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575B1 -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 Google Patents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575B1
KR101626575B1 KR1020150142430A KR20150142430A KR101626575B1 KR 101626575 B1 KR101626575 B1 KR 101626575B1 KR 1020150142430 A KR1020150142430 A KR 1020150142430A KR 20150142430 A KR20150142430 A KR 20150142430A KR 101626575 B1 KR101626575 B1 KR 101626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t tissue
antimicrobial
wa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순
Original Assignee
김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순 filed Critical 김미순
Priority to KR102015014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우수한 항균, 탈취, 아토피 예방 효과를 가지는 물티슈용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항균 물티슈는 물티슈 원단에 물티슈용 조성물을 함침하여 제조하되, 물티슈용 조성물은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및 항균제;를 포함하고, 항균제는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소라쟁이 추출물, 계피 추출물, 산초 추출물, 옻나무 뿌리 추출물 및 백두옹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ANTI-ATOPIC DERMATITIS ANTIMICROBIAL WET TISSUE COMPRISING ECO-FRIENDLY ANTIMICROBIAL AGENT}
본 발명은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항균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wet tissue)는 휴지의 일종으로, 제작 과정 상에서 제품에 수분을 함유시켜 물기를 머금은 축축한 휴지를 일컫는다. 주로 손이나 얼굴 등을 간편하게 닦는 데에 쓰인다. 최근에는 간편함을 추구하는 문화와 위생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물티슈 소비가 급증하고 있고 제품 공급이 어렵지 않아 수많은 중소업체들이 등장하면서 물티슈 시장은 매년 10%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한편, 물티슈는 미생물이 착생할 수 있는 부직포 시트와 미생물의 생존에 유리한 수분, 영양분 등을 가지고 있어 미생물이 증식하기에 아주 좋은데, 이를 막기 위하여 화학 방부제를 사용하였다. 물티슈에 사용되는 기존의 방부제로는 메틸이소티아졸리논,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폴리헥사메틸비구아나이드, 3-요오드-2프로파이닐부틸 카바메이트 등이 있다. 이 중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은 피부 자극성이 강하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은 호르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 또한 폴리헥사메틸 비구아나이드는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된 가습기 살균제에 의한 급성 폐손상증후군의 원인이 되는 물질임이 밝혀졌다. 또한, 항진균제로 주로 사용되는 3-요오드-2프로파이닐부틸 카바메이트의 경우, 자외선에 의해 쉽게 해리되기 때문에 국내 화장품법 규정으로 구강이나 입술에는 배합이 금지된 물질임과 동시에 3세 이하 어린이 제품에는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이들을 대체하여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CPC)이 물티슈에 사용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5939호 및 제10-2015-0058604호 등에 CPC를 포함하는 물티슈가 개시되어 있다. CPC는 4급 암모늄 양이온의 계면활성제로서, 세균의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인산과 결합하여 세포벽을 손상시키고 투과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항균 작용을 발현하게 된다. 즉, CPC는 실질적으로 물티슈에서 방부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우리나라도 미국, 유럽과 같이 물티슈를 공산품이 아닌 화장품으로 관리를 하게 되었고, CPC를 비롯한 코카미도프로필피지-디모늄클로라이드 포스페이트, 부틸렌글라이콜, 디소듐이디티에이, 플로필렌글라이콜 등은 살균 보존제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독 또는 혼합 사용이 모두 금지된다.
이에, 인체에 유해한 방부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항균 물티슈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593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86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 방부제를 제외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물티슈 원단에 물티슈용 조성물을 함침하여 제조하되, 물티슈용 조성물은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및 항균제;를 포함하고, 항균제는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소라쟁이 추출물, 계피 추출물, 산초 추출물, 옻나무 뿌리 추출물 및 백두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습제는 펜틸렌 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2-헥산 디올(1,2-hexanediol) 및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올리에이트(sorbitanoleat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pH조절제는 소듐시트레이트(sadium citrate) 및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시어버터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티슈용 조성물은 정제수 100중량에 대하여 보습제는 1 내지 3중량부, 계면활성제는 0.1 내지 0.3중량부, pH조절제는 0.1 내지 0.3중량부,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5 내지 15중량부, 항균제는 10 내지 30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인 항균 물티슈는, 천연 추출물을 친환경 항균제로 사용하여 화학 방부제를 포함하는 기존의 물티슈와 달리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그와 동일 또는 보다 유리한 항균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탈취 효과, 피부 보습 효과 및 아토피 예방 효과를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항균 물티슈는 물티슈 원단에 물티슈용 조성물을 함침하여 제조하되, 물티슈용 조성물은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및 항균제;를 포함하고, 항균제는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소라쟁이 추출물, 계피 추출물, 산초 추출물, 옻나무 뿌리 추출물 및 백두옹 추출물을 포함한다. 항균제는 천연물질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친환경 물질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물티슈 원단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서, 원료 섬유로 코튼, 레이온,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과 같은 합성섬유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제수는 각종 무기물 및 유기물을 모두 제거한 순수한 물을 의미하고, 이온 교환법, 역삼투 방식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온 교환법은 물을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분리한 후, 이것을 다시 재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이온교환법은 순도가 높은 정제수를 얻을 수 있기에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이다. 하나의 탱크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분리하는 혼상식 방법과 두 개의 탱크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을 각각 분리하는 방식인 복상식으로 나뉜다.
또한, 역삼투 방식은 농도가 낮은 용액이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역으로 이용하여 정제수를 만드는 방법이다. 고농도의 용액과 저농도의 용액 중간에 투과막을 설치한 후 고농도 용액쪽에 높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농도 용액쪽으로 저농도의 용액이 빨려들어가지 않고 저농도에 정제수가 투과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높은 순도의 정제수를 얻기 위하여 이온 교환법을 사용하여 정제수를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습제는 수분을 더하고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펜틸렌 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2-헥산 디올(1,2-hexanediol) 및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데, 1,2-헥산 디올이 자극이 없고, 정제수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보습제는 정제수 100중량에 대해서 1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1중량부 미만인 경우, 보습력이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고, 3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올리에이트(sorbitanoleate)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인체에 유해하여 금지된 것을 제외하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정제수 100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0.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정제수와 각 구성성분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고, 0.3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고, 조성물의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pH조절제는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소듐시트레이트(sadium citrate), 시트릭애씨드(citric acid)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인체에 유해하여 금지된 것을 제외하고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는 정제수 100중량에 대해서 0.1 내지 0.3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산도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고, 0.3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시어버터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코넛 오일은 식물성 지방으로 코코넛의 말린 속살에서 추출한 것이다. 섭씨 24도 이상에서 투명상태로 변하고, 섭씨 24도 미만에서는 우유빛의 젤 성분으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코코넛 오일은 스킨케어, 피부보습, 두피 관리, 잔주름 제거 및 아토피 피부염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 열매에서 추출한 오일로 보습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비타민 E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부드럽고 탄력있게 해주며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이 사용하는 데에도 무리가 없다.
시어버터 오일은 아프리카의 민간치료제로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시어나무(shea tree)의 열매에서 채취한 식물성 유지로서 거칠고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촉촉한 피부로 만들어 주며 상처를 재생하는 효능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화장품의 보습제나 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에센셜 오일을 첨가할 경우, 후술할 항균제의 항균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사용시 뛰어난 보습효과 및 아토피 예방 효과 등의 시너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탈취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에센셜 오일은 정제수 100중량에 대해서 5 내지 15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5중량부 미만인 경우, 항균제의 항균 효과 및 항균 조성물의 보습력 향상에 기여하는 바가 미미하고, 15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사용상 제한이 있을 수 있고, 오히려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에션셜 오일 각 성분의 함량은 에센셜 오일 총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성초 추출물은 어성초의 잎과 뿌리를 건조시킨 후 용매를 통해 추출한 것이다. 어성초(Houttuyniae herba, 학명: 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Saururaceae)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mb)의 개화기의 지상부를 말하며, 다년생의 전통 약용식물이다. 어성초는 플라보노이드, 쿠에르시트린, 마이르센, 라우리알데히드 등의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뛰어난 항균작용을 할 수 있는데 특히 대장균, 장티푸스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등을 확실히 억제한다. 또한 피부 진균에도 효과가 뛰어나 염증작용을 억제하고 조직을 재생시켜 줄 수 있는 천연 항생제이다.
어성초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일 예로, 건조된 어성초의 잎과 뿌리를 정제수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부피 비율을 1:3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어성초 무게의 5배 비율로 취하여 75~80℃에서 4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하여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소엽 추출물은 소엽(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꿀풀과 Labiatae)의 잎 및 끝가지로서, 주름을 가지고 쭈그러진 잎과 그 파편이며 때로 가는 줄기를 가지는 자소엽을 원료로 한다. 자소엽은 식물성 비타민류와 미네랄류, 나아신, 칼륨, 철, 마그네슘, 아연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강력한 항산화 기능을 하는 안토시아닌계 색소도 풍부하다. 또한, 방향성 물질과 베타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아토피 피부염의 치유에 도움이 되고, 보습 효과 및 살균/방부 효과 또한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소엽 추출물은 통상의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될 수 있고, 일 예로, 자소엽의 잎과 씨앗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1,3-부틸렌 글리콜과 에탄올로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초임계로 추출하여 얻는다. 자소엽 추출물은 자소엽의 잎과 씨앗을 사용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초임계 섬오갈피 추출물을 수득하는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는다. 또한 이러한 자소엽 추출물은 정제과정이 불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을 건조시켜 그 액을 추출해 낸 것으로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는 치매를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약품 또는 건강식품으로 만들어져 사용되고 있다. 은행잎 추출물에는 플라보노이드와 징코라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피부에 탄력을 주고, 주름 개선 및 피부 재생, 노화 방지 효과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가진다.
은행잎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일 예로, 은행잎을 채취하여 건조 후 분쇄하고, 분쇄된 은행잎을 증류수와 전해수 생성장치(NIPPON INTEK J.A.W-020)를 통해 얻어진 전해환원수(ERW: Electrolytic Reduction Water, pH 11~13) 및 전해산화수(EOW: Electrolytic Oxidation Water, pH 3~4)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은행잎 5g에 각 용매 500ml를 넣어 Soxhlet 추출장치에서 95℃로 120분간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라쟁이(Rumex crispus) 추출물은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마디풀과의 Rumex속 식물이다. 소라쟁이는 각지의 습한 곳에서 잘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민간에서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하며, 한의학에서는 양제(羊蹄)라고 하여 방광염, 담낭질병, 담즙 분비장애, 비장 질환, 피부병, 임파절 질환을 비롯하여 여러 종양이나 암의 보조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소라쟁이 추출물은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소량의 유황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피부 가려움증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알려진 소리쟁이의 유용성분으로는 사포닌, 탄닌, 플라보노이드, 정유와 chrysophanol, emodin 등의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유도체 등이 존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소라쟁이 추출물의 추출방법의 일 예로, 채취한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지상부(뿌리를 제외한 부분)와 지하부(뿌리 부분)로 나누어 쇄절한다. 추출용매로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후, 추출액을 막 필터(공극도 0.5㎛)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한다. 농축 후 적당한 용기에 담아 4℃에서 냉장 보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계피 추출물은 건조된 계피에 용매를 가해 추출한 것이다. 계피는 녹나무과의 계피 나무의 껍질로서 스리랑카 산의 트루 시나몬(True-cinnamon)과 중국, 일본 및 한국 등의 캐셔 시나몬(Cassia-cinnamon)으로 나눠진다. 계피의 외피를 제거하거나 혹은 그대로 건조한 것으로서 보통 계피 또는 육계라고 한다. 계피는 한약이나 의약품, 식품 등으로 사용되어왔다. 계피의 추출물을 계피유라고 하고 이에는 신나믹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 캄펜(camphene), 치네올(cineol), 신나믹산(cinnamic acid), 리나룰(linalool), 유게놀(eugenol), 지방질, 인, 철분, 비타민A, 비타민B1 및 비타민B2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계피는 전통 한방에서뿐만 아니라 현대의 의약학에 의해서도 여러 효능이 입증되고 있다. 계피의 성분은 음식물의 부패를 억제시키는 항균활성 기능, 충치균 증식의 억제효과, 머리에 사용함으로써 두피에 대해 강한 소염 및 탈모 방지효능, 가려움증, 가벼운 상처치료, 국부 충혈 조절, 유해 대장균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형성 억제 효과, 항균활성효과 등이 입증되어 있다.
계피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 열수를 이용한 추출, 오토 클레이브를 이용한 가압추출, 간이 추출법 등 통상의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된 계피를 계피 무게 대비 10배의 증류수에 넣고 100℃로 끓인 후, 70℃로 냉각시켜 3시간 동안 침지시킨다. 이 후 진공농축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산초 추출물은 건조한 산초 열매를 분쇄한 후 용매를 통해 추출한 것이다.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성질이 따뜻하여 속을 덥히고, 찬기운과 습을 몰아내어 통증을 가라앉히는 작용을 하며, 살충하고 해독하는 작용이 있다. 산초에는 정유가 7% 정도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geraniollimonene, cumic alcohol 등이 있다. 최근에는 산초나무 종자에서 추출한 정유물질이 국부마취 및 진통작용이 있고, 항균작용으로 대장균, 적리균, 구균류, 디프테리아균, 황색포도상구균, 피부사상균 등을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산초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일 예로, 건조된 산초의 열매를 분쇄기로 세절한 후 시료 900g과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용액 8100g(무게 비율 1:9)을 혼합하여 PSE 압력반응기를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온도는 80~85℃로 유지하고 압력은 대기압과 같은 압력에서 3시간동안 추출 한 후 40~50℃까지 냉각시키며, 추출된 용액은 백 필터(bag filter)와 필터 드라이어(filter dryer)를 이용하여 여과 후 액체 타입의 추출물만을 수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옻나무 뿌리 추출물은 옻나무의 뿌리를 채취한 후 무균증류수를 가해 추출한 것이다. 옻은 따뜻한 성질과 신맛을 지니고 있고 독이 있어 우수한 항균 및 항곰팡이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종 피부병 치유에 도움을 주고, 항산화 작용을 하여 노화를 방지한다. 옻나무는 뿌리뿐만 아니라 잎, 줄기 등을 용매를 가해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뿌리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옻나무 뿌리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일 예로 건조한 옻나무의 뿌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150g을 준비하고, 이를 700ml의 무균증류수에 넣은 후 1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백두옹 추출물은 미나리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백두옹의 뿌리에서 추출한 것이다. 백두옹은 사포닌(saponin)을 함유하고 있어 항균, 진정 및 항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백두옹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일 예로, 백두옹 뿌리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한 150mg을 석유 에테르(ether)로 탈지하고, 메탄올(MeOH) 100ml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여과지로 얻어진 여액을 진공증발(TYPE N-N, EYELA, Japan)하여 잔유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얻은 다음 클로로포름(CHCl3)과 물을 사용하여 수회 반복 분액한다. 이를 클로로포름층과 물층으로 분리하고 상기 물층에 남은 층을 에틸아세테이트/물로 수회 반복 분액하여 이를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물층으로 나우고 에틸아세테이트층에 있는 것을 농축하여 4℃에 보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항균제는 어스니어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스니어 추출물은 송라라고 하는 소나무 겨우살이에서 추출한 성분이다. 송라에는 우스닌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 면역력 증진 및 피부 진정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효과를 갖는다.
어스니어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용이하다는 점에서 CO2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제는 정제수 100중량에 대해서 10 내지 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대체할 정도의 항균력을 달성할 수 없고, 30중량부 초과하는 경우, 항균 효과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화학 방부제를 천연물질 추출물(항균제)과 에션셜 오일 등으로 대체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우수한 항균 효과, 아토피 예방 효과, 탈취 효과 등을 가지게 되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단위: 중량부)으로 물티슈용 친환경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코튼, 레이온 및 폴리에스터를 혼합하여 제조한 부직포에 함침시켜 물티슈를 제조한 후, 이를 실시예 및 비교예로 하였다. 항균제는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소라쟁이 추출물, 계피 추출물, 산초 추출물, 옻나무 뿌리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 각각을 동일한 중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에센셜 오일은 시중에서 구매 가능한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시어버터 오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방부제는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CPC)를 사용하였다.
[표 1]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1
[실험예 1: 항균력 테스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포함된 물티슈용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 Escherichia coli ATCC 25922(대장균) 및 Candida albicans(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 활성치 및 항균력 평가하여 각각 하기 표 2 내지 4에 기재하였다.
[표 2]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테스트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2
[표 3] Escherichia coli ATCC 25922(대장균)에 대한 항균테스트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3
[표 4] Candida albicans(곰팡이)에 대한 항균테스트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4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2 내지 표 4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천연물질 항균제와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의 물티슈용 조성물은 이들을 제외한 비교예 1의 물티슈용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항균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고, CPC를 사용한 비교예 2의 물티슈용 조성물과 비교하여도 그 효과가 보다 우수하였다.
[실험예 2: 인체 첩포실험]
피부자극 및 기타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1의 물티슈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체에 대한 첩포실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검사는 건강한 성인 남, 여 30명으로 등 부위에 핀챔버(Finn chamber)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원판속에 조성물을 직접 넣거나 종이 디스크에 묻혀서 40㎕를 처리하여 이를 스켄포어 테잎(scanpore tape)으로 피부에 고정시키고, 24시간 후 첩포를 떼어내고, 그 뒤 4시간 후 결과를 판정하였다.
결과는 홍반과 부종의 정도에 따라 수치로 나타내며, 판정기준은 국제접촉피부염 연구위원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의 기준에 의하여 다음과 같다(Wooding et al, 1967; Rietschell, 1982; Fischer & Maibach, 1984; Aberer et al, 1993).
0 : 발적없음
1 : 발적(erythema)
2 : 발적 및 구진(papules)
3 : 발적, 구진 및 소수포(vesicles)
4 : 심한 부종 및 소수포
상기 판정기준에 따라 판정한 점수에 근거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자극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자극도(%) =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반응도 / 자체모집단의 반응도) ×100
[표 5]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5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천연물질 항균제와 에센셜 오일을 첨가한 물티슈용 조성물을 사용한 실시예는 인체에 적용했을 시에도 전혀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들을 제외한 비교예 1보다 좋은 결과를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관능 테스트]
피부 가려움증을 가지고 있는 20~50대 각 10명씩을 선정하여 보습력, 피부 가려움증 완화의 2가지 항목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관능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10점 만점으로 하되, 10점에 가까운 점수일수록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의미하고, 그 평균치를 하기 표 6 및 표 7에 기재하였다.
[표 6] 보습력에 대한 평가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6
[표 7]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대한 평가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7
상기 표 6 및 표 7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천연물질 항균제와 에센셜 오일을 첨가한 실시예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보습력이 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특히, 피부 가려움증 완화에 있어 훨씬 좋은 평가를 얻었다.
[실험예 4: In-vivo 평가방법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확인실험]
실시예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아토피 피부를 가진 1~10세 유아 및 소아 3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증상 정도에 따라 3단계로 분류한 후, 아토피 병변 증상 정도의 비율이 심함:보통:약함=1:2:2의 비율이 되도록 한 후, 증상정도에 따른 효과를 관찰 비교하였다. 이때, 실시예를 부위에 따라 1일 2회 도포하였다. 평가는 8주 사용 후 아래의 5점 만족 척도로 평가 하였다(가장 만족 5점, 만족 4점, 보통 3점, 불만족 2점, 매우 불만족 1점).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112015098454066-pat00008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를 사용한 경우 아토피 피부염의 대표적인 증상인 각질피부, 가려움증, 염증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인 항균 물티슈는 종래의 CPC와 같은 방부제를 천연물질 항균제와 에센셜 오일로 대체한 물티슈용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효과를 얻었고, 나아가 인체에 적용시에도 거의 자극을 주지 않아 영유아를 포함하여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또한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물티슈 원단에 물티슈용 조성물을 함침하여 제조한 물티슈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용 조성물은 정제수; 보습제; 계면활성제; pH조절제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및 항균제;를 포함하되,
    상기 항균제는 각각 동일한 중량의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소라쟁이 추출물, 계피 추출물, 산초 추출물, 옻나무 뿌리 추출물, 백두옹 추출물 및 어스니어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용 조성물은 상기 정제수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보습제는 1 내지 3중량부, 상기 계면활성제는 0.1 내지 0.3중량부, 상기 pH조절제는 0.1 내지 0.3중량부, 상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5 내지 15중량부, 상기 항균제는 10 내지 30중량부이며,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건조된 어성초의 잎과 뿌리를 정제수와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부피 비율을 1:3 내지 3:1의 비율로 혼합하여 어성초 무게의 5배 비율로 취하여 75~80℃에서 4시간 추출하여 여과한 후 농축한 것이고,
    상기 자소엽 추출물은 자소엽의 잎과 씨앗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1,3-부틸렌 글리콜과 에탄올로 혼합된 용매를 이용하여 초임계로 추출한 것이며,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잎을 채취하여 건조 후 분쇄하고, 분쇄된 은행잎을 증류수와 pH 11~13의 전해환원수 및 pH 3~4의 전해산화수를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은행잎 5g에 각 용매 500ml를 넣어 추출장치에서 95℃로 120분간 추출한 것이고,
    상기 소라쟁이 추출물은 소라쟁이를 잘 씻은 후, 음지에서 건조하여 뿌리를 제외한 부분인 지상부와 뿌리 부분인 지하부로 나누어 쇄절한 후 추출용매인 80%(v/v) 메탄올에 3일 동안 침지한 다음, 추출액을 막 필터로 여과하여 고형물을 분리하고, 메탄올 추출액을 회전식 증발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한 것이며,
    상기 계피 추출물은 건조된 계피를 계피 무게 대비 10배의 증류수에 넣고 100℃로 끓인 다음 70℃로 냉각시켜 3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진공농축한 것이고,
    상기 산초 추출물은 건조된 산초 열매를 분쇄기로 세절한 후 시료 900g과 1,3-부틸렌 글리콜(1,3-butylene glycol) 용액 8100g을 혼합하여 압력반응기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이며,
    상기 옻나무 뿌리 추출물은 건조한 옻나무의 뿌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 150g을 준비하고, 이를 700ml의 무균증류수에 넣은 후 1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한 것이고,
    상기 백두옹 추출물은 백두옹 뿌리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한 150mg을 석유 에테르로 탈지하고, 메탄올 100ml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고 여과지로 얻어진 여액을 진공증발하여 잔유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얻은 다음 클로로포름과 물을 사용하여 수회 반복 분액하고, 이를 클로로포름층과 물층으로 분리하여 물층에 남은 층을 에틸아세테이트/물로 수회 반복 분액하여 이를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물층으로 나눈 다음 에틸아세테이트층에 있는 것을 농축한 것이며,
    상기 어스니어 추출물은 이산화탄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펜틸렌 글라이콜(pentylene glycol), 1,2-헥산 디올(1,2-hexanediol) 및 카프릴릴글리콜(caprylyl glyc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올리에이트(sorbitanole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은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시어버터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6. 삭제
KR1020150142430A 2015-10-12 2015-10-12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KR101626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430A KR101626575B1 (ko) 2015-10-12 2015-10-12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430A KR101626575B1 (ko) 2015-10-12 2015-10-12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575B1 true KR101626575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430A KR101626575B1 (ko) 2015-10-12 2015-10-12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57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495Y1 (ko) * 2016-12-06 2017-05-22 김승구 배수구용 거름구
KR20180052823A (ko) * 2016-11-10 2018-05-21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888809B1 (ko) * 2018-05-24 2018-08-14 이지형 천연 살충 조성물
KR101934549B1 (ko) * 2017-09-15 2019-01-02 정무신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KR20190035047A (ko) * 2017-09-26 2019-04-03 정무신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CN111281829A (zh) * 2020-02-13 2020-06-16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含马齿苋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167530B1 (ko) * 2019-12-06 2020-10-19 정우신약주식회사 피부건강에 유효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WO2020214118A1 (en) * 2019-04-17 2020-10-22 Nanobi̇otech Arge İnovasyon Sağlik Ürünleri̇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Herbal composition for hand disinfection
CN115804689A (zh) * 2022-11-30 2023-03-17 杭州瑞宇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抑菌透气卫生巾的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780A (ja) * 1997-10-14 1999-04-27 Asahi Chem Ind Co Ltd 除菌ウェットティッシュ
JP2012072141A (ja) * 2011-10-05 2012-04-12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シン阻害剤
KR101189344B1 (ko) * 2010-06-23 2012-10-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자가-보존성 스킨케어 조성물
KR20130142304A (ko) * 2012-06-19 2013-12-3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왁스중수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5939A (ko) 2013-02-25 2014-09-03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50058604A (ko) 2013-11-18 2015-05-29 주식회사 명진뉴텍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780A (ja) * 1997-10-14 1999-04-27 Asahi Chem Ind Co Ltd 除菌ウェットティッシュ
KR101189344B1 (ko) * 2010-06-23 2012-10-09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자가-보존성 스킨케어 조성물
JP2012072141A (ja) * 2011-10-05 2012-04-12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シン阻害剤
KR20130142304A (ko) * 2012-06-19 2013-12-30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왁스중수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5939A (ko) 2013-02-25 2014-09-03 한종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물티슈
KR20150058604A (ko) 2013-11-18 2015-05-29 주식회사 명진뉴텍 물티슈용 방부제 조성물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823A (ko) * 2016-11-10 2018-05-21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897359B1 (ko) * 2016-11-10 2018-09-10 주식회사 쌍용씨앤비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200483495Y1 (ko) * 2016-12-06 2017-05-22 김승구 배수구용 거름구
KR101934549B1 (ko) * 2017-09-15 2019-01-02 정무신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KR20190035047A (ko) * 2017-09-26 2019-04-03 정무신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KR102253630B1 (ko) 2017-09-26 2021-05-21 정무신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KR101888809B1 (ko) * 2018-05-24 2018-08-14 이지형 천연 살충 조성물
WO2020214118A1 (en) * 2019-04-17 2020-10-22 Nanobi̇otech Arge İnovasyon Sağlik Ürünleri̇ Sanayi̇ Ve Ti̇caret Li̇mi̇ted Şi̇rketi̇ Herbal composition for hand disinfection
KR102167530B1 (ko) * 2019-12-06 2020-10-19 정우신약주식회사 피부건강에 유효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1281829A (zh) * 2020-02-13 2020-06-16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含马齿苋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281829B (zh) * 2020-02-13 2022-04-19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含马齿苋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804689A (zh) * 2022-11-30 2023-03-17 杭州瑞宇医疗用品有限公司 一种抑菌透气卫生巾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575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CN108158869B (zh) 一种抑菌湿巾液、湿巾及其制备方法
US11033591B2 (en) Antibacterial essential oil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87451A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9105A (ko) 유산균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항아토피 및 무좀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Singh et al. The portent plant with a purpose: Aloe vera
KR20160105187A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주방용 항균 세제
KR102236236B1 (ko)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83861B1 (ko)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CN104619225A (zh) 含有在高温和高压条件下提取的黄连的热水提取物的湿纸巾
KR102271886B1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3186A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항균 물티슈
KR102330277B1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3057A (ko) 물티슈용 조성물
KR20160050527A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0613663A (zh)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056263B1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