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1264A -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1264A
KR20190101264A KR1020180021414A KR20180021414A KR20190101264A KR 20190101264 A KR20190101264 A KR 20190101264A KR 1020180021414 A KR1020180021414 A KR 1020180021414A KR 20180021414 A KR20180021414 A KR 20180021414A KR 20190101264 A KR20190101264 A KR 2019010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spatial
pinene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정
신현경
이민섭
Original Assignee
(주)셀트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셀트리온 filed Critical (주)셀트리온
Priority to KR102018002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1264A/ko
Publication of KR2019010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12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속리산 연꽃 군락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제주 감귤 재배지,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지리산 음양수샘터, 지리산 중산휴양림 또는 함안 연꽃단지의 지역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집중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긴장 및 불안 완화시키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for anti-stress comprising fragrance of regions}
본 발명은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역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집중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긴장 및 불안을 완화시키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는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 느끼는 심리적/신체적 긴장 상태를 말하는데, 스트레스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심장병, 위궤양, 고혈압 따위의 신체적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불면증, 노이로제, 우울증 따위의 심리적 부적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갈등과 경쟁이 치열한 산업 사회에서는 사회가 구조적 또는 기능적으로 복잡하게 변화함에 따라 이에 적응해야 하는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많은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삶의 원동력이 되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여 주기 때문에 삶의 원기를 북돋아 주는 활력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친 스트레스는 질병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중요 한 건강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잘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현재 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해소 방법에는 심리 혹은 정신 치료 요법, 바이오 피드백 요법, 점진적 이완 요법 또는 운동 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외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개인이 각자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찾아오는 각종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덜 받으며 지낼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방향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장이나 공공장소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향기요법에 적용되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향기 물질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질병이나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아로마 요법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몇 가지 아로마 오일의 흡입 방법에 따른 전후 주관적 평가를 통해 작업 환경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역 공간향으로부터 집중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긴장 및 불안 완화시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는 과제는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속리산 연꽃 군락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제주 감귤 재배지,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지리산 음양수샘터, 지리산 중산휴양림 또는 함안 연꽃단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방향제 또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알러지 반응을 유발하지 않는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속리산 연꽃 군락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제주 감귤 재배지,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지리산 음양수샘터, 지리산 중산휴양림 또는 함안 연꽃단지의 향취 성분을 함유하는 공간향을 포함한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공간향"은 특정 지역에서 채취한 향취를 의미하는 것으로, 단순히 특정 식물의 향이 아닌 해당 공간의 향취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특정 지역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속리산 연꽃 군락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제주 감귤 재배지,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지리산 음양수샘터, 지리산 중산휴양림 또는 함안 연꽃단지를 의미한다.
"공간향 성분"은 해당 공간에서 포집된 성분을 분석한 결과 확인된 성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법을 통해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속리산 연꽃 군락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제주 감귤 재배지,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지리산 음양수샘터, 지리산 중산휴양림 또는 함안 연꽃단지의 공간향을 포집한 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확인된 각 지역의 공간향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분석된 공간향 성분을 향취 성분과 기타 성분으로 구분하고, 향취 성분만을 이용하여 공간향을 재현하는 동시에 항스트레스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기타 성분은 일반 대기 성분 및 알러젠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일반 대기 성분"은 공간향을 분석한 특정 지역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대기 중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 화학 성분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일반 대기 성분"으로는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벤조산(benzoic acid), 페놀(phenol) 등이 있으며, "알러젠 성분"은 체내 유입 시 알러지 반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알려진 성분으로, 리모넨(limonene), 리날룰(linalool), 벤질 알코올(benzyl alcohol)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스트레스”는 정신적 피로 회복의 의미로서 구체적으로는 집중력 및 기억력 향상 또는 긴장 및 불안 완화를 의미한다. 본 발명 지역 공간향은 집중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거나, 긴장 및 불안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각 지역의 특징과 해당 공간향에 주요 역할을 하는 식물소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백두산은 들쭉나무의 주요 분포지 중 하나인데, 이 일대는 고산지대로 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으며 부식토가 많아 들쭉나무가 번식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는 진달래과 산앵두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소관목으로, 주로 높은 산에서 자라며 한국(전남, 강원, 평북, 함남, 함북), 북반구 한대지방에 분포한다. 높이는 1m 정도의 가지는 갈색이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녹백색이며 털과 톱니는 없다. 5~6월에 녹백색의 항아리 모양 꽃이 지난해 가지 끝에 1~4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끝이 얕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구형이거나 타원형이고 8-9월에 검은 자줏빛으로 익는다. 가을에 열매를 채취하여 생식하고 과즙이나 잼을 만든다.
미인송(Pinus syluestriformis)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교목으로서, 키 25~30m, 직경 25~100cm까지 자라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백두산에서 자생하고 있는 진귀한 소나무이다. 하부의 수피는 담황색 내지 암회갈색이며, 중상부의 담황색에서 금색에 가깝다. 잎은 2엽송으로 길이 4~9cm 정도이고 양면에 기공선이 있다. 우뚝 솟아오른 나무의 형태가 수려하며 악조건의 기후에도 굽히지 않는 굳건하고 아름다운 품격을 지녔다 하여 미인송이라 불리우게 되었으며, 현재 중국의 국가 1급 보호수종으로 지정되어 해당 수목 및 종자의 공식적인 수출입이 금지된 희귀수종이다.
연꽃(Nelumbo nucifera)은 수련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뿌리가 옆으로 길게 뻗으며 원주형이고 마디가 많으며 가을철에 끝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근경(根莖)에서 나와 물위에 높이 솟고 원형에 가까우며 백녹색이고, 엽맥이 사방으로 퍼지며 지름 40㎝ 정도로서 물에 잘 젖지 않는다. 엽병(葉柄)은 원주형이며 짧은 가시 같은 돌기가 있다. 꽃은 7, 8월에 피고 지름 15~20㎝로서 연한 홍색 또는 백색이며, 화경은 엽병처럼 가시가 있고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일찍 떨어지고 꽃잎은 길이 8~12㎝, 너비 3~7㎝로서 도란형 둔두이며 화탁은 크고 해면질이며, 길이와 지름이 각각 10㎝로서 표면이 평탄하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길이 2㎝ 정도로서 먹을 수 있다.
속리산은 연꽃의 주요 분포지 중 하나로, 1만6천㎡의 넓이에 약 4천여 송이의 연꽃이 단지를 이루고 있어 그 풍광과 향취가 유명하여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afolia)는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옆교목으로서, 가지는 적갈색이고 작은 피목(皮目)이 산재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난상 긴 타원형이고, 길이 7~12 ㎝, 너비 3~5 ㎝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털이 없거나 엽액 근처에 털이 있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뚜렷하지 않은 파상의 톱니가 있다. 6월에 황색이 도는 양성화가 피며 열매는 타원형으로 8월에 붉게 성숙한다. 높이 15 m, 지름 40 ㎝까지 자라며, 수평적으로는 충청북도 속리산, 화양동계곡, 경상북도 주왕산 등에 자란다. 수직적으로는 높이 400 m 이하의 계곡변에 자생한다.
속리산은 망개나무의 주요 분포지 중 하나로, 토심이 깊고 물기가 있는 토양을 가지고 있어 망개나무가 번식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금강송 또는 강송이라고도 하는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for. erecta Uyeki)는 소나무의 한 품종으로, 줄기가 곧바르고 마디가 길며 껍질이 붉은 특징이 있다. 수고 35m, 직경 1.8m까지 자라고, 잎은 2개씩 모여나며 길이는 8~9㎝, 넓이 1.5㎜이다. 꽃은 암수 따로 피는 자웅이가화이나 자웅일가화인것도 있으며, 수꽃 이삭은 길이 1㎝ 내외 장타원형의 황색이고 암꽃이삭은 난형으로 자색이며 5월에 핀다. 구과는 난상 원추형으로 길이 4.5㎝, 직경 3㎝이며 이듬해 9~10월에 황갈색으로 익는다.
금강송은 태백산맥을 타고 금강산에서 울진, 영덕에 걸쳐 강원도 및 경상북도 북부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설악산은 금강송의 주요 분포지 중 하나로, 특히 설악산의 최고봉인 대청봉과 그 남쪽 점봉산 사이의 오색천(양양 남대천의 지류) 일대의 능선에 금강송이 군락을 형성하고 있다.
눈잣나무(Pinus pumila (pall.) REGEL)는 누운잣나무, 만년송, 혈송이라고도 하며,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높이 4~5m, 지름 15cm 정도이고, 산꼭대기에서는 옆으로 자라지만 평지에서는 곧게 자란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어린 가지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5개씩 달리는데, 3개의 능선과 양면에는 3~4줄의 기공이 늘어서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잎 길이는 3~6cm, 나비 1mm 정도이다. 꽃은 6~7월에 피는데, 수꽃은 10여 개가 새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형이고 자줏빛을 띤 붉은색이다. 암꽃은 2~3개가 새가지 끝에 달리며 달걀 모양이며 자줏빛이다. 열매는 구과로 다음해 9월에 익는다. 빛깔은 녹색에서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고 달걀 모양이다. 길이 3~4.5cm, 나비 3cm 정도이고 20개 안팎의 열매조각으로 구성된다. 종자는 식용하는데, 짙은 갈색의 달걀 모양이며 윗면에 얇은 막이 있다.
눈잣나무는 동북아시아가 주 분포지로,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이 남방한계선이자 유일한 자생지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눈잣나무는 설악산 대청봉 능선의 해발 1500미터 이상 고산지역에서 군락을 형성하며 약 3000주 정도가 자생하고 있다.
제주도는 감귤나무의 주요 분포지로, 제주도의 기후는 감귤나무가 번식하는 데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감귤나무(Citrus unshiu)는 운향과 감귤속에 속하는 것으로서, 높이는 3~5m이고 가지가 퍼지며 가시가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 모양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의 날개는 뚜렷하지 않다. 꽃은 6월에 흰색으로 핀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여러 개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작은 공 모양이고 지름 5~8cm이며 노란빛을 띤 붉은색으로 익는다. 과피가 잘 벗겨지고 가운데 축이 비어 있으며, 열매를 날것으로 먹는다. 한국에서 가장 흔한 재배종으로는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 등 10여 종류가 있다.
구상나무(Abies koreana E.H. Wilson)는 우리나라에만 있는 나무로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의 높은 산에서 살아가는 상록교목으로 20m까지 자라고, 잎의 뒷면이 하얀색이다. 전나무 속의 나무들은 모두가 솔방울이 하늘을 쳐다보며 위로 서는데 구상나무 솔방울도 그렇다.
구상나무는 한라산에 많이 분포해 있는데, 한라산에서 자라는 구상나무는 내륙지방에서 자라는 구상나무와는 형태적으로 상이하다. 한라산의 구상나무는 줄기에 굵은 가지가 촘촘하게 붙어 있으면서 높게 자라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동백동산은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되어 있다. 선흘리 동쪽에 있는 넓은 면적의 상록활엽수 천연림으로, 20여 년생 동백나무 10여만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어 동백동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나 종가시나무, 후박나무, 비쭈기나무 등 난대성 수종이 함께 자란다.
동백나무(Camelia japonica)는 물레나무목 차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겹눈은 선상 긴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잎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고 윤기가 있으며 털이 없다.
제주도에 위치한 물영아리 오름은 2000년에 전국에서 최초로 습지 보전 법에 의한 습지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7년에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물영아리 오름은 조면현무암질 용암을 분출한 화구를 중심으로 스코리아, 스패터, 화산탄 등이 집적되어 형성된 스코리아콘이다. 이곳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 위기종 2급인 물장군과 맹꽁이, 그 밖에 물여귀 등 습지 식물 210종, 47종의 곤충과 8종의 양서류, 파충류 등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오름의 하단부에서 산정부에는 인공림과 자연림이 조성되어 있다.
지리산 음양수샘터는 지리산 세석평원 아래 해발고도 1,450m에 위치한 샘터로, 남부능선과 주능선이 만나는 지점에 있는 위치해 있어 양쪽에서 흘러 들어오는 물줄기가 하나로 만난다. 음양수샘터는 옛부터 지리산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최고의 물이자 신비한 물로 인식되어 왔던 샘으로, 전설에 따르면 자식이 없는 사람들이 음양의 조화로 흘러내리는 이 물을 마시면 아이를 가질 수 있다고 한다. 물길이 흐르는 샘 주변에는 노루오줌, 참조팝나무, 꿩의다리, 물레나물, 철쭉나무 등이 무리 지어 피어 있다.
중산휴양림은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에 위치한 자연휴양림으로서, 해발 650M 위치 14만평 산지 내에 조성되어 있다. 벽소령 계곡의 영호남 분기점에 자리잡고 있으며, 지리산의 거의 모든 물줄기가 모여드는 골짜기로, 지리산 국립공원 천왕봉을 중심으로 백두대간 종주의 출발점이다. 주변 임상은 노거수에 해당하는 원시림 지역이 대부분이며, 해발 750m 아래로는 인공림으로 잣나무, 낙엽송림이 일부 있으며 나머지는 천연 활엽수림이 분포한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높은 기온차로 의한 아름다운 가을 단풍과 겨울 설경을 볼 수 있다. 높은 해발고도 차이에 의해 다양한 수종,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 졸참나무, 서어나무 등의 노거수 등이 사시사철 아름다운 경관을 유지하고 있으며 계곡과 어우러져 수시로 변화를 주는 경관을 지니고 있다.
함안 연꽃 군락지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아라홍련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아라홍련(Nelumbo nucifera Gaertner)은 경남 함안의 성산산성에서 발굴된 연씨로부터 700여 년 만에 발아하여 꽃을 피운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함안연꽃이라고도 한다. 아라홍련은 지금의 여러 연꽃으로 분화되기 이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서 연꽃 계통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라홍련은 고려시대의 불화에서 볼 수 있는 꽃잎이 길고 색깔이 엷은 선홍색 꽃이다. 꽃잎을 오므렸다가 다시 펼칠 때마다 색깔이 점점 엷어져 나중에는 꽃잎 끝에만 진한 선홍색이 남는 것이 특징이다. 꽃잎뿌리의 새하얀 색깔이 꽃잎을 따라 점점 선홍색을 더해가는 데다 긴 꽃잎의 수수하면서도 우아한 형태가 지금의 연꽃과는 비교할 수 없는 고고한 자태를 뽐내고 있다.
상기 향취 성분은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미르센(myrcene), 헵타날(heptanal), 테르피놀렌(terpinolene) 및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으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미르센(myrcene) 및 테르피놀렌(terpinolene)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속리산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미르센(myrc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포함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캄펜(camphene), 파라-시멘(p-cymene), l-멘톨(l-menthole), 보르네올(borneol)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유칼리프톨(eucalyptol), 메틸 헵텐온(methyl heptenone), 메틸 벤조에이트(methyl benzoat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및 티몰(thymol)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옥타날(octanal), l-멘톨(l-menthole), 페네칠 알코올(phenethyl alcohol) 및 벤조페논(benzophenone)으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유칼리프톨(eucalyptol), 데카날(decanal) 및 옥타날(octanal)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파라-시멘(p-cymene), 게라닐아세톤(geranyl acetone) 및 메틸헵테논(methyl heptenone)으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l-멘톨(l-menthol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로 구성된다.
상기 향취 성분은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 성분 중 알러젠 성분을 제외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용매로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이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속리산 연꽃 군락지,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제주 감귤 재배지,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제주 물영아리 오름, 지리산 음양수샘터, 지리산 중산휴양림 또는 함안 연꽃단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추가 성분으로서 알파-펠란드렌(α-phellandrene)을 사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추가 성분으로서 시트랄 다이메틸 아세탈(citral dimethyl acetal),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알릴 헥사노에이트(allyl hexanoate)를 사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추가 성분으로서 시트랄 다이메틸 아세탈(citral dimethyl acetal), 갈락소라이드(galaxolide) 및 알릴 헥사노에이트 (allyl hexanoate)를 사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추가 성분으로서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사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추가 성분으로서 아세트산 이소보르닐(isobornyl acetate)을 사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추가 성분으로서 아세트산 이소보르닐(isobornyl acetate)을 사용하여 향의 재현성을 높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갖도록 개선한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하면서 항스트레스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60~9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5.0~21.0중량%, 베타-피넨 1.0~10.0중량%, 미르센 1.0~8.0중량%, 헵타날 0.03~1.2중량%, 테르피놀렌 0.02~1.0중량% 및 프로피온산 0.01~0.4중량%를 함유하여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5.0~30.0중량%, 캄펜 0.1~5.0중량%, 베타-피넨 3.0~15.0중량%, 미르센 1.0~10.0중량% 및 테르피놀렌 0.1~8.0중량%를 함유하여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10.0~25.0중량%, 캄펜 0.5~1.5중량%, 베타-피넨 5.0~10.0중량%, 미르센 2.0~5.0중량% 및 테르피놀렌 1.0~3.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펠란드렌 0.001~35.0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30.0~80.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펠란드렌 10.0~30.0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35.0~6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속리산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중 향취 성분은 향취 성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45.0~98.5중량%, 미르센(myrcene) 0.1~30.0중량%, 유칼리프톨(eucalyptol) 0.1~15.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5~25.0중량%를 포함하여 속리산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속리산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20.0~9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캄펜(camphene) 0.1~5.0중량%, 파라-시멘(p-cymene) 0.1~3.5중량%, l-멘톨(l-menthole) 0.5~7.0중량%, 보르네올(borneol) 0.05~3.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01~1.5중량%를 함유하여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80~98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유칼리프톨 0.1~15.0중량%, 메틸 헵텐온0.1~30.0중량%, 메틸 벤조에이트 0.1~15.0중량%, 벤질 아세테이트 0.01~12.0중량%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 0.1~12.0중량%를 함유하여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칼리프톨 5.0~15.0중량%, 메틸 헵텐온 15.0~25.0중량%, 메틸 벤조에이트 5.0~15.0중량%, 벤질 아세테이트 4.0~12.0중량%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 4.0~12.0중량%를 함유하여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시트랄 다이메틸 아세탈 0.001~3.0중량%, 갈락소라이드 0.001~3.0중량% 및 알릴 헥사노에이트 0.001~3.0중량%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추가로 더 함유하여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랄 다이메틸 아세탈 0.03~0.1중량%, 갈락소라이드 0.03~0.1중량% 및 알릴 헥사노에이트 0.03~0.1중량%를 추가로 더 함유하여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16.0~99.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40.0~9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알파-피넨 1~30.0중량%, 베타-피넨 0.1~15.0중량%, 파라-시멘 2.0~50.0중량%, 테르피놀렌 0.1~18.0중량% 및 티몰 0.01~5.0중량%를 함유하여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15.0~25.0중량%, 베타-피넨 5.0~10.0중량%, 파라-시멘 35.0~45.0중량%, 테르피놀렌 6.0~15.0중량% 및 티몰 0.01~0.1중량%를 함유하여 설악산 대청봉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시트랄 다이메틸 아세탈 0.001~3.0중량%, 갈락소라이드 0.001~3.0중량% 및 알릴 헥사노에이트 0.001~3.0중량%를 추가로 더 함유하여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트랄 다이메틸 아세탈 0.01~0.1중량%, 갈락소라이드 0.01~0.1중량% 및 알릴 헥사노에이트 0.001~0.1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5.0~9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10.0~50.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옥타날 0.01 ~ 3.0 중량%, l-멘톨 2.0 ~ 20.0 중량%, 페네칠 알코올 1.0 ~ 15.0 중량% 및 벤조페논 0.5 ~ 20.0 중량%를 함유하여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옥타날 0.3 ~ 1.0 중량%, l-멘톨 3.0 ~ 8.0 중량%, 페네칠 알코올 1.0 ~ 3.0 중량% 및 벤조페논 1.0 ~ 2.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아니식 알데하이드 0.001 ~ 5.0 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65.0 ~ 9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니식 알데하이드 0.5 ~ 1.2 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80.0 ~ 92.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1.0 ~ 15.0 중량%, 벤질아세테이트 0.1 ~ 8.0 중량%, 유칼리프톨 0.1 ~ 5.0 중량%, 데카날 0.1 ~ 5.0 중량% 및 옥타날 0.1 ~ 5.0 중량%를 함유하여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1.0 ~ 3.0 중량%, 벤질아세테이트 0.4 ~ 1.2 중량%, 유칼리프톨 0.25 ~ 0.75 중량%, 데카날 0.25 ~ 0.75 중량% 및 옥타날 0.25 ~ 0.7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75.0 ~ 98.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0.0 ~ 9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0.1 ~ 10.0 중량%, 유칼리프톨 0.1 ~ 6.0 중량%, 베타-피넨 0.1 ~ 6.0 중량%, 파라-시멘 0.1 ~ 5.0 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0.1 ~ 5.0 중량%를 함유하여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0.5 ~ 1.5 중량%, 유칼리프톨 0.3 ~ 0.9 중량%, 베타-피넨 0.25 ~ 0.8 중량%, 파라-시멘 0.25 ~ 0.75 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0.25 ~ 0.7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도 동백동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아세트산이소보르닐 0.001 ~ 3.0 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75.0 ~ 99.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이소보르닐 0.03 ~ 0.09 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1.0 ~ 98.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1.0 ~ 20.0 중량%, 유칼리프톨 0.1 ~ 10.0 중량%, 파라-시멘 0.1 ~ 10.0 중량%, 게라닐아세톤 0.01 ~ 1.0 중량% 및 메틸헵테논 0.1 ~ 4.0 중량%를 함유하여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1.5 ~ 5.0 중량%, 유칼리프톨 1.0 ~ 2.0 중량%, 파라-시멘 0.5 ~ 1.5 중량%, 게라닐아세톤 0.02 ~ 0.08 중량% 및 메틸헵테논 0.3 ~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아세트산이소보르닐 0.001 ~ 1.0 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60.0 ~ 98.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이소보르닐 0.02 ~ 0.07 중량% 및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5.0 ~ 95.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1.5~40.0중량%, 캄펜 0.1~15.0중량%, 베타-피넨 0.1~15.0중량%, 파라-시멘 0.1~12.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0.1~20.0중량%를 함유하여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20.0~40.0중량%, 캄펜 3.0~10.0중량%, 베타-피넨 3.0~10.0중량%, 파라-시멘 2.0~7.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4.0~12.0중량%를 함유하여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를 25.0~9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를 30.0~60.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알파-피넨 1.0~20.0중량%, 캄펜 1.0~15.0중량%, 베타-피넨 1.0~30.0중량%, l-멘톨 0.1~10.0중량%, 벤질 아세테이트 0.1~8.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0.1~10.0중량%를 함유하여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5.0~15.0중량%, 캄펜 5.0~15.0중량%, 베타-피넨 10.0~30.0중량%, l-멘톨 3.0~7.0중량%, 벤질 아세테이트 2.0~6.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3.0~8.0중량%를 함유하여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30.0~9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30.0~65.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은 알파-피넨 0.5~30.0중량%, 베타-피넨 0.5~30.0중량%, 디메틸 히드로퀴논 0.1~10.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0.1~20.0중량%를 함유하여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향취 유사성이 낮아지며, 항스트레스성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파-피넨 0.5~10.0중량%, 베타-피넨 0.5~10.0중량%, 디메틸 히드로퀴논 0.1~5.0중량%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 0.1~7.0중량%를 함유하여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함안 연꽃 군락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집중 또는 이완용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10.0~98.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를 60.0~98.0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로 혼합된 향료 조성물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생활용품, 화장료 조성물, 방향제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구강용 조성물 등에 적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에센스, 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핸드 크림, 풋 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헤어크림,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스타일링젤, 입욕제, 액체 세안제, 비누 또는 샴푸 등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향수, 방향제, 소취제, 디퓨저 또는 아로마캔들 등의 방향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가글액, 치약, 치실,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청결용 물휴지 등의 구강용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들은 물성 개선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색소, 살균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보습제, 점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로 제공 시 일부 향취 성분 및 추가 성분에 대하여 구강용으로 허용된 성분으로 대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은 지역 공간향을 재현하는 동시에, 집중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며, 긴장 및 불안 완화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은 정신적인 피로 회복을 시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질병이나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공간향 향취 성분 분석
본 발명에서는 지역의 공간향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다이나믹 헤드스페이스(dynamic headspace)법을 사용하였다.
공간향 성분 포집을 위하여 미니펌프와 TENAX 충진관을 사용하였다. 포집 도구는 특정지역의 향기적 특징이 가장 잘 나는 공간에 설치하였으며, 1 L/min의 유량으로 3시간 이상 진행하여 공간향 성분을 TENAX 충진관에 포집하였다. 포집된 공기 내 공간향 성분의 동정을 위하여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를 사용하였으며,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되었다.
GC Model Agilent 6890N
Inlet Temp. 250
Split mode Splitless
Cryo-focus Initial -90
Ramp1 90 /min to 180 ℃
Final 180
Column TC-WAX: 60 m-0.25 ㎜-0.25 ㎛
Oven temp. program Initial 40 (0 min)
Ramp1 3 /min to 230 ℃
Final 30 min
Carrier gas flow Helium-1.0 ㎖/min
MSD Model Agilent 5973N
Transfer line 280
Quad 150
Ion source 230
각 지역의 공간향 성분이 하기와 같이 분석되었으며, 하기 표의 조성에 따라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10.126
베타-피넨(β-Pinene) 4.733
미르센(Myrcene) 3.924
헵타날(Heptanal) 0.571
테르피놀렌(Terpinolene) 0.290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0.231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0.125
총합계 100.000
실시예 2.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11.308
캄펜(camphene) 0.540
베타-피넨(β-pinene) 4.597
미르센(myrcene) 3.212
테르피놀렌(terpinolene) 0.184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0.159
총합계 100.000
실시예 3. 속리산 연꽃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80.878
미르센(Myrcene) 0.419
유칼리프톨(Eucalyptol) 0.305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473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7.925
총합계 100.000
실시예 4.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캄펜(Camphene) 3.534
파라-시멘(p-Cymene) 1.453
l-멘톨(l-Menthole) 0.733
보르네올(Borneol) 0.599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297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3.384
총합계 100.000
실시예 5.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유칼리프톨(eucalyptol) 0.105
메틸 헵텐온(methyl heptenone) 0.186
메틸 벤조에이트(methyl benzoate) 0.122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072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 0.180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9.335
총합계 100.000
실시예 6.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1.408
베타-피넨(β-pinene) 0.740
파라-시멘(p-cymene) 2.280
테르피놀렌(terpinolene) 0.704
티몰(thymol) 0.078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4.790
총합계 100.000
실시예 7. 제주 감귤 재배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옥타날(octanal) 1.837
l-멘톨(l-menthole) 7.889
페네칠 알코올(phenethyl alcohol) 2.585
벤조페논(benzophenone) 17.521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70.168
총합계 100.000
실시예 8.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7.240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1.418
데카날(decanal) 1.201
유칼리프톨(eucalyptol) 1.176
옥타날(octanal) 0.983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87.982
총합계 100.000
실시예 9.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1.253
유칼리프톨(eucalyptol) 0.116
베타-피넨(β-pinene) 0.483
파라-시멘(p-cymene) 0.665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651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6.832
총합계 100.000
실시예 10. 제주 물영아리 오름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6.375
유칼리프톨(eucalyptol) 0.213
파라-시멘(p-cymene) 1.419
게라닐아세톤(geranyl acetone) 0.213
메틸헵테논(methyl heptenone) 0.168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1.542
총합계 100.000
실시예 11. 지리산 음양수샘터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2.464
캄펜(camphenee) 0.405
베타-피넨(β-pinene) 0.343
파라-시멘(p-cymene) 0.382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539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5.867
총합계 100.000
실시예 12. 지리산 중산휴양림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1.374
캄펜(camphene) 1.750
베타-피넨(β-pinene) 2.163
l-멘톨(l-menthole) 0.604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0.234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705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3.170
총합계 100.000
실시예 13. 함안 연꽃단지 공간향 성분 분석 및 향료 조성물 제조
구분 함량(중량%)
성분명 알파-피넨(α-pinene) 1.423
베타-피넨(β-pinene) 1.478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0.424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 0.702
용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95.973
총합계 100.000
실험예 2. 지역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 활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13에서 제조된 지역 공간향 항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중추신경계의 뇌파(EEG) 분석으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하였다.
1. 피험자
건강하고 현재 약물 복용을 하지 않으며, 후각 기능에 장애가 없으며 특정 향에 대한 민감 반응(알레르기 등)이 없는 20~50세의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전 후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주, 카페인 및 약물 등의 섭취와 향수, 화장품 등의 제품 사용을 삼가도록 하였으며, 향을 맡지 않은 상태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2. 실험 시료
실시예 1 내지 13에서 제조된 지역 공간향 항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으며, 향을 맡지 않은 상태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3. 실험 조건
실험 장소는 공기의 이동이 없고 직사광선이 없는 항온항습(20~24 ℃, 40~60 % RH)의 공간이 선택되었고, 피험자는 하나의 조건에 대한 실험 후, 향에 대한 순응 및 피로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충분히 쉬도록 하였으며, 실험실 내부를 완전히 환기시킨 후 다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4. 실험 방법
실험 전 뇌파측정용 헤드셋(Mindwave Mobile, 미국)을 사용설명서에 따라 장착한 뒤 5분간 안정을 취하게 하였고, 안정을 취한 후 5분간 피험자의 안정 상태에서의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다시 1분간 안정을 취한 뒤 각 향료 조성물 20㎕을 떨어뜨린 시향지를 코 밑 1㎝ 거리에 두고 5분간 향료 조성물의 자극 상태의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뇌파는 집중력, 이완력, 눈 깜빡임 등의 신호를 읽어내어 무선 통신을 통해 응용시스템에 전송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5. 분석 방법
5-1. 전송된 데이터는 Research Tools(Neurosky, 미국) 소프트웨어를 통해 분석하였고, 집중 또는 이완도(0~100 %, 분해능(resolution) 1 %)를 자극 전후에 정량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뇌파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또한,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안정 상태 및 향료 조성물의 자극 후 수집된 180개(초당 1개)의 값을 선택하여 그 평균값을 분석 데이터로서 사용하였으며, 개별 향료 조성물의 자극 후 뇌파 상승 변동에 대한 유의차 검증을 위해, 안정상태의 전체 평균과 향료 조성물 자극 후의 전체 평균을 비교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사용된 향료 조성물 자극 후의 집중 또는 이완도 수치의 증가율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5-2. 향료 조성물 자극 전 대비 자극 후 측정값이 증가된 피험자의 비율 평가는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얻었다.
Figure pat00002
지역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집중력 향상 또는 긴장 및 불안관련 이완 수치 및 이의 증가율)는 다음과 같다.
실험예 2-1.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1-1 36.12 45.99 27.32
실시예 1-2 51.04 57.08 11.85
실시예 1-3 48.17 53.80 11.69
실시예 1-4 44.48 49.03 10.24
실시예 1-5 38.95 45.15 15.92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2.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2-1 46.68 51.44 10.19
실시예 2-2 32.55 36.85 13.22
실시예 2-3 43.74 47.30 8.15
실시예 2-4 38.12 41.38 8.56
실시예 2-5 44.23 48.14 8.83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백두산 미인송 군락지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3. 속리산 연꽃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3-1 34.23 38.77 13.26
실시예 3-2 45.01 49.11 9.09
실시예 3-3 47.13 51.23 8.69
실시예 3-4 38.30 40.16 4.85
실시예 3-5 49.18 53.56 8.92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속리산 연꽃 군락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4.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4-1 57.17 69.41 21.41
실시예 4-2 53.52 63.36 18.39
실시예 4-3 42.72 50.19 17.49
실시예 4-4 51.64 60.57 17.29
실시예 4-5 46.17 54.91 18.95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5.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5-1 37.65 39.31 4.41
실시예 5-2 29.68 31.75 6.97
실시예 5-3 32.94 34.47 4.64
실시예 5-4 42.05 44.18 5.07
실시예 5-5 32.17 34.85 8.33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설악산 금강송 군락지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6.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6-1 45.32 47.46 4.71
실시예 6-2 51.13 55.03 7.61
실시예 6-3 34.05 36.97 8.59
실시예 6-4 48.65 51.40 5.65
실시예 6-5 39.10 42.38 8.40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설악산 눈잣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7. 제주 감귤 재배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7-1 38.11 43.38 13.81
실시예 7-2 42.98 47.70 10.99
실시예 7-3 35.10 42.36 20.68
실시예 7-4 52.62 60.13 14.28
실시예 7-5 50.37 57.67 14.49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제주 감귤 재배지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8.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8-1 40.86 42.15 3.16
실시예 8-2 28.66 30.75 7.29
실시예 8-3 40.57 42.50 4.76
실시예 8-4 39.34 41.06 4.37
실시예 8-5 29.31 30.54 4.20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제주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9.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9-1 37.08 39.80 7.34
실시예 9-2 39.11 40.15 2.66
실시예 9-3 36.58 38.61 5.55
실시예 9-4 31.77 34.02 7.08
실시예 9-5 39.33 42.05 6.92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제주 동백동산 군락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0. 제주 물영아리 오름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10-1 37.61 39.33 4.57
실시예 10-2 35.74 37.81 5.79
실시예 10-3 43.68 45.98 5.27
실시예 10-4 41.98 44.01 4.84
실시예 10-5 43.57 45.98 5.53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제주 물영아리 오름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1. 지리산 음양수샘터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11-1 34.67 36.46 5.16
실시예 11-2 35.69 39.18 9.78
실시예 11-3 41.15 43.19 4.96
실시예 11-4 37.19 40.05 7.69
실시예 11-5 34.57 36.07 4.34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지리산 중산휴양림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2. 지리산 중산휴양림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7-1 36.71 38.32 4.38
실시예 7-2 42.94 47.10 9.70
실시예 7-3 36.19 41.66 15.11
실시예 7-4 37.07 40.07 8.09
실시예 7-5 45.20 47.02 4.03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지리산 중산휴양림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3. 함안 연꽃단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13-1 35.40 37.02 4.58
실시예 13-2 37.51 40.52 8.02
실시예 13-3 42.85 44.03 2.75
실시예 13-4 32.74 35.44 8.25
실시예 13-5 40.06 42.15 5.22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함안 연꽃단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4. 추가 향취 성분 A가 포함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14-1 63.91 67.46 5.56
실시예 14-2 52.15 65.81 26.19
실시예 14-3 41.80 57.34 37.16
실시예 14-4 54.03 57.30 6.05
실시예 14-5 38.84 48.10 23.84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추가 향취 성분 A가 포함된 백두산 들쭉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5. 추가 향취 성분 B가 포함된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이완수치 증가율
실시예 15-1 53.33 62.91 17.96
실시예 15-2 70.43 72.39 2.78
실시예 15-3 42.03 56.60 34.67
실시예 15-4 55.39 62.63 13.07
실시예 15-5 42.93 50.38 17.35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추가 향취 성분 B가 포함된 속리산 망개나무 군락지 공간향의 이완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실험예 2-16. 추가 향취 성분 C가 포함된 제주 감귤나무 재배지 공간향에 대한 항스트레스성 활성 평가
평가대상 안정상태 향 자극 후 집중수치 증가율
실시예 16-1 32.98 40.57 23.01
실시예 16-2 46.41 51.15 10.21
실시예 16-3 41.46 51.53 24.29
실시예 16-4 45.25 49.70 9.83
실시예 16-5 38.94 48.75 25.19
※ 단위: %
뇌파 분석 결과, 추가 향취 성분 C가 포함된 제주 감귤나무 재배지 공간향의 집중수치는 시험향 자극 전 안정상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Claims (13)

  1.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미르센(myrcene), 헵타날(heptanal), 테르피놀렌(terpinolene) 및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을 함유한 백두산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2. 알파-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미르센(myrcene) 및 테르피놀렌(terpinolene)을 함유한 백두산 미인송(Pinus syluestriformis)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3.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미르센(myrc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함유한 속리산 연꽃 군락지(Nelumbo nucifera)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4. 캄펜(camphene), 파라-시멘(p-cymene), l-멘톨(l-menthol), 보르네올(borneol)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함유한 속리산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aefolia)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5. 유칼리프톨(eucalyptol), 메틸 헵텐온(methyl heptenone), 메틸 벤조에이트(methyl benzoat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및 메틸 살리실레이트(methyl salicylate)를 함유한 설악산 금강송(Pinus densiflora)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6.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및 티몰(thymol)를 함유한 설악산 눈잣나무(Pinus pumila)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7. 옥타날(octanal), l-멘톨(l-menthole), 페네칠 알코올(phenethyl alcohol) 및 벤조페논(benzophenone)을 함유한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8. 알파-피넨(α-pinen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유칼리프톨(eucalyptol), 데카날(decanal) 및 옥타날(octanal)을 함유한 한라산 구상나무(Abies koreana)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9. 알파-피넨(α-pi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함유한 제주도 동백나무(Camelia japonica)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10. 알파-피넨(α-pinene), 유칼리프톨(eucalyptol), 파라-시멘(p-cymene), 게라닐 아세톤(geranyl acetone) 및 메틸헵테논(methyl heptenone)을 함유한 제주도 물영아리 오름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11. 알파-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파라-시멘(pcymen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함유한 지리산 음양수샘터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12. 알파-피넨(α-pinene), 캄펜(camphene), 베타-피넨(β-pinene), l-멘톨(lmenthole), 벤질 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aldehyde)를 함유한 지리산 중산휴양림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13. 알파-피넨(α-pinene), 베타-피넨(β-pinene), 디메틸 히드로퀴논(dimethyl hydroquinone) 및 아니식 알데하이드(anisic aldehyde)를 함유한 함안 연꽃(Nelumbo Nucifera) 군락지의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KR1020180021414A 2018-02-22 2018-02-22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KR20190101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414A KR20190101264A (ko) 2018-02-22 2018-02-22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414A KR20190101264A (ko) 2018-02-22 2018-02-22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1264A true KR20190101264A (ko) 2019-08-30

Family

ID=6777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414A KR20190101264A (ko) 2018-02-22 2018-02-22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1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209B1 (ko) * 2019-11-07 2020-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조산 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209B1 (ko) * 2019-11-07 2020-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조산 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91356A1 (ko) * 2019-11-07 2021-05-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벤조산 메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1264A (ko) 지역 공간향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성 향료 조성물
KR20070070659A (ko) 피부노화 방지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1206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30992A (ko) 치자꽃생체추출물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117436A (ko)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KR102060958B1 (ko)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WI656886B (zh) 具有似某地空間氣味之香味的香水組成物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1843166B1 (ko) 제주도 감귤 재배지의 공간향을 재현한 향료 조성물
Bhuyan et al. Ethnobotanical studies on Khamba and Adi tribes of Tuting area, Upper Siang district, Arunachal Pradesh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101810227B1 (ko) 석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959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277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조성물
Manolova Natural pharmacy
KR102598690B1 (ko)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가지 장아찌 및 이의 제조방법
RU2786433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кож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