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542B1 -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542B1
KR102118542B1 KR1020200012614A KR20200012614A KR102118542B1 KR 102118542 B1 KR102118542 B1 KR 102118542B1 KR 1020200012614 A KR1020200012614 A KR 1020200012614A KR 20200012614 A KR20200012614 A KR 20200012614A KR 102118542 B1 KR102118542 B1 KR 102118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nano
parts
liposo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옥
김주희
장윤정
박동욱
황철진
박낙균
Original Assignee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허브아일랜드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0001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리포좀 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NANO LIPOSOME HERBAL COMPLEX EXTRACT COMPOSITION HAVING AN EFFECT OF RELIEVING ITCHING, STRENGTHENING IMMUNITY AND REDUCING EYE FATIGU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나노 리포좀 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포좀은 인지질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이중층 구조를 이루며 내부에 유효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물질 전달체를 의미하며 콜로이드 입자 형태로 존재한다. 리포좀은 1960년대 중반에 인공 생체막 연구를 시작으로, 1970년대 이후 지금까지 의약전달체로서 연구되고 있다.
리포좀의 콜로이드, 표면, 의약전달체 및 화학적 성질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었으며, 의약,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리포좀은 항균제, 항암제, 백신, 화장품 및 향료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리포좀의 캡슐적 성질을 통해 소수성 부위와 친수성 부위가 나뉘며 각각이 소수성 및 친수성 물질의 포획이 가능하여 각종 유효 물질의 전달체로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는 천연(방향성)식물의 각 부분(꽃, 목질 뿌리,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사용하며, 인간의 신체, 정신, 심리적 건강을 도모하고 유지하며, 활력을 증진시키려는 일련의 치료 학문 체계를 의미한다.
천연 에센셜 오일을 이용하는 아로마테라피는 호흡에 의한 향료 전달 체계 및 피부 침투를 통한 향료 전달 체계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갖는 천연 에센셜 오일은 일반적으로 방향제 형태로 사용하거나 화장품으로서 사용되었으며, 주로 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캐리어 오일에 에센셜 오일을 소량 블렌딩한 마사지 오일 형태로서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천연 에센셜 오일을 일반 화장료에 직접 적용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으며, 화장품 원료에 대한 관심 증가 등으로 인하여 천연물에서 유래하면서 동시에 여러가지 효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물질에 대한 연구 및 제품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479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휘발성이 다른 다양한 천연 오일 및 천연 하이드로졸 복합조성물을 나노 리포좀 내부에 함유시킴으로써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합조성물의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피부 세포막 내로 침투가 용이한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천연 오일 및 천연 하이드로졸 조성물을 안정화 하여 인체에 무해한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함유한 나노 리포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오일 3 내지 10 중량부,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열매 오일 1 내지 5 중량부,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오일 1 내지 5 중량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1 내지 5 중량부 및 백단향(Santalum Album) 오일 0.01 내지 1 중량부를 함유하는 베이스 오일; 드라이허브; 로즈마리 잎, 캐모마일, 일랑일랑, 다마스크장미 및 자스민에서 각각 수득한 5종의 천연 하이드로졸 각각 0.1 중량부씩 총 0.5 중량부; 및 식용 계면활성제가 1 내지 1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200 내지 500바(bar) 조건에서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나노 리포좀화 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압유화장치를 2회 통과시켜 안정화시킨 것일 수 있다.
리포좀은 인지질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이중층 구조를 이루며 내부에 유효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물질 전달체로서 의약, 화장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적용이 되고 있다.
나노화된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은 보통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로는 지질분자의 자가조립현상을 이용하여 자발적으로 리포좀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수소이온의 농도를 조절하는 방법,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한 자발적인 리포좀 제조법 및 혼합 미셀계로부터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 리포좀을 형성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상기 수소이온 농도의 조절에 의한 자발적 리포좀 제조 방법은 수소이온 농도에 따라 용해도가 달라지는 특정한 인지질 류에 국한되는 방법이다. 리포좀 내부의 수소이온 농도와 외부의 수소이온 농도의 차이를 두어 리포좀의 내부와 외부의 곡률을 다르게 하여 자발적으로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은 포스파티딜콜린 계열의 곡률을 구형으로 보정하기 위해 단일 사슬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혼합 미셀계로부터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인지질로 구성된 혼합 미셀계에서 점차적으로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제거함으로서 작고 균일한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두번째 방법으로는 압출, 프렌치 프레스, 고압 유화 또는 초음파 처리에 의한 방법으로서 기계적인 힘이나 에너지를 통하여 수화 및 팽윤된 거대한 리포좀을 나노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거대한 리포좀을 만드는 제 1 공정과 이를 나노화 시키는 제 2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제 1 공정 후 리포좀은 다층 소포체이며 입자의 크기는 수 내지 수백 마이크로 미터로 비교적 크며 이를 나노화하기 위해서 기계적인 힘이나 에너지를 가하는 제 2 공정을 거치게 된다. 제 2 공정은 에너지를 가하는 방식과 형태만 다를 뿐 나노화 시키기 위해 높은 에너지를 가하는 점에서는 모두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나노 리포좀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평균 입자 지름이 500 nm이하인 나노리포좀으로서 허브정유물이 안정화되어 제형화 시 침전 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용해도 및 피부나 점막흡수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의 제조에 사용되는 허브는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껍질 및 백단향(Santalum Album)을 이용하였으며, 이들 각각에 대하여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센셜 오일은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열매 오일 3.2 중량부,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오일 2.6 중량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2.2 중량부,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오일 7.7 중량부 및 백단향(Santalum Album) 오일 0.1 중량부의 베이스 오일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베르가못열매오일은 limonene (33.0%), linalyl acetate (31.3%), linalool (13.45%), pinene (6.7%), neryl acetate (0.42%)를 함유하며 정신 고양, 긴장완화, 스트레스 완화 등의 심리적 효과와 혈액순환, 소화촉진, 스트레스성 소화불량 및 식욕 상실 해소 등의 생리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라늄 오일은 citronellol (21.28%), geraniol (17.45%), linalool (12.9%), citronellyl formate (8.37%), nerol (1.24%)를 함유하며 기분전환, 우울 완화, 불안 완화, 긴장해소 등의 심리적 효과와 수렴 등의 생리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라벤더 오일은 linalyl acetate (53.8%), linalool (29.35%), caryophyllene (5.05%), cis-ocimene (2.87%), octanone (1.75%)를 함유하며 진정, 불안 감소, 항구토, 항우울, 진정 등의 심리적 효과와 진정, 불안 감소, 항구토, 항우울, 진정의 생리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렌지 오일은 오렌지 껍질로부터 수득한 것일 수 있고, limonene (95.37%), myrcene (2.08%), pinene (0.5%), linalool (0.25%), citronellal (0.10%)를 함유하며 항우울, 진정, 불안 감소 등의 심리적 효과와 림프순환촉진, 피부 진정, 대사 촉진 등의 생리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백단향 오일은 α-santalol (74.6%), santyl acetate (5.4%), santalenes (4.9%)를 함유하며 진정, 이완, 긴장완화, 신경안정 등의 심리적 효과와 항염증, 소염, 항경련, 수렴, 피부 연화, 피부진정 등의 생리적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에센셜 오일의 혼합 비율은 오랜 기간 수차례의 연구를 통해 설정한 것으로서, 각각의 에센셜 오일의 휘발성이 다양하므로 상기 설정된 혼합 비율을 유지하지 않는 경우 에센셜 오일의 블렌딩 과정 및 이후의 나노 리포좀화 단계에서 특정 에센셜 오일의 함유가 지나치게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되어 목적하는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혼합 비율을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만 본 발명 실험예에서 확인한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모두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혼합 비율과 달리하는 경우엔 상기와 같은 동시적이고 복합적인 효과가 발생함을 전혀 담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은 호흡을 통한 아로마테라피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피부 침투를 통한 효과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는 천연(방향성)식물의 각 부분(꽃, 목질 뿌리, 열매 등)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사용하며, 인간의 신체, 정신, 심리적 건강을 도모하고 유지하며, 활력을 증진시키려는 일련의 치료 학문 체계를 의미한다.
아로마테라피는 호흡에 의한 향료 전달체계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는 향 분자가 코로 들어간 후 후각 신경세포 안에 있는 수용체가 향 분자를 받아들이고, 후각 신경을 통과한 향 분자가 편도핵으로 들어가고 편도핵은 전기전달신호를 대뇌의 변연계로 보내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며 감정과 기억을 관장하는 변연계의 구조물도 전달신호에 자극 받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등에서는 피부 침투를 통한 향료 전달 체계를 사용하게 되며, 이는 에센셜 오일의 입자가 1차적으로 모공과 땀샘을 통해서 피부에 흡수되고, 2차적으로 지용성인 에센셜 오일 입자가 지방질 속에 녹아 들어 피부세포 사이로 침투하고, 모세혈관과 림프관 순환을 통해 전신을 순환하면서 친화력을 가진 특정 기관을 포함하여 인체 내에 짧게는 몇 시간 길게는 몇 일동안 머물면서 목적하는 치유 효과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드라이허브”는 로즈마리 잎, 라벤더 꽃과 줄기, 장미 꽃 및 자스민 꽃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베이스 오일에 30분간 침지한 후 첨가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장미 꽃을 베이스 오일에 30분간 침지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로졸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잎,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flower, chamomile), 일랑일랑(Cananga odorata, Ylang-ylang), 다마스크 장미(rosa damascena) 및 자스민(jasminum officinale, Jasmine)을 대상으로 수득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예에서는 건조된 재료 각각에 대하여 0.5kg을 분쇄하여 추출 용기에 넣고, 재료의 중량 대비 15배의 정제수를 넣은 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한 후,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제조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하이드로졸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꽃수의 제조방법 등을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살구씨 오일 64.8 내지 73.8 중량부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살구씨 오일은 팔마틱산(palmitic acid) 3.5-8.6%, 팔미톨레익 산(palmitoleic acid) 0.1-2.0%, 스테아르산(stearic acid) 0.2-2.0%, 올레산(oleic acid) 58.3-73.4%, 리놀레산(linoleic acid) 18.8-31.7% 및 리놀렌산(linolenic acid) 0.1-1.2%을 조성으로 하며, 가벼운 성질 및 우수한 피부 흡수력 등의 특징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는 에센션오일의 조합을 안정화하고 소수성 성분이 많은 에센셜오일의 리포좀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소수기와 친수기의 균형을 나타내는 수치인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이 4 내지 10이고, 인체에 무해한 것이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는 HLB 값이 4.7이고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진 식용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3에서 구체적인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세 가지 전혀 상이한 효과를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에센셜 오일 또는 하이드로졸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물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껍질 및 백단향(Santalum Album)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료를 열수 추출하여 에센셜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에센셜 오일과 라벤더 하이드로졸을 혼합하고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에 1회 통과시켜 고압 분산 에멀젼 허브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고압 분산 에멀젼 허브 복합 추출물, 살구씨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1차 혼합물에 로즈마리 잎 하이드로졸, 캐모마일 하이드로졸, 일랑일랑 하이드로졸, 다마스크 장미 하이드로졸 및 자스민 하이드로졸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2차 혼합물을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에 2회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c) 내지 (e) 단계에서의 혼합 과정은 실온에서 100 내지 300rpm으로 1분 동안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c) 단계 및 (f) 단계의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는 200 내지 500 바(bar)의 압력을 유지하면서 리포좀화 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 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직접 도포하거나 살포하는 등의 경피 투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사용량은 연령, 병변의 정도 등의 개인 차이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1일 1회 내지 수회 적?량을 피부에 도포하여 1 주일 내지 수개월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라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를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을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동시에 우수한 제제안전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서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그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허브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가려움 유발 생쥐를 대상으로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면역력 강화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천연 허브 유래의 에센셜 오일 및 살구씨 오일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 허브 유래의 에센셜 오일을 제조하기 위하여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껍질 및 백단향(Santalum Album)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고, 상업용 오일 추출기 탱크에 원료를 각각 투입하고 추출기를 3 내지 4시간동안 가동하여 오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 각각에 대하여 정제수와의 비율이 1:2 정도가 되도록 증류탱크에 넣은 후 증류탱크의 추출 온도를 90℃로 유지하면서 3 내지 4시간동안 증류시켰다. 이때 냉각기 내부에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18℃정도로 유지하며, 냉각기를 통과한 응축물을 분리탱크에 수집하였다.
상기 수집된 응축물은 기름과 물이 혼재되어 있으며, 분류 탱크에서 오일과 하이드로졸이 분리되면 약 3회에 걸쳐 하이드로졸을 받고, 최종 오일을 함유한 하이드로졸 잔류물을 받아서 분리기를 통해 하이드로졸과 오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오일층에서 순수 오일을 취득하기 위해서 1차 분리된 오일을 냉동실에 1일 동안 보관하여 얼지 않은 오일 만을 채취하여 에센셜 오일을 수득하였다.
살구씨(Apricot kernel) 오일을 추출하기 위해 살구씨를 선별하여 이물 제거 후, 세척을 통해 산 및 점액질을 제거하였다. 그 후 살구씨를 수분 함량 17% 이하로 건조하고, 건조된 유자씨를 저온상태로 스크류 압착식 방법을 통해 착유하였고, 착유된 살구씨 오일을 여과기를 통과시켜 고순도의 살구씨 오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천연물 유래의 하이드로졸의 제조
본 발명의 천연물 유래의 하이드로졸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우선, 로즈마리 하이드로졸의 제조를 위하여 건조된 로즈마리 잎 0.5kg을 분쇄하여 추출 용기에 넣고, 로즈마리 중량 대비 15배의 정제수를 넣은 후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추출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로 여과한 후 여액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50℃에서 감압 농축하여 최종적으로 로즈마리 잎 하이드로졸을 수득하였다.
상기한 방법을 동일하게 이용하여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flower, chamomile), 일랑일랑(Cananga odorata, Ylang-ylang), 다마스크 장미(rosa damascena) 및 자스민(jasminum officinale, Jasmine)의 하이드로졸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허브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천연 허브 유래 에센셜 오일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라벤더 하이드로졸을 혼합하여 1차적으로 허브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오일 48 중량부,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열매 오일 20 중량부,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오일 16 중량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13 중량부 및 백단향(Santalum Album) 오일 2 중량부를 혼합하여 베이스 오일을 제조하였다.
상기 베이스 오일과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라벤더 하이드로졸 0.5 내지 5 중량부를 실온에서 혼합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300rpm으로 1분동안 혼합하여 중간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중간 혼합물을 압력 200 내지 500바(bar) 조건에서 고압유화장치(주식회사 디오에스, MicrofluidicsTM, M-110Y)에 1회 통과시켜 고압 분산 에멀젼 허브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고압 분산 에멀젼 허브 복합 추출물 15.8 중량부,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살구씨 오일 64.8 내지 73.8 중량부, 계면활성제 1 내지 10 중량부 및 향료(fragrance in alcohol) 8.9 중량부를 실온에서 혼합기를 이용하여 100 내지 300rpm으로 1분동안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계면 활성제는 소수기와 친수기의 균형을 나타내는 수치인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이 4 내지 10이면 무방하며, 본 발명에서는 HLB 값이 4.7로 알려진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를 사용하였다.
이후,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로즈마리 잎 하이드로졸, 캐모마일 하이드로졸, 일랑일랑 하이드로졸, 다마스크 장미 하이드로졸 및 자스민 하이드로졸 각각 0.1 중량부씩 총 0.5 중량부와 상기 과정에서 수득한 1차 혼합물을 혼합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100 내지 300rpm으로 1분동안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2차 혼합물을 압력 200 내지 500바(bar) 조건에서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에 2회 통과시켜 안정화된 나노 리포좀 형태의 허브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고압유화장치를 2회 통과한 후의 나노 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0nm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나노 리포좀 형태의 허브 복합 추출물을 용기에 담고, 실시예 1의 베이스 오일에 30분간 침지시킨 드라이허브를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나노 리포좀화 된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내의 에센셜 오일 함량 비율을 확인한 결과,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열매 오일 3.2 중량부,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오일 2.6 중량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2.2 중량부,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오일 7.7 중량부 및 백단향(Santalum Album) 오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8 주령의 SPF(specific pathogen-free) SCID 생쥐(18∼20g) 암컷 25마리를 대상으로 가려움증 완화 효과 확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SCID 생쥐는 오리엔트바이오(Korea)사에서 공급받아 고형사료(항생제 무첨가, 삼양사료 Co.)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온도 22±2℃습도 55±15%, 1-2 시간(light-dark cycle)의 환경에서 1 주간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전 5마리의 마우스를 투명 아크릴 케이지에 한 마리씩 넣고 안정을 위해 30분 간 동일한 실험 환경에 방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각각 10, 50, 100 mg/ml로 희석하고, 이를 카테터를 이용하여 약 200μl씩 실험용 생쥐의 위에 직접 투여하였으며(각 3마리), 실험군의 경우 가려움 유발 물질로 알려진 substance P를 생쥐의 어깨에 100 μl씩 동시 투여하였다(각 3마리). 대조군 3마리는 substance P를 투여하지 않았고, 비교군은 본 발명의 조성물 대신 미네랄오일 100 mg/ml를 투여하였다.
상기 생쥐들의 행동을 6시간 동안 녹화하여 긁는 행동의 횟수를 기록 분석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네랄오일을 투여한 비교군은 전혀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보이지 않는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경우 가려움증이 현저히 완화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가려움증 완화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p<0.05).
실험예 2.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면역력 강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면역력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조건의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든 마우스에게 3일 동안 실험 물질을 10, 50, 100 mg/ml로 희석하여 약 200 μl씩 카테터를 이용하여 실험용 생쥐의 위에 직접 투여한 후(각 5마리), 실험 종료 시점인 3일 후 혈액에서 면역 세포인 NK 세포(자연살해세포)의 개수 유세포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네랄오일을 투여한 비교군은 대조군 대비 오히려 NK세포의 전혀 가려움증 완화 효과를 보이지 않는 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한 경우 혈액 내 NK 세포의 개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여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눈의 피로 감소 효과 확인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토끼실험을 통해 자극이 가장 적은 농도를 선정하고, 선정된 농도인 50%로 희석하여 눈가 마사지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눈 피로를 주 호소 증상으로 하는 성인 24명을 대상으로 4주간 아로마 오일을 눈가에 마사지하였다. 눈의 피로도는 서영우 등이 대한안과학회지에 2010년 발표한 내용(대한안과학회지 2010;51(10):1327-1332)에 기초하여 측정하였으며, 증상의 완화 정도는 실험 전, 후 매 2주마다 기록하였다.
실험군은 먼저 얼굴과 눈가를 베이비샴푸나 비누로 씻고 따뜻한 물로 헹군 다음 소량의 에센셜 오일 연고를 양 중지손가락에 올려놓는다. 눈을 감은 다음 눈가와 눈썹 뿌리부분에 손가락을 올려 두고 눈가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한번에 마사지한다. 5분간 120번을 양쪽방향으로 오가며 마사지한 후 여분의 연고는 씻어내지 않고 저절로 흡수되도록 남겨둔다. 하루 2번 (낮잠 전, 저녁 취침 전) 마사지하며 4주간 지속하며 매2주 환자를 모니터링 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대상은 남성 10명, 여성 14명을 대상으로 평균 나이는 37.2 ± 15.6세였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눈가 마사지를 실시한 경우 실시 전보다 피로감, 건조, 열감 및 시야의 흐려짐과 같은 증상의 완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눈 주위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마사지하는 것이 눈의 피로를 감소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오일 3 내지 10 중량부,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열매 오일 1 내지 5 중량부,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오일 1 내지 5 중량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1 내지 5 중량부 및 백단향(Santalum Album) 오일 0.01 내지 1 중량부를 함유하는 베이스 오일;
    드라이허브;
    로즈마리 잎, 캐모마일, 일랑일랑, 다마스크장미 및 자스민에서 각각 수득한 5종의 천연 하이드로졸 각각 0.1 중량부씩 총 0.5 중량부;
    살구씨 오일 60 내지 75 중량부; 및
    식용 계면활성제가 1 내지 1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00 내지 500바(bar) 조건에서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나노 리포좀화 된 것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는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 값이 4 내지 10인 것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6. (a)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껍질 및 백단향(Santalum Album)을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원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원료를 열수 추출하여 에센셜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
    (c) 상기 에센셜 오일로서, 오렌지(Citrus Aurantium Dulcis) 오일 35 내지 53 중량부, 베르가못(citrus aurantium bergamia, bergamot) 열매 오일 15 내지 25 중량부, 제라늄(Pelargonium graveolens) 오일 10 내지 20 중량부,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오일 10 내지 20 중량부 및 백단향(Santalum Album) 오일 0.01 내지 5 중량부와 라벤더 하이드로졸을 혼합하고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에 1회 통과시켜 고압 분산 에멀젼 허브 복합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d) 상기 고압 분산 에멀젼 허브 복합 추출물, 살구씨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1차 혼합물에 로즈마리 잎 하이드로졸, 캐모마일 하이드로졸, 일랑일랑 하이드로졸, 다마스크 장미 하이드로졸 및 자스민 하이드로졸을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2차 혼합물을 고압유화장치(Microfluidizer)에 2회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
  7. 제6항의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
  8.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200012614A 2020-02-03 2020-02-03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8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614A KR102118542B1 (ko) 2020-02-03 2020-02-03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614A KR102118542B1 (ko) 2020-02-03 2020-02-03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542B1 true KR102118542B1 (ko) 2020-06-03

Family

ID=7108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614A KR102118542B1 (ko) 2020-02-03 2020-02-03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5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948A (ko) * 2004-10-04 2006-04-07 엔프라니 주식회사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KR20130131102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KR101404798B1 (ko) 2011-06-08 2014-06-12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9948A (ko) * 2004-10-04 2006-04-07 엔프라니 주식회사 아로마테라피용 천연 에센셜 오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투명 성상의 나노 파티클의 제조방법
KR101404798B1 (ko) 2011-06-08 2014-06-12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1102A (ko) * 2012-05-23 2013-12-03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훈향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RBNOORI-[캐모마일 담은 살구씨 오일베이스]"(2016.11.22.)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107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의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6908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11083923A (zh) 舒缓霜以及其制造方法
KR20150066187A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97285B1 (ko)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8555B1 (ko) 진정 및 수면 촉진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2526B1 (ko)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겨우살이 추출물 및 이를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DE202011103697U1 (de) Zusammensetzungen aus der Pflanze Artemisia annua
WO2016195142A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3370289B2 (ja) 化粧料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477397B (zh) 一种制备石斛花提取液的方法及其应用
TR202008828A2 (tr) Kozmeti̇k formüllerde kullanmak üzere li̇pozomal teknoloji̇ i̇le enkapsüle edi̇lmi̇ş yabani̇ i̇ğde (hippophae rhamnoides) ekstresi̇ni̇n elde edi̇lme yöntemi̇
KR102118542B1 (ko) 가려움증 완화, 면역력 강화 및 눈의 피로 감소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1005B1 (ko) 법제 유황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항염 및 면역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3945B1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0522A (ko)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04108B1 (ko) 다이어트, 이뇨, 항부종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8546B1 (ko) 스트레스 완화, 집중력 향상 및 호흡기 강장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3702B1 (ko)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