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018B1 -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018B1
KR101077018B1 KR1020090024495A KR20090024495A KR101077018B1 KR 101077018 B1 KR101077018 B1 KR 101077018B1 KR 1020090024495 A KR1020090024495 A KR 1020090024495A KR 20090024495 A KR20090024495 A KR 20090024495A KR 101077018 B1 KR101077018 B1 KR 10107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cosmetic composition
stres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062A (ko
Inventor
이은주
서형제
전병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9002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018B1/ko
Priority to JP2012501932A priority patent/JP2012521416A/ja
Priority to CN201080021396.8A priority patent/CN102427799B/zh
Priority to US13/257,186 priority patent/US9248320B2/en
Priority to PCT/KR2010/001772 priority patent/WO2010110579A2/en
Publication of KR201001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향료 조성물로서,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및 베르가못 오일을 함유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파인 오일, 레몬 오일, 사이프레스 오일, 로즈 오일 및 아모이즈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향료 조성물은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향료, 스트레스 완화,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에센셜 오일, 헬리크리섬 추출물

Description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stress and Relaxing Effect}
본 발명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및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란 적응하기 어려운 환경에 처할 때 느끼는 심리적/신체적 긴장 상태를 말한다. 스트레스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심장병, 위궤양, 고혈압 따위의 신체적 질환을 일으키기도 하고 불면증, 노이로제, 우울증 따위의 심리적 부적응을 나타내기도 한다. 갈등과 경쟁이 치열한 산업 사회에서는 사회가 구조적 또는 기능적으로 복잡하게 변화함에 따라, 이에 적응해야 하는 현대인들의 대부분은 많은 신체적/심리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다. 적절한 스트레스는 삶의 원동력이 되고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여 주기 때문에 삶의 원기를 북돋아 주는 활력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친 스트레스는 질병을 일으키거나 사망에 이르게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중요한 건강 위험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잘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은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현재 효과가 입증된 스트레스 해소 방법에는, 심리 혹은 정신 치료 요법, 바이오 피드백 요법, 점진적 이완 요법 또는 운동 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외적인 스트레스 요인들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다 할지라도, 개인이 각자의 삶 속에서 끊임없이 찾아오는 각종 스트레스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들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덜 받으며 지낼 수 있게 하는 방법들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방향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장이나 공공장소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향기요법에 적용되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향기 물질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자율신경의 균형성을 유지시켜 질병이나 몸의 부조화를 다스리는 면역기능을 더욱 강화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아로마 요법에 대한 일부 연구에서는, 몇 가지 아로마 오일의 흡입 방법에 따른 전후 주관적 평가를 통해 작업 환경에서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스트레스 완화 효능을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료 조성물은,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및 베르가못 오일을 함유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파인 오일, 레몬 오일, 사이프레스 오일, 로즈 오일 및 아모이즈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제공하며, 이를 미용 및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향료 조성물은,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및 베르가못 오일을 함유하며, 상기 향료 조성물은 파인 오일, 레몬 오일, 사이프레스 오일, 로즈 오일 및 아모이즈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한다.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는 감귤속(Citrus)에 속하는 그레이프프루트 나무의 열매를 지칭하며, 자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또한, 그레이프프루트 오일은 노란색을 띄는 액체로 신선한 향을 가진 시트러스(citrus)계 오일이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삶의 즐거움을 주고 자신감 향상, 스트레스 해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냉압착한 그레이프프루트 오일은 모노테르펜 탄화수소인 리모넨을 주로 함유하는 스트러스계 오일로서, 리모넨(limonene)이 대략 90%을 차지하고 있고, 소량의 미르센(myrcene; 1.5%), 데카놀(decanol; 0.4%) 등을 함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카디넨(cardinene), 파라디시올(paradisiol), 네랄(neral), 스트로넬랄(citronellal) 등을 소량 함유하고 있다.
베르가못(bergamot)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쥐손이풀목 운향과의 상록관목을 지칭하며, 향료(香料)와 정유를 채취하기 위하여 유럽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관상용으로도 심는다. 베르가못 오일은, 베르가못에서 얻어지는 향유를 총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베르가못 오일은 베르가못의 과일껍질에서 얻어지는 향유를 의미하며,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가 약 40% 함유되어 있고, 리날로올(linalool), 리모넨(limone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유성분으로 베르가모틴 및 베르가프틴 등이 있다. 베르가못 오일은 무색의 액체로 신선하고 톡 쏘는 향을 가진 시트러스계 오일이며, 마음을 안정시켜주고 호흡기능을 돕고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파인 오일(pine oil)은 소나무 잎에서 추출된 오일을 총칭하는 개념이며, 솔잎 향 오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잎(침엽) 부위를 스팀 증류를 통해 추출할 수 있다.
레몬 오일(lemon oil)은 레몬으로부터 추출한 오일을 포괄하는 명칭이다. 레몬 오일은, 예를 들어, 레몬 열매의 껍질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사이프레스 오일(cypress oil)은, 측백나무과인 사이프레스 나무의 정유를 의미하며, 진정작용이 있고 머리를 맑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즈 오일(rose oil)은, 장미로부터 추출한 정유를 총칭하는 개념이며, 깊고 강렬한 꽃향기로 심신의 긴장, 피로와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모이즈 오일(armoise oil)은 무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액체로 쑥향을 풍기며, 생리통 해소, 자궁 및 방광의 강화, 및 신경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헬리크리섬 추출물은,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을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헬리크리섬 추출물은 전통적으로 차나 오일의 형태로 가공되어 피부질환, 천식, 기관지염 또는 관절염 등과, 소화불량 또는 두통 등에 대한 치유제로 쓰여 왔으며, 회충을 몰아내는 약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우수한 항균, 항염증 효능 뿐만 아니라, 피부의 탄력 및 노화와 관련된 콜라겐의 생성 및 섬유아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레이프프루트 오일의 함량은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70 중량%이고, 상기 베르가못 오일의 함량은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30 중량%이다. 상기 범위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우수한 기호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 범위를 선정한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파인 오일, 레몬 오일, 사이프레스 오일, 로즈 오일 및 아모이즈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함량은,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5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15~35 중량%일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파인 오일의 함량은 1~20 중량%, 레몬 오일의 함량은 1~20 중량%, 사이프레스 오일의 함량은 1~20 중량%, 로즈 오일의 함량은 0.1~5 중량%이고, 아모이즈 오일의 함량은 0.1~5 중량%이다. 상기 범위보다 낮은 함량의 오일을 첨가하게 되면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고, 상기 범위보다 높은 함량으로 첨가하게 되면 특정 오일의 향이 강해지게 되어 기호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조성물일 수 있다.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및 베르가못 오일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이완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첨가되는 다양한 종류의 에센셜 오일들은 이러한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향상시키고 기호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젤, 파우 더, 메이크업베이스, 보디로션, 보디크림, 보디오일 또는 보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과형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향료 조성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강도가 강해서 첨가로 인한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향료 조성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위의 범위 안에서 조정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헬리크리섬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0.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헬리크리섬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기호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조성물일 수 있다.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가 있는 그레이프프루트 오일(grapefruit oil)과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과 우울증, 신경통, 스트레스 관련 질병 등의 치료에 많이 이용되는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심신을 안정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 및 헬리크리섬 추출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 부 외용제에 배합될 수 있으며,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제형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제형에 배합될 수 있다. 제형의 예로는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생리 및 심리적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우뇌와 좌뇌의 뇌파 및 일련의 생리 신호들을 측정하였다.
이어지는 실험예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알파파의 활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좌뇌보다는 우뇌에서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나타났다. 알파파의 활성 비율이 높다는 것은 인체에 대한 이완 및 진정 효과가 있고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좌뇌보다 우뇌의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다는 것은, 제시된 향을 쾌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밖의 생리 신호 측정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생리 및 심리적 치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함량; 중량%) 실시예 1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50
베르가못 오일 20
파인 오일 10
레몬 오일 5
사이프러스 오일 5
로즈 오일 5
아모이즈 오일 5
총합 100
[실험예 1] 향료 조성물에 대한 생리적/심리적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를 이용하여, 중추신경계의 뇌파(EEG) 알파파, 자율 신경계의 평균 심박 간격(평균 R-R 간격), 피부 온도, 피부전기저항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피험자
건강하고 현재 약물 복용을 하지 않으며, 취맹(臭盲)이 아닌 20~30 대 여성 20 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일에 무리한 운동이나 과다한 음주 섭취를 자제하도록 하였고, 실험 당일에는 중추신경계와 후각 감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료 및 약물, 껌 섭취를 삼가도록 하였다.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으로, 여성의 성주기에 따른 향에 대한 감각의 변화, 여성의 생리주기와 기분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므로, 조사대상자의 생리주기를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2. 실험 시료
실험 시료로는, 표 1의 향료 조성물(실시예 1)과 비교예로서 그레이프프루트 오일(비교예 1, 비중; 0.845 ~ 0.865, 굴절률; 1.471 ~ 1.481) 및 베르가못 오일(비교예 2, 비중; 0.862 ~ 0.882, 굴절률; 1.455 ~ 1.475)을 사용하였으며, 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3. 실험 조건
실험은 본 연구원에서 구축한 후각 실험실(4.8 m x 3 m x 2.4 m)에서 수행되었고, 내부에는 후각의 순응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흡기 및 배기 시설이 되어 있다. 또한, 피험자의 실험 참여도를 극대화하고 실험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방음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실험시 내부 온도(25℃), 습도(40-50%) 및 조도(150- 200 Lx)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하나의 조건에 대한 실험이 끝난 후에는 피험자가 향에 대한 순응과 피로에 대한 영향이 없도록 충분히 쉬도록 하였고, 실험실 내부를 환기시킨 후 다음 실험을 실시하였다.
4. 실험 방법
실험 전 뇌파 및 생리신호 센서를 부착하고 2 분간 안정을 취한 후 피험자가 눈은 감은 상태에서 시료를 코 밑 1-2 cm 거리에 두고 1 분간 제시하였다. 향에 대한 순서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피험자마다 향 제시 순서는 무작위로 실시하였다. 향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를 제외한 3 가지 향은 갈색 시약병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솜을 넣고 마이크로피펫(SOCOREX, SWISS)으로 1 ㎖씩 떨어뜨려 사용하였다. 향을 맡는 동안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 제시 후 주관적 기분감에 대한 설문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5. 측정 방법
뇌파는 국제 10-20 전극 배치법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및 후두엽 부위에 뇌파측정용 전극(GRASS, USA)을 붙이고 GRASS(USA) 장비, MP 100 system(USA), Acqknowledge 프로그램(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측정 부위간 저항치는 10 ㏀ 이하로 하였고, Sampling rate는 512 Hz로 설정하였다.
생리신호 측정은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CM5 유도법)는 흉부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하였고, 피부온도(Skin temperature)와 피부전기저항(Galvanic skin response)은 각각 왼손 소지, 왼손 중지와 약지에 센서를 부착하여 측정하였다. 생리신호 측정은 MP 100 system과 Acqknowledg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Sampling rate는 512 Hz로 설정하였다.
주관적 기분감은 Profile of Moods States(POMS: 일본어판, 65 문항)를 번역하여 이용하였으며, 긴장, 우울, 분노, 활기, 피로, 혼란 항목으로 점수 평가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6. 분석 방법
뇌파는 FFT법에 의한 전력 스펙트럼으로 분석한 후 주파수 대역에 따라 α/(α+β+θ+δ), β/(α+β+θ+δ)를 구하였고, 뇌파 Mapping 프로그램(BrainMap 3D, (주)Neuromedi, 한국)을 이용하여 향을 맡는 동안 시간에 따른 뇌파를 맵핑하였다. 심박변화율(HRV)은 심전도에서 검출된 R 포인트로부터 평균 R-R 간격을 구하고, FFT법에 의한 전력 스펙트럼 분석에 따라 각 주파수 대역에 따라 LF(Low frequency: 0.04-0.08 Hz), HF(High frequency: 0.15-0.4 Hz) 값을 구하였다. 피부온도와 피부전기저항은 파형의 평균 진폭값을 구하였다. 각 생리신호는 무향 조건에 대한 각 향 조건의 생리신호 값을 정규화시켜(Normalized Sensitivity)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조건에 따른 생리신호 분석값과 향 감성 및 주관적 기분감에 대한 평가항목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t-test로 검증하였다.
7. 실험 결과
7.1. 뇌파 측정 결과
상기의 뇌파-알파파 측정 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향 종류에 따른 중추신경반응을 뇌파로 측정하여 알파파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알파파의 활성 비율이 높았으며, 좌뇌보다는 우뇌에서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은, 전 영역에서 골고루 알파파의 활성을 보였다. 좌뇌보다 우뇌에서의 알파파가 활성도가 높다는 것은, 피실험자에게 제시된 향을 쾌하게 받아 들이고 있는 것이며, 알파파가 높게 활성화 되는 향은 인체에 이완 및 진정,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7.2. 생리신호 측정결과
심박변화율(평균 R-R 간격), 피부온도, 피부 전기저항 측정 결과는 각각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향 종류에 따른 자율신경반응을 비교한 결과(도 2 참조), 평균 R-R 간격은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1에서 그 간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R-R 간격이 증가하는 것은 심장이 천천히 뛰고 있다는 것으로 편안함, 안정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온도(도 3 참조)와 피부전기저항(도 4 참조)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비교예 및 실시예1에서 전체적으로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실시예 1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온도와 피부전기저항이 낮아진다는 것은, 생체 활동이 진정됨으로써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7.3. 주관적 평가
상기 주관적 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향 3종 제시 후 주관적 기분감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 비교예 1, 비교예 2에 비해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이 긴장, 분조, 피로, 혼란의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이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 및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에센스 제형의 화장료를 조성하였다. 제형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함량; 중량%) 실시예 2
세테아릴알코올/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
폴리글리세릴-10스테아레이트 1.1
식물성스쿠알란 3.0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0.5
트리옥틸도데실시트레이트 0.6
디메치콘 2.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
정제수 66.47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베타인 1.2
글리세레스-26 1.8
부틸렌글라이콜 6.0
글리세린 1.3
잔탄검 0.05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 0.3
에탄올 3.0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 0.1
헬리크리섬 추출물 0.01
페녹시에탄올 0.3
에칠헥실글리세린 0.05
부틸렌글라이콜 7.0
총합 100.0
[실험예 2]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생리적/심리적 효과 측정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추가 배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생리/심리적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시료와 실험 방법을 제외하고는 구체적인 피험자, 실험 조건, 측정 및 분석 방법 등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다.
1. 피험자
실험예 1과 동일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 실험 시료
국화과 한두해살이 풀인 헬리크리섬을 수증기 증류나 물 또는 용매 추출 등의 방법으로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얻었다. 헬리크리섬 추출물의 추가 배합으로 인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3. 실험 조건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4. 실험 방법
실험 전 뇌파 및 생리신호 센서를 부착하고 2 분간 안정을 취한 후 피험자가 실시예 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직접 도포 후 생리적 반응을 측정하였고 향 제시 후 주관적 기분감에 대한 설문 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5. 측정 방법
실험예 1과 동일한 측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 주관적 평가는 실시하지 않았다.
6. 분석 방법
실험예 1과 동일한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7. 실험 결과
7.1. 뇌파 측정 결과
상기의 뇌파-알파파 측정 결과는 도 1에 실험예 1의 결과와 함께 나타내었다.
시료에 따른 중추신경반응을 뇌파로 측정하여 알파파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2가 실시예 1 보다 알파파의 활성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좌뇌와 우뇌 전 영역에서 골고루 알파파의 활성을 보였으며, 좌뇌보다는 우뇌에서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파파가 높게 활성화 되는 향은 인체에 이완 및 진정,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 활성 비율이 실시예 2에서 더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아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첨가함으로써 그 효과가 상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7.2. 생리신호 측정결과
실시예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자율 신경계의 평균 심박 간격(평균 R-R 간격), 피부 온도, 피부전기저항 등의 생리 신호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도 2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시료에 따른 자율신경반응을 비교한 결과, 평균 R-R 간격은 실시예 2에서 실시예 1에 비해서 증가하였다. 평균 R-R 간격이 증가하는 것은 심장이 천천히 뛰고 있다는 것으로 편안함, 안정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한다.
피부온도와 피부전기저항에서도 대조군 및 비교예 및 실시예 1에 비해 실시예 2에서 낮게 관찰되었다. 피부온도와 피부전기저항이 낮아진다는 것은 생체 활동이 진정됨으로써 편안함과 안정감을 느끼고 있음을 의미하고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의 내용물이 더 편안함, 안정감을 느끼게 함을 알 수 있다.
7.3. 주관적 평가
상기 주관적 평가에 대한 결과는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향료 및 헬리크리섬 추출물이 적용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 후 주관적 기분감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보다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이 긴장, 분노, 피로, 혼란의 항목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 주관적으로도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기 조성에 따라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들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1의 조성물 2.0
스쿠알란 5.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와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2.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PEG60 경화피마자유 2.0
유동파라핀 1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적량
색소 적량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마사지크림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마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팩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1.0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PEG 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6] 젤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젤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2.0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PEG 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7] 유중수 유화형 메이크업 화장료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유증수 유화형 메이크업화장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3.0
부틸렌글라이콜 10
소금 1.5
오조케라이트 2.0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20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2.5
세틸 디메치콘 코폴리올 2.0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산화철 1.5
티타늄옥사이드 12.0
탈크(크기: 3.06마이크로) 5.0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8] 트윈케익, 파우더 화장료
하기의 표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을 함유하는 트윈케익, 파우더 화장료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실시예 2의 조성물 1.0
나일론 파우더 5.0
모디파이드 전분 3.0
이산화티탄 3.0
마이카 25.0
스쿠알렌 0.5
디메치콘 0.8
방부제, 색소, 향료, 헬리크리섬 추출물 적량
실리콘처리 탈크 to 100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심박변화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피부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피부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주관적 평가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9)

  1.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향료 조성물로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파인 오일, 레몬 오일, 사이프레스 오일, 로즈 오일 및 아모이즈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프프루트 오일, 베르가못 오일, 파인 오일, 레몬 오일, 사이프레스 오일, 로즈 오일 및 아모이즈 오일은 30~70 : 10~30 : 1~20 : 1~20 :1~20 : 0.1~5 : 0.1~5 의 중량비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헬리크리섬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크리섬 추출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레스 완화 또는 심신 안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24495A 2009-03-23 2009-03-23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95A KR101077018B1 (ko) 2009-03-23 2009-03-23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501932A JP2012521416A (ja) 2009-03-23 2010-03-23 ストレス緩和及び鎮静効果を有する香料及び化粧料組成物
CN201080021396.8A CN102427799B (zh) 2009-03-23 2010-03-23 具有抗压和舒缓效果的香料和化妆品组合物
US13/257,186 US9248320B2 (en) 2009-03-23 2010-03-23 Perfume and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stress and relaxing effect
PCT/KR2010/001772 WO2010110579A2 (en) 2009-03-23 2010-03-23 Perfume and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stress and relaxing eff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495A KR101077018B1 (ko) 2009-03-23 2009-03-23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062A KR20100106062A (ko) 2010-10-01
KR101077018B1 true KR101077018B1 (ko) 2011-10-26

Family

ID=4278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495A KR101077018B1 (ko) 2009-03-23 2009-03-23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48320B2 (ko)
JP (1) JP2012521416A (ko)
KR (1) KR101077018B1 (ko)
CN (1) CN102427799B (ko)
WO (1) WO201011057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24A (ko)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코스모페린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67B1 (ko) * 2010-05-19 2010-12-17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EP2717970A2 (de) * 2011-06-07 2014-04-16 Beiersdorf AG Polyethylenglykol-fre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WO2012167900A2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emulsionszubereitungen mit verbesserter parfumfreisetzung
DE102011077045A1 (de) * 2011-06-07 2012-12-13 Beiersdorf Ag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mit verbesserter mikrobiologischer Stabilität
EP3313361B1 (en) 2015-06-29 2023-09-13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Musk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2020644B1 (ko) 2016-07-07 2019-09-10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20642B1 (ko) 2018-02-13 2019-09-10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34762B1 (ko) * 2018-05-30 2021-04-01 유씨엘 주식회사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89407B1 (ko) 2021-01-18 2023-01-17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대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 완화 및 스트레스 관련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2842946A (zh) * 2021-03-24 2021-05-28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脑电图法验证具有神经舒缓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71B1 (ko) * 2001-12-07 2005-01-13 주식회사 태평양 항염효과를 갖는 커리플랜트로부터 추출한 헤리크리섬오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734B2 (ja) * 1990-10-09 1995-06-2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鎮静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JPH0757733B2 (ja) * 1990-10-09 1995-06-2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JP3936968B2 (ja) * 2000-04-27 2007-06-27 塩野香料株式会社 天然物由来の抗菌剤、抗菌性香料および、それらを含有する化粧品
US20060073211A1 (en) * 2001-06-18 2006-04-06 Michael Marenick Cellulite formulation containing whole egg
US20060105005A1 (en) * 2002-01-08 2006-05-18 Michael Marenick Skin care formulation containing whole egg powder
JP2003034621A (ja) * 2001-07-18 2003-02-07 Lion Corp 泡沫エアゾール型毛髪化粧料
JP2003104844A (ja) * 2001-09-28 2003-04-09 Lion Corp 毛髪化粧料
JP2003113392A (ja) * 2001-10-04 2003-04-18 Kiyomitsu Kawasaki 芳香・消臭組成物および該芳香・消臭組成物を含有する人体用芳香・消臭剤
US7097863B2 (en) * 2002-08-15 2006-08-29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Process for effecting the relaxation of muscles of a human by means of fragrance
US7335631B2 (en) * 2002-09-09 2008-02-26 Symrise, Inc. Encapsulated perfume compositions in hair and skin products which release a burst of fragrance after initial topical application
US20080096790A1 (en) * 2006-10-23 2008-04-24 Quest International Services B.V. Fragrance compositions
ATE360455T1 (de) * 2003-11-12 2007-05-15 Symrise Gmbh & Co Kg Mischung mit wintergrün-geruch und geschmack
KR101074955B1 (ko) * 2004-04-02 2011-10-18 (주)아모레퍼시픽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GB0505702D0 (en) * 2005-03-18 2005-04-27 Quest Int Serv Bv Perfume compositions
KR101292910B1 (ko) 2005-08-04 2013-08-02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향료 성분의 선정 방법 및 조향 방법, 기호성 향상제
CN101238204A (zh) 2005-08-04 2008-08-06 株式会社资生堂 香料成分的选择方法及调香方法、嗜好性提高剂
JP2008101129A (ja) * 2006-10-19 2008-05-01 Shiono Koryo Kk 香料組成物およびそれが配合された化粧料
CN100462065C (zh) 2006-10-19 2009-02-18 上海邦成芝麻研究所 芝麻按摩油及其制备方法
KR101380554B1 (ko) 2007-04-30 2014-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971B1 (ko) * 2001-12-07 2005-01-13 주식회사 태평양 항염효과를 갖는 커리플랜트로부터 추출한 헤리크리섬오일 및 그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124A (ko) 2016-09-27 2018-04-04 (주)아모레퍼시픽 코스모페린을 포함하는 항스트레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0579A3 (en) 2011-02-24
US9248320B2 (en) 2016-02-02
CN102427799A (zh) 2012-04-25
CN102427799B (zh) 2014-07-02
US20120015058A1 (en) 2012-01-19
WO2010110579A2 (en) 2010-09-30
JP2012521416A (ja) 2012-09-13
KR20100106062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1102245A (ja) モミの木の抽出物
CN107569616A (zh) 一种改善睡眠的复方油及其制备方法
KR10190897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24620A (ko) 숙면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KR102234762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5499B1 (ko) 감국꽃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파에서 상대적 세타파는 감소시키고 상대적 알파파는 증가시키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434449B1 (ko) 비자나무 잎 정유 추출물을 이용한 항스트레스성 천연 항료 조성물
KR101810230B1 (ko) 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71574B1 (ko) 윈터체리뿌리, 산뽕나무 및 보이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 개선 또는 숙면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810228B1 (ko)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0019B1 (ko)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48019B1 (ko)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CN110051744B (zh) 一种治疗失眠的复方中药精油
JPH11343497A (ja) 化粧料
KR20200045213A (ko) 천연 꽃잎을 함유하는 아로마테라피 마스크팩
KR102244814B1 (ko)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Buchbauer Lavender oil and its therapeutic properties
KR102194637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70858B1 (ko) 아로마테라피용 피부 마사지 화장료 조성물
KR102597516B1 (ko) 신규한 유기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20170066851A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KR20230128842A (ko) 줄기세포 활성화 효과와 자외선에 대한 보호 효과를 통해 항노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