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4197A -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4197A
KR20220144197A KR1020210050570A KR20210050570A KR20220144197A KR 20220144197 A KR20220144197 A KR 20220144197A KR 1020210050570 A KR1020210050570 A KR 1020210050570A KR 20210050570 A KR20210050570 A KR 20210050570A KR 20220144197 A KR20220144197 A KR 2022014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weight
mixed
perfume
plant ess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2814B1 (ko
Inventor
오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Priority to KR102021005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81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천연 식물을 이용한 혼합 식물 정유를 사용하여, 합성 원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향 지속성 및 피부 저자극의 향수,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향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향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Perfume composition using mixed essential oils, Perfume using the sam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식물 정유 등을 이용한 향수,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향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외모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는 재료로서 각종 화장품 및 향수 등이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한편, 향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서 향을 내는 물질들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한 후 알코올 등에 용해시켜 제조하고, 신체의 일부분이나 옷에 뿌려 사용하며,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체온 또는 체취와 함께 섞여서 향기를 발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수를 신체 또는 의복에 사용하면, 신체로부터 발산되는 나쁜 냄새가 저감 또는 차단되고, 향수로부터 발산되는 좋은 향기에 의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호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남녀를 불문하고 현대인들에게 매우 선호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향수의 주요 성분으로 첨가 혼합되는 향을 내는 물질로는 천연향료와 화학합성 향료가 있는데, 현재 대량으로 생산되는 향수에 첨가되는 향료는 대부분 화학합성 향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학합성 향료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향수의 경우 향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쉽게 싫증나는 것은 물론, 향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다른 화학성분이 함유됨으로 피부에 알러지(Alergy) 반응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으며, 인체에 유용한 약리기능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의 식물정유를 이용한 향수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2-0001111호(공개일 2012.01.04)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특2003-0006163호(공개일 2003.01.23)
이에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합성 원료의 사용을 지양하면서도, 백리향 등의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보존성이 우수하고,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이 없고, 좋은 향기의 지속성이 우수한 향수를 제조할 수 있는 최적 조성 및 조성비를 알게되어 완성된 발명이다. 즉, 본 발명은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은 혼합 식물 정유, 쿠마린, 시트로넬올, 에틸알코올, 계면활성제, 보습제, 보존제, 혼합꽃 수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향수 조성물을 숙성시킨 숙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향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혼합 식물 정유, 쿠마린, 시트로넬올, 에틸알코올, 계면활성제, 보습제, 보존제, 혼합꽃 수 및 정제수를 혼합 및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혼합액을 숙성시켜서 숙성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숙성물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향수 조성물로 제조한 향수는 유해 합성원료를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향수 제품 또는 화장료로 사용시, 피부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향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향수를 향료 원료로 하여 천연 방향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향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는 향수 조성물을 혼합 및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혼합액을 숙성시켜서 숙성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숙성물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한다.
1단계의 상기 향수 조성물은 혼합 식물 정유, 쿠마린, 시트로넬올, 에틸알코올, 계면활성제, 보습제, 보존제, 혼합꽃 수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향수 조성물 성분 중 상기 혼합 식물 정유는 섬백리향 정유, 감국꽃잎 정유, 소회향 정유 및 어수리 잎 정유를 포함한다.
섬백리향은 좋은 향을 발산시키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서 인체에 유용한 약리기능을 갖는 식물의 일종으로서 울릉도의 도동주변 일원에 분포되어 자생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로서,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그리고, 스쿠텔라레인-헤테로사이드(Scutellarein-heteroside), 루테올린-7-글루코사이드(Luteoline-7-glucoside), 아피게닌(Apigenin) 등의 플라본류와 식물 정유 성분에는 티몰(Tymol), 리날로올(Linalool), 카바크롤(Carvacrol), p-사이멘(p-Cymene), γ-테르피넨(Terpinene), α-테르피네올(Terpineol), 징기베렌(Zingiberene), 보르네올(Borneol) 등이 주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섬백리향에는 티몰(Tymol), p-사이멘(p-Cymene), 리날로올(Linalool)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섬백리향 특유의 향기가 발산되며, 전초 또는 꽃의 전재는 기관지염, 인후염, 백일해, 상부 호흡기질환에 대한 진정, 진경의 약효가 있으며, 위통이나 류마티스, 치통 등에 효과가 있고, 혈당강하작용, 항산화작용 등의 약리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섬백리향 정유는 말린 섬백리향의 꽃과 잎사귀 및 줄기를 잘게 절단한 다음 증류 장치에서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일정 양의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킨 다음 18 ~ 36시간 동안 냉장 보관한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한 섬백리향 정유를 수득할 수 있다.
감국은 황국(黃菊)이라고도 하며, 주로 산에서 자란다. 풀 전체에 짧은 털이 나 있고 줄기의 높이는 60 ~ 90cm이며 검은색으로 가늘고 길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달걀 모양인데 보통 깃꼴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다.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9 ~ 10월에 줄기 윗부분에 산방꼴로 두화(頭花)가 핀다. 꽃은 지름 2.5cm 정도이며, 설상화(舌狀花)는 노란색이나 흰색도 있다. 감국꽃은 진한 향기가 있어 관상용으로도 가꾸며, 한방에서 열감기·폐렴·기관지염·두통· 위염·장염·종기 등의 치료에 처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혼합 식물 정유는 감국꽃의 잎의 정유를 사용하며, 말린 감국꽃의 잎을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일정 양의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킨 다음 18 ~ 36시간 동안 냉장 보관한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한 감국꽃잎 정유를 수득할 수 있다.
소회향은 회향(Foeniculum vulgare)의 열매로, 신(腎)을 따뜻하게 해주고 한기(寒氣)를 흩어주고 기(氣)의 순환을 돕고 위(胃)를 편안하게 하고 지통(止痛)하고 비(脾)를 튼튼히 하고 위(胃)를 열어주고 장(腸)을 통(通)하게 하는 효능을 가진 약재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식물 정유는 소회향 정유를 사용하며, 말린 소회향을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일정 양의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킨 다음 18 ~ 36시간 동안 냉장 보관한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소회향 정유를 수득할 수 있다.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70 ~ 150cm이며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로 줄이 있으며 거친 털이 있고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며 털이 있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며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본 발명의 혼합 식물 정유는 어수리의 잎 정유를 사용하며, 말린 어수리 잎을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일정 양의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킨 다음 18 ~ 36시간 동안 냉장 보관한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어수리 잎 정유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식물 정유는 섬백리향 정유, 감국꽃잎 정유, 소회향 정유 및 어수리 잎 정유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감국꽃잎 정유 15 ~ 20 중량%, 소회향 정유 10 ~ 16 중량%, 어수리 잎 정유 3 ~ 8 중량% 및 잔량의 섬백리향 정유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국꽃잎 정유 16 ~ 18 중량%, 소회향 정유 10 ~ 12 중량%, 어수리 잎 정유 3 ~ 5 중량% 및 잔량의 섬백리향 정유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향수 조성물 내 상기 혼합 식물 정유의 함량은 4 ~ 8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 7.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0 중량%이며, 혼합 식물 정유 함량이 4 중량% 미만이면 향이 다소 약할 수 있으며, 8 중량%를 초과하면 향이 오히려 너무 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향수 조성물은 보조 향료로서 쿠마린(coumarin, 2H-chrome-2-one)을 포함한다. 쿠라민은 무색의 결정체로서 방향성 유기 화학 물질이며,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식물 방어 반응에 관여하는 항미 생물, 항산화 물질의 총칭인 피토알렉신의 한 종류로 알려져 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향수 조성물 내 쿠마린 함량은 0.1 ~ 0.4 중량%, 바람직하게는 0.15 ~ 0.3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6 ~ 0.3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향수의 전반적인 향 균형 측면에서 좋다.
또한, 상기 향수 조성물은 보조 향료로서 시트로넬올(citronellol)을 포함한다. 시트로네올은 향미 화합물인 터펜 알코올의 하나로 달콤한 장미향이 나는 액체로서, 과일, 방향유, 생강, 포도 따위에 들어 있으며, 식품 첨가물의 하나로 착향료로 쓰이기도 한다. 본 발명의 향수 조성물 내 시트로네올 함량은 0.2 ~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30 ~ 0.6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5 ~ 0.5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향수의 전반적인 향 균형 측면에서 좋다.
다음으로, 상기 향수 조성물은 에틸알코올을 포함하며, 에틸알코올은 혼합 식물 정유를 용해시켜 혼합꽃 수 및 정제수 등과 잘 혼합되는 역할을 한다. 향수 조성물 내 에틸알코올의 함량은 5 ~ 9 중량%, 바람직하게는 6 ~ 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9.0 중량%이며, 에틸알코올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면 혼합 식물 정유가 다른 조성물들과 용해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9 중량%를 초과 사용하는 것은 과량 사용이고,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혼합꽃 수 등의 함량이 줄을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향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계면활성제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 : 2 ~ 3 중량비로 혼합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 : 2.2 ~ 2.8 중량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4 ~ 2.7 중량비로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향수 조성물 내 계면활성제 함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량비가 2 중량비 미만이면 혼합 식물 정유와 쿠마린, 시트로넬올 등의 상용성, 혼화성이 떨어질 수 있고, 3 중량비를 초과 사용하면 오히려 보습제 및 보존제가 다른 조성물들과의 혼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중량비 범위로 혼합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쿼터늄-60(Quaternium-60) 및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쿼터늄-6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의 다가알코올형 비이온계면활성제에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부가시킨 수용성 에테르형 비이온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향수 조성물 내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2 ~ 4 중량%, 바람직하게는 2.2 ~ 3.6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3.0 중량%이며, 계면활성제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조성물들간 상용성이 떨어지고, 보습제 성분이 다른 성분들과 잘 혼화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4 중량%를 초과 사용하면 과량 사용이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향수 조성물은 보습제를 포함하며, 보습제는 향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습제로는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글리세린(Glycerin), 바타인(Bataine), 트레할로즈(Trehalose), 알란토인(Allantoin),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니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아데노신(Adenosine), 스쿠알란(Squalane), 디메티콘(Dimethicone), 베타글루칸(Beta Glucan)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중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레스-26, 글리세린, 바타인, 트레할로즈, 알란토인, 스쿠알란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레스-26, 글리세린, 스쿠알란 및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향수 조성물 내 보습제의 함량은 4 ~ 6 중량%, 바람직하게는 4.2 ~ 5.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2 ~ 5.0 중량%이며, 보습제 함량이 4 중량% 미만이면 향 지속 안정성이 부족할 수 있고, 6 중량%를 초과하면 향수의 점도가 증가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향수 조성물 중 상기 보존제는 천연 보존제 및/또는 메틸파라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수 있는 메틸파라벤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 보존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천연 보존제는 연교 및 산사의 혼합물을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사(山)는 산사나무속의 식물로서 거칠어진 피부를 부드럽게 하며 여드름이나 주근깨 기미 등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으며, 함유된 트리테르펜 사포닌 성분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나추어주는 효능이 있어 혈압의 하강에 도움을 주어 동맥경화 및 고혈압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연교(連翹)는 물푸레나무과의 의성개나리의 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쓰고 성질은 약간 차다. 또한 열을 내리고 해독하므로 온열병 초기에 심장의 열을 내리고 고열과 정신혼몽에 쓰며, 종기, 반진, 맹장염, 폐녹양, 림프절염, 인후염 등에 사용하고 이뇨, 소염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혈압강하, 지혈작용, 간치료작용, 해열, 진통, 이뇨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천연 보존제는 건조된 연교, 산사를 1 : 3.0 ~ 3.5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물을 추출 용기에 넣은 다음 추출용매를 넣고 침적시킨 후에 70 ~ 90℃ 온도 조건에서 2 ~ 6시간 동안 추출한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시켜서 수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시 분쇄물 사용량은 추출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물 20 ~ 50 중량부를, 바람직하게는 30 ~ 45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4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분쇄물 사용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과량의 용매를 사용하게 되어 경제성 및 농축의 어려움이 있고,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오히려 추출 수율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로 분쇄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추출방법은 열수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로 1 ~ 2회 추출할 수 있는데, 3회 이상은 유효성분의 감소로 인하여 효능성분으로서 의미가 없게 될 수 있다.
향수 조성물 전체 중량 중 상기 보존제의 함량은 0.5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7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7 ~ 0.9 중량%이며, 보존제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향수 장기 보존성이 떨어질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과량 사용으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향수 조성물 중 혼합꽃 수는 정제수와 함께 조성물의 용매 역할, 향수의 향을 조화롭게 하는 역할 및 피부에 적용시 자극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라벤더꽃 수, 포트마리골드꽃 수 및 녹차잎 수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라벤더꽃 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포트마리골드꽃 수 5 ~ 20 중량부 및 녹차잎 수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라벤더꽃 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포트마리골드꽃 수 10 ~ 18 중량부 및 녹차잎 수 15 ~ 2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혼합꽃 수는 라벤더꽃, 포트마리골드꽃, 및/또는 녹차잎 각각 또는 이들을 혼합한 혼합물을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기에 증류수와 1 : 15 ~ 20 중량비로, 바람직하게는 1: 18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약 50 ~ 70℃에서 5 ~ 10시간 동안 추출하는 1단계; 1단계의 추출물을 진공 저온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하는 2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향수 조성물 내 혼합꽃 수의 함량은 20 ~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2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2.0 ~ 25.0 중량%이며, 혼합꽃 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경제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향수 조성물 내 정제수는 앞서 설명한 혼합 식물 정유, 쿠마린, 시트로넬올, 에틸알코올, 계면활성제, 보습제, 보존제, 혼합꽃 수 외 나머지 잔량 100 중량%이다.
또한, 상기 향수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조성 외에 향수의 향 및 피부 자극을 가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색소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2단계는 앞서 설명한 향수 조성물을 혼합한 후, 35 ~ 45℃에서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액을 숙성시켜서 숙성물을 수득하는 공정이다. 상기 숙성은 혼합액을 용기에 담은 후, 밀봉시킨 다음, 3 ~ 5℃ 에서 70 ~ 90일 동안, 바람직하게는 3 ~ 5℃ 에서 70 ~ 80일 동안 숙성시켜서 숙성물을 수득한다.
그리고, 3단계는 상기 숙성물을 당업계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여과하여 침전물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를 수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향수 조성물을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본 발명의 향수는 유해 합성원료를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향수 또는 화장품의 화장료로 사용시, 피부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는 피부 저자극 제품이며, 향 지속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향수를 향료 원료로 하여 천연 방향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준비예 1 : 혼합 식물 정유 제조
(1) 말린 섬백리향의 꽃과 잎사귀 및 줄기를 준비한 후, 이들을 잘게 절단한 다음 증류 장치에서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킨 다음 24시간 동안 약 3℃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한 섬백리향 정유를 수득하였다.
(2) 말린 감국꽃의 잎을 잘게 절단한 다음 증류 장치에서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수득한 후, 이를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킨 다음 24간 동안 약 3℃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순수한 감국꽃잎 정유를 수득하였다.
(3) 말린 소회향을 잘게 절단한 다음 증류 장치에서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수득한 후, 이를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켰다. 다음으로, 20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소회향 정유를 수득하였다.
(4) 말린 어수리 잎을 잘게 절단한 다음 증류 장치에서 증류추출법으로 얻은 식물 정유를 수득한 후, 이를 무수황산마그네슘과 혼합한 후, 밀봉시켰다. 다음으로, 30시간 동안 냉장 보관하였다. 그 후, 필터링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어수리 잎 정유를 수득하였다.
(5) 상기 감국꽃잎 정유 17.2 중량%, 소회향 정유 10.8 중량%, 어수리 잎 정유 4.3 중량% 및 잔량의 섬백리향 정유를 혼합하여 혼합 식물 정유를 제조하였다.
준비예 2 : 천연 보존제의 제조
건조시킨 연교 및 산사를 1 : 3.3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쇄물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물을 추출 용기에 넣은 다음 물(추출용매)를 넣고 침적시킨 후에 약 75 ~ 80℃ 온도 조건에서 4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한 다음, 필터링하여 불순물을 제조한 후, 냉각시켜서 천연 보전제를 수득하였다.
이때,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쇄물을 38 중량부로 침적시켰다.
준비예 3 : 혼합꽃 수의 제조
건조된 라벤더꽃, 건조된 포트마리골드꽃 및 건조된 녹차잎을 혼합한 혼합물을 초고속 진공저온 추출기에 증류수와 1 : 18.8 중량비로 혼합한 후, 55 ~ 60℃에서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열수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진공 저온 추출기에 넣고, 농축 및 방냉시켜서 혼합꽃 수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 향수의 제조
준비예 1에서 제조한 혼합 식물 정유 5.8 중량%, 쿠마린 0.22 중량%, 시트로넬올 0.45 중량%, 에틸알코올 8.3 중량%, 계면활성제 2.7 중량%, 보습제 4.5 중량%, 준비예 2에서 제조한 보존제 0.8 중량%, 제조예 3에서 제조한 혼합꽃 수 2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한 후, 40℃에서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는 쿼터늄-60 및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의 다가알코올형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부가시킨 수용성 에테르형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 : 2.5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액을 용기에 담은 다음 밀봉시킨 다음 3 ~ 5℃ 에서 72일 동안 숙성시켜서 숙성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숙성물을 여과지로 필터링하여 침전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6 및 비교예 1 ~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수를 제조하되, 하기 표 1 및 표 2와 같이 향수 조성물을 제조한 후, 숙성시켜서 향수를 각각 제조하여 실시예 2 ~ 6 및 비교예 1 ~ 6를 각각 실시하였다.
구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혼합 식물정유 5.8 4.5 7.5 5.8 5.8 5.8
쿠마린 0.22 0.22 0.22 0.22 0.21 0.21
시트로넬올 0.45 0.45 0.45 0.45 0.40 0.40
에틸알코올 8.3 8.3 8.3 8.3 8.8 8.8
계면활성제 2.7 2.7 2.7 2.2 2.9 2.9
보습제 4.5 4.5 4.5 4.5 4.0 5.8
보존제 0.8 0.8 0.8 0.8 0.8 0.8
혼합꽃 수 23 23 23 23 26 26
정제수 나머지 잔량 100 중량%
구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혼합 식물정유 3.2 8.5 5.8 5.8 5.8 5.8
쿠마린 0.22 0.22 0.22 0.21 0.21 0.22
시트로넬올 0.45 0.45 0.45 0.40 0.40 0.45
에틸알코올 8.3 8.3 8.3 8.8 8.8 8.3
계면활성제 2.7 2.7 1.6 2.9 2.9 2.7
보습제 4.5 4.5 4.5 3.5 4.5 4.5
보존제 0.8 0.8 0.8 0.8 0.2 0.8
혼합꽃 수 23 23 23 26 23 -
정제수 나머지 잔량 100 중량%
실험예 1 : 향수의 장기 보관 안정성 시험
향수 제품이기 때문에 선호되는 향취가 가장 중요하므로 향취 변화를 테스트하여 향취가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은 관련 전문가 및 종사자(총 5인)이 평가하였으며, 5인 중 1 ~ 2인이 향취가 변한 것으로 평가하면 “보통”, 3인 이상이 향취가 변한 것으로 평가하면 “취 변성”으로 평가하였으며, 어느 누구도 향취 변한 것이 없는 것으로 평가한 경우 “이상 없음”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은 상온(25℃), 냉장(4℃), 45℃에서 향수를 밀봉시켜 저장한 후, 1일차 및 45일차에 평가하여 향취 변성 여부를 평가를 통해 장기 보관 안정성을 평가한 것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상온 안정성
(45일 차)
냉장 안정성
(45일 차)
45℃안정성
(45일 차)
실시예 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2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3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4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보통
실시예 5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6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보통
비교예 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비교예 2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비교예 3 보통 이상 없음 보통
비교예 4 보통 이상 없음 취 변성
비교예 5 취 변성 이상 없음 취 변성
비교예 6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상기 표 3의 향취 장기 안정성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6의 향수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장기 보관 안정성 측정 결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계면활성제를 2 중량% 미만인 1.6 중량%로 사용한 비교예 3 의 경우, 실시예 4(2.2 중량% 사용)와 비교할 때, 고온(45℃)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도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보습제를 4.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4 및 보존제를 0.5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향취가 크게 변화되어 고온에서의 장기 보관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는 평가를 받았다.
실험예 2 : 향수의 선호도
상기 실시예 1 ~ 5, 비교예 1 ~ 2 및 비교예 6에서 제조한 향수에 대한 선호도 평가를 아래와 같이 수행하였다.
성인 20명(남자 : 5명, 여자 : 15명)이 향수를 스프레이 타입으로 피부에 뿌려 사용한 후, 향수의 발향 정도, 사용감, 피부 자극성(땡김, 발진, 홍반, 가려움 등 발생 여부) 및 종합적인 선호도를 평가하여 향수 선호도를 실험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20명의 평가 총 합에 대한 평균값을 구한 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5점 : 매우 좋음, 4점 : 좋음, 3점 : 보통, 2점 : 나쁨, 1점 : 매우 나쁨).
구분 향수 발향 정도 사용감 피부 자극성 종합선호도
실시예 1 4.6 4.5 4.75 4.45
실시예 2 4.4 4.5 4.8 4.65
실시예 3 4.7 4.3 4.6 4.20
실시예 4 4.5 4.25 4.6 4.35
실시예 5 4.4 4.2 4.7 4.25
비교예 1 3.9 4.2 4.8 3.90
비교예 2 4.7 4.0 4.0 4.10
비교예 6 3.75 3.9 4.1 3.90
상기 표 4의 선호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 5의 경우, 전반적으로 4.20 이상의 높은 평가 결과를 받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해, 혼합 식물 정유를 4.0 중량% 미만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향수 발향 정도 및 종합 선호도에서 크게 낮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혼합 식물 정유를 8.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3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피부 자극성 평가 및 종합 선호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받았다.
그리고, 혼합꽃 수를 사용하지 않는 비교예 6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 결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서 혼합꽃 수 사용으로 인해, 향수의 전반적인 향 밸런스가 상승하고, 사용감 증대 및 피부 자극 완화를 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서 본 발명의 혼합 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가 우수한 향취 지속성, 보관 안정성을 가지면서, 피부 저자극성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혼합 식물 정유, 쿠마린, 시트로넬올, 에틸알코올, 계면활성제, 보습제, 보존제, 혼합꽃 수 및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 식물 정유는 섬백리향 정유, 감국꽃잎 정유, 소회향 정유 및 어수리(Heracleum moellendorffii) 잎 정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식물 정유는 감국꽃잎 정유 15 ~ 20 중량%, 소회향 정유 10 ~ 16 중량%, 어수리 잎 정유 3 ~ 8 중량% 및 잔량의 섬백리향 정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 : 2 ~ 3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쿼터늄-60(Quaternium-60) 및 세트리모늄클로라이드(Cetrimonium Chlorid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Sorbitan fatty acid ester)의 다가알코올형 비이온계면활성제에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부가시킨 수용성의 에테르형 비이온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연교 및 산사 1 : 3.0 ~3.5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보존제; 및 메틸파라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꽃 수는 라벤더꽃 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포트마리골드꽃 수 5 ~ 20 중량부 및 녹차잎 수 10 ~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식물 정유 4 ~ 8 중량%, 쿠마린 0.1 ~ 0.4 중량%, 시트로넬올 0.2 ~ 0.8 중량%, 에틸알코올 5 ~ 9 중량%, 계면활성제 2 ~ 4 중량%, 보습제 4 ~ 6 중량%, 보존제 0.5 ~ 1.0 중량%, 혼합꽃 수 20 ~ 3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7. 혼합 식물 정유, 쿠마린, 시트로넬올, 에틸알코올, 계면활성제, 보습제, 보존제, 혼합꽃 수 및 정제수를 혼합 및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1단계;
    상기 혼합액을 숙성시켜서 숙성물을 수득하는 2단계; 및
    숙성물을 여과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의 향수 조성물의 숙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KR1020210050570A 2021-04-19 2021-04-19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70A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1-04-19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570A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1-04-19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197A true KR20220144197A (ko) 2022-10-26
KR102592814B1 KR102592814B1 (ko) 2023-10-24

Family

ID=8378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570A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1-04-19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344B1 (ko) 2023-06-05 2023-08-2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봉화약용작물연구소장)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692B1 (ko) 2023-11-30 2024-03-04 윤영애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KR102661372B1 (ko) 2023-12-05 2024-04-29 주식회사 어테이션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163A (ko) 2001-07-11 2003-01-23 강원도 백리향의 추출물, 정유성분을 함유한 백리향 음료조성물
KR100567584B1 (ko) * 2004-03-05 2006-04-05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 섬백리향 식물정유를 이용한 향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1111A (ko) 2010-06-29 2012-01-04 전라남도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KR101313255B1 (ko) * 2011-11-01 2013-09-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101380554B1 (ko) * 2007-04-30 2014-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KR20200145637A (ko) * 2019-06-19 2020-12-30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
WO2021043585A1 (en) * 2019-09-04 2021-03-11 Symrise Ag A perfume oil mixtu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163A (ko) 2001-07-11 2003-01-23 강원도 백리향의 추출물, 정유성분을 함유한 백리향 음료조성물
KR100567584B1 (ko) * 2004-03-05 2006-04-05 경상북도농업기술원생물자원연구소 섬백리향 식물정유를 이용한 향수 및 그 제조방법
KR101380554B1 (ko) * 2007-04-30 2014-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KR20120001111A (ko) 2010-06-29 2012-01-04 전라남도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KR101313255B1 (ko) * 2011-11-01 2013-09-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어수리의 잎으로부터 추출된 어수리 천연정유를 포함하는 향장 조성물
KR20200145637A (ko) * 2019-06-19 2020-12-30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위생재용 소취제 제조방법
WO2021043585A1 (en) * 2019-09-04 2021-03-11 Symrise Ag A perfume oil mix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향기좋은 바디미스트 온퍼퓸 명품향 그대로네요?" (인터넷 url: https://blog.naver.com/romy5/221507489750) 2019.04.07.*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344B1 (ko) 2023-06-05 2023-08-2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봉화약용작물연구소장)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814B1 (ko)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2814B1 (ko)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JPH0761916A (ja) 皮膚外用剤
WO2018045579A1 (zh) 一种纯天然洗发香波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CN109453100A (zh) 一种全成分天然来源且不含去离子水的乳液
KR101579828B1 (ko) 식물성 피부 영양 보습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269825A (zh) 一种纯天然唇膏及其制备方法
CN112315883B (zh) 控油祛痘的护肤组合物及其制剂和应用
JP2006257058A (ja) リパーゼ阻害剤及びそれを配合した頭髪用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12812A (ko)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KR20180092599A (ko)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94707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08104A1 (ja) 発毛・育毛剤
JPH09131393A (ja) 消臭剤、消臭組成物及び消臭化粧料
KR102070662B1 (ko) 인동초 식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3397552B2 (ja) 化粧料
RU2234913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ванн "женьшень-2"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1235645B1 (ko) 솔잎 증류 농축액을 포함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00037508A (ko)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26854B1 (ko) 산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15725B1 (ko) 개운죽 잎 및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컨디셔닝 샴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