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089B1 -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089B1
KR101280089B1 KR1020090124637A KR20090124637A KR101280089B1 KR 101280089 B1 KR101280089 B1 KR 101280089B1 KR 1020090124637 A KR1020090124637 A KR 1020090124637A KR 20090124637 A KR20090124637 A KR 20090124637A KR 101280089 B1 KR101280089 B1 KR 101280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powder
glyco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863A (ko
Inventor
조인식
류근석
조우택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9012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0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 물에 용해되지 않는 유기 또는 무기 분체; 상기 분체와 스크럽 입자를 형성하는 고분자; 및 중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좋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한다.
각질 제거, 폴리올, 분체, 스크럽

Description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on for exfoliat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감이 좋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방어 및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 손실 억제이고, 이러한 기능은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유지된다.
표피 가장 바깥에 위치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 형성 세포로부터 형성되며,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10 ~ 20 겹의 분화가 완결된 각질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 및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sing factor)로 구성되어 있다. 각질 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 지 상승한 특징적인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 세포는 피부에서 탈락 되고 새로운 각질 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그런데, 스트레스, 외부 환경 등의 외부적인 요인이나 노화 등의 내부 요인에 의해 각질층의 각질 세포가 정상적으로 탈락 되지 못하고 그 탈락 주기가 바뀌거나 전체적으로 균일하지 않게 탈락이 일어날 수 있다. 각질세포가 정상적으로 탈락 되지 않게 되면 피부가 거칠고 칙칙하게 보이게 되며 피부톤이 불균일해진다. 또한, 모공을 막아서 모공에 여드름 등의 피부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질 제거용 화장료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각질 제거용 화장료는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된다. 첫째, 화학적인 각질제거용 화장료로서, AHA(Alpha Hydroxy Acid)나 BHA(Beta-hydroxy Acid) 및 이를 포함하는 식물추출물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각질을 용해하거나, 피부의 턴오버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피부각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화학적인 각질제거용 화장료에 사용되는 AHA와 BHA는 pH가 매우 낮은 상태에서 활성을 나타내므로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거나, 화학적인 피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둘째, 물리적인 각질제거용 화장료로, 주로 젤 타입의 제형에 왁스나 스크럽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각질을 벗겨내는 타입의 제형이다. 이러한 화장료는 화학적인 각질제거 제형보다 화학적인 피부 부작용은 없지만, 주로 입자 크기가 큰 왁스나 스크럽 등으로 각질을 물리적으로 벗겨 내게 되어, 물리적인 자극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제형에서 각질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알코올을 사용하는데, 이에 따라 사용 후 건조함을 느낄 수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감이 좋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폴리올; 물에 용해되지 않는 유기 또는 무기 분체; 상기 분체와 스크럽 입자를 형성하는 고분자; 및 중화제를 포함하는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은 100 g/mol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직경이 1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분체는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분체는 규산, 규산 마그네슘, 탈크, 카올린, 운모, 세리사이트, 베토나이트, 산화 지르코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또는 산화 티탄의 무기 분체; 및 실크 분말, 전분의 유기 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1% 수용액의 pH가 산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와 탄소수 10 내지 30 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와의 가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자극이 적으면서 적당한 스크럽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발림성 및 피부 밀착성등 사용감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용 후 피부를 건조하게 하지 않고 보습 효과를 부여한 다.
이하,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에 각질 제거용 화장료에 주로 쓰이는 알코올 대신 폴리올을 사용하여 알코올에 의한 화학적 자극을 크게 개선하였으며, 상기 폴리올은 자극이 적을 뿐 아니라 사용 후 피부의 건조함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고분자와 상용성이 좋지 않아 폴리올이 일정 함량이상 포함되게 되면 고분자가 응집되어 스크럽 입자로 석출된다.
상기 폴리올은 분자량이 100 g/mol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이 100 g/mol 을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상승하여 피부 도포 시 발림성이 매우 좋지 않아서 제품화하기가 어렵다.
상기 폴리올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이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고분자가 석출되지 않아 유기 또는 무기 분체와 결합하여 스크럽 입자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8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점증제에 의한 점도 형성이 이루어 지지 않아 제형화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칠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프로판디올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기 또는 무기 분체를 포함한다.
상기 분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와 함께 스크럽 입자를 형성하여 피부의 각질이 잘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입자의 크기가 작고 표면이 매끄러운 분체를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이 적다. 또한, 상기 분체는 조성물의 점도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제형화가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체는 평균 직경이 100 ㎛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직경이 100 ㎛ 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체는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체가 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스크럽 입자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에서의 분산이 어려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체는 상온에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물에 용해되는 분체의 경우 조성물 내에서 고분자와 함께 스크럽 입자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분체로 규산, 규산 마그네슘, 탈크, 카올린, 운모, 세리사이트, 베토나이트, 산화 지르코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또는 산화 티탄의 무기 분체; 및 실크 분말, 전분의 유기 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는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서 상기 유기 또는 무기분체와 함께 응집되어 스크럽 입자를 형성하며, 상기 스크럽 입자는 입자 크기가 작고, 응집이 서서히 일어나 피부에 자극이 적다.
상기 고분자는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가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응집되어 스크럽 입자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제형화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약 1% 수용액의 pH 가 산성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1% 수용액의 pH 가 산성인 고분자의 경우 염기 성분으로 중화시켜 분체와의 스크럽 형성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비닐 폴리머(carboxyvinyl poly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및 아크릴레이트와 탄소수 10 내지 30 의 알킬 아크 릴레이트와의 가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중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중화제는 상기 고분자를 중화시켜 고분자가 분체와 함께 응집되어 스크럽 입자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화제는 상기 고분자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가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고분자가 중화되지 않을 수 있으며, 1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이 첨가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상기 중화제는 염기 성분으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트리에탄올 아민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외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보습제, 방부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향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한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성분들을 제외한 잔량으로 포함되며, 본 발명의 조성물 중 수성 성분들은 물에 용해되어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젤, 크림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 실시예 1 내지 9> 각질 제거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 의 조성으로 다음의 제조 과정에 따라 젤 제형으로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의 수상성분 1 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한 뒤, 수상성분 2 를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여기에 유상성분을 넣고 교반한 후, 분체 성분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한다. 이어서, 중화제를 넣고 교반하여 점증시킨 후에 탈포하여 각질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구분 원 료 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수상
성분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30 - - 15 10 8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 30 - 10 - - - - -
글리세린 - - 30 5 - - - - -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수상
성분
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 1 1 1 1 1 1 0.5 10
1
유상
성분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중화제 수산화칼륨
90%
0.5 0.5 0.5 0.4 0.5 0.5 0.5 5
0.5
분체 탈크 15 15 15 15 15 15 15 15 1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Carbopol 940 polymer(미국, Noveon)
< 비교예 1 및 2>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 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의 제조 방법에 따라 각질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 의 단위는 중량부이다.
구분 원 료 명 비교예
1
비교예
2

수상성분 1
정제수 to 100 to 100
부틸렌글리콜 5 5
프로필렌글리콜 - -
글리세린 - -
알코올 5 5
방부제 적량 적량
수상성분 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1) 1 1
유상성분 적량 적량
중화제 수산화칼륨
90%
0.4 0.4
분체

탈크 - -
셀룰로오스 15 -
조조바 오일 15
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Carbopol 940 polymer(미국, Noveon)
<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알아 보기 위하여 여성 전문 패널 10명의 시험 대상자들에게 품평을 실시하였고, 하기 표 3 의 기준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4 와 같다.
좋다고 평가한 패널이 10 명 중 9 명 이상
좋다고 평가한 패널이 10 명 중 6 ~ 8 명
좋다고 평가한 패널이 10 명 중 3 ~ 5명
좋다고 평가한 패널이 10 명 중 2 명 이하 ×
자극감 사용감 만족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1
비교예 2
상기 표 4 에 의하면, 실시예 1 의 조성물이 상대적으로 자극감이 적고 사용감이 우수한 것으로 나왔다. 실시예 2 의 조성물의 경우 프로필렌 글리콜의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작아 발림성등의 사용감은 가장 좋으나 피부 투과가 많이 이루어져 자극감을 유발한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실시예 3 의 조성물의 경우 글리세린의 끈적이는 물성으로 인해 발림성이 좋지 않아 사용감이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글리세린의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폴리올에 비해 보습감이 우수하므로 사용감과 보습감 등을 고려하여 폴리올 중 1 종이상을 혼합하는 것이 보다 사용감과 보습감이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 실험예 2> 피부 보습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효과를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성인 남녀 20명을 4 개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및 2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세안 후 도포하여 각질 제거를 한 후 물로 씻어 내고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조성물의 사용 전과 후 각각에 대하여 세안 후에는 항온, 항습 조건(25℃±1, 상대습도 40%±5)에서 1시간 동안 피부를 방치한 뒤, 얼굴부위에서 코네오미터[corneometer(CM825,C+K사, 독일)]를 이용하여 피부수분량을 측정하고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코네오미터는 센서를 이용하여 피부의 표피 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이온정도를 측정,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피부의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코네오미터를 사용한 보습력 측정 과정은 하기와 같다.
(1) 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네오미터의 probe를 올려놓는다.
(2) Probe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3) 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한다.
(4) 한번 측정 후, 센서를 닦아 재측정한다.
도 1 에 의하면, 실시예 4 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40 %정도로 보습효과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및 2의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각각 약 20%와 30%의 증가를 보였으나, 실시예보다는 증가효과가 낮았다. 또한, 사용 후 얼마 후의 시간 (1시간, 3시간, 12 시간)이 지난 후에도 실시예의 조성물이 비교예의 조성물보다 뛰어난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실시예에 포함된 다량의 부틸렌글라이콜이 피부에 보습력을 부여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3> 피부 자극감 스크럽 강도 평가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중 및 사용 후의 자극감과 스크럽 강도를 알아 보기 위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및 2 의 조성물을 대상으로 여성 전문 패널 10명이 포함된 시험 대상자들에게 사용감 품평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5 와 같다.
자극감 스크럽 강도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상기 표 5에 의하면, 실시예 4 에 대한 스크럽 강도는 중간 정도이며, 사용 후의 자극감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왔다. 이는 비교예 1 및 2 의 조성물에 비해 입자 크기가 작은 탈크를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럽 입자 크기가 크면 스크럽제의 강도가 강하고, 스크럽제의 강도가 강할수록 자극감이 커지는데, 이는 강도가 강한 스크럽제가 피부표면에서 각질을 제거하면서 상처를 입힐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좋고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도 각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1 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이다.

Claims (9)

  1.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디에칠렌글리콜, 카프릴릴글리콜, 프로판디올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폴리올;
    규산, 규산 마그네슘, 탈크, 카올린, 운모, 세리사이트, 베토나이트, 산화 지르코늄, 산화 마그네슘, 산화 아연 또는 산화 티탄의 무기 분체; 및 실크 분말 또는 전분의 유기 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분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와 탄소수 10 내지 30 의 알킬아크릴레이트와의 가교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고분자; 및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트리에탄올 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중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이 조성물에 대하여 1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분체가 조성물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고분자가 조성물에 대하여 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크림 또는 젤 제형으로 사용하기 위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분자량이 0 g/mol 초과 100 g/mol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의 직경이 0 ㎛초과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124637A 2009-12-15 2009-12-15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0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37A KR101280089B1 (ko) 2009-12-15 2009-12-15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637A KR101280089B1 (ko) 2009-12-15 2009-12-15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63A KR20110067863A (ko) 2011-06-22
KR101280089B1 true KR101280089B1 (ko) 2013-06-28

Family

ID=44400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637A KR101280089B1 (ko) 2009-12-15 2009-12-15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426A1 (ko) * 2018-09-03 2020-03-12 주식회사 프랜드 전분 항균스크럽비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945A (en) * 1994-03-24 1997-11-25 L'oreal Cosmetic skin-cleansing mask compositions containing graded spheroidal polyamide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945A (en) * 1994-03-24 1997-11-25 L'oreal Cosmetic skin-cleansing mask compositions containing graded spheroidal polyamide part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863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213705A (ja) 皮膚コンデイシヨニング組成物
JP63139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H11158026A (ja) 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KR20110078532A (ko) 젤 형태의 필-오프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JPS61260008A (ja) 化粧料組成物
KR20210049609A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2294A (ko) 히알루론산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9100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96021B1 (ko) 필링 화장 재료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1480688B1 (ko)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7496B1 (ko)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80089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9826B1 (ko) 천연보습인자를 담지한 각질세포 모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07028683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jojoba carboxylates in combination with jojoba alcohol and cosmetic formulation comprising same
TW201946610A (zh) 活性成分包括γ-聚麩胺酸之化妝品組合物
KR20110073935A (ko) 아디프산/네오펜틸글리콜 크로스폴리머 서스펜션 솔루션을 함유한 모공 커버 화장료 조성물
JP2000247860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KR20150067823A (ko) 워시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CN105992582B (zh) 皮肤外用剂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KR102029652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3589513B2 (ja) マッサージ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