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1372B1 -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 Google Patents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1372B1
KR102661372B1 KR1020230174775A KR20230174775A KR102661372B1 KR 102661372 B1 KR102661372 B1 KR 102661372B1 KR 1020230174775 A KR1020230174775 A KR 1020230174775A KR 20230174775 A KR20230174775 A KR 20230174775A KR 102661372 B1 KR102661372 B1 KR 10266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oil
essential oil
cedar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테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테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테이션
Priority to KR102023017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1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1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은,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0 내지 20 중량부, 발효수 30 내지 40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에틸알코올 30 내지 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1 내지 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유자 오일 0.5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 내지 4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2 내지 0.8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은, 친환경적이고 피부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향 지속성이 우수하며 향기가 뛰어나다.

Description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CONTAINING ROSEMARY AND CEDARWOOD FRAGRANCES}
본 발명은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고 피부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향 지속성이 우수하며 향기가 뛰어난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발달과 더불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외모를 아름답게 가꾸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외모를 아름답게 가꿀 수 있는 재료로서 각종 화장품 및 향수 등이 제안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 중에서 향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서 향을 내는 물질들을 적당한 비율로 배합한 후 알코올 등에 용해시켜 제조하고, 신체의 일부분이나 옷에 뿌려 사용하며, 피부로부터 발산되는 체온 또는 체취와 함께 섞여서 향기를 발산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향수를 신체 또는 의복에 사용하면, 신체로부터 발산되는 나쁜 냄새가 저감 또는 차단되고, 향수로부터 발산되는 좋은 향기에 의하여 타인으로 하여금 호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에 남녀를 불문하고 현대인들에게 매우 선호되는 화장품의 일종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향수의 주요 성분으로 첨가 혼합되는 향을 내는 물질로는 천연향료와 화학합성 향료가 있는데, 현재 대량으로 생산되는 향수에 첨가되는 향료는 대부분 화학합성 향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학합성 향료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향수의 경우 향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쉽게 싫증나는 것은 물론, 향을 오래 지속시키기 위한 다른 화학성분이 함유됨으로 피부에 알러지(Alergy) 반응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으며, 인체에 유용한 약리기능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식물로부터 추출한 천연의 식물정유를 이용한 향수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2562816호(2023년 07월 2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592814호(2023년 10월 18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571344호(2023년 08월 23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친환경적이고 피부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향 지속성이 우수하며 향기가 뛰어난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서는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은, 향료로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향료는 로즈마리 정유 1 내지 5 중량부 및 시더우드 정유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는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의 형태로 포함되고,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발효수, 커피박 추출 오일, 에틸알코올, 병풀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오레가노 오일, 호호바씨 오일, 유자 오일, 계면활성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글리세린(Glycerin), 잔탄검(Xanthan Gum) 및 정제수(Wa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0 내지 20 중량부, 발효수 30 내지 40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에틸알코올 30 내지 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1 내지 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유자 오일 0.5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 내지 4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2 내지 0.8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효수는 브로콜리 발효수가 사용되되, 상기 브로콜리 발효수는, 브로콜리를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브로콜리를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브로콜리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발효균 배양액 10 내지 20 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4 내지 36℃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하여 브로콜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상기 브로콜리 발효물을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브로콜리 발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5 중량부, 발효수 35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2 중량부, 에틸알코올 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2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2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2 중량부, 유자 오일 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5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5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은, 친환경적이고 피부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야기하지 않으면서 향 지속성이 우수하며 향기가 뛰어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은 향료로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에서 상기 향료는 로즈마리 정유 1 내지 5 중량부 및 시더우드 정유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에서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는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의 형태로 포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발효수, 커피박 추출 오일, 에틸알코올, 병풀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오레가노 오일, 호호바씨 오일, 유자 오일, 계면활성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글리세린(Glycerin), 잔탄검(Xanthan Gum) 및 정제수(Wat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은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0 내지 20 중량부, 발효수 30 내지 40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에틸알코올 30 내지 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1 내지 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유자 오일 0.5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 내지 4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2 내지 0.8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는 로즈마리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상기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는 꿀풀과(Labiatae)에 속하는 지중해 원산의 상록성 목본으로, 주로 유럽남부 지방에서 재배되어 온 유럽의 전통적인 향미료 중 하나이며 1,8-시네올(1,8-cineole), 장뇌(camphor)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정유 및 로즈마리산(rosmarinic acid) 등의 고미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건위제, 구풍제, 소염제 및 살충제 등으로 약용되어 왔다(Bisset NG, Herbal drugs, CRC press, London, pp428-430, 2000 ; Duke JA et al., Handbook of medicinal herbs, CRC press, London, pp630-632, 2002).
근래에는 이식물이 한국에서도 허브식물 분재용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고, 로즈마리유는 아로마테라피에서 다른 종류의 아로마를 배합하여 여러 제형으로 조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한편 로즈마리 성분의 항산화작용을 이용한 식품 보존제로의 응용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Choo JJ et al., Korean J. Food Culture , 16, pp134-138, 2003 ; Koleva II et al., Phytochem Anal., 13, pp8-17, 2002).
상기 시더우드(cedawood) 정유는 시더우드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상기 시더우드(cedawood)는 침엽수의 일종으로 이로부터 추출된 시더우드 정유는 진정효과가 있어 스트레스, 불안, 긴장 등을 줄이는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더우드 정유는 시더우드 식물체의 모든 부분에서 채취 가능하고, 채유 부분에 따라 성분이나 함유율이 다르다. 시더우드 정유는 황갈색의 심재부에 많이 포함되어 있고, 변재 부분은 함유율이 낮고, 향도 좋지 않다. 상기 시더우드 정유는 시더우드의 가지를 이용하여 증류해서 추출한 오일일 수 있는데, 상기 시더우드 정유는 샌달우드와 비슷한 부드럽고 드라이한 수목향, 그윽하고 상쾌한 향, 깊은 나무향이 특징이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수증기증법 이외에도 용매 추출법(solvent extraction),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solvent phase micro extraction-SPME), 초임계유체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등이 있다. 최근에는 헤드스페이스(Head Space)법과 SPME(Solid Phase Micro Extraction)은 기존의 추출법과는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 또한 필요가 없으며,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취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헤드스페이스법과 SPME 추출법이 상용화 및 대단위 추출 과정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수증기 증류법이 정유 생산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에서 "정유(essential oil)"는 향기가 있는 식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식물의 꽃, 꽃봉오리, 잎, 줄기, 뿌리, 천연수지 등에서 얻는 향기가 강한 휘발성 기름을 가리키며, 정유의 주성분은 아이소프렌이 중합한 모노 및 세스퀴테르펜 탄화수소와 여기에서 유도되는 알코올, 알데하이드, 케톤 및 에스터 등의 테르펜 화합물이다. 식물조직으로부터 정유를 채취하기 위한 방법은 압착법, 불휘발성용제 추출법, 휘발성용제 추출법, 액화가스 추출법, 수증기증류법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압착법은 감귤류 등을 압착하여 정유를 채취하는 방법으로, 과피의 표면 가까이에 존재하는 세포를 파괴하여 천연 정유를 채유하는 방법이다. 압착법은 주로 열에 불안정한 과일 향료를 저온에서 채유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상기 불휘발성용제 추출법은 무취로 정제된 우지, 돈지 또는 올리브유 등을 이용하여 꽃향기를 지방에 흡수시켜 향료를 만드는 방법이다. 고순도의 알코올을 이용하여 유향성분을 추출하고 알코올을 제거하여 향료를 수득한다.
또한, 상기 휘발성용제 추출법은 헥산, 석유 에스터, 벤젠 등의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이다. 감압하에서 용제를 회수하여 얻은 플라워 콘크레이트(flower concrete)를 고순도의 알코올에 녹여 -20℃로 냉각하고, 녹지 않는 성분을 제거한 후, 저온에서 알코올을 회수하여 유효성분을 수득한다. 얻어진 물질을 앱솔루트(absolute)라고 부르며, 고급 향료의 조합에 이용된다. 다만, 이 방법은 수증기 증류법에 비해 저온에서 처리되므로 용해력이 높아 향기 이외에 색소, 단백질 등의 여분의 물질이 포함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액화가스 추출법은 액화 프로판이나 부탄, 탄산가스 등을 이용하여 고압, 저온에서 특수한 장치를 이용하여 향료를 추출하는 방법이다. 다른 추출법에 비하여 순도가 높은 향료를 얻을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증기 증류법은 수증기를 증류하여 정유를 채유하는 방법으로 물증류법, 물-수증기증류법, 수증기증류법으로 구분된다. 물증류법은 채유 원료를 물 속에 넣고 가열하여 발생한 수증기와 정유를 냉각한 후, 물과 오일을 분리시키는 방법이다. 물-수증기증류법은 채유 원료를 증류부 내부에 장치된 격자 위에 층을 쌓고 아래에서 물을 가열하여 증류된 수증기가 시료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휘발성 정유성분이 수증기에 혼합된 것을 채유하는 방법이다. 수증기증류법은 가장 보편적인 채유방법으로 증류 가마에 원료를 넣고 밑바닥에서 수증기를 불어넣어 정유를 채취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는 나노리포좀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어 화장료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리포좀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은, (A)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코엔자임 큐텐 1 내지 5 중량부, 디에틸세바케이트 3 내지 7 중량부,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케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er Oil) 0.5 내지 1.5 중량부, 에탄올 20 내지 30 중량부,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lioxane) 0.3 내지 0.7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0.1 내지 0.3 중량부를 정제수 5 내지 15 중량부와 65 내지 75℃ 온도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로즈마리 정유 1 내지 5 중량부, 시더우드 정유 1 내지 5 중량부, 에몰리언트 오일 1 내지 3 중량부,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0.1 내지 1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0.5 내지 1.5 중량부 및 메틸카프리네이트(Methyl caprinate) 1 내지 3 중량부를 60 내지 70℃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50 내지 60℃ 온도에서 가온한 후,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4,000 내지 5,000 rpm으로 10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900 내지 1,100 Bar 조건에서 3 내지 5회 투과시키는 고압 유화를 통하여 유중수형(W/O형)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유중수형(W/O형) 나노리포좀을 상기 (A) 단계의 수상부에서 활성성분이 제거된 수상부, 상기 (B) 단계의 유상부와 다시 혼합하고 50 내지 60℃에서 4,000 내지 5,000 rpm으로 10 내지 3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나노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유중수형(W/O형) 나노리포좀은 나노리포좀 유화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2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효수는 브로콜리 발효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브로콜리(Broccoli)는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10대 슈퍼 푸드(super food)로서 맛은 양배추와 비슷하지만 약간 순한 성질이 있으며, 대체로 100g당 비타민C 114㎎, 카로틴 1.9㎎, 칼륨 164㎎, 칼슘 150㎎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철분도 다른 채소에 비해 두 배나 더 많이 함유되어 있다. 비타민 C는 레몬(lemon)의 2배 양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항암효과가 있는 베타카로틴, 셀레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항산화 물질인 설포라판이 다른 채소에 비해 10배나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또한, 칼슘, 루테인, 비타민 A 등 다양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면서도 칼로리는 낮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브로콜리 발효수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브로콜리 발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 발효수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브로콜리를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십자과 식물(cruciferous vegetable)에 속하는 브로콜리는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높게 함유하고 있으며, 고혈압 예방, 심혈관질환 예방, 항암 및 해독효소의 유도효과가 크다고 알려져 있다(Zhang, et al., Acta Pharmacol Sin, 28, pp.1343-1354, 2007). 역학적 조사에 따르면 브로콜리는 유방암, 폐암, 대장암, 전립선암의 위험도를 줄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igdon JV et al., Pharmacol Res, 55, pp.224-236, 2007).
특히, 십자과 식물들은 글루코시노레이트(glucosinolates) 및 이들의 가수분해 산물 즉 인돌(indole)과 이소시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성분이 설포라판(sulforaphane)이다. 설포라판은 십자화과 식물들의 2차 대사산물인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가 소화 과정 중에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가수분해되거나, 식물체를 가공 또는 섭취할때 식물의 세포가 파괴되면서 식물 미로시나아제에 의해 즉시 분해됨으로써 수득되는 이소시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의 일종이다.
설포라판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카로틴(β-carotene), 루틴(rutine), 셀리늄(selenium), 글루타시온(glutathione), 쿼서틴(quercetin)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고, 1992년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연구진에 의하여 십자화과 최소의 항암 효과를 갖는 물질로 최초 동정되었으며(Zhang Y,,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9 (6): 2399403.1992), 그 후 암의 개시(initiation), 촉진(promotion), 진행 (progression)의 다단계 과정에 작용하여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Fimognari, C et al., Mutat Res, 635, pp.90-104, 2007).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브로콜리를 분쇄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브로콜리를 분쇄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발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세척된 브로콜리의 분쇄는 공지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발효균 배양액을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발효균 배양액으로는 유산균 배양액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락토코쿠스(Lact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페디오코쿠스(Pediococcus) 속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균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라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가 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유산균을 배양배지에서 접종한 후, 38 내지 42℃에서 25 내지 35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후 4×1.08 ~ 6×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여 유산균 배양 희석액을 제조하며, 이후 상기 유산균 배양 희석액을 20,000rpm에서 10 내지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부에 위치하는 상등액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등액을 0.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산균 배양액에서 상기 유산균의 접종량은 접종 초기 균수가 1×1.08 ~ 1×1.08 CFU/mL일 수 있고, 상기 배양배지는 포도당, 덱스트린, 글리세린, 구연산나트륨, 맥아추출물(Malt extract), 염화마그네슘, 펩톤 및 글루코스(Glucose)를 포함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배지는 포도당 15g/L, 덱스트린 10g/L, 글리세린 20g/L, 구연산나트륨 5g/L, 맥아추출물(Malt extract) 20g/L, 염화마그네슘 3g/L, 펩톤 8g/L 및 글루코스(Glucose) 12g/L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분쇄된 브로콜리를 발효하여 브로콜리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 발효물은 상기 분쇄된 브로콜리에 발효균 배양액 및 당분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브로콜리 발효물은 상기 분쇄된 브로콜리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발효균 배양액 10 내지 20 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4 내지 36℃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당분은 유산균의 먹이로 기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당분으로는 설탕, 올리고당, 포도당 및 엿당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포도당 및 설탕이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로콜리 발효물을 여과하여 브로콜리 발효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 발효물의 여과는 공지의 필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여과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피박 추출 오일은 커피박으로부터 추출된 오일일 수 있는데, 상기 커피박 추출 오일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피박 추출 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커피박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커피박은 coffee waste, coffee meal, coffee ground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상기 커피박은 커피원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고 남은 찌꺼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커피박에는 유기물뿐만 아니라 풍부한 섬유소, 리그닌, 카페인, 폴리페놀화합물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재활용 가치가 높은 유기성 자원 중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즉, 상기 커피박(커피 찌꺼기)은 커피 제조시 생두를 로스팅한 후 0.1 내지 2mm로 분쇄하여 열탕으로 커피액을 추출한 뒤에 배출되는 부산물로, 목질계 성분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린이 목재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발열량이 4,974 kcal/kg 으로 일반적인 목재 발열량을 상회하며, 회분 함유량이 2 wt% 이하로 연료가치가 목재 자원보다 높은 폐바이오매스 자원이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커피박을 세척한 후 살균처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전문점에서 수거된 커피박에는 약 70~80% 이상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보관 및 활용이 어려우며, 특히 커피박내의 높은 함수율과 유지성분은 쉽게 곰팡이가 발생되는 조건을 제공하여 커피박을 재활용 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또한, 전국에 분포된 커피전문점의 일평균 1kg 내외의 커피박이 당일 수거가 어렵고 짧게는 1주일, 길게는 20일 정도를 상온에서 방치되어 보관됨으로써, 수거되는 커피박에는 곰팡이가 생성되거나 각종 이물질이 혼합되고 품질이 저하되거나 물성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준비된 커피박을 세척한 후 살균처리함으로써 상기 커피박에 잔류하는 곰팡이나 이물질 등의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커피박 세척 및 살균은 상기 준비된 커피박을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 및 자몽종자추출물이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상기 세척된 커피박을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처리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 용액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정제수에 용해되어 3 내지 7(w/w)% 농도 범위를 가지는 용액일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이용하여 커피박을 세척함으로써, 곰팡이의 세포벽을 팽창시켜 상기 커피박을 살균함과 동시에 이물질 등을 세척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몽종자추출물(GSE, Grapefruit seed extract)은 항균, 항진균, 항산화 효과가 있고, 독성 실험에서는 안식향산나트륨, 솔빈산 칼륨에 비해서 거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기 자몽종자추출물의 성분 중 ascorbic acid, ascorbyl palmitate 및 tocopherol 등이 부패성 및 병원성 미생물의 세포벽 및 세포막의 기능을 약화시키고 효소활성을 억제하며, DNA/RNA에서 비롯되는 세포증식 기작을 방지하여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등에 살균 효과를 나타나며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합성에 저해효과를 가진다.
상기 오존은 강한 살균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 등을 정화하기 위한 공기정화기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존의 성질을 공기정화기뿐만 아니라 수질 정화 장치에 응용을 하고자 호수나 저수지와 같이 물이 정체되기 쉬운 곳에 오존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오존을 이용하여 살균처리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살균처리된 커피박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살균처리된 커피박을 건조함으로써 상기 커피박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살균처리된 커피박을 100 내지 120℃ 온도에서 건조함으로써 상기 건조된 커피박의 수분 함량이 0.5 내지 2.5 중량%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커피박의 수분 함량이 0.5 내지 2.5 중량%가 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공정에서 추출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상기 살균처리된 커피박에 잔류할 수 있는 곰팡이나 세균 등을 사멸시켜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커피박을 추출하여 커피박 추출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커피박에는 약 15% 정도의 오일이 함유되어 있는데, 상기 커피에 함유되어 있는 오일은 인슐린 분비 증가, 항염증, 항균작용, 항산화(antioxidant properties)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건조된 커피박의 추출은 공지된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추출법으로는 열수 추출법, 유기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등 다양한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추출법이란 상기 건조된 커피박에 추출 용매로서 물, C1~C6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10배 내지 20배 부피량으로 가한 후, 1 시간 내지 10 시간, 바람직하게는 1 시간 내지 4 시간의 초음파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되는 추출 방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초임계 추출법이란 상기 건조된 커피박과, 보조용매로 에탄올(99.5%) 500~1000mL를 초임계 유체 추출 반응기(Natex, Autstria)에 넣고 반응기 내의 온도가 65℃, 압력이 450 bar, S/F 비(supercritical fluid ㎏/Feed ㎏) 35가 되는 조건하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된 커피박을 추출하여 오일을 분리하는 구성은 공지의 기술인바, 설명의 편의 및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명확성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에틸알코올은 정유를 용해시켜 발효수나 정제수 등과 같은 용매에 용이하게 혼합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병풀 추출물은 병풀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병풀은 asiaticoside, madecassoside, asiatic acid, madecassic acid, vallerin과 미량의 알칼로이드(alkaloid) 등을 함유함에 따라 상처 치료에 탁월하고, 항치매 및 위장병 등에 효과가 있어 질병 치료제의 원료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이들 물질들은 피부조직의 재생력을 갖는 물질들로 콜라겐 생성을 촉진시켜 실제 임상에서는 상처 치료 목적의 연고제를 구성하는 주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병풀은 피부치료제, 상처치료제, 기억력 증강제 및 강장제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약용식물로서 국내에서도 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기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를 가공하여 제조된 추출물로, 상기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노송나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 구과목 측백나무과의 상록교목으로서, 일본이 원산지이지만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조림수종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는데, 편백나무 특유의 향으로 인해 탈취제, 항균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편백나무에서 생산되는 피톤치드는 식물의 자기방어물질로써, 병원균 및 해충, 곰팡이 등에 저항하기 위해 식물이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그 자체에 살균, 살충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피톤치드의 구성물질은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며,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톤치드는 화학합성 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이고, 인간의 신체에 무리 없이 흡수되며, 인간에게 해로운 균들을 선택적으로 살균한다.
또한, 피톤치드는 항균작용, 소취작용, 진정작용 및 스트레스 해소 작용 등 수많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톤치드는 뛰어난 살균, 항균, 세정작용으로 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보습작용도 하며, 체내의 면역기능을 강화한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편백나무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는 줄기, 잎, 껍질 등 편백나무의 다양한 부분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편백나무를 볼 밀링(ball milling) 장치와 같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분말화할 수 있는데, 상기 편백나무의 분말은 3,000 내지 6,000㎛의 입경을 가지고, 100 내지 3000m2/g의 비표면적을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을 수증기로 쪄서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의 증숙은 일정한 압력하에서 일정한 온도의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편백나무 분말을 170 내지 190℃의 온도 및 5 내지 10kgf/cm2의 압력에서 30 내지 60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증숙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의 증숙이 상기한 공정 조건의 하한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증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공정에서 발효가 용이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공정 조건의 상한을 초과하여 진행되는 경우에는 편백나무 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이 휘발되거나 더 이상의 증숙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에 유산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접종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은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의 발효를 촉진할 수 있는 발효균으로 기능하고,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유산균 배양액을 0.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여 상기 증숙된 편백나무 분말에 접종할 수 있는데,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추후 공정에서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발효에 의해 편백나무 분말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은 발효 식품인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 균주를 이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유산 균주로는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바이셀라 비리데센스(Weissella viridescen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및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공지된 유산 균주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는 김치로부터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2N HCl을 이용하여 배지의 pH를 2.8~3.2로 조정한 다음 김치로부터 유산 균주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유산 균주를 MRS broth(Oxoid, England)를 이용하여 37~39℃에서 20 내지 25시간 동안 배양한 후 1×1.08 ~ 5×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며, 이후 10,000 내지 15,000rpm에서 10~15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액(supernatant)만을 분리하고, 상기 상청액(Supernatant)을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여과 후, 상기 여과된 상청액 100 중량부에 대해 멸균한 증류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희석함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접종된 편백나무 분말을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유산균 배양액이 접종된 편백나무 분말을 43 내지 45℃의 온도 및 62 내지 64%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3 내지 5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편백나무 분말의 발효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편백나무 분말이 충분히 발효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발효에 의해 편백나무 분말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편백나무 분말을 추출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에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발효된 편백나무 분말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3 부피배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발효된 편백나무 분말에 포함될 수 있는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 부피배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은 프로필렌글라이콜 두개가 결합한 분자로, 무색무취의 물질이다. 물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어 제형 유지에 도움을 주며, 보습효과가 있으며, 유화성분을 녹여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오레가노(Oregano 또는 Origanum vulgare)에서 추출된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오레가노(Oregano 또는 Origanum vulgare)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약용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고대 로마에서는 요리에도 이용하였고 현재에도 육류 보관을 위한 천연 보존제, 이탈리안 요리에서의 향신료 등으로 이용되고 있을 정도로 인체에 무해함을 넘어 유익하기까지 하다.
천연 항생제라고도 불리는 오레가노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강장, 이뇨, 건위, 식욕 증진, 진정, 살균 효과와 두통, 멀미,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져 주로 차로 끓여 마시거나 목욕제로도 사용을 하는 허브일 정도로 인체에 유익하다.
상기 호호바씨 오일은 사막지대에서 자라는 호호바라는 식물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로, 액체 왁스 형태로 추출되는 오일이다. 상기 호호바씨 오일은 피부에 흡수가 잘되고 모공을 막지 않고 피부 속까지 수분을 전달해 주어 피부의 밸런스를 맞추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호호바씨 오일은 건조한 피부나 노화된 피부에 좋고, 피부에 수분막을 형성해 주어 수분이 빼앗기지 않게 도움을 주는 탁월한 보습효과를 보인다.
상기 유자 오일은 레몬의 3배가 넘는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우울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헤스페리딘(hesperidin) 및 리모넨(limone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천연유래 당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천연유래 당류 계면활성제는 친수부가 슈크로오스, 클루코사이드 등 단당류 또는 이당류로 이루어진 슈크로오스 지방산 에스터,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및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유래 당류 계면활성제로 C12-20알킬글루코사이드 및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햇빛 중 UVB 광선을 흡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자외선 차단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Glycerin)은 습윤제(Humectant)로 사용되는 것으로, 향수 조성물이 부드러운 유연성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잔탄검(Xanthan Gum)은 점도조절제(Viscosity controlling)로 사용되는 것으로, 향수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제수(Water)는 용제(Solvent)로 사용되는 것으로, 수분감, 보습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화장료 조성물을 효과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5 중량부, 발효수 35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2 중량부, 에틸알코올 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2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2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2 중량부, 유자 오일 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5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5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은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한 나노리포좀을 사용하였다.
즉,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으로는, (A)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코엔자임 큐텐 3 중량부, 디에틸세바케이트 5 중량부,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케스터오일(PEG-60 Hydrogenated Caster Oil) 1 중량부, 에탄올 25 중량부, 사이클로펜타실록산(Cyclopentaslioxane) 0.5 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40) 0.2 중량부를 정제수 10 중량부와 70℃ 온도에서 혼합하여 수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B) 나노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로즈마리 정유 3 중량부, 시더우드 정유 3 중량부, 에몰리언트 오일 2 중량부, 토코페롤아세테이트(tocopherol acetate) 0.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1 중량부 및 메틸카프리네이트(Methyl caprinate) 2 중량부를 65℃ 온도에서 혼합하여 유상부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제조된 수상부를 55℃ 온도에서 가온한 후, 상기 (B) 단계에서 제조된 유상부를 첨가하여 4,500 rpm으로 2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시킨 뒤, 상온으로 냉각하여 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1,000 Bar 조건에서 4회 투과시키는 고압 유화를 통하여 유중수형(W/O형)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유중수형(W/O형) 나노리포좀을 상기 (A) 단계의 수상부에서 활성성분이 제거된 수상부, 상기 (B) 단계의 유상부와 다시 혼합하고 55℃에서 4,500 rpm으로 20분 동안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유화하여 다중 유화형(W/O/W형) 나노리포좀 유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한 나노리포좀을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수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2 중량부, 발효수 39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1.2 중량부, 에틸알코올 33 중량부, 병풀 추출물 1.3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4.5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1.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2.5 중량부, 유자 오일 0.8 중량부, 계면활성제 1.8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1.2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7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3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1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향수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8 중량부, 발효수 32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1.8 중량부, 에틸알코올 48 중량부, 병풀 추출물 0.7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2.5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1.5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2.7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1.5 중량부, 유자 오일 2.2 중량부, 계면활성제 1.2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8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3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7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7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
로즈마리 정유 10 중량부, 에틸알코올 45 중량부, 병풀 추출물 2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3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4 중량부, 유자 오일 2 중량부, 계면활성제 2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5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2 >
시더우드 정유 10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2 중량부, 에틸알코올 45 중량부, 병풀 추출물 1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4 중량부, 계면활성제 1.5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5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 관능 평가 >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향수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향수의 향수 발향 정도, 사용감, 피부 자극성, 향수 지속력, 종합적 선호도 등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향수발향정도 사용감 피부자극성 향수지속력 선호도
실시예 1 8.4 8.5 8.3 8.4 8.4
실시예 2 8.3 8.3 8.1 8.2 8.2
실시예 3 8.2 8.1 8.2 8.3 8.2
비교예 1 7.3 7.6 7.4 7.2 7.4
비교예 2 7.6 7.7 7.6 7.8 7.7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향수의 향수 발향 정도, 사용감, 피부 자극성, 향수 지속력, 종합적 선호도가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향수에 비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장기 보관 안정성 평가 >
향수 제품이기 때문에 장기 보간에 따른 향취의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은 관련 전문가 및 종사자(총 5인)이 평가하였으며, 5인 중 1~ 2인이 향취가 변한 것으로 평가하면 "보통", 3인 이상이 향취가 변한 것으로 평가하면 "취 변성"으로 평가하였으며, 어느 누구도 향취가 변한 것이 없는 것으로 평가한 경우 "이상 없음"으로 평가하였다.
시험은 상온(25℃), 냉장(4℃), 45℃에서 향수를 밀봉시켜 저장한 후, 1일차 및 45일차에 평가하여 향취 변성 여부를 평가를 통해 장기 보관 안정성을 평가한 것이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상온 안정성(45일 차) 냉장 안정성(45일 차) 45℃안정성(45일 차)
실시예 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2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실시예 3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비교예 1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보통
비교예 2 이상 없음 이상 없음 보통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향수는 우수한 장기 보관 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향료로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향료는 로즈마리 정유 1 내지 5 중량부 및 시더우드 정유 1 내지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하며,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는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의 형태로 포함되고,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발효수, 커피박 추출 오일, 에틸알코올, 병풀 추출물, 편백나무 추출물, 디프로필렌 글리콜(Dipropylene glycol), 오레가노 오일, 호호바씨 오일, 유자 오일, 계면활성제,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Ethylhexyl Methoxycinnamate), 글리세린(Glycerin), 잔탄검(Xanthan Gum) 및 정제수(Water)를 포함하고,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0 내지 20 중량부, 발효수 30 내지 40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에틸알코올 30 내지 50 중량부, 병풀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1 내지 3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1 내지 5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1 내지 3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1 내지 3 중량부, 유자 오일 0.5 내지 2.5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2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2 내지 4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 내지 3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2 내지 0.8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발효수는 브로콜리 발효수가 사용되되, 상기 브로콜리 발효수는, 브로콜리를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브로콜리를 분쇄하며, 상기 분쇄된 브로콜리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해, 발효균 배양액 10 내지 20 중량부 및 당분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34 내지 36℃ 온도에서 5 내지 10일 동안 발효하여 브로콜리 발효물을 제조하고, 상기 브로콜리 발효물을 여과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 브로콜리 발효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즈마리 정유 및 시더우드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나노리포좀 15 중량부, 발효수 35 중량부, 커피박 추출 오일 2 중량부, 에틸알코올 40 중량부, 병풀 추출물 1 중량부, 편백나무 추출물 2 중량부, 디프로필렌 글리콜 3 중량부, 오레가노 오일 2 중량부, 호호바씨 오일 2 중량부, 유자 오일 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5 중량부,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3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2 중량부, 잔탄검(Xanthan Gum) 0.5 중량부 및 정제수(Water)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KR1020230174775A 2023-12-05 2023-12-05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KR10266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775A KR102661372B1 (ko) 2023-12-05 2023-12-05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775A KR102661372B1 (ko) 2023-12-05 2023-12-05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1372B1 true KR102661372B1 (ko) 2024-04-29

Family

ID=9088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775A KR102661372B1 (ko) 2023-12-05 2023-12-05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137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157A (ko) * 2019-01-16 2020-07-24 이모션랩 주식회사 겨울 느낌의 향수 조성물
KR102142960B1 (ko) * 2018-08-17 2020-08-10 이강현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102562816B1 (ko) 2023-03-31 2023-08-03 (주)메르라보 지속성이 우수한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1344B1 (ko) 2023-06-05 2023-08-2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봉화약용작물연구소장)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3-10-2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60B1 (ko) * 2018-08-17 2020-08-10 이강현 마유 및 나노다이아몬드를 이용한 나노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20200089157A (ko) * 2019-01-16 2020-07-24 이모션랩 주식회사 겨울 느낌의 향수 조성물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3-10-2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2816B1 (ko) 2023-03-31 2023-08-03 (주)메르라보 지속성이 우수한 향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1344B1 (ko) 2023-06-05 2023-08-29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봉화약용작물연구소장)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자씨 오일’ 관련 인터넷 신문기사(https://www.cosinkorea.com/news/article.html?no=31054)(2019.04.17.)* *
화장품 전성분표시제 설명자료(식품의약품안전청, 2008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4459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1981B1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20090083082A (ko) 난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기능 개선 조성물
KR101266180B1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927B1 (ko)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JP7315986B2 (ja) ドクダミ成分を含む頭皮健康改善用スプレー組成物
KR101895521B1 (ko) 꾸지뽕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JP4073358B2 (ja) 化粧品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20220053357A (ko) 효과 유효성 판단 가능한 항균성 마스크
KR102661372B1 (ko) 로즈마리 및 시더우드 향료를 포함한 향수 조성물
KR101978698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1521754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752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7047877A (zh) 一种复方桑叶茶及其制备方法
KR102640760B1 (ko) 가시오가피추출물, 홍화씨추출물, 강황추출물 및 해송껍질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차의 제조방법
KR102276638B1 (ko) 편백유와 편백수를 함유하는 포 및 그 제조방법
Nigam et al. Extraction of essential oil from seasonal fruit rind: a review
KR102512244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