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692B1 -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692B1
KR102643692B1 KR1020230171465A KR20230171465A KR102643692B1 KR 102643692 B1 KR102643692 B1 KR 102643692B1 KR 1020230171465 A KR1020230171465 A KR 1020230171465A KR 20230171465 A KR20230171465 A KR 20230171465A KR 102643692 B1 KR102643692 B1 KR 10264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ume
scent
weight
musk
b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애
Original Assignee
윤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애 filed Critical 윤영애
Priority to KR102023017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7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insects, e.g. shell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형으로서 액체형 향수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며, 향의 퍼짐성 및 지속성이 우수하여 방향제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향의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크림 타입 향수 및 상기 크립 타입 향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향수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항료; 및 왁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CREAM TYPE PERFU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형으로서 액체형 향수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며, 향의 퍼짐성 및 지속성이 우수하여 방향제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향의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크림 타입 향수 및 상기 크립 타입 향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수는 액체 형상으로서, 용기에 담아 신체 또는 의복에 필요한양만큼 직접 바르거나 분무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고, 통상 향의 발산을 위해 휘발성이 있는 알코올을 원료의 일부로 사용한다.
이러한 분무식 향수의 경우 신체 또는 의복에 직접 분무함에 따라 피부 알레르기 또는 의복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한번 분무한 향수의 향기는 옷을 갈아입으면 사라지게 되고 향수의 향 지속력이 짧고 휴대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원료로 일부 첨가되는 알코올 향을 선호하지 않아 향수 사용을 꺼려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땀 및 체향과 향수의 향이 뒤섞이면서 기대하는 향과 다른 향으로 변질되기 때문에, 평소에 땀이 많이 나는 체질인 경우에는 향수를 사용을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대다수의 향수 사용자들이 체외 분비물이 많아지는 여름에는 액체 향수를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향수를 담는 일반적인 용기가 휴대하기엔 사이즈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일반가방이나 파우치 백 등에 휴대하기에는 상당히 불편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소비자가 소량으로 용기에 담아 사용하는데, 휴대하기 적당한 용량이 작은 공병 안에 향수액을 채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가 용이하지 않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작은 용기에 향수액을 채워 판매되는 미니어처 향수 제품들이 있으나, 이러한 미니어처 제품은 근본적으로 용기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분무식으로 구현할 수 없어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전술한 액체 형상의 향수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체 향수가 일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체 향수는 손목이나 귀밑 등 원하는 신체부위에 바르는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체 향수는 액체 향수에 비해서 지속력이 매우 짧기 때문에 자주 발라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5928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체형 향수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며, 향의 퍼짐성 및 지속성이 우수하여 방향제로도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향의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크림 타입 향수 및 상기 크립 타입 향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항료; 및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팜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달맞이꽃 오일, 옥수수 오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버터는, 카카오 버터, 셰어 버터, 아보카도 버터, 망고 버터, 콩 버터, 헴프 버터, 코쿰 버터, 카리테 버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왁스는, 미결정 왁스,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 바셀린, 밀랍, 양모랍,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는, 머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머스크는, 니트로 머스크, 폴리시클릭 머스크, 마크로시클릭 머스크, 알리시클릭 머스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수 조성물은, 유액, 젤, 페이스트, 크림, 필오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고체 형태를 나타냄으로써 액체형 향수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며, 흐르지 않아 땀과 혼합되지 않고 향수 본연의 향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액체형 향수와 동일한 정도의 향의 퍼짐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력이 우수하여 향수 뿐만 아니라 방향제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양을 손쉽게 조절하여 향의 지속시간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알코올을 포함하지 않아 피부에 무해하여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향료로 인한 피부 염증 및 발진을 나타내지 않으며, 급격한 온도 변화 속에서도 향의 변질 없이 장기간 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 타입 향수의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원물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물의 추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정제수, 저급알코올, 1,3-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수 추출 또는 냉침 추출한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 예를 들어 나일론 등을 이용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냉동여과법 등을 이용해 여과한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이를 동결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을 이용해 건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오일” 또는 “식물성 오일”은 식물의 과실 또는 종자로부터 압착법과 증류법 등으로 얻어지는 오일로서, 각종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유연감을 올려주고, 피부보호 장벽을 강화시켜주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식물성 오일; 식물성 버터; 항료; 및 왁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고체 형태를 나타냄으로써 액체형 향수에 비해 휴대가 간편하며, 흐르지 않아 땀과 혼합되지 않고 향수 본연의 향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은, 액체형 향수와 동일한 정도의 향의 퍼짐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력이 우수하여 향수 뿐만 아니라 방향제로도 활용이 가능하며, 양을 손쉽게 조절하여 향의 지속시간을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무해하여 트러블을 유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급격한 온도 변화 속에서도 향의 변질 없이 장기간 향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구성성분으로서, 식물성 오일은, 향료를 용해하여 분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포함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코코넛 오일, 팜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달맞이꽃 오일, 옥수수 오일,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및 달맞이꽃 오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약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식물성 오일이 약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향료의 양에 비하여 식물성 오일의 양이 적어 향료 침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약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향의 퍼짐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물성 오일은 코코넛 오일 약 10 내지 20 중량% 및 달맞이꽃 오일 10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성성분으로서, 식물성 버터는, 식물성 지방으로서, 온도에 따라 고체 혹은 고체 유사체(Semi-solid)의 형태를 가지며, 온도에 따른 경도 변화에 따라 작은 힘에도 쉽게 밀리는 성질을 가져 발림성을 개선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버터는, 카카오 버터, 셰어 버터, 아보카도 버터, 망고 버터, 콩 버터, 헴프 버터, 코쿰 버터, 카리테 버터,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버터는 망고 버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망고 버터(INCI Name: Mangifera Indica (Mango) Seed Butter)는 망고 나무(Mangifera indica)의 kernel에서 추출한 버터 성분으로, 향수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제(refining)와 탈취(deodorizing) 공정을 거친 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망고 버터는 상온에서 고체상으로 안정하나, 피부 온도에서 용해되는 특성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버터는 약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식물성 버터가 약 2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고체 형상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약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향의 퍼짐성이 떨어지거나 발림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머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머스크는, 니트로 머스크, 폴리시클릭 머스크, 마크로시클릭 머스크, 알리시클릭 머스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니트로 머스크는 머스크 키톤, 머스크 자일렌, 머스크 암브레트 등이나, 현재 머스크 키톤을 제외하고는 니트로 머스크의 사용은 화장품에서 거의 금지되고 있다. 상기 폴리시클릭 머스크는 갈락솔리드, 픽솔리드, 판 톨리드, 트라세올리드, 셀레스톨리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마크로시클릭 머스크는 무스콘, 암브레톨리드, 에틸렌 브라실레이트, 하바놀리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알리 시클릭 머스크는 시클로 머스크, 헬베톨리드, 로만돌리드, 무세논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머스크는 대부분 분자량이 크고 무겁게 때문에 알코올에서의 용해도는 문제가 없지만, 오일로 이루어진 용매에서는 용해도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특히, 머스크 키톤은 크리스탈 고체 형태이며, 픽솔리드는 파우더 형태로 용해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퍼퓸 오일 제형에서 너무 많은 향료를 사용할 경우 에는 상용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머스크를 포함하는 향료는 약 15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향료가 약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향수로서 향취가 너무 약하여 적당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약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용성의 문제를 일으켜 고온에서 침전을 일으키거나 오용매와 분리가 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구성성분으로서, 왁스는 향수 조성물이 상온에서 고체 또는 고체 유사체의 형태를 나타날 수 있게 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체온에 의해 쉽게 녹아내리는 특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미결정 왁스(microcrystalline wax),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 바셀린(Petrolatum), 밀랍(Bees Wax), 양모랍(Wool Wax), 카나우바 왁스(Carnauba Wax), 칸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왁스는 밀랍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약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왁스가 약 2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고체 형상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약 35 중량%를 초과할 경우 향의 퍼짐성이 떨어지거나 발림성이 하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은, 실크아미노산을 추가 포함함으로써 향수 조성물의 발림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실크아미노산은 천연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구성성분인 글리신, 프롤린, 알라닌 등의 아미노산을 18 종을 포함하여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향수 조성물에 포함시킬 경우 부드러운 발림성을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크아미노산은 구입처로부터 직접 구입하거나, 실크 피브로인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크아미노산은 견 단백질로부터 세리신을 제거하여 실크 피브로인을 제조하고 상기 실크 피브로인을 에탄올과 염용액으로 용해시켜 중성염 용해물을 제조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크아미노산은 약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실크아미노산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발림성 개선 및 피부 보습, 피부 탄력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으며, 약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다른 성분들과의 혼합성이 방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은, 로얄젤리 추출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얄젤리 추출물은, 다량의 화밀과 화분을 먹은 꿀벌의 포육선에서 분비되는 유상물질인 로얄젤리로부터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얄젤리 추출물은 단백질 및 비타민B군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활력을 부여하며, 피부의 수분 보유력을 강화하고 피부의 과민 반응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얄젤리 추출물은 약 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로얄젤리 추출물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로얄젤리 추출물로 인한 과민 반응 완화, 수분 강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며, 약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제조비용이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은, 수박 껍질 추출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박 껍질 추출물(Citrullus vulgaris bark Extract)은 원산지가 아프리카이며 박과에 속하는 과일인 수박의 딱딱한 껍질로부터 추출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수박의 과육은 90% 이상이 수분이고, 과즙의 7.9%가 당질과 소량의 능금산과 아르기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홍색의 색소는 리코빈과 카로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박 껍질 추출물은 시트룰린(citrulline)을 구성 요소로 포함함에 따라, 이뇨 및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의 부종을 줄여주고, 피부에 발생한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박 껍질 추출물은 약 1 내지 약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박 껍질 추출물이 약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피부 부종 완화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5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향료의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은, 유액, 젤, 페이스트, 크림, 필오프,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맞게 임의로 선정한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유분, 계면활성제, 피부컨디셔닝제, 유연화제, 용제, 착향제, 감미제, 보습제, 고급 알코올, 증저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방부제, 왁스, pH 조절제, 향료 등이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의 제형이 유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향수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효과 및 장점은 상기 서술한 구성성분 및 구성단계를 모두 포함함에 따라 그 유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성분 및 구성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경우 상기 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성분을 교반 혼합기에 투입한 뒤, 약 45℃ 내지 50℃의 온도 범위에서 500 rpm으로 약 10 분 혼합하고 1,000 ppm으로 속도를 증가시켜 추가로 20 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소정의 틀에 소분하고, 약 15℃의 냉각기에 투입하여 2 시간 동안 냉각시킴으로써 크림 타입의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의 구성성분에 따라 각각 실시예 1 내지 3으로 명명하였다.
구성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망고 버터 25.00 25.00 25.00
달맞이꽃 오일 15.00 15.00 13.50
코코넛 오일 11.50 10.00 10.00
밀랍 20.00 17.50 17.50
실크아미노산 0.00 2.50 2.50
로얄젤리 추출물 0.00 1.50 1.50
수박 껍질 추출물 0.00 0.00 1.50
향료 28.50 28.50 28.50
합계 100.00 100.00 100.00
[비교예]
하기 표 2에 기재된 구성성분을 교반 혼합기를 이용하여 1,250 ppm에서 30 분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향수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구성성분(중량%) 비교예
정제수 7.50
에탄올 56.00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2.50
글리세린 5.00
부틸렌글라이콜 0.50
향료 28.50
합계 100.00
[실험예 1: 향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향수 조성물들의 온도에 따른 향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제조된 향수 조성물들을 각각 저온(4℃), 상온(20℃) 및 상온 이상(45℃)에서 1 개월 동안 방치하였을 때 향의 변이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였다. 판정 기준은 향의 강도가 약해진 경우 '향의 강도 감소', 향이 처음과 다른 향으로 변화하거나 변질되었을 경우 '향 변이', 강도 감소 또는 변이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이상 없음'으로 기재하였다. 안정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4℃(저온)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20℃(상온) 이상 없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향의 강도 감소
45℃(고온) 향의 강도 감소 이상 없음 이상 없음 향의 강도 감소, 향 변이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향수 조성물은, 20℃의 온도에서 1 개월간 방치 시 향의 강도가 감소하고 45℃의 온도에서는 향의 강도 감소와 함께 변이 현상이 일어난 비교예의 향수 조성물과 달리, 향이 변화하지 않고 안정하게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자극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향료 조성물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먼저 만 20 세 내지 40 세 성인 남녀 20 명을 대상으로 상기 향수 조성물들을 10 분 간격으로 총 10 회 손목에 지름 1 cm 크기로 골고루 도포하고, 완전히 건조된 것을 확인하였을 때 피부에 느껴지는 자극 지수를 1 내지 10 범위의 수치로 평균 값을 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자극 지수
실시예 1 1.5
실시예 2 1.4
실시예 3 1.1
비교예 2 7.2
측정 결과,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경우 알코올을 포함하는 비교예의 향수 조성물에 비해 자극지수가 눈에 띄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향수 조성물 각각의 향 퍼짐성(발향), 향 지속성, 사용감, 및 피부 자극성 등을 포함하는 만족도를 평가를 통해 확인하였다. 실험은 선발 기준에 부합하고 면제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만 30 세 내지 45 세의 남녀 90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각 15 명씩으로 나누어 4 주 동안 1 일 1 회, 자가 도포 방법으로 적용한 뒤 상기 항목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만족감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우수하다(5점), 우수하다(4점), 보통이다(3점), 불량하다(2점), 매우 불량하다(1점)로 하였으며, 평균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향의 퍼짐성 3.5 3.6 3.8 4.0 4.0
향의 지속성 4.4 4.3 4.5 4.8 2.8
사용감 4.8 4.8 4.2 4.9 3.1
피부 자극성 4.0 4.2 4.9 4.3 3.0
전반적인
만족도
4.5 4.5 4.6 4.9 3.0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향수 조성물의 경우, 비교예의 향수 조성물과 달리 피험자의 대부분이 향 퍼짐성(발향), 향 지속력, 사용감, 및 피부 자극성 항목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

  1. 코코넛 오일 10 내지 20 중량%;
    달맞이꽃 오일 10 내지 20 중량%;
    망고 버터 25 내지 35 중량%;
    실크아미노산 1 내지 5 중량%;
    로얄젤리 추출물 1 내지 5 중량%;
    항료 15 내지 35 중량%; 및
    밀랍 5 내지 20 중량%;
    를 포함하되,
    크림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머스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스크는,
    니트로 머스크, 폴리시클릭 머스크, 마크로시클릭 머스크, 알리시클릭 머스크,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수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230171465A 2023-11-30 2023-11-30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KR102643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465A KR102643692B1 (ko) 2023-11-30 2023-11-30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1465A KR102643692B1 (ko) 2023-11-30 2023-11-30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692B1 true KR102643692B1 (ko) 2024-03-04

Family

ID=9029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1465A KR102643692B1 (ko) 2023-11-30 2023-11-30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6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027A (ko) * 2013-08-28 2015-03-10 (주)더페이스샵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KR20190050186A (ko) * 2017-11-02 2019-05-10 배예슬 피톤치드향을 함유하는 고형 타입의 스틱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07030A (ko) * 2018-12-20 2021-08-31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3-10-2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5027A (ko) * 2013-08-28 2015-03-10 (주)더페이스샵 비대칭의 극성 오일을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KR20190050186A (ko) * 2017-11-02 2019-05-10 배예슬 피톤치드향을 함유하는 고형 타입의 스틱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07030A (ko) * 2018-12-20 2021-08-31 코스메틱 워리어스 리미티드 식물성 버터를 함유하는 고체 화장료 조성물
KR102592814B1 (ko) 2021-04-19 2023-10-24 주식회사 제이에이치 코리아 혼합식물 정유를 이용한 향수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향수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소프트 머스크 핸드크림’ 관련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suejwang/220598097520)(2016.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9527C (en) Hair-conditioning mask
JP7450324B2 (ja) D-chiro-イノシトールを含む組成物
US10736836B2 (en) Method of treating external tissues with waxes
CN115006285A (zh) 冰沙状卸妆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7223423B2 (en) Skin treatment composition
KR20200048163A (ko) 안정성이 우수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62498B1 (ko) 함초 함유 화장료
KR102643692B1 (ko) 크림 타입 향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599A (ko) 알콜발효 산양산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JP6382668B2 (ja) 育毛化粧料
KR102320497B1 (ko) 립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6179B1 (ko)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08904336B (zh) 一种乳化型润唇膏及其制备方法
JP3471856B2 (ja) 養毛料
JP3534959B2 (ja) 養毛化粧料
KR101488807B1 (ko) 분말상의 화장료 조성물
Zięba et al. Evaluation of selected quality features of creams with addition of jojoba oil designed for dry skin
JP2000169347A (ja) 育毛剤
KR20200113904A (ko) 피부보호 조성물
KR0140293B1 (ko) 더덕추출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7508A (ko) 지리산 원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분감 지속형 화장료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994993B2 (ja) 養毛化粧料
JP2009203179A (ja) 皮膚外用剤
JP3557616B2 (ja) 美白化粧料
KR102483413B1 (ko) 밤 타입 헤어트리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