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693B1 -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693B1
KR101006693B1 KR1020090026103A KR20090026103A KR101006693B1 KR 101006693 B1 KR101006693 B1 KR 101006693B1 KR 1020090026103 A KR1020090026103 A KR 1020090026103A KR 20090026103 A KR20090026103 A KR 20090026103A KR 101006693 B1 KR101006693 B1 KR 101006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eight
ceramide
cosmetic composition
at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7826A (ko
Inventor
정태화
정관영
한상근
김상준
최정현
이윤지
고은아
Original Assignee
(주)지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앤지 filed Critical (주)지앤지
Priority to KR102009002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693B1/ko
Publication of KR20100107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7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피 증상을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Damaged Skin Barrier repairing by Lipid Exchange)과 진경(Desensitizing), 진정(Soothing)의 복합작용으로 완화해주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특히 피부내외부의 자극 물질로 인해 신경 세포내 칼슘 2가이온(Ca2 +)이 흡수되어 나타나는 ‘가려움’증상을 막아주는 갈근, 백지, 감초, 천궁, 현호색, 지실, 적작약의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과 외부 알러지나 염증유발인자로 인해 피부의 면역세포를 자극하는 현상을 세포를 둘러싸는 보호막작용으로 피부염증을 막아주는 식물 추출 복합물을 이용하여 피부안쪽에서 아토피로 유발되는 피부증상을 완화시켜주며, 다른 측면에서 선천적으로 부실하거나, 유해 환경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 사이사이가 여러 오염 원인들의 통로가 되거나, 피부에 꼭 필요한 수분의 손실을 가속화하여 나타나는 현상을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Damaged Skin Barrier repairing by Lipid Exchange)효과를 나타내는 고농도의 인지질, 세라마이드(Ceramides), 콜레스테롤, 지방산의 복합체로 복원해주고, 마지막으로 ‘피톤치드(Phytoncide)'의 항균에 의한 염증재발방지효과로 궁극적으로 아토피증상을 완화해주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상기 언급한 진경 및 진정작용이 있는 식물 추출 복합물 및 피톤치드 성분을 고농도로 캡슐화하면서,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 생체지질로서 세라마이드 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핑고신 0.05 내지 2.0 중량%, 세라마이드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인지질 1.0 내지 8.0 중량%, 지방산 0.1 내지 5.0 중량%, 천연오일 및 왁스 3.0 내지 20.0 중량%를 80℃내지 85℃로 가온하여 용해하여 생체지질 용해부를 만들고, 보습효과가 우수한 수용성 보습제 2.0 내지 15.0 중량%와 정제수 25.0 내지 70.0 중량%를 75℃ 내지 80℃에서 가온하여 용해한 수상부를 만들어, 수상부에 상기 언급한 생체지질 용해부를 75℃내지 80℃에서 투입하여 유화시키고, 이를 55~45℃까지 교반과 동시에 냉각하여 피부 장벽 구조와 유사하고 안정한 다중층 액정구조 을 형성시킨다. 이후 상기 언급한 진경 및 진정작용이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을 0.5내지 10.0 중량%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난 피톤치드를 0.03내지 1.0 중량%를 투입하여 균일화 시키고, 점도형성을 위한 수용성 고분자를 첨가하여 원하는 질감의 제품을 만드는 아토피 증상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의 구조가 다중층 액정구조로서 피부와 유사하면서 고농도의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식물추출 복합물 및 피톤치드를 안정하게 캡슐화하여 피부로 전달하여 가려움과 염증을 완화시키고, 피부위에 남는 고농도의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이 인지질로 인해‘손상된 피부 장벽 지질 치환’되어 손상된 피부장벽을 복원하여 아토피의 3대 증상인 가려움, 염증, 피부건조의 개선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진경, 항염, 피톤치드, 지질치환, 피부 장벽 복원,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인지질, 식물추출 복합물, 아토피

Description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s improving atopic dermatitis by complex function of damaged skin barrier repairing by lipid exchange and desensitizing, anti-inflamm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20세기 산업화시대를 거치면서 농업위주의 자연친화적인 일들이 산업위주의 비자연 친화적인 일들로 바뀌고, 인간의 생활패턴도 변하게 되어, 오랜 기간 동안 불규칙한 식생활, 음주, 흡연을 지속하였고, 더불어 심각한 환경오염이 인간의 생리대사에도 큰 영향을 미쳐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평균적으로 건강했던 유아 및 어린 청소년들이 ‘아토피(Atopy)'혹은 아토피 피부염이라 불리는 증상으로 고통 받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 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펼쳐진 쪽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성장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의 형태로 나타 나게 되며, 많은 경우에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 어른의 경우 접히는 부위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 (lichenification)가 나타나고, 유소아기에 비해 얼굴에 습진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토피 피부염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유병률이 인구의 20%라는 보고도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산업화로 인한 매연 등 환경 공해,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이 있다.
또한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일이 많아지면서 원인 물질에 노출되는 것도 원인이 된다. 한편 아토피 피부염이 유전적인 영향을 받는 점은 많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들이 가족력이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심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피부 병변이다.
피부건조는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악화시킨다. 낮 동안에는 간헐적으로 가렵다가 대개 초저녁이나 한밤중에 심해진다. 가려워서 긁게 되면 습진성 피부 병변(병리적 변화)이 생기고 이러한 병변이 진행되면서 다시 더 심한 가려움이 유발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피부 병변의 분포와 반응 양상은 환자의 연령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유아의 경우 병변이 주로 진물이나 딱지가 지는 급성 습진이 나타나며 주로 얼굴, 머리에 잘 생기고 몸통이 거칠고 건조하며, 팔다리의 바깥쪽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2세 이상 10세 이하의 소아기에는 얼굴보다는 오히려 팔다리의 접히는 부분, 목의 접히는 부위에 생기며 건조한 습진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동양인에게는 십대 이후에 잘 낫지 않는 심한 유두 부위 습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호전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호전된 후에도 특정 물질이나 자극에 의해 쉽게 가렵거나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성인기에 손 습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성인기까지 아토피 피부염이 남는 경우에는 몸의 피부 증상은 호전되는 반면 얼굴에 홍반과 홍조 및 습진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접히는 부위는 오랫동안 긁어 피부가 두껍게 보이는 태선화 피부가 나타난다. 성인기라도 만성 습진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습진 위에 진물과 딱지가 앉는 급성 병변이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난다.
알러지를 포함하여 동반되므로 쉽게 치료되기 어려운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알려진 약물 치료법으로는, 국소 스테로이드, 국소 면역 조절제, 전신 스테로이드, 전신 면역 억제제, 항 히스타민제, 기타 광선치료나 인터페론 감마, 감마 리놀렌산 등이 있다.
국소 스테로이드에는 여러 강도의 약이 있는데 병변의 부위와 질환의 심한 정도에 따라 약의 강도와 제제 종류를 적절히 선택하여 발라야 한다. 얼굴에는 약한 강도의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사용해야 하고, 손에 발생한 습진의 경우에는 손발 의 피부가 두꺼우므로 상대적으로 강한 강도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면서 사용해야 한다.
국소 면역조절제로는 타크로리무스(tacrolimus), 피메크로리무스(pimecrolimus) 성분으로 만든 도포제(연고)가 있는데, 이는 최근 스테로이드 연고를 대신할 수 있는 약제로서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장기간 도포 시 기존의 스테로이드 연고에서 나타나던 부작용이 없어 얼굴 등 예민한 피부에 자주 사용되며, 2세 이상의 소아나 성인의 얼굴, 목과 같이 피부가 얇고 약한 부위에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에 효과적이다. 처음 바르는 경우 피부가 화끈거리는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다.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서 전신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빠른 호전을 보이는 장점이 있지만 줄이거나 끊게 되면 증상이 급격히 악화되는 경향이 있고,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전신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만성적인 질환에서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병이 많이 악화되어 다른 약에 전혀 반응이 없는 경우나 빠른 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전신 면역억제제는 최근에 기존의 치료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중증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전신 면역억제제인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이 사용된다. 효과는 우수하지만 고혈압, 신기능 이상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투여해야 한다.
항히스타민제는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사용되며, 대부분 항히스타민제는 심 한 부작용이 없는 비교적 안전한 약제이지만 졸리거나 입이 마르는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는데 사용하는 약물들은 여러 가지 부작용이 발생하여 그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화장품 산업에서는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완화하고자 주로 보습제를 사용한 일시적인 피부건조방지를 위해 노력해왔다. 특히 1가구 한두자녀로 출생률이 저하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예전에는 적극적으로 많은 비용을 들여 이를 치료하지 않고, 성장을 하면서 겪는 것이고, 시간이 지나면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던 주로 20대에서 30, 40대 아토피 증상을 앓고 있는 아이를 가진 부모들은 적극적으로 이를 개선시켜 주기 위해 다양한 치료를 받게 하고, 또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 본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켜 치료할 수 있는 화장품의 출현을 기다리고 있으며, 이에 향후 전 세계적으로 큰 시장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흔히 피부에 일시적인 보습효과와 자체의 저자극성 정도만을 부여하던 유아 또는 청소년용 화장품에서도 종래의 고용량에 저단가를 탈피하여 항염증 효과 및 보습지속효과를 부여하는 실질적인 아토피 증상개선 효과를 내세우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들은 종래의 마트뿐만 아니라, 병원, 약국, 인터넷등 다양한 화장품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이러한 제품들은 종래의 보습 및 저자극의 개념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상기 언급한 일시적인 효과를 조금 더 오래 지속할 수는 있겠지만, 궁극적으로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효과를 얻기에는 역부족인 것이 사 실이며, 실제 피부외부로 나타나는 아토피 질환의 증상들을 피부 내쪽과 피부 외쪽을 동시에 고려하여 이를 효능과 연계시켜 인지 가능한 정도로 높은 아토피 증상완화효과로서 소비자에게 신뢰성을 줄 수 있는 제품은 사실상 전무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은 주로 약물전달에 많이 이용되었던 피부 유사막 기술을 이용하여 화장료로서 아토피 증상을 외부적으로 치료하는 기술과 내부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식물복합체를 이용한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를 복합화하여 새롭게 디자인한 기술로서, 종래 기술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인간의 피부, 특히 최외부인 각질층은 인간의 건강과 생존을 외부로부터 지켜내는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라는 벽돌과 같이 단단한 죽은 세포와 이를 시멘트와 같이 연결해주고 있는 세포간지질(Intercellular lipid)들로 이루어져 있어서 내부로부터 수분 및 영양분의 손실을 막음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유해환경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이 세포간지질을 구성하고 있는 주성분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및 피토스핑고신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이에 미백 및 주름 개선에 관련된 활성성분을 피부로 전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데, 이들을 캡슐화하는 기제가 세포간지질과 유사한 구조와 조성을 갖을 경우 그 유사성으로 인해 약물전달효과를 상승시키는 기술들을 연구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수용성 성분들을 캡슐화하는 리포좀과 이를 나노사이즈로 쪼개어 얻어지는 나노리포좀, 유용성 성분들을 캡슐화하는 다중막전달체, 수용성 및 유용성 성분 모두를 캡슐화하여 전달하는 액정기술로 크게 대표되며, 이들은 캡슐의 구성성분과 그 구조를 인간의 피부에 가깝게 디자인하여 피부에 도포시 약물전달효율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위와 같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816266호는 유사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에 포접되어 녹두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지만, 유해 환경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 사이사이가 여러 오염 원인들의 통로가 되거나, 피부에 꼭 필요한 수분의 손실을 가속화하여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아,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을 통한 아토피 증상을 외부적으로 치료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그 언급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종래의 기술들은 주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피부내로 침투시키기가 어려운 생리활성성분들을 캡슐화하여 피부 내로 전달하기 위해 연구된 것이고, 이 약물전달을 방해하는 ‘피부장벽(Skin barrier)'을 복원하기 위해 연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로 지질들의 용해에 기술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장벽의 복원보다는 약물의 침투에 중점을 두고 캡슐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토피로 유발되는 심각한 피부건조 증상을 세포 간지질 성분 중 주로 그 근간을 이루고 있는 세라마이드의 선천적 결핍 및 후천적 손실에 의해 유발되는데, 상기의 이유로 종래의 기술들은 아토피 증상의 완화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피부장벽의 주성분을 보충하여 피부를 보다 견고하고 건강하게 해주는데 에는 그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아토피 치료에 대한 종래기술의 한계점을 생체지질들을 고농도로 제품에 배합하고, 이를 피부와 유사한 다중층 액정구조를 형성 하게하여‘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Damaged Skin Barrier repairing by Lipid Exchange)'효과를 극대화하는 새로운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 혼합추출물 및 정유 성분을 배합하여, 가려움 및 염증으로 인해 더욱더 피부장벽이 손상되어 소실되는 증상을 줄여 아토피 증상 완화효과를 최대화하는 새로운 기술적 과제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고농도의 생체지질 및 이들 생체지질들의 피부 재배열을 촉진하여주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통해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의 복원'이라는 새로운 원리의 아토피 증상개선 화장료 조성물로서, 특히 단순히 일정 시간 동안만 피부에 남아 물의 증발을 막아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손상된 피부지질 장벽에 재배열하여 피부장벽을 복원하여 경피 수분 증발을 줄이고, 외부로부터 알러지 유발물질 또는 유해인자들의 침투를 방지하는 피부장벽강화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부 각질층은 피부 바깥층에 존재하는 천연 피부 보호막으로서 케라티노사이트 (Keratinocyte)라는 벽돌과 같이 단단한 죽은 세포와 이를 시멘트와 같이 연결해주고 있는 세포간지질 (Intercellular lipid)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유해 환경에 의해 손상된 피부 장벽 사이가 여러 오염원들의 통로가 되거나, 피부에 꼭 필요한 수분의 손실을 가속화하여 아토피 증상을 가중시키며, 또한 아토피 피부에는 세라마이드 등의 지질이 결핍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등의 지질을 피부 위에 도포하여 피부 장벽 사이의 피부 지질이 결핍된 공간에 세라마이드 등의 생체지질을 치환되어 피부 지질 구조 개선의 효과를 나타낸다(도2). 이것이 본 발명의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의 원리이다.
또한 지질치환 과정 중 캡슐화되어 있던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 및 정유 성분들이 아토피증상 악화의 주원인인 가려움 및 염증을 방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먼저 피부장벽을 구성하 고 있는 난용성의 생체지질들을 상용성이 우수한 천연오일로 용해하고, 지질치환의 중요 인자인 인지질을 균일하게 배합하는 생체지질 용해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체지질 용해부에 높은 수분공급 및 유지효과가 있고, 생체지질의 수계(水系)분산을 더 용이하게 해주는 수용성 원료들을 용해한 후, 상기 생체지질 용해부를 배합하여 피부장벽과 유사하면서도 안정한 다중층 액정 구조를 갖도록 균일화한 후, 이 다중층 액정 내부에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 및 피톤치드 성분을 캡슐화한 후,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사용감 및 도포성을 얻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점증제부를 투입하여 균일화하여 아토피의 3대 증상인 가려움, 염증, 피부건조의 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얻어진 아토피 증상에 대한 개선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구조가 다중층 액정구조로서 피부와 유사하면서 고농도의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 및 식물 정유인 피톤치드 (편백정유)를 안정하게 캡슐화하여 피부로 전달하여 가려움과 염증을 완화시키고, 피부 위에 남는 고농도의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이 인지질로 인해‘손상된 피부 장벽 지질치환’되어 손상된 피부장벽을 복원하여 아토피의 3대 증상인 가려움, 염증, 피부건조의 개선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유아에서 성인까지 겪고 있는 다양한 아토피 증상을 피부바깥에 도포하는 화장료로서 일반인들이 그 사용에 부담을 갖지 않고, 단기 및 장기 증상개선효과까지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손상된 피부 장벽 지질 치환(Damaged Skin Barrier Lipid Exchange)의 효과를 나타내는 인지질,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지방산, 세라마이드 유도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인지질의 종류에는 레시틴(lecithin) ·세팔린(cephalin) ·스핑고미엘린 ·카르디오리핀 ·포스포이노시티드 ·아세타르인산 등이 있으며 세포막, 소포체, 미토콘드리아와 신경섬유를 둘러싸는 수초 등과 같은 생체막의 주된 성분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뇌와 간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신경전달이나 효소계의 조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라마이드는 세포간 지질의 가장 중요한 지질로서(전체 40-50%), 수분 증발을 막고 수분을 유지하는 성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 또는 노화에 의한 세라마이드의 생산이 감소되면 각질층의 보호 장벽 기능이 감소되고, 따라서 여러 가지 피부과적 증상, 예컨대 아토피 피부염 및 건선 증상 등이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다.
피부 표면에서 세라마이드가 분해되면서 생성된 피토스핑고신은 각질층에서 약 1~2%정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이는 외부 미생물에 대한 항균 작용, 피부의 염증완화 및 피부의 상처를 회복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토스핑고신은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세라마이드 합성의 전구물질로 사용되어 세라마이드 합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프로틴키나제 C 나 폴스포리파제 D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아토피와 같은 만성 염증을 동반하는 피부 질환 치료에 효과적이다. 피토스핑고신은 여러가지 미생물에 대해 항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미생물에 대해서는 페니실린이나 에리스로마이신보다도 강력한 항균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항생제와는 달리 내성균이 발생할 위험이 없어 안전성이 뛰어나다. 아토피 피부염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는 포도상구균(S . aureus)에 감염되어 있어 항균력이 뛰어난 피토스핑고신을 세라마이드와 함께 사용할 경우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콜라겐의 합성 및 표필 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상처를 빠르게 치유하는 효과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방산은 보통 생체 내에서는 글리세롤이나 고급 알코올과 결합하여 에스테르(ester)를 만들고 있으며, 유리된 지방산으로서 존재하는 양은 극히 적다. 글리세롤과 결합하여 만든 에스테르를 지방(fats)이라 하며 하나의 글리세롤에 세 개의 지방산이 결합한다. 고급 알코올과 결합하여 만든 에스테르는 왁스(wax)라고 한다. 지방산 분자는 탄화수소 사슬로 이루어져 있는데, 탄화수소는 탄소의 기본 골격에 곁가지로 수소가 연결되어 있고 한쪽 끝에 카르복시기가 붙어있다. 생체 내에서 지 방산은 지방산 회로에 의해서 분해되거나 합성되거나 한다. 이 회로는 탄소 2개씩의 단위로 지방산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므로,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산은 거의 대부분이 짝수인 탄소수로 되어 있다.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세포간 지질의 결합을 보완하고, 피부 건성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가려움 및 알러지를 유발하는 민감한 신경을 진정시켜 주는 7가지 식물 추출복합물인 갈근, 백지, 감초, 천궁, 현호색, 지실, 적작약에 대한 특성은 다음과 같다.
갈근의 외형은 육면체로 잘게 썬 것 또는 판상이며 세로로 자른 것으로 바깥면은 회색이 도는 황색이나 백색이다. 가로로 자른 것은 섬유질이 있는 목부와 전분질이 있는 유조직이 서로 엇갈려서 세로무늬를 이룬다. 세로로 갈라지기 쉬우며 갈라진 면은 섬유가 매우 많다. 냄새는 없고 약성은 달며 맵고 평하다. 갈근은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한다.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와 부인들의 하혈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 생뿌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칡의 열매는 갈곡이라 하며 설사에 효과가 있고 칡꽃인 갈화는 독특한 단맛이 있어 술독을 풀어 주고 장을 튼튼하게 한다. 칡가루는 갈분이라 하여 갈증을 멎 게 하고 대소변을 잘 보게 하며, 어린이가 열이 나면서 명치끝이 아픈데 쓴다. 당뇨, 이질, 대장염, 악성종양 등에 약리효과가 있다.
전분이 많아 칡국수, 칡냉면, 칡차, 농축액, 엿으로도 사용하고, 덩굴을 이용한 갈포(葛布)는 고급 섬유로 이용되고, 잎은 사료로 사용된다. 갈근의 이명은 계제(鷄薺), 녹두(鹿豆), 건갈(乾葛), 감갈(甘葛), 분갈(粉葛), 황근(黃斤) 이라고도 한다. 사슴이 9종의 풀을 먹는데 갈근이 그 중 하나이기에 녹곽근(鹿藿根)이라고 하기도 한다.
백지는 옛 중국의 진나라(晋)에서는 효라고 하고 제나라(齊)에서는 채라고 하였으며, 초나라(楚)에서는 리 또는 약(藥)이라고도 불렀다. 낮은 연못 주변에서 자라니 분방(芬芳)과 난(蘭)의 덕(德)과 같다하여 시인들은 난(蘭)과 채를 시로 읊었으며, 문헌에서는 방향(芳香), 택분(澤芬), 또는 향백지(香白芷)라고 불렀다. 생김새는 짧은 원뿌리로부터 많은 긴 뿌리가 갈라져서 대체로 방추형을 이루고 길이 10~25㎝이며 바깥면은 회갈색~어두운 갈색을 띤다. 뿌리 윗부분에 약간의 엽초가 남아 있고 좁게 두드러진 돌림 마디가 있다. 뿌리에는 세로주름과 세로로 두드러진 여러 개의 가는 뿌리 자국이 있으며 옆으로 잘린 면 주변에는 회백색으로 빈틈이 많고 가운데 부분은 어두운 갈색을 띤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고 성질은 따듯하다. 백지는 유행성 감기로 인한 두통, 코막힘, 콧물을 다스리는 진통약이며, 위장장애, 산전 산후두통, 어지럼증, 치통, 안면신경통, 마비 등에 유효하다. 또한 월경 뒤 하혈이나, 대하,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올 때, 축농증으로 인한 두통, 창양, 종독, 피부궤양 등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항균 작용, 동물의 연수 혈관 운동 중추, 호흡중추, 미주 신경 및 척수부의 흥분 작용, 관상동맥 혈류량 증가작용, 백전풍(白殿風 : 살갗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은설병(銀屑病 : 만성피부병으로, 홍반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 비늘가루가 생기는 병증)에 유효작용이 보고되었다.
다른 이름으로 방향(芳香), 백채, 부리, 약(藥), 완(莞), 택분(澤芬), 력마, 효, 향백지(香白芷)라고도 한다.
감초는 우랄감초, 굽은감초라고 하며 러시아(시베리아),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감숙성, 신강성), 몽골에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유럽감초는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에 분포되어 있다. 유럽감초의 변종으로 러시아감초, 페르시아감초, 이란감초 등이 있지만 약용하지 않는다. 감초의 겉껍질은 적갈색이나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 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감초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다.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거담, 근육 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이 약은 국로(國老), 미초(美草), 밀감(蜜甘), 밀초(蜜草), 영통(靈通), 첨초(甛草), 로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천궁은 중국 원산이며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진정 ·진통 ·강장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에 사용한다. 방향성 식물이며 민간에서는 좀을 예방하기 위해 옷장에 넣어 둔다. 천궁이란 중국 쓰촨성의 궁궁이라는 뜻이다. 죽어가는 소나무 뿌리에 천궁 삶은 물을 주면 나무가 회생한다는 말이 있다.
현호색은 산록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덩이줄기는 지름 1 cm 정도이고 여기서 나온 줄기는 20 cm 정도 자란다. 밑부분에 포 같은 잎이 1개 달리고 거기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1∼2회 3개씩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도란형이고 윗부분이 깊게 또는 결각상으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 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4월에 피고 연한 홍자색이며 총상꽃차례로 5∼10개가 달린다. 화관은 길이 2.5 cm 정도이고 뒤쪽은 꿀주머니로 되며 앞쪽은 넓게 퍼져 있다.
한방에서는 덩이줄기를 정혈제 ·진경제 및 진통제로 쓴다. 한국 및 중국 동북부를 거쳐 시베리아까지 분포한다.
지실은 일반적으로 흔히 말하는 어린 탱자 과실을 절단하여 건조한 것이다. 신체에 이상적으로 뭉쳐진 기를 분산시키는 효능을 가지고 있어 파기의 요약이다. 피부의 심한 가려움증과 복부창만, 명치끝이 그득하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하고 음식을 먹고 체한지 오래 된 증상을 치료한다. 기가 뭉쳐져서 생긴 창만, 변비 등의 모든 증상에 응용 가능하나 기가 모여 있는 것을 분산시키는 작용이 강한 반면 기를 보하는 효능이 없기에 정기를 상하게 할 위험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 최근에는 위하수, 자궁하수, 탈항 등에도 효과가 있어 응용되고 있다.
작약 중에서 그 꽃의 색깔이 빨간색인 적작약은 산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여러 개가 한 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높이 60cm 정도이며 잎과 줄기에 털이 없다. 뿌리는 여러 개가 나오지만 가늘고 양끝이 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작은잎이 3장씩 두 번 나오는 겹잎이다. 작은잎은 바소꼴 또는 타원형이나 때로는 2∼3개로 갈라지며 잎맥 부분과 잎자루는 붉은색을 띤다. 윗부분의 잎은 모양이 간단하고 작은잎이 3장씩 나오는 잎 또는 홑잎이다. 잎 표면 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줄기 끝에 1개가 피는데 크고 아름다우며 재배한 것은 지름 10cm 정도이다. 꽃받침은 5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까지 붙어 있는데 가장 바깥쪽의 것은 잎 모양이다. 꽃잎은 10개 정도이나 기본종은 8∼13개이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길이 5cm 정도이다. 수술은 매우 많고 노란색이며 암술은 3∼5개로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달걀 모양의 씨방에는 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열매는 달걀 모양으로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굽으며 내봉선을 따라 갈라지고 종자는 구형이다. 적작약의 약리 작용으로는 적작약의 뿌리는 혈압과 해열제로 이용한다.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은 상기의 갈근, 백지, 감초, 천궁, 현호색, 지실, 적작약을 물, 에탄올, 에테르 등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식물 성분을 추출하는데 이용하는 추출법을 사용한다.
피부 위에 존재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부여하여 피톤치드(편백정유)는 1943년 러시아 태생의 미국 세균학자 왁스먼이 처음으로 발표한 말이며, 러시아어로 '식물의'라는 뜻의 'phyton'과 '죽이다'라는 뜻의 'cide'가 합해서 생긴 말이다. 왁스먼은 스트렙토마이신의 발견으로 결핵 퇴치에 공헌해서 1952년에 노벨의학상을 받기도 하였다. 20세기 초까지 폐결핵을 치료하려면 숲 속에서 좋은 공기를 마시며 요양해야만 한다고 생각하였다. 삼림욕을 하면 식물에서 나오는 각종 항균성 물질을 이르는 피톤치드가 몸 속으로 들어가 나쁜 병원균과 해 충, 곰팡이 등을 없애는 구실을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오늘날도 이것은 일반적인 생각이며 피톤치드의 구성 물질이 테르펜을 비롯한 페놀 화합물, 알칼로이드 성분, 글리코시드 등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삼림욕을 통해 피톤치드를 마시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과 심폐기능이 강화되며 살균작용도 이루어진다. 이에 여러 상품들에 피톤치드의 효능을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방향제에 피톤치드 성분을 추출해 넣거나 음식물에 식물의 꽃이나 잎을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식물의 고유한 피톤치드 향기는 식품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
피톤치드의 채취방법으로는 수증기 증유법(steam distillation), 압착법 (expression), 추출법(extraction), 유지흡수법(fat adsorption),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법(organic solvent extraction), 초임계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의 방법이 가능하다. 피톤치드의 채취방법은 앞서 기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피톤치드의 채취방법을 이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수증기 증유법(steam distillation)은 정유의 대부분은 물에 녹지 않으므로 수증기의 열에 의해 향기성분이 변화되지 않는 것에는 이 방법이 가장 간편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서로 불용인 혼합물 증기의 전 압력은 순성분 각각의 증기압의 합과 같아지므로, 정유의 증기압과 물의 증기압의 합이 증류조 내의 압력과 같아지면, 정유는 수증기와 함께 비등하여 유출하게 된다. 정유성분의 비점(150~350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유출시킬 수 있으므로 성분의 분해나 변질의 염려가 거의 없다. 그러나 head space를 수증기 증류 초기에 놓쳐버릴 위험이 있다.
압착법 (expression)은 오렌지, 레몬, bergamot oil 등 감귤류의 과피에 기름주머니가 있어서 그 안에 정유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압착하거나 과피에 상처를 내면 간단하게 정유를 얻을 수 있다. 압착법에는 해면법(스폰지법), ecuelle법 등 옜날부터 사용되어 온 가내수공업적인 방법이 있으나, 그 후 롤러의 간극으로 압착하는 롤러법으로 진보되어 과실의 세처, 과피의 분리, 압착 등 모두 자동화되어 있다. 근년에는 레몬을 비롯하여 파인애플, 사과, 포도, 딸기 등 모든 과실에서 과즙을 제조하는 것이 대기업의 식품공업으로 확립되어 있으므로, 과실에센스는 과즙에 포함시켜 이용되고 있다. 과실을 필요로 하지 않는 bergamot, mandarin, lime oil등은 압착한 과즙에서 분리한 것이다.
추출법(extraction) 수증기 증류가 간단한 대신 향기성분이 가열에 의해 분해될 위험성이 있는 것, 또는 성분의 일부가 물에 녹는 것에 대해서는 적당한 방법이 아니다. 특히 꽃향기는 이러한 경우가 많으므로 가능한 낮은 온도에서, 또 물을 사용하지 않고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이 행해진다. 추출법에는 유지흡수법, 휘발성 용제추출법, 초임계유체추출법이 있다.
유지흡수법(fat adsorption)은 일반적으로 유지류는 향기를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제하여 무취화한 유지류에 꽃을 담그고, 수증기보다 낮은 온도 인 60~70도 정도로 가온하여 꽃향기를 흡수시킨다. 이 방법을 온침법9maceration)이라 하며, 실온에서 꽃향기를 흡수시키는 방법을 냉침법(enfleurage)이라 한다. 꽃 정유를 추출하는데는 후자가 이상적이지만 조직이 번자하다. 유지에 꽃 정유를 고농도로 흡수시켜 포화시킨 것을 pomade라 한다. 또 pomage에 고순도의 알코올을 가하여 꽃 정유만을 추출하는데 이 추출액을 extract라 한다. Extract에서 알코올을 회수하면 꽃 정유가 남는다. 이것이 absolute이며 꽃 정유로는 최상품이다. 또 pomage를 알코올로 추출하여 얻은 것을 고형상 꽃 정유(flower concrete)라 한다.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법(organic solvent extraction)은 꽃 정유 추출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석유에테르, 펜탄, 벤젠, 헥산, 에테르, 염화메칠, 사염화탄소,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등이 이용되며 꽃을 대량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장미, 자스민, 미모사, 카네이션, 바이올렛, 오크모스 등의 꽃 정유가 이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용제는 이취(異臭)를 제거하기 위하여 황산, 알칼리 등으로 세척/정제한 것, 석유에테르의 경우 비중 0.65(15℃) 정도인 것을 사용한다. 추출조작은 실온에서 행하며, 용기내에 꽃잎과 찬 용제를 넣고 상온에서 충분히 교반하여 꽃향기를 이행시킨 후, 꽃잎을 제거하고 용제를 가능한 저온에서 회수하면 연고상의 물질이 남는다. 이것은 꽃잎에 함유되어 있는 밀납물질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것을 concrete라 한다. Concrete를 알코올에 용해한 후 -20℃로 냉각하여 석출하는 밀납물질을 제거하여 absolute 꽃 정유를 얻는다.
초임계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은 최근 개발된 방법으로서 초임계 유체인 액화이산화탄소, 액화프로판 및 부탄 등 초임계 유체를 꽃 정유나 식품 flavor의 추출에 이용한다. 추출한 액화가스를 실온에 방치하면 가스는 휘발되고 꽃 정유는 남는다. 꽃 정유 등에서 특히 head space물질을 필요로 할 때, 또는 용제 추출 등에서 향이 변질될 우려가 있는 경우 이 방법이 유용하다. 문제는 향기성분이 임계온도에서 모두 추출되는지 여부이다. 또한 특수한 장치가 필요하며 대량추출에는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이 결점이다. 그러나 신선한 향기를 갖는 꽃 정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꽃 이외의 부위에도 적용된다. 프랑스에서는 액화부탄에 의한 꽃향기 추출법이 완성되어 프랑스 남부 그라스 지방의 로베르떼사가 jasmine, rose, tuberose, oak moss 등의 꽃 정유를 제조하고 있으나, 이 방법으로 얻은 것을 butaflor라 총칭하며 품질의 우수성을 자랑하고 있다.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여기에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 및 정유 성분을 배합하여, 가려움 및 염증으로 인해 더욱더 피부장벽이 손상되어 소실되는 증상을 줄여 아토피 증상 완화효과를 최대화하는 새로운 기술적 과제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토피 증상을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생체지질로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이하, 같음) 세라마이드 0.1 ~ 3.0 중량%, 피토스핑고신 0.05 ~ 2.0 중량%, 세라마이드 유도체 0.1 ~ 3.0 중량%, 인지질 1.0 ~ 8.0 중량%, 지방산 0.1 ~ 5.0 중량%, 천연 오일 및 왁스 3.0 ~ 20.0 중량%를 80℃ 내지 85℃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생체지질 용해부 준비단계;
(2) 정제수 25.0 내지 70.0 중량%와 수용성 보습제 2.0 내지 15.0 중량%를 75℃ 내지 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수상부 준비단계;
(3) 상기 (2)에 상기 (1)의 생체지질 용해부를 75℃ 내지 80℃에서 투입하여 호모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유화시켜 상기 생체지질들을 수계에서 고르게 배합하는 유화단계;
(4) 상기 (3)의 유화물을 55 ~ 45℃까지 교반과 동시에 냉각하여 피부장벽 구조와 유사하고 안정한 다중층 라멜라 액정을 형성시키는 액정형성단계;
(5) 상기 (4)에 진경, 진정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천연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 0.5 내지 10.0 중량% 및 피톤치드 0.03 내지 1.0 중량%를 투입하여 캡슐화하는 활성성분 첨가부단계;
(6)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사용감 및 도포성을 얻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점증제부 및 방부제부를 균일하게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토피 증상을 개선 중 지질치환 기작에 의해 피부장벽에 보충되는 주성분으로서 상기 (1)에서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이 상기 언급한 양보다 적을 경우 피부장벽 복원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제대로 용해시키기가 어렵고, 설사 용해시켰다 하더라도 냉각도중 탈리되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지질치환의 대상이 되는 세라마이드 및 피토스핑고신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약한 친수기와 서로 다른 사슬길이를 갖는 친유기 2개를 같는 구조적으로 비대칭성의 물질로서, 물과 기름을 포함한 용매들에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본 화장료의 입자외벽의 근간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지질치환에 의해 세포간지질로 전달될 경우 피부장벽의 근간역할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1)에서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난용성인 세라마이드와 피토스핑고신이 갖는 구조 비대칭성이 아닌 구조 대칭성의 지질로서 상기 (4)의 액정형성 단계에서 생체지질의 재배열을 규칙적으로 해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은 경우 형성된 액정의 재배열이 고르지 못한 문제가 있고,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은 경우 생체지질이 배열해야하는 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여 오히려 생체지질의 탈리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그 친유성 사슬길이 및 친수기에 따라 비스하이드록시에칠 비스세틸말론아마이드(Bishydroxyethyl biscetyl maloamide),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팔미타마이드 엠이에이(Hydroxypropyl bispamitamide MEA),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라우라마이드 엠이에이(Hydroxypropyl bislauramide MEA),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스테아로일아마이드 엠이에이(Hydroxypropyl bisstearoylamide MEA), 하이드록시프로필 비스이소스테아로일아마이드 엠이에이(Hydroxypropyl bisisostearoylamide MEA)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다.
인지질은 화장료에서 액정을 안정화하고, 피부에 도포시 상기 생체지질들의 지질치환 효과를 부여하는 주성분으로서,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생체지질과 마찬가지로 용해가 어렵고, 쉽게 수상으로 탈리 되어 다른 액정을 형성하여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다. 인지질은 포화 또는 불포화 인지질을 모두 사용가능한데,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상기 지방산은 피부장벽과 조성상의 유사성을 갖게 하여 지질치환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오히려 액정구조를 파괴하는 문제가 있다.
지방산은 라우릭산을 제외하고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미리스틱산, 팔미틱산, 스테아릭산, 베헤닉산, 아라키도닉산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다.
또한 천연오일 및 왁스는 상기 언급한 생체지질, 인지질의 용해를 담당하고 피부에 도포후 보습에 중요한 기능을 하며,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생체지질의 용해가 어렵고,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액정형성을 방해하고, 화장료의 안정성을 해치는 문제가 있다. 천연오일 및 왁스로는 동백유, 호호바유, 메도우폼씨드유, 마카다미아유, 살구씨유, 포도씨유와 같은 오일성분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거나, 쉐어버터(Shea butter), 망고버터, 경화동백유와 같은 왁스성분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가능하다.
상기 수용성 보습제는 생체지질들의 수상(Water phase)에서 용해를 돕고, 피부에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며,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수용성 보습제의 사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D-판테놀, 1,2-펜탄디올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것을 원하는 사용감에 맞추어 사용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으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으면 사용감이 너무 끈적이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화 및 액정형성 단계에서 공정온도는 균일하고 안정적인 액정형성에 큰 영향을 주는바, 상기 언급한 온도보다 낮으면 생체지질의 일부가 탈리되는 경향이 있으며, 상기 언급한 온도보다 높으면 액정형성이 균일하게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진경 및 진정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은 피부내외부의 자극 물질로 인해 신경세포내 칼슘 2가이온(Ca2 +)이 흡수되어 나타나는 ‘가려움’증상을 막아주는 갈근, 백지, 감초, 천궁, 현호색, 지실, 적작약의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을 사용하며,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을 경우 진경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을 경우 변색 및 변취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토피 증상 악화의 주원인이 되는 염증에 대한 항균을 통한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정유성분으로 피톤치드를 사용하며,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을 경우 항균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역한 냄새와 민감한 피부에서 오히려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 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피톤치드( 편백정유 )의 항균력 시험
실시예를 자세히 상술하기 전에 먼저 항균에 의한 항염 효과로 아토피 증상의 악화를 막아주는 피톤치드의 적절한 배합량을 결정하기위해 일반세균(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 Candida albicans )을 이용하여 도4와 같이 특 정균주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물질의 최소성장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법으로 피톤치드의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도 5에서 보는바와 같이 편백정유의 함량에 따라 일반세균의 성장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편백정유의 함량이 0.02중량% 이하일 경우, 균이 증식하는 양상을 보이고, 0.03 중량%부터는 균이 증식하지 않는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를 나타내었고, 이는 이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실시예 1내지 3 및 비교예 1내지 7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의 조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토피 증상 개선용 크림 화장료를 제조하였으며,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1에 나타난 함량으로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별도의 용해조에 생체지질, 인지질 및 천연 오일성분을 85℃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생체지질 용해부를 준비하였다. 또한 온도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진공 유화조에 정제수와 수용성 보습제를 80℃로 가온하여 용해시켜 수상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수상부에 준비된 생체지질부를 투입하여 호모믹서 3,000RPM으로 5분간 유화한 후, 50℃까지 교반하면서 서서히 냉각하였다. 여기에 활성성분부의 식물복합체 및 피톤치드를 투입하여 5분간 교반 한 후, 다시 고분자부와 방부제부를 투입하여 호모믹서 3,000RPM으로 2분간 분산하고, 35℃로 냉각 및 탈기하여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토피 증상개선용 크림은 피부와 유사하면서 안정적인 형성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편광현미경과 X-RAY 회절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아토피 증상 완화에 대해 실제 사람을 대상으로 임상연구를 시행하였다.
구분 성분(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7 비교예8
생체지질부 세라마이드 0.5 1.5 2.5 4.0 0.5 0.05 0.5 1.5 1.5 1.5 1.5
피토스핑고신 0.5 1.0 1.5 0.5 3.0 0.02 0.5 1.0 1.0 1.0 1.0
세라마이드유도체 0.5 1.5 2.5 0.5 0.5 0.05 4.0 1.5 1.5 1.5 1.5
인지질 2.0 3.5 4.5 2.0 2.0 3.5 2.0 0.5 10.0 3.5 3.5
스테아릭산 0.5 1.5 3.0 0.5 0.5 1.5 0.5 1.5 1.5 1.5 1.5
동백유 8.0 13.0 18.0 8.0 8.0 13.0 8.0 13.0 13.0 13.0 13.0
쉐어버터 1.0 2.0 2.0 1.0 1.0 2.0 1.0 2.0 2.0 2.0 2.0
수상부 정제수 65.4 54.2 44.0 61.9 62.9 58.08 61.9 57.2 47.7 41.2 52.5
판테놀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4.0
활성성분부 식물추출물복합체 2.0 2.0 2.0 2.0 2.0 2.0 2.0 2.0 2.0 15.0 2.0
피톤치드 0.1 0.3 0.5 0.1 0.1 0.3 0.1 0.3 0.3 0.3 2.0
고분자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5%분산액)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방부제부 복합 방부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물성 점도(cps) 35,000 65,000 96,000 63,000 59,000 51,000 43,000 38,000 120,000 43,000 31,000
pH 5.99 6.21 6.14 5.86 6.25 6.43 6.31 6.69 5.45 5.23 5.45
1) 세라마이드 : DS-CERAMIDE, 대한민국, 두산바이오텍
2) 피토스핑고신 : DS-Phytosphingosine, 대한민국, 두산바이오텍
3) 세라마이드유도체 : QUESTAMIDE H, 미합중국, 쾌스트사(QUEST)
4) 인지질 : 레시놀(Lecinol S-10, 일본국, 니코 케미칼(Nikko Chemical)), 리포이드(Lipoid S75-3, Lipoid S100-3, Lipoid S75, Lipoid S100, 독일국, Lipoid사), 유멀메틱(Emulmetic 920, 930, 950, 프랑스국, Lucas meyer사)
5) 스테아릭산 : EMERSOL 132, 독일국, 코그니스사(COGNIS)
6) 동백유 : SASANQUA OIL, 일본국, 요코제키오일사(YOKOZEKI OIL)
7) 쉐어버터 : SHEA BUTTER, 프랑스국, 소핌사(SOPHIM)
8) 판테놀 : D-PANTHENOL, 독일국, 로쉬사(ROCHE)
9) 식물추출물복합물 : 진경한방 Complex(갈근, 백지, 감초, 천궁, 현호색, 지실, 적작약의 혼합물), 대한민국, 코씨드바이오팜
10) 피톤치드 : 편백오일, 지엔지, 대한민국
11)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COSMEDIA SP, 독일국, 코그니스사(COGNIS)
12) 복합 방부제 : SEICEPT(PHENOXYETHANOL, METHYL PARABEN, ETHYLPARABEN, PROPYL PARABEN, BUTYLPARABEN), 일본국, 세이와사(SEIWA)
상기 표 1의 실험결과로부터 다음의 사실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2 내지 3의 경우, 도 6에서 나타난 편광현미경 촬영사진(BX-51 polarized microscope, 일본국, Olympus)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계면에 균일한 액정형성을 나타내는 Maltese-cross(4개의 꽃잎모양) 액정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비교예 1과 같이 상기 언급한 세라마이드 함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제조 공정 중 용해가 완전히 되지 않았고, 냉각도중에 탈리되어 도 6의 편광현미경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매우 불균일한 액정의 형성과 도 7의 X-RAY 회절분석(XDS 2000 model, 미합중국, SCINTAG INC.)에서처럼 세라마이드의 탈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비교예 2와 같이 상기 언급한 피토스핑고신 함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에는 도 7의 X-RAY 회절분석에서처럼 피토스핑고신의 탈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비교예 4의 세라마이드 유도체는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비교예 1, 2보다는 구조상의 대칭성으로 인해 탈리정도는 심하지 않으나, 여전히 탈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비교예 5와 같이 인지질이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을 양을 사용할 경우, 아무리 다른 지질들을 상기 언급한 함량으로 바람직하게 사용했다 하더라도, 잘 용해되지 않고, 냉각도중 육안으로 관찰 가능할 정도로 석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반면 비교예 6과 같이 인지질이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자체의 용해성에도 문제가 있고 지나친 유화력으로 액정구조를 변형시켜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7과 같이 식물추출물 복합체를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할 경우, 30℃이상의 보관조건에서 심한 갈변과 이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8과 같이 피톤치드를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많은 양을 사용한 경우, 역한 냄새가 발생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심해지는 문제가 있었고, 시험자의 일부가 경미하지만 자극을 호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토피 크림의 경피수분증발량 시험
도 8에서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부실한 피부장벽으로 인해 아토피 증상이 악화되는 근본적인 원인을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보고, 상기 언급한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유도체를 바람직한 함량조합으로 사용한 실시예 2와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적은 양을 사용한 비교예 3과 이의 지표인 경피수분증발량(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을 두 가지 크림을 28일간 도포하면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은 피부내부로부터 수분이 증발하는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TEWAMETER(CM 825, 독일국, CK Electronics)로 측정되었으며, 10명의 아토피 증상이 있는 4세에서 19세까지의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비교예 3으로주터 수득된 크림과 같이 지질들이 상기 언급한 함량보다 미미한 양이 사용된 경우에는 약간의 경피 수분 증발량 증가를 보이지만, 아토피 증상을 완화시킬 정도에는 턱없이 못미쳤고, 상기 실시예 2로부터 수득된 크림은 충분한 지질함량과 종류를 포함하고 있어 ‘지질치환’에 의해 경피 수분 증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8일 경과 후에는 사용전보다 1/2로 감소하여 피부장벽이 상당부분 정상피부에 도달하는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2로부터 수득된 아토피 크림의 실제 아토피 증상완화 효과
도 9에서는 상기 언급한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유도체를 바람직한 함량조합으로 사용한 실시예 2로부터 수득된 크림을 8주간 도포한 후에 실제 아토피 증상완화 효과를 사용전과 비교하여 찍은 임상결과이다. 본 임상결과는 임상전문기관인 앨리드(Ellead, 대한민국)에 의뢰하여 진행되었으며, 20명의 아토피 증상이 있는 4세에서 19세까지의 사람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도 9에 임상에 참여한 피험자 중 일부의 실시예 2로부터 수득된 아토피크림을 사용전과 사용 후로 나누어 보여주고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피험자에게서 육안으로 구별 가능할 정도로 뚜렷이 아토피 증상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원인으로부터 비롯된 아토피 증상은 음식물 또는 유전적인 요인으로부터 수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외부유해 환경 및 이로 인한 피부장벽의 손상, 이를 통한 세균 등의 침투와 염증발생의 복합적인 작용이며, 1)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장벽의 복원, 2) 진경과 진정을 통한 가려움 방지, 3) 피부 위 또는 공기 중에 잔재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의 3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그 효과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아토피 증상을 완화하는 고기능의 화장료 조성물로서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진경 및 진정, 항염 효과를 통해 임상결과에서 보였던 높은 아토피 증상 개선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아토피 증상에 대한 우수한 개선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구조가 다중층 액정구조로서 피부와 유사하면서 그 구성성분 또한 피부장벽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성분인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이 액정의 규칙성을 증가시켜주는 세라마이드 유도체와 지질치환을 해주는 인지질로 구성되어 있고, 고농도의 진경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한 7가지 식물추출 복합물 및 식물 정유인 피톤치드를 안정하게 캡슐화하여 피부로 전달하여 가려움과 염증을 완화시키고, 피부 위에 남는 고농도의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이 인지질로 인해‘지질치환’되어 손상된 피부장벽을 복원하여 아토피의 3대 증상인 가려움, 염증, 피부건조의 개선을 용이하게 해주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유아에서 성인까지 겪고 있는 다양한 아토피 증상을 피부바깥에 도포하는 의약품이 아닌 화장료로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단기 및 장기 증상개선효과까지 있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진경 및 진정 작용에 대한 기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서 손상된 피부장벽의 복원 효과에 중요한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의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지질치환’을 위해 사용된 지질류인 세라마이드, 피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유도체, 인지질의 화학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에서 항염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 피톤치드(편백정유)의 배합량을 결정하기위한 항균력 시험 과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도4의 방법으로 측정된 피톤치드(편백정유) 항균력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조성비대로 만들어진 아토피 크림의 액정 형성도를 나타내는 편광현미경 촬영 결과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의 조성비대로 만들어진 아토피 크림의 액정형성도를 나타내는 X-RAY회절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 본 발명에서 실시예 2와 비교예 3의 조성비대로 만든 화장료를 28일간 도포한 후, 경피 수분증발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 2의 조성비대로 만들어진 아토피 치료용 화장료를 도포전과 8주간 도포후 아토피 증상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임상사진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0.1 내지 3.0 중량%의 세라마이드;
    0.05 내지 2.0 중량%의 피토스핑고신;
    0.1 내지 3.0 중량%의 세라마이드유도체;
    0.1 내지 5.0 중량%의 지방산;
    1.0 내지 8.0 중량%로서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인지질;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지방산은 미리스틱산, 팔미틱산, 스테아릭산, 베헤닉산, 아라키도닉산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갈근, 백지, 감초, 천궁, 현호색, 지실, 적작약의 식물추출 복합물을 0.5내지 10.0 중량%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4항에 있어서,
    천연오일 및 왁스 3.0 내지 20.0 중량% 더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천연오일 및 왁스는 동백유, 호호바유, 메도우폼씨드유, 마카다미아유, 살구씨유, 포도씨유와 같은 오일성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고, 쉐어버터(Shea butter), 망고버터, 경화동백유와 같은 왁스성분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4항에 있어서,
    피톤치드 0.03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10.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1) 생체지질로서 세라마이드 0.1 내지 3.0 중량%, 피토스핑고신 0.05 내지 2.0 중량%, 세라마이드 유도체 0.1 내지 3.0 중량%, 인지질 1.0 내지 8.0 중량%, 지방산 0.1 내지 5.0 중량%, 천연 오일 및 왁스 3.0 내지 20.0 중량%를 80℃ 내지 85℃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생체지질 용해부 준비단계;
    (2) 정제수 25.0 내지 70.0 중량%와 수용성 보습제 2.0 내지 15.0 중량%를 75℃ 내지 80℃로 가온하여 용해시키는 수상부 준비단계;
    (3) 상기 (2)에 상기 (1)의 생체지질 용해부를 75℃ 내지 80℃에서 투입하여 호모믹서(HOMO MIXER)를 이용하여 유화시켜 상기 생체지질들을 수계에서 고르게 배합하는 유화단계;
    (4) 상기 (3)의 유화물을 55 내지 45℃까지 교반과 동시에 냉각하여 피부장벽 구조와 유사하고 안정한 다중층 액정 구조를 형성시키는 액정형성단계;
    (5) 상기 (4)에 진경 및 항염효과가 우수한 천연 식물추출물 0.5 내지 10.0 중량% 및 피톤치드 0.03 내지 1.0 중량%를 투입하여 캡슐화하는 활성성분 첨가부단계; 및
    (6) 마지막으로 바람직한 사용감 및 도포성을 얻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로 구성된 점증제부 및 방부제부를 균일하게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증상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090026103A 2009-03-26 2009-03-26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06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03A KR101006693B1 (ko) 2009-03-26 2009-03-26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103A KR101006693B1 (ko) 2009-03-26 2009-03-26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826A KR20100107826A (ko) 2010-10-06
KR101006693B1 true KR101006693B1 (ko) 2011-01-11

Family

ID=43129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103A KR101006693B1 (ko) 2009-03-26 2009-03-26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6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91B1 (ko) * 2014-05-29 2015-03-06 한솔생명과학(주)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3299B1 (ko) * 2016-09-28 2018-04-30 (주)에이씨티 세포모방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269929A (zh) * 2019-08-13 2019-09-24 滨海昌正企业管理有限公司 具有皮肤修护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WO2020014427A1 (en) * 2018-07-12 2020-01-16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US20210212939A1 (en) * 2018-07-12 2021-07-15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055B1 (ko) * 2013-03-22 2015-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573B1 (ko) 2013-08-28 2016-12-19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피부지질 복합체
CN105380829B (zh) * 2015-12-03 2018-04-17 珀莱雅化妆品股份有限公司 一种对特应性皮炎具有改善功效的亚微米乳液的制备方法
KR102034523B1 (ko) * 2016-07-29 2019-10-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4992B1 (ko) * 2018-06-02 2019-04-02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피부 보습 및 소양감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03871B1 (ko) * 2019-11-25 2021-09-23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장벽 강화용 또는 피부 생리 활성 물질 흡수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8076B1 (ko) * 2021-04-27 2023-05-30 (주)정도화학 N-프로필포스페이트 피토스핀고신 화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69039B1 (ko) * 2021-10-18 2022-03-03 한국콜마주식회사 세라마이드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510213B1 (ko) * 2022-09-30 2023-03-15 아람휴비스 주식회사 둥글빗살현호색추출물, 석류과피추출물 및 컴프리잎추출물을 함유하는 점착성 투명 창상 피복재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727A (ko) * 1999-07-22 2001-02-15 서경배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25309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관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20070117800A (ko) * 2006-06-09 2007-12-13 (주)네오팜 헥사고날 젤 구조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0727A (ko) * 1999-07-22 2001-02-15 서경배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20025309A (ko) * 2000-09-28 2002-04-04 김해관 고보습성 액정을 포함하는 유화화장료 조성물
KR20040026268A (ko) * 2002-09-23 2004-03-3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관련 가려움증 완화 효과와 손상된 피부 복구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20070117800A (ko) * 2006-06-09 2007-12-13 (주)네오팜 헥사고날 젤 구조를 가지는 피부 외용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691B1 (ko) * 2014-05-29 2015-03-06 한솔생명과학(주) 생약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3299B1 (ko) * 2016-09-28 2018-04-30 (주)에이씨티 세포모방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014427A1 (en) * 2018-07-12 2020-01-16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US20200016071A1 (en) * 2018-07-12 2020-01-16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US10959940B2 (en) 2018-07-12 2021-03-30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GB2590827A (en) * 2018-07-12 2021-07-07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US20210212939A1 (en) * 2018-07-12 2021-07-15 Ocusoft, Inc. Anti-allergenic ocular compositions and eyelid cleansing wipes
CN110269929A (zh) * 2019-08-13 2019-09-24 滨海昌正企业管理有限公司 具有皮肤修护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7826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693B1 (ko)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928726B1 (ko)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용 천연 특수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177009B1 (ko) 알긴산 추출 방법 및 상기 알긴산 올리고머를 이용한 아토피 치료 조성물
KR101485714B1 (ko) 홍삼 및 천연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 제조방법
Kozak et al. Health properties of selected herbal plants
KR20170031496A (ko) 천연 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308044A (zh)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102118555B1 (ko) 진정 및 수면 촉진 효과를 갖는 나노 리포좀 허브 복합 추출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2752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및 심리적 안정 증진용 향료 조성물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Valnet Essential Oils and Aromatherapy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7342A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870885B (zh) 一种具有清洁、杀菌、保湿作用的药液及其应用
KR101715076B1 (ko) 석창포를 주재료로 하는 기능성 샴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0387A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바디워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484777A (zh) 一种艾叶驱蚊虫汁
KR101713115B1 (ko) 발효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743506A (zh) 一种山茶油痤疮露及其制备方法
KR100622560B1 (ko) 천연아로마오일을 내포하는 반고체형캡슐을 함유하는화장료조성물
Luetjohann Healing Power of Black Cumin
CN105055242B (zh) 栀子甙止痒护肤露及其制备方法
KR101566694B1 (ko) 인삼종자 추출물의 수율을 증가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