.0 4.0 4.0 4.0 3.0 3.0 3.0 3.0 3.0 4.0 4.0 4.0 3.0
2 2.0 4.0 4.0 5.0 3.0 3.0 3.0 3.0 4.0 4.0 4.0 5.0 4.0 2.0
3 3.0 3.0 3.0 4.0 4.0 4.0 3.0 3.0 3.0 3.0 4.0 4.0 3.0 3.0
4 3.0 3.0 3.0 4.0 4.0 3.0 3.0 3.0 3.0 3.0 4.0 4.0 3.0 3.0
5 4.0 4.0 4.0 5.0 4.0 4.0 4.0 4.0 4.0 4.0 3.0 5.0 4.0 3.0
6 3.0 3.0 3.0 4.0 4.0 3.0 3.0 3.0 3.0 4.0 4.0 5.0 5.0 3.0
7 3.0 3.0 4.0 3.0 5.0 4.0 4.0 3.0 4.0 3.0 4.0 4.0 3.0 3.0
8 3.0 4.0 4.0 4.0 4.0 3.0 3.0 2.0 3.0 3.0 4.0 5.0 4.0 2.0
9 2.0 2.0 3.0 3.0 4.0 4.0 3.0 3.0 4.0 3.0 4.0 5.0 4.0 3.0
10 3.0 3.0 3.0 4.0 4.0 4.0 3.0 2.0 3.0 4.0 3.0 4.0 3.0 3.0
11 2.0 4.0 4.0 4.0 4.0 5.0 4.0 4.0 3.0 4.0 4.0 5.0 4.0 2.0
12 3.0 3.0 3.0 4.0 5.0 4.0 3.0 3.0 4.0 4.0 4.0 5.0 5.0 4.0
13 2.0 4.0 4.0 4.0 5.0 3.0 3.0 3.0 3.0 4.0 5.0 5.0 4.0 4.0
14 3.0 3.0 3.0 5.0 5.0 4.0 3.0 3.0 4.0 5.0 4.0 4.0 4.0 3.0
15 4.0 3.0 3.0 3.0 4.0 4.0 3.0 3.0 3.0 3.0 4.0 5.0 4.0 4.0
16 3.0 4.0 4.0 4.0 4.0 5.0 3.0 2.0 3.0 4.0 5.0 4.0 4.0 3.0
17 2.0 3.0 3.0 4.0 5.0 4.0 2.0 3.0 4.0 3.0 4.0 4.0 4.0 3.0
18 4.0 3.0 4.0 4.0 4.0 5.0 3.0 3.0 4.0 4.0 4.0 5.0 5.0 2.0
19 3.0 3.0 3.0 3.0 4.0 4.0 3.0 2.0 3.0 3.0 3.0 4.0 3.0 3.0
20 2.0 3.0 4.0 4.0 5.0 4.0 3.0 2.0 3.0 3.0 4.0 5.0 4.0 2.0
평균 2.85 3.3 3.5 3.95 4.25 3.85 3.1 2.85 3.4 3.55 3.95 4.55 3.9 2.9
상기 표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γ-데카락톤, 리날룰, 리날룰옥사이드, 벤잘데하이드, 노나날 등의 은목서의 주요 향취성분에 2-페닐에틸알코올 1.5 내지 3.9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나, #다, #라, #마, #바의 경우에는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3.8 이상). 특히, 2-페닐에틸알코올을 2.7 내지 3.9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는 #라, #마, #바의 경우에는 은목서와의 향취 유사성 및 향취 기호성이 매우 우수하여 은목서의 향취를 잘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평균 4.0 이상).
한편, 2-페닐에틸알코올을 1.5중량% 미만 또는 3.9중량% 초과로 함유하면 오히려 향취의 유사성 및 기호성이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상기에서와 같이 은목서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 조성물(상기 표 7의 #마)을 배합하여, 하기 표 9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수
은목서 향취 재현 조합향료
알코올

색소
자외선차단제
15 중량%
83 중량%
2 중량%
적량
적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은목서의 향취 성분 및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을 함유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목서의 향취 성분은 γ-데카락톤(γ-decalacton), 리날룰(Linalool),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 및 노나날(Nonanal)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제라니올(Geraniol),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 β-이온원(β-Ionone), γ-노나락톤(γ-nonalactone), 데카날(Decanal), 바닐린(Vaniline), 및 인돌(Indole)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γ-데카락톤(γ-decalacton)을 21.1~31.1중량%, 리날룰(Linalool)을 15.1~25.1중량%, 리날룰옥사이드(Linalool oxide)를 4.6~14.6중량%, 벤잘데하이드(Benzaldehyde)를 3.4~13.4중량%, 노나날(Nonanal)을 0.8~10.8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제라니올(Geraniol)을 4~6.4중량%, 아니스알데하이드(Anisaldehyde)를 3.5~5.8중량%, β-이온원(β-Ionone)을 3.1~5.1중량%, γ-노나락톤(γ-nonalactone)을 2.8~4.7중량%, 데카날(Decanal)을 2.5~4중량%, 바닐린(Vaniline)을 1.5~2.7중량%, 인돌(Indole)을 1.2~2.3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페닐에틸알코올(2-Phenyl ethyl alcohol)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5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50030791A 2015-03-05 2015-03-05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298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791A KR102298805B1 (ko) 2015-03-05 2015-03-05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791A KR102298805B1 (ko) 2015-03-05 2015-03-05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685A true KR20160108685A (ko) 2016-09-20
KR102298805B1 KR102298805B1 (ko) 2021-09-08

Family

ID=5710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791A KR102298805B1 (ko) 2015-03-05 2015-03-05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171A (ko) * 2019-07-03 2021-01-13 한국콜마주식회사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741A (ko) 2004-07-09 2007-04-06 오씨 외를리콘 발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스 베어링 기판-로딩 기구 프로세스
KR20140030992A (ko) * 2012-09-04 2014-03-12 (주)제이에스향료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741A (ko) 2004-07-09 2007-04-06 오씨 외를리콘 발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가스 베어링 기판-로딩 기구 프로세스
KR20140030992A (ko) * 2012-09-04 2014-03-12 (주)제이에스향료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171A (ko) * 2019-07-03 2021-01-13 한국콜마주식회사 오동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805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01569A (ko) 백서향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8147B1 (ko) 복분자딸기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9B1 (ko) 풍란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90180B1 (ko) 백선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08501B1 (ko)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80694B1 (ko) 칡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038709A (ko) 학쟈스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108685A (ko)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63448B1 (ko) 솔나리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37998B1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24929B1 (ko) 단삼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35252B1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90056859A (ko) 인삼열매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10346B1 (ko) 다래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78321B1 (ko) 해당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428986B1 (ko) 백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94530B1 (ko) 박달목서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42317B1 (ko) 왕벚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1580B1 (ko) 자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04752B1 (ko) 줄댕강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056481A (ko)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78146B1 (ko) 대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5B1 (ko) 거문도 동백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