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861B1 -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861B1
KR102183861B1 KR1020200098961A KR20200098961A KR102183861B1 KR 102183861 B1 KR102183861 B1 KR 102183861B1 KR 1020200098961 A KR1020200098961 A KR 1020200098961A KR 20200098961 A KR20200098961 A KR 20200098961A KR 102183861 B1 KR102183861 B1 KR 102183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deodorization
oil
cit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이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정 filed Critical 이수정
Priority to KR102020009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DEODORIZING COMPOSITION CONTAINING CITRUS OIL}
본 발명은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삶의 질이 강조되면서 냄새나 악취에 대한 민간도가 늘어나고 있다. 화장실과 같은 악취 공간에서의 악취 제거뿐만 아니라, 일반 사무실이나 차량 또는 가정 등 다양한 공간에서 방향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새집증후군이라는 용어는 친숙해지고 있다. 상기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쾌적한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욕구로 인해 악취 제거를 위한 탈취제 또는 방향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의류나 섬유제품의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악취 제거를 위한 방향제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상기 의류나 섬유제품의 악취 원인 물질은 암모니아(ammonia),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및 메틸메르캅탄(methylmercaptane)으로, 섬유제품의 4대 악취원이라고도 한다. 이 외에 일상 생활 중의 발생되는 담배 냄새, 음식물 찌꺼기 냄새, 땀 냄새,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에 따라 상기 세균 등의 대사에 의해 발생된 냄새 등이 원인이 되고 있다.
악취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소취제로서 최근에는 식물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계 탈취제가 이용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는 C6-C3-C6의 탄소골격을 갖는 식물색소의 총칭으로 플라보논류, 플라바논류, 안토클론, 안토시안 카테킨 등이 여기에 속한다.
섬유제품의 악취 제거에 가장 좋은 방법은 세탁법이나, 세탁법의 경우 세탁 과정이 장시간이 소요되어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을 유발하고, 제품에 따라 세탁이 불가능한 제품도 있으며, 세탁 또는 건조 과정에 의한 섬유 제품의 손상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섬유제품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방향제 또는 탈취제의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산업화 및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냄새나 악취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되고, 악취 발생 원인이 증가되면서, 냄새 또는 악취는 사회생활 등에서 새로운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탈취제 및 방향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은 물리적 제거방법, 화학적 제거방법, 생물학적 제거방법이 있다. 물리적 제거방법은 활성탄이나 실리카, 사이클로 덱스트린 등의 흡착 및 포집 성능이 강한 화합물로서 악취성분을 표면에 흡착 또는 포집하는 것으로, 냄새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화학적 제거방법은 중화, 부가, 중합, 산화, 환원 및 가수분해 등의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악취 성분에 강한 반응성의 물질을 작용시켜 악취 물질을 분해 또는 무취성 화합물로 변화시키는 방법으로서 냄새 물질을 근원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생물학적 제거방법은 냄새 원인균의 대사 과정 중에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냄새 원인균을 직접 살균함으로써 냄새 생성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마스킹에 의한 탈취 방법은 근본적으로 탈취의 개념이라기 보다는 감각적으로 악취가 느껴지는 냄새의 강도보다 좋은 느낌을 받는 향을 높은 강도로 부여하여 악취를 느끼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탈취제는 주로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학성분으로 이루어진 탈취제는 인체에 유해한 유해하고 사용상의 많은 부작용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천연 재료를 원료로 한 탈취 및 방향 효과를 가진 조성물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우수한 기능성과 함께 생체 안정성 및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탈취용 조성물의 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천연 성분만을 담아 민감한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 피부 외용제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8-01184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감귤 오일, 미네랄 용암해수 및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감귤 오일, 미네랄 용암해수 및 편백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감귤(Citrus reticulata)”은 귤속에 속하는 식물로 상큼한 맛과 향이 뛰어나 식용 또는 약재로 활용된다. 비타민 C, 비타민 B1, B2, 플라보노이드, 베타카토닌, 시트릭 애씨드, 팩틴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레몬에는 없는 카로틴도 포함하고 있는 등 유용한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귤 오일은 헤스페리딘(hesperidin), 나리진(Narigin)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염작용, 신경완화, 스트레스 완화 등에 효과가 있다고는 알려져 있으나, 탈취 효능 또는 항균 효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감귤 오일의 탈취 및 항균 효능을 규명하였으며, 상기 감귤 오일에 편백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를 함유한 탈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귤 오일은 효모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모는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 사카로미세스 유바룸(Saccharomyces uvarum) 및 사카로미세스 파라독서스(Saccharomyces paradox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효”는 발효 균주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발효 균주를 통한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십배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감귤 오일을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Saccharomyces cerevisiae) 또는 사카로미세스 바이아누스(Saccharomyces byanus) 효모로 발효시켜 배양한 결과, 탈취 효과가 현저히 증가됨을 확인하였다(표 2 및 표 3).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미네랄 용암해수는 경도 100 이상 400 이하의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암해수” 일반해수와 달리 화산암반층에 의해 여과되면서 육지 지하로 스며든 지하 해수로서, 인체에 유해한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 및 영양염류가 풍부할 뿐 아니라 유기물 및 병원균이 거의 없다.
상기 “미네랄”은 인체를 구성하는 미량원소로서, 산소(O), 탄소(C), 수소(H), 질소(N)를 제외한 다른 원소를 의미한다. 상기 미네랄은 천연 보습 인자 (NMF: Natural Moisture Factor)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서, 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생리 활성 효과를 가지며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는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얻어진 수득물로서, 일부 탈수된(수분이 일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이거나 완전히 탈수된 분말상일 수 있다. 상기 탈염 용암해수의 상(phase)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미네랄 성분들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기술을 적용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플래시 증발법, 해수 동결법, 역삼투압법, 이온교환수지법, 전기투석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공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삼투압법은 역삼투압막을 이용하여 염분을 제거하는 방식이고, 전기투석법은 필요한 미네랄의 농도 변화없이 나트륨의 농도를 선택적으로 낮추는 방식을 지칭한다.
한편, 상기 용암해수 중 염분을 제거하고, 100 이상의 경도를 가지는 미네랄 용암해수의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귤 오일에 경도 100 이상의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를 함유하는 조성물에서 용암해수 대신 정제수를 함유한 조성물과 비교하여 탈취 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표 2 및 표 3). 다만, 경도가 400을 초과할 경우에는 다량의 미네랄 함유로 탈취제의 촉감 및 향이 변질되어 전반적인 사용감의 만족도가 떨어짐을 확인하였는 바(표 4), 이는 경도가 100 내지 400의 미네랄 용암해수가 탈취용 조성물에 적합함을 시사한다.
본 발명에서 “편백(Chamaecyparis obtusa) 오일”은 흔히 히노끼라고 알려진 편백나무로부터 추출한 오일로서, 방향성 물질인 테르펜류를 비롯하여 알칼로이드, 플라보노이드, 페놀성물질, 배당체 등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로부터 번식이나 성장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탈취 효과가 우수한 편백 오일에 감귤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를 추가하여 탈취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하였다(표 2 및 표 3).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카카오닙스 추출물, 카렌듈라잎 추출물 및 장미꽃잎 추출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카오닙스”는 카카오나무 열매의 씨앗인 카카오빈을 발효시키고 건조시킨 이후 로스팅 과정을 거쳐 적당한 크기로 부순 것이다. 카카오닙스는 프로시아닌 성분을 함유하여 혈관 확장, 당뇨 개선 및 다이어트 등에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있다.
상기 “카렌듈라(Calendula officinalis)”은 쌍떡잎 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동양에서는 금잔화 또는 금송화, 서양에서는 마리골드(Marigold)라고도 불리며, 남유럽 원산이다. 한방에서는 카렌듈라의 성질을 작은 담석을 녹이고, 큰 담석을 내보내는 작용을 하며, 각종 암에 효과적이라고 기재하고 있으며, 서양에서는 꽃잎을 샐러드, 수프, 차로 마시고 황색을 내는 염료로도 사용한다.
상기 “장미(Rosa hybrida)”는 쌍떡잎 식물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장미는 꽃의 아름다운 형태와 향기 때문에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주로 재배해 왔다. 상기 장미를 압착한 장미 오일에는 풍부한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다. 유럽에서는 들장미의 꽃봉오리를 화장수의 원료로 사용하거나 상처, 화상 부위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고, 특히 장미 꽃봉오리를 이용한 약탕욕은 피부염증을 억제해줄 뿐만 아니라 세포의 활력을 증진시켜 윤기있는 피부로 가꾸어 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카카오닙스 추출물, 카렌듈라잎 추출물 및 장미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상기 탈취용 조성물에 첨가한 결과, 탈취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상기 복합 추출물에 의해 항균 효과가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하였다(표 5).
이에, 상기 탈취용 조성물은 항균 용도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귤 오일, 편백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냄새 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아울러 천연 꽃잎의 복합 추출물을 추가함으로써 항균 용도의 조성물로서 활용 가능성도 입증하였는 바, 탈취 및 항균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귤 오일, 편백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은 냄새 제거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오일 및 꽃잎 추출물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부작용이 없으므로, 탈취 또는 항균 용도로 다양하게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감귤 오일의 제조
1-1. 감귤 오일의 제조
온주 밀감을 세절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한 건조물 100 g을 70% 에탄올 1L에 넣고 48시간 상온에서 냉침하여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0.45 μm 여과지로 여과한 후 50℃에서 회전 감압증발기로 건조하여 건조 중량 30 g을 얻었다. 이후 건조시킨 감귤 추출물 및 오일을 1 : 5의 비율로 섞은 후 흔들어 햇볕이 잘 드는 곳에 2~4주간 숙성시켜준다. 2~4주 숙성 후 0.5 μm의 필터로 여과하여 잔여물을 제거한 뒤 냉장보관하였다.
1-2. 감귤 발효 오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1의 감귤 추출물에 효모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Saccharomyces cerevisiae)균 또는 사카로미세스 바이아누스(Saccharomyces byanus)을 총 100 중량부에 대해 2 내지 5 중량부가 되게 넣어 40℃에서 48시간 발효하였다. 그리고 발효된 원료에 30% 함량의 부틸렌 글리콜을 넣고 상온에서 7일 추출한 다음 400 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 μm의 필터 여과하여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과정은 제조예 1-1과 동일하다.
제조예 2. 복합 추출물의 제조
카카오닙스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조분쇄하여 20배의 추출용매(정제수)로 121°C 15분간 고압 열수추출을 하였다. 추출된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추출 상등액을 회수하고 추출물을 0.2 ㎛의 크기를 가진 필터로 여과하여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 여과된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또한, 장미꽃잎, 카렌듈라잎을 각각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각각 100 g씩 수득하였다. 분쇄물 100 g에 대해 각각 10배 부피의 에탄올(70% w/w)를 용매로 하여 80℃에서 12시간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250메쉬 및 0.6 μm 필터로 여과한 후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50℃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카카오닙스 추출물, 장미꽃잎 추출물 및 카렌듈라잎 추출물을 1 :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의 제조
제주 지역에서 취수한 용암해수를 0.2μm의 필터로 불순물을 걸러낸 후, 전기투석기(ASTOM CO. LTD, 일본)의 이온 교환막을 이용하여 1가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탈염 과정을 거쳐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수득한 시료의 탈취 기능 및 항균 기능을 검증하고자, 하기와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탈취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감귤 오일 20 - 5 20 20 - -
감귤 발효 추출물 - 20 10 - - - -
편백 오일 20 20 20 20 20 30 -
경도 100 내지 400의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 60 60 60 - - - -
경도 500의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 - - - - 60 - -
정제수 - - - 60 - 70 70
복합 추출물 - - 5 - - - 30
실험예 1. 탈취 효과 시험
1-1.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한 탈취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의 트리에틸아민((CH3)3N)에 대한 탈취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표 1의 조성의 시료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20 ml를 제조한 후, 소정의 시간(0, 60, 120분) 경과 후 트리메틸아민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탈취효과를 시험하였다.
상기 탈취용 조성물 20 mL를 6 L 크기 반응기에 넣고 밀봉하였다. 시험가스의 초기 농도를 50 μmol/L으로 주입하고, 시험가스의 농도를 초기(0분), 60분, 120분에서 측정하고 이를 샘플 농도로 하였다.
시험가스의 농도는 가스검지관(구 KS12218)에 의해 측정하였다. 시험 중 온도는 23.0±5℃, 습도는 50.0±15%R.H.를 유지하였다. 시료를 도입하지 않고 상기 시험을 진행하고, 이를 음성대조군으로 하였다. 각 시간대별 시험가스의 제거율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1]
시험가스의 제거울(%) = [{(음성 대조군 농도)}/(음성 대조군 농도)] X 100
구분 탈취율(%)
실시예 1 0 분 -
30 분 89.7
60 분 93.5
실시예 2 0 분 -
30 분 93.0
60 분 98.1
실시예 3 0 분 -
30 분 93.5
60 분 98.2
비교예 1 0 분 -
30 분 79.3
60 분 79.7
비교예 2 0 분 -
30 분 84.4
60 분 85.2
비교예 3 0 분 -
30 분 81.2
60 분 84.3
비교예 4 0 분 -
30 분 44.6
60 분 52.0
상기 표 2에 따르면, 실시예 1 내지 3의 감귤 오일, 편백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트리메틸아민의 농도가 효과적으로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효모로 발효시킨 감귤 발효 추출물이 탈취 효과를 현저히 향상시켰으며, 경도 100 내지 400의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를 정제수 대신 사용함으로써 탈취 효과가 더욱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1-2. 인체적용 실험을 통한 탈취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해서 탈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인체적용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흰색 100% 면 소재 와이셔츠를 청국장 ??이는 부엌에 1시간 동안 같이 놓아 두고, 바로 흡연실에 6시간 동안 놓아 두어 여러 냄새가 흡수되게 한 후, 와이셔츠를 7등분으로 나누었다. 상기 각각의 조각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3번씩 뿌리고, 1 분간 방치한 후, 10 명의 조사원이 해당 와이셔츠 조각에 코를 대고 냄새를 맡아 탈취 효능을 후각적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탈취력에 대한 점수는 5점 측정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아무런 냄새가 나지 않는경우 0점, 냄새가 가장 심한 경우를 5점으로 하였으며, 하기 표 3에 10명의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탈취력 1.1 0.5 0.5 1.7 1.4 2.0 3.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3의 감귤 오일, 편백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취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험예 1-1에서와 동일하게 용암해수의 경도가 탈취 효과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탈취용 조성물의 유효성 및 기호도 평가 확인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시료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의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평가를 수행하였다.
만 19 ~ 26 세의 일반인 중 정신과적 질환 또는 감염성 피부 질환이 있는 자, 참가 시점 3개월 이내에 면역억제제 치료, 피부 스케일링 또는 피부 관리를 받은 자, 전신 스테로이드 또는 광선 치료를 가진 경우, 민감성, 과민성, 아토피성 피부를 가진 자,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자 및 기타 인체시험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자를 제외한 인체적용시험 참여에 동의한 여성 20 명에 대하여 상기 표 1의 시료로 제형화된 탈취제를 사용하게 하였다. 4주간 사용 후 최종 평가 결과의 평균 값을 나타내었다.
식별번호 유효성 평가 기호도 평가
탈취 효과 사용감 향의 정도 추천 의사 구매 의사 만족도
실시예 1 5 5 5 5 4 4
비교예 1 3 5 5 4 4 4
비교예 2 4 2 3 2 1 2
<평가기준>5: 매우 만족 / 4: 만족 / 3: 보통 / 2: 불만족 / 1: 매우 불만족
상기 표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탈취제에 대한 만족감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편이었으나, 경도 500의 미네랄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탈취제의 경우 사용감 또는 향에서 낮은 평점을 받았다. 다량의 미네랄을 함유할 경우, 탈취제를 분사한 후 미끌꺼리는 촉감을 지적하였다. 이에, 미네랄 용암해수는 탈취 효과를 향상시키나, 다량의 미네랄 함유는 탈취제의 향 및 사용감에 대한 만족감을 떨어트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3. 항균 효과 시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시료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한 항균효과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표 1의 조성의 시료를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20 ml를 제조한 후,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하여 초기 및 24 시간 후의 세균농도를 측정하여 세균감소율을 확인하였다. 시험 중 온도는 37.0±1℃, 습도는 35.0±0.5%R.H.로 유지하고, 접종균 세균농도(CFU/mL)는 대장균 1.5X106, 살모넬라균 1.5X106로 하였다.
본 시료를 첨가한 실험군과 본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초기 대조군 및 살모넬라균의 농도 및 24 시간 후의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의 농도를 측정하고 세균감소율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농도 24시간 후 농도 감소율(%)
대장균 실시예 1 1.5X106 73500 95.1
실시예 2 1.5X106 22500 98.5
실시예 3 1.5X106 6000 99.6
비교예 1 1.5X106 132000 91.2
비교예 2 1.5X106 141000 90.6
비교예 3 1.5X106 93000 93.8
비교예 4 1.5X106 262500 82.5
음성 대조군 1.5X106 증가 -
살모넬라균 실시예 1 1.5X106 70500 95.3
실시예 2 1.5X106 19500 98.7
실시예 3 1.5X106 7500 99.5
비교예 1 1.5X106 150000 90.0
비교예 2 1.5X106 147000 90.2
비교예 3 1.5X106 88500 94.1
비교예 4 1.5X106 267000 82.2
음성 대조군 1.5X106 증가 -
상기 표 5에 따르면, 대조군은 24시간 경과 후 세균수가 증가한 반면,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세균수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복합 추출물 자체의 항균 효과는 미미하나, 감귤 오일, 편백 오일 및 미네랄 용암해수에 혼합하여 항균 효과가 현저히 증가되는 예상치 못한 효과를 확인하였다.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감귤 발효 오일,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 편백 오일 및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감귤 발효 오일은 감귤 추출물 100 중량부에 사카로미세스 세레비시아 (Saccharomyces cerevisiae)균 또는 사카로미세스 바이아누스(Saccharomyces byanus)를 2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여 40℃에서 48시간 발효한 후 30%의 부틸렌 글리콜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7일간 추출한 것이고,
    상기 탈염 미네랄 용암해수는 경도 100 이상 400 이하이며,
    상기 복합 추출물은 카카오닙스 추출물, 카렌듈라잎 추출물 및 장미꽃잎 추출물을 1: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인, 탈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오닙스 추출물은 정제수를 이용하여 고압 열수 추출한 것이고, 카렌듈라잎 추출물 및 장미꽃잎 추출물은 에탄올(70% w/w)를 용매로 하여 침적 추출한 것인, 탈취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카오닙스 추출물은 카카오닙스를 121°C에서 15분간 고압 열수 추출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만을 회수한 것인, 탈취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카렌듈라잎 추출물 및 장미꽃잎 추출물은 에탄올(70% w/w)를 용매로 하여 80℃에서 12시간 동안 침적 추출하고, 이를 3회 반복 추출하여 수득한 것인, 탈취용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균 용도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0200098961A 2020-08-07 2020-08-07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183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61A KR102183861B1 (ko) 2020-08-07 2020-08-07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961A KR102183861B1 (ko) 2020-08-07 2020-08-07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861B1 true KR102183861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961A KR102183861B1 (ko) 2020-08-07 2020-08-07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386B1 (ko) * 2020-12-23 2021-04-07 주식회사 인포바이오 수산기가 용존된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용 조성물
KR102426650B1 (ko) * 2022-03-21 2022-07-27 최주원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계 세척제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372A (ko) * 2001-12-31 2003-07-07 문상욱 감귤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장류와 그 제조방법
KR100947638B1 (ko) * 2006-12-11 2010-03-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00092649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플래티늄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US20130230431A1 (en) * 2012-03-05 2013-09-05 Elizabeth Mirowski Moisture and Malodor Control System
KR20140136260A (ko) * 2013-05-20 2014-11-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다약쑥 입욕제 조성물
KR101584063B1 (ko) * 2015-07-09 2016-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182B1 (ko) * 2016-08-09 2017-12-14 (주)화인메디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창상 피복제용 조성물
KR20180118403A (ko) 2017-04-21 2018-10-31 임경도 편백 오일을 주원료로 한 에어컨/차량용 등 다목적 용도의 천연 탈취제 및 방향제
KR20180126912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헬리오스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KR101957428B1 (ko) *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989280B1 (ko) * 2018-08-06 2019-06-13 이경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8372A (ko) * 2001-12-31 2003-07-07 문상욱 감귤 발효액과 그것을 함유한 장류와 그 제조방법
KR100947638B1 (ko) * 2006-12-11 2010-03-15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00092649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디자인포르테 플래티늄 입자를 포함하는 항균 및 탈취용 조성물
US20130230431A1 (en) * 2012-03-05 2013-09-05 Elizabeth Mirowski Moisture and Malodor Control System
KR20140136260A (ko) * 2013-05-20 2014-11-2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삼다약쑥 입욕제 조성물
KR101584063B1 (ko) * 2015-07-09 2016-01-22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182B1 (ko) * 2016-08-09 2017-12-14 (주)화인메디 천연추출물로 이루어진 창상 피복제용 조성물
KR20180118403A (ko) 2017-04-21 2018-10-31 임경도 편백 오일을 주원료로 한 에어컨/차량용 등 다목적 용도의 천연 탈취제 및 방향제
KR20180126912A (ko) * 2017-05-19 2018-11-28 주식회사 헬리오스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KR101957428B1 (ko) * 2017-10-16 2019-03-12 (주)바이오시엠 노화 체취 제거용 조성물
KR101989280B1 (ko) * 2018-08-06 2019-06-13 이경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1* *
비특허문헌2*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386B1 (ko) * 2020-12-23 2021-04-07 주식회사 인포바이오 수산기가 용존된 용암해수를 포함하는 악취제거용 조성물
KR20220092335A (ko) * 2020-12-23 2022-07-01 주식회사 인포바이오 수산기가 용존된 축산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102420154B1 (ko) 2020-12-23 2022-07-14 주식회사 인포바이오 수산기가 용존된 축산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102426650B1 (ko) * 2022-03-21 2022-07-27 최주원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계 세척제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575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US11033591B2 (en) Antibacterial essential oil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080038813A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JP2012509255A (ja) 炮製処理されたシャクヤク、玉竹または百合の抽出物を含有する抗酸化用化粧料組成物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1221104B1 (ko) 노인 악취 제거를 위한 천연식물추출 배합 조성물
KR102227273B1 (ko)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KR102228352B1 (ko) 솔잎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496150B1 (ko)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869269B1 (ko) 월계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170033186A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항균 물티슈
CN106619308A (zh) 一种美白滋润组合物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2415442B1 (ko) 감 착즙 또는 백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20030043302A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20170043057A (ko) 물티슈용 조성물
KR20120043254A (ko) 제주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피부 미용팩용 조성물
KR20120025934A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09755A (ko) 생리활성이 증진된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생리활성이 증진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