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992A -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992A
KR20140030992A KR1020120097848A KR20120097848A KR20140030992A KR 20140030992 A KR20140030992 A KR 20140030992A KR 1020120097848 A KR1020120097848 A KR 1020120097848A KR 20120097848 A KR20120097848 A KR 20120097848A KR 20140030992 A KR20140030992 A KR 20140030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ia
fragrance
absolut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673B1 (ko
Inventor
최연희
이새미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스향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스향료 filed Critical (주)제이에스향료
Priority to KR102012009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6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꼭두서니과(Rubiaceae)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상기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유성분이 풍부하지 못한 치자꽃의 향취를 국내나 국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원료로 조합하여 자생식물의 효능을 활용한 관련 향장제품(향수, 화장수, 바디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자생식물타입 향료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for expressing the fragrance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for. Grandiflora Makino}
본 발명은 꼭두서니과(Rubiaceae)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자나무는 한국 ·일본 ·중국 ·타이완에 분포하는 수종으로 높이 1∼2m이며 작은 가지에 짧은 털이 있으며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윤기가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짧은 잎자루와 뾰족한 턱잎이 있다. 꽃은 단성화로 6∼7월에 피고 흰색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황백색으로 되며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화관은 지름 6∼7cm이고 질이 두꺼우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6∼7개이고 향기가 있다. 수술도 같은 수이다. 꽃봉오리 때에는 꽃잎이 비틀려서 덮여 있다.
열매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9월에 황홍색으로 익는다. 길이 2cm 정도로 6개의 능각이 있고 위에 꽃받침이 남아 있으며 성숙해도 갈라지지 않는다. 안에는 노란색 과육과 종자가 있다. 열매를 치자라고 하며 한방에서는 불면증과 황달의 치료에 쓰고 소염 ·지혈 및 이뇨의 효과가 있다. 음식물의 착색제로 쓰고, 옛날에는 군량미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치자물에 담갔다가 쪄서 저장하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남부지방에서 재배하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치자는 각종 신경질환이나 불면증, 두통, 신경성 위장질환에 효과적이며 여성들의 미용관리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졌다.
천연향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수증기증류(Steam distillation)와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Solvent phase micro extraction-SPME), 초임계유체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등이 있다.
상기 다양한 방법 중에서 천연향의 수득률 및 추출물의 향기를 검토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KR 공개특허 10-2008-0103741
본 발명은 치자꽃의 수득률 및 추출물의 향기를 고려하여 용매추출법에 의한 치자꽃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 리날룰, 바이올렛 잎 압솔루트(violet leaf absolute), 이소유게놀 및 바닐린 등이 치자꽃 향취의 주성분임을 밝혀내고, 이를 조합향료로 제조하여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상기 치자꽃의 향기 성분에, 천연에서 온 마떼 압솔루트(Mate absolute)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 등의 필수 구성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치자꽃의 고유향취를 재현하면서 뛰어난 기호성 및 아로마 효과를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구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치자꽃의 향취성분, 마떼 압솔루트(Mate absolute)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한 항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치자꽃의 고유 향취를 재현할 수 있고, 우수한 기호성 및 아로마 효과를 나타내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뇌파 전극 부착사진을 나타낸다.
도 2는 3차원 뇌 맵핑으로 부는 향 흡입 전과 흡입 중의 뇌파 변화를 나타낸다.
도 3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absolute theta 파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4는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gamma 파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5는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fast alpha 파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6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mid beta 파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도 7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gamma 파 변화를 나타내는 brain map이다.
본 발명은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자꽃의 향취성분, 마떼 압솔루트(Mate absolute)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한 항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자꽃의 향취성분은 리날룰, 바이올렛 잎 압솔루트(violet leaf absolute), 이소유게놀 및 바닐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아세틱 액시드(acetic acid), 팔미틱 액시드(palmitic acid), 리놀레익 액시드(linoleic acid), 오스만투스 압솔루트, 톨루 압솔루트, 통카 페브레지노이드, 커피추출물, 캐모마일 로만 오일 및 티블랙 압솔루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치자꽃의 향취 성분에 마떼 압솔루트(Mate absolute)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을 필수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치자꽃의 고유향취를 재현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호성 및 아로마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하기 위한 주요 성분들로서 리날룰, 바이올렛 잎 압솔루트(violet leaf absolute), 이소유게놀, 바닐린, 마떼 압솔루트(Mate absolute)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치자꽃 향취성분 21.5~25.5 중량부, 마떼 압솔루트 1.5 ~ 2.5 중량부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 1.0 ~2.0 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치자꽃 향취성분 100 중량부 대비 리날룰 10.0 ~11.0 중량부, 바이올렛 잎 압솔루트는 9.0 ~ 10.0 중량부, 이소유게놀 2.0 ~ 3.0 중량부 및 바닐린 0.5 ~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난 범위로 사용할 경우, 치자꽃과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고, 향취의 기호성도 낮아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외의 성분들은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치자꽃의 향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도 함유될 수 있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 기제에 배합될 수 있고,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외용기재로는 예를 들면,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지만, 이들에만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기제에도 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
1. 치자꽃 추출
전남 완도에서 채취한 생체(치자꽃부분)로부터 추출은 용매추출법(solvent extraction)으로 시행하였다. 치자꽃 생체시료 100g을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에탄올 1200mL를 넣어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감압여과기를 이용하여 치자꽃 추출액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시켰다. 농축한 콘크리트(concrete)를 증류수 400mL를 넣어 현탁시킨 후 디에틸에테르(대정화금)를 이용하여 분획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후 감압여과를 시켜 최종 추출물을 얻었다.
2. 분석
(1) 분석 조건
- GC-MS의 분석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았다.
조건
GC (Agilent 7890) -column: HP innowax column 30m x 0.25um x 250mm
-Oven temperature: 60℃, 0min→3℃/min→250mm
-injector temp: 250℃
MS (Agilent 5975) -ion source temp: 230℃
-Quard temp: 150 ℃
-mode: TIC mold
(2) 분석 결과
- 치자꽃 생체추출물은 하기 표 2와 같다.
성분 함량
2-butenal 0.33
hexenal (aldehyde c-6) 0.61
Trans-2-hexenal 0.06
2-amyl furan 0.24
acetol 0.73
Lilac lactone 0.15
diacetone 0.56
Nonanal (aldehyde c-9) 0.32
linalool 1.80
isoeugenol 0.46
vanillin 0.20
Acid 류 24.6
기타 69.94
100.00
상기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치차꽃생체 추출물에는 많은 acid류와 트랜스-2-헥세날(trans-2-hexenal), 2-아밀푸란(2-amyl furan), 노나날(nonanal=aldehyde c-9), 아세톨(acetol), 리날룰 (linalool), 이소유제놀(isoeugenol), 바닐린(vanillin), 등이 주요 성분을 이루고 있다.
3. 치자꽃생체 추출물 향취를 위한 조합향료 조성
성분 함량
linalool 10.0
isoeugenol 2.5
vanillin 1.0
phenylacetic acid 1.5
violet leaf absolute 9.0
mate absolute 2.0
상기 조합향료는 치자꽃생체를 용매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GC-MASS로 분석하여 향기 성분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케미컬 원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후 추출물과 가장 흡사하다고 생각되는 상용화된 내추럴 원료 2종을 결합하는 것에서 시작하였다.
하기 표 4, 표 5는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일례이다.
성분 함량
linalool 10.0
isoeugenol 2.5
vanillin 1.0
phenylacetic acid 1.5
violet leaf absolute 9.0
mate absolute 2.0
아세틱 액시드(acetic acid), 0.15
팔미틱 액시드(palmitic acid) 3.0
리놀레익 액시드(linoleic acid) 3.0
성분 함량
linalool 10.0
isoeugenol 2.5
vanillin 1.0
phenylacetic acid 1.5
violet leaf absolute 9.0
mate absolute 2.0
아세틱 액시드(acetic acid), 0.15
팔미틱 액시드(palmitic acid) 3.0
리놀레익 액시드(linoleic acid) 3.0
오스만투스 압솔루트 0.6
톨루 압솔루트 0.6
통카 페브 레지노이드 0.3
커피추출물 0.3
캐모마일 로만 오일 1.5
티블랙 압솔루트 1.5
상기 표 4, 표 5의 향료 조성물은 치자꽃생체추출물 향취에서 느껴지는 건초 같은 자연의 신선한 풀냄새와 따뜻한 꽃향의 풍부함이 어우러진 향취를 줄 수 있는 천연오일과 합성원료를 사용하여 조합하였다.
4. 치자꽃 생체추출물과 치자꽃생체추출물의 조합향료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측정
치자꽃생체추출물 및 치자꽃생체추출물 조합향료의 향 흡입이 신경생리학적으로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1) 실험환경
남녀 각각 5명씩 총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장소는 일정한 온도(23˚C)와 습도(50%)를 유지한 32.4㎡(9.8평) 크기의 실험실로 최대한 잡음이 혼입되지 않은 안정적인 상태에서 뇌파를 측정하였다.
(2) 뇌파 기기
뇌파측정 시 사용한 기기는 QEEG-8 System(LXE3208, LAXTHA Inc. Korea)이며, 피험자의 뇌파신호 측정은 데이터 수집 장비 및 분석프로그램(Telescan)을 이용하였다.
(3) 측정방법
뇌파 전극 부착: 좌, 우의 귓불 뒤편에 뇌파전극을 부착하였다. 미간에서 뒷통수에 볼록 튀어나온 부분을 기준으로 한 후 미간에서 3.6cm지점을 표시하였다. 표시한 지점을 중간에 두고 좌우 대칭되게 2.9cm지점을 표시하였다. 표시된 지점에 스폰지 디스크를 부착한 후 뇌파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캡을 머리에 씌우고, 10-20 국제전극부착법에 나타난 전극부착 위치로 인체에 무해한 풀을 주입하였다. 풀이 맞습니다.
(4) 실험방법( 향흡입 )
바이얼에 담겨진 정유를 시향지(13cm)로 찍어 피험자의 코로부터 약 3cm 거리를 유지하고 피험자가 눈을 감은 상태에서 향 흡입 전(무자극)과 흡입상태(향자극)로 각각 1분씩을 측정하였다(회수율이 적은 시료의 경우 바이얼 내에 담겨진 상태로 향 흡입을 하였음).
(5) 데이터 분석
1분 측정 중 20초 측정된 뇌파신호만을 추출하여 일괄처리 프로그램(Batch processing)으로 데이터 처리를 하였고, SPSS 18.0 version의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하였다(각 시료의 향 흡입 시 측정된 뇌파 신호 중 잡파가 발견된 피험자의 데이터는 제외시켰음).
EEG brain mapping(3차원 뇌 맵핑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향 흡입 전과 흡입중의 뇌파 변화를 도 2로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좌측에 보이는 Value 7색깔 막대기는 향 흡입전과 흡입 상태에서 측정된 뇌파신호의 평균 데이터를 색깔로 나타낸 것으로 뇌파지표(RMB, ALB 등)마다 각각 다른 평균값을 나타낸다. Fp1, Fp2, F3, F4, T3, T4, P3, P4 위치에서 측정된 뇌파신호 중 평균값이 높을수록 위쪽에 있는 색깔을 나타내고 평균값이 낮을수록 아래쪽에 있는 색깔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T3 위치에서 alpha파가 출현하였는데, 향 흡입 전에는 파랑색을 나타내고 향 흡입 중에 보라색으로 나타났다면 alpha파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한다.
5. 치자꽃 생체 추출물 향 흡입의 뇌파변화
(1)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value
Absolute theta power spectrum(AT)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4~8Hz의 theta파 영역의 절대 파워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깊이 내면화되고 조용한 상태의 육체, 감정 및 사고활동과 관련되거나 졸릴 때 주로 나타나며, 예술적인 노력을 기울일 때, 즐겁고 기쁜 업무나 놀이 시 크게 나타나는 theta 파는 발현될 때 뇌는 무엇인가를 보고 알며 기억하려는 등 의욕적인 상태가 된다.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Fp2(우측 전전두엽), T3(좌측 측두엽), P3(좌측 두정엽)채널에서 뇌파분석 지표인 AT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표 6).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시 고도의 집중 상태가 풀리고 뇌가 안정됨을 의미한다. 하기 표 6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absolute theta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AT(Absolute th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9.8472 .59137 -0.800 0.447
After 9 9.9722 .52488
Fp2 Before 9 9.8056 .55853 -2.353 0.046
After 9 10.0556 .67852
F3 Before 9 9.7708 .45178 -0.876 0.407
After 9 9.8889 .55795
F4 Before 9 9.7292 .47803 -1.840 0.103
After 9 9.9583 .57026
T3 Before 9 9.7361 .38878 -4.123 0.003
After 9 10.0903 .51738
T4 Before 9 9.8056 .49553 -2.236 0.056
After 9 10.0417 .62812
P3 Before 9 9.8403 .60282 -2.841 0.022
After 9 10.1181 .63465
P4 Before 9 9.8750 .57537 -1.708 0.126
After 9 10.0694 .56375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흡입 후, 전체적으로 색깔변화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T검정을 통해 우측 전전두엽, 좌측 측두엽, 좌측 두정엽 부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
(2)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value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RG)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gamma 대역의 절대 파워비로서 gamma파 영역(30~5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한 상태이거나 추리, 판단 등 고도의 인지작용 시 활성화되는 gamma파는 본 발명의 치자꽃 용매추출 콘크리트 향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P3(좌측 두정엽)채널에서 뇌파지표인 RG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표 7). 이는 좌측 두정엽에서 유발된 gamma파의 영향으로 고도의 인지작용 및 정신집중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7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gamma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RG(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0.1780 0.06581 -2.273 0.053
After 9 0.2009 0.08263
Fp2 Before 9 0.1671 0.11167 -1.994 0.081
After 9 0.1931 0.11730
F3 Before 9 0.1448 0.06038 -1.194 0.267
After 9 0.1600 0.04445
F4 Before 9 0.1342 0.05915 -1.269 0.240
After 9 0.1504 0.05370
T3 Before 9 0.2382 0.06977 -2.018 0.078
After 9 0.2896 0.09187
T4 Before 9 0.2573 0.14026 0.709 0.498
After 9 0.2410 0.10742
P3 Before 9 0.1418 0.05205 -2.338 0.048
After 9 0.1700 0.03734
P4 Before 9 0.1421 0.06176 -1.493 0.174
After 9 0.1632 0.04694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좌측 두정엽 부위에서 보라색이 파란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좌측 두정엽에서 유발된 gamma파의 영향으로 고도의 인지작용 및 정신집중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3)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value
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RFA)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fast alph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fast alpha파 영역(11~13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극도로 긴장하여 무엇인가 열심히 바라보며 근육이 굳어져 있을 때, 긴급하거나 위험한 상태에서 긴장된 집중력으로 사태에 대처해야 할 때 요구되는 fast alpha파는 본 발명의 치자꽃 용매추출 콘크리트 향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에서 P3(좌측 두정엽), P4(우측 두정엽)채널에서 fast alpha파의 뇌파분석 지표인 RFA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표 8). 이러한 결과는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이 두뇌활동이 최적화로 활성화되고 안정적인 상태에서 집중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하기 표 8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fast alpha 파의 변화이다.
RFA(Relative fast alph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0.0633 0.03295 -2.176 0.061
After 9 0.0855 0.05877
Fp2 Before 9 0.0854 0.10104 -2.159 0.063
After 9 0.0968 0.10777
F3 Before 9 0.0343 0.01655 -2.087 0.070
After 9 0.0446 0.02447
F4 Before 9 0.0407 0.03833 -1.314 0.225
After 9 0.0602 0.07747
T3 Before 9 0.0883 0.04150 -2.175 0.061
After 9 0.1305 0.06832
T4 Before 9 0.1182 0.06483 -0.316 0.760
After 9 0.1242 0.08620
P3 Before 9 0.0277 0.01550 -2.485 0.038
After 9 0.0435 0.02880
P4 Before 9 0.0263 0.01627 -2.334 0.048
After 9 0.0407 0.03038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좌우 두정엽 부위에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치자꽃 용매추출 콘크리트 향을 흡입 후 두뇌활동이 최적화로 활성화되었음을 의미한다.
(4)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value
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RMB)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mid bet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mid beta파 영역(15~2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계산이나 암산과 같이 한가지 주제에 집중하면서 비교적 정신 부하가 높은 사고활동을 수행할 때 우세한 AMB지표는 본 발명의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P3(좌측 두정엽)채널에서 뇌파분석 지표인 RMB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표 9). 이러한 결과는 치자꽃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을 흡입 후 고도의 집중상태가 활성화되여 뇌가 각성되고 집중력이 증가되었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9는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mid beta 파의 변화를 나타낸다.
RMB(Relative mid bet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0.0518 0.03282 -1.984 0.083
After 9 0.0609 0.03769
Fp2 Before 9 0.0330 0.01118 -0.907 0.391
After 9 0.0377 0.01171
F3 Before 9 0.0390 0.01014 -0.744 0.478
After 9 0.0419 0.01081
F4 Before 9 0.0350 0.01035 0.177 0.864
After 9 0.0343 0.00921
T3 Before 9 0.0634 0.01456 -1.787 0.112
After 9 0.0747 0.02734
T4 Before 9 0.0502 0.01239 -0.769 0.464
After 9 0.0553 0.02004
P3 Before 9 0.0486 0.02194 -3.402 0.009
After 9 0.0632 0.02252
P4 Before 9 0.0464 0.01502 -0.772 0.463
After 9 0.0533 0.02379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또한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자꽃 생체추출물 향 흡입 전과 흡입 후 좌측 두정엽 부근에서 파란색에서 하늘색으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좌측 두정엽 부근에서 유발된 mid beta파의 영향으로 고도의 집중상태가 활성화되고 뇌가 각성, 집중력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6. 치자꽃 생체추출물 조합향료 향 흡입의 뇌파 변화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value
Relative gamma power spectrum(RG) 지표는 뇌파 스펙트럼에서 전체 주파수 영역의 절대파워에 대한 gamma 대역의 절대파워 비로서 gamma파 영역(30~50Hz)을 전체 주파수 영역(4~50Hz)으로 나누어 준 스펙트럼 값을 의미한다.
정서적으로 더욱 초조한 상태이거나 추리, 판단 등 고도의 인지작용 시 활성화되는 gamma파는 본 발명의 치자꽃 생체추출물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흡입 후의 뇌파 측정 결과 전극부착부위(채널) 중 T3(좌측 측두엽)채널에서 뇌파지표인 RG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표 10). 이러한 결과로 보아 치자꽃 생체추출물 조합향료 향을 흡입 시 고도의 인지작용 및 정신집중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하기 표 10은 치자꽃 생체추출물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후, relative gamma 파의 변화이다.
RG(Relative gamma power spectrum)
Site Inhalation N Mean SD t-test p
Fp1 Before 9 0.1890 0.07767 -1.198 0.265
After 9 0.2163 0.08953
Fp2 Before 9 0.2138 0.12410 0.552 0.596
After 9 0.1959 0.12303
F3 Before 9 0.1780 0.06106 -0.009 0.993
After 9 0.1783 0.11468
F4 Before 9 0.1796 0.06745 0.320 0.757
After 9 0.1694 0.10061
T3 Before 9 0.2400 0.08138 -2.685 0.028
After 9 0.2809 0.11363
T4 Before 9 0.2727 0.12929 -0.112 0.914
After 9 0.2762 0.14877
P3 Before 9 0.1676 0.06855 -0.222 0.830
After 9 0.1755 0.08055
P4 Before 9 0.1601 0.07086 -0.913 0.388
After 9 0.1842 0.07305
Fp1 : 좌 전전두엽 (Left prefrontal), Fp2 : 우 전전두엽 (Right prefrontal)
F3 : 좌 전두엽 (Left frontal), F4 : 우 전두엽 (Right frontal)
T3 : 좌 측두엽 (Left temporal), T4 : 우 측두엽 (Right temporal)
P3 : 좌 두정엽 (Left parietal), P4 : 우 두정엽 (Right parietal)
이러한 결과는 brain map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자꽃 생체추출물 조합향료 향 흡입 전과 흡입 상태의 좌측 측두엽 부위에 색이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좌측 측두엽에서 유발된 gamma파로 인해서 고도의 인지작용 및 정신집중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상기에서와 같이 치자꽃의 향취와 유사성을 갖는 향료조성물을 배합하여 하기 표 11의 향수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Claims (6)

  1. 치자꽃의 향취성분, 마떼 압솔루트(Mate absolute)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자꽃의 향취를 재현한 항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꽃의 향취성분은 리날룰, 바이올렛 잎 압솔루트(violet leaf absolute), 이소유게놀 및 바닐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아세틱 액시드(acetic acid), 팔미틱 액시드(palmitic acid), 리놀레익 액시드(linoleic acid), 오스만투스 압솔루트, 톨루 압솔루트, 통카 페브레지노이드, 커피추출물, 캐모마일 로만 오일 및 티블랙 압솔루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치자꽃 향취성분 21.5~25.5 중량부, 마떼 압솔루트 1.5 ~ 2.5 중량부 및 페닐아세틱 액시드 1.0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자꽃 향취성분 100 중량부 대비 리날룰 10.0 ~11.0 중량부, 바이올렛 잎 압솔루트는 9.0 ~ 10.0 중량부, 이소유게놀 2.0 ~ 3.0 중량부 및 바닐린 0.5 ~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20097848A 2012-09-04 2012-09-04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533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48A KR101533673B1 (ko) 2012-09-04 2012-09-04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848A KR101533673B1 (ko) 2012-09-04 2012-09-04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992A true KR20140030992A (ko) 2014-03-12
KR101533673B1 KR101533673B1 (ko) 2015-07-07

Family

ID=5064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848A KR101533673B1 (ko) 2012-09-04 2012-09-04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36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685A (ko) * 2015-03-05 2016-09-20 (주)아모레퍼시픽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6491398A (zh) * 2016-11-07 2017-03-15 广西大学 缓释长效香水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731B1 (ko) * 2018-07-25 2020-05-19 농업회사법인 주노서바이오텍 주식회사 천연 치자꽃 또는 감초 추출물을 이용한 유자씨 오일의 효율적 냄새 제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758A (ja) * 2001-10-29 2003-05-14 Kiyomitsu Kawasaki 頭髪化粧料用のマスキング組成物及び該マスキング組成物を含有する頭髪化粧料並びに頭髪化粧料のマスキング方法。
KR100789353B1 (ko) * 2006-11-13 2007-12-28 (주)아모레퍼시픽 용매추출법에 의해 녹차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694484B1 (ko) * 2010-11-05 2017-01-11 (주)아모레퍼시픽 한방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781579B1 (ko) * 2010-11-25 2017-09-28 (주)아모레퍼시픽 술패랭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8685A (ko) * 2015-03-05 2016-09-20 (주)아모레퍼시픽 은목서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CN106491398A (zh) * 2016-11-07 2017-03-15 广西大学 缓释长效香水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3673B1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4543B1 (ko)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102151761B1 (ko)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33673B1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55499B1 (ko) 감국꽃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파에서 상대적 세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알파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81206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KR102060957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93383B1 (ko) 노간주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1517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577643B1 (ko) 명감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1355307B1 (ko) 진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971575B1 (ko) 옥수수오일, 귀리, 보리 또는 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1264A (ko)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KR102506624B1 (ko) 두뇌의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프루티 프로랄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102506628B1 (ko) 두뇌의 쾌적성 및 집중력을 증진시키는 아쿠아 그린 구상나무 향료 조성물
KR102340205B1 (ko) 두뇌의 집중력을 높이고 각성을 증가시키는 우디 향취의 향료조성물
KR101538417B1 (ko) 천궁 정유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향장품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7516B1 (ko) 신규한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102363321B1 (ko)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KR101661120B1 (ko) 신이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각성 효과 또는 집중력 향상용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