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10000614B1 -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0614B1
KR810000614B1 KR1019800002465A KR800002465A KR810000614B1 KR 810000614 B1 KR810000614 B1 KR 810000614B1 KR 1019800002465 A KR1019800002465 A KR 1019800002465A KR 800002465 A KR800002465 A KR 800002465A KR 810000614 B1 KR810000614 B1 KR 810000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ntidote
powder
extract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
박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 박문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
Priority to KR1019800002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0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0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0614B1/ko

Links

Landscapes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동물용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본 발명은 색약제를 주제로 하는 약물, 특히 동물용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각종 농약중독 사고로 가축 등의 동물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생태계가 적지 않게 파괴되어 가고 있어 우리 주변에 서식하고 있는 동물 자원이 혼란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까지 이를 예방 내지 치유하는데 근본적인 대책이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약해, 즉 동물의 약물 중독을 단시간내에 해소시킬 수 있는 약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참나무잎(또는 상수리 나무 껍질)의 조말(粗抹) 70중량%, 녹아주나무잎(또는 두송잎)이나 뿌리의 조말 20중량%, 귤껍질 조말 5중량%, 칡뿌리조말 2.5중량% 및 감초조말 2.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A)을 물과 1:3의 용적비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5∼6시간 40∼60℃로 중탕시키고 그 결과 생성된 중탕액을 감압 추출하여 얻은 엑기스를 다시 상기 혼합물(A)와 3:1의 용적비로 혼합하여 110℃에서 0.5∼1.0시간 진공비 등 및 추출시킨 다음 이 추출액을 다시 110℃에서 5∼6시간 진공하여 비등시켜 얻은 엑기스에 글리세린 0.5중량%를 첨가하여 800∼1000rpm으로 고속 분산시키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참나무잎 또는 상수리 나무 껍질은 한방의약에서 수렴제 또는 매염제 등으로 사용되고 녹아주 나무잎이나 그 뿌리 또는 두송잎이나 그 뿌리는 이뇨제, 또는 진경제로 사용되며, 귤껍질은 라모넨(Limo nene)및 배당체인 헤스페리딘 (Hesperidion)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방향성 건위제, 진해 거담약으로 사용되며, 칡 뿌리는 다이드진(daidzin)및 그의 분해산물인 다이드제인(daidzein)과 이소플라본( isoflavone) 유도체인 푸에라리안(puerarian) 등 을 함유하므로, 진경작용 및 구충, 해독 작용이 있으며, 발한해열약으로서 열병성, 감기, 두통, 편도선염 등에 쓰인다. 또 감초는 일종의 사포닌으로서 감미성분인 글리키트히진(Gly-cyrrhizin)이 주성분이며 진해, 거담, 교미약(矯味藥), 해독약, 감미제 등에 사용된다. 글리세린은 일반용제, 연화제, 관장제, 좌제 등의 캐리어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글리세린 분자를 800∼1000rpm으로 고속 분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해독제를 약물, 예컨대 BPMC 유제, DDVP 유제 등의 농약에 중독된 동물에 경구 또는 비강 투여하면 호흡에 따라 체내에 흡수되고, 그리하여 중독정도에 따라 즉시 또는 점차 회복되고 더욱이 잔존하는 독성이 제거된다. 이 해독의 명확한 약리학적 내지 생화학적 메카니즘은 아직 규명될 수 없으나 아마도 본 발명 방법의 해독제가 강력한 산소전달 반응 촉진제로서 작용하며, 독성물질을 중화사키는 기본적인 생체반응에 관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본 발명의 해독제는 제약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여러가지 제형으로 할 수 있으나, 상기 추출액 자체를 사용한 액체로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경구 및 비강 투여제로 제재할 수 있다. 1회 투여량은 중독 정도에 따라 적절히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독제는 해독작용 외에 강력한 탈취효과가 인정되므로 탈취제로서도 이용가치가 발견된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로서 상술한다.
[실시예 1]
[해독제의 제조(1)]
충분히 건조된 참나무잎(KL) 조말(組抹) 70g, 녹아주 나무잎(JL) 조말 20g, 귤껍질(GL) 조말 5g, 칡뿌리(CH) 조말 2.5g 및 감초(KA) 조말 2.5g 을 균질하게 혼합한 혼합물(A)을 얻고, 여기에 물 200ml를 가하여 2시간 침지시킨 다음 꺼내어 물기가 거의 빠진 후 1ℓ용 플라스크에 넣고 물 300ml를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5시간 동안 55℃로 가온시키고, 110℃(플라스크 내온)에서 2시간 증류시킨 다음 냉각시켜 200ml의 액을 추출한다. 상기 혼합물 A와 동일 성분의 혼합물 100g을 다시 전술한 방법에 따라 침지시킨 다음 상기 추출액 160ml에 가하여 다시 2시간 동안 진공 비등시키고 냉각시키면 160ml의 액상 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 글리세린 0.5중량%를 혼합하고 1000rpm으로 고속 분산시킨 제품 160ml를 얻는다. 이 물질은 방향성 취기가 있고 비중은 약 1.12 가량으로서 수용성이다.
[실시예 2]
[해독제의 제조(2)]
최초의 혼합물 A를 조성함에 있어서 참나무잎 대신 상수리나무 껍질(KP) 건조분말 70g, 녹아주 나무잎 대신 두송뿌리(JP) 건조분말 2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기타 성분과 전공정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실시하여 제품 160ml를 얻는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해독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을 행하였다.
<시험예>
1) 10ℓ용 용기 3개를 준비하여 15℃의 물 8ℓ를 각각 주가하고 여기에 0.1% 다이메크론 수용액 32ml씩 적가 혼합한다. 각 용기에 몸길이 8∼12cm의 건강한 미꾸라지 100마리씩 집어넣는다. 약 2분 이내에 미꾸라지 전체가 완전히 전복된다. 이중 1개의 용기는 대조용으로 하고 나머지 2개는 각각 시험(1) 및 시험(2) 용기로 표시한다.
2) 실시예 1 및 2에서 얻은 제품을 각각 100ml씩 균등하게 취하여 상기 대조용 용기를 제외한 대응하는 시험(1) 용기와 시험(2) 용기에 각각 적가하여 교반한 다음, 미꾸라지의 회생 마리수를 조사하고 대조용 용기내의 중독된 미꾸라지를 꺼내어 오염되지 않은 충분량의 물에 방류시키고 회생되는 마리수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와 같다.
(미꾸라지의 시간 경과에 따른 회생 마리수)
Figure kpo00001
(주) 위 시험은 풍속 0.5∼1m/초, 실내온도 25∼26℃의 조건으로 실내에서 실시한 것임.

Claims (1)

  1. 참나무잎(또는 상수리나무 껍질)의 조말(組抹) 70중량%, 녹아 주나무잎(또는 두송잎)이나 뿌리의 조말 20중량%, 귤껍질조말 5중량%, 칡뿌리조말 2.5중량% 및 감초조말 2.5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A)를 물과 균일하게 혼합하여 5∼6시간 40∼60℃로 중탕시키고, 그 결과 생성된 중탕액을 감압 추출하여 얻은 엑기스를 다시 상기 혼합물(A)와 혼합하여 110℃에서 진공비등 및 감압 추출시킨 다음 이 추출액에 글리세린 0.5중량%를 첨가하여 고속 분산시키는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KR1019800002465A 1980-06-23 1980-06-23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KR810000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465A KR810000614B1 (ko) 1980-06-23 1980-06-23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2465A KR810000614B1 (ko) 1980-06-23 1980-06-23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0614B1 true KR810000614B1 (ko) 1981-06-07

Family

ID=1921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2465A KR810000614B1 (ko) 1980-06-23 1980-06-23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0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80B1 (ko) * 2018-08-06 2019-06-13 이경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280B1 (ko) * 2018-08-06 2019-06-13 이경표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 et al. Evaluation of acute and subacute toxicity induced by methanol extract of Terminalia citrina leaves in Sprague Dawley rats
JPS60156618A (ja) 植物エキスを基剤とする化粧料又は医薬組成物
US4592910A (en) Preparation for deactivating virus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1790341A1 (en) Medicine having analgesic effects
Bashir et al.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activity of Phyllanthus emblica (fruit)
GB2053680A (en) Aconite root extract
ATE91883T1 (de) Pharmazeutisches praeparat mit hautregenerierenden eigenschaften, das den wirkstoff der mimosa tenuiflora enthael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810000614B1 (ko) 약물 해독제의 제조방법
US4528192A (en) Process for preparing an antitoxic composition
CN108096384A (zh) 通络止痛酊及其制备方法
JP2894715B2 (ja) 皮膚外用剤
DE2625053C3 (de) Arzneimittel zur Kontrolle von Leberkrankheiten
JPH0116806B2 (ko)
US4489067A (en) Lipid reducing agents
Shehu et 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queous extract of Parkinsonia aculeata leaves on kidney and liver function indices in albino rats
KR100372022B1 (ko) 간경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JPH0159248B2 (ko)
RU2032419C1 (ru) Гепато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Omeje et 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Basis for the ethnomedicinal use of root extracts from Anogeissus leiocarpus as an antidiabetic in Eastern Nigeria
KR100372023B1 (ko) 간암의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US20040033275A1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phyllanthus extracts
DE3932778C2 (ko)
RU2183127C1 (ru) Средство "ламивит", повышающее адаптационные реакции организма
JPH0597650A (ja) 美白化粧料
CN105832840B (zh) 马甲子或其提取物在制备治疗烧烫伤的药物中的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