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523B1 -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523B1
KR102034523B1 KR1020160097093A KR20160097093A KR102034523B1 KR 102034523 B1 KR102034523 B1 KR 102034523B1 KR 1020160097093 A KR1020160097093 A KR 1020160097093A KR 20160097093 A KR20160097093 A KR 20160097093A KR 102034523 B1 KR102034523 B1 KR 10203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fine dust
cosmetic composition
skin barrier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354A (ko
Inventor
장은선
이준배
김수지
김연준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5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전하를 제공해주는 성분과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대기 내의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의 피부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고,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미세먼지의 의한 피부 손상을 줄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하여 미세먼지의 침투를 최소화하고 피부 트러블 발생을 예방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보호해 준다.

Description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nti-dust and Skin barrier recovery}
본 발명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전하를 제공해주는 성분과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대기 내의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의 피부 접촉을 최대한 방지하고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을 줄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2013년에 미세먼지를 1군 발암물질로 지정한 이래 해가 지날수록 미세먼지에 대한 혼란과 공포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장의 매연 등에 함유된 대기오염 물질과 중금속 등이 혼재되어 있어 피부질환은 물론, 각종 호흡기 질환과 안구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의 질병을 야기한다.
미세먼지(PM10)는 대기 중에 떠다니는 직경 10㎛ 이하의 작은 대기오염 물질이다. 초미세먼지(PM2.5)는 지름이 2.5㎛ 이하로 미세먼지의 4분의 1 크기다. 2013년 국립환경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수도권 미세먼지 성분은 대기 중에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생성된 2차 오염 물질인 질산염, 황산염 및 유기탄소 등이 전체의 약 7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서울시 전농동의 미세먼지(PM10) 구성성분 분포는 유기 탄소(19.4%), 황산염 (17.2%), 금속산화물(14.9%), 질산염(14.6%) 및 원소탄소(6.4%) 순으로 나타났다. 출처: 한국환경공단). 이러한 유해 물질들로 구성된 미세먼지는 신체에 닿는 것만으로도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게다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든 사이즈의 미세먼지는 피부 모공의 약 20분의 1 크기에 불과하기 때문에 피부 깊숙이 침투하기 쉬우며 제거 또한 쉽지 않다. 피부에 한 번 접촉된 미세먼지는 피부에서 화학 자극과 알레르기 반응을 야기하여 피부 각질층을 손상시켜 피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자세하게는 여드름 유발, 피부 건조 및 색소 침착 등의 피부 노화 현상을 가속화하므로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노출을 미리 차단하지 못하거나, 침투한 미세먼지를 깨끗이 제거하지 못한다면 각종 피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출 후에 세안을 자주 하거나 미세먼지의 접촉을 막기 위해 피부 보호 화장품을 바르는 방법이 있다. 종래에 개발된 미세먼지 관련 화장품으로는 미세한 거품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잔여물을 포함하여 미세먼지나 각종 오염 물질까지 말끔하게 씻어내는 방식의 클렌징 제품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피부와 접촉된 미세먼지는 세안을 통해 일부 제거가 가능하지만, 모공동의 경로를 통해 피부속으로 침투된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미세먼지가 피부에 접촉 또는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종래 선행 기술로서 일본 특허등록 제4562585호가 있지만, 그 원리가 양이온 모노머 유닛 및 음이온 모노머 유닛을 포함한 폴리머를 제품에 적용하여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유도하여 꽃가루 또는 미세먼지의 피부 접촉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양이온 모노머 유닛과 음이온 모노머 유닛이 함께 포함될 경우, 전기적인 성질은 전체적으로 중성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정전기적 이온반발력 효과가 구현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이온반발력에 의한 피부에서의 완벽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미세먼지는 음전하를 띠기 때문에, 음전하 특성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통해 미세먼지의 흡착을 최대한 방지하고, 또한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각종 유효물질을 제형에 적용하여 피부에 흡착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JP 4562585 B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미세먼지가 피부에 직접 접촉 및 흡착되지 않도록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유도하기 위해, 미세먼지가 띠는 음전하와 동일한 음전하를 가지는 성분을 함유하고, 손상된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피부 건강을 지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와 같은 공기 내 오염 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염증과 트러블 생성을 감소시켜주고 피부장벽 강화를 통해 피부 질환 발생률을 줄여 피부 손상을 방지해 준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 화장용 기제, 음전하 제공 성분 및 피부장벽 강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의 표면 전위를 측정한 결과 음전하를 띤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음전하 제공 성분은 미세먼지를 충분히 반발할 수 있기 위해서는 -10 내지 -150 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수치범위의 제타 전위를 갖는 음전하 성분을 함유한 최종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를 반발하기에 충분한 음전하를 띠게 만들어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제공 성분은 음전하를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종류의 물질도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을 띠고 있는 물질인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면 피부에 다소 자극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음이온 제공 성분으로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는 것은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전하를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효과를 제공한다. 해당 성분의 영향으로 최종 화장료 조성물이 10 내지 150 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수첨 레시틴은 그 자체가 피부 각질층의 세포간지질을 구성하는 성분 중 하나로서 각종 각질층 유래 인지질 성분들과 더불어 피부 장벽기능을 더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은 피부의 손상된 부분에서 회복작용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성분들은 각질세포 사이의 지질에서 유래한 성분들로, 피부에 적용할 경우, 손상된 각질층에 흡수되어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은 피부 각질층에 존재하는 어떤 종류의 피부장벽 강화 성분들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피부장벽 회복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는 파이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콜레스테롤을 등을 대표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물질들은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상의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인지질 성분이 피부에 적용될 경우, 피부 장벽을 강화하여 미세먼지와 같은 공기 내 오염 물질의 피부침투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염증과 트러블 생성을 감소시켜준다. (참고문헌: J. A. Bouwstra, et al, J. Invets . Dermatol. 188, 606-617 (2002))
본 발명에 있어서, 음전하의 미세먼지와 음전하 화장료 조성물 간의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으로 인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피부표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가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하여 미세먼지의 침투를 최소화하고 피부 트러블 발생을 예방하여 피부를 깨끗하게 보호해 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피부장벽 강화를 위한 인지질 성분들을 함유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손상을 회복하고, 후에 미세먼지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피부 최외각에 존재하는 각질층을 회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당 성분들을 적용한 최종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할 경우, 손상된 각질층에 흡수되어 피부장벽을 강화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이나 화장용 기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일반적인 성분이고, 음전하 제공 성분 및 피부장벽 강화 성분이 본 발명의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성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전하 제공 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부장벽 강화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은 음전하 제공 성분의 음전하가 이온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기 화장용 기제(Cosmetic bases)는 화장품의 제형 및 기능을 위해 기초적으로 포함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물질들을 의미하며, 종래 화장료의 기제로 사용되던 어떤 기제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올, 오일, 계면활성제, 보습제 또는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음전하를 제공해주는 레시틴 성분과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개발에 앞서 입도 및 표면 전위를 측정할 수 있는 동적광산란장치(HORIBA, SZ-100, Dynamic Light Scattering, DLS)를 이용하여 실외 및 실내 미세먼지의 표면 전위를 측정하였다. 실내 미세먼지는 평균 -32.7 mV, 실외 미세먼지는 평균 -32.9 mV의 표면 전위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 방지를 위해서는 음전하 제공 성분을 사용하여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이용, 피부에 미세먼지가 달라붙는 것을 감소시켜주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피부에 음전하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음이온 제공 성분인 레시틴을 사용하여 피부에 미세먼지가 흡착되지 않도록 하여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미세먼지에 의해 일어난 손상과 미세먼지의 피부 속으로의 침투를 최소화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화장용 기제를 유상부(A)와 수상부(B)를 나누고 유상부(A)에는 레시틴 및 피부장벽에 도움이 되는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이 포함시킨다. 이후, 수상부(B)에는 물, 폴리올 및 다양한 수용성 효능물질을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레시틴, 폴리올,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혼합하고 70 ∼ 80 ℃ 온도에서 가온 용해시켜 유상부(A)를 제조하는 단계;
b) 폴리올 및 기타 수용성 성분을 물에 분산 및 용해시켜 수상부(B)를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유상부(A)를 70 ∼ 80℃ 온도에서 상기 수상부(B)에 첨가한 후 방부제(C)를 첨가한 다음 교반하는 단계; 및
d) 상기 교반 후 반응물을 여과지 또는 여과포로 여과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르면, 음전하 제공 성분과 각종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첫째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내의 음전하 제공 성분으로 인해 대기 내의 다양한 오염물질이 함유된 미세먼지가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이 미세먼지에 의해 손상된 피부장벽을 회복시켜주고, 이에 따라 미세먼지가 흡착되었을 때 내부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아낼 수 있는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으로 인한 피부 자극 발생을 차단해주며 피부장벽을 회복·강화시켜 피부 트러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먼지 피부 흡착 및 피부 침투 방지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두 가지를 비교예 두 가지와 함께 미세먼지 흡착 방지 능력을 비교·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두 가지와 비교예를 손상된 피부에 도포하여, 무도포 상태와 비교예 적용 상태, 실시예 두 가지 적용 상태에서 피부 장벽의 회복 정도를 시간에 따라 표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두 가지와 비교예의 피부자극지수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비교예 실시예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단위: 중량 %)을 갖는 비교예 1, 2 및 실시예 1, 2의 화장료 조성물(가용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는 음전하를 제공하는 성분과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통상적인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제조된 가용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고, 실시예 1, 2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수첨 레시틴 (Hydrogenated lecithin)의 양을 달리하여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A상(유상부)을 70 ∼ 80℃로 가온 용해시킨 후, 실온의 B상(수상부)에 서서히 투입한다. 이 때, A상과 B상의 혼합물은 일정하게 교반을 한다. 그 후, 40℃까지 냉각한 다음, C 파트(방부제)를 투입하고, 냉각 및 여과 과정을 거쳐 각각의 제형을 제조하였다. 표 1에서, HCO-4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PEG-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과 HCO-60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PEG-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고, DPG (Dipropylen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은 세포간 지질 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해 용매로 이용한 폴리올이고, 1.3-BG(1.3-But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은 보습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폴리올이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A HCO-40 0.2 - - -
HCO-60 - 0.2 - -
수첨 레시틴 - - 0.2 0.4
DPG 5 5 5 5
B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3-BG 5 5 5 5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C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 표면 전위 측정
수첨 레시틴과 각종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함유한 제형인 실시예들과 그 비교예들에 대한 표면전위 측정을 아래와 같이 실시하였다. 표면 전위는 앞서 언급한 동적광산란장치를 사용하여 관측을 수행하였다. 이 때, 측정치는 3회 측정하여 계산한 평균값으로 한다. 제조한 제형과 미세먼지와의 표면 전위 비교를 위하여 실내와 실외 미세먼지의 표면전위도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추후 설명할 화장료 조성물의 미세먼지 탈락 효과에 사용된 미세먼지 대체 물질인 카본 블랙의 표면전위 측정도 함께 실시하였다.
실험 항목 실내 미세먼지 -실외 미세먼지 카본 블랙
Zeta potential
(mV)
-30.2 -37.1 -30.9
-35.6 -31.1 -27.3
-32.4 -30.6 -31.0
평균 -32.7 -32.9 -29.7
실험 항목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Zeta potential
(mV)
-1.7 -4.9 -40.1 -57.1
-3.4 -4.6 -42.0 -54.8
-2.9 -4.1 -44.8 -56.7
평균 -2.7 -4.5 -42.3 -56.2
그 결과, 표 3과 같이, 음전하 제공 성분이 포함되지 않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한 비교예들은 각 2.7, -4.5 mV로 실내·실외 미세먼지와 카본 블랙보다 훨씬 낮은 음전하를 나타냈다. 반면, 음전하 제공 성분이 포함된 실시예 1은 -42.3 mV, 해당 성분을 실시예 1보다 2배 증량 첨가한 실시예 2는 56.2 mV로 미세먼지나 카본 블랙보다 높은 표면전위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2 : 미세먼지 탈락 효과
음이온 제공 성분을 함유한 제형에 미세먼지를 적용한 후 탈락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미세먼지 대체 물질로 미세먼지와 유사한 표면전위 및 크기를 가지는 카본 블랙(표면전위: -29.7 mV, 평균입도: 8.7 μm)을 사용하였다. 탈락 효과 실험법은 비교예과 실시예를 각각 베이지 색 인조가죽에 균일하게 도포 후, 자연건조 시킨 뒤, 미세먼지 대체 모델인 카본 블랙을 그 위에 균일하게 분사·도포한 후에 탈락 정도를 전문 패널 10명에 의한 육안평가로 실시한다. 평가 방법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분사한 카본 블랙의 탈락 정도가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가지며 이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탈락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패널 평가 평균 (n=10) 5.1 5.6 8.1 9.2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제형의 표면 전위가 더 높은 음전하를 가질수록 카본 블랙의 탈락 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강한 음전하를 띠는 제형일수록 같은 음전하를 띠는 카본 블랙과 더 강한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지니므로, 제형을 도포한 표면에서 카본 블랙이 안정적으로 흡착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는 강한 음전하를 띠는 제형을 피부에 도포한다면, 음전하의 미세먼지가 피부에 흡착되어 피부 속으로 침투되는 것을 더욱 더 잘 방어해낼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2 참조).
실험예 3 : 경피수분손실량 ( TEWL ) 측정
비교예 3 실시예 3 실시예 4
A 수첨 레시틴 0.4 0.4 0.4
파이토스핑고신 - 0.05 0.1
세라마이드-NP - 0.05 0.1
콜레스테롤 - 0.05 0.1
DPG 5 5 5
B 잔량 잔량 잔량
1,3-BG 5 5 5
디소듐 이디티에이 0.02 0.02 0.02
C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비교예 3과 실시예 3, 4를 이용하여 Tewameter TM300 (Courage and Khazaka, Germany)로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3은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전혀 함유하고 있지 않으며, 실시예 3과 4는 피부장벽 회복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피부장벽강화 성분을 양을 달리하여 적용하였다. 세 가지 제형 모두 계면활성제로는 수첨 레시틴을 이용하였다. 경피수분손실량의 측정은 피부장벽 기능을 측정하는 유용한 방법으로, 각질층의 수분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먼저 피험자 팔의 전완부위를 시험 부위로 지정하고, 실험 부위에 대하여 SLS(Sodium Lauryl Surfate) 1% 용액을 각 시험 부위에 24시간 동안 폐쇄첩포하여 의도적으로 피부장벽을 손상한다. 그 직후에 Tewameter를 이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을 측정하였으며, 비교예 3과 실시예 3, 4를 실험 부위에 도포하고 1일 후, 2일 후, 6일 후, 14일 후에 시험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값을 바탕으로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계산하여 피부장벽이 회복되는 정도를 나타내었다.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은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도 3 참조).
[식 1]
Figure 112016074099796-pat00001
경피수분손실량 (g/hm 2 ) 첩포 첩포
제거 후
도포
1일 후
도포
2일 후
도포
6일 후
도포
14일 후
무도포 14.85 34.98 34.49 31.69 21.98 15.99
비교예 3 14.88 34.44 34.00 29.76 19.98 15.88
실시예 3 14.68 34.36 30.78 23.96 18.42 15.41
실시예 4 14.69 34.55 30.31 23.45 17.01 15.19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 ( % ) 도포
1일 후
도포
2일 후
도포
6일 후
도포
14일 후
무도포 2.43 16.34 64.58 94.34
비교예 3 2.25 23.93 73.93 94.89
실시예 3 18.19 52.85 81.00 96.29
실시예 4 21.35 55.89 88.32 97.48
상기 표 6는 피험자 20명을 바탕으로 측정한 경피수분손실량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계산하여 표 7으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외 2종의 도포 부위와 무도포 부위의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비교예 3의 경우, 무도포에 비해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이 도포 2일 후부터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의 경우는 그보다 더 크게 경피수분손실량 회복률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즉,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는 무도포 및 비교예 3보다 더 큰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보인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보다 피부장벽 회복에 도움을 주는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이 2배 더 많이 들어간 실시예 4의 경우, 가장 큰 피부장벽 회복 효과를 보였다. 즉, 피부 각질층 유래의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을 제형에 많이 적용할수록, 손상된 피부장벽을 빠르게 회복시켜 미세먼지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실험예 4 : 피부 안전성 테스트
피부 질환이 없는 성인 남녀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비교예 3과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각 제형의 자극 정도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험자들의 팔 전완부위를 SLS 1% 용액을 적용하여 의도적으로 피부장벽 손상을 일으켜 피부를 예민하게 만든 후, 20 μL의 시료를 도포한 하고 시험 부위를 밀폐한 후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과 24시간 후에 피부에서의 반응을 CTFA 가이드라인에 제시된 terminology에 의거하여 검사한다. 판정기준은 다음과 같다. 판정기준에 의해 얻어진 시험자들의 점수를 평균하여 1미만이면 저자극, 3미만이면 경자극, 5미만이면 중자극, 5이상이면 강자극으로 평가한다.
실험항목 비교예 3 실시예 3 실시예 4
피부자극지수(PII) 0.35 0.11 0.04
상기와 같이 비교예 3과 실시예 3, 4 모두 피부 자극은 1미만으로 제품에 사용가능한 저자극 수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측정지수를 비교·분석하면, 피부장벽을 회복시키는 피부장벽강화 성분이 많이 함유될수록 손상된 피부조직이 회복되어 피부자극지수가 더 작게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도 4 참조).
본 발명의 음전하 제공 성분인 양극성 계면활성제 수첨 레시틴과 피부 각질층 유래의 피부장벽강화 성분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미세먼지와 동일한 음전하를 나타냄으로써 입자 표면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감소시켜주며, 피부장벽을 강화시켜 손상된 피부 부위를 회복하며 미세먼지의 침투량을 줄여 피부를 보호한다.

Claims (7)

  1. 물, 화장용 기제, 음전하 제공 성분 및 피부장벽 강화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음전하 제공 성분은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수첨 레시틴이고, 상기 피부장벽 강화 성분은 파이토스핑고신, 세라마이드, 또는 콜레스테롤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10 내지 -150 mV의 제타 전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음전하의 미세먼지와 음전하 화장료 조성물 간의 정전기적 이온반발력으로 인해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피부표면에 잔류하는 미세먼지가 피부속으로 침투하여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기제는 폴리올, 오일, 계면활성제, 보습제, 또는 방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스킨, 로션, 또는 에센스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흡착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 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97093A 2016-07-29 2016-07-29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093A KR102034523B1 (ko) 2016-07-29 2016-07-29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093A KR102034523B1 (ko) 2016-07-29 2016-07-29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54A KR20180014354A (ko) 2018-02-08
KR102034523B1 true KR102034523B1 (ko) 2019-10-22

Family

ID=6123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093A KR102034523B1 (ko) 2016-07-29 2016-07-29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542A (ko) *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4607B1 (ko) * 2019-07-03 2021-07-07 (주)제이엠월드 세라마이드 투명 수분산액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의약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62585B2 (ja) 2004-05-18 2010-10-13 株式会社資生堂 花粉吸着防止剤
KR101006693B1 (ko) * 2009-03-26 2011-01-11 (주)지앤지 지질치환에 의한 손상된 피부 장벽 복원 및 진경, 항염의 복합작용을 통한 아토피 증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354A (ko)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14B2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US20100330006A1 (en) Antimicrobial lotion compositions
KR102039953B1 (ko) 미세돌기 구조 형성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N108430446A (zh) 包含负电荷物质的微尘防尘用组合物
CN113518611B (zh) 用于增强皮肤吸收的多层阳离子脂质体及其制备方法
KR102224125B1 (ko) 미세먼지 부착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4523B1 (ko) 미세먼지 흡착 방지 및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0059B1 (ko)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6004B1 (ko) 음전하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방진용 조성물
CN113797118A (zh) 一种包载芋螺毒素的壳聚糖纳米粒乳液及其制备方法
KR20180012909A (ko)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15415B1 (ko) 실리카 함유 복합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수분 패치
EP1779899A1 (de) Zusammensetzung zur Depilierung
CN114364360B (zh) 用于强化皮肤屏障、保湿皮肤和/或阻挡微尘的氧化铈分散液以及包含其的化妆料组合物
KR102308743B1 (ko) 피부 자극완화 복합물을 포함하는 라멜라 액정형 화장료 조성물
US20210275553A1 (en) Use of a cream that protects against the effects of aggressive chemical agents in contact with the skin
KR101543019B1 (ko) 금속수산화물을 함유하는 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N117295486A (zh) 透明质酸盐的皮肤渗透用化妆料
KR102246863B1 (ko) 변성 스타치를 포함하는 저자극, 피부각질 제거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2034524B1 (ko) 온도감응성 고분자에 의한 미세먼지 흡착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39111B1 (ko) 상자성 금 나노입자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CN112703040B (zh) Réotier水用于限制污染物的皮肤渗透的用途
KR20060015920A (ko) 설탕을 함유한 피부 스크럽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0089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