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280B1 -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280B1
KR101989280B1 KR1020180091400A KR20180091400A KR101989280B1 KR 101989280 B1 KR101989280 B1 KR 101989280B1 KR 1020180091400 A KR1020180091400 A KR 1020180091400A KR 20180091400 A KR20180091400 A KR 20180091400A KR 101989280 B1 KR101989280 B1 KR 10198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deodorant
oa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표
Original Assignee
이경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표 filed Critical 이경표
Priority to KR102018009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은 참나무(Quercus) 100 중량부,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10~40 중량부, 귤껍질 3~15 중량부, 칡(Pueraria montana) 뿌리 1~8 중량부 및 감초(Glycyrrhiza glabra)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을 중탕 및 감압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추출액에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stevia) 0.1~1 중량부, 사과 농축물 0.1~1 중량부 및 오렌지 농축물 0.1~1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DEODORA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축 사육장, 하수 처리장 및 쓰레기 처리장 등 개방 공간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용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인 도시화의 확산과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축산폐기물 및 유기성 폐수의 발생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악취는 인간의 감각기관의 하나인 코(nose)를 통해 단순히 불쾌한 냄새부터 인체에 유해하거나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모든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 제2조에서 악취를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 있는 기체성 물질이 인간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 및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정의하고 있다.
한편, 유기성 물질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있어서는 유기성 폐기물의 부패 또는 분해에 의해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기체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악취성분을 포함하는 기체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업체에 대한 각종 민원제기 또는 폐기물 처리시설을 기피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탈취제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용도에 따라서 쓰레기 매립지, 축산, 하수, 분뇨처리장 등 개방된 공간을 탈취하기 위한 탈취제와, 건물 등 실내 공간, 신발장, 화장실 등 밀폐된 공간을 탈취하기 위한 생활용 탈취제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참나무(Quercus)는 참나무속식물의 총칭이다. 가시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 등을 총칭하여 참나무라 부른다. 참나무의 껍질은 악창, 종기, 장풍하혈, 설사, 이질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참나무의 잎은 각종 결석을 용해시키는 작용도 있다.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는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큰키나무이며, 노송나무 또는 두송목이라 부른다. 노간주나무의 잎이나 뿌리는 이뇨제 또는 진정제 등으로 사용된다.
귤껍질은 비타민 C가 풍부하며, 리모넨(limonene) 화합물 및 그 배당체인 헤스페리딘(hesperidin) 등을 함유하여 방향성 건위제 및 진해 거담약 등으로 사용한다.
칡(Pueraria thunbergiana)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덩굴식물로서, 예로부터 구황작물로 식용되었고 자양강장제 등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칡뿌리는 갈근(葛根)이라고 하는데 주성분은 전분 14~20 중량%, 당분 4~5 중량%를 포함하며, 푸에라린(puerarin), 푸에라린 자일로사이드(puerarin xyloside), 다이제인(daidzein) 등의 이소플라빈(isoflavone) 배당체와, 비타민 C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밖에 섬유질, 단백질, 철분, 인 등 각종 영양소가 골고루 들어 있다.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몽골,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는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사용한다. 감초는 주로 진해, 거담, 교미약(矯味藥), 해독약 및 감미제 등에도 사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07657호(2015.01.21. 공개, 발명의 명칭: 탈취제 제조방법 및 탈취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광범위한 종류의 악취 물질을 단시간에 제거할 수 있는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에 무해하며, 악취 제거 지속성이 우수한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량으로 광범위한 면적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악취 제거 지속성이 우수한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친환경성이며,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탈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탈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탈취제를 이용한 탈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은 참나무(Quercus) 100 중량부,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10~40 중량부, 귤껍질 3~15 중량부, 칡(Pueraria montana) 뿌리 1~8 중량부 및 감초(Glycyrrhiza glabra)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을 중탕 및 감압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추출액에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stevia) 0.1~1 중량부, 사과 농축물 0.1~1 중량부 및 오렌지 농축물 0.1~1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액은 상기 제1 조성물 및 물을 1: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탕은 40~60℃에서 4~7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며, 상기 감압 추출은 10~10-5 torr의 압력 조건에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성분 10~60 중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성분은 솔잎(pine needle), 창출(Atractylodes lancea),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계피(cinnamon), 인동(Caprifoliaceae),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및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추출액은, 상기 추출액과 제1 조성물을 4:1~1:1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0~120℃에서 감압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은 800~1500ppm 조건으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조성물에 유용미생물 혼합물을 첨가하고, 20℃~35℃에서 5~2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용미생물 혼합물은 유산균, 효모 및 광합성균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탈취제를 이용한 탈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탈취 방법은 상기 탈취제 및 물을 1:0.5~1:50 중량비로 혼합하여 탈취 대상 장소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는 광범위한 종류의 악취 물질을 단시간에 분해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소량으로 광범위한 면적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악취 제거 지속성과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탈취제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탈취제의 검사 성적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탈취제의 검사 성적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탈취제의 검사 성적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탈취제의 검사 성적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탈취제의 검사 성적서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탈취제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탈취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탈취제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은 (S10) 제1 혼합액 제조단계; (S20) 혼합추출액 제조단계; 및 (S30) 분산액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은 (S10) 참나무(Quercus) 100 중량부,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10~40 중량부, 귤껍질 3~15 중량부, 칡(Pueraria montana) 뿌리 1~8 중량부 및 감초(Glycyrrhiza glabra)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S20) 상기 제1 혼합액을 중탕 및 감압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0) 상기 혼합추출액에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stevia) 0.1~1 중량부, 사과 농축물 0.1~1 중량부 및 오렌지 농축물 0.1~1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S10) 제1 혼합액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참나무(Quercus) 100 중량부,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10~40 중량부, 귤껍질 3~15 중량부, 칡(Pueraria montana) 뿌리 1~8 중량부 및 감초(Glycyrrhiza glabra)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참나무(Quercus)는 참나무속식물에 속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참나무는 가시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참나무의 잎과 껍질(수피)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잎과 껍질을 사용시, 탈취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는 잎 및 뿌리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노간주나무는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노간주나무를 10 중량부 미만 포함시 악취 제거 효율성, 및 지속 효과가 저하되며, 4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탈취제 혼합성이 저하되며,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귤껍질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5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귤껍질을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항균성 및 악취 제거 효율성이 미미하며,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탈취제의 혼합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칡(Pueraria thunbergiana) 뿌리는,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칡뿌리를 1 중량부 미만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본 발명의 탈취 지속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감초(Glycyrrhiza glabra)는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8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감초를 1 중량부 미만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8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탈취 효율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0.1~500㎛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크기는, 상기 제1 조성물 구성성분의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상기 조건에서 혼합성과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혼합액은 상기 제1 조성물 및 물을 1:1~1:5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제성, 혼합성과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혼합액은 상기 제1 조성물 및 물을 1:1~1:4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성물은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성분을 더 포함시, 혼합성과 추출 효율성이 우수하면서, 탈취 효율, 탈취 지속성 및 항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솔잎(pine needle), 창출(Atractylodes lancea),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계피(cinnamon), 인동(Caprifoliaceae),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및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솔잎(pine needle)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3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창출(Atractylodes lancea)은 국화과의 식물인 삽주(Atractylodes japonica)의 잔뿌리 부위를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창출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은, 국화과의 쑥의 잎과 어린줄기 부위를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애엽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계피(cinnamon)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SIEB .)의 나무껍질 부위를 의미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계피는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인동(Caprifoliaceae)은 꽃, 잎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인동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er) 또는 기타 동속 식물(Solanaceae)의 뿌리 부위를 건조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지골피는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은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남성은 줄기, 잎, 뿌리 및 열매 부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천남성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2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시 악취 제거 및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기능성 성분은, 0.1~500㎛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혼합성과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능성 성분 10~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혼합성과 추출 효율성이 우수하면서, 탈취 효율과 항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은 상기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제1 조성물 발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유용미생물 혼합물은 유산균, 효모 및 광합성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글루코오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젖산균이라고도 한다. 젖산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젖산에 의해서 병원균과 유해세균의 생육이 저지되는 성질을 유제품, 김치류, 양조식품 등의 식품제조에 이용한다. 또, 포유류의 장내에 서식하여 잡균에 의한 이상발효를 방지하여 정장제(整腸劑)로도 이용되는 중요한 세균이다. 그람양성균이며, 통성혐기성 또는 혐기성이다. 락토바실루스속과 스트렙토코쿠스속에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및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효모(yeast)는 빵, 맥주, 포도주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미생물로, 곰팡이나 버섯 무리이지만 균사가 없고, 광합성능이나 운동성도 가지지 않는 단세포 생물의 총칭이다. 효모균은 육탄당과 같은 단당류를 먹이로 삼는다. 효모균은 무기호흡을 통해 산소의 공급 없이도 육탄당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효모균은 무기호흡 과정에서 육탄당을 분해하여 알콜과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효모균은 섭씨 10℃에서 37℃ 사이에서 생장할 수 있다. 10℃ 보다 낮은 기온에서는 생장을 멈추고 37℃ 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성장이 억제되며 섭씨 50℃ 이상이 되면 세포가 파괴되기 시작한다. 효모균은 출아에 의해 생식한다. 즉, 개체의 일부가 싹이 나오듯 떨어져 나와 번식하는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Saccharomyces cerevisiae)일 수 있다.
상기 광합성균(photosynthetic bacterium)은, 광합성을 하여 포도당을 만드는 세균으로서 산소를 사용하지 않는 혐기성 세균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광합성균은 홍색비유황세균, 녹색황세균 및 홍색유황세균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조성물에 유용미생물 혼합물을 첨가하고, 20℃~35℃에서 5~2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으로 발효시, 혼합성과 추출 효율성이 우수하면서, 탈취 효율, 탈취 지속성 및 항균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S20) 혼합추출액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제1 혼합액을 중탕 및 감압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탕은 상기 제1 혼합액을 40~60℃에서 4~7 시간 동안 가열하여 중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제1 조성물과 기능성 성분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실되지 않으면서, 추출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감압 추출은 상기 중탕된 제1 혼합액을 10~10-5 tor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제1 혼합액의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감압 추출은, 80~120℃에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추출액은 상기 제조된 추출액과, 상기한 제1 조성물을 4:1~1:1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0~120℃에서 감압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혼합 중량 및 추출 온도 조건에서 제1 혼합액 및 추출액에 포함된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5~115℃에서 5~6시간 동안 감압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혼합추출액은 상기 추출액 및 제1 조성물을 3.5:1~2.5:1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감압 추출은, 10~10-5 torr의 압력 조건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제1 혼합액 및 추출액에 포함된 유용 성분의 추출 효율이 우수할 수 있다.
(S30) 분산액 제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혼합추출액에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stevia) 0.1~1 중량부, 사과 농축물 0.1~1 중량부 및 오렌지 농축물 0.1~1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테비아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인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로 부터 유래된 것으로, 악취 유발 화합물 성분을 분해하여 탈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스테비아는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스테비아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탈취 효율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사과 농축물은 탈취 효과 향상을 위해 포함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사과 농축물은, 사과를 수세하고, 종자(seed) 불가식부위를 제거한 다음 착즙기로 착즙한 후, 진공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20~60 brix의 당도로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사과 농축물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사과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탈취 효율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오렌지 농축물은 탈취 효과 향상을 위해 포함된다. 구체예에서 상기 오렌지 농축물은, 오렌지의 불가식부위를 제거한 다음 착즙기로 착즙한 후, 진공 농축기 등을 이용하여 20~60 brix의 당도로 농축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오렌지 농축물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 중량부 포함된다. 상기 오렌지를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시 그 첨가 효과가 미미하며,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시 더 이상의 탈취 효율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생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분산은 800~1500ppm 조건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균질한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제는 광범위한 종류의 악취 물질을 단시간에 분해 및 제거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며, 소량으로 광범위한 면적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으며,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악취 제거 지속성과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탈취제는 동물의 배설물, 생활쓰레기, 산업쓰레기, 생활하수 등이 혐기성분해, 통기성분해, 호기성분해 및 산화의 과정을 거처 생성된 악취 물질의 분해 및 제거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탈취제는 암모니아(NH3), 트리메틸아민((CH3)3N), 황화수소(H2S) 및 메틸메캅탄(CH3SH) 등 악취 성분의 분해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부유 세균의 제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에 관한 것이다.
탈취제를 이용한 탈취 방법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탈취제를 이용한 탈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탈취 방법은 상기 탈취제 및 물을 1:0.5~1:50 중량비로 혼합하여 탈취 대상 장소에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탈취 대상 장소는 쓰레기 매립지, 축산, 하수, 분뇨처리장 등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탈취 대상 장소의 악취가 심한 경우, 상기 탈취제 및 물을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악취가 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탈취제 및 물을 1:25~1:5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살포할 수 있다. 상기 탈취제 및 물을 1:25 중량비로 희석시, 20m3 이상의 면적의 탈취 대상 장소의 악취를 완전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
(1) 제1 혼합액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참나무(Quercus)의 잎과 껍질 부위,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잎과 뿌리 부위, 귤껍질, 칡(Pueraria montana) 뿌리 및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준비하였다. 상기 성분들을 수세 및 건조한 다음, 300㎛의 크기로 분쇄하여 제1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과 물을 1:3 중량비로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2) 혼합추출액 제조: 상기 제1 혼합액을 용기에 투입하고, 40~60℃에서 5~6 시간 동안 중탕하였다. 그 다음에, 10~10-2 torr의 압력 조건에서 감압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추출액과, 상기 표 1 함량의 제1 조성물을 3:1 중량비로 혼합하고, 110℃에서 5~6 시간 감압 추출하여 혼합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분산액 제조: 상기 혼합추출액에,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stevia) 1 중량부, 사과 농축물 1 중량부 및 오렌지 농축물 1 중량부를 투입하고, 1000ppm의 조건으로 분산하여 분산액을 제조하여,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기능성 성분: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의 솔잎(pine needle), 창출(Atractylodes lancea),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계피(cinnamon), 인동(Caprifoliaceae)의 꽃과 줄기 부위,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및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의 줄기 및 잎 부위를 수세 및 건조한 다음, 300㎛의 크기로 분쇄하여 기능성 성분을 준비하였다. 상기 제1 조성물에 상기 기능성 성분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제1 조성물에 유용미생물 혼합물(유산균(락토바실루스속), 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및 광합성균(홍색비유황세균) 포함)을 첨가하고, 20℃~35℃에서 5~20일 동안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제1 조성물에 유용미생물 혼합물(유산균(락토바실루스속), 효모(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및 광합성균(홍색비유황세균) 포함)을 첨가하고, 20℃~40℃에서 5~20일 동안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의 제1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상기 혼합추출액에, 스테비아(stevia), 사과 농축물 및 오렌지 농축물을 적용하지 않고 분산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탈취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77587658-pat00001
상기 제조된 실시예 1~4 탈취제에 대하여, 환경 표지 인증 기준(EL608:2017)에 의거한, 개방공간에 사용하는 탈취제의 유기화합물 함량과 유해원소 함량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4의 탈취제를 물과 1:5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 방향족 탄화수소류(VACs, volatile aromatic hydrocarbons), 염소계탄화수소(Halogenated HCs) 및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함량과, 표 3의 유해 원소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1의 탈취제를 물과 1:10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한 검사 성적서를 하기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77587658-pat00002
Figure 112018077587658-pat00003
상기 표 2 및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 1~4의 탈취제는 환경 표지 인증 기준에 따른 유기화합물 함량과 유해원소 함량 기준치를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탈취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의 탈취제를 물과 1:5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환경 표지 인증 기준(EL608:2017)에 의거하여, 탈취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77587658-pat00004
Figure 112018077587658-pat00005
상기 표 4 및 표 5와, 도 2 내지 도 6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경우, 탈취 성능이 우수하였으나, 본 발명을 벗어난 비교예 1~7의 경우 상기 실시예 1~4 보다 악취 유발 물질의 제거 효율이 저하되거나, 환경 표지 인증 기준에 의거한 탈취 성능을 만족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참나무(Quercus) 100 중량부, 노간주나무(Juniperus rigida) 10~40 중량부, 귤껍질 3~15 중량부, 칡(Pueraria montana) 뿌리 1~8 중량부 및 감초(Glycyrrhiza glabra) 1~8 중량부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과 물을 포함하는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액을 중탕 및 감압 추출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혼합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추출액에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스테비아(stevia) 0.1~1 중량부, 사과 농축물 0.1~1 중량부 및 오렌지 농축물 0.1~1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하여 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성물은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성분은 상기 참나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솔잎(pine needle) 3~35 중량부, 창출(Atractylodes lancea) 1~10 중량부, 애엽(Artemisia princeps Pampanini) 1~10 중량부, 계피(cinnamon) 1~10 중량부, 인동(Caprifoliaceae) 1~10 중량부,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1~10 중량부 및 천남성(Arisaema amurense Maximowicz var. serratum Nakai) 1~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조성물에 유용미생물 혼합물을 첨가하고, 20℃~35℃에서 5~20일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용미생물 혼합물은 유산균, 효모 및 광합성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혼합액은 상기 제1 조성물 및 물을 1:1~1:5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탕은 40~60℃에서 4~7 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며,
    상기 감압 추출은 10~10-5 torr의 압력 조건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액은, 상기 추출액과 제1 조성물을 4:1~1:1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0~120℃에서 감압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은 800~1500ppm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제 제조방법.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및 제6항중 어느 한 항의 탈취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KR1020180091400A 2018-08-06 2018-08-06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00A KR101989280B1 (ko) 2018-08-06 2018-08-06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400A KR101989280B1 (ko) 2018-08-06 2018-08-06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280B1 true KR101989280B1 (ko) 2019-06-13

Family

ID=6684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400A KR101989280B1 (ko) 2018-08-06 2018-08-06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2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861B1 (ko) * 2020-08-07 2020-11-27 이수정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228352B1 (ko) * 2020-10-14 2021-03-16 주식회사 케이이엠지랩 솔잎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220052019A (ko) 2020-10-20 2022-04-27 권길평 칡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악취 제거제
KR20220123598A (ko) * 2020-02-03 2022-09-08 주바이오 주식회사 천연 소재의 증류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적 살균탈취제 조성물
KR102466436B1 (ko) * 2022-02-18 2022-11-11 이재연 음료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614B1 (ko) * 1980-06-23 1981-06-07 주식회사 한일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KR20070080437A (ko) * 2006-02-07 2007-08-10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101114185B1 (ko) * 2008-06-13 2012-02-22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소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151137A (ja) * 2013-02-14 2014-08-25 Ichimaru Pharcos Co Ltd 消臭剤およびその利用
KR20170135199A (ko) * 2016-05-30 2017-12-08 한국스테비아(주) 스테비아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 악취 제거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5303A (ko) * 2016-11-16 2018-05-25 박민경 항균성분을 구비한 탈취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614B1 (ko) * 1980-06-23 1981-06-07 주식회사 한일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KR20070080437A (ko) * 2006-02-07 2007-08-10 담양군 목(죽)초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목(죽)초액 조성물
KR101114185B1 (ko) * 2008-06-13 2012-02-22 학교법인 신동아학원 소취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4151137A (ja) * 2013-02-14 2014-08-25 Ichimaru Pharcos Co Ltd 消臭剤およびその利用
KR20170135199A (ko) * 2016-05-30 2017-12-08 한국스테비아(주) 스테비아와 미생물을 이용한 액상 악취 제거제와 이의 제조방법
KR20180055303A (ko) * 2016-11-16 2018-05-25 박민경 항균성분을 구비한 탈취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598A (ko) * 2020-02-03 2022-09-08 주바이오 주식회사 천연 소재의 증류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적 살균탈취제 조성물
KR102590504B1 (ko) * 2020-02-03 2023-10-17 주바이오 주식회사 천연 소재의 증류 방법으로 제조된 친환경적 살균탈취제 조성물
KR102183861B1 (ko) * 2020-08-07 2020-11-27 이수정 감귤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102228352B1 (ko) * 2020-10-14 2021-03-16 주식회사 케이이엠지랩 솔잎 오일을 포함하는 탈취용 조성물
KR20220052019A (ko) 2020-10-20 2022-04-27 권길평 칡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악취 제거제
KR102466436B1 (ko) * 2022-02-18 2022-11-11 이재연 음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280B1 (ko)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2130B1 (ko) 동물 사체 소멸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물 사체 소멸용 미생물 제제
CN107759401A (zh) 一种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CN101711885A (zh) 一种高浓度生物除臭剂的制备方法
CN106613488A (zh) 一种育苗营养钵及其制备方法
CN110180378B (zh) 一种高效除臭组合物及其生产方法
CN108083928A (zh) 一种辣椒专用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1296613B1 (ko) 미생물 탈취제
CN105396165A (zh) 一种绿色环保生物质除臭剂的制备方法
CN106982861A (zh) 一种生物垃圾除菌剂及其制备方法
KR101994394B1 (ko) 동물사체 악취 저감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60180A (zh) 一种罗勒专用中药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1151753B1 (ko) 실내 유해화학물질 분해 소독제
KR102205206B1 (ko) Em 발효 대사산물 및 대마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탈취제 조성물 및 그 조성방법
CN104841266B (zh) 一种含微生物的除味剂的制备方法
CN105561365A (zh) 用于城市垃圾中转站的植物型除臭液及其制备方法
CN107266151A (zh) 一种蘑菇的种植方法
KR102509566B1 (ko) 식물의 약성과 유황 발효를 통해 얻어지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살충·탈취제의 제조방법
KR101151764B1 (ko) 채소 추출물을 이용한 미생물 탈취제
KR101878896B1 (ko) 미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악취 제거용 조성물
KR101477078B1 (ko) 생약성분을 포함하는 천연 탈취 및 살균제와 그 제조방법
KR101696067B1 (ko) 축산분뇨의 악취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96211A (zh) 一种罗勒专用微胶囊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20120108831A (ko) 미생물대사산물과 구연산을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악취제거 방법
KR101833719B1 (ko) 폐잣송이를 이용한 탈취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