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652B1 -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652B1
KR102029652B1 KR1020170144226A KR20170144226A KR102029652B1 KR 102029652 B1 KR102029652 B1 KR 102029652B1 KR 1020170144226 A KR1020170144226 A KR 1020170144226A KR 20170144226 A KR20170144226 A KR 20170144226A KR 102029652 B1 KR102029652 B1 KR 102029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oil
cosmetic composition
exfolia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920A (ko
Inventor
박현정
김기선
김연준
유권종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6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자극 없이 고마쥬 타입으로 피부 각질 제거가 가능하며, 우수한 피부 결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 함량의 오일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클렌징 오일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성상의 특이 제형을 가지므로,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exfoliation}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정상적인 피부 각화가 이루어 지지 않아서, 묵은 각질이 피부에 쌓일 수 있고 이로 인해 피부가 칙칙해지고 거칠어져 손상되기 때문에 적당한 물리적인 각질 관리는 필요하다. 물리적인 각질 관리 화장품에는 스크럽제를 포함하여 노후된 피부 각질 제거를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크럽으로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인공적인 스크럽이나 과실의 씨, 껍질을 갈아서 만든 살구씨앗, 호두 껍데기, 오렌지 껍질 등과 같은 천연 스크럽제가 사용되고 있다. 스크럽제가 함유된 제품들이 있는데, 5mm 이하의 고체 미세플라스틱은 현재 환경오염 원인으로 배합 금지를 권고하는 성분이며, 천연 스크럽제 성분은 제형 내에서 수분이나 특정 반응 성분과 반응하여 변색, 변취를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스크럽제를 함유하지 않은 젤 성상 제품은 고분자 점증제를 고함량 함유하여 롤링 뒤에 때를 나오도록 하는데, 롤링해서 물리적인 각질 제거를 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각질 관리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젤 성상 각질 제거 제품의 경우 오일 성분을 고 함량으로 함유하면 제형이 무너져 안정도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1% 이하로 에스테르 오일류를 함유하게 되는데, 제형 내에서 오일 성분을 고 함량 함유하지 못해서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고 각질 제거 효과가 부족한 부분이 있다.
오일이 고 함량 함유된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과 같은 제형은 피부의 노폐물을 녹여내고 피부 각질을 관리해 주는데 도움을 주지만 제형 경도와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고급 알콜, 버터류와 같은 고체 원료가 포함되어 무거운 사용감이 느껴지는 것을 단점으로 꼽을 수 있고, 액상의 클렌징 오일의 경우에는 점도가 낮기 때문에 흘러내리는 불편함이 있고 물리적인 각질 관리가 되지 않아서 각질 관리 제품을 이중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43910호
일 양상은 보습감이 우수하면서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고 물리적인 각질 제거가 가능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마쥬 타입인 것일 수 있다. 상기"고마쥬(gommage) 타입"은 피부에 도포한 후 문지르면 지우개로 지우는 듯 각질을 제거할 수 있는 타입을 의미할 수 있다. 고마쥬 타입의 각질 제거제는 스크럽제를 포함하는 각질 제거제에 비해 피부에 과도한 자극을 주지 않고 물리적인 각질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 중량%, 또는 1 내지 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 안정성과 사용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분산이 되지 않아 뭉침이 발생되어 제형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필름 형성용 폴리머로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아크릴산 (acrylic acid), 메타크릴산 (methacryl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의 염, 에스터, 및 짝염기 (conjugate base)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종류로는 아크릴레이트 (Acrylates), 메타크릴레이트 (Methacrylates), 메틸 아크릴레이트 (Methyl acrylate), 에틸 아크릴레이트 (Ethyl acrylate), 2-클로로에틸 비닐 에테르 (2-Chloroethyl vinyl ether),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Ethylhexyl acrylate),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Hydroxyethyl meth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 (Butyl acrylate),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Butyl methacrylate),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염의 종류는 소듐염, 암모늄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또는 그 단순 에스터 중 하나로 구성된 2종 이상의 단량체가 중합되어 형성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뿐만 아니라, 아크릴산 및 다른 단량체로 구성된 다양한 종류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는 아크릴산과 그 염의 중합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Polyacrylate Crosspolymer-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Sodium Polyacrylate), 및 아크릴레이트/팔메스-25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Acrylate/Palmeth-25 Acrylate Copoly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1 내지 4 중량%, 1 내지 3 중량%, 또는 2 내지 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 스크럽이 생성되지 않아 피부 각질 제거 효과가 좋지 못할 수 있다.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4 중량%를 초과할 경우, 오일을 과량 흡착하여 제형 내에서 파우더 분산이 좋지 못하고 파우더가 뭉쳐서 제형 안정도가 나빠질 수 있으며, 뻣뻣한 감촉으로 마무리되어 사용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오일 성분을 흡착하는 성질을 갖는 파우더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실리카 (Silica),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 (Silica Demethyl Silylate), 및 실리카실릴레이트 (Silica Sil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롤링하면 점차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오일 흡착성 파우더가 뭉쳐 지우개 때처럼 스크럽 즉, 고마쥬가 발생하여 피부의 손상을 줄이면서 효과적으로 피부 각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성상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몽글거리는 스폰지 성상의 크림 또는 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특이 제형은 타 화장료의 시각적으로 차별화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젤 성상의 각질 제거용 화장료의 경우 오일 성분을 고함량으로 함유하면 제형이 무너져 안정도가 좋지 못하기 때문에 1 중량% 이하로 오일을 함유하여 피부가 쉽게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고함량으로 포함하여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클렌징 오일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고 함량의 오일 성분에 의해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 내지 3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오일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경우, 오일 흡착성 파우더에 흡착되는 오일의 양이 부족하여 스폰지 형태를 형성하지 못하고 스크럽이 나오지 않아 각질 제거 효과를 주기 어려울 수 있다. 오일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오일량 때문에 스크럽이 자연스럽게 생성되지 않아 각질 제거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고온에서 오일이 분리되어 제형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일은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헥실라우레이트 (Hexyl Laurate),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Octyldodecyl Myristate),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Cethyl Ethylhexanoate), 디카프릴릴에테르 (Dicaprylyl Ether), 및 올리브 오일 (Olive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2 내지 12 중량%, 또는 5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보습제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 저온에서 오일이 배어 나와 저온 안정도를 좋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보습제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수분 증발력을 떨어뜨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오일 흡착성 파우더가 스크럽 즉, 고마쥬를 생성하는데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Glycerine), 디프로필렌글리콜 (Di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 (1,3-Butylene Glycol), 프로판디올 (Propanediol), 메틸프로판디올 (Methylpropanediol), 메틸글루세스-20 (Methyl Gluceth-20), 및 소르비톨 (Sorb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유화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유화 안정도가 떨어지고 경도 형성이 되지 않아 제형 형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유화제의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뻑뻑한 왁스와 같은 사용감을 형성하여 사용감이 좋지 못할 수 있고, 스크럽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하여 각질 제거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C14-C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C14-C22 Alcohol/C12-20 Alkyl Glucoside),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 (Arachidyl Glucoside/Behenyl Alcohol/Arachidyl Alcohol), 및 세테아릴글루코시드 (Cetearyl Glucos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방부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및 보습제를 포함하는 수상부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오일 흡착성 파우더,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용어, "약 (about)", 또는 대략 (approximately)" 등의 표현은 언급하는 값이 어느 정도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값은 10%,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어떤 구체예에서, 상기 값은 5%, 2%, 또는 1%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5 (about 5)"는 4.5 및 5.5 사이, 4.75 및 5.25 사이, 또는 4.9 및 5.1 사이, 또는 4.95 및 5.05 사이의 임의의 값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또는 성분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 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문맥상 지시된 것이 아니라면 단수형은 복수형도 또한 포함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된 것이 아니라면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한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모순이 될 경우, 본 명세서가 조절할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자극 없이 고마쥬 타입으로 피부 각질 제거가 가능하며, 우수한 피부 결 개선 효과를 가진다. 또한, 고 함량의 오일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클렌징 오일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피부의 노폐물 제거 및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성상의 특이 제형을 가지므로,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스폰지 외관 형태를 갖는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오일 흡착 특성을 갖는 건식 실리카 입자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최외각층 각질 개선 평가 결과에 해당하는 Charm view (X700)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거칠기 척도 Ra 및 Rq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보습제, 유화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오일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습제로 글리세린 및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였다. 유화제로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또는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을 사용하였다.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오일로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사용하였다. 오일 흡착성 파우더로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수상 원료와 유상 원료를 각각 70~75℃의 온도에서 디스퍼(disper)를 사용하여 1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교반하여 수상부 및 유상부를 준비하였다. 유상부에는 유화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오일 및 오일 흡착성 파우더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상기 준비된 수상부에 유상부를 투입 후 호모게나이저 (homogenizer) 2000 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0 5.0 5.0 5.0
프로판디올 5.0 5.0 5.0 5.0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3.0 3.0 - -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 - - 3.0 3.0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1.5 - 1.5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1.5 - 1.5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20.0 20.0 20.0 20.0
실리카 2.5 2.5 2.5 2.5
올리브오일 5.0 5.0 5.0 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0 2.0 2.0 2.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비교예 1~7: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 1은 오일 흡착성 파우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및 3은 보습제인 글리세린 또는 프로판디올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는 오일 중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5는 오일 중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6은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7은 오일 흡착성 파우더의 함량이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 비교예 1~7에 따라 제조된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5.0 10.0 5.0 5.0 5.0 5.0 5.0
프로판디올 5.0 5.0 10.0 5.0 5.0 5.0 5.0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3.0 3.0 3.0 3.0 3.0 3.0 3.00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 - - - - - - -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1.5 1.5 1.5 1.5 - 1.5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 - - 1.5 - 1.5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20.0 20.0 20.0 30.0 30.0 20.0 20.0
실리카 - 2.5 2.5 2.5 2.5 5.0 5.0
올리브오일 5.0 5.0 5.0 5.0 5.0 5.0 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2.0 2.0 2.0 2.0 2.0 2.0 2.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색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제형 형성, 스크럽 생성 및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스폰지 제형감의 제형이 형성되는지, 자연스럽게 롤링하여 스크럽이 생성 가능한지, 제형이 안정한지를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제형 형성은 스폰지 제형감의 제형이 형성되었는가를 평가하였다. ○는 스폰지 제형감 형성이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고, Ⅹ는 스폰지 제형감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다.
스크럽 생성은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여 롤링한 후 스크럽이 발생되는지를 평가하였다. ○는 스크럽이 생성되어 각질 제거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Ⅹ는 스크럽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다.
안정성은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25 ℃ 또는 45 ℃ 항온조에 6주간 보관한 후, 매주 확인하여 상 안정도를 확인하였다. ○는 유화 안정도가 우수한 것을 나타내고, Ⅹ는 유화 안정도가 좋지 못한 것을 나타내었다.
하기 표 3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1~7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형성, 스크럽 생성 및 안정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5 6 7
제형 형성
스크럽 생성
안정성(25℃)
안정성(45℃)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스폰지 외관 형태를 갖는 제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오일 흡착 특성을 갖는 건식 실리카 입자 사진이다.
상기 도 1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질감의 몽글거리는 불투명 크림 겔 형태의 조성물이 얻어졌으므로, 전반적으로 스폰지 제형의 형성이 가능하였다. 특히,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유화제인 C14-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의 겔링거리는 특성의 영향으로 실시예 3 및 4 대비 스폰지 제형감이 더 잘 형성되었다. 또한, 실시예 1~4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크럽 생성이 잘 되어 각질 제거 화장료로서의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6주간 유화 안정도도 우수하였다.
반면,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흡착이 되지 않아 스폰지 제형 성상으로 제조되지 않고 매끈한 표면의 일반 크림으로 제조되었다.
비교예 2~5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폰지 제형 형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오일 함량이 높아 경도가 낮게 형성되어 흐름성이 있고 스크럽이 생기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크림 겔을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2~5는 보습제와 오일이 고 함량 함유되어 유화 안정도를 떨어뜨려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예 6~7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 함량 포함된 실리카의 영향으로 오일 흡착도가 높아 분산이 안되어 덩어리가 생기는 현상이 발생되었고, 그에 따라 안정적인 스폰지 제형 형태를 이루지 못하였으며, 피부 도포 시 롤링이 잘 되지 않아 피부에서 겉돌아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유화 안정도도 좋지 못하였다.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2~5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비교예 1은 스폰지 형태의 제형 형성이 되지 못하고 스크럽(고마쥬)도 형성하지 못하여 사용감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 비교예 6 및 7은 고 함량의 실리카가 함유되어 오일 흡착도가 높아 파우더가 뭉쳐져 피부에 잘 도포되지 않고 덩어리지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되어 사용감 평가를 진행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24~40세 여성 20명에게 제공하고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하였다. 각 제품을 일반적인 각질 제거용 제품의 사용방법에 따라 얼굴에 마사지 한 후, 발림성, 마사지 용이성 및 보습감에 대해 우수하다, 나쁘다 중 한 가지를 선택하도록 하였고, 사용 후의 만족도는 전반적인 제형의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하기 표 4에 실시예 1~4 및 비교예 2~5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15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10-15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5-10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
5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X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발림성
마사지
용이성
보습감
만족도 X X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4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발림성, 마사지 용이성, 보습감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비교예 2~5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실시예 1은 전반적인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4 및 5의 경우 오일 함량이 높아 마사지 용이성은 우수한 편이었으나, 스크럽이 잘 생성되지 않아 각질 제거 효과는 미비하였고, 롤링 시 오일이 피부에서 흐르는 듯한 불편함이 발생하여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실험예 3: 피부 각질 개선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각질 제거 및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25~35세 패널 10명에게 시험 부위(얼굴)를 물 세안 후 10분간 항온 항습실에서 대기하도록 하였다. 피시험자의 뺨 상악 부위의 각질을 각질테이프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실시예 1의 제품을 동일 부위에 펴 바르고 3분간 마사지한 다음 미온수로 세안 후 각질을 다시 채취하였다. Image Pro Analyzer를 사용하여 각질테이프에 탈락된 각질 면적을 분석한 뒤 제품 사용 전, 후를 비교하여 각질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하기 표 5에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대비 사용한 후의 각질 감소량(%)을 나타내었다.
패널 A B C D E F G H I J
각질 감소량(%) 132 102 76 122 88 96 108 92 126 115
또한, Charm view (MORITEX, Japan)를 통해 제품 사용 전, 후의 각질 상태를 촬영하였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최외각층 각질 개선 평가 결과에 해당하는 Charm view (X700) 사진이다.
표 5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결과 매우 우수한 각질 제거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피부 결 개선 효능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 결 개선 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25~35세 패널 10명에게 시험 부위(얼굴)를 물 세안 후 10분간 항온 항습실에서 대기하도록 한 뒤, 피부 결(전)을 촬영하였다. 다음으로,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도포한 후 3분간 마사지하고 미온수로 세안 후 항습실에서 10분간 대기하도록 한 후, 동일한 부위의 피부 결(후)을 촬영하였다. 피부 결 개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측정 부위 전면의 동일 면적을 지정한 뒤, 거칠기 Ra, Rq 값을 분석하여 피부 결 개선 정도를 수치화 하였다. 측정 기기는 Antera 3D (miravex, UK)를 사용하였다.
- Roughness Ra (거칠기 척도 I): 피부단면을 파장화 하여 수치화한 피부 높낮이의 절대값 산술평균.
- Roughness Rq (거칠기 척도 II): 피부단면을 파장화 하여 수치화한 피부 높낮이의 제곱평균.
하기 표 6에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대비 사용 후의 Ra 및 Rq 값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패널 A B C D E F G H I J
Ra
(감소율%)
20.6 15.3 10.5 16.3 9.8 12.1 14.9 11.6 18.8 17.1
Rq
(감소율%)
21.1 18.2 10.2 16.8 10.6 11.3 17.7 16.3 17.3 16.4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 후의 피부 결 개선 결과를 거칠기 척도 Ra 및 Rq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6 및 도 4~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보다 사용한 후에 Ra 및 Rq 값이 모두 감소하여 피부 결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 내지 3 중량%, 오일 흡착성 파우더 0.5 내지 4 중량%, 오일 5 내지 30 중량%, 보습제 2 내지 12 중량% 및 유화제 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오일 흡착성 파우더는 실리카, 실리카디메틸실릴레이트, 및 실리카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오일은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헥실라우레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디카프릴릴에테르, 및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며,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메틸프로판디올, 메틸글루세스-20, 및 소르비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고, 상기 유화제는 C14-C22알콜/C12-20알킬글루코시드, 아라키딜글루코시드/베헤닐알콜/아라키딜알콜, 및 세테아릴글루코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레이트/팔메스-25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고마쥬 타입의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70144226A 2017-10-31 2017-10-31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9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26A KR102029652B1 (ko) 2017-10-31 2017-10-31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26A KR102029652B1 (ko) 2017-10-31 2017-10-31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20A KR20190048920A (ko) 2019-05-09
KR102029652B1 true KR102029652B1 (ko) 2019-10-08

Family

ID=6654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26A KR102029652B1 (ko) 2017-10-31 2017-10-31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098B1 (ko) * 2021-06-04 2022-02-08 주식회사 더마밀 샤베트 타입의 세안용 조성물
KR102668504B1 (ko) * 2021-12-31 2024-05-24 한국콜마주식회사 메이크업 제거 및 각질 제거용 고마쥬 타입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68A (ja) * 2001-09-28 2003-04-09 Kose Corp ゴマージュ化粧料
KR100570498B1 (ko) 2003-09-15 2006-04-13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막형성 수지 및 파우더를 함유한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689A (ko) * 2012-11-01 2014-05-09 코웨이 주식회사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286B1 (ko) 2013-10-15 201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4643A (ko) * 2014-04-29 2015-11-06 주식회사 한국코러스제약 스크럽제가 포함된 바이오 셀룰로오스 마스크팩 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868A (ja) * 2001-09-28 2003-04-09 Kose Corp ゴマージュ化粧料
KR100570498B1 (ko) 2003-09-15 2006-04-13 한국콜마 주식회사 피막형성 수지 및 파우더를 함유한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20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0623B2 (ja) 肌の手入れ用のすすぎ洗い可能なマスク型化粧品組成物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42905B1 (ko)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102127674B1 (ko)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55689A (ko)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9652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H06503566A (ja) 改善された油コントロール性を有するゲルタイプ組成物
JP2005511757A (ja) ゲル組成物および使用方法
JP6853846B2 (ja) ジェル状化粧料
KR101621942B1 (ko) 기능성 효능 물질의 피부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JP4616327B2 (ja) ピーリング化粧料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65B1 (ko) 클렌징 겸용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92582B (zh) 皮肤外用剂
CN111050739A (zh) 凝胶状化妆料
WO201811480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s polymer, montmorillonite, silica and kaolin
JP2000247860A (ja) マッサージ化粧料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JP4559194B2 (ja) 水性マッサージ化粧料
US20220071859A1 (en) Gel-type cosmetic
JP2963285B2 (ja) ジェル状化粧料
KR102131181B1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JP7299066B2 (ja) 乳化型皮膚外用剤
KR101280089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08136233B (zh) 化妆品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