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2244B1 -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2244B1
KR102512244B1 KR1020220184667A KR20220184667A KR102512244B1 KR 102512244 B1 KR102512244 B1 KR 102512244B1 KR 1020220184667 A KR1020220184667 A KR 1020220184667A KR 20220184667 A KR20220184667 A KR 20220184667A KR 102512244 B1 KR102512244 B1 KR 102512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xture
lactobacillus
weight
deter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경
정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트리
Priority to KR102022018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2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47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pH regulate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79Mono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11D3/2086Hydroxy 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 계면활성제, 탄산염, 효소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세제 베이스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배지 상에서 발효시킨 후 배지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은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복합 혼합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상기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1: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켜 제조된 것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using lactobacillus ferment filtrate and extraction mixture of natural pla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혼합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란 오염에 대한 효율적인 세정을 도와주는 혼합물질로서, 계면활성제와 각종 보조성분으로 이루어지는데, 대부분이 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합성세제이다.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제는 반드시 계면활성제 성분을 포함하여야 하는데, 세제 조성물에 포함된 인체 유해한 화학물질들은 이러한 계면활성제에 기인하는 것이 많다.
한편, 액상형 세제는 사용할 때 계량이 편리하고 분말세제에 비해 분진이 날리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보관 중에도 덩어리가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액상 세제는 제형의 제한으로 인하여 분말이나 과립 형태의 제형에 비해 세정 성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액상 세제가 세정성능이 떨어지는 이유는 분말세제의 경우에는 고농도의 세정 증강제(금속이온봉쇄제) 및 알카리제 등을 수용할 수 있는 반면, 액상 세제는 상안정성 및 사용상의 안전성 등의 이유로 계면활성제와 증강제 및 알카리제 등을 고농도로 함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액상 세제들은 분말세제에 비해 과량을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과 함께 세척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특히 면 함량이 높은 의류의 경우에는 만족할 만한 세척력을 갖기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액상 세제들은 불용성 물질들이 의류에 잔류하게 되면 피부자극을 일으키게 된다.
이에 최근 액상형 세제의 세?r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수한 세척도를 가지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세제 성분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천연의 재료를 이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세척성, 살균성 및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인간의 피부에도 이로운 세탁 세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등록특허 제10-245857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척성, 살균성 및 항균성이 향상됨은 물론 친환경적이고 인체의 피부에 이로운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은 정제수, 계면활성제, 탄산염, 효소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세제 베이스; 및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되,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배지 상에서 발효시킨 후 배지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은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복합 혼합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상기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1: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천연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염은 세스퀴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정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일수소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상기 기능성 복합 혼합물 1 내지 5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 25 내지 35 중량%, 상기 탄산염 1 내지 5 중량%, 상기 효소 1 내지 3 중량%, 상기 pH 조정제 1 내지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및 제한(制汗)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 첨가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합 첨가제는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은 정제수,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액 및 천연오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당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이 1:0.5~1:0.5~1: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항균 발향액 1 내지 5 중량부, 및 레몬껍질오일, 페퍼민트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참향나무오일 및 로즈마리잎오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오일 혼합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탁 세제 조성물이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혼합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함유함에 따라 세척성이 강화됨과 더불어 살균성 및 항균성의 증대됨으로써, 세탁 과정 중 섬유 내에 잔존하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유해균의 제거와 함께 섬유 내 유해균이 침투하기 어려운 항균 환경을 조성하여 유해균의 부패로 인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유해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이 정제수,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액 및 천연오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을 함유함에 따라 항균 및 살균 효과가 더욱 강화되고, 탈취성 및 발향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세척성, 살균성 및 항균성이 향상됨은 물론 친환경적이고 인체의 피부에 이로운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샘플(세탁 세제 조성물)의 살균시험 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을 준비하는 단계(S10),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혼합한 후 저온 숙성시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0), 정제수, 계면활성제, 탄산염, 효소 및 pH 조정제를 혼합하여 세제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30), 및 세제 베이스에 기능성 복합 혼합물 및 용제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이 준비될 수 있다(S10).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p.) 균주를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류 또는 발육인자(예컨대, 비타민류)와 같은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배지 상에서 발효시킨 후 배지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한 배양액, 배양액의 희석물, 농축물 또는 이들의 건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포도당 및 펩톤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30 내지 40℃ 온도에서 48 내지 96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균주를 여과하여 수득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혼합한 후 저온 숙성시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S20).
본 발명에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세척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살균성 및 항균성의 증대시킴으로써, 세탁 과정 중 섬유 내에 잔존하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유해균의 제거와 함께 섬유 내 유해균이 침투하기 어려운 항균 환경을 조성하여 유해균의 부패로 인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유해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은 천연 항균제로서 기능함과 더불어, 항산화, 항염 또는 피부진정효과의 향상을 위한 것으로,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erg)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의 야생약초로서, 주요 성분으로 테르페노이드(terpenoid), 지질(lipid) 및 방향족 계통의 휘발성 성분과 쿼세틴(quercetin), 쿼세틴-3-오글사이드(quercetin-3-oglycoside)계통의 후라보노이드 화합물 등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이뇨작용, 진통작지혈작용, 항균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혈관확장작용 및 소염작용 등을 갖는다.
병풀(centella asiatica extract)은 인도양의 열대지방에서 기원한 것으로, 습하고 그늘진 해발 600미터에서 이상적으로 자생하는 식물로서 gotu kola, indian pennywork 또는 tiger grass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병풀에는 Triterpenoids(사포닌)라 불리는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코글리코사이드(madecasosside), 아시아틱산(asiatic acid) 및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성분이 존재하며 이들은 인체의 콜라겐 합성을 조절 및 촉진하는 작용을 하고, 혈관을 강화하여 혈행을 촉진하며,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병풀은 피부의 건조함을 예방하고 자극과 알러지 진정에 효과가 있다.
녹차(Green tea, Camellia teaceac)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 식물인 차나무(Camelia sinensis L.)의 잎을 건조한 것이다. 녹차의 주성분 중 catechin은 비만 및 암 예방, 항산화 및 노화억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카페인은 강심작용, 이뇨작용 등의 생리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그 외 아미노산류, 비타민 C, 비타민 E, β-카로킨, 불소, 아연 등 미네랄류 등이 존재한다. 녹차는 최악의 맹독성 물질로 알려져 있는 다이옥신의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하며 녹차의 카테킨 성분이 식물성 환경호르몬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 지기도 하였다. 녹차에 함유된 tannin acid는 수렴, 항균 및 vitamin P와 유사한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피부를 진정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이다. 녹차의 주요성분은 카테킨, 카페인, 단백질, 유리아미노산, 전분, 섬유소, 펙틴과 엽록소, 플라보놀 유도체, 안토시안 등의 식물색소 그리고 수지류, 정유, 비타민, 무기질 등으로 수용성이 35~40%, 불용성이 60~65%이다. 다른 식물에 비해 카테킨과 카페인을 비롯하여 아미노산류, 칼륨, 불소, 아연, 망간, 비타민 C, 비타민 E, 엽록소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초피나무열매(Zanthoxylum piperitum Fruit)는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인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의 열매를 의미하며, 초피나무는 제피, 젠피, 조피, 지피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상기 초피나무는 산 중턱 및 산골짜기에서 자라며, 높이는 대략 3 ~ 5 m로 형성된다. 상기 초피나무열매는 2분과로 9월에 붉게 익으며, 검은 종자가 나오고, 기존에는 열매를 약용 또는 향미료로 사용하였다. 특히, 상기 초피나무열매의 껍질은 향신료로 사용되었으며, 그 자체를 제피라고도 부른다. 상기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는 몸을 따듯하게 하며, 피부 안색을 개선시키고, 시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만주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Sukatdchev) 또는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Hara)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자작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깊은 산의 숲속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높이 약 20m이다. 나무껍질은 흰색이고 종잇장처럼 벗겨지며 작은 가지에 선점(腺點)과 피목이 있다. 잎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 달걀 모양이고 때로 맥겨드랑이[脈腋]에 털이 나며 뒷면에 선점이 있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1∼2.5cm이다. 자작나무의 껍질은 백화피 또는 화피라는 생약명으로도 명명되며, 베툴린, 올레아놀산, 베툴로시드, 카로틴, 펜토산 등의 성분을 포함한다. 잎에는 정유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자작나무는 예로부터 열독창, 상한시 행, 황달, 폐풍독, 통풍, 류머티증, 피부약, 방부약, 종기치료, 타르(tar)의 제조원료 및 이뇨제로 쓰이고 있다. 본 발명에서, 만주자작나무 추출물은 만주자작나무의 껍질과 잎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오밥나무는 원산지는 열대 아프리카, 모잠비크 협곡주변 코모로 제도, 둥치는 큰 북 모양으로 비대하고 높이 20m, 수관(樹冠)은 지름이 10m에 달하고 눈에 띄는 특징을 가진다. 소엽(小葉, leaflet)은 5 내지 7개이고, 장 타원형(長圓形), 피침형(披針形), 예첨두(銳尖頭)의 전연(全緣))으로 길이 25 내지 30㎝이며, 꽃은 대개 긴 꽃 자루가 달려 아래로 늘어지고, 흔히 잎이 나오기 전에 개화(開花)한다. 꽃 색은 백색, 꽃잎은 도란형으로 길이 10㎝이며, 뒤집힌 듯 벌어진다. 열매는 길이 10 내지 40㎝의 원통형으로 비로드 같은 털로 덮인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오밥나무는 그 열매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바오밥나무 이외의 다시 천연물 역시 나무 등으로 표현한 경우에도 모두 그 열매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바오밥나무의 효능은, 보습 및 표피층 강화와 보호, 피부 윤기 강화로 알려져 있다.
레몬그라스(Cymbopogon citratus)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향료를 채취하기 위하여 열대지방에서 재배한다. 레몬그라스의 주성분은 페네솔, 세리니올, 네롤, 시트롤, 시트로네랄, 리모넨, 밀센 등이며 레몬그라스는 혈액을 좋게 하여 모공에 효과적이고, 여드름과 같은 트러블 완화 효과 및 피지분비의 균형을 좋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위치하젤(Hamamelis virginiana)은 북미가 원산지이고 아열대에 서식하여 높이 5~10m 정도 자라는 낙엽수 의 일종으로, 굽은 가지에서 곧은 잔가지가 나와 잎은 계란형이고, 꽃은 개화가 늦어 잎이 떨어진 가을에 핀다. 위치하젤의 잎, 줄기, 잔가지, 수피, 씨앗을 다방면으로 활용하며, 미국 인디언들은 위치하젤을 약용으로도 널리 사용하였다. 주요 성분으로 탄닌(tan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및 다양한 헥세놀(hexenol)을 포함한 천 연의 식물성 알코올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지성피부와 확대된 모공을 가진 피부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되며, 항산화 효과 등의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은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국화과(compositae)의 다년생 초본 식물이며, 더위지기, 애탕쑥이라고도 불린다. 인진쑥은 주로 어린순이 사용되며, 항염, 항균, 항여드름, 항산화, 이뇨제, 황달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부터 정유 성분인 올레산(oleic acid), 리놀레산(linoleic acid)까지 다양한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유카(Yucca brevifolia Engelm.Yucca schidigera Ortgies)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용설란과의 상록관목으로 원산 지는 북아메리카이고, 멕시코 북쪽과 미국 남서부지역의 건조한 지대에 거주하는 인디안 부족들의 생존에 있어 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였다. 유카는 인, 나트륨, 철, 아연, 칼슘, 망간, 구리, 칼륨과 비타민 A, C, 그 리고 비타민 B 복합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현대 연구에 의하면 이 식물에 들어있는 saponosides라는 성분이 관절통 및 관절염 해소, 혈압이나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하는 걸로도 알려져 있고, 스테로이드계 및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의 대체제 '유카시데게라'라는 천연물질로 항진균, 방부효과를 가지고 있고 약산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유카 추출물은 유카의 잎과 뿌리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각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방법 및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상기 저급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상기 추출 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도 기능성 천연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은 그 효능의 극대화를 위해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이 1:1:1:1:0.5~1:0.5~1:0.5~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복합 혼합물은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1:1~2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되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혼합물의 저온 숙성은 5 내지 10℃의 온도에서 48 내지 36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성분의 상호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로 그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정제수, 계면활성제, 탄산염, 효소 및 pH 조정제를 혼합하여 세제 베이스가 제조될 수 있다(S30).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천연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보편적으로 세탁 세제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설페이트 계면활성제,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설포아세테이트 계면활성제, 설포석시네이트 계면활성제, 포스페이트 계면활성제, 카르복실레이트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양성이온 계면활성제로 베타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에스테르 계면활성제, 에테르 계면활성제, 산성 아마이드 계면활성제, 에스테르·에테르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산염은 알칼리를 보충하고 세척 대상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계면활성제를 도와 세척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세스퀴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효소는 세탁 세제 조성물의 세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알칼리성 단백질 분해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효소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정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일수소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제 베이스는 통상 세탁 세제에 배합되는 배합 첨가제를 더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배합 첨가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및 제한(制汗)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 첨가제로 사용되는 물질은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세제 베이스에 기능성 복합 혼합물 및 용제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세탁 세제 조성물의 제조가 완성될 수 있다(S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는 정제수일 수 있다. 정제수는 각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세탁 세제 조성물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기능성 복합 혼합물 1 내지 5 중량%, 계면활성제 25 내지 35 중량%, 탄산염 1 내지 5 중량%, 효소 1 내지 3 중량%, pH 조정제 1 내지 5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기능성 복합 혼합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효능을 달성할 수 없고, 5 중량%를 초과하면 함량대비 효과 상승이 미미하여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계면활성제, 탄산염, 효소, pH 조정제가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됨에 따라 각 성분의 효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아울러, 세탁 세제 조성물이 배합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배합 첨가제는 세탁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용제는 정제수,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액 및 천연오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은 각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용해 또는 분산시킴과 더불어, 항균 및 살균 효과를 강화하고, 탈취성 및 발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항균 발향액은 항균, 항산화 및 발향성이 강한 액상 혼합물로서,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피톤치드 원액은 편백나무에서 생산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피톤치드는 식물의 자기방어물질로써, 병원균 및 해충, 곰팡이 등에 저항하기 위해 식물이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그 자체에 살균, 살충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피톤치드의 구성물질은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이며, 항균작용, 진정작용, 탈취작용, 스트레스 해소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난대상록활엽수로 제주도, 완도, 보길도, 거문도, 해남 등 남ㆍ서해안 및 도서 지역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 수종이다. 황칠나무는 수피에 상처를 내면 자신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 유백색 액체를 분비하는 데 공기 중에서 황금색으로 변한다. 황칠나무 수액에는 안식향, 세르퀴테르펜 등과 같은 생리 활성 물질이 들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여러 가지 항균 효과나 확인되지 않은 약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방향성분은 주로 세스퀴터펜(sesquiterpene)의 β-cubebene, γ-selinene 및 δ-cardinene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초액은 나무의 연소 과정에서 예를 들어 숯을 만드는 과정에서 연기가 공기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수분이 될 수 있고, 참나무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목초액은 참나무와 같은 나무에 포함된 유기산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알코올 성분, 페놀 성분, 카르보닐기, 푸란(furan) 성분 또는 이와 유사한 방향성 화합물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목초액은 약한 산성을 낼 수 있다.
목단피(Moutan Cortex Radicis)는 작약과(Paeoniaceae) 목단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성분은 파에오노사이드(paeonoside), 파에오놀라이드(paeonolide)와 파에오놀(paeonol)을 함유하며, 파에오노사이드는 저장중에 분해되어 당과 파에오놀을 생성한다. 파에오니프로린(paeoniflorin), 옥시파에오니프로린 (oxypaeoni florin), 벤조일파에오니프로린(benzoylpaeoniflorin), 파에오놀라이드 탄닌(paeon olide tannin), 프로시아니딘 B1(procyanidin B1). 벤조일옥시파에오니프로린(benzoyloxypaeoniflorin), 파에오닌(paeonin),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 페라고닌(pelargonin)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은 탁월한 항균작용을 수행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바람직하게, 항균 발향액은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이 1:0.5~1:0.5~1: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천연오일 혼합물은 발향성 및 이의 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레몬껍질오일, 페퍼민트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참향나무오일 및 로즈마리잎오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천연오일 혼합물은 레몬껍질오일, 페퍼민트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참향나무오일 및 로즈마리잎오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당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이 1:0.5~1:0.5~1: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항균 발향액 1 내지 5 중량부, 및 레몬껍질오일, 페퍼민트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참향나무오일 및 로즈마리잎오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오일 혼합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이 상기와 같은 함량비로 제조됨에 따라, 항균성, 탈취성, 발향성 등의 특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0 내지 3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세탁 세제 조성물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1:1~2의 중량비로 혼합된 기능성 복합 혼합물 1 내지 5 중량%, 계면활성제 25 내지 35 중량%, 탄산염 1 내지 5 중량%, 효소 1 내지 3 중량%, pH 조정제 1 내지 5 중량%,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 20 내지 3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은 액상의 형태로 세탁 세제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나, 그 사용 태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은 안정화제, 용해화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탁 세제 조성물이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이 혼합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함유함에 따라 세척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살균성 및 항균성이 증대됨으로써, 세탁 과정 중 섬유 내에 잔존하는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과 같은 유해균의 제거와 함께 섬유 내 유해균이 침투하기 어려운 항균 환경을 조성하여 유해균의 부패로 인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하고, 유해균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피부 염증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 세제 조성물이 정제수,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액 및 천연오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을 함유함에 따라 항균 및 살균 효과가 더욱 강화되고, 탈취성 및 발향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균주(Lactobacillus rhamnosus)를 포도당 및 펩톤 배지에서 37℃에서 60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가 끝난 후 원심 분리하여 발효 찌꺼기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였다. 취한 상등액을 규조토를 이용하여 진공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미량의 이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여과가 끝난 후 멸균기에서 멸균시키고(121℃, 20분)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100 중량부와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이 1:1:1:1:1:1:1:1:1:1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식물 추출혼합물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후 다음 [표 1]과 같이 배합하여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기능성 복합 혼합물 1
도데실 벤젠 술폰산(Dodecylbenzene Sulfonic Acid) 2
올레핀 설포네이트((Alpha Olefine sulfonates) 8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Polyoxyethylene lauryl ether) 5
소듐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 ether sulfate) 9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베테인 크로스폴리머
(Lauryl gulcoside betaine crosspolymer)
1
데실 글루코사이드 베테인 크로스 폴리머(Decyl glucoside betaine crosspolymer) 1
코코 알킬디메틸 베테인(Coco alkyldimethyl betaines) 4
구연산(Citric acid) 2
소듐 팔메이트(Sodium Palmate) 1
효소(Enzymes) 2
식초(Vinegar) 1
세스퀴탄산나트륨(Sodium Sesquicarbonate) 1
티트리잎 오일(Melaleuca Alternifolia (Tea Tree) Leaf Oil) 1
벤질 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1
티오황산나트륨(Sodium Thiosulfate) 1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1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테트라나트륨염이수화물(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tetrasodium salt dihydrate) 0.5
향료(Perfume) 5
정제수 잔량(to 100)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5 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정제수 100 중량부당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이 1:0.5:0.5:0.1의 중량비로 혼합된 항균 발향액 1 중량부, 및 레몬껍질오일, 페퍼민트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참향나무오일 및 로즈마리잎오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오일 혼합물 1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 20 중량%를 더 포함하도록 제조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기능성 복합 혼합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세탁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살균능력 측정
상기 실시예 1의 샘플에 대하여 살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균주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을 이용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ATRI 세탁 세정기술연구센터의 표준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샘플(세탁 세제 조성물)의 살균시험 성적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균 농도를 측정하고 18시간 뒤에 다시 균 농도를 측정하여 실시예 1 샘플의 살균성을 확인한 결과, 99.54%의 높은 살균성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2] 관능평가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세탁 세제 조성물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교하였다. 주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세정력, 피부자극 완화, 향 및 기호도에 대해 9점 평점법(1; 매우 나쁘다, 9; 매우 좋다)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세정력 피부자극완화 기호도
실시예 1 7.2 6.8 6.0 7.4
실시예 2 7.4 7.1 6.4 7.7
실시예 3 7.1 7.3 6.6 7.5
비교예 1 5.6 5.5 5.4 5.7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 과 비교하여 세정력, 피부자극 완화, 향 및 기호도에 대한 특성이 전반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7)

  1. 정제수, 계면활성제, 탄산염, 효소 및 pH 조정제를 포함하는 세제 베이스;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복합 혼합물; 및
    정제수,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액 및 천연오일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을 포함하는 세탁 세제 조성물로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은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배지 상에서 발효시킨 후 배지로부터 균주를 제거하여 수득된 것을 이용하고,
    상기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은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녹차 추출물, 초피나무열매 추출물, 만주자작나무 추출물, 바오밥나무잎 추출물, 레몬그라스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인진쑥 추출물 및 유카 추출물이 1:1:1:1:0.5~1:0.5~1:0.5~1:0.5~1:0.5~1:0.5~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고,
    상기 기능성 복합 혼합물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과 상기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1: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48 내지 36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켜 제조된 것이고,
    상기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성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천연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탄산염은 세스퀴탄산나트륨 및 탄산수소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프로테아제, 리파아제, 아밀라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pH 조정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및 인산일수소나트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은 정제수 100 중량부당 피톤치드 원액, 황칠나무 수액, 목초액 및 목단피 추출액이 1:0.5~1:0.5~1:0.1~0.5의 중량비로 혼합된 항균 발향액 1 내지 5 중량부, 및 레몬껍질오일, 페퍼민트오일, 바오밥나무씨오일, 참향나무오일 및 로즈마리잎오일이 1:1:1:1:1의 중량비로 혼합된 천연오일 혼합물 1 내지 3 중량부를 포함하도록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은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상기 기능성 복합 혼합물 1 내지 5 중량%, 상기 계면활성제 25 내지 35 중량%, 상기 탄산염 1 내지 5 중량%, 상기 효소 1 내지 3 중량%, 상기 pH 조정제 1 내지 5 중량%, 상기 항균 발향성 복합 수용액 20 내지 30 중량% 및 잔여의 정제수를 포함하도록 제조된 것인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세제 조성물은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알코올,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및 제한(制汗)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배합 첨가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배합 첨가제는 세탁 세제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로 사용되는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184667A 2022-12-26 2022-12-26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2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667A KR102512244B1 (ko) 2022-12-26 2022-12-26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4667A KR102512244B1 (ko) 2022-12-26 2022-12-26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2244B1 true KR102512244B1 (ko) 2023-03-21

Family

ID=8580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4667A KR102512244B1 (ko) 2022-12-26 2022-12-26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22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891A (ja) * 1998-12-03 2000-06-20 Kyoko Yamakawa 手荒れを防ぎ環境保護に貢献できる食器用洗剤及び汚れ落とし洗剤の作り方
KR20130043920A (ko) * 2011-10-21 2013-05-02 김경숙 직물 세탁 및 염색용 비누 조성물
KR20180097880A (ko) *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2012867B1 (ko) * 2018-07-17 2019-08-21 이난희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9891A (ja) * 1998-12-03 2000-06-20 Kyoko Yamakawa 手荒れを防ぎ環境保護に貢献できる食器用洗剤及び汚れ落とし洗剤の作り方
KR20130043920A (ko) * 2011-10-21 2013-05-02 김경숙 직물 세탁 및 염색용 비누 조성물
KR20180097880A (ko) * 2017-02-24 2018-09-03 김종삼 편백수와 이산화염소수를 포함하며, 각종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2012867B1 (ko) * 2018-07-17 2019-08-21 이난희 친환경 세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354B1 (ko) 식물생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WO2006109898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ntaining natural extract, nano silver and natural essential oil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1209189B1 (ko) 항균 기능을 갖는 약초비누
KR102288724B1 (ko) 항균, 살균, 항염 및 피부진정 기능의 향상과 피부 면역력의 강화를 위한 기능성 복합 조성물을 함유하는 애완동물용 복합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56701A (ko)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58202A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12675B1 (ko)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US1115458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cne symptoms using natura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s
KR102178938B1 (ko) 질염 및 질건조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44764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US20040241133A1 (en) Deodorizer agent and deodorizing composition for a mouth cavity, deodorizing food composition and deodorizing composition which contain the deodorizer agent
KR102512244B1 (ko) 락토바실러스 발효 여과물 및 천연식물 추출혼합물을 이용한 세탁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20170120831A (ko) 안착 팁이 부착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과 비누 케이스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102327236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소취용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KR101981995B1 (ko) 식물성 효소 및 허브향이 추가되어 제공되는 화장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