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955B1 -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955B1
KR101074955B1 KR1020040022875A KR20040022875A KR101074955B1 KR 101074955 B1 KR101074955 B1 KR 101074955B1 KR 1020040022875 A KR1020040022875 A KR 1020040022875A KR 20040022875 A KR20040022875 A KR 20040022875A KR 101074955 B1 KR101074955 B1 KR 10107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weight
stress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7668A (ko
Inventor
백승재
전병배
김진한
고영미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4002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955B1/ko
Priority to JP2005099137A priority patent/JP2005290379A/ja
Publication of KR2005009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레스 완화와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향의 생리/심리적 치료력(aromatherapy)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향*생리/심리적 치료력*방향요법*아로마테라피*화장료 조성물

Description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having aromatherapic effect}
도 1은 스트레스 부하에 사용한 Uchida-Kraepelin 정신작업 검사지의 일부분이다.
도 2는 스트레스 및 에센셜 오일 베이스 9(essential oil base 9) 제시에 따른 좌/우뇌의 평균 주파수를 보여준다.
도 3은 스트레스 및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에 따른 좌/우뇌의 리듬 경사도를 보여준다.
도 4는 스트레스 및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에 따른 쾌적도를 보여준다.
도 5는 스트레스 및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에 따른 Yoshida 벡터 모델을 보여준다. 도면에서 도형들은 피험자들을 의미하며, 주홍색은 스트레스 제시 후의, 청색은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 후의 값들이다.
도 6은 스트레스 및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에 따른 평균 R-R 간격 (RRI)(도 6a), 피부온도(SKT)(도 6b) 및 피부저항(GSR)(도 6c)을 보여준다.
도 7은 스트레스와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에 따른 POMS(주관적 기분감) 득점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스트레스 완화와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향이 갖는 생리/심리적 치료력(aromatherapy)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과도한 정신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이 많고, 인간 질병의 거의 모든 부분을 스트레스와 관련시키고 있다. 이에,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시도되고 있다. 일례로서 향을 이용한 방향요법 (aromatherap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직장이나 공공장소에서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향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화장품업계에서도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스트레스를 포함한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고 있으며, 화장품에 있어 향 효과의 실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도 여러 식물에서 추출한 향들에 대하여 인체의 생리/심리적 상태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연구하여 왔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적으로 자연의 향을 가능한 범위에서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센셜 오일 베이스, essential oil base)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이 향료에 대하여 뇌파(EEG), 자율신경계(ECG(심전도), SKT(피부온도), GSR(피부저항))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향료(에센셜 오일 베이스 9)가 인체에 대해 생리/심리적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규명하게 되었으며,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나아 가, 본 발명의 복합향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대하여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몬 오일(lemon oil), 파인 오일(pine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제라늄 오일(geranium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일랑일랑 오일(ylang-ylang oil) 및 아모이즈 오일(armoise oil)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레몬오일(lemon oil) 5∼50중량%, 파인오일(pine oil) 1∼30중량%, 라벤더오일 (lavender oil) 5∼50중량%, 오렌지오일(orange oil) 0.5∼35중량%, 유칼립투스오일(eucalyptus oil) 1∼10중량%, 제라늄오일(geranium oil) 0.5∼20중량%, 로즈마리오일(rosemary oil) 1∼30중량%, 일랑일랑오일(ylang-ylang oil) 0.1∼25중량% 및 아모이즈오일(armoise oil) 0.1∼10중량% 범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조성하고 있는 향료들은 방향요법에 사용되어 온 것들로서, 대체로 집중력을 높여주거나 불면증에 효과가 있는 향료들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레몬 오일은 엷은 녹색을 띤 노란 액체로, 밝고 시원한 시트러스계 향을 내며, 집중력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파인 오일은 연한 노란색 또는 무색의 액체로, 소나무 향을 풍기며 통증 완화, 신경쇠약, 피로,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가 있다.
라벤더 오일은 무색 또는 연노랑색의 액체로, 달콤한 꽃의 꿀향기와 발삼 나무향을 내며, 불면증, 두통, 생리통 해소, 가슴 두근거림에 효과가 있다.
오렌지 오일은 짙은 노란색 또는 갈색을 띤 노란 유동 액체로, 상쾌하고 달콤한 감귤류 향을 내며, 불면증을 해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유칼립투스 오일은 무색의 유동액으로 숙성시 노란색을 띠며, 캠퍼향과 달콤한 나무향을 낸다.
제라늄 오일은 올리브색의 액체로, 달콤하고 중후한 민트향을 내며,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로즈마리 오일은 무색이나 연노랑의 유동액으로, 강하고 신선한 민트향과 나무향을 내며, 머리를 맑게 하고 기억력을 높여주며 피로와 두통 해소에 좋다.
일랑일랑 오일은 엷은 노락색의 오일리 액체로서, 강하고 약간 매운 향을 가지고 있으며, 성적 불감증, 스트레스, 신경성 긴장, 불면증 해소에 좋다.
아모이즈 오일은 무색 또는 연한 노란색의 액체로 쑥향을 풍기며, 생리통 해소, 자궁 및 방광 강화, 신경 진정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향료들의 생리/심리적 치료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좌우 전두부의 α파 평균 주파수, 변동리듬 경사도를 비교하였으며, 일련의 생리신호- ECG, SKT, GSR -를 측정하였다. 후술하는 실험예의 결과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한 복합향을 사용함으로써, 좌우 전두부의 변동리듬 경사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뇌(흥분, 진정감과 관련)에 비해 좌뇌(쾌/불쾌감과 관련)가 더 큰 경향을 보였다. 즉, 본 발명의 복합향 조성은 스트레스에 대해 쾌하고 진정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밖의 생리신호 측정에서도, 본 발명의 복합향 조성이 생리/심리적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복합향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중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향이 주로 유상에 녹아있어 향을 서서히 방출시키기 위해서는 수중유 제형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 도포 시에도 수중유 제형이 유중수 제형에 비해 끈적임 없고 산뜻한 사용감을 보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향료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향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자극감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2∼0.4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중량%가 최적의 함량으로 결정되었다.
이하, 실험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예로서,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에센셜 오일 베이스 9(essential oil base 9)를 제조하였다(실시예 1). 하기 성분들을 표 1에 나타난 조성비로 혼합하여 향료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실시예 1)
향 료 명 비중 굴절률 주성분 함량(중량%)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0.871∼0.891 1.459∼1.479 레몬 오일 15
파인 오일 10
라벤더 오일 30
오렌지 오일 5
유칼립투스 오일 10
제라늄 오일 10
로즈마리 오일 10
일랑일랑 오일 5
아모이즈 오일 5

<실험예 1> 향료 조성물의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에센셜 오일 베이스 9(essential oil base 9)를 이용하여, 중추신경계의 뇌파(EEG) a파의 주파수 변동리듬 계수, 자율신경계의 ECG, SKT, GSR 등의 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관적인 기분감 평가(POMS)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향료 조성물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2. 피험자
피험자는 20∼30대의 건강한 성인 여성 10명(연령: 27.6±6.9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모두 코 수술의 경험이 없고, 코 질환을 앓고 있지 않으며, 약물을 복용하지 않는 정상적인 후각 기능을 가진 사람들로 선정되었다. 실험 전에는 후각실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흡연, 음주, 카페인, 약물 등의 섭취를 금하였다.
3. 실험 조건
실험은 후각 챔버에서 실시하였다. 챔버 내부는 후각의 순응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흡,배기 및 방음 장치를 갖추고 동판으로 절연된 5.5×3.5×2.4m 규격으로 구축되었다.
실험 중에는 내부 온도(24±1℃), 상대습도(50±10%), 조도(150∼200Lx)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실험 조건은 스트레스의 정신적 부하와 그 후의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의 두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스트레스 부하로 행해진 숫자가산작업은 Uchida-Kraepelin 정신작업 검사에 준거한 계산작업으로 무작위로 배열된(1행100자) 숫자를 이웃 숫자끼리 가산시키는 것으로 매 60초마다 행을 바꿔 총 5분간 실시하였고, 정답율 90%이하의 경우의 데이터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사용한 Uchida-Kraepelin 정신작업 검사지의 일부분을 도 1로 나타내었다.
4. 실험 순서
전체 실험 진행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았다.
① 각 측정항목의 센서 부착.
② 안정 상태에서 EEG, ECG, SKT, GSR 측정.
③ 5분 간 숫자가산작업 중 ECG, SKT, GSR를 연속적으로 측정.
④ 숫자가산작업 후 EEG 측정.
⑤ 주관적 기분감 평가(POMS)실시.
⑥ 실시예 1(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 후 EEG, ECG, SKT, GSR 측정.
⑦ 주관적 기분감 평가(POMS)실시.
5. 측정 항목
뇌파 측정에는 좌우 전두엽의 α파 주파수 변동리듬 계수가 자동적으로 산출되는 휴대식 소형 쾌적감 평가 장치(일본 생명 공학 공업 기술 연구소 개발)를 사용하여, 좌우 전두엽의 α파 평균 주파수, 변동리듬 계수를 측정하였다.
생리 신호 측정에는 Biopac MP100을 사용하였으며, 심전도: 1 channel (CM5유도법), GSR: 1 channel(왼손 검지와 약지), SKT: 1 channel(왼손 중지)을 각각 측정하였다. 심전도에서 R-peak는 1차 미분에 의한 zero-crossing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하였고, 검출된 R-peak로부터 R-R 간격(RRI)을 계산하였다. GSR, SKT의 분석은 각 신호 진폭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소프트웨어는 Acqknowledge3.5를 이용하였다.
주관적 기분감 평가(POMS)는 65문항의 일본어판 Profile of Moods States(POMS)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숫자가산작업과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 후의 기분감을 평가하였다.
6. 통계 처리
두 조건(스트레스와 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간 비교는 SPSS 10을 이용하여 t검증에 의해 실시하였다.
7. 실험 결과
7.1. α파 평균 주파수, 변동리듬 경사도
두 조건에서 좌우 전두엽의 α파 평균 주파수를 비교한 결과, 두 조건에서 좌뇌가 9.27∼9.52Hz, 우뇌가 10.15∼10.27Hz에 분포하여 우뇌가 좌뇌보다 증가하였으나, 좌우 간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도 2).
변동리듬 경사도는 전체적으로 우뇌에 비해 좌뇌가 큰 경향을 보였다. 조건 간에는 좌우뇌 모두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에서 경사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좌뇌: p<0.001, 우뇌: p<0.1,)(도 3).
7.2. 쾌적도
α파 주파수 변동리듬 계수의 크기와 변동리듬 계수의 경사도에서 산출된 쾌적도는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도 4).
7.3. Yoshida 벡터 모델
α파 변동리듬 경사도와 쾌적도에서 산출된 Yoshida 벡터 모델에서는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 후 피험자의 대부분이 쾌/각성 경향을 보였다(도 5).
7.4. 평균 R-R 간격(RRI), 피부온도(SKT), 피부저항(GSR)
RRI는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도 6a).
SKT는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 후 증가하였으나, 조건에 따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도 6b).
GSR은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의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도 6c).
7.5. 주관적 기분감 평가(POMS)
스트레스와 에센셜 오일 베이스 9 제시 후 주관적 기분감 평가를 실시한 결과, [긴장], [우울], [성냄], [피로], [혼란] 항목에서 스트레스에 비해 에센셜 오일 베이스 9의 제시에 따라 항목별 득점 수가 감소하였고, 특히 [긴장], [피로], [혼란](p<0.1), [성냄]항목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도 7).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향 조성이 스트레스에 대해 생리/심리적 치료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험예 1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상시 실시예 1의 향료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중유 제형의 화장료를 조성하였다. 제형의 조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에센셜 오일 베이스 9를 함유하는 수중유 제형의 화장료
원 료 명 함량 (중량%)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PEG-100 스테아레이트)
(Glyceryl stearate SE(glyceryl stearate/PEG-10 stearate))
0.2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2-에틸헥사노에이트
(Pentaerythritol tetra-2-ethylhexanoate)
4
부틸렌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Butylene glycol dicaprylate/dicaprate)
2
친유형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디메치콘(Dimethicone) 0.5
폴리글리세릴-3 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3 methylglucose distearate)
1.5
정제수 To 100
EDTA-2Na 0.02
잔탄검 0.03
1,3-부틸렌글리콜 4
글리세린 4
트레할로스(Trehalose) 1
PEG/PPG-17/6 공중합체 1
트리에탄올아민 0.13
카보머(Carbomer) 0.13
에탄올 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5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실시예 1 (에센셜 오일베이스 9) 0.25

본 발명에서는 향의 생리/심리적 치료력을 화장품에 적용함으로써 스트레스 완화와 진정 효과를 구현하였으며, 이로써 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신을 편안하게 해주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레몬 오일(lemon oil), 파인 오일(pine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제라늄 오일 (geranium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일랑일랑 오일(ylang-ylang oil) 및 아모이즈 오일(armoise oil)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레몬 오일(lemon oil) 5∼50중량%, 파인 오일(pine oil) 1∼30중량%, 라벤더 오일 (lavender oil) 5∼50중량%, 오렌지 오일(orange oil) 0.5∼35중량%,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1∼10중량%, 제라늄 오일(geranium oil) 0.5∼20중량%,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1∼30중량%, 일랑일랑 오일(ylang-ylang oil) 0.1∼25중량% 및 아모이즈 오일(armoise oil) 0.1∼10중량% 범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 완화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트레스 진정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3항 및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향료 조성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22875A 2004-04-02 2004-04-02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07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875A KR101074955B1 (ko) 2004-04-02 2004-04-02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JP2005099137A JP2005290379A (ja) 2004-04-02 2005-03-30 生理・心理的治療効果を有する香料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875A KR101074955B1 (ko) 2004-04-02 2004-04-02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668A KR20050097668A (ko) 2005-10-10
KR101074955B1 true KR101074955B1 (ko) 2011-10-18

Family

ID=3532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875A KR101074955B1 (ko) 2004-04-02 2004-04-02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5290379A (ko)
KR (1) KR101074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78B1 (ko) * 2017-01-13 2018-10-1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132B1 (ko) * 2004-10-04 2006-07-20 엔프라니 주식회사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JPWO2006118074A1 (ja) * 2005-04-26 2008-12-18 ネイチャ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植物精油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睡眠誘発用組成物、その組成物を含有する経皮吸収型睡眠誘発剤、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0748019B1 (ko) * 2006-04-05 2007-08-09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KR101077018B1 (ko) * 2009-03-23 2011-10-26 (주)아모레퍼시픽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2349B1 (ko) * 2010-12-13 2013-02-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진정 효과 및 숙면 효과 부여용 향료 조성물
GB201504385D0 (en) * 2015-03-16 2015-04-29 Givaudan Sa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rganic compounds
KR102001127B1 (ko) * 2017-11-28 2019-07-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전두엽 Fc5 부위에서 RSA 지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전전두엽 Af3 부위와 두정엽 Cz 부위에서 RHB 지표를 증가시켜 정신의 집중을 유도하는 플로럴 부케 내추럴 조합향료 조성물
KR102151758B1 (ko) * 2019-02-20 2020-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로마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51761B1 (ko) * 2019-02-20 2020-09-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의 긴장을 완화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아쿠아틱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44814B1 (ko) * 2019-07-17 2021-04-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즈제라늄 정유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102060957B1 (ko) 2019-09-30 2019-12-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딥 포레스트 믹스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58B1 (ko) 2019-09-30 2019-12-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트로피칼 패션 플라워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060960B1 (ko) 2019-09-30 2019-12-3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두뇌를 쾌적하고 편안하게 하는 센슈얼 루미너스 플라워 향취의 향료 조성물
EP4190308A1 (de) * 2021-12-06 2023-06-07 Marome GmbH Schlafduft sowie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diesem
WO2024027914A1 (en) * 2022-08-04 2024-02-08 Symrise Ag A method for evaluating sensory perception of active ag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01B1 (ko) * 1994-12-30 1998-12-01 성재갑 욕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734B2 (ja) * 1990-10-09 1995-06-2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鎮静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JPH0757733B2 (ja) * 1990-10-09 1995-06-21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覚醒用香料組成物および香粧品
JP3024865B2 (ja) * 1992-06-03 2000-03-27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香料組成物
JP2002206097A (ja) * 2001-01-11 2002-07-26 Pola Chem Ind Inc エステティック用香料組成物及び化粧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501B1 (ko) * 1994-12-30 1998-12-01 성재갑 욕용제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978B1 (ko) * 2017-01-13 2018-10-1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668A (ko) 2005-10-10
JP2005290379A (ja) 200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955B1 (ko)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Sayorwan et al. Effects of inhaled rosemary oil on subjective feelings and activities of the nervous system
Hongratanaworakit Aroma-therapeutic effects of massage blended essential oils on humans
JP5007833B2 (ja) 自律神経調整剤
KR10107701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US7264830B2 (en) Process for effecting the relaxation of muscles of a human by means of fragrance
KR20120131970A (ko) 스트레스 완화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A2761458C (en) Fragrance composition having good sleep-inducing effect
JPH0523245B2 (ko)
KR20030067595A (ko) 수면 및 수면-관련 거동에 영향을 주는 방법
KR20200097622A (ko) 유자 오일 비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4522484A (ja) 哺乳類動物における慢性的ストレスを減少するための方法
JP2004261599A (ja) 感覚療法を使用した閉経に関連する症状の軽減方法
Stiles The essential oils complete reference guide: Over 250 recipes for natural wholesome aromatherapy
KR102455783B1 (ko) 우수한 숙면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981058B1 (ko) 숙면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0748019B1 (ko) 스트레스 완화효과를 갖는 향료조성물
JPH11343497A (ja) 化粧料
JP2011037721A (ja) 睡眠改善作用の皮膚外用剤
Buchbauer Lavender oil and its therapeutic properties
CN108079059A (zh) 一种用于改善睡眠的安息香复方精油
JP7108012B2 (ja) マッサージ用化粧料
KR20190024623A (ko) 팔마로사 오일을 포함하는 심리적 안정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심리적 안정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JP2003119491A (ja) 精神高揚用香料組成物
CA305673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essential oils for topic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