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132B1 -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132B1
KR100603132B1 KR1020040078816A KR20040078816A KR100603132B1 KR 100603132 B1 KR100603132 B1 KR 100603132B1 KR 1020040078816 A KR1020040078816 A KR 1020040078816A KR 20040078816 A KR20040078816 A KR 20040078816A KR 100603132 B1 KR100603132 B1 KR 10060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nanoparticles
essential oil
aromatherap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948A (ko
Inventor
주용준
전성훈
이건봉
이주동
유희창
Original Assignee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프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프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132B1/ko
Publication of KR20060029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정 또는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을 제조함으로써 피부 경피 흡수 및 지속성을 증가시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이 용이한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에센셜 오일, 나노 파티클, 화장료, 아로마테라피, 안정, 각성

Description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NATURAL ESSENTIAL OIL COMPOSITION FOR AROMATHERAPY AND METHOD FOR PREPARING OF TRANSPARENCY NANO PARTICLE USING IT}
도 1은 일반적인 리포좀과 나노 파티클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라 제조한 나노 파티클의 SEM 사진이다.
본 발명은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 경피 흡수 및 지속성을 증가시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이 용이한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노 파티클(nano particle)은 통상의 콩에서 추출한 인지질인 천연 유화제 레시틴에 의한 수중유(oil in water)형의 나노 사이즈 입자의 유화 형태를 말한다.
이와 유사하게 인지질을 사용하는 입자 형태로서 리포좀이 있는데, 상기 리 포좀을 이용한 기술은 친유기 2개가 붙어 있는 분자 상태의 인지질을 물에 분산시킬 때 2 분자막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리포좀에 사용되는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의 헤드그룹에 콜린, 에탄올아민, 세린, 스핑고마이에린, 카디올리핀, 포스파티딕산, 또는 세레브로사이드 등과 같이 이중층의 폐쇄막을 형성하여 물과 평형상태에 있는 분자단들이 대표적이다.
내상에 수상을 함유하고 있는 리포좀의 크기는 평균적으로 외막을 형성하는 겹(layer)수, 물질의 종류, 리포좀 구성 성분 차이에 따라 200 ㎚∼5 ㎛ 정도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리포좀과 나노 파티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포좀은 2분자막을 형성하면서 내상에 수상(hydrophilic) 성분을 함유하는데 반하여 나노 파티클은 단분자막을 형성하면서 내상에 유상(lipophilic) 성분을 함유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안정화 내지는 미세입자화시킬 수 있는 내상 성분에서 차이가 있으며, 2분자막을 형성하는 리포좀에 비하여 단분자막을 형성하는 나노 파티클의 입자사이즈가 일반적으로 훨씬 작게 된다.
한편,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는 천연(방향성)식물의 각 부분(꽃, 목질, 뿌리, 열매, 과피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사용하며, 인간의 신체, 정신, 심리적 건강을 도모하고 유지하며, 활력을 증진시키려는 일련의 치료 학문 체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천연 에센셜 오일에 의한 아로마테라피는 호흡에 의한 향료 전달 체계와 피부 침투를 통한 항료 전달 체계로 구분된다.
먼저, 호흡에 의한 향료 전달 체계는 향 분자가 코로 들어간 후 후각 신경세포 안에 있는 수용체가 향 분자를 받아들이면 후각신경을 통과한 향 분자가 편도핵으로 들어가고 편도핵은 전기전달신호를 대뇌의 변연계로 보내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며 감정과 기억을 관장하는 변연계의 구조물도 전달신호에 자극 받는 과정을 거친다. 또한, 피부 침투를 통한 향료 전달 체계는 정유의 입자가 일차적으로 모공과 땀샘을 통해서 피부에 흡수되고, 이차적으로 정유의 지용성으로 인해 지방질 속에 녹아들어 피부세포 사이로 침투하여 피부의 진피층까지 흡수되는데, 그 이후 모세혈관과 임파순환을 통해 전신을 순환하게 되며 순환하던 정유는 친화력을 가진 특정기관을 포함하여 인체내에서 짧게는 몇 시간에서 길게는 몇 일 동안 머물면서 치유과정을 계속한다.
상기와 같은 아로마테라피 효과는 순환을 촉진시키고 면역계를 강화시키며 근육긴장과 근육통을 완화하거나 지방이 쌓인 것을 파괴하고 조직 내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이완을 증가, 숙면 등의 다양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은 일반적으로 방향제 형태로 사용하거나 화장품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주로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캐리어 오일에 에센셜 오일을 소량 블렌딩한 마사지 오일 형태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은 일반 화장료에 직접 적용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을 화장료에 직접 적용하기 위해서는 에멀젼 제형이나 분산 제형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스킨, 젤 등과 같이 투명 제형의 화장 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계면활성제를 이용해 미셀을 형성하여 투명하게 만드는 가용화 방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충분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에센셜 오일의 함량이 많아질 경우에는 다량의 가용화제를 사용하여 가용화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자극, 사용감 저하 등이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에센셜 오일을 인지질을 이용한 리포좀에 적용한 후 수중유(oil in water)액 타입의 로션으로 제조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인지질과 일반 균질화기를 이용해 만들어진 리포좀의 크기가 10∼200 ㎜ 정도로 큰 입자를 형성하여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입자 크기에 따른 투명도는 입자 크기 분포를 고려할 때 60∼70 ㎚ 이상이면 완전 투명에서 벗어나 반투명 정도의 투명도를 갖으며, 100∼200 ㎚ 이상이면 현탁상 내지는 완전 불투명 성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가지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사용하여 피부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정 또는 각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킴으로써 피부침투 및 지속감을 극대화하여 에센셜 오일의 활성 성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투명 성상을 가져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한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파티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가지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는 나노 파티클을 사용하여 아로마테라피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며, 화장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투명 제형의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있어서, a) 라벤더 0.1 내지 35 중량부, b) 산달우드 0.1 내지 10 중량부, c) 카모마일 0.1 내지 5 중량부, d) 오렌지 0.1 내지 25 중량부, e) 로즈 0.1 내지 5 중량부, f) 버가못 0.1 내지 30 중량부, g) 제라늄 0.1 내지 5 중량부, h) 자스민 0.1 내지 3 중량부, i) 미르 0.1 내지 3 중량부, 및 j) 일랑일랑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있어서, a) 로즈마리 0.1 내지 40 중량부, b) 레몬 0.1 내지 40 중량부, c) 페퍼민트 0.1 내지 30 중량부, d) 스피어민트 0.1 내지 10 중량부, e) 카르다몬 0.1 내지 5 중량%, 및 f) 코리안더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0.1 내지 5 중량%, 수소첨가레시틴 0.1 내지 5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 중량%, 알코올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배합하여 용해시킨 후, 고압 조건에서 미세 균질화하여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파티클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안정 효과 또는 각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라벤더, 산달우드, 카모마일, 오렌지, 로즈, 버가못, 제라늄, 자스민, 미르, 및 일랑일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로즈마리, 레몬,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카르다몬, 및 코리안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라벤더는 리날룰 및 리날릴 아세테이트 성분이 다량으로 함유하여 향취를 흡입할 때 강력한 진정작용을 하고, 사람의 불면증이나 긴장을 이완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라벤더는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3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라벤더가 가지는 진정작용과, 불면증이나 긴장의 이완작용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3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산달우드는 명상에 도움을 주며 신경을 안정시키고 최음 효과가 강하여 향수 제조시에도 사용된다. 또한, 상기 산달우드는 불면증, 우울증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산달우드는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산달우드가 가지는 신경안정, 불면증 및 우울증 해소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카모마일은 상처를 아물게 하는 강력한 항염증 작용을 가지며 신경안정과 심신의 피로에 도움을 주는 향기 성분이다.
상기 카모마일은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카모마일이 가지는 항염증, 신경안정, 및 피로회복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오렌지는 독특하고 달콤한 향취를 가져 배합되는 성분들과 배합이 용이하여 향취의 느낌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우울증 해소의 작용을 한다.
상기 오렌지는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오렌지가 가지는 우울증 해소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로즈는 환상적이고 정신을 안정시켜주며, 감정을 이완시키고, 자유로운 느낌과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로즈는 생리통, 긴장 증후군, 폐경기 증후군 등의 질환에 대체 의학적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로즈는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로즈가 가지는 정신 안정, 감정 이완 등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버가못은 사람의 뇌파에 치료적인 변화를 주어 정신을 자극하고 긴장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버가못은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산달우드가 가지는 정신자극, 긴장 이완 등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제라늄은 안정된 분위기를 주며, 진정 작용으로 긴장을 완화시키고, 정신적으로 편안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제라늄은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제라늄이 가지는 진정 작용, 긴장 완화, 정신적인 편안함 등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자스민은 정신을 자극하고 긴장을 이완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감정 불안증을 완화시키고, 식욕부진을 치료하며, 여드름, 습진 등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자스민은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자스민이 가지는 긴장이완, 불안증 완화, 식욕부진 치료 등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미르는 고대로부터 화장품, 의료용, 미이라 보존 등의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구강염, 인후염 등 항염증 치료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미르는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며 긴장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미르는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미르가 가지는 긴장 완화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일랑일랑은 우울증, 불안정, 정신 산만증에 사용되며, 남성의 발기부전, 여성의 불감증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일랑일랑은 스트레스와 관계가 있으며, 최음 및 최면 효과도 가진다.
상기 일랑일랑은 본 발명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일랑일랑이 가지는 우울증, 불안정, 정신 산만증 등의 치료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안정효과를 지니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알파파 및 세타파가 증가시켜 안정 효과가 우수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로즈마리는 보르네올(borneol), 시네올(cineol), 피넨(pinene), 보닐 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등이 주성분으로, 시원한 향취로 정신을 각성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두뇌에 활력을 주어 기억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로즈마리는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로즈마리가 가지는 각성 효과, 기억력 강화 등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레몬은 리모넨(limonene), 피넨(pinene), 시트랄(citral) 등이 주성분으로 기분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레몬은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레몬이 가지는 기분 상승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4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페퍼민트는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멘톨(L-menthol), 멘톤(menthon), 이소 멘톤(iso menthon) 등이 주성분으로 위장병, 소화기 계통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 페퍼민트는 피곤함을 줄여주며, 정신을 맑게 하여 정신집중을 돕는 작용을 한다.
상기 페퍼민트는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페퍼민트가 가지는 정신집중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스피어민트는 카본(L-carvone)이 주성분으로 페퍼민트와 함께 사용되어 그 효과를 상승시키며, 정신 각성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기 스피어민트는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페퍼민트의 효과를 상승시키는 작용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카르다몬은 테르피네올(terpineol), 시네올(cineol), 테르피닐 아세테이트(terpinyl acetate) 등이 주성분으로 기분을 상승시키고, 잡음과 혼돈에서 머리를 맑게 해주며, 강장효과 및 소화를 돕는 작용을 한다.
상기 카르다몬은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카르다몬이 가지는 머리를 맑게하고, 기분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코리안더는 리날로올(linalool), 펠란드렌(phellandrene), 보르네올(borneol) 등이 주성분으로 강장 및 소화 효과를 가지며, 신경계를 강화시키고 식욕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코리안더는 신경통, 류머티즘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코리안더는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코리안더가 가지는 신경계 강화, 강장 및 소화 효과 등이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용 함량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각성 효과를 지니는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외부 대상에 대한 집중 및 각성 상태를 의미하는 알파파를 감소시키고, 베타파를 증가시켜 각성 효과가 우수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0.1 내지 5 중량%, 수소첨가레시틴 0.1 내지 5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 중량%, 알코올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배합하여 용해시킨 후, 고압 조건에서 미세 균질화하여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 파티클은
a) 수소첨가레시틴,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9∼105 ℃까지 승온시키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0 ℃ 이하로 냉각시키는 단계;
b)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 및 알코올을 완전히 용해시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물에 정제수를 첨가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1차 균질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의 혼합물을 나노 파티클화하는 단계
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상기 a)단계에서 나노 파티클 조성물에 수소첨가레시틴은 0.1∼5 중량%, 글 리세린은 1∼5 중량%, 및 부틸렌글리콜은 1∼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 불포화레시틴 0.1∼10 중량% 또는 리소레시틴 0.1∼10 중량%의 레시틴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에서 사용되는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나노 파티클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안정 효과 또는 각성 효과를 위한 활성 성분의 효능이 증대되어 아로마테라피 효과의 상승에 있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사용되는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등의 통상의 알코올 종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나노 파티클 조성물에 1∼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천연 에센셜 오일 및 알코올 이외에 폴리솔베이트-20 최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 중량% 또는 수소첨가캐스터오일 최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2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c)단계에서 사용되는 정제수는 음, 양이온 교환수지를 통과시킨 탈이온수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나노 파티클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의 함량 이외의 잔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혼합물의 균질화는 통상의 호모믹서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30∼40 ℃의 온도에서 3,000 rpm으로 1∼3 분간 교반하여 실시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상기 e)단계에서 균질화된 혼합물이 나노 파티클화되는데, 상기 나노 파티클화는 통상의 마이크로플루다이저 또는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특히, 균질화시 pH는 4∼10, 바람직하게는 5.5∼7.5인 것이 좋으며, 온도는 20∼40 ℃인 것이 좋으며, 통과 압력은 5,000∼15,000 PSI, 바람직하게는 10,000 PSI인 것이 좋으며, 통과 횟수는 1∼6 회인 것이 적당한 나노 파티클 형성에 있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나노 파티클을 제공하는 바, 상기 나노 파티클은 내상에 유상 성분, 즉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모노 베지클로, 투명 성상을 가지며, 입자 크기가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파티클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공하는 바, 상기 화장료는 피부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유연화장수(영양유액),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연고, 서스펜션, 에멀젼, 스프레이, 또는 미용액 등의 통상의 화장료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투명 성상을 나타내는 스킨, 젤 타입의 화장료에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각 제형에 적합한 양으로 나노 파티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투명화장수에는 0.5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센스에는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는 각 제형에 적합하고 당업계에 주지된 각종의 통상적인 담체와 보급제(예를 들어,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피이지-150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아미노코트, 트레할로스), 수용성 감초산, 알라토인,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 또는 각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킴으로써 피부침투 및 지속감을 극대화하여 에센셜 오일의 활성 성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투명 성상을 가져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피부에 안전하며, 화장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라벤더 30 중량부, 산달우드 8 중량부, 카모마일 5 중량부, 오렌지 20 중량부, 로즈 5 중량부, 버가못 12 중량부, 제라늄 5 중량부, 자스민 3 중량부, 미르 3 중량부, 및 일랑일랑 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로즈마리 30 중량부, 레몬 30 중량부, 페퍼민트 20 중량부, 스피어민트 10 중량부, 카르다몬 5 중량부, 및 코리안더 5 중량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각성 효과를 가지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한 천연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향 물질의 반응에 대한 역학 조사, 뇌파(EEG), 및 뇌혈류(TCD)를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ㄱ) 역학 조사 - 대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4 주 동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천연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여 향기 요법을 실시한 후, 실시 전,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아만족도, 피로도, 정신신경계와 관련된 피로도, 심리적 테스트를 평가하였다.
ㄴ) 뇌파 - 뇌질환 경력이 없는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천연 에센셜 오일의 흡입 전 10 분간 뇌파를 측정하였고, 흡입시키면서 10 분간 뇌파를 측정하였다.
ㄷ) 뇌혈류 - 뇌질환 경력이 없는 성인 18 명을 대상으로 각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천연 에센셜 오일의 흡입 전 10 분간 뇌혈류량을 측정하였고, 흡입시키면서 10 분간 뇌혈류량을 측정하였다.
[표 1]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역학조사 실시 전 실시 후 p-value 실시 전 실시 후 p-value
자아만족도 3.43±0.46 3.62±0.42 0.0001 3.44±0.46 3.58±0.44 0.0002
피로도 3.02±0.44 2.84±0.52 00007 3.02±0.44 2.80±0.51 0.0001
정신신경계 관련 피로도 2.91±0.55 2.69±0.52 0.0004 2.91±0.55 2.71±0.56 0.0003
심리적 스트레스 4.17±0.63 4.20±0.62 0.4065 4.17±0.63 4.27±0.59 0.0512
뇌파 15명(25명 중) - 알파파 증가, 세타파 증가 13명(25명 중) - 알파파 감소, 배타파 증가
뇌혈류 뇌혈류량 감소가 유의하게 관찰되지 않음 뇌혈류량 증가
상기 표 1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 에센셜 오일 및 실시예 2의 각성 효과를 가지는 천연 에센셜 오일은 자아만족도 및 피로도에 있어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의 경우 안정 또는 졸리움에 해당하는 응답이 많았으며, 실시예 2의 경우 각성에 해당하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뇌파 측정 결과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 정신의 안정 또는 졸림 상태에서 나타내는 알파파의 증가 및 세타파의 증가가 뚜렷이 나타났으며, 실시예 2의 경우 외부 대상에 대한 집중 및 각성 상태를 의미하는 알파파의 감소 및 베타파의 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뇌혈류량 측정 결과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 뇌혈류량의 감소가 유의하게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전반적인 뇌혈류의 증가, 특히 좌뇌 후뇌동맥량의 증가가 뚜렷히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수소첨라레시틴 2.0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및 부틸렌글리콜 3.0 중량%를 90∼105 ℃까지 가온시키고 교반하면서 완전히 용해시킨 후, 50 ℃ 이하로 냉각시켰다.
그 다음, 폴리솔베이트-20 0.5 중량%, 상기 실시예 1의 천연 에센셜 오일 0.5 중량%, 및 에탄올 8.0 중량%를 완전히 용해시켜 상기 50 ℃ 이하로 냉각시킨 혼합물에 가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정제수를 서서히 추가로 혼합시키면서 나노 파티클의 모노베지클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나노파티클의 모노베지클을 호모믹서(Tokushu kika사)를 이용하 여 30∼40 ℃에서 3,000 rpm으로 1∼3 분간 교반하여 1차 균질화시킨 다음, 마이크로플루다이저(M-110Y 마이크로 플루딕스사)에 통과시켜 나노 파티클을 제조하였다.
이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의 통과압력을 5,000∼15,000 PSI까지 2,000 PSI 단위로 증압시키면서 이에 대한 베지클 형성에 대하여 관찰하였으며, 통과 횟수는 0∼7 회로 조절하였다.
그 결과, 2,000∼8,000 PSI에서는 베지클이 균일하지 못하고 60∼100 ㎚ 수준으로 비교적 입자가 컸으며, 10,000 PSI 이상에서는 아주 균일하고 미세한 입자크기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크로플루다이저를 통과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베지클의 입자크기가 250 ㎚이었고, 2 회 통과시에는 50 ㎚이였으며, 3∼7 회에는 40∼30 ㎚ 정도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파티클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 통과시 압력은 10,000 PSI, 통과횟수는 경제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3 회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7
상기 실시예 3에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나노 파티클을 제조하였다. 이때, 마이크로플루다이저 통과 압력은 10,000 PSI, 통과횟수는 3 회로 하였다.
[표 2]
구분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A 수소첨가레시틴 10.0 2.0 2.0 3.0 5.0
불포화레시틴 - - 0.5 2.0 1.0
리소레시틴 - 3.0 3.0 2.0 2.0
글리세린 1.0 3.0 3.0 3.0 5.0
부틸렌글리콜 3.0 10.0 5.0 5.0 5.0
B 폴리솔베이트-20 0.5 1.0 - 1.0 0.5
피이지-60 수첨캐스터오일 - 1.0 1.0 1.0 0.5
천연 에센셜 오일 0.5 1.0 1.5 1.0 2.0
에탄올 8.0 10.0 5.0 5.0 10.0
C 정제수 100 중량%까지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나노 파티클을 동결건조시켜 입자측정기(마스터사이즈2000, 영국 멜버른사)를 이용하여 SEM 사진을 측정하여 나노 파티클의 크기 및 입자 분포를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주 미세하게 나노크기의 베지클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현미경의 측정배율은 52,000 배로 확대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8∼12. 투명화장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나노 파티클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낸 조성으로 투명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이때, 표 3의 단위는 중량%이다.
[표 3]
구분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실시예 12
나노 파티클 (농도 1%) 100.0 50.0 30.0 10.0 5.0
정제수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부틸렌글리콜 - 2.0 2.0 3.0 4.0
글리세린 - 1.0 1.0 1.0 1.0
피이지-1500 - 0.3 0.3 0.3 0.3
디소듐 EDTA - 0.02 0.02 0.02 0.02
수용성 감초산 - 0.01 0.01 0.01 0.01
알란토인 - 0.05 0.05 0.05 0.05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에탄올 - 5.0 5.0 6.0 7.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8 내지 12에 따라 제조한 투명화장수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내상에 함유하는 나노 파티클을 직접 배합하여 제조됨으로써 가용화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감과 자극을 배제시켰으며, 투명화장수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아로마테라피 효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16. 에센스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나노 파티클을 이용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낸 조성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이때, 표 4의 단위는 중량%이다.
[표 4]
구분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나노 파티클 (농도 1%) 50 30 20 10
부틸렌글리콜 - 4.0 4.0 4.0
글리세린 - 8.0 8.0 8.0
아미노코트 - 1.0 1.0 1.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 0.02 0.02 0.02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적량 적량 적량
디소듐EDTA 0.02 0.02 0.02 0.02
카보머 0.20 - 0.20 -
산탄검 - - 0.05 -
카라기난 - - - 0.1
글리세릴폴리메타크릴레이트/프로필렌글리콜 - 10.0 - 10.0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0.30 - -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 0.2 - 0.2
트레할로스 - 1.0 1.0 1.0
소듐피씨에이 - 1.0 1.0 1.0
트리에탄올아민 0.2 - 0.2 -
정제수 10 중량%까지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3 내지 16에 따라 제조한 에센스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내상에 함유하는 나노 파티클을 직접 배합하여 제조 됨으로써 가용화제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감과 자극을 배제시켰으며, 투명 제형인 에센스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아로마테라피 효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 또는 각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킴으로써 피부침투 및 지속감을 극대화하여 에센셜 오일의 활성 성분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투명 성상을 가져 투명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피부에 안전하며, 화장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a) 라벤더 0.1 내지 35 중량부, b) 산달우드 0.1 내지 10 중량부, c) 카모마일 0.1 내지 5 중량부, d) 오렌지 0.1 내지 25 중량부, e) 로즈 0.1 내지 5 중량부, f) 버가못 0.1 내지 30 중량부, g) 제라늄 0.1 내지 5 중량부, h) 자스민 0.1 내지 3 중량부, i) 미르 0.1 내지 3 중량부, 및 j) 일랑일랑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0.1 내지 5중량%를 내상에 포함하고, 수소첨가레시틴 0.1 내지 5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중량%, 알코올 1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단분자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
  2. 삭제
  3. a) 라벤더 0.1 내지 35 중량부, b) 산달우드 0.1 내지 10 중량부, c) 카모마일 0.1 내지 5 중량부, d) 오렌지 0.1 내지 25 중량부, e) 로즈 0.1 내지 5 중량부, f) 버가못 0.1 내지 30 중량부, g) 제라늄 0.1 내지 5 중량부, h) 자스민 0.1 내지 3 중량부, i) 미르 0.1 내지 3 중량부, 및 j) 일랑일랑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 효과를 가지는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0.1 내지 5 중량%, 수소첨가레시틴 0.1 내지 5 중량%, 부틸렌글리콜 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1 내지 5 중량%, 알코올 1 내지 1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배합하여 용해시킨 후, 고압 조건에서 미세 균질화하여 천연 에센셜 오일을 나노 파티클 내부에 캡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a) 수소첨가레시틴,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리콜을 9∼105 ℃까지 승온시키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0 ℃ 이하로 냉각시키는 단계;
    b)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 및 알코올을 완전히 용해시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에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물에 정제수를 첨가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혼합물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1차 균질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의 혼합물을 나노 파티클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불포화레시틴 0.1∼10 중량% 또는 리소레시틴 0.1∼10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폴리솔베이트-20 최대 2 중량% 또는 수소첨가캐스터오일 최대 2 중량%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 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균질화가 30∼40 ℃의 온도에서 3,000 rpm으로 1∼3 분간 호모믹서에서 교반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나노 파티클화가 마이크로플루다이저 또는 고압유화장치를 이용하여 pH 4∼10, 온도 20∼40 ℃, 통과 압력 5,000∼15,000 PSI, 통과 횟수 1∼6 회의 조건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나노 파티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파티클의 입자 크기가 최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파티클.
  11. 제9항 기재의 나노 파티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나노 파티클 0.5 내지 100 중량%를 함유하는 투명화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파티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가 나노 파티클 1.0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에센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 파티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20040078816A 2004-10-04 2004-10-04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KR10060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16A KR100603132B1 (ko) 2004-10-04 2004-10-04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816A KR100603132B1 (ko) 2004-10-04 2004-10-04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48A KR20060029948A (ko) 2006-04-07
KR100603132B1 true KR100603132B1 (ko) 2006-07-20

Family

ID=3714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816A KR100603132B1 (ko) 2004-10-04 2004-10-04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1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67B1 (ko) * 2010-05-19 2010-12-17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593B1 (ko) * 2013-04-02 2015-01-28 (주)에이씨티 휘발성 향의 안정화방법 및 안정화된 향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878303B1 (de) * 2013-11-29 2017-11-15 Doris Hefti Zusammensetzung für die Aromatherapie, Aromaheilkunde und Aromatologie
JP6961481B2 (ja) * 2017-12-26 2021-11-05 株式会社ファンケル 脳血流改善用組成物
GB2577748A (en) 2018-10-05 2020-04-08 This Works Products Ltd Fragrance compositions
WO2020102334A1 (en) * 2018-11-14 2020-05-22 Monq, Llc Aromatherapy compositions f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KR102118542B1 (ko) * 2020-02-03 2020-06-03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4108B1 (ko) * 2020-02-03 2020-04-24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다이어트, 이뇨, 항부종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8546B1 (ko) * 2020-02-03 2020-06-03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스트레스 완화, 집중력 향상 및 호흡기 강장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8555B1 (ko) * 2020-02-03 2020-06-03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진정 및 수면 촉진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156521A2 (en) * 2021-06-15 2021-08-12 Lvmh Recherche Alcohol-free nanoemulsion perfu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985A (ko) * 1999-05-07 2002-02-09 파르마솔 게엠베하 액상 및 고체상 지질 혼합물에 기초한 지질입자들 및 그의제조방법
KR20020059507A (ko) * 2001-01-08 2002-07-13 손 경 식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20030062492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태평양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KR20030067354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소전 천연향을 담지한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90223A (ko) *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 아로마휴먼텍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KR20040029764A (ko) *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20050097668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태평양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985A (ko) * 1999-05-07 2002-02-09 파르마솔 게엠베하 액상 및 고체상 지질 혼합물에 기초한 지질입자들 및 그의제조방법
KR20020059507A (ko) * 2001-01-08 2002-07-13 손 경 식 천연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방향제 조성물
KR20030062492A (ko) * 2002-01-17 2003-07-28 주식회사 태평양 경피흡수 촉진 능력이 우수한 식물성 나노입자의 제조 및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의약용 외용제 조성물
KR20030067354A (ko) * 2002-02-08 2003-08-14 주식회사 소전 천연향을 담지한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90223A (ko) * 2002-05-21 2003-11-28 주식회사 아로마휴먼텍 지속성이 향상된 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조성물
KR20040029764A (ko) * 2002-10-02 2004-04-08 한국콜마 주식회사 나노사이즈의 화장료용 다중액정 막 캡슐 조성물과 그제조 방법
KR20050097668A (ko) * 2004-04-02 2005-10-10 주식회사 태평양 생리/심리적 치료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867B1 (ko) * 2010-05-19 2010-12-17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11145851A2 (ko) * 2010-05-19 2011-11-24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WO2011145851A3 (ko) * 2010-05-19 2012-05-18 주식회사 스킨바이오 사이프러스 에센셜 복합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및 인지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948A (ko) 200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988B2 (ja) エステル化レシチンを用いたナノリポソ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皮膚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CN112891241B (zh) 一种靶向线粒体皮肤抗衰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03132B1 (ko)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JPH06502158A (ja) Dnaゲル中に安定化された温泉水のリポソーム
KR20100031068A (ko) 피부 보습 및 피부 진정용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800430A (zh) 一种改善睡眠深度的精油
KR101443180B1 (ko) 신규한 경피흡수용 약물전달체, 그를 이용한 탈모방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20040055713A (ko) 피부미용과 함께 정신적건강에 도움을 주는아로마테라피용 에센셜 오일 블렌드를 함유하는 화장품의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CN105796457A (zh) 一种富含天然提取物的祛疤祛痘印乳液及其制备方法
CN111374921A (zh) 舒缓身心的纯天然植物护肤精油及其制备方法
DE19810655A1 (de) Arzneimittel mit einem Gehalt an Ciclosporin
KR102118555B1 (ko) 진정 및 수면 촉진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0107854A (ko) 통합적 향기 요법을 위한 정유 혼합 조성물
CN114146009A (zh) 一种dha抗衰抗炎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974861B (zh) 一种艾纳香油脂质体
CN115605092A (zh) 制剂及其用途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697B1 (ko)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KR101472466B1 (ko) 순간 증모 및 탈모 치료 효능이 있는 약학 조성물 및 헤어 메이크업 조성물
KR10224414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근육의 피로 해소, 예방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6860188A (zh) 美容润肤纳米乳霜
DE4310015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tels zur Pflege der Haut
KR20210042616A (ko) 왁스형 클렌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