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436A -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 Google Patents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436A
KR20150117436A KR1020140042892A KR20140042892A KR20150117436A KR 20150117436 A KR20150117436 A KR 20150117436A KR 1020140042892 A KR1020140042892 A KR 1020140042892A KR 20140042892 A KR20140042892 A KR 20140042892A KR 20150117436 A KR20150117436 A KR 2015011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liquid composition
refreshing feeling
percen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565B1 (ko
Inventor
이수현
이준엽
Original Assignee
탱커즈 주식회사
이준엽
주식회사 모나리자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탱커즈 주식회사, 이준엽, 주식회사 모나리자,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filed Critical 탱커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565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 에탄올(ethanol), 멘톨(menthol) 및 트레할로스(trehalos)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및 물티슈 원단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시 폭발적인 상쾌함 및 청량감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종류의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을 통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분해 및 클렌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Water tissue having the freshness}
본 발명은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산뜻한 청량감을 줄 수 있는 액상 조성물, 특히 멘톨, 에탄올 및 트레할로스, 그리고 선택적으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한 편백나무 가루를 물티슈 원단에 함침 시킴으로써, 야외 활동 또는 체육 활동 등과 같이 땀을 많이 흘리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이용하여 피부를 닦는 경우 폭발적인 상쾌함, 청량감 및 쿨링감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을 통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분해 및 클렌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할로존(Halozone)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에 유해한 균이 배양되지 않고 사멸되는 강력한 방부력을 가진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펄프재 혹은 부직포와 같은 물티슈 원단에 다양한 종류의 액상 조성물이 흡수되어 형성되는 일회용 물수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성인의 경우 손이나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용도 혹은 야외 활동, 체육 활동 등을 통해 땀을 흘리는 경우 땀을 닦아내면서 수분의 기화에 따른 체온 저하를 유도하여 상쾌함 및 청량감을 느끼기 위한 용도로 많이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물티슈는 피부에 직접적으로 문질러서 사용하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고, 또한 피부에 잔재하는 이물질 또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제거가 용이하며 향균성이 뛰어나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쾌함 및 청량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액상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이 상쾌함 및 청량감을 가지는 성분들로 구성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의 물티슈는 청량감 부여를 위해 멘틸 락테이트(menthyl lactate) 및 에탄올을 사용하였지만, 멘틸 락테이트 및 에탄올 만으로는 폭발적인 상쾌함 및 청량감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과, 에탄올의 특성상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상쾌함 및 청량감을 오래동안 지속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물티슈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산뜻한 청량감을 줄 수 있는 액상 조성물, 특히 멘톨, 에탄올 및 트레할로스, 그리고 선택적으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한 편백나무 가루를 물티슈 원단에 함침 시킴으로써, 야외 활동 또는 체육 활동 등과 같이 땀을 많이 흘리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이용하여 피부를 닦는 경우 폭발적인 상쾌함 및 청량감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고, 또한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을 통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분해 및 클렌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할로존(Halozone)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에 유해한 균이 배양되지 않고 사멸되는 강력한 방부력을 가진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한국공개특허 특1998-0008247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산뜻한 청량감을 줄 수 있는 액상 조성물, 특히 멘톨, 에탄올 및 트레할로스, 그리고 선택적으로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한 편백나무 가루를 물티슈 원단에 함침 시킴으로써, 야외 활동 또는 체육 활동 등과 같이 땀을 많이 흘리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이용하여 피부를 닦는 경우 폭발적인 상쾌함 및 청량감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을 통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분해 및 클렌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할로존(Halozone)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에 유해한 균이 배양되지 않고 사멸되는 강력한 방부력을 가진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는 정제수, 에탄올(ethanol), 멘톨(menthol) 및 트레할로스(trehalos)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및 물티슈 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상기 물티슈 원단에 함침(impregnation)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물티슈 원단은 액상 조성물을 쉽게 흡수할 수 있는 흡습률(moisture absorptivity)이 높은 원단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물티슈 원단에 대한 상기 액상 조성물의 흡습률(moisture absorptivity)은 70 내지 80 퍼센트(%) 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물티슈 원단에 대한 상기 액상 조성물의 흡습률이 70 내지 80 퍼센트(%)라 함은 건조 상태의 물티슈 원단의 전체 면적(예를 들어, 19cm x 20cm 등)의 70 내지 80 퍼센트(%)의 면적을 상기 액상 조성물을 통해 함침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액상 조성물의 흡습률이 70 퍼센트(%)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소프트(soft) 한 타입으로서, 피부를 닦아낼 경우 상쾌함, 쿨링감 및 청량감이 다소 낮은 저자극성의 물티슈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액상 조성물의 흡습률이 80 퍼센트(%)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하드(hard) 한 타입으로서, 피부를 닦아낼 경우 상쾌함, 쿨링감 및 청량감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다소 높은 자극성의 물티슈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다소 화한 느낌을 느낄 수 있으며, 이때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화한 느낌이 배가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정제수는 상수를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정제한 물을 의미하며, 주로 용제 혹은 피부 컨디셔닝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정제수의 중량 퍼센트(%)는 72.644 내지 88.787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715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탄올(ethanol)은 사술모양의 탄화수소 중 탄소의 수가 2개인 에테인에서 수소 원자 하나가 하이드록시기로 치환된 알코올이며, 휘발성과 가연성을 가진 무색 액체이다. 또한 에틸알코올이라고도 하며 술의 주성분이라고 하여 주정으로도 불린다. 분자식은 C2H5OH이며, 사슬모양 탄화수소는 지방족 탄화수소라고도 하며 탄소의 수에 따라 붙여지는 이름도 달라진다.
이러한 에탄올은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중 탄소 원자가 두 개인 에테인(C2H6)에 수소 원자가 하이드록시기(-OH)로 치환된 화합물로 지방족 탄화수소 유도체이다. 이러한 에탄올은 무색이고 독특한 향기가 나는 액체로 녹는점은 -114도, 끓는점은 78도, 비중은 0.7893이며 마취성이 있다.
또한, 알코올은 분자 사이에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어 같은 탄소 수의 에테인의 끓는점이 -89도인 것에 비하면, 에탄올의 끓는점은 월등히 높으며 작용기로 하이드록시기를 갖는 알코올은 매우 안정적인 화합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의 작용기인 하이드록시기는 이온화하지 않으므로 알코올은 중성물질이다.
이러한 에탄올은 다른 알코올, 에테르, 클로로폼 등 유기용매나 물과 임의의 비율로 섞인다. 물과의 혼합물을 증류해도 순수한 에탄올은 생기지 않으며, 에탄올 96.0 퍼센트(%), 물 4.0 퍼센트(%)의 공비혼합물이 증류된다.
또한, 이러한 에탄올은 연소하기 쉬우며, 점화하면 빛깔이 없는 불꽃을 내며 탄다. 증기에 인화하면 폭발할 수 있으며, 산화하면 아세트알데하이드를 거쳐 아세트산이 된다. 그리고 단백질을 응고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살균작용이 있다. 이때, 살균력은 70 퍼센트(%) 수용액이 최대이고, 60 퍼센트(%) 이하 및 80 퍼센트(%) 이상에서는 소독 및 살균력이 거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천연으로는 카보닐산의 에스터의 형태로 존재하며, 유리 상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이러한 에탄올은 예로부터 효모에 의해서 당분을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원료가 되는 당밀 등의 가격이 비싸진 데다가 원료의 절반이 이산화탄소로 되어 낭비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점차 합성법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다만, 알코올 음료는 현재도 거의 발효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에탄올의 합성법으로서는 에틸렌을 황산에 흡수시켜 얻은 황산에스터를 가수분해하여 에테르와 함께 얻는 황산가수법이 행하여지고 있는데, 이 공정에서는 원료인 에틸렌의 90 퍼센트(%)를 에테르와 함께 얻을 수 있어 수득률이 좋다. 하지만 대량의 황산을 농축하여 순환시키므로 대규모의 설비를 필요로 한다. 이 밖에 아이오딘합성법에 의한 합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에탄올은 주로 주류로서 음용으로도 제공되며, 청주는 15 내지 16 퍼센트(%), 맥주는 3 내지 4 퍼센트(%), 위스키나 브랜디 등 증류주는 35 내지 55 퍼센트(%)의 에탄올을 함유한다.
또한, 에탄올은 용제나 합성원료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에테르, 클로로폼, 아이오딘폼,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하이드, 염화에틸 등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의학용으로 팅크제, 주정제로 사용되는 외에 분석시약으로도 사용된다. 이때, 공업용 알코올로는 독성이 강한 메탄올을 소량 가한 변성알코올을 사용하며, 음료로는 금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에탄올의 중량 퍼센트(%)는 8 내지 12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에탄올의 중량 퍼센트(%)가 8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에탄올의 기화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12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에탄올 특유의 강한 향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8 내지 12 중량 퍼센트(%)의 에탄올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멘톨(menthol)은 박하뇌라고도 하며, 화학식은 C10H20, 분자량은 156.27, 녹는점은 41.6도, 비중은 0.890(15도)이다. 이러한 멘톨은 천연으로는 자회전성인 L-멘톨이 박하유의 주성분으로서 존재한다. 멘톨은 독특한 상쾌감이 있는 냄새가 나는 무색의 바늘 모양 결정으로서, 물에는 거의 녹지 않으나 에탄올, 에테르, 클로로폼에는 잘 녹는다.
이러한 멘톨은 박하의 잎이나 줄기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을 수 있고, 멘톤, 프레곤, 피페리톤, 티몰 및 아이소프레골 등의 케톤기 또는 이중결합에 물을 첨가하면 용이하게 합성된다. 종래의 합성 멘톨은 이성질체의 혼합물인 경우가 많아, 녹는점이나 향기면에서 천연의 박하보다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정제법이 발달하여 천연품 못지 않은 합성 L-멘톨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멘톨은 다량을 입에 넣으면 혀를 찌르는 듯한 느낌을 느낄 수 있으나, 소량일 때에는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의약품, 과자, 화장품 등에 첨가하며, 진통제나 가려움증 등을 멈추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L-멘톨 외에 D-멘톨, DL-멘톨도 알려져 있으나, 천연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DL체는 녹는점이 35 내지 36도이며, 티몰을 환원하면 생기고 D체는 DL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멘톨의 중량 퍼센트(%)는 1.316 내지 1.974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645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멘톨의 중량 퍼센트(%)가 1.316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멘톨 특유의 상쾌한 향 및 청량감이 저하될 수 있고, 1.974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멘톨 특유의 상쾌한 향 및 청량감이 강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1.316 내지 1.974 중량 퍼센트(%)의 멘톨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멘톨은 사용자의 피부에서 느껴지는 청량감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약 20 내지 40분 가량 청량감이 지속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바람을 쐬는 경우 더욱 효과적으로 상쾌함, 쿨링감 및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트레할로스(trehalos)는 세포막을 보호하여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생물부터 식물, 곤충까지 넓게 자연계에 존재하는 당질의 한 종류이고 이함수의 정구조를 가진 비환원성 당류이다.
이러한 트레할로스는 전분의 노화억제, 단백질의 변성억제, 지질의 분해억제 등 생체의 3대 영양소에 대한 변성억제기능을 발휘하는 당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백설기의 물성측정 결과에서 경도는 트레할로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저장 3일까지 경도는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트레할로스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는 폭이 낮았다.
또한, 트레할로스와 세라마이드 성분은 피부를 진정시켜 매끄럽고 투명한 피부로 가꾸어준다. 선인장 안에는 트레할로스의 한 종류인 이당류가 많이 들어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트레할로스의 중량 퍼센트(%)는 0.956 내지 1.434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95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편백가루(Cupressus funebris powder)는 겉씨식물인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 학명은 Chamaecyparis obtuse인 편백나무를 갈아서 만든 가루이다.
편백나무는 일본에서는 히노끼, 중국에서는 향백나무로 불리며 노송나무라고도 하는데, 피톤치드 성분을 가장 많이 내 뿜거나 분비하는 수종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편백나무는 높이가 40m 지름은 2m에 달하며, 가지는 수평으로 펴져서 원뿔형의 수관을 하고 있고, 수피는 적갈색이며 섬유성이고 세롤 얇게 벗겨진다. 또한 잎은 마주나고 두꺼우며, 길이는 1 내지 1.5 mm로 비늘같이 작고 뒷면의 기공조선은 Y자형이다. 또한, 잎 표면에는 1개의 선이 있으며 뒷면에는 흰점이 있다. 또한 열매는 구과로 둥글고 지름은 10 내지 12 mm이며 홍갈색이고 8개 내외의 실편으로 구성되며, 각 실편에 종자가 2개씩 들어 있다. 종자의 길이는 3 mm 정도이고, 2개의 지낭이 있으며 좁은 날개가 있다.
이러한 편백나무는 일본 특산종이며, 재질이 좋으므로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의 조림수종으로 재배할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에 함유된 피톤치드 성분은 심리적인 안정을 주고, 말초 혈관을 단련시키며, 심폐기능을 강화시키고 기관지 천식과 폐결핵 치료, 심장강화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피부를 소독하는 약리작용도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피톤치드는 강한 살균작용을 하는데, 숲속의 공기를 맑게 만들어 주고 그 공기를 마시면 공기를 통해서 흡입된 피톤치드가 인간의 몸 속에 나쁜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함으로써 인체의 피가 맑아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머리가 상쾌해지는 것은 물론 식욕 또한 왕성해질 수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한 편백나무의 가루는 유해물질 제거효과, 강력한 살균효과, 방부기능 및 소취효과 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를 이용한 히노끼용품으로는 욕조, 족욕기 등이 있는데 히노끼 특유의 향과 효과로 아토피를 가진 사람에게 특히 효과가 좋으며 히노끼 쌀통은 히노끼에서 나오는 수분으로 쌀을 상하지 않고 오래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편백가루의 중량 퍼센트(%)는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8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바실러스(Bacillus) 추출물은 자연적 피부 주기에 따른 각질 연화를 촉진하고, 진피층에 수분막을 형성하며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바실러스 추출물은 높은 피부 치유력 및 세포재생 촉진력을 가지며, 기미 및 주근깨를 완화하고 피부에 자양공급을 할 수 이싸. 뿐만 아니라, 오랜 효능을 지속할 수 있으며, 바실러스 추출물을 발효시키는 경우 피부에 흡수가 잘되고 미생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재생시키는 성분인 아미노산을 만들 수 있으며, 이때 효소는 피부의 죽은 각질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바실러스 추출물의 중량 퍼센트(%)는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8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쌀겨 추출물(rice bran extract)는 현미에서 정백미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과피, 종피, 호분층 등의 분쇄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쌀겨 추출물은 비타민 A를 비롯하여 비타민 B1, B6, 철분, 인, 미네랄 등의 다양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다. 특히, 비타민 B1, B6, E가 함유되어 피부병 개선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가려움증 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쌀겨 추출물에는 피부 세정 작용이 있으며, 지방분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할수록 피부에 윤이 나고 매끄러워질 수 있고, 그리고 쌀겨 추출물은 피부 자극이 적기 때문에 가려움증이 심한 아토피 피부에도 사용가능하며, 기미 및 잔주름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쌀겨 추출물의 중량 퍼센트(%)는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8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콩 추출물(soybean extract)은 천연 다당류를 다량 포함하고 있으며, 손상된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를 재생시키는 효능을 촉진하는 분자 기작을 가지고 있다.
특히, 콩 추출물은 여름의 강한 햇빛에 붉어진 피부와 같은 손상 정도가 심한 피부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콩 추출물은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며 피부에 무해한 천연 보습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도 있다.
한편, 천연 다당류는 인간의 피부가 흡수할 수 있는 분자 사이즈보다 크기 때문에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다당류를 잘게 잘라 주어야 한다.
또한, 콩 추출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경우, 콩 추출물은 그 효능 및 효과를 잃지 않고 피부에 흡수되어 황산화 효과와 항균 효과 및 항염 효과 등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발효된 콩에서 생성되는 점액성 고분자 물질은 우수한 보습력, 높은 피부 침투력 및 발림성, 퍼짐성, 밀착성 및 흡수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콩 추출물의 중량 퍼센트(%)는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8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틀라스시다 껍질 추출물(C. atlantica bark extract)은 소나무과 개잎갈나무속에 속하는 4종의 상록침엽수의 추출물을 의미하며, 이때 아틀라스 시다는 관상욕, 목재용으로 쓰일 수 있고, 3종은 지중해의 산악지대에, 1종은 히말라야 산맥의 서쪽 기슭에서 자라고 있다.
이때, 영어로 시다(cedar)라고 부르는 것 중에서 개잎갈나무(C. deocara), 아틀라스시다(C. atlantica), 레바논시다(C. libani), 사이프러스시다(C. brevifolia)만이 진짜 개잎갈나무속 식물이다. 이들은 모두 교목으로 나무줄기가 두꺼우며, 나무 꼭대기에서 가지들이 수평으로 퍼지고 작은 가지가 밑으로 처져 불규칙한 큰 덩어리 모양을 이룬다. 어린 나무는 진한 회색의 부드러운 수피로 뒤덮이는데, 자라면서 갈색으로 변하고 갈라져 비늘처럼 된다. 바늘 모양의 단단한 잎은 세모지며, 긴 가지에는 드문드문 달리나 짧은 가지에는 끝에 뻑뻑하게 모여 술을 이루어 달린다. 각각의 잎에는 수지구 2개가 있으며, 3 내지 6년 동안 나무에 달려 있다가 떨어진다. 큰 통처럼 생긴 초록색 또는 자주색의 구과에는 송진이 많으며, 짧은 가지 끝에 달리는데, 이 구과는 얇고 단단한 인편들로 빈틈없이 겹쳐져 있으며 이들 인편은 발톱처럼 구과 밖으로 나와 있다.
이러한 아틀라스시다는 송진이 많고 땅속이나 물속에서도 오래 견딘다. 또한 아틀라스시다를 증류하면 방향성 기름이 나오며, 이때 오일은 휘발성을 가지며 향료와 피부 컨디셔닝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아틀라스시다와 개잎갈나무의 많은 변종들은 북아메리카, 특히 태평양 연안과 멕시코 만 연안에서 흔히 관상용으로 심고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아틀라스시다 껍질 추출물의 중량 퍼센트(%)는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8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차전초 추출물(Asian plantain extract)은 질경이과(Plantagi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인 차전초를 추출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차전초는 줄기가 없으며, 타원형의 잎은 뿌리에서 바로 나와 로제트를 이루며 길다란 잎자루가 있다. 잎 가장자리는 약간 주름져 있으며, 뚜렷하지 않은 톱니들이 있다. 차전초의 꽃은 6월 내지 8월경 잎 사이에서 곧게 나온 꽃자루 끝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하얗게 무리를 지어 핀다. 이때 꽃받침과 꽃부리는 모두 4갈래로 갈라지며, 수술은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또한 차전초의 열매는 삭과로 맺히는데, 익으면 중간이 갈라지며 검은색 씨들이 밖으로 튕겨 나간다. 또한 양지바른 길가나 들에서 흔히 자라는 잡초이지만, 봄과 여름에는 어린 순을 캐서 나물로 먹고, 가을에는 씨를 햇볕에 말려 이뇨제, 치열제로 쓰는 차전자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토사곽란에 뿌리를 씹어 먹거나 잎의 즙을 내어 먹으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차전초의 추출물은 점액완화, 해열작용, 용혈작용, 소아 기침 및 만성기관지염에 효과가 있으며, 수분배설과 요소, 염화나트륨, 요산의 배설을 촉진하며 동시에 비뇨기 결석 용해에 도움을 준다. 또한, 항염증 작용 및 위궤양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도 가진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차전초 추출물의 중량 퍼센트(%)는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78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향료(Fragrance Ingredient)는 달콤한 사과향, 후리지아향, 머스크 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절한 조화를 통해 아쿠아틱한 상쾌함을 만들 수 있으며,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향료의 중량 퍼센트(%)는 0.44 내지 0.6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세틸 피리듐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는 4급 암모늄염에 해당하는 대전 방지제이고, 정전기를 방지하는 방지제 역할 및 탈취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세틸 피리듐 클로라이드의 중량 퍼센트(%)는 0.536 내지 0.804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7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이지-40은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뜻하는 단어로서, 다양한 피이지(PEG) 종류들이 지방산, 지방 알코올 등과 섞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이지-40은 계면활성제나 결합제(성분들끼리 섞여있도록 유지하는 것), 안정화제, 완화제 등 화장품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물질을 생산하며, 진주빛의 색상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물질을 생산해 내기 위해서 유독성 가스를 이용한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피이지-40의 중량 퍼센트(%)는 0.4 내지 0.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00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Sodium Dehydroacetate)는 방부제(antiseptic)의 한 종류로서, 주로 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살균보존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액상 조성물 전체 중량 퍼센트(%) 대비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의 중량 퍼센트(%)는 0.66 내지 0.99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825 중량 퍼센트(%)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자극이 없으면서 산뜻한 청량감을 줄 수 있는 액상 조성물, 특히 멘톨, 에탄올 및 피톤치드(Phytoncide) 성분을 함유한 편백나무 가루를 물티슈 원단에 함침 시킴으로써, 야외 활동 또는 체육 활동 등과 같이 땀을 많이 흘리는 사용자가 물티슈를 이용하여 피부를 닦는 경우 사용자에게 폭발적인 상쾌함 및 청량감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을 통해 피부 보습, 피부 진정, 노폐물 분해 및 클렌징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강력한 방부력을 통해 할로존(Halozone)을 생성함으로써 피부에 유해한 균이 배양되지 않고 사멸되기 때문에 항상 멸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포름알데하이드, 납, 카드뮴 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성분들을 배제함으로써 피부 자극 및 피부 유해성 걱정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가루가 가지는 피톤치드 성분을 통해 피부 소독 효과 및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멘톨이 가지는 독특하고 상쾌한 청량감을 통해 피부를 닦고 난 후 상쾌함이 지속되기 때문에, 적도 지방과 같이 항상 고온의 날씨가 유지되는 나라에 사는 사람들 혹은 군인, 스포츠 선수, 야외 활동을 많이 하여 땀을 많이 흘리는 사람들로 하여금 항상 상쾌한 기분을 유지하도록 하여 불쾌지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퍼센트(%)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중량 퍼센트(%)이다.
<제조예 1 : 액상 조성물의 준비 및 성분 분석>
정제수, 에탄올(ethanol), 멘톨(menthol) 및 트레할로스(trehalos)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을 준비 및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에 따라, 액상 조성물의 성분 분석표는 하기 표 1과 같다.
NO NAME Contents
1 정제수 80.715(%)
2 에탄올 10.000(%)
3 멘톨 1.645(%)
4 트레할로스 1.195(%)
5 피이지-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500(%)
6 바실러스, 쌀겨추출물, 콩추출물 발효 여과물 0.780(%)
7 아틀라스시다껍질 추출물 0.780(%)
8 편백가루 0.780(%)
9 구주소나무솔방울 추출물 0.780(%)
10 차전초 추출물 0.780(%)
11 향료 0.550(%)
12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0.670(%)
13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 0.825(%)
Total 100(%)
<제조예 2 : 액상 조성물에 함침된 물티슈 원단을 포함하는 물티슈의 제조>
물티슈 제조 공정에 따라, 물티슈 원단(예를 들어, 부직포 등)에 상기 표 1의 액상 조성물을 함침(impregnation)하고, 이때 물티슈 원단에 대한 상기 액상 조성물의 흡습률(moisture absorptivity)은 70 내지 80 퍼센트(%)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실험예 1 : 액상 조성물의 방부력 측정>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방부력 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방부력 측정 실험이라 함은 시료에 균을 직접 접종하여 균의 감소, 사멸율을 통해 방부력을 판단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때, 접종균주는 세균 3종(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혼합액인 Aspergillus niger이다.
방부력 측정 실험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물티슈 원단 1장을 멸균된 식염수 100ml에 넣어 티슈액을 충분히 용출 시켰다.
그 다음, 세균 3종 혼합액인 Aspergillus niger를 제품에 각각 107 cfu/g(ml), 105 cfu/g(ml)이 되도록 접종하였다.
그 다음, 상기 검체를 일정 기간 경과 후 균의 사멸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때, 균의 사멸여부 확인 방법은 검체에서 1ml를 취해 9ml의 0.9 퍼센트(%) 식염수 용액에 희석하여 단계별로 2중복으로 도말하여 항온배양기에서 배양 후 군락의 수를 계수한 후 희색배수를 곱하여 1ml당 균수로 환산하였다.
또한, 이때 물티슈 원단의 곰팡이에 대한 방부력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판단하였다.
먼저, 세균 3종 혼합액인 Aspergillus niger(농도 104 cfu/g(ml))를 PDA 배지에 streaking하였다.
그 다음, 멸균된 기자재로 자른 적당한 크기의 물티슈샘플을 올려 접속시켰다.
그 다음, 항온배양기에서 배양 후 할로존(Halozone) 생성 여부에 따라 방부력을 평가하였다.
이때, 균 접종 3일 및 7일 후 균의 감소 및 사멸율을 확인하기 위해 평판 배양법을 이용하여 균수를 카운팅 하였다.
또한, 접종균의 농도를 확인하기 위한 컨트롤 배양 결과로 세균혼합액 7.2*107 CFU/mL, 곰팡이(A.niger) 3*105 CFU/mL이 접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균의 경우 접종 7일 차에 사멸한 것으로 접종한 세균 및 곰팡이가 사멸하는 것에 대한 방부력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에 따라,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방부력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제품명 접종균
세균혼합액 곰팡이(A.niger)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3일차 7일차 3일차 7일차
0(사멸) 0(사멸) 300 0(사멸)
<실험예 2 : 액상 조성물의 중금속 검출 여부 측정>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중금속 검출 여부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방법(1)은 자율안전확인안전기준[물휴지(물티슈)] 부속서 49 기술표준원 고시 제 2012-0170호에 근거로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실험에 따라,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중금속 검출 여부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시험항목 단위 기준치 시험방법 시험결과
포름알데하이드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20)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카드뮴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비소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크롬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수은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메탄올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벤젠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톨루엔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자일렌 mg/kg 20 미만 (1) 불검출(검출한계 1)
세균수 mg/kg 100 이하 (1) < 10
진균수 mg/kg 100 이하 (1) < 10
벤즈이소치아졸리논 mg/kg 15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5)
클로로메틸이소치아졸리논 mg/kg 15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15)
메칠이소치아졸리논 mg/kg 1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5)
페녹시에탄올 mg/kg 10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15)
트리틀로산 mg/kg 1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5)
파라벤류 메틸파라벤 mg/kg 4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5)
파라벤류 에틸파라벤 mg/kg 4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5)
파라벤류 프로필파라벤 mg/kg 4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5)
벤조익액씨드 mg/kg 5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20)
벤질알코올 mg/kg 100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20)
벤잘코늄클로라이드 mg/kg 500 이하 (1) 불검출(검출한계 7.5)
형광증백제 - 검출되지 않을 것 (1) 검출안됨
<실험예 3 : 액상 조성물의 인체적용 시험>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인체적용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연구 기관인 (주)엘리드에 피부첩포에 의한 안전성 평가를 의뢰 및 실시하였다.
이때, 평가 기준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제 2013-190호), PCPC(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Safety Testing Guidelines의 규정 및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에서 제시하는 평가 기준을 따랐다.
여기에서, 피부첩포에 의한 안전성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체 건강한 20세 내지 55세의 성인 남녀 30 명을 선정하여 시험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 다음, 시험 대상자의 등 부위에 시료를 첩포(적용)하여 24시간 후 제거하였다.
그 다음, 첩포를 제거한 시험 부위를 30분, 24시간 및 48시간이 경과 후 관찰하였다.
그 다음, PCPC Safety Testing Guidelines 및 ICDRG의 기준에 준하여 자극유무를 판정하였다.
여기에서, 첩포시험(patch test)라 함은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항원을 피부에 부착하여 시행하는 일종의 유발시험으로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의 진단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병력, 병변의 위치 및 발진의 경과 등을 관찰하여 접촉 피부염의 원인물질을 추정할 수 는 있으나, 그 원인물질을 밝히는데 있어 가장 우수한 진단방법은 첩포시험이다.
또한, 국제 접촉피부염연구회(ICDRG)의 평가 기준은 하기 표 4와 같다.
기호 score 피부반응 평가 기준 비고
- 0 무자극
± 0.5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 1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또한, 피부첩포 시험 결과 판정표는 하기 표 5와 같다.
판정(grade) mean score
무자극(1) 0.0 ~ 0.75
미자극(2) 0.76 ~ 1.50
경자극(3) 1.51 ~ 2.50
중자극(4) 2.51 ~ 4.00
강자극(5) 4.01 ~
그리고 이러한 실험에 따라,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피부첩포에 의한 안전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번호 시료명 반응자수 반응도 평균 피부 반응도
30 min 24 hr 48hr
#1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0 0.0 0.0 0.0 0.00
<구체적인 검토>
실험예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방부력 측정 실험 결과, 세균의 경우 접종 7일차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물티슈 원단 위로 곰팡이가 자라지 못하는 할로존(Halozone)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다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는 세균 및 곰팡이에 대한 방부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중금속 검출 여부 실험 결과, 모든 종류의 중금속 및 형광증백제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며 피부 자극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의 피부첩포에 의한 안전성 평가 결과, 첩포 제거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및 48시간 경과 후에서 모든 시험 대상자에게서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평균 피부반응도가 0.00에 해당하므로 무자극 판정으로 판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는 무자극 제품군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정제수, 에탄올(ethanol), 멘톨(menthol) 및 트레할로스(trehalos)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및
    물티슈 원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72.644 내지 88.787 중량 퍼센트(%)의 상기 정제수;
    8 내지 12 중량 퍼센트(%)의 상기 에탄올;
    1.316 내지 1.974 중량 퍼센트(%)의 상기 멘톨; 및
    0.956 내지 1.434 중량 퍼센트(%)의 상기 트레할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 원단에 대한 상기 액상 조성물의 흡습률(moisture absorptivity)은,
    70 내지 80 퍼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편백가루(Cupressus funebris powder), 바실러스(Bacillus), 쌀겨 추출물(rice bran extract), 콩 추출물(soybean extract), 아틀라스시다 껍질 추출물(C. atlantica bark extract),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Scotch pine cone extract) 및 차전초 추출물(Asian plantain extract)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컨디셔닝 조성물은,
    0.624 내지 0.936 중량 퍼센트(%)의 상기 편백가루, 바실러스, 쌀겨 추출물, 콩 추출물, 아틀라스시다 껍질 추출물,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 및 차전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0.44 내지 0.66 중량 퍼센트(%)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향료(Fragrance Ingredi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electrificatio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는,
    0.536 내지 0.804 중량 퍼센트(%)의 세틸 피리듐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0.4 내지 0.6 중량 퍼센트(%)의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포함하는 가용화제(Solubilizing agent);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은,
    0.66 내지 0.99 중량 퍼센트(%)의 소듐데하이드로아세테이트(Sodium Dehydroacetate)를 포함하는 방부제(antisepti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KR1020140042892A 2014-04-10 2014-04-10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KR101650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92A KR101650565B1 (ko) 2014-04-10 2014-04-10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92A KR101650565B1 (ko) 2014-04-10 2014-04-10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36A true KR20150117436A (ko) 2015-10-20
KR101650565B1 KR101650565B1 (ko) 2016-08-23

Family

ID=5439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892A KR101650565B1 (ko) 2014-04-10 2014-04-10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482B1 (ko) * 2020-08-05 2021-01-07 김영운 피톤치드 함유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KR102330789B1 (ko) * 2021-08-18 2021-11-24 주식회사 오젠 쿨티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256B1 (ko) 2019-12-19 2020-02-25 박성희 클린 티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47A (ko) 1996-07-25 1998-04-30 성재갑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일회용 물티슈 제품
KR20020063783A (ko) * 2001-01-30 2002-08-05 인따르시아주식회사 다기능성 물수건의 제조방법
KR20080102323A (ko) * 2005-09-21 2008-11-24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위생 박엽지
KR20130028196A (ko) * 2011-09-09 2013-03-19 주식회사 금황제지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247A (ko) 1996-07-25 1998-04-30 성재갑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는 일회용 물티슈 제품
KR20020063783A (ko) * 2001-01-30 2002-08-05 인따르시아주식회사 다기능성 물수건의 제조방법
KR20080102323A (ko) * 2005-09-21 2008-11-24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위생 박엽지
KR20130028196A (ko) * 2011-09-09 2013-03-19 주식회사 금황제지 복합 기능 항균 세정 물티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482B1 (ko) * 2020-08-05 2021-01-07 김영운 피톤치드 함유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KR102330789B1 (ko) * 2021-08-18 2021-11-24 주식회사 오젠 쿨티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565B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58869B (zh) 一种抑菌湿巾液、湿巾及其制备方法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6333885A (zh) 一种植物提取物及眼部精华液
CN105853260B (zh) 一种尿布皮炎霜及其制备方法
JP2011102245A (ja) モミの木の抽出物
KR101123146B1 (ko)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101650565B1 (ko) 청량감을 갖는 물티슈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Angier Field guide to medicinal wild plants
CN111135209A (zh) 一种具有防疟驱蚊止痒修复的青蒿喷剂及其制备方法
CN108186426B (zh) 一种抑菌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WO2012007670A2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et son utilisation, pour le soin de la peau des hommes jeunes
Valnet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KR101667518B1 (ko) 가습기용 천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0785974B1 (ko) 체취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9086B1 (ko) 초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초피 추출물을 함유한 항충치물질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303A (ko) 음주 후 피부 건조, 피부 트러블 또는 피부 부종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