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549B1 -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 Google Patents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549B1
KR101934549B1 KR1020170118359A KR20170118359A KR101934549B1 KR 101934549 B1 KR101934549 B1 KR 101934549B1 KR 1020170118359 A KR1020170118359 A KR 1020170118359A KR 20170118359 A KR20170118359 A KR 20170118359A KR 101934549 B1 KR101934549 B1 KR 10193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servative
weight
wet tissue
artemisia annu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신
주명길
박연우
Original Assignee
정무신
주명길
박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신, 주명길, 박연우 filed Critical 정무신
Priority to KR102017011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는 티슈 원단; 및 상기 티슈 원단에 침지된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0.1~3 중량%, 보존제 0.1~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Description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WET TISSUE COMPRISING ARTEMISIA ANNUA EXTRACT AND WET TISSUE THEREOF}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향이 우수하고,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 향상이 따라, 위생관리를 위해 물기를 갖는 일회용 티슈로 손발의 이물질을 닦아 제거하기 위한 일회용 티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일회용 티슈는 펄프 또는 부직포로 제조된 것으로, 크게 건조 티슈와 물티슈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 티슈는 수분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사용시 먼지나 보풀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 물티슈의 경우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시 먼지나 보풀이 발생하지 않으며,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티슈에 사용되는 표백 성분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짐에 따라, 방부제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물티슈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개똥쑥(Artemisia annua)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항암효과가 뛰어난 아르테미신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 당뇨, 면역력 강화, 피로회복, 혈액순환, 간기능 개선, 피부질환 등에도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은 구과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며, 일본이 원산지인 온난대 기후대 식물이다. 편백에는 천현 항균 물질로 알려진 피톤치드(phytoncide)의 발생량이 다른 식물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련(Kobus magnolia)은 한국 및 일본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10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매끄러운 편이고 껍질눈이 있으며, 구충 및 두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나무(Bambusoideae)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이다. 대나무는 화본과 식물로 세계적으로 약 28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70종의 대나무 종류가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다. 대나무의 종류에는 솜대, 왕대(참죽), 맹종죽(죽순대), 오죽, 반죽, 섬대, 해장죽(신우대), 갓대, 조릿대, 산죽, 이대 등 11종의 대표적인 품종이 있다. 이러한 대나무에는 유기산, 식이섬유, 탄닌, 벤조후란 등이 함유되며, 항산화 작용, 혈전용해활성, 지질저하작용 등의 기작이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085683호(2017.07.25 공개, 발명의 명칭: 액상주머니가 내장된 일회용 물티슈)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항균, 항염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 보관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는 티슈 원단; 및 상기 티슈 원단에 침지된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0.1~3 중량%, 보존제 0.1~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1:0.3~3:0.5~5:2~4:1~5:0.5~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 및 개똥쑥 추출물은 1:2~1:8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 0.1~3 중량%, 목련(Kobus magnolia) 추출물 0.1~3 중량% 및 대나무(Bambusoideae) 추출물 0.1~3 중량%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은, 상기 편백, 목련 및 대나무를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각각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은 1:0.5~1:1~2:3~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는 향, 보관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염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는 티슈 원단; 및 상기 티슈 원단에 침지된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0.1~3 중량%, 보존제 0.1~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제수는 92~99.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티슈 원단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연펄프, 면, 천연섬유, 혼방섬유 및 합성섬유 원단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방섬유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레이온(rayon) 및 면 등을 혼합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티슈 원단은 폴리에스테르 및 레이온 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개똥쑥 추출물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 추출은 개똥쑥의 꽃, 줄기,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용매 50~1000 중량부에 첨가하여 1~10일 동안 상온에서 숙성하거나, 80~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개똥쑥은, 0.1~10mm 의 크기로 분쇄한 분쇄물의 형태로 용매에 투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물 30~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30분~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20분~50분 동안 2차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 추출하여 수득한 개똥쑥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100℃로 가열하여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며, 투명성이 우수하여 물티슈에 적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3 중량% 포함된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향과, 방부 및 항염 효과가 저하되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물티슈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3~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보존제
상기 보존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과, 피부에 적용시 피부 안정 및 보습 역할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은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 및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laurylpyridinium chloride)는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 및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며 피부에 적용시 피부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caprylhydroxamic acid)는 상기 혼합 조성물이 변질을 방지하면서,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은 항균효과를 가지며, 피부 보습 및 컨디셔닝 효과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capryl glyceryl ether)는 본 발명의 항균성과 함께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C12-C14 alkyl diaminoethyl glycine hydrochloride)는 본 발명의 보존성 및 제형안정성 확보를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1:0.3~3:0.5~5:2~4:1~5:0.5~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에 적용시 자극을 주지않고, 피부 안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3 중량% 포함된다. 상기 보존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본 발명의 물티슈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 및 개똥쑥 추출물은 1:2~1:8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향이 우수하며, 피부 안정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3~1:6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 0.1~3 중량%, 목련(Kobus magnolia) 추출물 0.1~3 중량% 및 대나무(Bambusoideae) 추출물 0.1~3 중량%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을 더 포함시,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물티슈의 향이 우수하고, 피부 안정 및 보습화 효과가 우수하면서,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편백 추출물은 편백의 잎, 가지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목련 추출물은 목련의 꽃, 가지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나무는 대나무의 잎, 줄기, 뿌리 및 죽봉령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은, 상기 편백, 목련 및 대나무를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각각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은, 전술한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추출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편백, 목련 및 대나무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며, 투명성이 우수하여 물티슈에 적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예서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은 1:0.5~1:1~2:3~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상기 성분 사이에 상승효과가 우수하여 향이 우수하고, 피부 안정 및 보습화 효과가 우수하면서,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는 향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보관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염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방부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비교예
(1) 개똥쑥 추출물 제조: 개똥쑥(Artemisia annua)의 줄기 및 잎을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30분 동안 2차 가열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개똥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편백 추출물 제조: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잎, 줄기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5mm 크기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백 분쇄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 및 에탄올 500 중량부를 혼합한 용매에 침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가열 후 여과하여 편백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백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편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목련 추출물 제조: 목련(Kobus magnolia)의 꽃잎, 줄기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5mm 크기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목련 분쇄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 및 에탄올 500 중량부를 혼합한 용매에 침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가열 후 여과하여 목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목련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목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 대나무 추출물 제조: 대나무(Bambusoideae)의 잎, 줄기 및 뿌리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5mm 크기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 및 에탄올 500 중량부를 혼합한 용매에 침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가열 후 여과하여 대나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나무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대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5) 보존제: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1:0.5: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상기 개똥쑥 추출물 1 중량%, 보존제 0.2 중량% 및 정제수 98.8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티슈 원단(폴리에스테르 및 레이온을 포함하는 혼방 섬유)을 상기 혼합 조성물에 침지하여,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편백 추출물 0.5 중량%, 목련 추출물 1 중량%, 개똥쑥 추출물 1 중량%, 보존제 0.2 중량% 및 정제수 97.3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편백 추출물 0.5 중량%, 목련 추출물 1 중량%, 대나무 추출물 0.5 중량%, 개똥쑥 추출물 1.5 중량%, 보존제 0.3 중량% 및 정제수 96.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보존제 1 중량% 및 정제수 99 중량%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개똥쑥 추출물 4 중량%, 보존제 0.2 중량% 및 정제수 95.8 중량%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개똥쑥 추출물 1 중량%, 보존제 3.5 중량% 및 정제수 95.5 중량%를 적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티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혼합 조성물에 대하여, 분리 및 변색 정도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45℃와 2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및 일광 조건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 혼합 조성물을 샘플 용기에 담아 8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Figure 112017089748110-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3을 이용하여 제조된 혼합 조성물은 제형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 함량과, 보존제 함량을 각각 초과하는 비교예 2~3의 경우, 상기 실시예 1~3보다 제형 안정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첩포 시험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혼합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부 자극 시험을 조사하기 위해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50~7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0명에게 실시하였다. 첩포 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혼합 조성물을 0.1g씩 가하여 24시간 동안 첩포를 실시한 뒤, 첩포를 제거하고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첩포 시작으로부터 48시간 뒤)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미약한 양성 반응(홍반), +: 양성 반응(홍반), ++: 강한 양성 반응(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홍반, 부종, 수포)
Figure 112017089748110-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3은 피부 자극성이 낮았으나,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 함량과, 보존제 함량을 각각 초과하는 비교예 2~3의 혼합 조성물의 경우 상기 실시예 1~3보다 피부 자극성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항균력 시험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혼합 조성물에 대하여, 시험 균주로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 및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 균주들이 도포된 고체 한천 배지에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혼합 조성물이 도포된 디스크를 올려놓고 배양한 후,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항균력 측정은 확산법(Paper Disc Method)을 이용했으며 디스크 주변의 투명환의 크기를 비교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89748110-pat00003
(-: 투명환 생성 못함, -+: 투명환 생성 후 균주 성장, +: 약한 투명환 생성 ++: 강한 투명환 생성)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3의 혼합 조성물은,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항균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물티슈에 대하여, 20~6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30일 동안 사용하게 한 다음 물티슈의 향, 보습성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 만점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7089748110-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경우 투명성과, 향, 보습성 및 기호도가 우수하였으며,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적용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 함량과, 보존제 함량을 각각 초과하는 비교예 2~3의 경우 상기 실시예 1~3에 비해 향, 보습성 및 기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5)

  1. 티슈 원단; 및
    상기 티슈 원단에 침지된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0.1~3 중량%, 보존제 0.1~3 중량%,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 0.1~3 중량%, 목련(Kobus magnolia) 추출물 0.1~3 중량% 및 대나무(Bambusoideae) 추출물 0.1~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존제 및 개똥쑥 추출물은 1:3~1:6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은 1:0.5~2:1~2:2~5 중량비로 포함되고,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1:0.3~3:0.5~5:2~4:1~5:0.5~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은, 상기 편백, 목련 및 대나무를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각각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5. 삭제
KR1020170118359A 2017-09-15 2017-09-15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KR10193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59A KR101934549B1 (ko) 2017-09-15 2017-09-15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359A KR101934549B1 (ko) 2017-09-15 2017-09-15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549B1 true KR101934549B1 (ko) 2019-01-02

Family

ID=6502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359A KR101934549B1 (ko) 2017-09-15 2017-09-15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5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10A (ja) * 2005-02-02 2006-08-17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シン阻害剤
KR101626575B1 (ko) * 2015-10-12 2016-06-01 김미순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10A (ja) * 2005-02-02 2006-08-17 Ichimaru Pharcos Co Ltd トリプシン阻害剤
KR101626575B1 (ko) * 2015-10-12 2016-06-01 김미순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hemp and other natural fibre plants: a review
KR101897359B1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101768464B1 (ko) 홍삼 버블쿠션 클렌징 애완동물용 샴푸의 조성물
KR20190031983A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CN105707139A (zh) 天然防腐组合物
KR101799313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260054A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CN107625690A (zh) 滋润保湿油茶果润唇膏及其制备方法
CN108186426B (zh) 一种抑菌面膜液、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944764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1767979B1 (ko)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34549B1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물티슈
KR20190035047A (ko)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JP2012201598A (ja) 抗酸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1159265B1 (ko)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0749086B1 (ko) 초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초피 추출물을 함유한 항충치물질
KR20170053544A (ko) 겨우살이, 편백나무, 참나무 및 동백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99213B1 (ko) 방부제로서 두충, 현초 및 백굴채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852906B1 (ko) 로즈마리와 카모마일을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향균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7634B1 (ko) 방부 활성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JP2004269489A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0363B1 (ko) 녹용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