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554B1 -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554B1
KR101380554B1 KR1020070042026A KR20070042026A KR101380554B1 KR 101380554 B1 KR101380554 B1 KR 101380554B1 KR 1020070042026 A KR1020070042026 A KR 1020070042026A KR 20070042026 A KR20070042026 A KR 20070042026A KR 101380554 B1 KR101380554 B1 KR 10138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acetate
fragrance
back sheet
disposabl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995A (ko
Inventor
김형범
강은정
손서연
Original Assignee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2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05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34Oils, fats, waxes or natural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2Lipids, fatty acids, e.g. prostaglandins, oils, fats, wa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화되지 않은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배플)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가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용품은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배면 시트에 균일하게 함유하기 때문에 향기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은근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착용자의 분비물 또는 장시간 착용에 의해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소취(odor absorbing) 및 방취(odor masking)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 고유의 약리효과와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천연 방향제, 천연 추출물, 방향 화합물, 배면 시트, 일회용 흡수용품

Description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BACK SHEET CONTAINING NATURAL FRAGRANCE AND/OR NATURAL EXTRACT}
본 발명은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흡수용품은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을 일컫는 것으로, 기저귀, 배변 훈련용 속팬츠, 성인 실금용 제품, 흡수성 속옷, 여성 위생제품 및 수유 패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흡수용품에 흡수되는 체액은 일반적으로 불쾌한 냄새를 함유하고 있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 흡수용품에 방향제 또는 방취제를 부여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제1996-15183호 및 미국 특허 제5,429,628호에는 캡슐화된 방향제 또는 방취제를 흡수용품의 흡수 코어 또는 상부 시트에 적용한 흡수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591,146호에는 착 용자의 속옷에 부착되는 접착식 결합부 내에 방향제 또는 방취제가 들어 있는 미세캡슐을 위치시켜, 접착식 결합부를 덮는 개봉지를 제거할 경우 미세캡슐이 터져 방향제 또는 방취제가 방출되는 생리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외에도,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98/51248호에는 캡슐화된 방향제를 함유하는 향기 부재를 배면 시트에 부착한 흡수용품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흡수용품들의 제조 공정은 방향제 또는 방취제를 캡슐화하는 단계 및 캡슐화된 방향제 또는 방취제를 흡수용품의 특정 부위에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해야 하고, 제조된 흡수용품 중에 캡슐화된 방향제 또는 방취제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향제 또는 방취제 등이 흡수 코어 또는 상부 시트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이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민감한 피부에 트러블을 야기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흡수용품의 제조 시 방향제 또는 방취제를 직접 적용할 경우에는 공정 중에 도포량의 편차가 불가피하게 발생하여 완제품에 향기의 강도 편차가 나타나게 되고, 향기의 초기 강도는 강하지만 그 향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한약재 추출물을 방향제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기대하는 약리학적 효능면에서도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방향제 또는 방취제를 포함하는 기존의 일회용 흡수용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열가소성 중합체와 혼합하여 배면 시트를 제조하면 배면 시트에 일정한 함량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적용할 수 있 어 완제품의 향기의 강도 및 효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배면 시트 전체에 상기 성분이 균일하게 함유되므로 은은한 향기가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면 시트가 적용된 일회용 흡수용품은 부가된 방향제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 고유의 약리효과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배면 시트 자체에 함유시켜 제조함으로써 배면 시트에 상기 성분을 일정한 함량으로 균일하게 적용하여 은은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부여하고, 이로 인한 우수한 소취 및 방취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일회용 흡수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로 구성된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가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천연 방향제로는 동물성 향료 및 식물성 오일을 예로 들 수 있다. 동물성 향료에는 사향, 시벳(civet), 앰버그리스(ambergris: 용연향) 및 카스토르(castor)가 포함된다. 사향은 사향노루의 냄새주머니를 건조시킨 것으로 향료 성분은 무스콘(muscon)이다. 시벳은 사향고양이의 분비물을 모은 것으로 성분은 시베톤(civeton)으로 이루어지며 사향과 비슷한 향기가 난다. 용연향은 향유고래의 배설물로서 주성분은 앰브레인(ambrein)이다. 카스토르는 비버(beaver)의 분비물로 향의 주성분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이들 동물성 향료는 알코올로 향기의 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적고 가격이 매우 비싸 통상 향수와 조합 향료의 소재로서 극미량이 사용된다.
식물성 오일은 방향성 식물의 꽃, 꽃망울, 과실, 잎, 가지, 줄기, 뿌리 및 천연수지 등에서 얻어지며, 그 대부분은 휘발성인 유상물질로 물보다 가볍고, 정유(essence, essential oil)라 하여 유지와 구별된다. 식물성 오일의 성분으로는 아이소프렌 2∼3개의 분자가 중합한 모노(mono) 및 세스퀴테르펜 탄화수소 및 그 유도체인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에스테르 등 많은 테르펜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테르펜 화합물은 인공적인 합성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주로 천연 정유에서 채취되는데, 종래에는 원료식물이나 수지를 그대로 향료로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다양한 정유 채취법이 개발되어 대상 식물에 따라 달리 적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식물성 오일은 예컨대 식물의 추출부위에 1:1 내지 1:100 중량 비율로 물을 가하여 가열하거나, 가압 수증기를 통과시켜서 수증기와 함께 정유를 유출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정유 제조방법으로는 통상의 모든 종류 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정유를 실제의 비점보다 낮은 온도로 유출시키는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 감귤류처럼 과피를 압착해서 정유를 얻는 압착법(expression), 원료가 고가인데 반해 정유의 함유량이 적고, 열에는 불안정하면서 물에 가용성분이 많은 경우 지방과 같은 불휘발성 용매에 흡수시켜 채취하는 흡착법(adsorption), 헥산, 에틸알코올, 벤젠 등과 같은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추출하는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 식물의 줄기 또는 뿌리에 상처를 내서 침출되는 수액을 수집하는 침출법(exudation) 및 초임계 가스추출법(supercritical extraction, CO2 extracton)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식물성 오일은 각 성분에 따라 특유의 자연향을 발산하여 신경안정, 피부 진정효과 등을 제공하며, 인공 합성성분보다 살균력, 소독력,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에 있어서 뛰어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식물성 오일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레이프프루트(Citrus paradisi), 네롤리(Citrus aurantium), 니아울리(Melaeuca viridiflora),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레몬(Citrus limonum), 레몬그라스(Cymbopogon citratus), 로즈(Rosa damascena, R. centifolia, R. gallica),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 로즈우드(Aniba rosaeodora), 마조람(Origanum majorana), 만다린(Citrus reticulata),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몰약(Commiphora myrrha), 바질(Ocimum basilicum), 베르가못(Citrus bergamia), 베티버(Veriveria zizanoides), 블랙페퍼(Piper nigrum), 사이프러스(Cupressus sempervirens), 샌들우드(Santalum album), 스피어민트(Metha spicata), 시나몬(Cinnamomum zeylanicum), 시더우드(Cedrus atlantica), 시트로넬라(Cymbopogon nardus), 야로(Achillea milleflium), 오렌지스위트(Citrus sinensis),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일랑일랑(Canaga odorata), 자스민(Jasminum grandiflorum),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주니퍼베리(Juniperus communis), 진저(Zingiber officinale), 카모마일 로먼(Chamaemelum nobile), 카모마일 저먼(Matricaria recutita), 코리앤더(Coriandrum sativum),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클로브 버드(Eugenia caryophyllus), 타임(Thymus vulgaris),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파인(Pinus sylvestris), 파출리(Pogostemon cablin), 팔마로사(Cymbopogon martinii), 팬넬(Foeniculum vulgare), 페퍼민트(Mentha piperita), 히솝(Hyssopus officinalis), 라임(Citrus aurantifolia), 린덴블로섬(Tilia europaea), 머를(Mytus communis), 바이올렛(Viola odorata), 버베나(Lippia citriodra), 버치(Betula alleghaniensis(yellow), B. pendula(silver), B. lenta(cherry)), 베이(Laurus nobilis), 베티버(Andropogon muricatus), 벤조인(안식향)(Styrax benzoin), 카다몸(Elettaria cardamomum), 카모마일(Anthemis nobilis), 카유푸트(Melaleuca leucadendron), 캄포(Cinnamomun camphora), 탄제린(Citrus reticulata), 페티그렌(Citrus vulgaris), 측백엽(Thuja occidentalis L.) 및 프랑킨센스(유향)(Boswellia carteri)를 포함한다.
상기에 예시된 식물성 오일 중에서 대표적인 것들의 아로마테라피 효과 및 심리적 효과를 정리하여 하기 표 1a1b에 나타내었다.
성분 아로마테라피 효과 심리적 효과
레몬 두통, 편두통 등의 통증을 완화시킴. 덥거나 근심걱정이 생길 때 회복효과와 진정작용이 있으며 머리를 맑게 하는데 도움이 됨.
클로브
(정향)
강력한 항균효과가 있음. 마음을 적극적으로 자극하는 효과가 있어 우울한 기분을 밝게 고양시킴.
파출리 소염작용과 탈취작용이 있음. 무기력감을 없애며, 마음의 균형을 잡게 하는 효과가 있음.
레몬그라스 신체의 활기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어 두통과 피로를 경감시키고 항우울증 효과가 있음. 마음을 자극하여 생기를 회복시키고 에너지를 충전시킴.
로즈마리 아픔을 완화시키는 약제로 사용됨.
월경경련을 완화하며 소량의 월경을 정상화시키고 이뇨특성이 있어 월경 시 수분의 체류를 해소하는데 효과적임.
뇌세포에 활기를 주어 두뇌를 맑게 하고, 정신적 과로, 무기력증에 효과가 있음.
마음이 허하고 피곤할 때 활력을 주며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음.
블랙페퍼 진통작용
시나몬 내분비계를 강력히 자극하여 월경통을 완화시키고 소량의 월경을 정상화시키며 냉/대하를 호전시킴.
컨디션 상실, 무기력증 등을 호전시킴.
우울한 상태에 사용하면 탁월한 효과가 있음.
진저 진통효과가 있고 컨디션에 활성을 줌. 원기를 회복시키고 정신적으로 피곤할 때 효과적임.
티트리 강력한 항균 특성이 있어 칸디다성 질염 치유에 도움이 되며 전반적인 성기 감염증에도 효과적임. 충격을 받았을 때 마음을 회복시키고 활력을 되찾게 함.
페퍼민트
(박하)
통증 완화효과가 있어 두통, 편두통 등을 완화시키고 소량의 월경, 월경통에 효과적임. 화가 났을 때나 히스테리 시에 상태를 호전시키고 정신적 피로와 우울증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음.
카다몸 월경 전의 긴장과 두통 등을 완화시킴. 감각에 대한 가온작용이 있어 마음이 약해지거나 피로할 때 효과적임.
정신을 고양시키며 마음을 밝게 하고 원기를 더해주며 혼란을 진정시킴.
성분 아로마테라피 효과 심리적 효과
팬넬 신경계를 진정시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여 내분비계를 활성화시킴.
이러한 작용은 월경 전 긴장증, 소량의 월경에 효과적임
역경에 처했을 때 힘과 용기를 줌.
세이지 에스트로겐 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보이는 성분으로 여성의 생식계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고 월경주기를 정상화시킴.
칸디다성 질염의 치료에 효과적임.
부교감신경계를 완화시켜 신경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음.
일랑일랑 호르몬 분비의 평형을 유지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생식기 계통과 관련된 장애에 효과적임.
자궁에 좋은 강장제이고 신경계통에 대하여 진정효과가 있음.
아드레날린의 흐름을 정상화시켜 신경계를 완화시킴.
로즈 자궁에 아주 좋은 강장제로 월경 전 긴장을 풀어주고 질 분비를 촉진시키며 월경주기를 정상화시킴. 우울 등의 감정에 대한 완화작용을 나타내고 마음을 밝게 고양시킴.
신경의 긴장과 스트레스를 풀어주고 여성적인 향유로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품게 함.
자스민 자궁의 경련과 월경통을 완화시키며 질의 감염증 전반에도 효과적임. 우울증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신경을 진정시킴.
제라늄 호르몬계의 활동을 정상화시키며 월경 전 증후군, 초조함, 질 분비물이나 개운치 못한 월경 등에 도움이 됨.
감염증을 차단함과 동시에 노폐물을 잘 처리해주는 림프계를 자극함.
신경계의 강장제로 불안과 초조함을 달래고 신경을 안정시킴.
마음의 안정을 찾아주고 부신피질에 작용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킴.
카모마일 월경주기를 규칙적으로 해주며 월경통을 완화시켜 각종 월경 장애에 유효하며 월경 전의 긴장을 진정시킴. 마음을 진정시키며 불면증에 도움이 됨.
불안, 긴장 완화를 촉진시킴.
클라리세이지 자궁에 좋은 강장제이며, 특히 자궁 관련 질환에 효과적임.
호르몬의 조정작용은 소량의 월경을 정상화시키고 월경긴장을 완화시키며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허리 아래부분의 고통스런 경련을 완화시켜줌.
두통과 편두통에 효과적임.
항우울 작용 및 긴장 완화작용이 있음.
타임 소량의 월경과 백대화 같은 월경 관련 장애를 호전시키고 정화작용이 있음. 신경을 강장시키고 뇌세포를 활성화시키며 우울한 기분을 밝게 하여 우울증을 해소시킴.
파인 여성의 냉/대하증 해결 및 자궁염증의 일종인 자궁근층염에 효과가 있음.
강력한 항균효과가 있음.
마음이 약해질 때, 정신적으로 피로할 때 좋으며 마음을 상쾌하게 해줌.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천연 추출물은 인체 분비물, 예컨대 질 분비물, 냉/대하 및 생리혈에서 발생되는 냄새를 소취 및 방취할 수 있고, 천연물질 고유의 약리효과, 예컨대 항균, 항염증, 피부진정, 월경불순 및 생리통 완화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성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의 제조에 적합한 천연물질은 한약재로 사용되는 약용식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대표적인 약용식물로는 정향, 감초, 마치현, 은행잎, 갈근, 어성초, 목단피, 비파엽, 죽여, 하수오, 금은화, 창포, 녹차, 감잎, 고삼, 자몽, 유자, 쑥, 당귀, 육두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향(Eugenia caryophyllata Thunberg)은 정향과(Myrtaceae)에 속하는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건조한 것으로, 예로부터 온중강역, 온신조양의 효능으로서 건위약, 항균약, 항진균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정향의 유효성분으로는 정유인 유제놀(eugenol), 아세틸유제놀(acetyleugenol) 등이 알려져 있고, 플라보노이드로서는 람네틴(rhamnetin), 캄페롤(kaempferol), 알칼로이드로서는 히게나민(higenamine)을 함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갈로탄산(galotanic acid), β-카리오필렌, 2-하이드록시 4,6-다이메톡시 5-메틸아세토페논 등을 함유한다. 정향의 약리작용으로는 상기와 같은 건위, 항균, 항진균 활성 외에도 자궁수축, 동물 적출장관 수축, 국소마취에 의한 진통, 아드레날린-길항작용이 있으며, 점막 자극, 거담 작용, 교원질 섬유의 생합성 촉진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정향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여성의 생식기가 냉한 증상에도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정향의 약리효과에 대해 아세틸콜린 에스터라제(acetylcholine esterase)의 활성 억제(Akinrimisi 등, West Afr . J. Pharmacol . Drug Res. 2(2): 127-131, 1975), 항균작용(Ramanoelina 등, Arch . Inst . Pasteur Madagascar 53(1): 217-226, 1987), 글루타치온 S-전이효소(glutathione S-transferase) 유도를 통한 항암활성(Zheng 등, J. Nat . Prod. 55(7): 999-1003, 1992), MMLV(moloney murine leukemia virus)의 역전사효소 억제활성(Suthienkul 등, Southeast Asian J. Trop . Med . Public Health 24(4): 751-755, 1993), 항경련 작용(Pourgholami 등, J. Ethnopharmacol. 64(2): 167-171, 1999) 등이 보고되어 있다.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중국 북부, 시베리아, 이태리 남부, 만주, 몽고 등지에 자생 또는 재배되며 모든 한약처방에서 독성을 줄이는 성분으로 들어가고 진해제로 사용되는 약초 중의 하나이다. 최근 여러 연구 결과에서 감초가 신장의 산화적 손상을 완화시키며(Yokozawa T., 등 Free Radic Res. 39(2): 203-211, 2005) 카드뮴에 의해 손상되는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Kim SC., 등 Toxicology 197(3): 239-251, 2004)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초에는 주요 생리활성 성분으로 설탕의 50배 이상의 단맛을 내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또는 Glycyrrhizic acid)과 아글리콘(Aglycone), 글리시리에티닉(Glycyrrhetinic)이 존재하고 더불어 다양한 플라보노이드가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있어, 감미제 뿐만 아니라,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등에 매우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감초 추출물은 체내에서 인체에 해로운 저밀도 지질단백질(Low Density Liprotein)의 산화 억제, 염증 억제, 노화 방지 등에 우수한 효능을 보일 뿐만 아니라, 미백작용, 자외선 흡수작용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의약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중요한 원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마치현은 주로 우리나라와 중국 각지에서 자생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 과에 속한다. 마치현은 습열로 인한 설사나 세균성 이질, 습진 등에 효과가 있으며, 강력한 항균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눈을 맑게 하고 대장, 소장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식의심경, 개보중정본초, 경효산보, 해상집험방 등에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은행잎 추출물은 1960년대부터 혈관확장, 혈류개선 및 치매개선을 목적으로 의약품으로 제조되어 현재 세계적으로 생산, 판매되는 대표적 천연물 의약품 및 식품소재이다. 은행잎 추출물의 이러한 생리적 효과는 이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와 테르펜류 화합물에 기인한 것이다.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는 말초신경의 확장과 신경전달물질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테르펜류 화합물 중 빌로발리드와 징코라이드는 혈소판 활성화인자에 대한 강력한 길항작용으로 혈소판 응집억제 작용을 하여 전체적으로 혈류 개선 및 기억력 개선 등에 유효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은행잎 추출물은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항균성분으로서 은행과로부터 분리한 아나카딕산(anacardic acid)은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m)에(Adawadkar 등, Fitoterapia 52: 129-135, 1981), 은행잎의 아세톤 추출물은 어위니아(Erwinia), 대장균(E.coli), 슈도모나스(Pseudomonas) 등에 항균작용을 나타내며(Itokawaetal 등, Chem . Pharm Bull . 35(7): 3016-3020, 1987), 은행잎의 아세톤/물 추출물은 세균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Mourey 등, Plantes medicinales et phytotherapie. 270-276, 1985) 보고된 바 있다.
갈근(Pueraruae radix)은 대한약전에 의하면 칡(Pueraria lobata Ohwi)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로서, 민간에서는 기호 식품, 음료, 건강식품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방에서 갈근은 기육을 풀어 주는 작용을 하므로 감기 몸살이나 발진성 질환, 항강통 등에 해표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며 비장과 위장의 기를 상승하게 도와주어 진액을 만들어 갈증을 해소하게 하고 지사시키는 작용을 한다(본초학, 148, 1995). 갈근은 이소플라보노이드(isoflavonoid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항알코올중독(antidipsotropic) 작용(Proceeding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SA, 95(5): 2198-203, 1998; Alcoholism: Clinical Experimental Research 40(4): 659-63, 1996), 간 보호작용(Planta Medica. 64(5): 413-6, 1998), 숙취 억제작용(Proceeding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SA, 94(5): 1675-9, 1997), 항산화 작용(Chem . Pharm . Bull . 40(3):721-4, 1992) 등의 약리효과가 알려져 있다.
삼백초과에 속하는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에는 메틸엔-노닐케톤, 데카노일아세트알데하이드, 라우릴알데하이드, 카프릴알데하이드, 코르다린,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 퀘르세틴, 루틴, 레이노우트린, 히페린, 미르센, 제라니알, 염화칼슘, 황산칼슘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모세혈관 강화작용, 혈관 확장작용, 이뇨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성초에서의 항바이러스능 작용연구는 어성초 전초에서 고온의 수증기 추출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헤르페스바이러스 등에 대한 항바이러스능이 있음이 알려졌다(Chiang 등, Am . J. Chin . Med. 31(3): 355-362, 2003).
목단피(Moutan Radicis Cortex)는 모란 뿌리의 껍질을 약재로 이르는 말로서, 성분으로는 패오노사이드(paeonoside; paeonol glucoside), 패오노라이드(paeonolide; paeonol-rhamnoglucoside) 및 패오놀(paeonol)을 함유하며, 패오노사이드는 저장 중에 분해되어 당과 패오놀을 생성한다. 목단피는 성질이 차서 한방에서 소염성 구어혈약으로 이용되며, 그 약효는 하복부 장기의 혈관계의 염증, 울혈에 의한 동통, 발열, 화농, 출혈 등을 대상으로, 특히 부인과 영역에서 월경불순, 자궁 및 부속기의 염증, 울혈, 견인통에 대해서 소염, 진통, 진경의 효과가 있으며, 치질, 충수염에도 응용되고 있다.
비파(Eriobotrya japonica)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한방에서는 그것의 열매, 뿌리, 줄기껍질 및 잎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특히, 비파엽은 폐를 맑게 하고 위를 조화시키며 기를 강하시키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중약대사전). 또한,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 기침, 가래 등에도 효과가 있으며, 혈당강하, 간기능 개선 및 여러 가지 항염증활성 등의 약리활성도 보고되어 있다(Nishioka 등, Biol . Pharm . Bull. 25: 1053-1057, 2002). 비파엽의 성분으로는 우르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마스리닌산(maslinic acid) 및 토르멘트산(tormentic acid)을 비롯한 다양한 트라이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 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Taniguchi 등, Phytochemistry 59: 315-323, 2002), 이 외에도 세스퀴테르펜 배당체(sesquiterpene glycosides), 플라보노이드 배당체(flavonoid glycosides) 및 여러 가지 폴리페놀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Shimizu 등, Chem . Pharm . Bull. 34: 2614-2617, 1986). 비파 추출물 및 이들 성분의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로는 항염증활성, 항산화활성, 혈당강하 및 세포독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Shimizu 등, Chem . Pharm . Bull. 34: 614-2617, 1986).
죽여(竹茹)는 대나무의 줄기를 절단한 후 푸른색의 외피층을 벗기고 약간 파리한 중간층을 긁어서 선처럼 만들어 건조시킨 것으로, 그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다고 알려져 있다. 위경(胃經), 폐경(肺經), 간경(肝經)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혈분에서 사열(邪熱)을 없애며 구토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가래를 삭이며 태아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열(胃熱)로 토하거나 딸꾹질, 담열(痰熱)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는 경우, 어린이의 경련성 질병, 토혈,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 혈열(血熱)로 인한 출열, 태동불안(胎動不安) 등에 사용된다. 근래 죽여가 항균작용 및 세포 노화를 일으키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을 제거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죽여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수오는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크게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와 백하수오(Cynan chum wilfordii Hemsley)의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주로 재배되는 하수오는 백하수오이다. 한방에서 하수오는 간과 신장을 재생시키고, 혈액을 재보충하여 검은 머리를 나게 하는 약효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하수오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효과가 입증되었다. 하수오의 생리적 활성은 하수오 중에 함유된 안트라퀴논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하수오에는 그 외에도 식물성 스테롤, 각종 배당체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금은화(Lonicerae Flos)는 인동화, 은화 또는 이화 등의 여러 가지로 호칭되기도 하는데, 인동과에 속하며 학명은 루니세라 자포니아 썬베르그(Lunicera japonia Thunberg)로 알려져 있다. 금은화는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이나 한방에서 청열해독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이의 추출물 및 일부 유효성분들은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작용, 항균작용, 항진균작용, 항염작용 및 해열작용 등의 여러 가지 약리작용을 지니고 있어 각종 질병의 치료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한국 유용식물자원 연구 총람, 한국화학연구소, 201-204, 1988; 한방임상응용, 성보사, 140-142, 1982).
창포는 천남성과(天南星科; Araceae) 식물인 석창포(石菖蒲; Acorus gramineus soland)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중추신경 억제작용, 세균의 항생제 내성 저해효능, 신경세포 사멸 저하효과, 치매 치료효과 등에 대한 약리연구가 이미 발표되어 있다. 또한, 창포는 근경을 비롯하여 잎과 뿌리 등 전체에 방향성 물질을 갖고 있는데, 잎을 비비면 맑은 향기가 코끝을 감돈다. 창포의 근경은 위액과 염산을 잘 나오게 하며 밥맛을 좋게 하는 약재로 사용되고, 진정작용이 있으며 눈을 맑게 하고 청력을 높여 준다.
녹차(Green-tea, Camelliat eaceac)는 커피, 코코아 및 홍차와 함께 카페인(caffeine)을 함유한 비알콜성 기호음료로서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음용하여 온 기호음료 중의 하나이다. 녹차에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는 혈중의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혈전의 생성억제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져 천연 항산화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한, 녹차는 노화방지와 더불어 암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소를 무력화하는 항독소 작용이 있어 식중독을 방지하는 효과도 알려져 있다.
감잎은 쌍떡잎식물 감나무목 감나무과인 감(Diospyros Kaki Thumb.)의 잎으로 탄닌(Tannin), 비타민 C, P, B1 및 B2, 카로틴(carotin), 정유, 유기산 및 섬유질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감잎을 달인 용액은 비타민 C 및 P가 많이 들어 있어 혈압이 높아지는 것을 예방하고 핏속의 콜레스테롤 양을 저하시킨다. 또한, 알칼리 성분이 많아 피를 맑게 하고, 림프구의 면역력을 높이며 백혈구의 탐식(phagocytosis)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유기체의 저항성을 높인다. 감잎을 오래 먹으면 당뇨병, 고혈압, 변비 및 위병 치료에 도움을 주고, 두통, 뾰두라지, 습진 및 알레르기성 여드름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삼(Sophora angustifolia SIEB. et Zucc)은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식물 전체에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알칼로이드의 성분으로는 마트린(소포카르피딘), 옥시마트린, 소포라놀, 아나기린, 메틸시티진, 바브티플린, 소포카르핀, 알로마트린 등이 있다. 고삼 뿌리를 달인 약은 시험관 실험에서 항알레르기 활성과 이뇨작용을 나타내며,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 세균 성장 억제작용 및 마비작용을 나타낸다. 총 알칼로이드와 마트린은 자궁수축작용이 있다. 한의학에서는 고삼을 건위약, 이뇨약, 해열약, 진통약, 살충약, 가래약으로서, 황달, 배뇨곤란, 옴, 습진, 마른버짐, 기관지염, 폐결핵 등에 사용하고 있다.
자몽은 감귤속(Citrus)에 속하는 그레이프프루트(grapefruit) 나무의 열매로서, 특히 자몽 종자 추출물은 상당량의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성분은 금속이온의 환원제로서 산소계, 특히 수소 라디칼을 생성시키는데, 이것이 세포막에 분포되어 있는 효소활성을 저해하여 세포막 기능을 약화시켜 미생물의 세포 호흡 작용을 저해하고 미생물의 정상 생육을 억제하여 미생물의 살균을 도모할 수 있다. 자몽 종자 추출물의 주요 항균물질은 나린진(naringin)과 시트랄(citral)로서, 나린진은 비타민 P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주로 잘 익은 자몽의 종자, 껍질에 많이 존재하며, 쓴맛이 있고, 항염, 미백 등에 상승작용을 갖는다.
유자(Citurs junos)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운향과(Rutaceae)의 상록관목인 유자나무의 열매로서, 열매 껍질을 유자피, 등자피라고 하고 과핵을 등자핵이라고 하여 예로부터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주로 순환계 질환과 각종 체증을 다스리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초강목에서는 유자 껍질이 음식을 소화시키고 속을 좋게 한다고 하였으며, 향약대사전에서는 소화를 시키며 식중독 시에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 유자는 비타민(vitamin) B1, B2, C 및 각종 유기산(organic acid)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항암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리모노이드(limonoid) 및 혈관 강화 및 간의 해독작용, 항암, 항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헤스페리딘(hesperidine)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Cardiovascular Pharmacology 22(2):225-30, 1993).
쑥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주요성분으로 치네올, 아테닌, 콜린, 타닌(Tannin), 클로로필 등을 함유하고 있는데, 특히 치네올 성분은 해열작용 및 혈액순환 촉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쑥의 잎은 한방에서 애엽(艾葉)이라는 약재로 사용되는데 지혈 작용, 세균의 발육 억제, 진해/거담 작용, 여성의 생리통, 생리불순, 대하에 효과가 있으며, 습진과 피부가려움증에 쑥을 달인 물로 환부를 세척하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귀는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진통, 배농(排膿), 지혈, 강장작용이 있어 복통, 종기, 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당귀는 피를 보해주며 혈액순환을 도와주고 월경을 고르게 해주어 생리통을 없애주는 효과가 있어 혈허로 인한 경우와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모든 경우, 여자들의 생리불순이나 생리통, 조기폐경, 하복통, 출혈 등에 모두 좋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허로 인한 두통과 어지러움, 변비 등에도 응용된다.
육두구(Myristicae semen)는 육두구과(Myristicaceae)에 속한 육두구수(Myristica fragrans Houtt)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혈액 순환 및 폐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살균 효과가 있어 혈류 개선, 호흡기 장애, 피부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또한, 육두구는 방향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향료로도 이용되고 이의 추출물은 여드름 균에 대한 항균력이 뛰어나 여드름 치료용 조성물로 활용되고 있다. 육두구의 열매에서 증기 추출한 정유에는 알파-피넨(pinene), 베타-피넨, 사비넨(sabinene), 다이펜텐(dipentene), 미리스티콜(myristicol), 미리스티신(myristicin), 리모넨(limonene), 테르피넨-4-올 (terpinen-4-ol), 알파-테르프네올(terpneol) 등을 포함한 33종 이상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추출물은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사용하여 통상의 추출방법으로 하기와 같이 추출하여 수득될 수 있는데, 먼저, 한약재와 같은 천연 원료를 건조 후 마쇄하여 분말화한 후,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배의 물 또는 저급 알콜을 가하고 약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50℃로 가열하면서 약 1 내지 3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고 냉각 및 여과한 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이때, 여과 후 남은 잔사에 대하여 여과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다. 여기에 추출용매로 사용할 수 있는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메탄올 수용액, 에탄올, 에탄올 수용액,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메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얻어진 천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다이클로로메탄, n-헥산,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열수 추출 또는 분획 추출하여, 본 발명에 적합한 비극성 용매 가용성 천연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다이클로로메탄 가용성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추출하고자 하는 천연 원료를 물이나, 메탄올, 에탄올 또는 프로판올과 같은 저급 알코올, 다이클로로메탄 또는 클로로포름과 같은 염소화 탄화수소, n-헥산 또는 헵탄과 같은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등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초음파 추출, 열수 추출 또는 분획 추출하여 천연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은, 앞서 식물성 오일 항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증기 증류, 압착, 흡착, 침출, 초임계 가스추출 등에 의한 정유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에 방향제로서 함유될 수 있다. 상기한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 성분을 용해시키고 이들의 상용성(compatibility) 및 향기 지속성(scent duration)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질용매로서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다이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DOA),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IPM),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PG), 플로랄린(floralyn) 등을 예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는 방향제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 이외에 당분야에 방향 화합물로 공지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적합한 방향 화합물은 하기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서 발견될 수 있고, 하기 모든 특허 및 참조문헌은 본원에서 참고로 하였다: 미국 특허 제4,145,184호, 미국 특허 제4,209,417호, 미국 특허 제4,152,272호, 미국 특허 제5,266,592호, 미국 특허 제5,081,111호, 미국 특허 제4,994,266호, 미국 특허 제4,524,018호, 미국 특허 제3,849,326호, 미국 특허 제3,779,932호, 일본 특허 제07-179328호, 일본 특허 제05-230496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96/38528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96/14827호,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95/04809호, 및 국제 특허출원 공개 제WO 95/16660호.
방향 화합물은 상기 천연 방향제 및 천연 추출물 성분의 기원이 되는 천연물질로부터 추출, 증류 등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고 인공적으로 합성될 수도 있는데,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를 포함한다: 펜에틸 알코올(phenethyl alcohol), 펜에틸 아세테이트(phenethyl acetate), 시스-헥세놀(cis-hexon-1-ol), 아네톨(anethol), 벤즈알데하이드,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포메이트, 아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캄펜(camphene), 시스-시트랄(cis-citral), 시트로넬라(citronella), 시트로넬롤(citronellol), 시트로넬릴(citronellyl) 아세테이트, ρ-시멘(cymene), 데카날(decanal), 다이하이드로 리날로올(dihydrolinalool), 다이하이드로 미르세놀(dihydromyrcenol), 다이메틸 페닐 카르비놀(carbinol), 유랄립톨, 제라니알(geranial), 제라니올(geraniol), 제라닐 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제라닐 니트릴(geranyl nitril),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citronellal), d-리모넨(limonene), 리날로올(linalool), 리날로올 옥사이드,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릴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 α-메틸 이오논(α-methyl ionone), 메틸 노닐 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 페닐카르비닐 아세테이트, 라에보-멘틸 아세테이트, 멘톤(menthone), 아이소-멘톤, 미르센(myrcene), 미르세닐 아세테이트(myrcenyl acetate), 미르세놀(myrcenol), 네롤(nerol), 네릴 아세테이트(neryl acetate), 노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알코올, α-피넨(α-pinene), β-피넨, γ-테르피넨(γ-terpinen),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β-테르피네올, 테르피닐 아세테이트(terpinyl acetate), ρ-터트-뷰틸 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아밀 신남산 알데하이드(amyl cinnamic aldehyde), 아이소-아밀 살리실레이트(iso-amyl salicylate),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세드렌(cedrene), 신남산 알코올(cinnamic alcohol), 코우마린(coumarins), 다이메틸 벤질 카르비닐 아세테이트(dimethyl benzyl carvinyl acetate), 에틸 바닐린(ethyl vanillin), 유제놀(eugenol), 아이소-유제놀, 플루오로아세테이트(fluoroacetate),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 3-시스-헥세닐 살리실레이트(3-cis-hexenyl salicylate), 헥실 살리실레이트, ρ-터트-뷰틸-알파-메틸 하이드로신남산 알데하이드, δ-메틸 이오논, 네롤리돌(nerolidol), 파출리 알코올, 페닐 헥사놀, β-셀리넨(β-selinene), 트라이클로로메틸 페닐 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바닐린(vanillin), 베라트르알데하이드, 뷰틸리덴 프탈라이드(butylidene phthalide), 벤조페논(benzophenon), 벤질 살리실레이트, 1,3,4,6,7,8-헥사하이드로-4,6,6,7,8,8-헥사메틸-시클로펜타-δ-2-벤조피란, 헥실 신남산 알데하이드, 4-(4-하이드록시-4-메틸 펜틸)-3-시클로헥센-10-카복시알데하이드, 메틸 세드릴론, 메틸 다이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 jasmonate), 메틸-β-나프틸 케톤, 머스크 인다논, 머스크 케톤, 머스크 티베텐, 및 페닐에틸 페닐 아세테이트. 상기 방향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는 필름, 부직포 및 필름/부직포 적층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는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배면 시트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블렌드하여 제조한 마스터배치(이하,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라 약칭함)를 일반적인 배플 마스터배치와 혼합한 후, 주조 또는 팽창 필름 압출, 또는 다른 적합한 필름-형성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T-다이 압출기를 통해 170 내지 240℃,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30℃에서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와 배플 마스터배지 혼합물을 캐스팅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향의 지속성 유지 면에서 적합하다.
이와 같이 T-다이를 통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와 배플 마스터배치를 목적하는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및 혼합한 후 T-다이 압출기 내부의 스크린 팩(screen pack) 장치를 통해 세밀한 분산을 유도하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 후, T-다이 압출기의 다이스를 통해 상기 마스터배치 혼합물을 압출하여 필름으로 캐스팅한다. 캐스팅한 필름은 냉각 롤(cooling roll)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향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롤의 온도를 일반적인 롤의 온도, 예컨대 20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보다 낮은 1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로 유지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후 필름을 원하는 폭에 따라 절단하고 권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필름 형태의 배면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조 공정에 일반적인 배면 시트 공정인 코로나 처리 또는 엠보싱 공정을 필요에 따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는 열가소성 중합체 30 내지 50%,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 0.00001 내지 20% 및 첨가제 40 내지 60%의 조성을 가지며, 배플 마스터배치는 열가소성 중합체 40 내지 60% 및 첨가제 60 내지 40%의 조성을 갖는다. 상기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 및 배플 마스터배치 중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충진제 입자 및 염료 등 목적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일 수 있다.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 및 배플 마스터배치의 각 열가소성 중합체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가소성 중합체로는 극저밀도 폴리에틸렌(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V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C3-C12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또는 C4-C12 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폴리프로필렌 주쇄 내의 어택틱(atactic) 및 아이소어택틱(isoatactic) 프로필렌 단위를 모두 포함하는 프로필렌-기재 중합체를 포함한 가용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코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아마이드 폴리에테르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코폴리(스티렌/에틸렌-뷰틸렌), 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스티렌-폴리(에틸렌-뷰틸렌)-스티렌,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뷰틸렌)/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에틸렌-뷰틸렌/스티렌) 등과 같은 화학식 A-B-A' 또는 A-B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2종의 마스터배치 혼합 시, 배플 마스터배치와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를 목적하는 비율로 다양하게 혼합할 수 있으나, 향의 지속성 유지 및 향의 바람직한 강도의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99:1 내지 40:60 중량%, 바람직하게는 96:4 내지 80:20 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용되는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의 양은 배면 시트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가 적합하다. 만약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이 0.0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향기의 방출이 매우 약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착용자의 분비물 또는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를 완화시키는 기능이 저하된다. 반면,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이 12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너무 강한 향기의 방출로 인하여 착용자 및 사용자에게 상쾌한 기분을 부여하는 기능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는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균일하게 함유하기 때문에 향기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은근한 향기를 지속적으로 방출하여 착용자의 분비물 또는 장시간 착용에 의해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를 소취(odor absorbing) 및 방취(odor masking)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 고유의 약리효과와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한약재 추출물과 같은 천연 추출물은 천연 원료 고유의 향에 의해 분비물의 냄새를 소취 및 방취할 수 있고 그 성분 자체의 약리효과, 예컨대 항균, 항염증, 생리불순 및 생리통 완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필름은 그대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용품의 배면 시트로 사용할 수 있으나, CaCO3와 같은 충진제 입자를 첨가한 배플 마스터배치를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와 함께 캐스팅하여 제조한 필름을 예열 공정, 신장 공정 및 열 고정 공정의 3단계를 거쳐 단축으로 또는 이축으로 신장시켜 통기성을 부여한 필름으로 제조하여 배면 시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신장 공정은 2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신장 온도는 방향제의 증발 및 분해를 고려하여 설정하는데, 2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45℃가 적합하고, 신장율은 16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220%가 적합하다. 열 고정 공정은 방향제의 증발 및 분해를 고려하여,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신장된 필름은 구조적 일체성 및 액체 불투과성을 가능하게 하는 두께를 가져야 하는데, 예컨대 신장 후의 필름은 50 내지 300 미크론, 바람직하게는 100 미크론의 두께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는 상기한 배플 마스터배치 및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한 스펀본디드(spunbonded), 멜트블로운(melt blown), 써멀-본디드 카디드 웹(thermal-bonded carded web), 쓰루-에어 본디드 카디드 웹(thru-air bonded carded web), 스펀레이스(spunlace),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SMS) 또는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SMMS)의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 또는 스펀본디드-멜트블로운-멜트블로운-스펀본디드의 부직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는 용매형 아교(solvent type glue), 핫멜트 접착제(hot melt adhesive) 또는 콜드 아교(cold glue)와 같은 접착제 또는 열접착을 이용하여 상기 방향제 함유 필름을 일반 부직포와 적층하거나, 또는 상기 방향제 함유 부직포를 일반 필름과 적층하거나, 또는 상기 방향제 함유 필름과 상기 방향제 함유 부직포를 적층한 필름/부직포 적층물일 수 있다. 이때, 적용되는 방향제의 적용량은 필름/부직포 적층물의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2 중량% 정도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는 당업계에 공지된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및 흡수 코어와 함께 통상의 일회용 흡수용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면 시트가 적용될 수 있는 일회용 흡수용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아 또는 실금자용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배변 훈련용 속팬츠,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팬티라이너(panty liner), 흡수성 속옷, 수유 패드, 기타 여성 위생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상부 시트는 다공성 발포체, 망상조직화된 발포체, 천공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 천연섬유, 합성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배합물과 같은 광범위한 종류의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시트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또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스펀본디드 섬유 웹 또는 천연섬유 및/또는 합성섬유로 구성된 본디드 카디드 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 시트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소수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거나, 목적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액체 투과성을 부여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상부 시트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하는 미국 특허 제5,879,343호, 미국 특허 제5,490,846호, 미국 특허 제5,364,382호 및 미국 특허출원 제09/209,177호 등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흡수 코어는 초흡수제 입자, 목재 펄프 플러프 섬유, 합성 위드(weed) 펄프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들의 배합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흡수 코어는 각종 형상일 수 있으며, 그의 크기는 목적하는 흡수용량, 흡수용품의 목적하는 용도, 및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게 공지되어 있는 그 밖의 인자들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흡수 코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함은 당 분야의 업자들에게는 매우 자명한 일이다.
< 실시예 1>
하기 표 2에 기재된 천연 방향제 및 표 3에 기재된 방향 화합물을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에 용해시켜 제조한 방향제 성분 10%, 저밀도 폴리에틸렌 40% 및 산화방지제인 트리스(2,4-다이-터트-뷰틸페닐)포스페이트와 테트라키스(메틸렌 3-(3,5-다이-터트-뷰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의 혼합물 50%로 이루어진 방향제 함유 마스터배치 15 중량%를 저밀도 폴리에틸렌 8%,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9.3%, CaCO3 51% 및 TiO2 1.7%로 이루어진 배플 마스터배치 85 중량%와 혼합한 후 T-다이 압출기를 통해 약 200℃에서 캐스팅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은 다양한 방향 성분을 용해하고 상용성(compatibility) 및 향기 지속성(scent duration) 증진을 위한 기질용매로 사용되었다.
성분 식물명 과명 함량(%)
파출리유 포고스테몬 칼빈 꿀풀과 10 내지 20
클로브유 유제니아 카리오필러스 도금양과 1 내지 10
레몬유 시트러스 리모늄 운향과 1 내지 10
측백엽유 튜자 오시덴탈리스 측백나무과 1 내지 10
성분 함량(%)
3-뷰틸리덴 프탈라이드(3-butylidene phthalide) 1 내지 10
펜에틸 알코올(phenethyl alcohol) 1 내지 10
펜에틸 아세테이트(phenethyl acetate) 1 내지 10
시스-3-헥세놀(cis-3-hexon-1-ol) 0.1 내지 1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필름을 약 40℃의 신장 온도에서 약 200%의 신장율로 단축 신장시켜 통기성 배면 시트용 필름을 제조하였고, 이 필름을 배면 시트로 사용하여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1 내지 10%의 헤디온(hedione), 0.1 내지 1%의 파출리유, 0.1 내지 1%의 클로브유, 0.1% 이하의 유칼립톨, 0.1% 이하의 라벤다유, 0.1% 이하의 에틸 바닐린(ethyl vanillin) 및 0.1% 이하의 티몰(thymol)을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에 용해시켜 제조한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통기성 배면 시트용 필름을 제조한 후 이 필름을 사용하여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40 내지 50%의 로즈마리 엽유, 30 내지 40%의 테르피네올 및 1 내지 10%의 DL-캄포를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에 용해시켜 제조한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통기성 배면 시트용 필름을 제조한 후 이 필름을 사용하여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10 내지 20%의 헤디온, 1 내지 10%의 벤질 아세테이트, 1 내지 10%의 베르가못유, 1 내지 10%의 β-이오논, 1 내지 10%의 뷰틸리덴 프탈라이드, 1 내지 10%의 팬넬유(회향), 1 내지 10%의 라임유, 1 내지 10%의 리날릴 아세테이트, 1 내지 10%의 육두구유, 1 내지 10%의 파출리유, 1 내지 10%의 스티랄일 아세테이트, 1 내지 10%의 테르피네올, 1 내지 10%의 테르피닐 아세테이트, 0.1 내지 1%의 α-다마스콘, 0.1 내지 1%의 아네톨, 0.1 내지 1%의 쑥유, 0.1 내지 1%의 카모마일유, 0.1 내지 1%의 시스-3-헥세놀, 0.1 내지 1%의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0.1 내지 1%의 클로브 엽유(정향), 0.1 내지 1%의 에틸 바닐린, 0.1 내지 1%의 제라닐 아세테이트, 0.1 내지 1%의 진저유, 0.1 내지 1%의 레몬유, 0.1 내지 1%의 페닐 에틸아세테이트 및 0.1 내지 1%의 세이지유를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에 용해시켜 제조한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통기성 배면 시트용 필름을 제조한 후 이 필름을 사용하여 팬티라이너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상기와 같이 제조된 팬티라이너의 향에 대한 선호도를 한약재 분말이 직접 팬티라이너의 흡수 코어에 적용된 제품을 비교군으로 하여 블라인드 테스트(blind test)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팬티라이너와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팬티라이너를 육안으로 제품 식별이 불가능한 봉투에 넣은 후 29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제품의 냄새를 맡게 하여 향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한약재 분말이 직접 적용된 비교군은 오히려 향이 너무 강하고 지속성이 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의 팬티라이너는 은은한 강도로 지속적인 향을 발산하는 것으로 평가되어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 실험예 2>
본 발명에서 방향제로 사용될 수 있는 한약재 추출물의 소취 및 방취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감초, 마치현, 은행잎, 갈근, 어성초, 목단피, 비파엽, 죽여, 하수오, 금은화, 창포, 녹차, 감잎 및 카모마일 추출물들의 소취효과를 체취와 가장 유사한 이소길초산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건조 후 분쇄한 각각의 한약재 3 ㎏에 15 ℓ의 물을 가한 후, 37℃로 가열하면서 2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하고 냉각 및 여과한 후 회전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한약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플라스크에 준비된 한약재 추출물 1 ㎖과 이소길초산 1 ㎖을 넣고 가스 검지관을 꽂은 후 플라스크를 완전히 밀봉하였다. 30분 경과 후, 가스 채취기를 이용하여 1분간 흡입한 후 검지관 내 발색시약의 변한 정도를 ppm 단위로 측정하여 소취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이소길초산에 대한 소취율은 감초 추출물이 94%로 가장 높았고, 마치현 추출물은 90%, 은행잎 추출물은 87%, 갈근 추출물은 84%, 어성초 추출물은 83%, 목단피 추출물은 82%,비파엽 추출물은 81%의 우수한 소취율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추출물 역시 50% 이상의 소취율을 나타내어, 이들 한약재 추출물이 배면 시트에 함유될 경우 상기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은 흡수된 질 분비물, 냉/대하, 생리혈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소취 및 방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흡수용품은 배면 시트에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균일하게 함유하기 때문에 방향제 성분이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도 일정한 강도의 향기를 지속적으로 제품에 부여하여 소비자에게 제품에 대한 높은 호감도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면 시트에 함유되는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은 소취 및 방취효과뿐만 아니라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천연물 고유의 약리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다.

Claims (10)

  1. 액체 투과성 상부 시트, 흡수 코어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로 구성된 일회용 흡수제품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트가 정유 추출법에 의해 얻어진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또는 천연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를 기질 용매에 용해시킨 후 배면 시트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블렌드하고 이를 배플 마스터배치와 혼합한 것을 사용하여 제조된, 캡슐화되지 않은 1종 이상의 천연 방향제 또는 천연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를 함유하는 배면 시트이고, 상기 기질 용매는 다이프로필렌 글라이콜(dipropylene glycol), 다이옥틸 아디페이트(dioctyl adipate, DOA),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IPM),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 PG) 및 플로랄린(floraly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방향제가 식물성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이 그레이프프루트(Citrus paradisi), 네롤리(Citrus aurantium), 니아울리(Melaeuca viridiflora),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레몬(Citrus limonum), 레몬그라스(Cymbopogon citratus), 로즈(Rosa damascena, R. centifolia, R. gallica),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 로즈우드(Aniba rosaeodora), 마조람(Origanum majorana), 만다린(Citrus reticulata), 멜리사(Melissa officinalis), 몰약(Commiphora myrrha), 바질(Ocimum basilicum), 베르가못(Citrus bergamia), 베티버(Veriveria zizanoides), 블랙페퍼(Piper nigrum), 사이프러스(Cupressus sempervirens), 샌들우드(Santalum album), 스피어민트(Metha spicata), 시나몬(Cinnamomum zeylanicum), 시더우드(Cedrus atlantica), 시트로넬라(Cymbopogon nardus), 야로(Achillea milleflium), 오렌지스위트(Citrus sinensis), 유칼립투스(Eucalyptus globulus), 일랑일랑(Canaga odorata), 자스민(Jasminum grandiflorum),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주니퍼베리(Juniperus communis), 진저(Zingiber officinale), 카모마일 로먼(Chamaemelum nobile), 카모마일 저먼(Matricaria recutita), 코리앤더(Coriandrum sativum), 클라리 세이지(Salvia sclarea), 클로브 버드(Eugenia caryophyllus), 타임(Thymus vulgaris),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 파인(Pinus sylvestris), 파출리(Pogostemon cablin), 팔마로사(Cymbopogon martinii), 팬넬(Foeniculum vulgare), 페퍼민트(Mentha piperita), 히솝(Hyssopus officinalis), 라임(Citrus aurantifolia), 린덴블로섬(Tilia europaea), 머를(Mytus communis), 바이올렛(Viola odorata), 버베나(Lippia citriodra), 버치(Betula alleghaniensis(yellow), B. pendula(silver), B. lenta(cherry)), 베이(Laurus nobilis), 베티버(Andropogon muricatus), 벤조인(안식향)(Styrax benzoin), 카다몸(Elettaria cardamomum), 카모마일(Anthemis nobilis), 카유푸 트(Melaleuca leucadendron), 캄포(Cinnamomun camphora), 탄제린(Citrus reticulata), 페티그렌(Citrus vulgaris), 측백엽(Thuja occidentalis L.) 및 프랑킨센스(유향)(Boswellia carteri)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추출물이 정향, 감초, 마치현, 은행잎, 갈근, 어성초, 목단피, 비파엽, 죽여, 하수오, 금은화, 창포, 녹차, 감잎, 고삼, 자몽, 유자, 쑥, 당귀 및 육두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원료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1종 이상의 방향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화합물이 뷰틸리덴 프탈라이드(butylidene phthalide), 펜에틸 알코올(phenethyl alcohol), 펜에틸 아세테이트(phenethyl acetate), 시스-헥세놀(cis-hexon-1-ol), 아네톨(anethol), 벤즈알데하이드, 벤질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포메이트, 아이소-보르닐 아세테이트, 캄펜(camphene), 시스-시트 랄(cis-citral), 시트로넬라(citronella), 시트로넬롤(citronellol), 시트로넬릴(citronellyl) 아세테이트, ρ-시멘(cymene), 데카날(decanal), 다이하이드로 리날로올(dihydrolinalool), 다이하이드로 미르세놀(dihydromyrcenol), 다이메틸 페닐 카르비놀(carbinol), 유랄립톨, 제라니알(geranial), 제라니올(geraniol), 제라닐 아세테이트(geranyl acetate), 제라닐 니트릴(geranyl nitril), 시스-3-헥세닐 아세테이트, 하이드록시시트로넬랄(citronellal), d-리모넨(limonene), 리날로올(linalool), 리날로올 옥사이드,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 리날릴 프로피오네이트,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 α-메틸 이오논(α-methyl ionone), 메틸 노닐 아세트알데하이드, 메틸 페닐카르비닐 아세테이트, 라에보-멘틸 아세테이트, 멘톤(menthone), 아이소-멘톤, 미르센(myrcene), 미르세닐 아세테이트(myrcenyl acetate), 미르세놀(myrcenol), 네롤(nerol), 네릴 아세테이트(neryl acetate), 노닐 아세테이트, 페닐에틸 알코올, α-피넨(α-pinene), β-피넨, γ-테르피넨(γ-terpinen), α-테르피네올(α-terpineol), β-테르피네올, 테르피닐 아세테이트(terpinyl acetate), ρ-터트-뷰틸 시클로헥실 아세테이트, 아밀 신남산 알데하이드(amyl cinnamic aldehyde), 아이소-아밀 살리실레이트(iso-amyl salicylate),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세드렌(cedrene), 신남산 알코올(cinnamic alcohol), 코우마린(coumarins), 다이메틸 벤질 카르비닐 아세테이트(dimethyl benzyl carvinyl acetate), 에틸 바닐린(ethyl vanillin), 유제놀(eugenol), 아이소-유제놀, 플루오로아세테이트(fluoroacetate), 헬리오트로핀(heliotropin), 3-시스-헥세닐 살리실레이트(3-cis-hexenyl salicylate), 헥실 살리실레이트, ρ-터트-뷰틸-알파-메틸 하이드로신남산 알데하이드, δ-메틸 이오논, 네롤리돌(nerolidol), 파출리 알코올, 페닐 헥사놀, β-셀리넨(β-selinene), 트라이클로로메틸 페닐 카르비닐 아세테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바닐린(vanillin), 베라트르알데하이드, 벤조페논(benzophenon), 벤질 살리실레이트, 1,3,4,6,7,8-헥사하이드로-4,6,6,7,8,8-헥사메틸-시클로펜타-δ-2-벤조피란, 헥실 신남산 알데하이드, 4-(4-하이드록시-4-메틸 펜틸)-3-시클로헥센-10-카복시알데하이드, 메틸 세드릴론, 메틸 다이하이드로 자스모네이트(methyl dihydro jasmonate), 메틸-β-나프틸 케톤, 머스크 인다논, 머스크 케톤, 머스크 티베텐, 및 페닐에틸 페닐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방향제 또는 천연 추출물 또는 이 둘 모두가 배면 시트의 총 중량에 대해 0.01 내지 12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시트가 0.05 내지 0.1% 파출리유, 0.005 내지 0.05% 클로브유, 0.005 내지 0.05% 레몬유, 0.005 내지 0.05% 측백엽유, 0.005 내지 0.05% 3-뷰틸리덴 프탈라이드, 0.005 내지 0.05% 펜에틸 알코올, 0.005 내지 0.05% 펜에틸 아세테이트 및 0.005 내지 0.05% 시스-3-헥세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KR1020070042026A 2007-04-30 2007-04-30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KR10138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026A KR101380554B1 (ko) 2007-04-30 2007-04-30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2026A KR101380554B1 (ko) 2007-04-30 2007-04-30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995A KR20080096995A (ko) 2008-11-04
KR101380554B1 true KR101380554B1 (ko) 2014-04-02

Family

ID=4028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026A KR101380554B1 (ko) 2007-04-30 2007-04-30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05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316A (ko) * 2014-05-19 2015-11-30 한국화학연구원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20210009562A (ko) * 2019-07-17 2021-0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20220144197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7018B1 (ko) * 2009-03-23 2011-10-26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5574B1 (ko) * 2009-04-06 2012-01-17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방충효과를 나타내는 캡슐화된 천연식물 추출물이 적용된 일회용 흡수용품
US9399078B2 (en) 2009-12-17 2016-07-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scented and low scented malodor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EP2606914A1 (en) * 2011-12-20 2013-06-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fragrance or odor control composition
WO2013154899A2 (en) * 2012-04-10 2013-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lodor reduction compositions
KR101978146B1 (ko) 2012-10-31 2019-05-15 (주)아모레퍼시픽 대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439882B1 (ko) * 2012-12-06 2014-09-12 한아름 기능성 캘린더
KR101428370B1 (ko) * 2013-03-12 2014-08-0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네롤리 향취를 재현한 천연향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화장료조성물
WO2015017603A1 (en) 2013-08-01 2015-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s comprising malodor reduction compositions
KR102108501B1 (ko) 2013-11-29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제주도 구상나무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085177B1 (ko) 2013-12-05 2020-03-05 (주)아모레퍼시픽 목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382201B1 (ko) * 2013-12-23 2014-04-07 주식회사 해인인터내셔널 원적외선 방사 액상제제를 함유하는 위생용 흡수물품의 제조방법
ES2930266T3 (es) * 2016-06-29 2022-12-09 Takasago Perfumery Co Ltd Composiciones de fragancia y métodos de uso de las mismas
KR102171948B1 (ko) * 2019-06-26 2020-11-02 (주)에스디생명공학 허브 혼합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진균 조성물
KR102363321B1 (ko) * 2020-05-06 2022-02-14 목진완 두뇌의 쾌적 및 활발한 각성상태로 만들어주는 그린 시트러스 향취의 조합향료
PL444202A1 (pl) * 2023-03-24 2024-09-30 Eko-Styl Rental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półka Komandytowa Jednorazowy wyrób chłonny dla osób dorosły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4120A (ko) * 2003-12-04 2005-06-10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방향제 함유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KR20050087618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취제 조성물
KR20050099105A (ko) * 2004-04-08 2005-10-13 (주)보성녹차테크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KR100586198B1 (ko) 2003-01-07 2006-06-0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생리대용 방취 방수막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198B1 (ko) 2003-01-07 2006-06-0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생리대용 방취 방수막 필름
KR20050054120A (ko) * 2003-12-04 2005-06-10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방향제 함유 배면 시트를 포함하는 흡수용품
KR20050087618A (ko) * 2004-02-27 2005-08-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취제 조성물
KR20050099105A (ko) * 2004-04-08 2005-10-13 (주)보성녹차테크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316A (ko) * 2014-05-19 2015-11-30 한국화학연구원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101640061B1 (ko) 2014-05-19 2016-07-18 한국화학연구원 향기 지속성이 향상된 액상 섬유 탈취제 조성물
KR20210009562A (ko) * 2019-07-17 2021-01-2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102244814B1 (ko) 2019-07-17 2021-04-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20220144197A (ko) *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814B1 (ko) * 2021-04-19 2023-10-2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995A (ko) 200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554B1 (ko)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JP6077554B2 (ja) 薬用花を活用した包み発酵法およびこれを活用した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105574B1 (ko) 방충효과를 나타내는 캡슐화된 천연식물 추출물이 적용된 일회용 흡수용품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11110898A (zh) 一种具有香精的本草原露雾化液
JP2005501851A (ja) 毒素を除去するための組成物
CN108635441B (zh) 复方精油组合物、其应用以及改善睡眠的产品
CN108785200B (zh) 一种抗菌、祛痘、抗皱的银离子保湿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CN114246925A (zh) 一种中药精油及其应用
CN111150822A (zh) 一种多功能本草原露雾化液
CN105326753A (zh) 一种淡化唇纹滋养唇膏及其制备方法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104127813A (zh) 一种治疗气血两虚型褥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323659B1 (ko)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CN105520849B (zh) 一种舒缓身体经脉的外用精油
CN103933405A (zh) 用于治疗气血两虚型烧伤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437368A (zh) 一种本草原露雾化液
CN106693035B (zh) 植物抑菌除味功能的卫生巾芯片
CN103655382A (zh) 一种用于痤疮色素沉着的复方精油
CN108685805B (zh) 一种养颜美容艾碳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5288096A (zh) 一种治疗青春痘的药物
EP3836948A1 (de) Tampon
JPH02264663A (ja) 芳香消臭剤
CN109157426A (zh) 一种含有4-松油醇的皮肤护理剂及其制备方法
JP2002249435A (ja) 血行促進組成物及び貼付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